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7730Y1 - 도어 이탈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이탈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7730Y1
KR200327730Y1 KR20-2003-0020577U KR20030020577U KR200327730Y1 KR 200327730 Y1 KR200327730 Y1 KR 200327730Y1 KR 20030020577 U KR20030020577 U KR 20030020577U KR 200327730 Y1 KR200327730 Y1 KR 2003277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torage space
frame
fasten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05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장근
Original Assignee
이장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장근 filed Critical 이장근
Priority to KR20-2003-00205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77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77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77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004Additional locks added to existing lock arrangements
    • E05B63/0008Mounted on the hinged side of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018Anti-tamper devices
    • E05D11/0027Anti-tamper devices arranged on or near the hinge and comprising parts interlocking as the wing closes, e.g. security stu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1Concea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 이탈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수납공간(12)이 형성되고, 일측에 수납공간(12)과 일측면 외부가 관통되도록 착탈구멍(13)이 형성되는 몸체(11)와, 상기 몸체(11)의 수납공간(12) 일측에 결합되고 중앙부분이 수납공간(12) 중앙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볼록부(15)를 가지는 판스프링(14)과, 상기 몸체(11)의 수납공간(12) 내부에 삽입되어 이를 따라 좌우로 슬라이드 이송되고, 저면에 상기 판스프링(14)의 볼록부(15)가 지지되도록 판스프링홈(17)이 형성되며 일측면에 암나사부(18)가 형성되는 작동편(16)과, 상기 몸체(11)의 착탈구멍(13)에 결합되어 이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고 일단에 수나사부(21)가 형성되어 상기 작동편(16)의 암나사부(18)에 체결되는 체결봉(20)과, 상기 작동편(16) 일측의 수납공간(12)에 삽입되어 상기 작동편(16)의 이동을 방지하는 스토퍼(19)와, 상기 몸체(11)의 일면에 결합되어 조립된 부품의 이탈을 방지하는 커버(22)로 이루어지며; 상기 체결봉(20)이 프레임(2)의 체결구멍(3)에 착탈되도록 상기 도어(6) 내측면 둘레에 설치되는 도어 이탈방지장치를 구비하였다.
그러므로, 본 고안 도어 이탈방지장치(10)를 도어(6) 내측에 설치한 후 체결봉(20)을 프레임(2)의 체결구멍(3)에 체결시키면 도어(6)의 힌지부(7)를 파괴한다 하더라도 잠금장치(4)와 함께 도어(6)의 측면을 프레임(2)에 고정지지하게 되므로 도어(6)를 프레임(2)으로부터 이탈시킬 수 없으며, 이에 따라 침입자의 무단 침입이 봉쇄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도어 이탈방지장치{door secession check device}
본 고안은 도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침입자가 도어를 분리하지 못하도록 한도어 이탈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의 일측 상단 및 하단에는 힌지부가 구비되어 측벽 둘레에 설치된 프레임에 장착되고, 도어 타측 및 이에 대응되는 프레임에는 잠금장치가 설치되어 있어 실내 또는 실외에서 도어를 잠그거나 열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잠금장치 일측의 도어에는 손잡이가 구비된다.
여기서 도어의 잠금장치는 소비자의 욕구에 맞게 다양한 종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침입자의 곁쇠질을 방지하거나 기타 수단으로 잠금장치를 해제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많은 종류의 잠금장치가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일부 침입자들 중에는 이러한 잠금장치가 아무 소용없도록 측벽의 프레임으로부터 도어 전체를 뜯어내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는데, 도어 전체 중 가장 취약한 부분인 힌지부에 드라이버 등을 끼우고 이를 상측 또는 하측으로 눌러 내리면 힌지부가 비교적 쉽게 절단되며, 이와 같이 도어의 힌지부를 파괴한 후 도어 전체를 프레임으로부터 이탈시킨 후 침입하게 문제가 있었다.
