KR810001875B1 - 치환된 벤조일우레이도 디페닐 에스테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치환된 벤조일우레이도 디페닐 에스테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1875B1
KR810001875B1 KR7701980A KR770001980A KR810001875B1 KR 810001875 B1 KR810001875 B1 KR 810001875B1 KR 7701980 A KR7701980 A KR 7701980A KR 770001980 A KR770001980 A KR 770001980A KR 810001875 B1 KR810001875 B1 KR 8100018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p
chloro
compounds
diphenyle
est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701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렌베르크 빌헤름
크라우케 에리히
슈람 위르겐
함만 인게보르크
스텐델 빌헤름
Original Assignee
귄테르 페터스
바이엘 아크티엔 게젤샤프트
요야힘 그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귄테르 페터스, 바이엘 아크티엔 게젤샤프트, 요야힘 그렘 filed Critical 귄테르 페터스
Priority to KR7701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18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1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1875B1/ko

Links

Landscapes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치환된 벤조일우레이도 디페닐 에스테르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살충제로 유효한 신규 화합물인 다음 일반식(Ⅰ)의 치환된 벤조일 우레이도 디페닐 에스테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kpo00001
상기 식에서, R1은 할로겐 또는 알킬을 나타내고 R2는 염소, 브롬 또는 수소를 나타내며 R3는 브롬 또는 수소를 나타내고 n은 1,2,3,4, 또는 5이다.
특정 벤조일 우레아류, 예를 들면 1-[4-클로로-및 3,4-디클로로-페닐]-3-[2,6-디클로로벤조일]-우레아는 살충효과를 지니고 있음이 이미 알려져 있다(독일공개명세서 제2,123,236호).
일반식(Ⅰ)의 화합물들은 강력한 살충효과를 지닌다. 바람직하기로는 R1은 불소, 염소, 브롬, 요오드 또는 탄소수 1내지 4개(특히 1 또는 2개)인 직쇄 또는 측쇄알킬을 나타내며, n은 1,2 또는 3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라 일반식(Ⅰ)의 치환된 벤조일 우레이로 디페닐 에테르는
(가) 다음 일반식(Ⅱ)로 페녹시 아닐린을 필요하다면 희석제의 존재하에 다음 일반식(Ⅲ)의 벤조일 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시키거나,
(나) 다음 일반식(Ⅳ)의 4-이소시아네이토-디페닐 에테르를 필요하다면 희석제의 존재하에 다음 일반식 Ⅴ의 벤즈아마이드와 반응시켜서 얻는다.
Figure kpo00002
상기식에서 R1,R2, R3및 n은 상술한 바와 같다.
놀라웁게도 본 발명에 따른 치환된 벤조일우레이도 디페닐 에테르는 동일한 형태의 작용과 유사한 일반식을 갖는 이미 공지된 벤조일우레아류보다 훨씬 우수한 살충작용을 지닌다.
공정 (가)에서 4-(4-시아노페녹시)-3-브로모-5-클로로아닐린과 2-에틸 -벤조일이소시아네이트를 출발물질로 사용하는 경우, 그리고 공정 (나)에서 4-(4-시아노페녹시)-3,5-디브로모-페닐 이소시아네이트와 2-에틸-벤즈아마이드를 출발물질로 사용하는 경우 반응공정은 다음 반응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kpo00003
출발물질로 사용되는 페녹시 아닐린(Ⅱ)는 문헌 [참조 : Liebigs Annalen 740, 페이지 169-179 (1970)]에 공지된 공정에 따라서 제조할 수 있거나 예를 들면 4-클로로-벤조니트릴을 4-아미노-페놀레이트와 반응시키거나 4-시아노페놀레이트를 1-클로로-4-니트로벤젠 유도체와 반응시켜서 상응하는 니트로 화합물을 얻으며 이를 환원시켜서 아미노화합물로 전환시키고 이를 포스겐과 반응시켜서 상응하는 4-이소시아네이토-디페닐 에테르(Ⅳ)를 얻을 수 있다.
