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1225B1 - Soil irrigation system - Google Patents

Soil irriga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1225B1
KR810001225B1 KR7800876A KR780000876A KR810001225B1 KR 810001225 B1 KR810001225 B1 KR 810001225B1 KR 7800876 A KR7800876 A KR 7800876A KR 780000876 A KR780000876 A KR 780000876A KR 810001225 B1 KR810001225 B1 KR 810001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pe
soil
irrigation
drain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8008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죠지 로이드 헨리
Original Assignee
죠지 로이드 헨리
베르디올 인터내셔날 악티엔게셀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죠지 로이드 헨리, 베르디올 인터내셔날 악티엔게셀샤프트 filed Critical 죠지 로이드 헨리
Priority to KR7800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122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1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122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3/00Irrigation ditches, i.e. gravity flow, open channel water distribut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An apparatus comprises; subterranean distribution pipes for distributing water to overlaying soil, each pipe having a perforated upper wall whose outer surface is covered with water permeable means for preventing said overlaying soil from fouling the perforations of said upper wall, and means integral with the retaining said water permeable means in its covering relationship with said upper wall.

Description

[발명의 명칭[Name of invention]

토양 관개(灌漑) 장치Soil irrigation system

[도면의 간단한 설명][Brief Description of Drawings]

제1도-제5도는 본 발명 관계장치에 따른 여러가지 양태의 개략도.1 to 5 are schematic diagrams of various aspect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제6a도와 b도는 급수파이프 하나의 측면 및 두개의 측면에 장착된 급수파이프의 개략도.6a and b are schematic views of a water supply pipe mounted on one side and two sides of the water supply pipe.

제7a-e도는 확대한 급수파이프 분지부(分指部)의 사시도, 측면도와 단면도.Fig. 7a-e is a perspective view, a side view, and a sectional view of an enlarged water supply pipe branch.

제8a, b도는 배수(配水)파이프의 단면도와 상평면도.8a and b are cross-sectional and top plan views of the drainage pipe.

제9a도 및 제9b도는 배수파이프 연결지점의 배열단면도,9a and 9b is an arrangement cross-sectional view of the drain pipe connection point,

제10a-f도는 제8도의 배수파이프 외형에 따른 배수파이프 외형의 여러가지 단면도이다.10A to 10F are various cross-sectional views of the drain pipe outline according to the drain pipe outline of FIG.

[발명의 상세한 설명]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살수관개(殺水灌漑), 담수(潭水)관계, 고랑(誥琅)관계와 지상배관관개 ( overhead irrigation )등과 같은 종래의 토양관개장치 중에서 지중배 관개 (sub terranean irrigation)는 식물을 재배하는 경각지를 우한 가장 오랜 유형의 관개에 속한다.Sub-terranean irrigation is one of the conventional soil irrigation systems such as sprinkling irrigation, freshwater relationships, furrows, and overhead irrigation. It is one of the oldest types of irrigation in Wuhan.

식물은 오직 수용성 화합물 상태로서만 영향분을 섭취한다. 그러나 과량의 물은 대부분의 식물에 유해하고 또한 부식을 일으킬수 있다. 그러므로 물을 규칙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상태에서 공급하고 배수를 원할히 이루어지게 한다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The plant only consumes the effect as a water soluble compound. However, excess water is harmful to most plants and can cause corrosion.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supply water in a state where water can be regularly suppressed and to smoothly drain water.

살수(殺水)에 의한 관개는 온대지역의 원예와 집약재배에 특히 유용하며 더운 지역이나 토양 또는 물에 염분할량이 많은 지역에서는 유용하지 못하다는 것은 잘 알려져 왔다. 이는 살수하는 중에 증발에 의한 물 솔실을 무시할 수 없기 때문이다. 담수에 의한 관개는 매우 많은 양의 물이 소요되는데 이러한 유형의 관개는 녹은 양의 물을 구득할 수 있는 곳에서만 사용된다. 도랑관개는 기술적인 일에 상당한 소요경비를 지출하지 않고도 실시될 수있는 농업에 유용하나 그러나 이는 증발과 침투에 의하여 물의 손실이 크므로 많은 양의 물이 소요된다. 이미 기술된 관개는 넓은 지역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느다.It has been well known that irrigation by sprinkling is particularly useful for horticultural and intensive cultivation in temperate zones and not in hot areas or in areas with high salt salinity. This is because the water brush caused by evaporation cannot be ignored during watering. Fresh water irrigation requires a very large amount of water, and this type of irrigation is used only where it is possible to obtain molten water. Ditch irrigation is useful for agriculture, which can be carried out without having to spend a considerable amount of money on technical work, but it requires a large amount of water because of the large loss of water by evaporation and penetration. Irrigation already described is rarely used in large areas.

