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1524B1 - N, n'-비스(4-아미노페닐)테레프탈아미드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N, n'-비스(4-아미노페닐)테레프탈아미드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1524B1
KR810001524B1 KR1019800001720A KR800001720A KR810001524B1 KR 810001524 B1 KR810001524 B1 KR 810001524B1 KR 1019800001720 A KR1019800001720 A KR 1019800001720A KR 800001720 A KR800001720 A KR 800001720A KR 810001524 B1 KR810001524 B1 KR 810001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s
terephthalamide
aminophenyl
reaction
nitrophen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00001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한식
이화섭
오태진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한국과학기술원
이주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한국과학기술원, 이주천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19800001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15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1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1524B1/ko

Links

Landscapes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N,N'-비스(4-아미노페닐)테레프탈아미드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구조식(Ⅰ)로 표시되는 신규한 N,N'-비스(4-아미노페닐)테레프탈아미드[N,N'-bis (4-aminophenyl) terephthalamide]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인바,
Figure kpo00001
구조식(Ⅰ)의 방향족 아미드 화합물은, 본 발명자들이 동일자로 특허출원한 80-1721호에서와 같이 방향족 폴리아미드, 더 정확히 말하면, 폴리(파라-페닐렌)테레프탈아미드의 출발물질로 사용되는 산업상 중요한 방향족 아미드 화합물이다. 구조식(Ⅰ)의 N,N'-비스(4-아미노페닐)테레프탈아미드와, 테레프탈산클로라이드와의 반응생성물인 폴리(파라-페닐렌)테레프탈아미드 중합체는, 공지의 방법인 진한황산에 용해하여, 습식으로 방사되어서, 고강도, 고탄성, 내열성의 섬유로 이용됨은 물론, 타이어코오드, 항공산업 등의 각종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현재까지 폴리(파라-페닐렌)테레프탈아미드를 제조하기 위하여서는, 파라-페닐렌디아민과 테레프탈산클로라이드를, 아미드용매중에서 축합시켜 제조하는 것이 일반적 제조방법이다. 그밖의 일본 공개특허 공보 79-142100호와 동공보 79-28395호에서와 같이, 메틸-파라-페닐렌디아민과 테레프탈산클로라이드를 디메틸아세트 아미드 용매하에 25℃에서 중합하여 n이 계내의 전분자의 수평균치로 나타나는 다음식의 0
Figure kpo00002
n<10 범위의 프레폴리머(Prepolymer)를 제조한 후, 이를 테레프탈산클로라이드와 중합시켜, 폴리(파라-페닐렌)테레프탈아미드를 제조하고 있다.
Figure kpo00003
그러나 이들 공지의 제조방법은 폴리(파라-페닐렌)테레프탈아미드를 제조할때에, 고가의 파라페닐렌디아민을 사용해야 하고 또 다량의 염화수소가 부산물로 생성되어 제조공정을 부식시키는 것은 물론, 중화 공정에서 다량의 알칼 리가 소요되었다. 결과적으로 보아, 공지의 제조방법은, 상기의 결점으로 인하여, 산업상 바람직한 제조방법이라 할 수 없다.
본 발명자들은 파라페닐렌디아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는 공지의 제조방법과는 달리 새롭고도 진보된 폴리(파라-페닐렌)테레프탈 아미드를 제조하는 방법을 안출할 목적으로, 연구를 거듭한 결과, 공지의 출발물질 대신에, 구조식(Ⅰ)의 N,N'-비스(4-아미노페닐)테레프탈아미드와 테레프탈산 클로라이드로부터 폴리(파라-페닐렌)테레프탈아미드를 제조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른 것이다. N,N'-비스(4-아미노페닐)테레프탈아미드는, 파라-페닐렌디아민 보다, 더 염가로 제조된다. 이를 설명하기 위하여, 파라-페닐렌디아민을 제조하는 공지의 방법과, N,N'-비스(4-아미노페닐)테레프탈아미드의 제조방법을, 화학식으로 다음과 같이 알기쉽게 비교하였다.
