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1610Y1 - 절첩식 과일상자 - Google Patents

절첩식 과일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1610Y1
KR810001610Y1 KR2019800007418U KR800007418U KR810001610Y1 KR 810001610 Y1 KR810001610 Y1 KR 810001610Y1 KR 2019800007418 U KR2019800007418 U KR 2019800007418U KR 800007418 U KR800007418 U KR 800007418U KR 810001610 Y1 KR810001610 Y1 KR 8100016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plate
lower plate
folded
fruit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000074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익주
Original Assignee
배익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익주 filed Critical 배익주
Priority to KR20198000074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16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16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161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fruit, e.g. apples, oranges or tomato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25Collapsible 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절첩식 과일상자
제1도는 본 고안의 하부받침판을 들어올린 상태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측단면도로서, 받침판을 측벽으로 접어붙이는 상태를 예시한 것이다.
제3도는 본 고안의 받침판을 측벽에 붙이면서 외벽체를 접는 상태를 보인 상태의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을 휴대하기 좋게 완전히 접은 상태의 평 단면도.
본 고안은 종래 직사각형 상자의 사방 연결부를 통상의 경첩식으로, 결속시켜 접첩될 수 있게 구성한 절첩식 과일상자에 있어서, 특히 상자 저면부의 받침판을 들어내지 않고도 간편이 상자내에 수장한 상태로 절첩이 용이하게 하여 면적 및 부피를 최대한으로 축소한 상태로 운반 및 취급이 간편하게 하고 하판의 이탈을 방지함을 목적으로 개량 고안한 것으로,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단에 받침턱(4)(4')이 각각 형성되고, 양단부의 연결부(3)(3')가 경첩식으로 형성된 전후벽판(1)(1')과 좌우벽판(2)(2')을 결속시켜 절첩식 직사각형 상자가 되게 한 후 내 하단에 하판(5)을 괘착고정시켜서 된 공지의 것에 있어서, 각 받침턱(4)(4')의 돌출턱(6)(6')을 돌설하고 하판(5)의 일축상면에는 괘공(9)의 괘삽되는 삽지편(11)을, 그 반대쪽에는 괘공(8)에 괘삽되는 ㄱ자형 괘지편(12)을 일체로 형성하며 하판(5) 상면 일축과 하면 중각쪽에 @형 회요구(13)(13')을 요설하여서 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4는 손잡이 구멍이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은 상자를 펼쳐 과일을 수장할대는 제1도에 도시한 상태처럼 직사각형이 되게 한 후 그 속에 하판(5)을 삽착시키면서 눌러주면판체(1)(1')(2)(2')하단 받침턱(4)(4')에 돌출턱(6)(6')이 얹혀지면서, 돌출턱(6)(6')이 하판(5)외연의 요구(7)(7')에 각각 괘삽되어 고정됨과 동시 하판(5) 상면일측의 삽지편(11)은 괘공(9)에 괘삽되고 그 반대쪽 괘지편(12)은 괘공(8)에 각각 괘삽되어 각판체(1)(1')(2)(2')가 견고하게 직사각형 상자가 되면서 일그러지거나 요동에 의한 변형의 염려없이 고정되는 것이다.
반면 상자를 접을때는 내측 괘지편(12)을 약간만 당겨주면서 올려주거나 저면을 약각만 눌러주면 괘지편(12)이 괘공(8)에서 해탈되며 이때 제2도에 예시한 바와같이 하판(5)을 측벽(2')쪽으로 세워주면서 측벽(2')에 붙여주면 괘지편(12)이 상단 괘공(10)에 괘착되어 입설되는 것이며, 이렇게 하판(5)을 입설시킨 후 직사각형인 판체(1)(1')(2)(2')를 접어주면 제3도에 도시한 상태처럼 각 경첩식 연결부(3)(3')에 의해 일그러지듯이 접혀지게 되고 내측에 수장되 하판(5)은 그 상하면에 요설된 횡요구(13)(13')에 접혀지는 전후측의 경첩식 연결부가 삽지되므로, 부피를 최대한으로 축소시켜 얇게 접혀지도록 한 것이다.
이렇게 된 본 고안은 전후 좌우 벽판(1)(1')(2)(2')의 하단받침턱(4)(4')에 돌출턱(6)(6)를 형성하여 하판(5)을 안착시킬때 그 요구(7)(7')에 착괘되게 하므로서, 상자내에 내용물을 수장하였을 때 각 벽판(1)(1')(2)(2')이 외측으로 벌어지는 일이 없이 원형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며, 하판(5)의 양단에 삽지편(11)과 괘지편(12)을 형성하여 측판(2)92')의 괘공(8)(9)에 괘착되게 하였기 때문에 빈 상자를 운반할때 상자를 뒤집거나 굴려도 하판(5)의 이탈됨이 없이 고정된 상태로 있게 되는 것이고, 하판(5) 상하면에 상자의 전후 연결부(3)(3')가 괘삽될 수 있는 횡요구(13)(13')를 요설하므로서, 상자를 접을 때 하판(5)이 수장된 상태에서도 최대한으로 얇게 접혀질 수 있어 운반 및 취급이 간편하고 운반도중에 하판(5)의 이탈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도시한 바와같이 받침턱(4)(4')이 각각 형성된 전후 좌우 벽판(1)(1')(2)(2')을 경첩식으로 결속시켜 절첩될 수 있게한 공지의 것에 있어서, 각 받침턱(4)(4')에 상향 돌출턱(6)96')을 돌설하고, 삽지편(11)과 괘지편(12)을 가진 하판(5)의 사면에는 요구(7)(7')를 요설하며 측판(2)의 하부와 측판(2')의, 상하부에 각 한쌍의 괘공(8)(9)(10)을 천설하고 하판(5)의 상면 일측과 하면 중간쪽에 횡요구(13)(13')를 요설하여서 된 절첩식 과일상자.
KR2019800007418U 1980-11-19 1980-11-19 절첩식 과일상자 KR8100016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7418U KR810001610Y1 (ko) 1980-11-19 1980-11-19 절첩식 과일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7418U KR810001610Y1 (ko) 1980-11-19 1980-11-19 절첩식 과일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1610Y1 true KR810001610Y1 (ko) 1981-10-27

Family

ID=19219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00007418U KR810001610Y1 (ko) 1980-11-19 1980-11-19 절첩식 과일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161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94986A (en) Disposable container
KR810001610Y1 (ko) 절첩식 과일상자
JP4663157B2 (ja) 折り畳みコンテナー
JPS6318583Y2 (ko)
JPH0242574Y2 (ko)
US4402404A (en) Insert for garment box
CN210708348U (zh) 一种上下盖盒
JPH0443467Y2 (ko)
JPS6229386Y2 (ko)
JPS5845223Y2 (ja) 陳列容器
JPH0354014Y2 (ko)
JPS5815290Y2 (ja) おにぎり等用折畳包装容器
JPS6025383Y2 (ja) 把手付紙箱
JPS5929862Y2 (ja) 容器
JPS5826608Y2 (ja) 陳列台
JPH0319806Y2 (ko)
JP2708732B2 (ja) アンプルトレー
JPH0231828U (ko)
JPS6335958Y2 (ko)
JP2567528Y2 (ja) スリーブ式カップホルダー
JPS6333843Y2 (ko)
JP2518885Y2 (ja) 手提げ箱
JPH078217U (ja) 瓶類の包装用箱
JPH079791Y2 (ja) 箱蓋用の内枠
JPS5910036Y2 (ja) 組立式紙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