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1362B1 - 변기의 급수장치 - Google Patents
변기의 급수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10001362B1 KR810001362B1 KR7701536A KR770001536A KR810001362B1 KR 810001362 B1 KR810001362 B1 KR 810001362B1 KR 7701536 A KR7701536 A KR 7701536A KR 770001536 A KR770001536 A KR 770001536A KR 810001362 B1 KR810001362 B1 KR 81000136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water supply
- washing
- supply pipe
- discharge por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8—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flushing pip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 급수장치의 1 실시예를 표시하는 지수시의 일부 절개 정면도.
제2도는 본 발명 급수장치의 1 실시예를 표시하는 급수시의 일부 절개 정면도.
제3도 내지 제7도는 타 실시예의 요부만을 표시하는 일부 절개 정면도.
본 발명은 변기의 급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 이 종류의 급수장치는 세정수 수조의 지수(止水)밸브를 개폐하여 여기에서 급수관을 통하여 변기로 세정수를 보내는 구성의 것이며, 급수관내는 세정시에 있어서만 세정수가 통하며, 지수시(止水時)에는 급수 종료시의 세정수가 토수구로부터 침입하는 공기보다 비중이 무겁기 때문에 토수구에서 전부 유출되어 급수관내에는 공기만 존재할 뿐 비워진다.
그 때문에 급수 개시에 있어서, 비어있는 급수관내로 유출되는 세정수는 관내를 유통하면서 관내벽의 저항을 받아서 그 힘이 감쇄됨에 따라서 토수구에서 흘러나오는 세정수의 유속 및 유량은 감소하며 지수밸브를 폐색한 급수 종료시에 있어서는 비중차에 따라서 흘러나오는 세정수의 유속 및 유량은 한층 더 감소해서 결국 변기 보울면의 오물을 씻어 내릴 수 있는 세정수의 유속 및 유량은 급수관내에 공기가 존재하지 않고 세정수가 연속하여 흐르고 있는 사이에만 얻을 수 있는 것으로서, 급수 개시 및 종료시의 토수구에서 유출되는 세정수는 보울면의 오물을 씻어내릴 힘이 없어서 효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그리고, 세정수에 오물을 씻어 내는데 족한 유속 및 유량을 부여하는 세정수 수조내의 수압은, 급수 개시할때에 먼저 오물을 씻어 내리는데 효과가 없는 수량이 유출하여서 수위가 내려가는 데에 따라서, 지수시 즉 만수시의 수압보다도 한단계 낮은 값이다.
그 때문에 오물을 씻어 내리는데 족한 소정의 수압 및 유속, 유량을 확보하게끔 세정수 수조를 대용량화 하지 않을 수 없으며, 물이 낭비되고, 그리고 특히 일반 가정용의 로우탱크의 경우, 화장실내를 좁게하여서 사용성이 손상되며, 또한 중량이 큰것이 가미되어서 부착 위치가 한정되며, 부착구도 대형화 된다.
그뿐만 아니라 지수시에 있어서 급수관내는 비어 있으며, 지수밸브는 수압에 의하여 억제되어서 폐색되며, 지수하고는 있으나 밸브 기구의 변형이나 팩킹의 취약화, 마모, 손상등에 따라서 실제로는 누수되어, 물을 낭비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결점을 해소한 것으로서, 하나의 목적은 세정시, 즉 급수개시로부터 종료할 때까지의 사이에 토수구에서 분출하는 세정수는 시종 오물을 씻어 내릴 수 있는 힘을 보유하며, 적은 수량으로서도 세정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며, 다른 또 하나의 목적은 지수시에 있어서의 누수가 없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1 실시예를 설명하면, 변기(1)의 보울면(1-a)에 면하고 있는 토수구(a)와 세정수수조(2)의 개폐자재한 배수구(b)에 걸쳐서 급수관(3)을 고정 또는 착탈자재하게 연통설치하고, 이 급수관(3)의 토수구(a)측의 일부에는 토수구(a)로부터의 공기의 침입을 방해할 수 있는 수단(4)을 갖추며, 배수구(b)의 폐구시에 있어서 배수구(b)측에 공기가 들어가지 아니하고, 급수관(3)내가 부압 상태를 나타내서, 세정수(w-1)는 배수구(b)와 공기침입방지 수단(4)과의 사의의 급수관(3)내에 저류하도록 형성한다.