1)공지의 파라-페닐렌디아민 제조방법
Figure kpo00004
2)본 발명에 의한 N,N'-비스(4-아미노페닐)테레프탈아미드의 제조방법.
Figure kpo00005
Figure kpo00006
위의 화학식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같은 아닐린으로부터 출발하여 구조식(Ⅰ)의 N,N'-비스(4-아미노페닐)테레프탈아미드를 제조하는 공정은 파라페닐렌디아민을 제조하는 공정중에 포함되어 있는 가수 분해 공정이 필요하지 않다. 또한 공업적인 제반원료의 생성수율에 있어서도, N,N'-비스(4-아미노페닐)테레프탈아미드의 공정이, 파라페닐렌디아민의 공정보다, 훨씬 높으므로, N,N'-비스(4-아미노페닐)테레프탈아미드가, 파라페닐렌디아민보다, 더 염가로 제조된다.
뿐만 아니라 같은 양의 폴리(파라-페닐렌) 테레프탈아미드를 제조하는데 있어서도, 부식성이 심하고 고가인 테레프탈산클로라이드의 사용량이 반감되는 이점도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중에서 구조식(Ⅲ)의 N,N'-비스(4-니트로페닐) 테레프탈아미드는, 두가지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는데, 화학식에 덧붙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 하나의 방법은 저렴한 가격으로 다량 생산되는 아닐린과 디메틸테레프탈산을 가열하여, 구조식(Ⅱ)의 N,N'-비스(페닐) 테레프탈아미드를 만든 후, 이를 니트로화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의 방법은 파라-니트로아닐린과 테레프탈산클로라이드를 반응시켜 제조하는 것이다. 이와같이 제조된 구조식(Ⅲ)의 N,N'-비스(4-니트로페닐)테레프탈아미드를 환원하여 구조식(Ⅰ)의 N,N'-비스(4-아미노페닐)테레프탈아미드를 제조하는 것이 본 발명의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2몰의 아닐린과 1몰의 디메틸테레프탈산을 리튬, 칼륨, 나트륨, 칼슘, 마그네슘, 바륨등의 알칼리토금속 혹은 알칼리토금속 존재하에, 바람직하기는, 나트륨, 칼륨 또는 리튬금속 촉매 존재하에 180-200℃로 가열하여 미황색 침전물이 생성될때까지 계속 가열(약3시간)하면 구조식(Ⅱ)의 N,N'-비스(페닐)테레프탈아미드가 생성된다. 이때 다량의 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또는 과잉의 아닐린을 반응용매로 사용하여 반응을 원활히 진행시킬 수 있다. 과잉의 아닐린은, 다음 공정에서 회수하여 재사용할 수 있다. 이 반응은 당량 물의 메탄올이 유출되므로 반응의 진행여부를 쉽게 알 수 있다. 구조식(Ⅱ)의 아미드는, 약 200℃에서 과잉의 아닐린에 대한 용해도가 낮기 때문에 5℃이하로 냉각하면, 용이하게 침전물로 침전된다.
Figure kpo00007
한편 구조식(Ⅱ)의 화합물로부터, 구조식(Ⅲ)의 N,N'-비스(4-니트로페닐) 테레프탈아미드를 제조하는 방법은, 공지의 방향족 화합물을 니트로화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구조식(Ⅱ)의 화합물을 먼저 농도 97% 이상의 진한황산에 용해시킨 다음, 이 용액을 5℃이하로 유지한 상태에서, 97% 황산과 70% 질산이 무게비 1:1로 구성된 혼산을, 서서히 적가하여, 니트로화하여 침상결정의 구조식(Ⅲ)의 화합물을 얻거나, 2몰의 파라-니트로아닐린을, 실온에서 헥사메틸포스포르아미드, 또는 N-메틸-2-피롤리돈등의 유기아미드 용매에 용해한 다음 5℃ 이하에서 냉각하고, 이 용액에 1몰의 테레프탈산클로라이드를 30분 내지 3시간동안 소량씩 첨가하여 구조식(Ⅲ)의 화합물을 얻을수도 있다.