페녹시아닐린(Ⅱ)과 4-이소시아네이토디페닐 에테르(Ⅳ)의 각각의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3,5-디브로모-, 3-클로로-, 3-브로모- 및 3-브로모-5-클로로-4-(4-시아노페녹시)-아닐린, 4-(4-시아노페녹시)-아닐린 및 상응하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출발물질로서 사용되는 벤조일이소시아네이트(Ⅲ)는 공지이며 통상의 공정에 따라서 제조할 수 있다.
[참조 : A.J. Speziale et. al., J. Org. Chem 30(12) 페이지 4306-4307(1965)]
이들 화합물의 각각의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2-플루오로-, -2-클로로-, 2-브로모-, 2-요오도-, 2-메틸-, -2-에틸-, 2,6-디플루오로-, 2,6-디클로로-, 2,6-디브로모- 및 2,6-디요오도-벤조일이소시아네이트.
더우기, 출발물질로서 요구되는 벤즈아마이드(Ⅴ)또한 공지이며 일반적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서 제조할 수 있다. [참조 : Beilstein's "Handbuch der organischen chemie" ("Handbook of Organic chemistry" ), volume 9, page 336]
이들 화합물의 각각의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2-플루오로-, 2-클로로-, 2-브로모-, 2-요오도-, 2-메틸-, 2-에틸, 2,6-디플루오로-, 2,6-디클로로, 2,6-디브로모-와 2,6-디요오도-벤즈아마이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들을 제조하기 위한 여러 공정은 적합한 희석제(용매포함)의 존재하에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실상 모든 불활성 유기용매는 이 목적을 위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벤젠, 톨루엔, 크실렌, 벤젠, 염화메틸렌,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및 클로로벤젠과 같은 지방족 및 방향족, 임의로 염소화된 탄화수소류; 에테르류, 예를 들면 디에틸에테르, 디부틸에테르와 디옥산; 케톤류, 예를 들면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프로필케톤 및 메틸 이소부틸케톤; 및 아세토니트릴 및 프로피오니트릴과 같은 니트릴류 등이 있다.
두 공정에서 반응온도는 실질적인 범위내에서 변화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반응은 0˚내지 120℃, 바람직하기로는 40˚내지 80℃에서 수행한다. 반응은 일반적으로 상압하에서 수행한다.
공정을 수행하기 위해서 출발화합물들은 대부분의 경우 화학식량으로 사용한다. 어느 한쪽이 과잉이더라도 별 이점이 없다. 반응물질은 대부분의 경우 상술한 용매 중에서 수행하며 반응을 종료시키기 위해서 1시간 똔는 그 이상동안 상승된 온도에서 교반시키고 분리시킨 생성물을 여과, 세척 또는 건조 및 필요에따라 재결정시켜서 분리한다. 화합물들은 결정질의 형태로 수득되며 용점으로 특정 지워진다.
