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1133B1 - 디티에피노[1, 4][2,3-c] 피롤유도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디티에피노[1, 4][2,3-c] 피롤유도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1133B1
KR810001133B1 KR1019810002606A KR810002606A KR810001133B1 KR 810001133 B1 KR810001133 B1 KR 810001133B1 KR 1019810002606 A KR1019810002606 A KR 1019810002606A KR 810002606 A KR810002606 A KR 810002606A KR 810001133 B1 KR810001133 B1 KR 8100011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thiepino
pyrrole
group
general formula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2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마르트 크로오드
레이 레이저 아안드
Original Assignee
로오느-푸우랜크 인더스트리이즈
쟈안 허어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7700357A external-priority patent/KR810000933B1/ko
Application filed by 로오느-푸우랜크 인더스트리이즈, 쟈안 허어슨 filed Critical 로오느-푸우랜크 인더스트리이즈
Priority to KR1019810002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11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1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11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9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95/04Ortho-condensed syste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Having Oxygen Or Sulfur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디티에피노[1,4][2,3-C] 피롤유도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신규하고 치료적으로 유용한 다음 일반식(Ⅰ)의 디티에피노[1,4] [2,3-C] 피롤유도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kpo00001
상기식에서 A는 페닐, 피리드-2-일, 퀴놀-2-일
또는 1,8-나프티리딘-2-일기이며 각각 할로겐 원자(바람직하기로는 염소원자), C1-4의 알킬기(바람직하기로는 메틸기), C1-4의 알콕시기(바람직하기로는 매톡시기), 시아노기 또는 니트로기로 임의 치환될 수 있고 R은 C1-4의 알카노일기(예를들면, 프로피오닐 또는 부티릴기)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일반식(Ⅱ)의 산 또는 할라이드(클로라이드가 더 좋고), 무수물, 혼합무수물, 아마이드 또는 아자이드같은 산의 활성유도체를
R1-COOH (II)
(상기식에서 R1은 수소원자 또는 C1-3의 알킬기이다)
다음 일반식(Ⅲ)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R이 알카노일기인 일반식(Ⅰ)의 화합물을 제조한다.
Figure kpo00002
(상기식에서 A는 전술한 바와 같다)
일반식(Ⅱ)의 산을 사용할 때는 20-60℃에서 디사이클로 헥실카보디이미드 또는 N,N-카보닐디이미다졸 같은 축합제 존재하에 아세토니트릴, 메틸렌클로라이드, 디메틸포름아마이드 또는 에틸아세테이트 같은 불활성 유기용매에서 반응을 시행한다.
일반식(Ⅱ)의 할라이드(클로라이드가 더 좋다)를 사용할때는 0-30℃에서 피리딘 또는 트리에틸아민 같은 산수용체 존재하에 메틸렌클로라이드같은 유기용매중에서 반응을 시행한다.
일반식(Ⅱ)의 산아마이들를 사용할때는, 일반적으로 임의로 방향족 탕화수소같은 유기용매 중에서 그리고 요오드 존재하면서 더 좋으나, 100℃이상의 온도에서 가열시킴으로써 반응을 시행한다.
일반식(Ⅱ)의 산아자이드를 사용할때는 일반적으로 25-60℃에서 산호마그네슘 존재하에 더욱산같은 유기용매 중에서 반응을 시행한다.
일반식(Ⅲ)의 화합물은 1-클로로카보닐피페라진을 일반식(Ⅳ)의 디티에피노[ 1,4][2,3-C]피롤유도체에 작용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Figure kpo00003
(상기식에서 A는 전술한 바와 같다)
반응은 1-클로로카보닐피페라진을 알카리금속염 형태의 또는 현장에서 제조한 일반식(Ⅳ)의 화합물과 디메틸포름아마이드 또는 테트라하이드로푸란과 같은 무수 유기용매중에서 60℃이하의 온도에서 반응시켜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1-클로로카보닐피페라진 또는 그 산부가염형태(바람직하기는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일반식(Ⅳ)의 화합물과 반응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반응은 피리딘내에서 수행되고 1-클로로카보닐피페라진의 산부가염이 쓰일때는 임의로 그 염으로부터 1-클로로카보닐피페라진을 유리시키는 트리에틸아빈과 같은 3급아민 존재하에 수행될 수 있다.