Figure kpo00008
구조식(Ⅲ)으로부터 구조식(Ⅰ)의 N,N'-비스(4-아미노페닐)테레프탈아미드를 만들려면, 환원반응을 하여야하는데, 이때 수소화 조건은 수소압력이 10-600psi, 반응온도가 90-110℃, 반응시간이 4-7시간이며, 환원촉매는 니켈류구리, 백금, 팔라듐, 레늄등인바,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라나니켈, 아담스촉매(PtO₂), 리튬알루미늄테트라하이드라이드(LiAlH₄)을 비롯하여, 미국의 스트렘화학회사(Strem Chemicals, Inc.)의 상품인, 탄산구리(카탈로그번호 29-0280, Copper Carbonate on Silica), 구리-크로마이트(29-0370, CuO-Cr₂O₃), 팔라듐(4-1890, Palladium (50%) on activated carbon), 백금(78-1600, Platinum (5%) on activated ccarbon), 라니구리(29-2750, Raney Copper), 레늄헵타 술파이드(75-1850, Re2S7·2H2O), 산화레늄(75-2500, Rhenium oxide, ReO₃), 니켈(28-1430, Nickel on Kieselguhr)등이다.
반응후, 촉매를 제거하기 위하여, 70-120℃에서 여과하고, 실온으로 냉각하며면, 구조식(Ⅰ)의 N,N'-비스(4-아미노페닐)테레프탈아미드가 침전물로서 생성된다. 이 미황색 침전물을, 디메틸아세트 아미드와 같은 유기용매로 재결정하면, 순수한 미황색의 침상결정이 얻어지며, 수율은 이론양의 97%이상이다. 또 다른 공지의 환원 방법은 철과 염화수소 35%용액으로 조성된 염화제1철 수용액중에서 상압하에 90-100℃로 가열하여 반응시키는 것이다. 반응 완료후 탄산나트륨으로 중화한 후, 아미드용매로 생성물을 추출한다. 이때의 수율은 96%이다.
이와 같은 환원반응으로 생성된 생성물이 구조식(Ⅰ)의 N,N'-비스(4-아미노페놀)테레프탈아미드인 것을 확인하기 위하여, 적외선 분광 광도계, 핵자기공명스펙트럼, 및 원소분석기를 이용하였다. 적외선 분광광도계에 의하면, 진동수 1660cm-1, 3300cm-1및 3325cm-1에서 각각 카르보닐기, 비대칭 스트레치형아미드의 파이크를 나타냈다.
핵자기 공명스펙트럼 분석을 위하여 사용한 용매는 중수소 디메틸 술폭사이드(deuterated dimethyl sulfoxide)이었으며 이 스펙트럼에서의 각 프로톤의 화학이동(Chemical shift)은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09
그리고 원소분석 결과는 이론치와 일치한 C20H18N4O2이었다.
Figure kpo00010
다음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여 줄 것이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국한된다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N,N'-비스(페닐)테레탈아미드의 제조
교반기와 온도계 및 환류냉각기가 구비된 용량 1000ml의 3구 플라스크에 400g(4.3몰)의 아닐린과 97g(0.5몰)의 디메틸테레프탈산 및 0.5g(2.2 × 10-2몰)의 금속나트륨을 넣고, 교반하면서 186°C까지 서서히 가열하였다. 냉각기를 통하여 계산량의 메탄올이 유출되면서 침전물이 생성될때까지 186℃에서 3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후 5℃로 냉각하면 다량의 침전물이 생성되는데 이를 거르고 메탄올로 3회 세척하고 80℃에서 건조하였다. 수율은 이론량의 95.8%(151.4g)이었고 생성물은 300℃에서 용융되지않고 310℃에서 승화하였다. 생성물이 N,N'-비스(페닐)테레프탈아미드인 것을 확인하기 위하여 적외선 분광 광도계로 측정하였는 바, 진동수 1650cm-1와 3300cm-1에서 각각 카르보닐기 및 스트레치형아미드가 나타났다.
