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1721Y1 - 도어록크용 개문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도어록크용 개문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1721Y1
KR810001721Y1 KR2019800002337U KR800002337U KR810001721Y1 KR 810001721 Y1 KR810001721 Y1 KR 810001721Y1 KR 2019800002337 U KR2019800002337 U KR 2019800002337U KR 800002337 U KR800002337 U KR 800002337U KR 810001721 Y1 KR810001721 Y1 KR 8100017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oor lock
sliding
lock
sliding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000023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기
강진희
Original Assignee
김정기
강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기, 강진희 filed Critical 김정기
Priority to KR20198000023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17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17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17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20Means independent of the locking mechanism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pening, e.g. for securing the bolt in the fastening position
    • E05B17/2007Securing, deadlocking or "dogging" the bolt in the fastening position
    • E05B17/2023Loose pins, screws, or the like; Portable devices

Landscapes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도어록크용 개문방지장치
첨부도면은 공지의 도어록크에 본 고안의 장치를 착설한 것을 예시한 것으로,
제1도는 분해조립 사시도.
제2도는 문틀걸림쇠의 단부에 미닫이쇠의 내측단부가 상접한 부분을 표시한 설명도.
제3도는 미닫이쇠의 단부가 문틀걸림쇠의 내측단부를 제착시키는 두 가지의 상태설명도로,
제3a도는 밀접체착상태.
제3b도는 개문방지에 지장이 없는 약간의 간극을 형성시킨 체착상태 설명도.
제4a도는 본고안의 미닫이쇠가 문틀걸림쇠의 내측단부를 체착한 상태표시도.
제4b도는 실내측에서 미닫이쇠를 당겨서 문틀걸림쇠의 내측단부에서 분리시킨것의 상태표시도.
본 고안은, 문을 닫으면 문틀걸림쇠가 문틀체의 걸림쇠구멍에로 탄입되었다가 손잡이를 돌리면, 문틀걸림쇠가 걸림쇠구멍에서 탈출되면서 문이 열리게 하는 종류의 일반적인 공지의 도어록크 또는 고안자의 실용신안등록원 제1980년 제 2022호(1980.3.29일자)의 "개문예보식압정간형의 도어록크"둥에 부대착설함에 의하여, 열쇠로도 열리지 아니하고 걸쇠질 또는 드라이버로도 열리지 않으면서 경보음을 발성시키거나 또는 발성시킴이 없이, 다만 개문방지에 의한 도난방지효과를 얻게하는 도어록크용 개문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공지의 도어록크에서는, 실내측에서 압정간을 압입하여 문을 잠그는 바, 열쇠없는 사람이 잠긴 문을 열기 위하여, 실외촉 손잡이를 잡고 돌려서 개문동작을 시키는 경우에, 그 개문동작을 알리우는 경보장치가 없으므로, 불편 및 불이익이 허다하였고, 걸쇠 또는 드라이버로 걸쇠질하면 열리는 폐단도 있었다.