종래의 지증배관 관개는, 흡입밸브와 출구밸브를 단 하나의 스로로 이루어진 지중에 있는 배수파이프(distribution pipe)에 장치하므로 출구밸브둘이 압력 조절되어야만 하는데 이 밸브는 파이프와 파이프간의 시스템이 수압이 정지압력보다 실지로 더 클때까지 개방되지 않는다. 또한 흡입밸브는 배수를 독적으로 하는데, 이 밸브는 토양이 과량의 물을 포함하였을때 개방되져야한다.Conventional distillation pipe irrigation is equipped with a suction pipe and an outlet valve in a distribution pipe in the ground consisting of only one throw, so that both outlet valves must be pressure-controlled. It does not open until it is actually greater than pressure. The intake valve also drains independently, which should be opened when the soil contains excess water.

그러나 관개장치는 밸브시이크(변좌 : 辨座)가 깨끗할때에 한해서만 완전하게 작용한다. 아주 적은 양의먼지 즉 모래알 또는 흙등은 이 장치를 작동하지 못하게 하므로 결함이 없는 관개 또는 배수를 하지 못하게 할수 있다.However, the irrigation system is only fully functional when the valve slick is clean. Very small amounts of dust, such as grains of sand or dirt, can make the device inoperable, which can prevent flawless irrigation or drainage.

본 발명이 목적은 밸브 없이도 관개와 배수 모두를 할 수 있고, 유지비가 소요되지 않으며, 최소의 작동비만이 소요되는 과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물을 거의 얻기 어려운 사막 또는 초원같은 건조한 지역의 개발과 도시화를위하여 이러한 관개장치는특별히 요구된다. 또한 물이 점차로 귀해져가는 온대지역에서도 이러헌 관개장치를 필요로하게 되었다. 또한 공원 및 운동장 잔디가 일반인에 항상 사용되고 물을 공급하는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됨으로 인하여 지상 배관 관개를 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관개장치는 이러한 목적등을 달성할 수 있으며 또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각각의 배수지점은 급수파이프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분지의 부분품으로 이루어지는데 배수파이프는 급수파이프에 대하여 플러그연결형태의 분지부분품에 의하여 수직으로 배열되도록 하였다. 배수파이프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채널부위와 대지표면에 면하여 있는 요구와 같이 튜우브 외형을 이루고 있는데 이 요구는 배수파이프전장에 걸쳐 연장하도록 하였다. 그에 의하여 이 요구의 기부는 튜우브 외형과 일체로 형성한 덮개판의 외측부를이루며, 여기에서의 기부에는 채널부위에 끝을 이루고 있는 단부상에 여려개의 개구부가 천설되도록 하였고, 이 요구는 서로 마주보고 있는 백 테이퍼(back taper)와 더불어 한쌍의 캠(cam)에 의하여 형성된다. 덮개관과 캠이 백테이퍼 일측에 있는 필터는 요구에 위치되어 채널부위로부터 흘러나오는 물의 양을 조정하고 모래와 토양이 개구부로 들어가지 못하게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rrigation device capable of both irrigation and drainage without a valve, no maintenance costs, and minimal operating costs. This irrigation system is especially needed for the development and urbanization of dry areas such as deserts or grasslands where water is hardly available. Also in temperate zones where water is becoming more and more precious, these systems are needed. In addition, because the park and playground grass is always used by the public and it takes a lot of time to supply water, the ground pipe irrigation is not possible. Therefore, the irrig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chieve such an object and also has the following features. Each drain point consists of at least one part of the branch connected to the feed pipe, which is arranged vertically by a plug-connected branch part with respect to the feed pipe. The drain pipe has a tubular appearance, such as a requirement facing at least one channel area and the ground surface, which extends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drain pipe. The base of this request thereby forms the outer part of the cover plate which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tubular contour, in which the base has several openings on the end which end at the channel part. It is formed by a pair of cams with a back taper looking. A filter with a cover tube and cam on one side of the back taper is placed on demand to adjust the amount of water flowing out of the channel and prevent sand and soil from entering the opening.

본 발명을 철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iron drawings as follows.

본 발명에 따른 토양관개장치의 배치구로 다섯가지를 제1도-제5도에 도시하였다. 도면에 부호(1)의 지점은 펌프장 또는 관개장치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원(이후 펄프장도 급수언이라 통칭함)을 나타낸다. 제1도에 있어서 단하나의 급수파이프(2)가 장치되고 여기에 배수파이프(4)가 각 분지의 부분품(3)에 의하여 연결되었다. 급수파이프 (2)에 대하여서는 제6a도와 제7a도에서 다음에 상세히 기술되며, 배수파이프(4)에 대하여서는 제8a도, 제8b도, 제9a도, 제9b도와 제10a-10f에서 다음에 상세히 기술하고자 유출개구부(outflow opening)(5)는 제9도에서 다음에 기술되는 바와같이 배수파이프(4)를 따라 배열된다.Five arrangements of the soil irrig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shown in FIGS. Point 1 in the figure indicates a water supply source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pulp field) that supplies water to a pump station or irrigation system. In FIG. 1, only one feed pipe 2 is provided, to which a drain pipe 4 is connected by a part 3 of each branch. The water supply pipe 2 is described in detail in FIGS. 6a and 7a in the following, and the drain pipe 4 is described in the following in FIGS. 8a, 8b, 9a, 9b and 10a-10f. Outflow openings 5 are arranged along the drainage pipe 4 as will be described next in FIG.