[실시예 2] N,N'-비스(페닐)테레프탈아미드의 제조
교반기와 온도계 및 환류냉각기가 구비된 용량 1000ml의 3구 플라스크에 디메틸아세트아미드 300ml와 93g(1몰)의 아닐린과 97g(0.5몰)의 디메틸테레프탈산 및 0.86g(2.2×10-1몰)의 금속 칼륨을 넣고, 교반하면서 186℃까지 서서히 가열하였다. 냉각기를 통하여 계산량의 메탄올이 유출되면서 침전물이 생성될 때까지 186℃에서 3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5℃로 냉각하면 다량의 침전물이 생성되는데 이것을 여과하고 메탄올로 3회 세척하여 80℃에서 건조하였다. 수율은 이론양의 96.1%(151.8g)이었고 생성물의 승화온도 및 적외선분광광도계 분석은 실시예 1과 같았다.
[실시예3] N,N'-비스(페닐)테레프탈아미드의 제조
교반기와 온도계 및 환류냉각기가 구비된 용량 1000ml의 3구 플라스크에 디메틸포름아미드(DMF)300ml의 93g(1몰)의 아닐린과 97g(0.5몰)의 디메틸레레프탈산 및 0.15g(2.2 × 10-1몰)의 금속 리튬을 넣고, 교반하면서 186℃까지 서서히 가열하였다. 냉각기를 통하여 계산량의 메탄올이 유출되면서 침전물이 생성될 때까지 180℃에서 2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후 5℃로 냉각하면 다량의 침전물이 생성되는데 이를 여과하고 메탄올로 3회 세척한 후 80℃에서 건조하였다. 수율은 이론양의 97%이었고 생성물(153.3g)의 승화온도 및 적외선 분광광도계 분석은 실시예 1과 같았다.
[실시예4] N.N'-비스(4-니트로페닐)테레프탈아미드 제조
교반기와 온도계 및 등압 적하용 패널(equipressure dropping funnel)이 구비된 용량 500ml의 3구 플라스크에 20g(0.0633몰)의 실시예1의 N,N'-비스(페닐)테레프탈아미드와 농도 97%의 150g의 진한황산을 넣고 30℃이하로 유지하고 맹렬히 저어주면서 혼산(농도 97%의 11.4g황산:농도 70%의 11.4g질산)을 서서히 적가한다. 혼산의 첨가가 완료되면 얼음탕을 제거하고 내용물을 실온에서 1시간 정치한다. 그후 반응물을 다량의 얼음에 부어 거른후 거른액의 pH가 중성이 될 때까지 증류수로 세척한 다음, 디메틸아세트아미드로 결정화하면 25g(수율 이론양의 97.4%)의 침상결정을 얻는다.
생성물에 대한 적외선 분광광도계 분석에 의하면, 진동수 1670cm-1및 3350cm-1에서 각각 카로보닐기 및 스레치형 아미트가 나타나므로 생성물은 N,N'-비스(4-니트로페닐)테레프탈아미드인 것을 알 수 있으며 생성물의 용융온도는 369-371℃이었다.
[실시예5] N,N'-비스 (4-니트로페닐)테리프탈아아드의 제조
실시예 4의 3구 플라스크에 167ml의 헥사메틸포스포르아미드와 27.62g(0.2몰)의 파라-니트로아닐린을 20℃에서 교반하면서 용해한 다음 얼음탕으로 0℃까지 냉각시킨다. 이상태하에 20.3g(0.1몰)의 테레프탈산클로라이드를 2시간동안 서서히 첨가한다. 첨가가 완료되면 내용물을 실온으로 상순시키고 4시간 교반하면 침상결정이 생성되는데 이를 여과하고 메탄올로 3회 세척한 뒤 디메틸아세트아미드로 2회 재결정한다. 이때 수율 94%인 38g의 목적물을 얻는다. 생성물의 용융온도 및 적외선 분광광도계 분석을 실시예 4와 같았다.