이와 같은 폐단을 배재하기 위하여, 고안자는 전술한 실용신안등록원 1980년 제2022호의 "개문예보식압정간형의 도어록크"를 고안하였는 바, 이 도어록크가 착설된 문을 열기 위하여, 실외측에서 손잡이를 약간이라도 돌리거내 걸쇠질 또는 열쇠로 염려하는 경우에는 개문하려는 동작을 경보음으로 예보함은 확실하나, 걸쇠질하는 경우 또는 열쇠로 여는 경우에도 경보음이 나면서 문이 열리수도 있는 결점이 있음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실외측에서 어떠한 수단으로 걸쇠질할지라도, 공지의 도어록크 또는 전술한 "개문예보식압정간형의 도어록크" 등의 어느 것이나 모두, 문이 일체 열리지 아니하는 도어록크용 개문방지장치의 필요를 알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술의 필요성을 충족시키는 도어록크용 개문방지장치를 얻어, 이를 공지의 도어록크에 이용함으로서는, 개문방지가 철저히 되고, 전술한 "개문예보식 압정간형의 도어록크"에 이용함으로서는, 경보음이 나면서도 또는 경보음 없이 개문방지가 철저히 되게 함에 목적을 두고서 안출한 것이니, 이를 첨부도면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미닫이쇠(1)가 밖으로 발탈됨이 없이 진퇴접동만이 되게 하는 발출방지용 탄지체(S)내설의 통공부(2)(2')를 공지인 실내촉문틀잡이체(3) 및 문틀잡이내촉체(3')에 천공열설하고, 미닫이쇠(1)가 진입시는, 문틀걸림쇠(4)의 내측단부(4')에로 미닫이쇠(1)의 단부(1'')가 내접밀하여 문틀걸림쇠(4)를 부동상태로 체착시키며, 실내측에로 후퇴시는, 미닫이쇠(1)의 내접밀삽이 풀려서 문틀걸림쇠(4)를 통상상태로 되돌리는 미닫이쇠(1)를 형성하여, 미닫이쇠(1)의 실내측단부(1')만을 다루기에 알맞도록 실내측문틀잡이체(3)의 통공부(2)밖으로 노출시키고서, 실내측문틀잡이체(3) 및 문틀잡이내촉체(3')에 열설된 통공부(2)(2')내로 진퇴자재히 내삽하여 되는 도어록크용 개문방지장치이다.
미설명부호(5)는 미닫이쇠(1)가 안전히 내접접동되게 하는 접동보조체이며, 그 횡단면은 U형이다.
상술함과 같은 구성이므로, 본 고안의 개문방지장치는, 전술한 일반적인 도어록크 또는 전술의 1980년 실용신안등록원 제2022호의 도어록크 등에 착설할 수 있는 바, 그 작동상태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개문방지장치를 공지의 도어록크에 착설한 문을 사용시, 통상시는 실내측에서 미닫이쇠(1)의 내촉단부(1)를 실내측으로 잡이 당기면, 미닫이쇠(1)의 중간함입부(1'''')에 탄지체(S)가 괘지되어서 통공부(2)의 밖으로 발출되지는 못하나, 다만 미닫이쇠(1)의 단부(1'')가 문틀걸림쇠(4)의 내측단부(4')에서 분리하므로 문틀걸림쇠(4)의 부동상태를 풀리게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미닫이쇠(1)를 실내측으로 당겼을 경우에는 손잡이를 돌림으로서, 문을 수시로 개폐할 수 있다.
그러나, 미닫이쇠(1)를 실내측에서 실외측으로 압입하면, 전술한 바와는 반대로 미닫이쇠(1)의 단부(1'')가 문틀걸림쇠(4)의 내측단부(4')에 내접밀삽하므로 문틀걸림쇠(4)가 거의 부동상태로 체착된다.
그러므로 미닫이쇠(1)를 실내측에서 압입하여 두는 경우에는, 손잡이를 돌리건, 열쇠로 열건 또는 걸쇠질을 하건을 막론하고 문은 일체 열리지 아니한다. 따라서 공지의 도어록크에 본 고안의 개문 방지장치를 착설함으로서, 개문방지형의 도어록크로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장치를 전기한 공지의 도어록크 또는 전술의 "개문예보식 압정간형의 도어록크"에 부대착설함에 있어서는, 문틀걸림쇠(4)의 내측단부(4')와 미닫이쇠(1)의 단부(1'')와의 간극거리는 될 수 있는 한 밀접되게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술한 "개문예보식 압정간형의 도어록크"에 본 고안의 개문방지장치를 부대착설시는, 문틀걸림쇠(4)의 내측단부(4')와 미닫이쇠(1)의 단부(1'')와의 간극의 차이에 따라 개문을 예보하는 음향발성의 유무에 차이를 들수 있다.