변기(1)는 수세용의 서구식 또는 일본식이거나, 또는 변의 낙구(落口)에 개폐자재한 변받이 접시가 갖추어져 있는 간이 수세식의 것 등이다. 세정수 수조(2)는 변기 (1)의 상면에 직접 부착되어 있는 것 또는 변실내에 배치되는 로우탱크 및 하이탱크, 또는 빌딩 등의 옥상에 설치되는 집수 수조이며, 도면에서는 조작레버(5)에 연동되어 배수구(6)를 개폐하는 지수밸브(6)와 수위에 따라서 소정의 작동을 하는 플로오트밸브 (7)을 갖춘 로우탱크로서, 이 세정수 수조(2)는 급수관(3)을 통하여 세정수(W)를 변기(1)의 보울면(1-a)에 분출 가능하다.
변기(1)의 토수구(a)와 세정수 수조(2)의 배수구(b)를 연통시키고 있는 급수관 (3)은 금속재나 기타의 재질로부터 이루어지는 적합한 구경의 것이며, 이 급수관(3)에 갖추어지는 공기 침투방지 수단(4)은 비중이 가벼운 공기가 여기에서 배수구(b)측에 침입하지 않도록 작용하는 적어도 대략 연직상부(4-a)를 보유하는 수로이며, 구체적으로는 제1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형상 또는 제3도와 같이형상 또는 제4도의형상 또는 제5도의형상 또는형상 또는 제6도의형상 등인바, 그 수로의 형태는 도면에 표시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타 최소한 대략 연직상부(4-a)를 가지고 있는 여러가지의 형태를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지수시에 있어서 먼저 급수시부터 지수밸브(6)를 닫으면 동시에 배수구(b)에서 급수관(3)내로 흘러들어가고 있던 세정수(w-1)는 낙차에 의하여 자중으로 흘러내려서 공기 침입방지수단(4)의 수로를 통하여 토수구(a)에서 유출되려고 하지만, 배수구(b)측의 관내가 부압(負壓)상태를 나타내어, 세정수(w-1)를 끌어올리는 한편으로 공기 침입방지수단(4)의 수로가 비중이 가벼운 공기의 침입을 방해하고 또한 토수구(a)로 부터의 대기압에 의하여 세정수(w-1)는 배수구(b)와 공기 침입방지 수단(4)과의 사이의 급수관(3)내에 저류한다.
또 급수시(제2도)에 있어서는 조작레버(5)로서 지수밸브(6)를 열면 동시에 급수관(3)내에 저류하고 있던 세정수(w-1)는 자중이외에 배수구(b)에서 흘러 들어가는 세정수(w)의 압력, 즉 만수시의 수압을 받아서 순식간에 토수구(a)에서 분류하여 후속하는 세정수(w)와 아울러 힘차게 보울면(1-a)을 씻어 내리게 된다.
그리고 조작레버(5)가 복원되어 지수밸브(6)가 배수구(b)를 닫으면 동시에 이제까지 토수구(a)로 향하여 흐르고 있던 세정수(w)는 상기한 지수시와 동일하게 재차 그 흐름을 정지하여서 제1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배수구(b)와 공기 침입방지수단(4)의 수로 사이의 급수관(3)내에 저류하고 그 저류한 세정수(w-1)에 잡아 당겨져서 배수구(b)를 긴밀하고 강력하게 폐색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세정수 수조(2)의 배수구(b)와 변기(1)의 토수구 (a)의 사이에 고저의 차가 있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토수구(a)와 배수구(b)가 고저차가 없이 수평으로 위치할 경우(제7도)에서, 지수시에 있어서 배수구(b)와 공기 침입방지수단(4)의 수로의 사이의 급수관(3)내에는 세정수(w-1)가 저류하며, 급수 개시할 때에 있어서의 토수구(a)로부터는 만수시의 수압을 받은 세정수(w-1) 및 후속의 세정수(w)가 분출되어 보울면(1-a)을 힘있게 잘씻어 내리게 된다.