각 배수파이프(4)의 외측단부에 공기제거기(6)은 에어포켓(air pocket)이 생기지 않도록 위치된다.At the outer end of each drain pipe 4, the air remover 6 is positioned so that an air pocket does not occur.

급수 파이프(2)와 배수파이프(4)는 실지로 수평하게 배치시키거나 또느 땅속에 연결지점을 향하여 약간 경사지게 배치시킨다. 급수파이프와 배수파이프안에서의 압력은 각각의 유출개구부에 실지로 동일한 양의 물이 공급되게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토양에 담수현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선택된다. 전체의 관개지역에 탐침(도시안됨)이 배열되어 토양의 수분함수량(moisture content)을 측정하도록 할수 있다.The water supply pipe 2 and the drain pipe 4 are actually arranged horizontally or slightly inclined toward the connection point in the ground. The pressure in the feed and drain pipes is selected to ensure that each outlet opening is supplied with an equal amount of water and, on the other hand, that fresh water does not occur in the soil. Probes (not shown) can be arranged in the entire irrigation area to measure the soil's moisture content.

제2도에서는 2개의 바람직한 병렬급수파이프부(8),(8'),의 연결지점 또는 그 가까이에 위치시켰다.In FIG. 2, two preferred parallel water supply pipes 8, 8 'are located at or near the connection point.

이러한 파이프장치의 배수파이프는 이를 전길이의 중심을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되어 배수가 잘 이루어지도록 하였다.The drain pipe of such a pipe device is disposed to be inclined toward the center of the entire length so that the drainage is made well.

제 3도는 개별적인 관개지역 A,B와 C가 단일 급수원(1)에 의하여 각각의 급수파이프(13),(14)와 (15)를 지나 공급되게한 실예의 개략도이다. 관개지역 A-C는 높이가 다른 층개식지역, 또는 물의 소요량이 다른 경작지, 또는 서로 상당한 거리로 떨어져있는 농원일수도 있다. 여려개의 배수파이프(15),(16)과 (17)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이 급수파이프(12),(13),(14)에 연결된다. 공기제거기(12')(13')(14')는 각각의 급수파이프의 단부에 배열되며 공기제거기(15')(16')(17')는 각각의 배수파이프(15)(16),(17)의 단부에 배열된다. 배수파이프(12)(13)(14)는 단일지역(A),(B)와 (C)의 높이 또는 급수원(1)로부터 떨어진 거리에 따라 다양한 출력의 압력으로 유지된다. 이는 각 배수파이프에 각각의 유출개구부가 실지로 동일한 양의 물을 공급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담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1도와 제2도에 따른 장치에 배수 (排水)장치(도시안됨)가 작용되게 할 수 있는데 이 배수(排水)장치는 관개장치의 설치지역 어느 지점에서도 물을 제거할 수 있다.3 is a schematic illustration of an example in which individual irrigation zones A, B and C are fed through a respective feed pipe 13, 14 and 15 by a single feed source 1. Irrigation areas A-C may be stratified areas with different heights, arable land with different water requirements, or plantations with significant distances from each other. Several drain pipes 15, 16 and 17 are connected to feed pipes 12, 13 and 14,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The deaerators 12 ', 13' and 14 'are arranged at the ends of each feed pipe, and the deaerators 15', 16 'and 17' are respectively drain pipes 15 and 16, It is arranged at the end of 17. The drain pipes 12, 13 and 14 are maintained at various output pressures depending on the height of the single zones A, B and C or the distance from the water supply 1. This is to allow each outlet opening to supply the same amount of water to each drain pipe. In order to prevent fresh water, a drainage device (not shown) may be applied to the device according to FIGS. 1 and 2, which can remove water at any point of the irrigation installation. have.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관개장치를 나타내는데 이 관개장치는 경작지에 물을 공급하는 이외에 배수(排水)를 할수 있는 장치로 이루어졌다. 배수파이프(20)은 급수파이프에 연결되고, 배수(排水)채널(21)은 배수(排水)파이프에 병렬로 배치되어 개별적으로 설치되고 집수파이프(22)에 연결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이후 제10a도와 제10e도에 의하여 기술되는 바와 같이 배수파이프의 일부로 통합할 수 있다. 또한 집수파이프(22)의 일측단부에 배수(排水)피트(drainage pit)(23)를 설치하여 배수(排水)되는 물이 집수되게 하였다. 물론 이는 물이 충분치 못할 경우 관개장치로 다시 회수할 수 있다.4 shows an irrig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consists of a device capable of draining water in addition to supplying water to arable land. The drain pipe 20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and the drain channel 21 is disposed in parallel to the drain pipe and separately installed and connected to the collecting pipe 22, or otherwise referred to as FIG. It can be integrated as part of the drain pipe as described by 10e degrees. In addition, a drainage pit 23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collecting pipe 22 to collect the drained water. Of course, this can be recovered back to the irrigation system if there is not enough water.