활성화합물들은 식물에 의한 내성이 훌륭하며 온혈동물에 대하여 독성이 낮고 농경지, 산림지, 저장물의 보호 및 위생분야에 있어서 접하는 갑충, 특히 곤충을 방제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이들 화합물은 민감종 및 저항종이나 모든 성장단계의 해충에 대하여 유효하다. 상술한 해충의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이소포다(Isopoda) 강, 예를 들면 온니시커스 아셀루스(Onsicus asellus), 아르마딜리늄 불가레(Armadillidium vulgare) 및 포르셀리오 스캐버(Porcellio scaber);디프로포다(Diplopoda), 강, 예를 들면 브라니우루스 구투래투스(Blaniulus guttulatu s); 키로포다Chilopoda)강, 예를 들면 게오피루스 카르포파구스(Geophilus carpophagus); 및 스쿠티제라종(Scurigera spec.); 심피라(Symphla), 강, 예를 들면스쿠티제렐라 이마쿠라타(Scutigerella immaculata); 좀목(Thysanura) 예를 들면 서양좀(Lepisma sacchaina); 톡토기목(Collembolar) 예를 들면 오니키우루스 아르마투스(Onychiurus armatus); 메뚜기목(Orthoptera) 예를 들면 잔날개바퀴(Blatta orientalis), 이질바퀴(Periplaneta americana), 레우코파에아 마데라에(Leucophaea maderae), 바퀴(Blattella germanica), 아케타 도메스티커스(Acheta domesticus), 땅강아지종(Gryllotalpa Spp.), 풀무치(Locusta migratoria migratorioides), 메라노프루스 디퍼렌티아리스(Melanoplus differentialis) 및 스키스토세르카 그레가리아( Schistocerca gregaria); 집게벌레목(Dermaptera), 예를 들면 포르피쿠라 아우쿠라리아(Forficula auricularia); 흰개미목(Isoptera), 예를 들면 레티쿠리테르메스 아종 (Reticulitermes spp.); 이목(Anoplura), 예를 들면 필로옥세라 바스타트릭스(Phyl loxera vastratrix), 펨피구스 아종(Pemphigus spp.), 페디쿠러스 후마누스 코르포리스(Pediculus humanus corporis), 하에마토피누스 아종(Haematopinusspp.) 및 리노그나투스 아종(Linognathus spp.), 털이목(Mallophaga), 예를 들면 트리코덱테스 아종(Trichodectes spp.) 및 다마리네아 아종(Damalinea spp.); 총채벌레목(T hysanoptera), 예를 들면 헤르시노립스 페모라리스(Hercinothrips fomoralis) 및 파총채벌레(Thrips tabaci); 벌목(Heteroptera), 예를 들면 에우리가스터 아종(Euryg aster spp.), 디스데르커스 엔테르메디우스(Dysdercus intermedins), 네줄명아주노린재(Piesma Quadrata), 빈대(Cimex lectularius), 로드니우스 프로릭세스(R hodnius prolixus) 및 트리아토마 트종(Triatoma spp.), 노린재목(Homoptera), 예를들면 아레우로도스 브라시카에(Aleurodes brassicae), 베미시아 타바시(Bemisia tabaci), 트리아레우스로데스 바포라리오룸(Trialeurodes vaporariorum), 목화진딧물(Aphis gossypii), 브레비코리네 브라시카에(Brevicorvne braaicae), 크립토마이주스 리비스(Cryptomyzus ribis), 도라리스 파바에(Doralis fabae), 도라리스 포미(D oralis pomi), 사과면충(Eriosoma lanigerum), 복숭아진딧물(Hyalopterus arundi nis), 수염진딧물(Macrosiphum avenae), 흑진딧물 아종(Myzus spp.), 포로돈 후무리(Phorodon humuli), 기장테두리진딧물(Rhopalosiphum padi), 엠포아스카 아종(Empoasca spp.), 에우스세리스 비로바투스(Euscelis bilobatus), 끝동매미충(N ephotettix cincticeps),레카니움 코르니(Lecanium corni), 사이쎄티아 오레아에(Saissetia oleae), 애멸구(Laodelphax striatellus), 니라파르바타 