일반식(Ⅳ)의 디티에피노[1,4][2,3-C]피롤유도체는 다음 일반식(Ⅴ)의 이미드를 부분환원시켜 제조할 수 있다.
Figure kpo00004
(상기식에서 A는 전술한 바와 같다)
환원은 일반적으로 유기용매 또는 예를 들면, 디옥산-테트라하이드로푸란 또는 디옥산-메탄올 또는 디옥산-물 또는 메탄올-물 또는 에탄올-물 혼합물같은 물-유기용액중에서 알카리금속 보로하이라이드로 효과적으로 시행할 수 있다.
일반식(Ⅴ)의 아마이드류는 다음 일반식(Ⅴ)의 아민화합물을
H2N-A (Ⅵ)
(상기식에서 A는 전술한 바와 같다)
6,7-디하이드로-5-1,4-디티에핀-2,3-디카르복실산의 무수물과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반응은 일반적으로 초산, 디메틸포름아마이드, 아세토니트릴 또는 디페닐에텔 또는 이러한 용매들의 혼합물중에서, 디사이클로헥실카보디이미드 또는 3-(3-디에틸아미노프로필)-1-이소프로필카보디이미드같은 카보디이미드 존재하에 또는 부재하에 반응물을 가열시킴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6,7-디하이드로-5H-1,4-디티에핀-2,3-디카르복실산의 무수물은 산매질에서 6,7-디하이드로-5H-1,4-디티에핀-2,3-디카보니트릴을 가수분해시켜 제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 반응은 100-125℃에서 약 20N 황산중에서 더 잘 시행할 수 있다.
6,7-디하이드로-5H-1,4-디티에틴-2,3-디카보니트릴은 1,3-디브로모프로판을 2,3-디메르캅토말레오니트릴의 디소디움염에 작용시켜 제조할 수 있다. 이 반응은 일반적으로 20℃와 반응 혼합물의 비등점사이의 온도에서 2,3-디메톡시에탄 또는 디메틸포름아마이드와 같은 불활성 유기용매중에서 시행할 수 있다.
2,3-디메르캅토말레오니트릴의 디소디움염은 Helv. _him. A_ta. 52,2228(1 969)에 기술된 에이치 알쉬바이저의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일반식(Ⅲ)의 화합물은 또한 피페라진을 다음 일반식(Ⅶ)의 혼합 탄산염을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Figure kpo00005
(상기식에서 A는 전술한 바와 같고 Ar은 C1-4의 알킬기 또는 니트로기로 임의 치환되는 페닐기이다)반응은 일반적으로 0-50℃에서 아세토니트릴같은 무수 유기 용매중에서 시행할 수 있다.
일반식(Ⅶ)의 혼합탄산염류는 다음 일반식(Ⅵ)의 클로로포르메이트
Cl-CO-O-Ar (Ⅷ)
(Ar은 전술한 바와 같다)를 일반식(Ⅴ)의 디티에피노[1,4][2,3-C]피롤유도체와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일반식(Ⅲ)의 화합물은 또한 다음 일반식(Ⅸ)의 화합물
Figure kpo00006
(상기식에서 A는 전술한 바와 같다)을 트리폴루오로초산(더 좋기로는 -10∼0℃에서)으로 처리함으로써 제조할 수도 있다.
일반식(IX)의 화합물은 4-클로로카보닐-1-t-부톡시카보닐피페라진을 일반식(Ⅲ)의 디티에피노[1,4][2,3-C]피롤유도체에 작용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반응은 일반적으로 0°-30℃에서 피리딘 또는 트리에틸아민같은 산수용체 존재하에 메틸렌클로라이드같은 유기용매중에서 시행할 수 있다.