상술한 문제를 감안한 본 고안의 목적은, 도어의 힌지부를 절단하여도 도어가 측벽 둘레의 프레임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 도어 이탈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도어 이탈방지장치는, 격벽의 프레임과 도어 사이에 설치되어 도어의 이탈을 방지하는 도어 이탈방지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수납공간과 일측면 외부가 관통되도록 착탈구멍이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수납공간 일측에 결합되고 중앙부분이 수납공간 중앙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볼록부를 가지는 판스프링과, 상기 몸체의 수납공간 내부에 삽입되어 이를 따라 좌우로 슬라이드 이송되고, 저면에 상기 판스프링의 볼록부가 지지되도록 판스프링홈이 형성되며 일측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작동편과, 상기 몸체의 착탈구멍에 결합되어 이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고 일단에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작동편의 암나사부에 체결되는 체결봉과, 상기 작동편 일측의 수납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작동편의 이동을 방지하는 스토퍼와, 상기 몸체의 일면에 결합되어 조립된 부품의 이탈을 방지하는 커버로 이루어지며; 상기 체결봉이 프레임의 체결구멍에 착탈되도록 상기 도어 내측면 둘레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 도어 이탈방지장치를 도어 내측에 설치한 후 체결봉을 프레임의 체결구멍에 체결시키면 도어의 힌지부를 파괴한다 하더라도 잠금장치와 함께 도어의 측면을 프레임에 고정지지하게 되므로 도어를 프레임으로부터 이탈시킬 수 없으며, 이에 따라 침입자의 무단 침입이 봉쇄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고안 도어 이탈방지장치가 도어 내측에 설치된 상태를 보이는 개략적 정면도
도2는 본 고안 도어 이탈방지장치의 내부를 보이는 사시도
도3은 도2의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측벽 2 : 프레임
3 : 체결구멍 4 : 잠금장치
6 : 도어 7 : 힌지부
10 : 도어 이탈방지장치 11 : 몸체
14 : 판스프링 16 : 작동편
19 : 스토퍼 20 : 체결봉
22 : 커버
본 고안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1은 본 고안 도어 이탈방지장치가 도어 내측에 설치된 상태를 보이는 개략적 정면도이고, 도2는 본 고안 도어 이탈방지장치의 내부를 보이는 사시도이며, 도3은 도2의 분해 사시도로써, 이는 몸체(11)와, 판스프링(14), 작동편(16), 체결봉(20), 스토퍼(19), 커버(22)로 이루어진다.
몸체(11)는, 내부에 수납공간(12)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수납공간(12)과 일측면 외부가 관통되도록 착탈구멍(13)이 형성된다.
판스프링(14)은 몸체(11)의 수납공간(12) 일측에 결합되고 중앙부분이 수납공간(12) 중앙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볼록부(15)를 가지며, 이 판스프링(14) 상측의 수납공간(12) 내에 에 작동편(16)이 결합된다.
이 작동편(16)은, 몸체(11)의 수납공간(12) 내부에 삽입되어 이를 따라 좌우로 슬라이드 이송되고, 저면에는 판스프링(14)의 볼록부(15)가 지지되도록 판스프링홈(17)이 형성되며 일측면에 암나사부(18)가 형성되어 있어 후술할 체결봉(20)이 체결된다.
체결봉(20)은 몸체(11)의 착탈구멍(13)에 결합되어 이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고 일단에는 수나사부(21)가 형성되어 작동편(16)의 암나사부(18)에 체결되며, 측벽(1) 둘레의 프레임(2)의 체결구멍(3)에 착탈된다.
스토퍼(19)는 작동편(16) 일측의 수납공간(12)에 삽입되어 작동편(16)의 이동을 방지하게 되며, 몸체(11)의 일면에는 조립된 부품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커버(22)가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 도어 이탈방지장치는 실내에서 커버(22)를 열고 작동시킬 수 있도록 도어(6) 내측면 둘레에 설치되며, 측벽(1) 둘레의 프레임(2)에는 본 고안 도어 이탈방지장치의 체결봉(20)이 착탈되도록 체결구멍(3)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도어 이탈방지장치(10)를 사용하여 도어(6)가 프레임(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려면, 먼저 커버(22)를 열고 작동편(16)을 판스프링(14)측으로 밀어서 작동편(16)의 판스프링홈(17)이 판스프링(14)의 볼록부(15)에 탄성지지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작동편(16) 일측의 여유공간에 스토퍼(19)를 밀어 넣어서 작동편(16)이 좌우로 유동되지 않도록 하며, 이와 같이 하면 체결봉(20)의 일단이 프레임(2)의 체결구멍(3)에 견고히 삽입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도어(6)는 공지의 잠금장치(4)에 의해 도어(6) 일측이 지지되고 본 고안 도어 이탈방지장치(10)에 의해 도어(6)의 다른 부분이 지지된다.