루겐즈(N ilaparvata lugens), 깍지벌레(Aonidiella aurantii), 아스피디오투스 헤데라에(Asp idiotus hederae), 가루까지벌레 아종(Pseudococcus spp. )및 프실라 아종(Psylla spp.); 나비목(Lepidoptera) 예를 들면 페크티노포는 고시피엘라(Pectinophora go ssypiella), 브파루스 피니아리우스(Bupalus piniarius), 케이마토비아 브루마타(C heimatobia brumata), 리토콜레티스 브란카르델라(Lithocolletis blancardella), 사과집나방(Hyponomeuta padella), 배추좀나방(Plutella maculipennis), 텐트나방(Ma lacosoma neustria), 무늬흰좀나방(Euproctis chrsorrhoea), 리만트리아종 (Lymantria spp.), 브쿠라트릭스 투르베리엘라(Bucculatrix thurberiella). 필록니스티스 시트렐라(Phyllocnistis citrella), 방아벌레(Agrotis spp.), 나방(Euxoa spp.), 펠티아 아종(Feltia spp.), 에아리아스 인수라나(Earias insulana), 헬리오티스 아종 (Heliothis spp.), 라피그마 엑시구아(Laphygma exigua), 마메스트라 브라시카에(Mamestra brassicae), 파노리스 프라메아(Panolis flammea), 프로데니아 리투스(Prodenia litura), 스포도프테라 아종(Spodoptera spp.), 트리코프루시아 니(Trichoplusia ni), 카르포카프사 포모넬라(Carpocapsa pomonella), 피에리스 아종(Pieris spp.) 명나방(Chilo spp.), 피라우스타 누비라리스(Pyrausta nubilalis), 에페스티아 쿠흐니엘라(Ephestia kuehniella), 갈레리아 멜로넬라(Galleria mel lonella), 잎말이 나방(Cacoecia podana), 카프아 레티쿠라나(Capua reticulana), 코리스토네우라 푸미페라나(Choristoneura fumiferana), 크리시아 암비구엘라(Clysia ambiguella) 호모나 마그나니마(Homona magnanima) 및 토르트릭스 비리다나(T ortrix viridana); 딱정벌레목(Coleoptera) 예를 들면 아노비늄 푼크타텀(Anobium punctatum), 라이조페리타 도미니카(Rhizopertha dominica), 브루키디우스 오브테크투스(Bruchidius obtectus) 아칸토스세리데스 오브테크투스(Acanthosolides obtectus), 히로트루페스 바주루스(Hylotrupes bajulus), 아게라스티카 알니(Age lastica alni), 레프티노타르사 데셈리네아타(Leptnotarsa decemlineata), 파에돈 코크레아리아에(Phaedon cochleariae), 디아브로타카 아종(Diabrotica spp), 프실리오데스 크리소세파라(Psylliodes chrysocephala), 에피라크나 바리베스티스(Epilachna variverstis), 아토마리아 아종(Atomaria spp.), 톱날머리대장(Oryzaephilus suri namensis), 안토노머스 아종(Anthonomus spp.) 시토피루스 아종(Sitophilus spp.), 오티오르힌커스 술카투스(Otiorrhnchus sulcatus), 코스모포리티에스 소르디두스(C osmopolites sordidus), 세우토르힌커스 아시미리스(Ceuthorrhynchus assimilis), 히페라 포스티카(Hypera postica), 데르메스테스 아종(Dermestes spp.), 트로고데르마 아종(Trogoderma spp.), 안스레누스 아종(Anthrenus spp.), 아타네누스 아종(Attagenus spp.), 리크투스 아종(Lyctus spp.), 메리게테스 아에네우스(Me ligethes aeneus), 프티누스 아종(Ptinus spp.), 니프투스 호로레우쿠스(Niptus hololeucus), 기비움 프실로이데스(Gibbium psylloides), 트리보리움 아종(Tri bolium spp.), 테네브리오 모리토르(Tenebrio molitor), 아그리오테스 아종(Agriotes spp.), 코노데루스 아종(Coonoderus spp.), 메로론타 메로론타(Melolontha melo lontha), 암피말론 솔스티티아리스(Amphimallon solstitialis) 