[실시예6] N,N'-비스(4-니트로페닐)테레프탈아미드의 제조
3구 플라스크에 167ml의 N-메틸 2-피롤리돈과 27.62g(0.2몰)의 파라니트로아닐린을 20℃에서 교반하면서 용해한 다음 얼음탕으로 0℃까지 냉각하였다. 이 상태하에 20.3g(0.1몰)의 테레프탈산클 로라이드를 2시간동안 서서히 첨가하였다. 첨가가 완료되면 내용물을 실온으로 상승시키고 4시간 교반하였더니 침상결정이 얻어졌는데 이를 여과하고 메탄올로 3회 세척한 뒤 디메틸 아세트아미드로 2회 재결정하였다. 생성물의 수율, 용융온도 및 적외선분광 광도계 분석결과는 실시예 4와 같았다.
[실시예7] N,N'-비스(4-아미노페닐) 테레프탈아미드의 제조
교반기 온도계 및 수소 유출입관이 장착된 용량 300ml의 고압반응기(parr reactor)에 145ml의 디메틸아세트아미드와 18g(0.044몰)의 N,N'-비스(4-니트로페닐)테레프탈아미드 및 2g의 라니니켈을 가하고 교반하면서 내용물을 100℃까지 상승시킨다. 이 온도에서 수소의 압력을 600psi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수소의 유입량을 조절하면서 5시간 방응시킨 뒤 여과하여 라니니켈을 제거하고 실온으로 냉각시킨다. 이때 생성된 침전물을 디메틸아세트아미드로 재결정하면 미황색의 침상결정 이 생성되며 이 수율은 이론량의 97.7%이고 300℃에서 용융되었다. 침상결정이 N,N'-비스(4-아미노페닐) 테레프탈아미드인지 확인하기 위하여 적외선 분광 광도계, 핵자기공명스펙트럼 및 원소분석기로 시험한 결과 다음과 같이 확인되었다.
적외선 분광 광도계(cm-1)
바르보닐기 : 1660, 비대칭 스트레치외아미드 : 3300
대칭 스트레치형 아미드 : 3325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ppm)
Figure kpo00011
[실시예 8] N,N'-비스(4-아미노페닐)테레프탈아미드의 제조
교반기와 온도계가 장착된 용량 1000ml의 3구 플라스크에 증류수 450ml 및 금속 철 61g을 넣고 교반기로 교반하면서 염화수소 35% 용액 5g을 넣은 뒤 90℃로 가열하였다. 황화나트륨 용액으로 염화제1철(FeCl₂)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90℃를 유지하면서 상압하에서 N,N'-비스(4-니트로페닐)테레프탈아미드 5g씩을 첨가하되 황화나트륨용액으로 염화 제1철의 존재를 확인한 후에 첨가하여 모두 90g을 첨가하였다. 이때 첨가시간 간격은 초기에는 짧으나 반응이 진행됨에 따라 길어진다. 반응 완료후 5g(4.72 × 10-1몰)의 탄산나트륨을 넣어 중화하였다. 그 후 90℃에서 여과하고 여액을 냉각하여 결정화하였다. 이 생성물을 다시 디메틸아세트 아미드로 재결정하였더니 미황색의 침상결정으로 되었으며 수율은 이론양 96%(73.6g)이었고 생성물의 용융온도, 적외선 분광광도계 분석, 핵자기공명 스펙트럼분석 및 원소분석치는 실시예 7과 같았다.
[실시예 9] N,N'-비스(4-아미노페닐)테레프탈아미드의 제조
교반기, 온도계 및 수소유입관이 장착된 용량 300ml의 고압 반응기에 145ml의 디메틸포름아미드와 18g(0.044몰)의 N,N'-비스(4-니트로페닐)테레프탈아미드 및 1g의 팔라듐(46-1890pd(5%) on activated carbon)을 가하고 저어주면서 내용물을 70℃까지 상승시킨다. 이 온도에서 수소압력을 600psi로 유지하면서 3시간 반응시킨 다음 여과하여 촉매를 제거하고 실온으로 냉각시킨다. 이때 생성된 침전물을 디메틸아세트아미드로 재결정화하면 미황색의 침상결정이 생성되며 수율은 이론양의 98%이다. 생성물(15g)의 용융온도, 적외선 분광광도계, 핵자기 공명스펙트럼 및 원소분석기로 시험한 결과는 실시예 7과 같았다.