제4도는 따른 관개장치의 경우에 있어서, 배수(排水)파이프(20)를 급수파이프 (19)에 대하여 하향으로 기울어지게 놓고 그 외측단부에 공기제거기를 장치하는 것이 적당하다.In the case of the irrigation system according to FIG. 4, it is appropriate that the drain pipe 20 is incline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feed pipe 19 and an air remover is installed at the outer end thereof.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례이며, 이는 외측단부에 공기제거기(26)으로 배열시킨 급수파이프(25)를 나타낸다. 급수파이프(25)양측에는 배수(排水) 파이프 (27)가 연결되고 또한 배수(排水)파이프를 장치시켰다. 배수파이프(27)와 배수(排水) 파이프(28)는 급수파이프(25)로 부터 완만하게 하향으로 경사지게하여 배수(排水) 하고자 하는 물이 집수파이프(29)로 플러나오게 하였다. 이 물은 배수(排水) 피트(30)로 흐로고 또한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급수원(1)에 연결시킬 수 있다. 제6a도 및 하나 또는 2개의 측면에 위치시킨 연결부분품(33,34)로 이루어진 급수파이프(31,32)의 길이를 나타내며 여기의 연결부분품은 급수파이프를 따라 서로 80-120cm의 거리를 두고 배열되었다. 연결슬리이브(35)는 파이프(31)(32)의 일측단부에 배열되어 급수파이프를 형성하도록 하였다.5 is another examp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shows a feed pipe 25 arranged with an air remover 26 at its outer end. A drainage pipe 27 is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water supply pipe 25, and a drainage pipe is provided. The drainage pipe 27 and the drainage pipe 28 were gently inclined downwardly from the feedwater pipe 25 so that the water to be drained flowed out into the collecting pipe 29. This water flows into the drain pit 30 and can also b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1 as shown in FIG. 6a and the lengths of the water supply pipes 31 and 32 consisting of the connection parts 33 and 34 positioned on one or two sides, wherein the connection parts are arranged at a distance of 80-120 cm from each other along the water supply pipe. It became. The connecting sleeve 35 is arranged at one end of the pipes 31 and 32 to form a water supply pipe.

제7a도, 제7b도 및 제7c도에는 제6a도에 따른 급수파이프(31)에 대한 배수(排水)파이프의 결합부위와 연결지점을 일부는 측면도로써 일부는 단면도로써 상세히 도시되었다. 동일부품들은 제6a도와 제7a-7c도에 동일한 참고부호로 표시되었다. 특히 제7a도에서 알수 있는 바와 같이 연결슬리이브(35)는 인접파이프간(도시안됨)의 단부 또는 T자형 및 십자형 분지부분품(도시안됨)이 삽입되어 플러구로써 배열되었다. 연결부분품(33)은 파이프(31)의 길이에 걸쳐 여러곳에 측면으로 돌출시켰으며 이 연결부분품의 형태는 제8도에 도시된 형태의 배수(排水)파이프가 직접 삽입될 수 있도록 선택되었다. 연결부분품(33)은 자체의 안정도를 좋게 하기 위하여 보강부재(36)이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연결부분품(33)은 자체의 배수파이프(37)의 단부는 연결부분품내로 삽입된다. 또한 연결부분품은 배수파이프의 각 단부가 연결부분품의 외측면위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십자형 분기부분품(3)은 제1a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배수파이프의 연결을 위한 렌즈형의 부분품일수도 있다.Figures 7a, 7b and 7c are shown in detail in cross-sectional view, partly in side view, with a part of the joint and the connection point of the drainage pipe to the feed pipe 31 according to Fig. 6a. The same parts are indica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FIGS. 6a and 7a-7c. In particular, as can be seen in FIG. 7A, the connecting sleeve 35 is arranged as a plug by inserting end portions between adjacent pipes (not shown) or T-shaped and cross-shaped branch parts (not shown). The connecting part 33 protruded laterally in several places over the length of the pipe 31, and the shape of this connecting part was selected so that the drain pipe of the type shown in FIG. The connecting part 33 may be arranged with a reinforcing member 36 to improve its stability. In this type of connecting part 33, the end of its drain pipe 37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part. The connecting part can also be formed such that each end of the drain pipe can be inserted on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ng part. The other cruciform branched part 3 may be a lenticular part for the connection of the drain pipe, as shown in FIG. 1a.