그러므로 침입자가 도어(6)의 힌지부(7)를 파괴하여서 도어(6)의 일측과 프레임(2)을 분리시켜도 도어(6)가 측벽(1) 둘레의 프레임(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이탈방지장치에 의하면, 본 고안 도어 이탈방지장치(10)를 도어(6) 내측에 설치한 후 체결봉(20)을 프레임(2)의 체결구멍(3)에 체결시키면 도어(6)의 힌지부(7)를 파괴한다 하더라도 잠금장치(4)와 함께 도어(6)의 측면을 프레임(2)에 고정지지하게 되므로 도어(6)를 프레임(2)으로부터 이탈시킬 수 없으며, 이에 따라 침입자의 무단 침입이 봉쇄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격벽의 프레임과 도어 사이에 설치되어 도어의 이탈을 방지하는 도어 이탈방지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수납공간(12)이 형성되고, 일측에 수납공간(12)과 일측면 외부가 관통되도록 착탈구멍(13)이 형성되는 몸체(11)와,
    상기 몸체(11)의 수납공간(12) 일측에 결합되고 중앙부분이 수납공간(12) 중앙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볼록부(15)를 가지는 판스프링(14)과,
    상기 몸체(11)의 수납공간(12) 내부에 삽입되어 이를 따라 좌우로 슬라이드 이송되고, 저면에 상기 판스프링(14)의 볼록부(15)가 지지되도록 판스프링홈(17)이 형성되며 일측면에 암나사부(18)가 형성되는 작동편(16)과,
    상기 몸체(11)의 착탈구멍(13)에 결합되어 이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고 일단에 수나사부(21)가 형성되어 상기 작동편(16)의 암나사부(18)에 체결되는 체결봉(20)과,
    상기 작동편(16) 일측의 수납공간(12)에 삽입되어 상기 작동편(16)의 이동을 방지하는 스토퍼(19)와,
    상기 몸체(11)의 일면에 결합되어 조립된 부품의 이탈을 방지하는 커버(22)로 이루어지며;
    상기 체결봉(20)이 프레임(2)의 체결구멍(3)에 착탈되도록 상기 도어(6) 내측면 둘레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이탈방지장치.
KR20-2003-0020577U 2003-06-28 2003-06-28 도어 이탈방지장치 KR2003277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0577U KR200327730Y1 (ko) 2003-06-28 2003-06-28 도어 이탈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0577U KR200327730Y1 (ko) 2003-06-28 2003-06-28 도어 이탈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7730Y1 true KR200327730Y1 (ko) 2003-09-22

Family

ID=49415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0577U KR200327730Y1 (ko) 2003-06-28 2003-06-28 도어 이탈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773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226325A1 (en) Securing box
GB2397332A (en) A locking for a swinging door
EP0942133A1 (en) Push-bar for doors in general
US5072976A (en) Locking accessory
EP3333061A1 (en) Device for preventing the theft of batteries of electric bicycles
US5613718A (en) Retaining means for a door
US4212176A (en) Automobile trunk lock security device
ITTV20110008A1 (it) Struttura di dispositivo di protezione di forma semisferica.
US5004278A (en) Door lock having security device
US9222281B2 (en) Self-adjusting cylinder monitor assembly
KR200327730Y1 (ko) 도어 이탈방지장치
US20040256863A1 (en) Latch device for sliding windows
KR200420247Y1 (ko) 모티스록을 조작하기 위한 도어 핸들 레버 장치
US20070101777A1 (en) Escutcheon assembly
JP5187613B2 (ja) ドア用補助錠
JP2006037584A (ja) 樹脂サッシ
KR200396880Y1 (ko) 비상탈출 방범창
KR200206895Y1 (ko) 냉동창고용 도어록의 비상해정장치
JP3904570B2 (ja) 盗難防止器のケース
KR200254633Y1 (ko) 방범창구조체
KR20100010220A (ko) 자석손잡이를 이용한 자동식 도어 잠금장치
KR200296135Y1 (ko) 자물쇠의 안전장치
KR200306776Y1 (ko) 자물쇠 고정구가 일체로 된 사물함용 손잡이
KR200190963Y1 (ko) 도어용 보조 자물쇠
JP2007224497A (ja) ド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