4-클로로카보닐-1-t-부톡시카보닐피페라진은 약 -5℃에서 톨루엔 용액중에서 1-t-부톡시카보닐피페라진에 포스겐을 작용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1-t-부톡시카보닐피페라진은 t-부틸 아지도포르메이트에 피페라진 염산염을 작용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전술한 방법으로 얻은 일반식(Ⅰ)의 디티에피노[1,4][2,3-C]피롤유도체는 결정화 또는 크로마토그라피같은 물리적 방법 또는 염의 형성, 염의 결정화 및 알카리 매질에서의 염의 분해같은 화학적 방법으로 정제할 수 있다.전술한 화학적 방법을 시행함에 있어서 염의 음이온의 성질은 중요하지 않으며, 유일한 요구조건은 염이 윤곽이 뚜렷하고 쉽게 결정화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일반식(Ⅰ)의 합화물(더 특수하게는 R이 수소원자 또는 알킬 또는 알케닐기인(은 공지된 방법자체로써 산부가염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방법으로 얻은 일반식(Ⅰ)의 디티에피노[1,4][2,3-C]피롤유도체는 결정화 또는 크로마토그라피같은 물리적 방법 또는 염의 형성, 염의 결정화 및 알카리 매질에서의 염의 분해같은 화학적 방법으로 정제할 수 있다. 전술한 화학적 방법을 시행함에 있어서 염의 음이온의 성질은 중요하지 않으며 유일한 요구조건은 염이 윤곽이 뚜렷하고 쉽게 결정화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일반식(Ⅰ)의 화합물(더 특수하게는 R이나 수소원자 또는 알킬 또는 알케닐기인)은 공지된 방법으로써 산부가염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산부가염은 적당한 용매중에서 신규한 화합물에 산을 작용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유기용매로서는 알콜류, 케톤류, 에텔류 또는 염소화된 탄화수소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생성되는 염은 침전되며, 용액을 농축 후 필요하다면 여과 또는 경사로 분리한다.
본 발명의 디티에피노[1,4][2,3-C]피롤유도체 및 적당한 곳에는 그들의 산부가염들이 중요한 약리적성질을 갖고 있다. 그것들은 정신안정에, 항경령제, 이완제 및 수면제로서 특히 강력하다. 동물(쥐)에 있어서 1-100mg/kg(동물체중)의 용량으로 경구 투여했을때, 특히 다음과 시험에서 강한 작용을 보였다:
(i)J.Pharmacol, 125, 28(1959)에 기재된 티디쉬(Tedeschi)등의 기술과 유사한 기술에 따라 전기적 투쟁을 시켰을 때.
(ii)J.Pharmacol, 81, 402(1944)에 기재된 에버렛(Eoerett) 및 리챠드 (Rechards)의 기술과 유사한 기술에 따라 켄테트라졸유발 경련을 일으켰을때.
(iii)J.Pharmacol, 106, 319(1952)에 기재된 스윈야드(swinyard)등의 기술에 따라 극량이상의 자극을 주었을때,
(iv)Arzneimittel-Forschunh,23,683(1973)에 기재된 에프 발자기(F.B arzaghi)등의 기술과 유사한 기술에 따라 스트리크닌으로 처리시 사망률 및
(v)Congres des Medecins Alienistes et Neurologistes, Tours, 8th-13th June 1959에 기재된 쿨바저(_ourvoisier)의 기술 및 Bulletin de la Societe de Pharmacie de Lille No.2, Jan.1967.P.7에 기재된 주르(Julou)의 기술에 따른 운동성 실험.
더군다나,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독성이 낮다;쥐에게 경구 투여시 LD50은 대체로 900mg/kg(동물체중)보다 더 컸다.
본 발명중에서 보다 좋은 디티에피노[1,4][2,3-C]피롤유도체는 A가 피리드-2-일 또는, 할로겐 원자(염소가 더 좋다)또는 C1-4의 알콕시기(메톡시기가 더 좋다(로 임의 치환된 1,8-나프티리딘-2-일기이며, R이 C1-4의 알킬기(메틸기가 더 좋다)또는 _2-4의 알케닐기(알릴기가 더 좋다)인 일반식(Ⅰ)의 화합물이다. 특히 흥미를 끄는것 중에는 다음 실시예 2,10,11 및 15에서의 생성물로 얻는 일반식(Ⅰ)의 디티에피노[1 ,4][2,3-C]피롤유도체들이다.
치료목적을 위해서는, 일반식(Ⅰ)의 디티에피노[1,4][2,3-C] 피롤유도체들이 그대로 또는 즉 염의 치료량에서 동물기관에 비교적 무해한 음이온을 함유하는 염(염산염, 황산염, 질산염, 인산염, 초산염, 프로피온산염, 호박산염, 벤조산염, 푸마르산염, 말레산염, 주석산염, 테오필린-초산염, 살리실산염, 페놀프탈린염 및 메틸렌비스
Figure kpo00007
-하이드록시나프토산염)의 형태로 함으로써 염기가 본래 갖고 있는 유용한 생리적 성질이 음이온에 기인하는 부작용에 의해 저하되지 않도록 비독성 산부가염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다음의 무한한 실시예로 본 발명을 예시하고자 한다.
