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1751B1 - 정방기와 와인더를 직결(直結)하기 위한 관사 및 공(空)보빈의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정방기와 와인더를 직결(直結)하기 위한 관사 및 공(空)보빈의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1751B1
KR810001751B1 KR7800949A KR780000949A KR810001751B1 KR 810001751 B1 KR810001751 B1 KR 810001751B1 KR 7800949 A KR7800949 A KR 7800949A KR 780000949 A KR780000949 A KR 780000949A KR 810001751 B1 KR810001751 B1 KR 8100017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le
spinning machine
gongbin
band
arti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800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요지 하시모도
시바다니지요시
다께미 야마모도
로오이지 모리모도
이꾸오 우에다
Original Assignee
오까바야시 즈끼오
가부시끼 가이샤 구라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까바야시 즈끼오, 가부시끼 가이샤 구라레 filed Critical 오까바야시 즈끼오
Priority to KR7800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17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1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17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9/00Arrangements for replacing or removing bobbins, cores, receptacles, or completed packages at paying-out or take-up stations ; Combination of spinning-winding machine
    • D01H9/18Arrangements for replacing or removing bobbins, cores, receptacles, or completed packages at paying-out or take-up stations ; Combination of spinning-winding machine for supplying bobbins, cores, receptacles, or completed packages to, or transporting from, paying-out or take-up stations ; Arrangements to prevent unwinding of roving from roving bobb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Replacing, Conveying, And Pick-Finding F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정방기와 와인더를 직결(直結)하기 위한 관사 및 공(空)보빈의 이송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표시하는 장치전체의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측면도.
제3도는 제2도의 부분적인 것을 확대한 상세도.
제4도는 단사(端絲)전 처리장치의 확면도.
제5도는 관사공급장치의 단면도이며, 관사의 단사가 가운데를 통하여 흡인되어 있는 상태를 표시한 도.
제6도는 관사공급장치의 단면도이며, 관사가 다음 공정에 공급되는 상태를 표시한 도.
제7도는 관사가 단사전처리장치의 몸통부(胴部)에 감겨진 상태를 표시한 도.
제8도는 관사공급장치의 동(筒)하부의 노즐에서 에어가 취출(吹出)하고 관사의 단사가 취출하고 있는 상태를 표시한 도.
제9도는 관사 공급장치의 하부의 흡인장치에서 관사의 단사를 흡인하고 있는 상태를 표시한 도.
제10도는 관사공급장치의 하부 캇더에 의하여 흡인되고 있던 사가 절단된 상태를 표시한 도.
제11도는 마가진 주변주의 평면 확대도.
제12도는 공보빈 콘베이어입 상부의 측면도이고 , 또 보빈의 가려내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
제13도는 공보빈 정열장치의 평면도.
제14도는 제13도의 평면도.
제15도는 공보빈 스톡크 콘베이어의 측면도.
제16도는 공보빈 스톱피부의 상세도.
제17도는 공보빈 스톡크 콘벨이어 중간부의 단면도.
제18도 내지 제23도는 본 발명 방법에 의한 트랜스포오트 밴드에 의한 관사의 공급과 공보빈의 수입(受入), 이동의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모사도(模思圖)로서, 제18도는 관사의 공급준비가 완료하고 대기의 상태를 표시한 도.
제19도는 도핑(doffing)완료후 첫 번째의 관사가 공급된 상태를 표시한 도.
제20도는 n개째의 관사가 공급된 도핑작업 준비완료의 상태를 표시한 도.
제21도는 도핑작업에 의하여 관사가 트랜스 포오트밴드에 이재(移載)된 상태를 표시한 도.
제22도는 트랜스 포오트밴드가 제21도에 대하여 1/2핏치 이동한 상태를 표시한 도.
제23도는 공보빈을 스핀들에 이재한 상태(도핑완료)를 표시한 도.
제24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장치 전체의 평면도.
제25도는 관사 및 공보빈의 흐름을 표시하는 부록도.
제26도는 종래방법(1)의 한 실시예를 표시하는 장치전체의 평면도.
제27도는 종래방법(2)의 한 실시예를 표시하는 장치전체의 평면도.
제28도는 본 발명 방법에 의한 관사의 공급, 공보빈의 수입 상황을 설명한 도.
제29도는 종래방법(1)에 의한 관사의 공급과 공보빈의 수입 상황을 설명한 도.
제30도는 종래방법(2)에 의한 관사의 공급과 공보빈의 수입 상황을 설명한 도.
본 발명은 정방기와 와인더를 직결(直結)하기 위한 관사 및 공(空)보빈의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매우 간단한 시스템과 장치를 사용하므로서 종래 기술이 가지고 있는 기술적 모든 문제점을 전면적으로 해결하는 동시에 시설비, 운전 관리비의 대폭적 삭감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6도는 종래방법의 한 실시예로 정방기 202의 R측(Right Side), 측(Left side) 전주(全周)를 수평방향에 연결하고, 아우트 앤드축에 장출(張出)된 무단(無端) 벨트(endless belt)로부터 되는 트랜스 포오트 밴드(transport-band) 201를 한 방향에 연속 또는 간헐적으로 회동시켜, 관사의 다음 공정의 와인더(winder)207에의 공급을 관사공급장치(cop feeder)204 및 관사 콘베이어 206을 설치하여 행하고 이 와인더 207에서 배출된 공보빈을 적당한 운송수단을 설치하여 공보빈공급장치(bobbin feeder) 205에 반송하고, 이 공보빈 공급장치 205에서 페그(peg) 203에의 공보빈의 수입(受入)을 행하는 방법 [이하 종래방법(1)이라 명명함]을 설명하기 위한 장치전체의 평면도이다.
상기 방법에 의한 정방기의 생산량(관사수 2n)과 와인더의 처리시간의 관계를 도시한 것이 제29도이다.
종축(從軸)에 관사의 공급량 및 공보빈의 수입량(Nc), 횡축에 시간(Ts)를 취한다. (C)점은 정방기 202의 도핑작업이 완료하고, 트랜스 포오트밴드 201이 이동개시하는 시점을 표시하고 , (TA)시간후의 (D) 점까지, 즉 제26도(L) 축(OE)단추부 (아우트앤드단의 스핀들부)(B2)점에서 도핑된 관사가 관사공급부(C2)점에 올때까지는 트랜스 포오트밴드 201이 이동에 관계없이 관사의 공급은 행하여지지 않는다. (D)점에서 (L)축의 관사의 공급이 개시되고 (TC)시간후의 (E)점, 즉(L) 축 GE(Gear end) 단추부(端錐部)(A2)점이 (C2)점에 도달한 시점에서 L축의 관사의 공급은 완료한다. (E)점 이후 (TD)시간후의 (F)점, 즉(L) 축(GE) 단추부(A2)점이 (C2)를 통과하고 (R) 측 (GE) 단추부(D2)점이 (C2)점에 올 때까지는 트랜스 포오트밴드 201의 이동에 관계없이 관사의 공급은 행해지지 않는다. (F)점에서 (R)측의 관사의 공급이 재개되고, (TG)시간후의 (G)점, 즉 (R)측 (OE)단추부 (E2)점이 (C2)점에 도달한 시점에서 (R)측의 관사의 공급은 완료하고, 모든 관사의 공급이 완료한다. (TB)시간후의 (H)점은 스타트시(B2) 점에 있던 페그(peg)가 (C2)점에서 관사의 공급을 행하고 , 더욱이 공보빈공급장치 (205)의 (F2)점에 도달해서 트랜스포오트 밴드 201에의 공보빈의 수입이 개시되는 시점을 표시한다.