초승달 모양의 횡단면(39)로 이루어진 형성된 오목한 덮개판(over plate)(42) 지지벽(40)의 단부(41)에 연결된다. 덮개판(42)는 일정한 간격a와 b(세로및 가로)로 배열된 직경이 2.5-3.5cm인 여려개의 개구부(43)으로 이루어졌는데, 이 개구부는 통도채널(39)로부터 배수파이프 주위의 토양에 물이 공급되도록 한다. 지지캠(hold ingcam)(44)의 지지벽(40)과 연결지점(41)에 덮개판(42)사이에 배열시켰으며, 이들 캠은 덮개판(42)의 표면과 함께 요구(50)을 형성하는데 이 안에는 점선으로 표시된 다공성이 모세괸 덮개층(45)가배열되었다. 덮개층(45)의 물질은 가급적 내식성의 불직(不稙)유리섬유물질 또는 플라스틱이 좋다It is connected to an end 41 of a support wall 40 formed with a concave over plate 42 formed of a crescent cross section 39. The cover plate 42 is made up of several openings 43 having a diameter of 2.5-3.5 cm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 and b (vertical and horizontal), which are soils from the through-channel 39 around the drain pipe. Make sure that the water is supplied. Arranged between the cover plate 42 at the support wall 40 and the connection point 41 of the holding cam 44, these cams together with the surface of the cover plate 42 make a demand 50. Formed therein is a porous capillary capping layer 45 arrayed in dotted lines. The material of the cover layer 45 is preferably a corrosion-resistant non-woven glass fiber material or plastic.

덮개층의 두께는 사용하고자 하는 물질에 따라 다르며 보통 0.5-2.5cm인데, 불직유리섬유는 가급적 mm의 두께로 하고, 다공성의 거품수지로는 약 5-6mm가 좋다. 덮개층의 기능은 모래 또는 토양의 분진이 개구부(43)와 통도횡단면(29)으로 들어오지 못하게 한다. 또한 덮개층은 물의 자유흐름을 억제하도록 작용하여 물이 급수파이프 가장 가까운 개구부(43) 뿐만 아니라 비교적 멀리 떨어져 있는 개구부를 관통하여 흘러나오게 하였다.The thickness of the cover layer depends on the material to be used and is usually 0.5-2.5cm. Nonwoven glass fiber is preferably as thick as mm, and porous foam resin is about 5-6mm. The function of the covering layer prevents dust or sand dust from entering the opening 43 and the cross sectional passage 29. In addition, the cover layer acts to suppress the free flow of water so that the water flows not only through the opening 43 closest to the water supply pipe but also through a relatively distant opening.

한편으로는 필요에 따라 배수파이프가 매우 길 수도 있으나 다른 한편으로는 사용장소까지 안전한 운반및 수송을 위하여 단일 파이프가 4-6mm길이 이상은 넘지 않도록 하기 때문에 연결 슬라이브(38)은 파이프 단부에 확실히 연결되도록 필요가 있다. 이러한 유형의 슬리이브 제9a도와 제6b도에 도시되었는데 이슬리이브의 형태는 사용하고자하는 배수(排水)파이프의 제9a도에 따라 단면으로 도시되었다. 슬리이브 (38)은 자체길이의 적어도 1/3이상 연장하고 인접 배수(排水)파이프 단부를 조이도록 형성된 백페이퍼(back taper)(46)으로 이루어진다. 스톱 쇼올더(stop shoulder)(47)은 파이프 내측단부에 있는 용기부(elevation)(48)의 양측면상에 배열되어 두개의 배수파이프 말단사이의 완층지점에서 슬리이브(38)을 중앙에 위치시키도록 하였다.On the one hand, the drain pipe can be very long, if necessary, but 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ng slab 38 is secured at the pipe end, since the single pipe is no longer than 4-6 mm long for safe transportation and transportation to the site of use. It needs to be connected. This type of sleeve is shown in Figures 9a and 6b, the shape of which is shown in cross section according to Figure 9a of the drain pipe to be used. The sleeve 38 consists of a back taper 46 formed to extend at least one third of its length and to tighten the adjacent drain pipe ends. A stop shoulder 47 is arranged on both sides of an elevation 48 at the inner end of the pipe to center the sleeve 38 at the bottom point between the two drain pipe ends. It was made.

용기부(48)의 종방향 중심지점에, 보강제(39)는 슬리이브938)을 보강작용 하도록 개별적으로 위치되어 배수파이프연결을 보강하였다.At the longitudinal center of container portion 48, reinforcement 39 is individually positioned to reinforce sleeve 938 to reinforce drain pipe connections.