[실시예 10] N,N'-비스(4-아미노페닐)테레프탈아미드의 제조
교반기, 온도계 및 수소유입관이 장착된 용량 300ml의 고압 반응기에 145ml의 디메틸포름아미드와 18g(0.044몰)의 N,N'-비스(4-니트로페닐)테레프탈아미드 및 1g의 탄산구리(29-0280, Copper Carbona-tedon Silica)를 가하고 저어주면서 내용물을 100℃까지 상승시킨다. 이 온도에서 수소압력을 600psi로 유지하면서 3시간 반응시킨 다음 여과하여 촉매를 제거하고 실온으로 냉각시킨다. 이때 생성된 침전물을 디메틸아세트 아미드로 재결정화하면 미황색의 침상 결정이 생성되며 수율은 이론양의 90%이다. 생성물(13.8g)의 용융온도, 적외선 분광광도계, 핵자기 공명스펙트럼 및 원소분석기로 시험한 결과는 실시예 7과 같았다.
[실시예 11] N,N'-비스(4-아미노페닐)테레프탈아미드의 제조
교반기, 온도계 및 수소유입관이 장착된 용량 300ml의 고압 반응기에 145ml의 디메틸포름아미드와 18g(0.044몰)의 N,N'-비스(4-니트로페닐)테레프탈아미드 및 1g의 구리-크로마이트(29-0307, Cu-Cr2O3)를 가하고 저어주면서 내용물을 100℃까지 상승시킨다. 이 온도에서 수소압력을 600psi로 유지하면서 3시간 반응시킨 다음 여과하여 촉매를 제거하고 실온으로 냉각시킨다. 이때 생성된 침전물을 디메틸아세트 아미드로 재결정화하면 미황색의 침상 결정이 생성되며 수율은 이론양의 92%이다. 생성물(14.1g)의 용융온도, 적외선 분광광도계, 핵자기 공명스펙트럼 및 원소분석기로 시험한 결과는 실시예 7과 같았다.
[실시예 12] N,N'-비스(4-아미노페닐)테레프탈아미드의 제조
교반기, 온도계 및 수소유입관이 장착된 용량 300ml의 고압 반응기에 145ml의 디메틸포름아미드와 18g(0.044몰)의 N,N'-비스(4-니트로페닐)테레프탈아미드 및 1g의 백금(78-1600, Platinum(5%) on activated carbon)을 가하고 저어주면서 내용물을 70℃까지 상승시킨다. 이 온도에서 수소압력을 500psi로 유지하면서 3시간 반응시킨 다음 여과하여 촉매를 제거하고 실온으로 냉각시킨다. 이때 생성된 침전물을 디메틸아세트 아미드로 재결정화하면 미황색의 침상 결정이 생성되며 수율은 이론양의 98%이다. 생성물(15g)의 용융온도, 적외선 분광광도계, 핵자기 공명스펙트럼 및 원소분석기로 시험한 결과는 실시예 7과 같았다.
[실시예 13] N,N'-비스(4-아미노페닐)테레프탈아미드의 제조
교반기, 온도계 및 수소유입관이 장착된 용량 300ml의 고압 반응기에 145ml의 디메틸포름아미드와 18g(0.044몰)의 N,N'-비스(4-니트로페닐)테레프탈아미드 및 1g의 아담스촉매를 가하고 저어주면서 내용물을 70℃까지 상승시킨다. 이 온도에서 수소압력을 500psi로 유지하면서 3시간 반응시킨 다음 여과하여 촉매를 제거하고 실온으로 냉각시킨다. 이때 생성된 침전물을 디메틸아세트 아미드로 재결정화하면 미황색의 침상 결정이 생성되며 수율은 이론양의 98%이다. 생성물(15g)의 용융온도, 적외선 분광광도계, 핵자기 공명스펙트럼 및 원소분석기로 시험한 결과는 실시예 7과 같다.