(TB)-(TA)의 시간차, 즉(B2)점이 (C2)점까지 도달해서부터 또한 (F2)점까지 트랜스 포오트 밴드 201이 이동에 요하는 시간만큼만 늦어져서 공보빈의 수입을 개시하고 (TE)시간후의 (I)점에서 (R)측의 공보빈의 수입은 완료한다. (TF)시간후의 (J)점에서 (L)측의 공보빈의 수입이 개시되고 (TH)시간후의 (K)점에서 공보빈의 수입을 완료한다. 더욱이 초기의 위치(TY)시간후의 (L)점까지 주회하기 때문에 (TY)-(TH)인 이동시간을 필요로 한다.
즉 이방식에 의한 관사의 공급은 실선 CDEFG와 같이 되고 공보빈의 수입은 절단선 HIJKL와 같이 된다. C점은 도핑작업이 완료하고 트랜스 포오트밴드 201의 이동이 개시 가능한 시점이고 TY를 다음번 도핑작업의 준비완료시한으로 할 경우 정방기 202를 기준으로 생각하면 관사공급처저불출 한계선은 실선 CDEFG로 된다. 즉 와인더의 소요된 권칙능력을 최저한계는, 정방기 202와 와인더 207의 중간부에 관사의 스톡크 부분을 가지지 않는 경우는, 2n/[(TG-TD) + (TC-TA)](관사수/시간)이 된다. 가능한 한 와인더의 소요된 권취능력을 낮추는 경우의 와인더의 권취선도는 두 개의 쇄선 DL이 되고 이 경우의 와인더의 소요된 권취능력은 2n/(TY-TA)(관사수/시간)이 된다.
그러나 정방기 202의 가동율을 저하시키지 않게 하기 위하여서는 G점, 즉 TG시간후까지는 트랜스 포오트밴드 201로부터의 관사의 공급을 완료할 필요가 있다. 두 개 쇄선 DL과 점 G로부터의 수직선과의 교차점 SA가 TG까지에 와인더에서 소화하는 관사수가 되고, 나머지 부분 NA가 관사의 소요된 최소스톡크량이 된다. 또한, 직선 DE와 TB에서의 수직선과의 교차점을 H2, 직선 DL과 TB로부터 의 수직선과의 교차점을 H2'로 하고, 각각의 경우의 관사공급량을 N2, N2'로 하면 TB-TA의 시간내에 불출되는 공보빈을 일시적으로 스톡크할 필요가 있고, 관사의 스톡크부분이 없을 경우의 공보빈의 소요최소스톡크량이 N2가 되고 관사 스톡크 부분이 있을 경우는 가 된다.
다음에 상기방법의 트랜스포오트 밴드의 운전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제29도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도핑 완료후 TA까지는 벨트의 이동만으로 관사의 공급뿐만아니라 보빈의 수입도 없다. TA후 TB까지는 관사의 공급만으로 공보빈의 수입도 없다. TB후 TC까지는 관사의 공급과 공보빈의 수입을 병행하여 행한다. TC후 TD까지는 관사의 공급은 없고 공보빈의 수입만 있고 , TD후 TE까지는 관사의 공급과 공보빈의 수입을 병행하여 행한다. TF후 TF까지는 관사의 공급만으로 공보빈의 수입은 없다. TG후 TG까지는 관사의 공급은 없고 공보빈의 수입만을 행한다. TH후 TY까지는 관사의 공급도 없고 보빈의 수입도없이 벨트의 이동만을 행하고 한 싸이클(cycle)이 완료하고, 다음번 도핑작업의 준비완료로 되는 등 매우 복잡한 운전 방어제법을 취하여야만 한다.
또 제29도 TY후 TZ까지의 사이는 정방기의 도핑작업을 위하여 트랜스 포오트 밴드를 이동할 수 없는 시간대를 표시한다(후술하는 제30도 및 제28도도 동일).
제27도는 정방기 302의 R 측 및 L측의 기대(機台)에 따라 설치된 무단 콘베이어 벨트에 의하여 되는 트랜스 포오트밴드 301을 왕복으로 연속 또는 간헐회동시키고, 주행하는데 관사의 다음 공정 와인더 307에의 공급을 슈트 304 및 관사콘베이어 306을 통하여 행하고 다시 와인더 307에서 배출된 공보빈을 적당한 반송수단을 통하여 공보빈 공급장치 305에 반송하고 이 공보빈공급장치 305에서 페그 303에의 이 공보빈의 수입을 행하는 방법(이하 종래방법(2)라 명명함)을 설명하기 위한 장치전체의 평면도이다. 이 방법에 의한 정방기의 생산량 (관사수 2n)과 와인더의 처리시간의 관계를 도시한 것이 제30도이다. 제29도와 같이 종축에 관사의 공급량 또는 공보빈의 수입량(NO), 횡축에 시간(TS)를 취한다. M점은 정방기 302의 도핑 작업이 완료되고, 트랜스 포오트밴드 30이 이동개시하는 시점을 표시하고, TL시간후의 N점까지 즉 제27도 R 측 OE 단추부 F3점에서 도핑된 관사가 R측 관사공급부 H3점에 도달할 때까지 는 트랜스 포오트밴드 301의 이동에 관계없이 관사의 공급은 행해지지 않는다. N점에서 관사의 공급이 개시되고 , TJ시간후의 P점 (R 측 GE 단추부 E3점이 H3점에 도달된 시점)에서 완료하면 미리 L측 OE 단추부 점으로 도핑된 곤사를 TJ시간까지에 L측 관사공급부 D3점까지 이동대기하고 있는 L측의 트랜스 포오트밴드 301를 다시 이동하고 계속하여 L측의 관사의 공급을 개시하고 , TL시간후의 Q점 (L측 GE 단추부 A3점이 D3점에 도달한 시점)에서 완료한다. TJ시간후의 R점은 R측 (Right sdie)의 관사의 공급이 완료하고 , R측의 트랜스포오트밴드 301이 역전(逆轉)이동개시하는 시점을 표시하고 , Tk시간후의 S점까지 , 즉 제27도에서 스타트시점 E3점에 있던 페그가 H3점에서 공보빈수입부 G3점에 올때까지는 (R측의 트랜스 포오트밴드 301의 이동에 관계없이 )공보빈의 수입은 행해지지 않는다. S점에서 공보빈의 수입이 개시되어 Tm 시간후의 U점, 즉 스타트 시점 F3점에 있던 페그가 G3점에 은시점에서 완료한다. 또한 이 페그가 초기의 위치(F3점)각지 공보빈의 수입을 하지않고 이동시키면 , R측의 트랜스포오트밴드 301은 도핑 작업준비완료의 상태가 된다. 이것이 V점이다. 또 같이 L측의 트랜스 포오트밴드 301에의 공보빈의 수입상태는 파선 TU'WY와 같이 된다. 이 경우 U와 U'는 반드시 도시한 대로 일치한다고 할 수는 없다. M점은 도핑작업이 완료하고 트랜스 포오트밴드 301의 이동이 개시 가능한 시점이고 점이 다음번의 도핑작업의 준비완료시한으로 할 경우 정방기 302를 기준으로 생각하면 관사공급최저 불출한계선 MNPQ가 된다. 즉 와인더의 소요되는 권취능력의 최저한계는 정방기 302와 와인더의 중간부에 스톡크부분을 가지고 있지 않는 다고 하는 경우 2n/(TL-TI)(관사수/시간)이 된다. 가능한한 와인더의 소요되는 권취능력을 낮춘경우의 와인더의 권취선도는 두 개의 쇄선 NY가 되고 이 경우의 와인더의 소요되는 권취 능력은 2n/(TY-TI)(관사수/시간)이 된다. 그러나 정방기 302의 가동율을 저하시키지 않기 위하여서는 TL시간후의 Q 점각지에는 트랜스 포오트밴드 301로 부터의 관사의 공급을 완료할 필요가 있다. 2점쇄선 NY와 점 Q로부터의 수직선과의 교차점 SB가 TL가각지에 와인더로 소화하는 관사수가 되고 나머지부분 NB가 관사의 소요되는 최소 스톡크량이 된다.