제8도와 제9도는 초승달모양의 단면과 단하나의 개구부로 이루어진 배수파이프를 나타내며, 제10a,10c10d와 10f도는 단하나의 개구부로 이루어진 또다른 단면의 모양을 나타낸다. 제10a도에서는 배수파이프의 단면은 반원형의 벽 (51)으로 도시되었는데, 이 벽의 내측면은 덮개판(52)와 일체로 형성되었다. 벽(51)과 덮개판(52)로 형성된 하측부분은 렌즈형 통도채널(53)을 이루고 있으며, 개구부(54)는 덮개판(52)의 외측면에 형성시킨다.8 and 9 show a drain pipe consisting of a crescent-shaped cross section and a single opening, and FIGS. 10a, 10c10d and 10f show another cross-section consisting of a single opening. In FIG. 10A, the cross section of the drain pipe is shown as a semicircular wall 51, the inner side of which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ver plate 52. As shown in FIG. The lower portion formed by the wall 51 and the cover plate 52 forms a lens-shaped through channel 53, and the opening 54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 plate 52.

종단면도에서 내측으로 향하고 있는 캠(55)는 벽(51)의 각 상단부에 형성된다. 덮개판(52)의 외측표면부에 의하여 캠은 요구(56)로 형성되며, 또한 제89도에 기술된 바와같이 작용하도록 유연한 다공성의 재료료된 외형제의 덮개층(56)으로 이루 어졌다. 이미 기술된 바와 같이 덮개층은 평탄한 재료이며, 이 덮개층의 중간부분은 덮개판(52)의 상부에 위치하고, 제8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이 별부는 캠(55)에 의하여 내측면상에서 지지된다.Cams 55 facing inward in the longitudinal section are formed at each upper end of the wall 51. By the outer surface portion of the cover plate 52, the cam is formed of a request 56, and also made of a cover layer 56 of a porous porous material that is flexible to act as described in FIG. As already described, the cover layer is a flat material, the middle part of which is located on top of the cover plate 52, and as shown in FIG. 8, this separate part is supported on the inner side by the cam 55. .

제10c도에서는 상기와 유사한 형태의 배수파이프중 하나는 단면이 도시되었다. 단면으로 반원형인 벽(60)의 내측면에는 평탄한 덮개판(61)이 있으며, 이 덮개판은 벽(60)의 하측부분과 더불어 배수파이프의 외측과 연결된 채널(62)로 형성하고 있다.In FIG. 10C, one of the drain pipes of a similar type to the above is shown in cross section. On the inner side of the wall 60, which is semicircular in cross section, there is a flat cover plate 61, which is formed by a channel 62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drain pipe together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wall 60.

제10c도와 제10f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파이프와 또다른 실예의 단면을 나타내며 여기에서 외형을 결정하는 외측벽(70)은 3부분으로 이루어진다. 두개의 도면에서 동일한 부분품들은 동일한 부호로 표시된었다. 외측및 상향으로 경사진 측벽(72)는 수평의 기부(71)위에 형성된다. 측벽(72)는 수평의 기부(72)위에 형성된다. 측벽(74)는 이들의 상단부에서 내측으로 향한 캠을 포함한다. 측벽(72)의 내측에, 덮개판(74)가 형성되게 하여 기부판(71)과 측벽(72)와 더불어 통도채널(75)를 형성하였다. 각각의 덮개판(74)에는 채널 (75)로 이루어지게한 배수파이프둘레에 개구부(74)가 친설되었다. 캠(74)와 덮개판(74)의 상부축은 덮개층(도시안됨)이 중심이 있게한 요구(77)를 형성하였다.10C and 10F show a cross section of a drain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nother example, wherein the outer wall 70 that determines the appearance consists of three parts. In the two figures the same parts are indica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Outwardly and upwardly inclined sidewalls 72 are formed above the horizontal base 71. Sidewalls 72 are formed above the horizontal base 72. The side wall 74 includes a cam facing inward at their upper end. Inside the side wall 72, the cover plate 74 was formed to form a through channel 75 together with the base plate 71 and the side wall 72. Each cover plate 74 is fitted with an opening 74 in the circumference of the drain pipe, which is made up of a channel 75. The upper axis of the cam 74 and cover plate 74 formed a demand 77 with the cover layer (not shown) centered.

제10b도와 제10c도는 배수파이프의 단면을 나타내는데, 이 배수파이프의 외측벽(80)(81)은 제8a도, 제10a도 제10d도에서와 같이 상기와 유사하게 형성된다.10b and 10c show the cross section of the drain pipe, and the outer walls 80 and 81 of the drain pipe are formed similar to the above as in FIGS. 8a, 10a and 10d.