및 코스테리트라 제아란디카(Costelytra zealandica); 벌목(Hymenoptera) 예를 들면 디프리온 아종( Diprion spp.), 호프로캄파 아종(Hoplocamap spp.), 고등털개미(Lasius spp.), 모노모리움 파라오니스(Monomorium pharaonis) 및 베스파 아종(Vespa spp.); 파리목( Diptera) 예를 들면, 아에데스 아종(Aedes spp.), 아노페레스 아종(An opheles spp.), 쿠렉스 아종(Culex spp.), 노랑초파리(Drosophila melanogaster), 집파리(Mu sca spp.), 아기집파리(Fannia spp.), 칼리포라 에리스로세파라(Calliphora erythr ocephala), 루시리아 아종(Lucilia spp.), 크리소마이아 아종(Chrysomyia spp.), 쿠테레브라 아종(Cuterebra spp.), 가스트로피루스 아종(Gastrophilus spp.), 하이포보스카 아종(Hyppobosca spp.), 스토목시스 아종(Stomoxys spp.), 오에스트루스 아종(Oestrus spp.), 하이포데르마 아종(Hypodrema spp.), 타바누스 아종(Tabanus spp.), 탄니아 아종(Tannia spp.), 비비오 호르투라누스(Bibil hortulanus), 오스시넬라 프리트(Oscinella frit), 포르비아 아종(Phorbia spp.) 페고마이아 히오스시아미(Peg omyia hyoscyami), 세라티티스 카피타타(Ceratitis capitata), 다커스 오레아에(D acut oleae) 및 티프라 파루포사(Tipula paludosa), 시노나프테라(Siphonaptera) 목; 예를 들면, 크에노프실라 케에피스(Xenopsylla cheopis) 및 세라토필루스 아종(Cer atophyllus spp.), 거미강(Arachnida) 예를 들면 스코르피오 마우루스(Sco rpio maurus) 및 라트로덱투스 막탄스(Latrodectus mactans); 응애목(Acarina) 예를 들면 가루응애(Acarus siro), 아르가스 아종(Argas spp.), 오르니토도로스 아종(Ornith odorus spp.), 데르마니쎄스 갈리나에(Dermanyssus gallinae), 에리오피에스 리비스 (Eriophyes ribis), 필로코프트루타 오레이보라(Phyllocoptruta oleivora), 부피루스 아종(Boophilus spp.), 리피세파루스 아종(Rhipicephalus spp.), 암브리옴 마아(Am blyomma spp.), 히아롬마 아종(Hyalomma spp.), 진드기(Ixodes spp.), 프소로프테스 아종(Psoroptes spp.), 코리오프테스 아종(Chorioptes spp.), 사르코프테스 아종(Sarcoptes spp.), 타르소네무스 아종(Tarsonemus spp.), 클로버 응애(Bryobia praetopsa), 파노니커스 아종(Panonychus spp.) 및 테트라니커스 아종(Tetra nychus spp.)
본 발명에 따른 활성화합물은 통상의 제제, 즉 용액, 유제, 수화제, 현탁액, 분말, 분제, 기포제, 파스트제, 수용제, 입제, 에어로졸제, 현탁제-유제 농축물, 종자처리용분말, 활성화합물로 입힌 천연 및 합성물질, 중합체로 되어 있으며 조성물로 코팅한 미세한 캡슐제, 훈증 카트리지, 훈증캔 및 훈증코일과 같은 연소 장치가 사용된 제제뿐만 아니라 초저용량 냉무 및 온무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들 제제는 통상의 방법, 예를 들면 활성화합물을 증량제, 즉 액체 또는 고체 또는 액화기체 희석제 또는 담체와 임의로 계면활성제, 즉 유화제 및/또는 분산제 및/또는 기포제를 사용하여 혼합해서 만든다. 증량제로서 물을 사용하는 경우에 유기용매를 보조용매로서 사용할 수 있다.
액체희석제 또는 담체, 특히 용매로서는 주로 코실렌, 톨루엔 벤젠 또는 알킬-나프탈렌과 같은 방향족 탄화수소류, 클로로벤젠, 클로로에틸렌 또는 메틸렌클로라이드 같은 염소화된 방향족 또는 지방족탄화수소류 사이클로 헥산 또는 파리핀, 예를 들면 광유획분과 같은 지방족 또는 지환족 탄화수소류, 부탄올 또는 글리콜과 가은 알코올류 뿐만 아니라 이의 에테르 및 에스테르류,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또는 사이클로헥산온과 같은 케톤류, 디메틸 포름아마이드 및 디메틸설폭사이드와 같은 강한극성용매 뿐만 아니라 물등이 사용된다.