더욱이 직선 NQ와 TK사로부터의 수직선과의 교차점을 S3, 직선 NY와 TK로부터의 수직선의 교점을 S3, 직선 NY와 TK로부터 의 수직선과의 교차점을 S3'으로 하고 그 각각의 관사공급량을 N3, N3'으로 하면 TK-TI시간내에 불출되는 공보빈을 일시적으로 스톡로크할 필요가 있고 관사의 스톡크 부분이 없을 경우의 공보빈의 소요되는 스톡크량이 N3가 되고 관사의 스톡크 부분이 있을 경우는 N3가 된다.
다음에 상기 방법의 트랜스 포오트밴드의 운전제지 방법을 설명한다. 제30도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도핑 완료후 TI까지는 R측 및 L측의 밸트의 이동만으로 관사의 공급 뿐만 아니라 공보빈의 수입도 없다. TI후 TJ까지는 R측의 관사의 공급만, TJ후 TK까지는 L측의 관사의 공급과 R측의 역전이동만, TK후 TL까지는 L측의 관사 공급과 R측의 보빈의 수입, TL후 TM까지는 R측의 보빈 수입과 L측 역전이동만, TM후 TN까지 는 R측은 역전 이동만 L측은 보빈수입, TN후 TP까지는 L 보빈 수입만, TP후 TY까지 는 L측의 송전 이동만 등, 종래방법(1)과 같이 매우 복잡한 운전제어방법을 취하여야만 한다.
종래방법(1)(2) 어느 경우도 와인더의 가동율을 늘여서 와인더의 설비대수를 줄이고 저하는 경우 관사 및 공보빈의 스톡크부분이 필요해지며 관사 및 공보빈의 받아 들이는 빈도가 증가하고 , 관사 및 공보빈의 스톡크설비뿐만 아니라 관사 및 공보빈의 받아들이는 것 및 정열(整列) 설비의 증가로 인하여 그 때문의 제어도 필요해지고, 더욱이 관사의 흐트러짐, 기계의 난점도 증가하는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결점을 제거한 것으로써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본 발명은 정방기의 R 측, L측의 기대에 따라 설치된 트랜스 포오트밴드상에 도핑된 정방관사를 이트랜스 포오트밴드의 일단에서 다음 공정에 공급하는 동작과 다음번의 정방기의 도핑작업에 필요한 공보빈의 이 트랜스포오트밴드상에의 수입동작을 순차적으로 동시에 병행하여 행하게 한다는 매우 간단하고 획기적인 시스템과 장치를 사용하므로서 종래기술이 가지고 있는 상기 문제점들을 전면적으로 해결하고 저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 및 실시예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양측에 스핀들이 배열되어 있는 정방기에 본 발명의 방법을 적용한 실시예의 하나로 그 평면도를 나타내고, 제2도는 제1도의 측면도, 제3도는 제2도의 부분 확대도이다.
정방기 02의 R측, L측의 기대에 따라 이 정방기에 02의 공보빈 18의 수입 및 이 정방기 02에서 도핑된 관사 19의 다음 공정에의 공급을 행하기 위한 트랜스포오트밴드 01이 부설되어 있다.
이 트랜스 포오트밴드 01은 그의 상면 전주위에 이 정방기 02의 스핀들핏치의 절반의 핏치로 페그 01-2를 가진 평벨트(falt belt) 01-1, 구동풀리(driving pulley) 01-3, 아이들러(idlers) 01-4, 01-5, 반송 풀리벨트(return pulley) 01-6, 밸드가이드 01-7등에 의하여 구성된 OE 정방기의 측에서 상승하고 정방기 02에서 도핑된 관사 19를 다음 공정에 공급하기 위한 관사슈트 04까지 연장하고 있다.
이 관사 19는 이 트랜스포오트밴드 01의 한쪽 방향에의 간헐적으로 회동에 의하여 이 관사슈트 04까지 이송되고 포울가이드(pawl guide) 04-1등의 관사취외 수단에 의하여 페그 01-2에서 취외되고 , R 측, L 측 공동의 관사슈트 04를 통하여 관사공급치 05에 송치된다.
정방기 02의 OE 단추부의 트랜스 포오트 밴드 01의 정점부의 중간에는 다음공정에서의 관사 19의 단사의 빠져나오는 작업이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단사 전처리장치 03이 설이되어 있다. 그러나 이 단사전 처리장치 03은 관사의 형상 또는 사질(絲釗)에 의하여서는 반드시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제4도는 이 단사전처리장치 03 부근의 확대도를 나타내고 프레임 03-16에 취부된 구동기 03-15의 회전을 편심암(eccentric arm)03-10를 통하여 장축 03-2에 전하고 , 이 장축 03-2가 관사 19의 주위를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또 이장축 03-2의 선단에는 포울(pawl) 03-1이 장착되고 그 선단이 항상 관사 19의 축심방향에 부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장축 03-2의 회전에 의하여 장축 03-2에 장착된 조 03-이 관사 19표층부에 감겨져 있는 단사를 걸고 제4도의 관사 19-A의 형상에서 관사 19-B의 형성에 단사의 감긴형상을 수정한다.
관사슈트 04에는 그 입구에 이형(異形)관사(다른형태를 하고 있는 관사)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기를 설치함과 동시에, 정상관사와 이형관사를 슈트내의 게이트를 회전시킴으로써 각각의 경로를 변경하도록 되어 있고, 이형관사를 검출하면, 이 관사가 계외에 불출되도록 되어 있다.
관사슈트 04를 통과한 정상관사 19는 제2도로 표시되는 관사공급장치 05에 들어가고 제5도 또는 제6도와 같이 단사를 보빈속에 통하는 중통(中通) 작업을 행하고, 여기서 일시적으로 대기한 후 다음에 기술한 관사 요구신호에 의하여 관사 콘베이어 06에 공급된다.
관사공급장치 05는 제5,6도 단면도로 표시되는 바와같이 관사의 직경보다 약간 큰 직경을 가지는 실린더 체(Cylindrical body) 05-1과 이 실린더 체 05-1의 하방에 위치하고 실린더 체속을 낙하한 낙하관사를 받는 관사받이 05-5와 관사받이 05-5의 하방의 사조(絲條)커버 05-6 및 흡인장치로부터 된다.
실린더 체 05-1은 측 05-2을 지점으로하여 수직상태에서 경사상태에 회전할 수 있도록 축지되고 그하부에는 압축공기를 내면상방으로 취출하게 하는 압출공기 취출구를 가지고 있다.
관사받이 05-5의 관사의 낙하 위치는 낙하관사의 보빈하단의 직경보다 적은 직경의 구멍이 열려지고, 이 구멍은 사조(絲條)의 절단장치를 끼고 흡인장치에 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정상관사가 관사슈트 04를 통과한 것을 검출하고 이 검출에 의하여 설정시간후 압축공기취출구 05-4에서 압출공기를 취출하므로서 제7도와 같이 감겨진 관사의 단사 19-A를 제8도 19-C와 같이 취출한다. 또 설정시간후 압축공기의 취출을 정지함과 동시에 흡인장치를 통한 흡인구 05-7를 열림으로써 취출한 단사 19-C를 제9도와 같이 보빈중공부에 흡인하고 단사의 중통을 행하고 제10도와 같이 단사를 절단하므로서 중통작업은 완료한다. 이 경우 캇터 05-6은 흡인구 05-7의 샷터를 겸하고 있고 흡인중의 사조를 절단함과 동시에 흡인구 05-7의 입구를 닫혀지도록 되어 있다.
단사의 중통을 완료한 관사는 통상체 05-1에서 일시적으로 대기하고 통상체 05-1의 자동에 의하여 관사 콘베이어 06상에 공급된다.