그 이유는 "개문예보식 압정간형의 도어록크"는 손잡 를 약간이라도 들리면 경보발성이 되도록 구성한 것이므로, 미단이쇠(1)가 문틀걸림쇠(4)에 밀접하여 문틀걸림쇠(4)를 부동상태로 체착시키는 경우는, 손잡이를 돌려도 경보발성이 없게 되고, 약간의 간극, 예를 들면 1-2㎜의 간극을 두어서 문틀걸림쇠(4)에 약간의 유동상태(1-2㎜)를 이룰 수 있게 하는 경우는, 손잡이를 약간이라도 돌리면 경보발성을 하면서도 문은 열리지 아니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함과 같으므로, 본 고안은, 이를 공지의 도어록크에 이용시는, 개문방지만이 철저히 되고, 또 "개문예보식 압정간형의 도어록크"에 이용시는 경보음향의 발성이 있으면서도 또는 없으면서도 개문방지는 철저히 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미닫이쇠(1)가 밖으로 발탈됨이 없이 진퇴접동만이 되게 하는 발출방지용 탄지체(S)내설의 통공부(2)(2')를 공지인 실내측문틀잡이체(3) 및 문틀잡이측체(3')에 천공연설하고, 미닫이쇠(1)가 진입시는, 문틀걸림쇠(4)의 내측단부(4')에로 미닫이쇠(1)의 단부(1'')가 내접밀삽하여 문틀걸림쇠(4)를 부동상태로 체착시키며, 실내측에로 후퇴시는 미닫이쇠(1)의 내접밀삽이 풀려서 문틀걸림쇠(4)를 통상상태로 되돌리는 미닫이쇠(1)를 형성하여, 미닫이쇠(1)의 실내측단부(1')만을 다루기에 알맞도록 실내측문틀잡이체(3)의 통공부(2) 밖으로 노출시키고서 실내측문틀잡이체(3) 및 문틀잡이내측(3')에 열설된 통공부(2)(2')내로 진퇴자재히 내삽하여 되는 도어록크용 개문방지장치.
KR2019800002337U 1980-04-11 1980-04-11 도어록크용 개문방지장치 KR8100017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2337U KR810001721Y1 (ko) 1980-04-11 1980-04-11 도어록크용 개문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2337U KR810001721Y1 (ko) 1980-04-11 1980-04-11 도어록크용 개문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1721Y1 true KR810001721Y1 (ko) 1981-10-27

Family

ID=19216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00002337U KR810001721Y1 (ko) 1980-04-11 1980-04-11 도어록크용 개문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172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6289A (ko) 금속 캐비넷 도어용 안전 밀폐 시스템
US4027907A (en) Security chain lock for doors
ES2134723A1 (es) Dispositivo en forma de cierre, especialmente un sistema de cierre electromecanico.
US5590922A (en) Security device
KR810001721Y1 (ko) 도어록크용 개문방지장치
US3343387A (en) Door knob shield and lock
US4627651A (en) Safety locking device for doors
US3521922A (en) Lock assembly
US3984137A (en) Lock device
US4382621A (en) Door latch
US4178783A (en) Yieldable lock latch for fire extinguisher cabinet
US3287052A (en) Door latch and lock
ATE99020T1 (de) Fenster oder tuere.
GB1516093A (en) Security device
KR950005596Y1 (ko) 창문 잠금구
KR200298383Y1 (ko) 미닫이 도어 잠금장치
KR0139219Y1 (ko) 전자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도어 개폐장치
KR820000755Y1 (ko) 원터치 도아 로크
KR200271104Y1 (ko) 창문자동잠금장치의 구조
JPS6458784A (en) Locking device
RU2067659C1 (ru) Зап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880002173Y1 (ko) 실내도어 쇄정 장치
KR890003019Y1 (ko) 안전 도어로크 보조 잠금쇠
KR200327730Y1 (ko) 도어 이탈방지장치
KR860000410Y1 (ko) 차량용 안전도어록크의 괘정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