액체기체희석제 또는 담체는 상온 상압하에서 기체상태인 액체를 의미하며, 예를 들면 디클로로 플루오로메탄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탄과 같은 에어로졸 분무제가 있다. 고체 담체로는 카올린, 점토류, 탈크, 쵸오크, 석영, 아타풀지트, 몬모릴로나이트 또는 규조토와 같은 마쇄한 천연광물과 고도로 분산시킨 규산, 알루미나 및 규산염과 같은 합성광물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유화제 및 기포제로는 비이온 및 음이온 유화제,즉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 에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지방 알코올 에테르류 예를 들면 알킬아릴 폴리글리콜 에테르류, 알킬설포네이트류, 알킬설페이트류, 알킬설페이트류 및 아릴설포네이트류 뿐만 아니라 알부민 가수분해 산물등이 있다. 분산제의 바람직한 예로는 리그닌 설파이트 폐액 및 메틸셀룰로우즈가 있다.
복북시메틸 셀룰로우즈 및 분말, 과립 또는 격자 형상의 천연 및 합성 폴리머 및 아라비아검, 폴리비닐알코올 및 폴리비닐 아세테이트와 같은 부가제를 제제내에 사용할 수 있다.
무기색소, 예를 들면 산화철, 티터늄옥사이드 및 프루시안블루와 같은 착색제와 아리자린염료, 아조염료 또는 금속프탈로시아닌 염료와 같은 유기염료와, 철, 망간, 붕소, 구리, 코발트, 몰리브덴 및 아연등의 염과 같은 미량영양소를 사용할 수 있다.
제제는 일반적으로 0.1내지 95중량%, 바람직하기로는 0.5 내지 90%의 활성화합물을 함유한다.
본 발명에 다른 활성화합물들은 시판용 제제의 형태로 또는 이들 제제로부터 유용한 형태로 만들어 사용할 수 있다.
시판용 제제로부터 제조된 제제내의 활성화합물의 함량은 넓은 범위내에서 변화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들 제제중의 활성화합물의 농도는 0.0000001내지 100중량%의 활성화합물, 바람직하기로는 0.01내지 10중량%를 함유한다.
화합물들은 적절한 제제로 만들어 통상의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 건강을 해치는 해충이나 저장물의 해충에 대하여 사용될 때 활성화합물은 목질 및 점토상에 탁월한 잔류 효과를 지닐 뿐만 아니라 석회질상의 알카리에 대하여 훌륭한 안정성을 지닌다.
수의학 분야에서 본 발명에 따른 활성화합물은 통상의 방법, 즉 정제, 캡슐제, 물약 및 과립제 형태로 경구용이나 침지, 살포, 붓거나 점적형태로 피부용 및 예를 들면 주사등의 비경구 투여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유효성분으로서 본 발명의 화합물을 고체 또는 액화기체희석제 또는 담체와 혼합하거나 또는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액화희석제 또는 담체와 혼합한 살충제 조성물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을 단독으로 또는 유효성분으로서 본 발명의 화합물을 희석제 또는 담체와 혼합한 조성물의 형태로 갑충 도는 이의 서식지에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여 갑충(특히 곤충)을 방제하는 방법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희석제 또는 담체와 혼합하여 가축에 시용함을 특징으로 하여 외부 기생곤충으로 부터 가축을 보호하는 방법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성장전 및/또는 성장시에 본 발명의 화합물을 단독으로 또는 희석제 또는 담체와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서 갑충류의 피해로부터 작물을 보호하는 방법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들의 살충효과는 다음 생물학적 시험예로서 설명된다.
[시험예 A]
[배추좀나방(Plutella) 시험]
용매 : 3중량부의 디메틸포름아마이드
유화제 : 1중량부의 알킬아릴 폴리글리콜 에테르
적합한 유효화합물의 제제를 얻기 위해서 1중량부의 활성화합물을 상기 양의 유화제를 함유하는 상기 양의 용매와 혼합하고, 농축물을 원하는 농도까지 물로 희석하였다.