이 관사콘베이어 06는 이 관사 공급장치 05의 하부에서 와인더 08의 전면 장수 방향에 부설한 콘베이어벨트 06-1에 의하여 구성되어, 이 와인더 08의 다른단까지 연장하고 있다. 콘베이어 벨트 06-1의 도중에서 개개의 권취기 08-1에 대응한 곳에는 제1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지축 06-2를 중심에 일정한 각도만 회전하도록 되어 있는 마가진게이트(magazine gate) 06-3가 설치되어 있다.
제11도는 마가진 주변부의 평면확대도를 나타낸다.
콘베이어벨트 06-1에 공급된 관사 19는 마가진게이트 06-3이 닫혀져 있는데는 통과하고 열려져 있는 데에 오면 슈트 06-5를 통하여 마가진 07에 투입된다.
이 마가진 07은 마가진의 본체 97-1속에 일정계수만의 포켓트 07-2를 가지고 있고 이 관사 19는 이 포켓트 07-2에 투입된다. 개개의 권취기의 요구에 의하여 마가진 본체 07-이 일정각도만 회전하면 검출기(en slor) LS12에 의하여 그것을 검지하고 , 이 권취기에 대응하고 있는 마가진게이트 06-3이 열려진다.
또 마가진의 본체 07-1의 회전을 검지하면 관사 공급장치 05가 작동하고 관사 19가 관사콘베이어 06에 이재되고 이 관사 19는 마가진게이트 06-3, 슈트 06-5를 통하여 마가진 07에 투입되고 이 슈트 06-5의 통과를 검출기로 검지하고 마가진게이트 06-3를 닫혀지도록 되어 있다. 후술하는 정방기의 메모되어서의 신호로 관사 19가 관사콘베이어 06에 공급되었을 때는 마가진게이트 06-3이 닫혀진 상태 그대로이므로 이 관사콘베이어 06을 과잉유출하여 계(system)외에 배출하고 2선단에 설치되어 있는 과잉관사 스톡크박스 06-4에 과잉관사 19-F로 하여 스톡크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관사공급장치 05의 작동제어와 과잉관사의 계외에의 불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정방기의 권취가 완료하고 도핑작업을 시작하는 경우, 도핑작업은 통상적으로 일정시간후까지는 트랜스 포오트밴드 01이상의 모든 관사 19의 다음 공정에의 공급작업이 완료하고 있지 않으면 아니된다. 그러나 공급작업이 완료하기 이전의 시점에서 와인더의 고장이 고쳐지고 능력이 회복할 때까지 관사공급장치 05 및 트랜스포오트밴드 01를 멈추고 관사의 공급을 멈추고 있어서는 트랜스 포오트 밴드상의 모든 관사를 일정시간내에 불출하여 버릴 수가 없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 정방기는 관사의 권취가 완료한 후에도 그 관사를 일정시간내에 트랜스포오트밴드상에 도핑할 수가 없으므로 도핑이 되는 상태(트랜스포오트밴드상의 관사가 없어진다)가 될때까지 기대를 정지하고 기다리는 것이 필요하고 정방기의 생산능력을 저하시키는 것이 된다.
본 시스템에 있어서는 이와 같은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와인더측으로부터의 관사요구 신호가 있을 경우 관사공급장치 05를 작동시킬 뿐만 아니라 와인더측에서 고장이 발생하고 와인더측으로부터의 관사요구 신호가 없는 경우에도, 관사공급장치 05를 작동시키고 트랜스 포오트 밴드상의 관사를 순차적으로 불출하는 것이다. 후자의 경우 관사공급 장치 05에서 관사콘베이어 06상에 공급되는 관사는 과잉관사로서 개외에 배출되어 스톡크된다. 즉 본 시스템에 있어서의 관사공급장치 05의 제어는 다음에 정의하는 정방기 카운터(ring frame counter)수단 및 와인더카운터(winder frame counter)수단을 설치하고 이정방카운터 또는 와인 더카운터에서의 연산(演算 : computation) 결과가 플라스(+)때 각각 관사공급장치 05를 작동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정방기 카운터수단이라함은 정방기로서의 권취시간을 1싸이클시간내에 공급하는 관사수로 제한치(시간)마다 1팔스의 신호를 내고 이것을 (+)신호로하고 또 트랜스포오트밴드가 1핏치 이동할때마다 1팔스신호를 내고 이것을 마이너스(-)신호로 하고 양신호를 연산하는 수단이고 , 또 와인더카운터 수단이라함은 와인더의 마가진게이트가 열려졌을 때 1팔스의 신호를 내고 이것을 플라스(+) 신호로하고 관사공급장치가 작동하였을 때 1팔스의 신호를 내고 이것을 마이너스(-)신호로하고 양신호를 연산하는 수단이다.
즉 정방카운터 또는 와인더 카운터의 어느 것인가의 관사요구신호에 의하여 관사 공급장치 05가 작동하고 관사 19가 다음 공정 수송 콘베이어 06에 공급되는 것이나 그 관사 19는 정방카운터 또는 와인더 카운터에 대응하고 자동적으로 수송처가 나누워지는 것이다. 이 양카운터 수단과 결합시킨 관사의 분류기구는 극히 효과적이다.
다음에 와인더 08에서 불출된 공보빈 18은 제1도, 제2도에 표시하는 공보빈 콘베이어 09에 불출된다.
이 공고빈 콘베이어 09는 도립상태의 공보빈을 그 좌우의 측부저면에서 지지하고 공보빈을 그 길이 방향에 보내기 위한 안내 통로를 형성하는 좌우한 쌍의 공빈지지부와 이 안내통로상에 지지된 공보빈의 후단에 있어서 이 공보빈에 송치하기 위한 독크(docks)를 상기 공보빈 지지부의 중간공간부에 돌출시키고 공간부에 따라 이 독크를 이동시키는 콘베이어를 상기 공보빈 안내 통로가 수평송행부에서 경사 송행부에 이르는 이동로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또 수평이동부에서 경사이동부에 진행하는데 따라, 공보빈의 지지부 면적을 감하고 경사이동부로서는 공보빈의 중심이 전 갈이에 걸쳐서 공보빈 안내통로의 중심과 일치하는 한 개의 공보빈만을 지지하도록 이 공보빈지지부를 구성하고 공보빈의 일부가 공보빈 안내통로에서 떨어져 있는 것은 이 공보빈 안내통로에 탈락하여 가이드판을 미끄러떨어져서 수평부에서 다시금 공되빈 안내통로 위에 올라가, 독크에 의하여 떠오르고 재차 상승하도록 되어 있다.
이 공보빈콘베이어 09의 수평이동부에는 공보빈의 부족분을 공급하기 위하여 공보빈 공급콘베이어 1을 부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2도는 이공보빈콘베이어 입상부의 보빈의 분류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이 도면에 나타낸는 바와 같이 공보빈콘베이어 09의 상승부에는 잔사부보빈을 검출하고 이것을 콘베이어라인에서 제거하는 잔사부보빈불출장치 11이 부설되고 잔사부보빈은 슈트 06-17 및 08-09를 통하여 잔사부보빈 박관 09-22에 수납되도록 되어 있다.
또 잔사부보빈불출장치 11뒤에는 이 잔사부보빈 불출장치 11과 같은 기구의 과잉공보빈 반송장치 12를 부설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과잉한 공보빈은 슈트 09-19 및 09-20을 통하여 상기 공보빈콘베이어 09의 수평부에 반송된다거나 또는 공보빈관에 스톡크되도록 한다.
상기의 장치를 통과한 잔사가 없는 공보빈 18은 이 공보빈콘베이어 09를 상승시키고 두 정점부에 설치된 슈트 09-21를 통하여 공보빈 정열장치 13에 투입되도록 되어 있다.