[실시예 14] N,N'-비스(4-아미노페닐)테레프탈아미드의 제조
교반기, 온도계 및 수소유입관이 장착된 용량 300ml의 고압 반응기에 145ml의 디메틸포름아미드와 18g(0.044몰)의 N,N'-비스(4-니트로페닐)테레프탈아미드 및 1g의 라니구리(29-1750, Raney Copper)를 가하고 저어주면서 내용물을 100℃까지 상승시킨다. 이 온도에서 수소압력을 600psi로 유지하면서 3시간 반응시킨 다음 여과하여 촉매를 제거하고 실온으로 냉각시킨다. 이때 생성된 침전물을 디메틸아세트 아미드로 재결정화하면 미황색의 침상 결정이 생성되며 수율은 이론양의 96%이다. 생성물(14.7g)의 용융온도, 적외선 분광광도계, 핵자기 공명스펙트럼 및 원소분석기로 시험한 결과는 실시예 7과 같았다.
[실시예 15] N,N'-비스(4-아미노페닐)테레프탈아미드의 제조
교반기, 온도계 및 수소유입관이 장착된 용량 300ml의 고압 반응기에 145ml의 디메틸포름아미드와 18g(0.044몰)의 N,N'-비스(4-니트로페닐)테레프탈아미드 및 1g의 레늄헵타 술파이드(75-180, Re2S.2H2O)를 가하고 저어주면서 내용물을 80℃까지 상승시킨다. 이 온도에서 수소압력을 500psi로 유지하면서 3시간 반응시킨다음 여과하여 촉매를 제거하고 실온으로 냉각시킨다. 이때 생성된 침전물을 디메틸아세트 아미드로 재결정화하면 미황색의 침상 결정이 생성되며 수율은 이론양의 99%이다. 생성물(15.2g)의 용융온도, 적외선 분광광도계, 핵자기 공명스펙트럼 및 원소분석기로 시험한 결과는 실시예 7과 같았다.
[실시예 16] N,N'-비스(4-아미노페닐)테레프탈아미드의 제조
교반기, 온도계 및 수소유입관이 장착된 용량 300ml의 고압 반응기에 145ml의 디메틸포름아미드와 18g(0.044몰)의 N,N'-비스(4-니트로페닐)테레프탈아미드 및 1g의 산화레늄(75-2500, ReO3)을 가하고 저어주면서 내용물을 80℃까지 상승시킨다. 이 온도에서 수소압력을 500psi로 유지하면서 3시간 반응시킨다음 여과하여 촉매를 제거하고 실온으로 냉각시킨다. 이때 생성된 침전물을 디메틸아세트 아미드로 재결정화하면 미황색의 침상 결정이 생성되며 수율은 이론양의 98.5%이다. 생성물(15.1g)의 용융온도, 적외선 분광광도계, 핵자기 공명스펙트럼 및 원소분석기로 시험한 결과는 실시예 7과 같았다.
[실시예 17] N,N'-비스(4-아미노페닐)테레프탈아미드의 제조
교반기, 온도계 및 수소유입관이 장착된 용량 300ml의 고압 반응기에 145ml의 디메틸포름아미드와 18g(0.044몰)의 N,N'-비스(4-니트로페닐)테레프탈아미드 및 1g의 니켈(28-1430, Nickel on Kieselguhr)을 가하고 저어주면서 내용물을 100℃까지 상승시킨다. 이 온도에서 수소압력을 600psi로 유지하면서 3시간 반응시킨다음 여과하여 촉매를 제거하고 실온으로 냉각시킨다. 이때 생성된 침전물을 디메틸아세트 아미드로 재결정화하면 미황색의 침상 결정이 생성되며 수율은 이론양의 95%이다. 생성물(14.6g)의 용융온도, 적외선 분광광도계, 핵자기 공명스펙트럼 및 원소분석기로 시험한 결과는 실시예 7과 같았다.
[실시예 18] N,N'-비스(4-아미노페닐)테레프탈아미드의 제조
교반기, 온도계 및 수소유입관이 장착된 용량 300ml의 고압 반응기에 145ml의 디메틸포름아미드와 18g(0.044몰)의 N,N'-비스(4-니트로페닐)테레프탈아미드 및 1g의 리튬알루미늄테트라하이드라이드를 가하고 저어주면서 내용물을 70℃까지 상승시킨다. 이 온도에서 수소압력을 400psi로 유지하면서 3시간 반응시킨다음 여과하여 촉매를 제거하고 실온으로 냉각시킨다. 이때 생성된 침전물을 디메틸아세트아미드로 재결정화하면 미황색의 침상 결정이 생성되며 수율은 이론양의 99%이다. 생성물(15.2g)의 용융온도, 적외선 분광광도계, 핵자기 공명스펙트럼 및 원소분석기로 시험한 결과는 실시예 7과 같았다.