캘비지 잎(Brassica oleracea)은 이슬방울이 맺힐때까지 상기 제제로 분무한다음 배추좀나방(Plutella maculipennis) 모충으로 감염시킨다.
일정시간이 지난 후 효과를 퍼센트(%)로 나타내었다. 100%는 모든 모충이 살해되었음을 의미하며, 0%는 모충이 하나도 살해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유효화합물, 유효화합물의 농도, 평가시기 및 결과는 다음 표와 같다.
[표 A]
Figure kpo00004
Figure kpo00005
[시험예 B]
[기생성파리 유충에 대한 시험]
용 매 : 35중량부의 에틸렌 폴리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유합제 : 35중량부의 노닐페놀 폴리글리콜 에테르
적합한 유효화합물의 제제를 얻기 위해서 30중량부의 유효화합물을 상기 양의 유화제를 함유하는 상기양의 용매와 혼합하여 얻은 농축물을 원하는 농도까지 물로 희석하였다. 파리유충(Lucilia Cuprina) 약 20마리를 말근육 대략 2cm3을 함유하는 시험관에 넣는다. 유효화합물의 제제 0.5ml을 이 말근육에 살포하였다. 24시간후 효과를 퍼센트(%)로 나타내었다. 100%는 모든 유충이 살해되었음을 의미하고 0%는 유충이 하나도 살해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유효화합물, 유효화합물의 농도및 결과는 다음 표와 같다 :
[표 B]
Figure kpo00006
본 발명의 공정은 다음 실시예로서 설명된다.
[실시예 1]
Figure kpo00007
톨루엔 20ml에 2-클로로-벤조일이소시아네이트 5.6g(0.03몰)을 녹인 용액을 톨루엔 100ml에 3-클로로-4-(4-시나닛페녹시)아닐린 8.35g(0.03몰)을 녹인 용액에 50℃에서 적가한다. 배취를 60℃에서 1시간동안 가열시킨다. 이를 냉각시킨 후 침전된 생성물을 여과하여 제거하고 톨루엔으로 세척하다음 석유에테르로 세척한다. 탈수시킨 후 융점 186℃의 4-시아노-2'-클로로-4'-[N-(N'-2-클로로벤조일)-우이도]-디페닐 에테르 10g(이론치의 78%)을 얻는다.
일반식(Ⅰ)의 다음 화합물들은 실시예 1과 유사하게 합성한다.
Figure kpo00008
몇가지의 출발물질은 아래와 같이 제조할 수 있다.
Figure kpo00009
4-하이드록시벤조니트릴 50g(0.42몰)을 디메틸 설폭사이드 300ml에 용해시키고 물 30ml에 수산화칼륨 27g을 녹인 용액을 가한다. 증류물 150ml을 진공하에서 제거시킨다. 3-브로모-4-클로로-1-니트로벤젠 72g(0.3몰)을 잔사에 가하고 배취를 80℃에서 1시간, 100℃에서 1시간 더 가열시킨다. 이를 냉각시킨 후 생성물을 메탄올을 가하면서 빙수를 사용하여 침전시킨다음 여과 제거시킨다. 물로 세척하고 에탄올로부터 재결정화시킨 다음 융점 115내지 116℃인 순수한 화합물 63g을 얻는다.
Figure kpo00010
(가)에서 얻은 2-브로모-4-니트로-4'-시아노-디페닐 에테르 151g(0.475몰)을 에탄올 700ml에 용해시키고 라니닉켈/철 40g과 중탄산나트륨 10g을 가한 후 화합물을 20℃에서 수소 첨가시킨다. 수소첨가가 끝난 후 고형생성물을 여과 제거하고 여액을 농축시킨다. 잔사를 벤젠/리그로인으로부터 재결정화시킨다. 융점 103내지 105℃, 수율 86g(이론치의 63%)
다음 화합물들은 유사하게 제조할 수 있다.