제13도는 이 공보빈정열장치 13의 평면도이며 제14도는 제13도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공보빈정열장치 13은 두 개의 둥근벨트 13-1 및 13-1'를 구동풀리(driving pulley) 13-2, 반송풀리(return pulley) 133-3에서 서로 평행이 되도록 걸고 한 방향에 이동하도록 구성하고 , 더욱이 이 둥근벨트 13-1, 13-1'의 간격을 공보빈의 작은 직경부는 통하고 큰 직경부는 통하지 않도록 유지하고 둥근벨트의 진행방향의 선단부에서 이 간격를 넓히고 보존하면서 이행시켜온 공보빈을 이 둥근 벨트 13-1, 13-1'의 하방에 위치하는 콘베이어 14 위에 낙하시키도록 구성한 것이다.
슈트 09-21를 통하여 투입된 전후부동의 공보빈은 일단 구동풀리 31-1 및 반송풀리 13-8에 걸려진 보조콘베이어(Sub-Conveyor) 13-6 위에 받어져 이 보조콘베이어 13-6에서 상기 둥근벨트 13-1과 13-1'위에 이재된다.
둥근벨트 13-1과 13-1'은 그 양자간격을 조절가이드(Control guide) 13-4, 13-4'로 조절되고 , 그 둥근벨트 13-1, 13-1'위에 이재된 공보빈 18은 18-E, 18-F, 18-G와 같이 작은 직경부를 하방으로하고 , 큰 직경부를 둥근벨트 13-1, 13-1'로 유지되어 진행한다.
다음 공정 콘베이어 14의 직전에서 작은직경부가 요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요동방지 가이드 13-10에 접촉하여 진행하고 이 가이드 13-10의 직후 작은 직경부가 콘베이어 14위에 올라간다. 공보빈이 이상태로 또 다시 진행하면 둥근벨트 13-1, 13-1'의 선단부에서 그 양자간격이 보빈 큰 직경부보다 큰 간격으로 되어 있으므로 둥근벨트 13-1, 13-1'에 보유된 보빈 큰 직경부가 콘베이어 14위에 떨어져 앉고 큰 직경부를 진행방향에 정리하여 송치할 수가 있는 것이다.
제15도는 이공보빈스톡크 콘베이어 14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제16도는 2선단부에 부설되어 있는 공보빈 스톱퍼-확대도다.
제17도는 제15도의 중간단면도이다. 이 공보빈 스톡크 콘베이어 14는 제15도, 제1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벨트 14-1, 구동풀리 14-2, 반송풀리 14-3, 아이들러(idlrs) 14-4, 14-5, 텐숀풀리(tension pulley) 14-6, 벨트수납기(belt receiver) 14-7, 양측커버(side cover) 14-8, 14-8', 상부커버(top cover) 14-9에 의하여 구성되고 그 선단부에 공보빈 스톱퍼 15가 부설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은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방기의 상부에 설치되고 시스템전체를 치밀하게 (Compact) 하는데 좋은 역할을 하고 있다.
공보빈 정열장치 13보다 보빈직경이 큰 쪽을 진행 방향에 정리하여 이 평벨트 14-1에 이재된 공보빈 18은 순차적으로 1열로 운송되고 통상운전시는 그 최선단의 공보빈 15이 이 공보빈 스톱퍼 18에 의하여 파지(把持)되고 순차적으로 후에 계속하는 이 공보빈 18도 스톡크된다. 이 공보빈 18이 정지스톡크되었을 때도 평벨트 14-1는 항상 벨트수납기 14-7과 이 공보빈 18의 사이클 슬립(slip)하면서 구동하고 있으므로 이 공보빈스톡크 콘베이어 14는 이 공보빈 18의 반송과 스톡크의 양쪽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 공보빈스톱퍼 15는 스테이플(staple)형 형상을 하고 지지측 15-2를 중심에 있는 각도만 회전하도록 되어 있고 이 공보빈스톱퍼 15가 닫쳐진때는 제16도의 실선 15-10의 상태로 열렸을 때는 두 개의 쇄선 15-3의 상태로 된다. 이때 이 공보빈 스톱퍼 15의 선단으로 공보빈 18의 선단을 올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공보빈 들어올리기 방지용 바아(anti lifting bar) 15-4가 제1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설되어 있다.
지금 공보빈 18의 묽은쪽의 직경을 ba, 가는쪽의 직경을 db로 하고 또 제16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공보빈 스톱퍼 15가 닫쳐진 상태 15-1때의 선단부, 조(toe)앞의 하단과 공보빈스톡크 콘베이어 14의 평벨트 14-1와의 거리를 ℓ2, 후단부 조앞부분과 평벨트 14-1과의 거리를 ℓ4, 스톱퍼 15가 열려진 상태 15-3 때의 선단부조앞부분과 평벨트 14-1와의 거리를 ℓ1, 후단부조앞부분과 평벨트 14-1와의 거리를 ℓ3, 후단부조앞부분과 평벨트 14-1와의 거리를 ℓx, 이 공보빈스톱퍼 15가 회동하고 있을때의 선단부조 앞부분과 평벨트 14-1와의 거리를 1X, 그때의 후단부조앞부분과 평벨트 14-1와의 거리를 lyb로 하면,
db<13<da<14…………(1) 12<da<11…………(2)
의 관계가 성립하고 더욱이
1x=da일 경우 1y<da……(3) 1y=da일 경우 1x<da……(4)
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이 공보빈스톱퍼 15의 형상이 결정되어 있다.
즉 1x=da로 되었을 때 파지되어 있는 공보빈 18은 개방되어 슈트 16-3에 투입된다. 파지되어 있는 공보빈 18이 개방되는 순간에 후단부조앞부분의 1y는 da보다 작게되어 있기 때문에 평벨트 14-1의 속도 및 이 공보빈 스톱퍼 15의 회전속도에 관계없이 수속의 공보빈 18을 후단부조앞부분에서 확실하게 정지시킬 수가 있고 여하한 조건때도 두 개 동시에 공급하지 않도록 배려하고 있다.
제1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랜스 포오트 밴드 01의 GE 측의 단부의 스핀들의 중심에서 (N+1/2)×L[N는 0또는 양(positive)의 정수, L는 정방기의 스핀들 핏치]의 거리만 떨어진 곳에 슈트 16-4, 공보빈 수납기 17-1 공보빈 수납기 회전측 17-2, 공보빈가이드 17-3으로부터 되는 공보빈 공급수단을 가지고 있고 통상적으로 공보빈수납기 17-이 폐지의 상태를 검출기 LSO1로 확인하고 있는 경우 이 공보빈수납기 17-1에 한 개의 공보빈 18이 스톡크된다. 이것을 검출기 LSO3으로 확인하고 더욱이 트랜스포오트 밴드 01이 소정의 위치에서 정지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면 공보빈수납기 17-1은 열려지고 이 공보빈 18은 공보빈가이드 17-3을 통하여 낙하하고 페그 01-2에 수납되도록 되어 있다. 이 공보빈 18의 수납을 검출기 LS18도 확인하고 공보빈수납기 17-1은 폐지하고 이것을 검출기 LS 01로 확인하고 이때에 에다음공정의 관사불출 요구신호가 나와 있으면 트랜스 포오트 밴드 01은 기동하고 1핏치 이동한다. 공보빈수납기 17-1이 닫쳐지고 이 공보빈 수납기 17-1에 공보빈 18이 없고 공보빈 스톱퍼 15에 공보빈 18이 스톡크되어 있는 것을 검출기 LS05로 확인하면 이 공보빈스톱퍼 15는 열려진 상태로 되고 공보빈스톡크 콘베이어 14에 스톡크되어 있는 공보빈 18중 최선단의 한 개의 공보빈 18이 공보빈슈트 16-3을 통하여 RL 절제장치(통로의 좌우 절제장치)16을 통하여 슈트 16-4의 하단부에 설치된 이공보빈 수납기 17-1에 더욱 낙하하 스톡크되도록 되어 있다.