또 공기침입방지 수단(4)과 토수구(a)와의 사이의 거리가 짧을수록 세정수의 힘은 감쇄되지 않으며 유효하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변기의 보울면에 면한 토수구와 세정수 수조의 개폐자재한 배수구를 연통시키는 급수관 도중에 상기한 토수구로 부터의 공기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해서, 배수구가 닫힌 지수시에 있어서 세정수가 급수관내에 저류하도록 하였으므로, 배수구가 열리는 것과 동시에 급수관내에 저류하고 있던 세정수로부터 만수상태의 수압을 받아서 순식간에 토수구에서 분출하고 또한 배수구가 닫혀지는 것과 동시에 그때까지 분출하고 있던 세정수는 공기침입방지 수단위치에서 순식간에 그치고 재차 관내에 저류하며, 세정 개시에서 종료까지의 사이에 토수구에서 분류하는 세정수는 시종 힘세게 오물을 씻어 내리게 하는 것이었다.
그것에 따라서 적은 수량으로서 확실하고 유효하게 세정할 수 있다. 또 물을 낭비함이 없이 이용할 수 있어서 유익함과 아울러 수조를 소형화 할 수 있으므로 변실내를 넓게 이용할 수 있어서 사용성이 우수한 등의 여러가지의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또한 저수시에는 세정수 수조내의 수압에 억제되어 배수구를 폐색하고 있는 밸브가 급수관내의 세정수를 끌어올려서 저류시키려고 하고 있는 한편 동 세정수에 의하여 잡아 당겨져서 배수구를 다시 긴밀하며 또한 강력하게 폐색하여 누수가 방지된다.
따라서, 적은 물로서의 세정력이 우수하며 누수가 없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다.
Claims (1)
- 변기(1)의 보울면(1-a)에 면하는 토수구(a)와 세정수 수조(2)의 개폐자재한 배수구(b)를 연통시키는 급수관(3)의 토수구(a)측의 1부에 토수구(a)로 부터의 공기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적어도 대략 연직상부(4-a)의 통로를 설치한 관로를 구비하고 상기한 배수구(b)의 밸브(6)를 닫았을때에 세정수가 급수관(3)내에 저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의 급수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7701536A KR810001362B1 (ko) | 1977-07-02 | 1977-07-02 | 변기의 급수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7701536A KR810001362B1 (ko) | 1977-07-02 | 1977-07-02 | 변기의 급수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10001362B1 true KR810001362B1 (ko) | 1981-10-15 |
Family
ID=19204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7701536A KR810001362B1 (ko) | 1977-07-02 | 1977-07-02 | 변기의 급수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810001362B1 (ko) |
-
1977
- 1977-07-02 KR KR7701536A patent/KR810001362B1/ko activ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14681B1 (ko) | 넘침 방지 보조수조를 갖는 양변기 | |
US3224013A (en) | Siphonic flush commode | |
JP5013316B2 (ja) | 水洗大便器 | |
US4064572A (en) | Level actuated apparatus for delivering chemicals | |
TW200530467A (en) | Flush toilet bowl | |
JP5130802B2 (ja) | 水洗便器 | |
CA2165099C (en) | Sanitary yard hydrant | |
JP2001279767A (ja) | 水洗便器 | |
CN110409575B (zh) | 一种马桶冲水机构及其冲水控制方法 | |
KR20070097529A (ko) | 양변기 설비 | |
KR100901186B1 (ko) | 세척보울과 물탱크 사이에 역류방지 체크밸브를 갖는양변기 | |
EP0131531B1 (fr) | Perfectionnements aux installations de nettoyage central par aspiration | |
US3516094A (en) | Toilet flushing apparatus | |
KR810001362B1 (ko) | 변기의 급수장치 | |
US3579650A (en) | Venting device for toilets | |
JP6187759B2 (ja) | 水洗大便器装置 | |
US2247525A (en) | Water inlet valve for tanks | |
JP2010236201A (ja) | 水洗大便器 | |
JP4411737B2 (ja) | 水洗便器の洗浄水吐出方法 | |
JP5234484B2 (ja) | 水洗便器のエア抜き構造 | |
US2176578A (en) | Leak detector | |
JP4517848B2 (ja) | 便器洗浄装置 | |
JP4345662B2 (ja) | 洋風便器設備 | |
US5487194A (en) | Device to restore water level in toilet bowl | |
JPH04327618A (ja) | 大便器のジェット給水装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