Figure kpo00011

Claims (1)

  1. 다음 일반식(Ⅱ)의 페녹시 아닐린을 다음 일반식(Ⅲ)의 벤조일 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다음 일반식(Ⅰ)의 치환된 벤조일-우레이도 디페닐 에테르를 제조하는 방법.
    Figure kpo00012
    상기식에서 R1은 할로겐 또는 알킬을 나타내며 R2는 염소, 브롬 또는 수소를 나타내고 R3는 브롬 또는 수소를 나타내며n은 1,2,3,4 또는 5를 나타낸다.
KR7701980A 1977-08-25 1977-08-25 치환된 벤조일우레이도 디페닐 에스테르의 제조 방법 KR8100018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1980A KR810001875B1 (ko) 1977-08-25 1977-08-25 치환된 벤조일우레이도 디페닐 에스테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1980A KR810001875B1 (ko) 1977-08-25 1977-08-25 치환된 벤조일우레이도 디페닐 에스테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1875B1 true KR810001875B1 (ko) 1981-11-19

Family

ID=19204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701980A KR810001875B1 (ko) 1977-08-25 1977-08-25 치환된 벤조일우레이도 디페닐 에스테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1875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39636A (en) N-Phenyl-N'-benzoyl-ureas and pesticidal compositions and uses therefor
US4533676A (en) 2,5-Dihalogenobenzoyl-(thio)urea insecticides
US4277499A (en) Combating insects with N-(substituted-phenyl)-N-(2-chloro-6-fluoro-benzoyl)-ureas
US4711905A (en) 2,4-dihalogenobenzoyl-(thio)urea insecticides
US4276310A (en) Combating pests with N-(4-substituted-phenyl)-N'-(2-substituted-benzoyl)-thioureas
NO149105B (no) Benzoylureido-nitro-difenyletere for anvendelse som insekticider
JPH0585548B2 (ko)
US4536587A (en) Combating pests with substituted benzoyl-(thio)ureas
US4103022A (en) Combating arthropods with 3-(2,2,4,4-tetrafluoro-benz-1,3-dioxin-6-yl)-1-(substituted benzoyl)-ureas
US4239762A (en) Combating insects with substituted 5-phenylcarbamoyl-barbituric acids
US4140792A (en) Combating arthropods with 1-(substituted-phenylcarbamoyl)-3-halophenyl-2-pyrazolines
KR0157055B1 (ko) 니트로-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
US4194005A (en) Combating arthropods with 4-cyano-4'-[N-(N'-substituted-benzoyl)-ureido]-diphenyl ethers
US4611003A (en) N-substituted benzoyl-N'-3,4-tetrafluoroethylenedioxy-urea pesticides
US4774260A (en) Novel benzoylurea pesticides
US4348394A (en) Combating pests with substituted 3,6-diphenyl-3,4-dihydro-2H-1,3,5-oxadiazine-2,4-diones
EP0123861A2 (de) Harnstoffderivate
KR810001875B1 (ko) 치환된 벤조일우레이도 디페닐 에스테르의 제조 방법
US4248866A (en) Combating arthropods with N-(O-ethyl-S-n-propyl-thiophosphoryloxy)-naphthalimides
US4225618A (en) Combating plant pests with N-(ω-chloro-alkanoyl)-N'-trifluoromethylphenyl-ureas
US4211790A (en) Combating arthropods with an oxime ester of N-carboxylated-carbamate
US4757086A (en) N-benzoyl-N'-(2,2,-difluoro-3-methyl-benzo-1,4-dioxanyl)-ureas
EP0172510B1 (de) Benzoylharnstoffe
JP2574436B2 (ja) 置換されたベンゾイル尿素及びチオ尿素
KR800001046B1 (ko) 신규 치환된 n-페닐-n′-벤조일-우레아류의 제조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