트랜스포오트 밴드 01의 이동 및 그 제어에 대하여 하기에 상세하게 기술하였다.
제18도 내지 제23도는 정방기 02의 한쪽의 스핀들수를 으로하고 관사 19의 트랜스 포오트 밴드 01에서 관사슈트 04에의 투입 즉 다음공정에의 관사 19의 공급과 공보빈 18의 공보빈 수납기 17-1에서 트랜스포오트밴드 01에의 수납이 동시에 시작되고 , 도중도 전혀 변향하여 행해지고 또 동시에 완료하는 것 및 소정의 관사수 (여기서는 2n개)의 다음공정에의 공급을 관사의 유무를 판단한다든가 직접 수량을 계산함이 없이 검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8도 내지 제23도중에 N-(1), N-(2),……N-(n-1), N-(n)는 정방기 02의 스핀들의 추(錘)No를 나타낸다. 19-(1), 19-(2)……16-(n-1), 19-(n)는 정방기 02의 스핀들 추 No에 대응하는 관사 No를 나타낸다. 18-(1), 18-(2),……18-(n-1), 18-(n)는 정방기 02의 스핀들 추 No에 대응하는 공보빈 No를 나타낸다. 즉 관사 No 19-(n)의 관사는 정방기 02의 스핀들 No, N-(n)의 스핀들에 공급되는 공보빈을 나타낸다. 스핀들 No, N-(1)과 보빈수납부에 상당하는 보빈가이드 17-3과의 상대거리는 1/2 핏치마다 비틀어져 있고 (도시로는 1 1/2p 이지만 21/2, 31/2……어느 것이건 좋다)트랜스 포오트 밴드 01은 1핏치마다 간헐회동을 하기 위하여 공보빈 18을 수입한 페그 01-2 사이에 빈 페그 01-2의 중심과 스핀들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되어 있다.
제18도는 도핑을 완료하고 정방기 02의 스핀들에의 공보빈 18의 공급을 완료하고 트랜스 포오트 밴드 01의 간헐회동재개준비완료의 상태를 나타낸다. 제18도에서는 스핀들의 중심과 정방기 02에서 트랜스 포오트 밴드 01에 도핑된 관사 19의 중심이 1/2핏치 비틀어져 있다. 본 도면에서는 공보빈 18의 반송과 관사의 반송을 한 개의 트랜스 포오트 밴드 01로 행할 경우이며 더욱이 자동 도핑장치에 의하여 도핑할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이하 제19도 내지 제23도도 동일하다.
제19도는 제18도의 상태에서 다음공정의 요구신호에 의하여 트랜스포오트밴드 01이 이동을 시작하고 도핑 완료후 최초의 관사 19 (50) (이송장치 101의 OE 부 R측 선단부의 관사)가 다음 공정 [본 실시예서는 관사공급장치 05]에 관사 슈트 04를 6통하여 공급되고 검출기 LS20(도시 안됨)으로 정위치를 검지하고 이 트랜스포오트 밴드 01은 정지하고 공보빈 수납기 17-1에 공보빈 180(n-1)이 있는 것을 검출기 LS03으로 확인후 공보빈수납기 17-1를 열린상태로 하고 이 공보빈 18-(n-1)를 낙하시켜 트랜스포오트 밴드 01의 페그 01-2에 이 공보빈 18-(n-1)를 수납하고 검출기 LS18로 이 공보빈 18-(n-1)의 수납을 검지하면 공보빈 수납기 17-1은 닫혀진 상태로 복귀하고 검출후 LS01로 공보빈수납기 17-1의 닫혀진 것을 확인하고 이 공보빈수납기 17-1에 공보빈 18-(n-2)를 수납하고 다음 공정의 요구신호, 예를들면 리레이(relay)가 ON이 될때까지 대기하고 있는 상태를 표시한다. 이때 스핀들 No. N-(n-1)와 No. N-(n)와의 중간에 검출기 LS06을 설치하고 트랜스포오트밴드 01이 검출기 LS20의 확인에 의하여 정위치에 정지할때마다 이 검출기 LS06에 공보빈 18-(n)가 있는가 없는가를 확인하고 본 도면의 경우는 공보빈 18-(n)가 없기 때문에 n개의 관사 19의 다음공정에의 공급완료까지에 도달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고 검출기 LS06에 공보빈 18-(n)가 검지될때 까지 순차적으로 상기동작(관사 19의 다음공정에의 공급과 트랜스포오트밴드 01에의 공보빈 18의 수입)을 반복한다.
이와 같이 상기 동작을 반복하여 관사의 이송과 공보빈의 수납을 행하여 트랜스포오트밴드의 모양은 제3도에 나타냈지만 이 제3도의 상태를 거쳐서 R 측 n 개의 관사 19의 다음공정에의 공급과 공보빈 18의 수납이 완료하면 제20도의 상태가 되고 검출기 LS06에 공보빈 18-(n)가 와서 이것을 검지하여 R 측의 관사공급 공보빈 수납이 완료하였다고 판단하고 L측의 검출기 LS07(도시안됨)에는 공보빈 18-(n')(도시안됨)을 검지하면 L 측도 제20도와 같은 상태가 되고 2n개의 관사 19의 다음공정에의 공급과 2n개의 공보빈 18의 수납을 완료했다고 판단하고 트랜스포오트밴드 01은 도핑작업준비 완료의 상태가 되고 정방기 02의 다음 도핑작업까지 대기한다.
제21도는 정방기 02에 의하여 일정길이를 권취한 관사 19가 자동도핑 장치에 의하여 도핑되어 트랜스포오트밴드 01의 페그 01-2에 이재된 상태를 나타낸다.
다음에 트랜스포오트밴드 01상의 공보빈 18의 중심과 정방기 02의 스핀들의 중심을 일치시키고 이 공보빈 18을 이 스핀들에 이재시키기 위하여 트랜스포오트밴드 01을 1/2 핏치만 이동시킨 [검출기 LS21(도시안됨)으로 1/2핏치 이동검지한다 ] 상태가 제23도이다. 더욱이 자동도핑장치에 의하여 트랜스 포오트밴드 01상의 공보빈 18을 정방기 02의 스핀들에 이재하면 제23도와 같이 된다.
제23도는 상기 제18도와 같은 상태이고 즉 관사 19의 다음 공정에의 공급준비가 완료한 것를 표시하고 다음 공정의 요구신호에 의하여 관사공급 공보빈 수납동작을 제거한다.
다음에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정방기의 생산량(관사수)과 와인의 처리시간의 관계를 도시한 것이 제28도이다. 제28도에 있어서 종축에 관사 공급량 및 공보빈의 수입량(NC), 횡축에 시간(TS)를 취하고 정방기 02의 도핑작업이 완료하고 트랜스포오트밴드 01이 다음 공정의 요구에 의하여 더욱 이동가능한 상태가 된 시점을 원점 A에 취하고 정방기 02의 관사에 사가 권취되어 있는 시간 즉 트랜스포오트밴드 01의 이동 가능한 시간을 TY로 하고 도핑작업등으로 트랜스포오트밴드 01의 이동을 자유롭게 행할 수가 없는 시간을 TY-TZ하여 (제28도 사선부분)이라 하면 1싸이클에 요하는 시간은 TZ로 된다.
즉 트랜스포오트밴드 01에 의한 다음공정에의 관사 19의 공급과 이 트랜스포오트밴드 01에의 공보빈 18의 수입을 완료하고 다음의 도핑작업이 가능한 상태에 요하는 최장시간이 TY로 된다. 제28도의 점 A 는 도핑작업이 완료하고 트랜스포오트밴드 01의 이동이 시작 가능한 시점 TY시간후의 점 B는 다음회의 도핑작업의 준비완료시한이다.