그러나 제10b도와 제10e도에서, 단일 채널의 속이 비어있는 외형은 3개의 개별적인 공간 즉 채널(82)(83)(84)로 분할된 것이며, 이 채널들은 상부에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덮개판(85)에 의하여 형성된다. 제 10b도및 제10e도에 따라 2개의 배수(排水)파이프단면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들은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었다.However, in FIGS. 10B and 10E, the hollow contour of a single channel is divided into three separate spaces, channels 82, 83 and 84, which channels are continuously connected to the top plate 85. Is formed. Parts performing the same function as the two drain pipe sections according to FIGS. 10B and 10E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채널(82)와(84)에는 각각의 채널로 이루어진 배수파이프를 둘레의 상부에 개구부(86)(87)이 친설되었다.Openings 86 and 87 were install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circumference of the drain pipe formed of the respective channels in the channels 82 and 84.

채널(82)와(84)는 급수파이프로부터 나오는 관개수를 개구부(86)(87)로 공급하도록 설계된것이다. 중간의 채널(83)은 배수(排水)채널로서 설계된 것이며, 간량의 초과물이 인입개구부(88)및 (89)로 흘러 들어오게 형성되었다. 또한 밑바닥이 개구된 채널(83)은 채널(82)(82)과(84)와 개별적으로 연결시키므로 관개목적으로 사용될수 있다.Channels 82 and 84 are designed to supply irrigation water from the feed pipe to openings 86 and 87. The intermediate channel 83 is designed as a drainage channel, and a large amount of excess is formed to flow into the inlet openings 88 and 89. The bottom opening channel 83 can also be used for irrigation purposes because it connects to the channels 82, 82 and 84 separately.

제10a도와 제10e도에 따라 배수파이프는 제4도와 제5도에 따라 측조된 관개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다. 물론 과량의 초과된 물(비,관개수의 초과량)을 배수(排水)하는 것은 급수파이프가 연결되는 경우에 따라 상부으 개구부에 의하여 조정될수도 있다. 또한 제1도-제3도에 따른 관개장치는 제10b도와 제10e도에 도시도니 바와 같은 ㅍ파이프로 이루어질수 있다.Drain pipes according to FIGS. 10a and 10e can be used in irrigation arrangements according to figures 4 and 5. Of course, the drainage of excess excess water (rain, excess of irrigation water) may be adjusted by the openings at the top, depending on where the feed pipe is connected. In addition, the irrigation apparatus according to FIGS. 1 to 3 may be made of pipes as shown in FIGS. 10b and 10e.

상기와 같은 급수파이프, 배수(排水), 공기제걱, 연결슬라이브, 단부 부분품에 대한 재료는 여려가지 이유에 의하여 가급적 플라스틱이 좋다. 플리프로필렌, 폴리이틸렌과 염화폴리비닐 플라스틱은 다음 가장 적당한 재료이다 . 이 플라스틱의 특성은 표에 의하여 알수 있다. 이 표는 플라스틱이 어느 특정한 장치에 대해서 가장 유리한가를 보여준다.The material for the water supply pipe, the drainage, the air spatula, the connecting slave, and the end part is preferably plastic for various reasons. Polypropylene, polystyrene and polyvinyl chloride plastics are the next most suitable materials. The properties of this plastic can be seen from the table. This table shows which plastic is most advantageous for a particular device.

Figure kpo00001
Figure kpo00001

경작지 관개를 위한 본 발명의 장점들은 다음과 같다.The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rable land irrigation are as follows.

-물이 식물의 뿌리가 있는 지역에 정확하게 공급된다.Water is supplied exactly to the plant's rooted area.

-물이 증발 또는 침투로 인한 손실을 최소로 줄일 수 있다.Water losses due to evaporation or penetration can be reduced to a minimum.

-토양으로 가는 물의 양이 경작에 따라 용이하고도 정확한게 조정될 수 있다.-The amount of water going to the soil can be adjusted easily and accurately according to the cultivation.

-급수되는 물의 비료성분을첨가시킬수 있다.-It can add fertilizer of water.

-전도도, 온도와 pH값에 대하여 물의 질을 연속적으로 조절할수 있다.-The quality of water can be continuously adjusted for conductivity, temperature and pH value.

-토양의 수분함량이 비교적 용이하게 측정되고 목적한 바에 따라 관개를 할 수 있으며 가능하다면 자동적으로 조정되게 할 수 있다.Soil moisture content can be measured relatively easily, irrigated as desired and automatically adjusted if possible.

-라이프에 쉽게 공기를 빼내고 환기시킬수 있다.-Easily ventilate and ventilate the life.