Claims (1)

  1. 아닐린과 디메틸테레프탈산을 알칼리 금속 촉매와 아미드 용매 존재하에 반응시켜 구조식(Ⅱ)의 N,N'-비스(페닐)테레프탈아미드를 제조하고 황산과 질산의 혼산으로 니트로화하여 구조식(Ⅲ)의 N,N'-비스(4-니트로페닐)테레프탈아미드를 제조한 다음 환원촉매 하에 환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식(Ⅰ)의 N,N'-비스(4-아미노페닐)테레프탈아미드의 제조방법.
    Figure kpo00012
    알칼리금속이라함은 나트륨, 칼륨, 리튬을 말한다. 아미드 용매라함은 아닐린,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디메틸포름아미드, N-메틸-2피롤리돈, 헥사메틸포스포르아미드를 말한다.
KR1019800001720A 1980-04-30 1980-04-30 N, n'-비스(4-아미노페닐)테레프탈아미드의 제조방법 KR8100015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1720A KR810001524B1 (ko) 1980-04-30 1980-04-30 N, n'-비스(4-아미노페닐)테레프탈아미드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1720A KR810001524B1 (ko) 1980-04-30 1980-04-30 N, n'-비스(4-아미노페닐)테레프탈아미드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1524B1 true KR810001524B1 (ko) 1981-10-26

Family

ID=19216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1720A KR810001524B1 (ko) 1980-04-30 1980-04-30 N, n'-비스(4-아미노페닐)테레프탈아미드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1524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192263A (en) Production of dinitrophenyl and diaminophenyl ethers
KR810001524B1 (ko) N, n'-비스(4-아미노페닐)테레프탈아미드의 제조방법
EP0110559B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4-chloro-2-nitrobenzonitrile
US2701252A (en) Isoindolenine compounds
JPS5840545B2 (ja) 2−(4′ アミノ−フエニル)−5−アミノベンゾイミダゾ−ルの製造法
US3743668A (en) Cyanoethylation of aminophenols
JPH06340610A (ja) スルホテレフタル酸の製造方法
GB1571742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isoindolinone derivatives
JP4168473B2 (ja) ビス(n−置換)フタルイミド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ビフェニルテトラカルボン酸の製造方法
US3296267A (en) Preparation of 2, 3-dihydroxy-6-quinoxaline carboxylic acid
US3719717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romatic dinitrohalogen compounds
DE3620856A1 (de) 3-cyanchinolinderivate
RU2111960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натриевой соли 1-амино-1-цианамидо-2,2-дицианэтилена
DE2216925A1 (de) Pyrazinderivat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S4960940A (en) Bis(hydroxyethylsulfonylmethyl)anilines and a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JPH032170A (ja) ジアミノ(フェニルベンツイミダゾール)の製造方法
KR880000089B1 (ko) N, n'-비스(4-아미노페닐)테레프탈아미드의 제조방법
Kirkpatrick et al. Synthesis of reactive dyes for wool employing isocyanate bisulphite adducts
SU1694575A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м-(2,4-ди-(трет-амилфенокси)-ацетиламинобензойной кислоты
US4065478A (en)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α,α'-aminonitroanthraquinones
JP2893182B1 (ja) 2,7−ジアザ−1,2,3,6,7,8−ヘキサヒドロピレン化合物とその製造方法
SU496260A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циклогексилхлорида
JPH0193561A (ja) o−ニトロ安息香酸類の製造法
KR0134880B1 (ko) 방향족 디아민화합물과 그의 제조방법
JPS6344552A (ja) 2,6−ジクロロ−3,4−ジニトロエチルベンゼン及びその製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