제1도 R측 관사공급부 F1점과 R측의 OE 단추부 E1점의 사이 및 L축 관사공급부 C1점과 L측 OE 단추부 B1점사이에는 전회의 도핑 작업에서 도핑된 관사 19-(1) 내지 (50) 및 19-(1)' 내지 (50)'가 제18도 또는 제2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이 트랜스포오트밴드 01상의 OE 측에 남아있으므로 이 트랜스포오트랜드 01의 이동개시와 동시에 R측의 관사 19-(50)의 다음 공정에의 공급이 개시되고 동시에 트랜스 포오트밴드 01에의 공보빈 18-(n-1)의 수입이 개시된다. R 측 GE 단추부 D점에서 도핑된 관사 19-(1)이 R측 OE 단추부 E11점을 통과하면 R측의 관사 19의 n개의 공보급 공보빈 18의 n개의 수입이 완료하고 계속하여 L측의 관사 19-(50)'의 공급과 공보빈 18-(n-1)' 수입이 개시된다. L측 GE 단추부 A1점에서 도핑된 관사 19-(1)'가 L측 OE 단추부를 통과하면 L측의 관사 19의 거의 수입이 완료하고 동시에 다음의 도핑준비 완료의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관사 및 공보빈의 스톡크부분의 유무에 관계없이 관사 공급 최저불출한계선은 제28도 실선 AB가 되고 여기서 n-n'가 되므로 와인더의 소요된 권취능력의 최저한계는 2n/F(관사/시간)이 된다. 즉 관사공급과 공보빈의 수입이 동시에 시작, 동시에 완료로 더욱이 공급개시까지의 전-작동 및 공급완료후의 초기조건 복귀까지의 전-작동도 필요없으므로 상술한 종래기술(1) 및 (2)와 같은 특별한 관사의 스톡크부분도 공보빈의 스톡크 부분도 필요없어진다.
또 지금까지의 설명으로는 관사의 이송과 공보빈의 수입을 한 개의 벨트 01-1로부터 되는 트랜스포오트 밴드로 행하는 실시예를 표시하였다. 그러나 정방기의 스핀들핏치가 적고 관사와 공보빈을 동일밸트 01-1에 올리는 것이 곤란할 경우에는 제24도 평면도를 나타낸 바와같이 관사의 이송전용의 트랜스포오트밴드 20의 두 개를 평행으로 정방기의 전면에 병설하고 관사 이송전용의 트랜스포오트밴드 01의 R측, L측의 OE 단추부에 관사확인용 검출기 LS21, LS22를 또 공보빈 수입전용의 트랜스포오트밴드의 R측, L측의 OE 단추부에 공보빈 확인용 검출기 LS23, LS24를 설치하고 제어방법을 약간 변경하는 것만으로 본시스템을 그대로 사용할 수가 있다. 이 경우 공보빈 수입 전용의 트랜스포오트밴드에의 공보빈수입은 이 트랜스 포오트밴드의 GE측의 스핀들끝의 센터에서 NXL(N는 양(positive)의 정수, L는 정방기의 스핀들핏치)의 거리만 떨어진 곳에 슈트 16-4, 공보빈 수납기 17, 공보빈가이드 17-3로부터 되는 공보빈 공급수단을 설치한다.
본 발명방법에 의한 상기 실시예에 대하여 관사 및 공보빈의 흐름을 중심으로 정리하면 제25도와 같이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정방기에서 와인더에의 관사의 이송은 트랜스포오트, 밴드 관사 공급장치 및 관사콘베이어의 간결한 결합이 특징적 이고 또 와인더에서 정방기에의 공보빈의 반송은 공보빈 콘베이어, 잔사부보빈 불출장치, 공보빈정열장치, 공보빈스톡크콘베이어 및 공보빈공급수단의 결합이 특징적이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정방기 한대에 대한 와인더 한대의 대응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정방기의 대수와 와인더의 대수의 비가 N1N2(N1,N2같이 양의 임의의 정수)의 경우에도 제25도 공보빈정열장치 13과 공보빈스톡크콘베이어 14의 사이에 이 공보빈스톡크콘베이어 14에 대하여 직교 또는 사교(斜交)하는 공보빈 배분콘베이어 및 기대절체게이트(ring-frame-changeover gate)를 추가부설하고 관사슈트 04의 관사공급장치 05의 사이에 트랜스포오트밴드 01과 직교 또는 사교하는 관사운동콘베이어 및 기대절체게이트를 추가 부설하는 것만으로 본 시스템을 그대로 사용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자동도핑장치가 붙은 정방기를 전제로 설명하였으나, 사람손에 의한 도핑작동을 하여도 전혀 그대로 본 시스템을 사용할 수가 있다.
본 발명 방법과 종래기술의 항목에서 말한 기술(1) 및 종래기술(2)의 세방법을 정리하면 다음표와 같이 된다.
Figure kpo00001
단, (a) : 스톡크부분 없는 경우의 와인더의 소요된 능력의 처리한계(관사수/시간)
(b) : 스톡크 부분이 있는 경우의 와인더의 소요된 능력의 최저한계 (관사수/시간)
(c) : 관사 스톡크 부분이 있는 경우의 관사의 소요된 최소스톡크율(%)
(d) : 관사 스톡크 부분이 없는 경우의 와인더의 이동효율(%)
(e) : 관사 스톡크 부분이 있는 경우의 와인더의 가동효율(%)
(f) : 본 발명에 의한 와인더의 소요설비 능력(100%)에 대한 스톡크부분이 없는 경우의 소요설비능력의 비율(%)
(g) : 본 발명에 의한 와인더의 소요설비 능력(100%)에 대한 스톡크부분이 있는 경우의 소요설비능력의 비율(%)
(h) : 관사의 스톡크부분이 있을 경우의 공보빈의 소요된 최저스톡크율(%)
(i) : 관사 스톡크부분이 없을 경우의 공보빈의 소요된 최저스톡크율(%)를 표시함.
이들의 각 방법을 실시한 경우, 운전 및 모든 조건등을 고려하면.
(TG-TD)+(TC-TA)=(0.80∼0.90)TYNB=0.9n
(TY-YA)=(0.95∼0.98)TYN2'=0.2n
(TL-TI)=(0.57∼0.62)TYN2=0.3n
(TY-TI)=(0.95∼0.98)TYN3'=0.7n
NA=0.4n N3=1.2n
가 된다. 이들의 값을 상기표에 대신하여 기입하여 계산하면 다음 표와 같이 된다.
Figure kpo00002
이상의 검토결과에서 본 발명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1) 성력결과(labor saving)
정방기와 와인더의 실체화한 관리가 가능해지고 단사처리, 이형(異形) 관사잔사부보빈의 처리등의 부대 작업을 제거하고 정방기와 와인더 사이의 공정이 무인화(無人化) 되어 정상작업은 전혀 필요없어지고 큰 성력화에 연결된다.
(2) 와인더의 가동율의 향상
종래기술(1)에서는 스톡크부분이 있는 것으로서 최대 95% 내지 98%, 스톡크 부분이 없이 80 내지 90%가 되고 , 종래기술(2)에서는 스톡크 부분이 있는 것으로 95 내지 98%, 스톡크 부분이 없이 57 내지 62%이지만, 본 발명 방법에서는 스톡크 부분의 유무에 관계없이 정방기의 효율을 낮출 필요가 없고 , 더욱이 특별한 관사공보빈의 스톡크부분을 부설함이 없이 와인더의 가동율을 정방기의 가동율과 같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최대 100%까지 향시킬 수 있다.