Claims (1)

본문에 도시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급수원으로 부터 관개하고자 하는 토양부위에 위치된 배수지점의 부재에 까지 공급수의 흐름을 조절하는 장치(2,8,8'-12-14,19;25;31;32) 상기의 부위에 대하여 물의 배수를 균일하게하는 장치(45;9;15-17;20;27; 제8a도;제8b도; 제9a도)와 급수원(1)로부터 배수지점(3;33)까지 흐르는 물을 조절하도록 토양의 수분을 측정하는 수단을 갖는 경작지의 관개를 하는 토양관개장치에 있어서, 각각의 배수(排水)지점 (3;33)을 적어도 하나이상의 본지부분품(33;34)에 의하여 급수파이프(31;32)에 연결되게하여, 급수파이프(4;9;15-17;20;27;제8도; 제9도)가 플로그 연결(제7도) 형태로 된 분지부분품으로 부터 이어지는 급수파이프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열되게 하였고, 또한 적어도 하나이상의 채널부위(39;53;62;75;82;84)및 배수(排水)파이프 전장에 걸쳐 연장함과 동시에 지표면에 면하게한 요구(50;56;65;77;91)와 더불어 튜우브 외형을 이루게 하되 요구의 기부를 튜우브외형과 일체로한 덮개판(42;51;62;77;85)으로 외측면을 형성하고, 상기 채널부위에 끝부분에 있는 여려개의 개구부(43;54;86;87;63;76;87)를 상기요구에친설하였으며, 상기의 요구를 서로 면하고 있는 벡테이퍼와 더블어 한쌍의 캠(44;55;64;73;90)에 의하여 측방향으로 제한되게 형성시키고 덮개판과 캠의 벡테이퍼의 일측상에 있는 필터(45;47)를 요구에 위치시켜 채널 부위로부터 흘러나오는 물의 양을 조절하며 또한 모래와 흙이 개구부로 들어가지 못하게함을 특징으로한 토양관개장치.As shown in the text and described above, an apparatus for regulating the flow of feed water from the water supply source to the absence of drainage points located in the soil areas to be irrigated (2,8,8'-12-14,19; 25; ; 31; 32) apparatus for equalizing the drainage of water with respect to the site (45; 9; 15-17; 20; 27; FIG. 8a; FIG. 8b; FIG. 9a) and the drainage from the water supply source 1; In a soil irrigation system for irrigation of arable land with means for measuring the moisture of soil to regulate the water flowing to point (3; 33), each drain point (3; 33)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main part. (33; 34) is connected to the feed pipe (31; 32), so that the feed pipe (4; 9; 15-17; 20; 27; FIG. 8; FIG. 9) is connected to the plug (FIG. 7). It is arranged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feed pipe leading from the branched part in the form, and also extends over at least one channel portion (39; 53; 62; 75; 82; 84) and the drain pipe. A cover plate (42; 51; 62; 77; 85) which forms a tubular shape with the drawer (50; 56; 65; 77; 91) facing the surface at the same time as the drawer, but the base of the request is integral with the tubular shape. The outer side of the channel is formed, and several openings 43; 54; 86; 87; 63; 76; 87 are formed at the ends of the channel part. The taper and the doubler are formed laterally limited by a pair of cams 44; 55; 64; 73; 90, and the cover 45 and the filter 45; 47 on one side of the back taper of the cam are positioned on demand. A soil irrigation system that controls the amount of water flowing from the site and prevents sand and soil from entering the openings.
KR7800876A 1978-03-29 1978-03-29 Soil irrigation system KR81000122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0876A KR810001225B1 (en) 1978-03-29 1978-03-29 Soil irrig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0876A KR810001225B1 (en) 1978-03-29 1978-03-29 Soil irrigation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1225B1 true KR810001225B1 (en) 1981-09-29

Family

ID=19207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800876A KR810001225B1 (en) 1978-03-29 1978-03-29 Soil irrigat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122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1062B1 (en) * 2005-08-04 2006-08-09 김경식 Tree planting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1062B1 (en) * 2005-08-04 2006-08-09 김경식 Tree planting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80348A (en) Subsurface irrigation and drainage system
US4140421A (en) Soil irrigation system
US6237283B1 (en) Linked sub-irrigation reservoir system
US3461675A (en) Watering and drainage system
US2817956A (en) Soil moisture-controlled irrigation system
US20220142065A1 (en) Liquid Containment and Focus for Subterranean Capillary Irrigation
CA1052110A (en) Apparatus for irrigating and draining playgrounds and sports fields
CN206486302U (en) Planting greenhouse water circulation comprehensive utilizes system
WO2009028702A1 (en) Subirrigation system
US20020017055A1 (en) Linked sub-irrigation reservoir system
CN201067719Y (en) Root irrigating pipe and root irrigating system
KR810001225B1 (en) Soil irrigation system
CA2016375C (en) Portable watering & drainage system & combined heating system
WO1992004823A1 (en) Soil irrigation and drainage system
CN208167442U (en) Sponge urban path tree supports system
US5036619A (en) Capillary irrigation system
JP5187752B2 (en) Underground irrigation system and double pipe unit used therefor
US2359981A (en) Irrigating system and device
JP2006296230A (en) Wall surface greening system
US20030052183A1 (en) Water storage reservoir for an underground watering system
JPH0458836A (en) Control system for lawn soil
JPS6222572B2 (en)
SU1631121A1 (en) Drying and watering system
CN211982832U (en) Roof garden afforestation system
CN213755851U (en) Device for avoiding interference of external factors on potted test pla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