(3) 제어방법이 간단함
관사공보빈의 스톡크부분이 없는 것 및 여기에 따르는 이관사, 이송보빈의 받아들이는 빈도의 감소에 의하여 부대설비가 불필요해지고, 이들의 제어가 불필요할뿐만 아니라 트랜스포오트 밴드 01의 운전제어 방법도 스핀들 No, N-(n-1)과 N-(n) 사이에 설치한 검출기 LS06의 신호의 사용법과 관사의 다음공정에의 공급과 공보빈의 수입을 전혀 동시에 행할 수 있는 방법을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방법(1)(2)에 의하여 현저하게 간단히 할 수 가 있다.
(4) 반송중의 관사의 흐트러짐, 손상이 전무(全無)
트랜스포오트밴드 01의 페그 2에 차입된대로 스톡크되고 그대로의 상태로 도중에서 단사처리를 하고 관사 공급장치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고 , 즉 이 트랜스포오트밴드 01에서 관사 공급장치에 공급하기까지 한번도 받아 들이지를 하지않고 있기 때문에 이 사이의 관사와 단사의 흐트러짐 표면의 손상이 전혀 없다.
이것도 특별한 스톡크부분의 불필요에 의한 효과이다.
(5) 공보빈 반송중의 난점이 전무(全無)
공보빈 스톡크의 본래의 기능을 트랜스포오트 밴드자신에게 가지고 있게 하고 도중에서의 랜담(random)스톡크부분이 없기 때문에 반송되어온 공보빈의 방향을 공보빈정열장비로 정리하고 , 공보빈스톡크 콘베이어로 반송하고 그대로의 상태로 일시적으로 스톡크하고 공보빈스톱퍼 15의 개폐에 의하여 트랜스포오트밴드에 공보빈 수납기를 통하여 행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교락(bridge) 발생시의 고장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
(6) 정방기의 100% 가동기능 포함
상기 정방기 카운터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또 공보빈 보급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와인더의 가동율의 영향을 직접 정방기쪽에 미치치 않도록 되어 있다.
(7) 기계의 고장이 극히 적다.
기계가 간단하고 기계의 고장의 발생부분이 적다.
(8) 작동수리의 용이
기계가 간단하고 특별한 지식을 필요로 하지 않고 누구든지간에 용이하게 작동수리를 할 수 있다.
(9) 작업성의 풍부
기구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정방기와 와인더사이의 트랜스 포오트밴드를 연재(延在)한 하부에 통로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고 단사(單絲) 처리등의 감독작업이 용이하다.
(10) 정방기와 와인더의 복수대의 대응에의 응용도 가능
1대 1의 시스템에 공보빈배분 콘베이어와 기대절체 게이트(ring frame changeover gate) 및 관사반송콘베이어와 기대절체 게이트를 부설하고 제어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본시스템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11) 기존 설비에 본 시스템을 용이하게 수설가능
자동 도핑장치의 유무에 관계없이 기존 정방기와 와인더를 유용하여 본 시스템을 채용할 수가 있고 정방기와 와인더 사이의 관사 및 공보빈의 반송을 자동화할 수가 있다.
(12) 다품종소량 생산과 소품중 다량생산 어느체제에도 적응이 가능
1셋트 완전크로즈제이기 때문에, 어느 체제에도 적응할 수 있다.
(13) 시설비의 저렴
관사, 공보빈과 같이 스톡크부분이 없으며 , 거기에 부대하는 [브릿지브레이커(bridge-breaker) 및 기타 난점 대책이 필요없고 , 또한 거기에 따르는 제어도 불필요하며, 더욱이 본체 기구가 간단하며 신설 및 개조를 불문하고 설비비는 극히 염가이다. 따라서 매우 현저한 효과를 올릴 수가 있다.

Claims (1)

  1. 정방기와 와인더를 직결하는 장치에 있어서, 정방기의 전면(前面) 길이 방향에 회동하는 트랜스포오트밴드의 한 개 또는 두 개를 정방기의 스핀들에 따라 설치하고 (가)트랜스포오트밴드 한 개의 경우, 트랜스포오트밴드위에 정방기로 감아올려진 관사의 정방기에 공급하는 공보빈을 올려놓기 위한 페그를 전주위에 정방기의 스핀들핏치의 절반의 핏치가 되도록 심고 (나)트랜스포오트밴드 두 개의 경우, 한 개의 트랜스포오트밴드는 정방기로 감아올려진 관사를 전용으로 올려놓기 위한 페그를 전주위에, 또 다른 한 개의 트랜스포오트밴드는 정방기에 공급하는 공보빈을 전용으로 올려놓기 위한 페그를 전주위에 각각 정방기의 스핀들핏치와 동일핏치가 되도록 심고 (가)의 트랜스포오트밴드 및 (나)의 관사전용 트랜스포오트 밴드의 정방기 길이 방향에 연재하는 한쪽끝에는 관사를 취의하는 관사취의 수단을, 또 (가)의 트랜스 포오트 밴드 및 (나)의 공보빈전용 트랜스포오트밴드의 상기권사취의 수단의 위치와는 반대위치의 다른 끝에는 공보빈을 트랜스포오트밴드상에 공급하는 공보빈 공급수단을 설치하고 트랜스포오트밴드를 한방향에 간헐회동시켜 다음 공정에의 관사의 공급과 트랜스포오트밴드에의 공보빈의 수입과를 병행적으로 행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사 및 공보빈의 이송장치.
KR7800949A 1978-04-04 1978-04-04 정방기와 와인더를 직결(直結)하기 위한 관사 및 공(空)보빈의 이송장치 KR8100017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0949A KR810001751B1 (ko) 1978-04-04 1978-04-04 정방기와 와인더를 직결(直結)하기 위한 관사 및 공(空)보빈의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0949A KR810001751B1 (ko) 1978-04-04 1978-04-04 정방기와 와인더를 직결(直結)하기 위한 관사 및 공(空)보빈의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1751B1 true KR810001751B1 (ko) 1981-11-11

Family

ID=19207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800949A KR810001751B1 (ko) 1978-04-04 1978-04-04 정방기와 와인더를 직결(直結)하기 위한 관사 및 공(空)보빈의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1751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81228A (en) Apparatus for conveying cops and bobbins for directly connecting ring frame with winder
US3608293A (en) Spinning and winding system
JPH082828A (ja) ワインダの糸巻取用チューブ供給装置
JPH08157144A (ja) 紡機におけるボビン搬送システム
KR810001751B1 (ko) 정방기와 와인더를 직결(直結)하기 위한 관사 및 공(空)보빈의 이송장치
US3955906A (en) System for transporting a filament- bundle from a spinning process to a successive drawing process
DE3432184C2 (ko)
JPH06305640A (ja) 綾巻ボビンを製造する機械から綾巻ボビンを取出しかつ当該機械に空の巻管を供給するための装置
JP3476512B2 (ja) 自動巻取り機を駆動するための方法
US5168696A (en) Arrangement for conveying packages away from a spinning machine
US484641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orderly removal and collection of fully-spun cops from textile ring spinning machines
US489799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orderly removal and collection of fully-spun cops from textile ring spinning machines
DE3422134A1 (de) Leerspulenfoerderanlage
US5289674A (en) Winding machine with an in-line package preparer, and an improved spinning-winding method
JPS6113007B2 (ko)
US4561243A (en) Spinning or twisting machine having devices for the simultaneous automatic removal of all cops
EP1167265A2 (en) Magazine for tubes of a textile machine
US20030136639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porting and turning objects
JPH07110743B2 (ja) 複数のスプーリングステーションを備えたスプール機械
JPH03115070A (ja) 自動ワインダーへの給糸供給装置
JPH04214428A (ja) ボビン供給・排出装置
JPH0713330B2 (ja) 紡機におけるボビン供給、排出装置
CZ278385B6 (en) Automated spinning plant being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textile machines, particularly with spindleless spinning machines
JPS61211281A (ja) 粗紡・精紡工程間の篠巻搬送マガジン搬送方法
SU1008306A1 (ru) Поточна лини дл подготовки бобин с пр жей к крашени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