[실시예 1]
20℃에서 부탄산(0.90cc)를 7-(7-클로로-1,8-나프티리딘-2-일)-8-옥소-6-(피페라진-1-일)카보닐옥시-3,4,7,8-테르라하이드로-2H, 6H-디티에피노 [1,4][2,3-C] 피롤(3.0g) 및 디사이클로헥실카보디이미드(2.0g)의 무수 메틸렌클로라이드(60cc)현탁액에 가한다. 반응혼합물을 20℃에서 2시간동안 교반한다. 먼저 반응혼합물(1.55g)을 여과하여 생성된 디사이클로헥실요소를 제거하고, 그다음 메틸렌클로라이드를 증발시켜 얻은 잔사를 비등 에탄올(50cc)로 추출한다. 이렇게 얻은 생성물 (3.1g;융점 203∼230℃)을 비등 아세토니트릴(230cc)에 녹인다. 비등용액을 여과시킨후, 에탄올(20cc)을 가하고 2℃에서 두시간동안 냉각시켜 그결과 생성되는 결정을 여별하고 얼음을 채운 아세토니트릴(합계 20cc)로 2회 세척하고 감압하(0.2mmHg)에서 건조시킨다. 210℃, 230℃에서 녹는 6-(4-부티릴피페라진-1-일)-카보닐옥시-7-(7-클로로-1,8-나프티리딘-2-일)-8-옥소-3,4,7,8-테트라하이드로-2H,6H-디티에피노[1,4][2,3-C] 피롤(2.6g)을 얻는다.
출발물질로 사용되는 7-(7-클로로-1,8-나프타리딘-2-일)-8-옥소-6-(피페라진-1-일)카보닐옥시-3,4,7,8-테트라하이드로-2H,6H-디티에피노[1,4] [2 ,3-C]피롤은 -10℃에서 무수 트리플루오로 초산(50cc)을 6-(4-t-부톡시카보닐피페라진-1-일)카보닐옥시-7-(7-클로로-1,8-나프티리딘-2-일)-8-옥소-3,4,7,8-테트라하이드로-2H,6H-디티에피노[1,4][2,3-C]피롤(11.7g)에 작용시켜 제조한다. 295℃에서 녹는 7-(7-클로로-1,8-나프티리딘-2-일)-8-옥소-6-(피페라진-1-일)카보닐옥시-3,4,7,8-테트라하이드로-2H,6H-디티에피노[1,4][2,3-C]피롤(4.8g)을 얻는다.
6-(4-t-부톡시카보닐피페라진-1-일)카보닐옥시-7-(7-클로로-1,8-나프티리딘-2-일)-8-옥소-3,4,7,8-테트라하이드로-2H,6H-디티에피노[1,4][2,3-C]피롤은 다음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트리에틸아민(3.5cc) 와 무수피리딘(50cc)을 연속적으로 10℃에서 7-(7-클로로-1,8-나프티리딘-2-일)-6-하이드록시-8-옥소-3,4,7,8-테트라하이드로-2H,6H-디티에피노[1,4][2,3-C]피롤(9.1g)의 메틸렌클로라이드(50cc) 현탁액에 가한다. 반응 혼합물을 20℃에서 두시간동안 교반하고 메틸렌클로라이드(150cc)로 희석시킨다. 유기용액을 증류슈(합계 250cc)로 2회 세척하고, 무수황산마그네슘상에서 건조시키고 증발시킨다. 이렇게 얻은 잔사를 에탄올(250cc)및 디메틸포름아마이드( 60cc)로 재결정하면 221℃에서 녹는 6-(4-t-부톡시카보닐피페라진-1-일)카보닐옥시-7-(7-클로로-1,8-나프티리딘-2-일)-8-옥소-3,4,7,8-테트라하이드로-2H,6H-디티에피노[1,4][2,3-C] 피롤(6.1g)을 얻는다.
4-클로로카보닐-1-t-부톡시카보닐피페라진은 다음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융점 60℃인 1-t-부톡시카보닐피페라진(91.0g)은 t-부톡시카보닐아자이드( 259.0g)을 45℃에서 피페라진 염산염(310.0g)의 물 및 디옥산(용적비 1:2) 혼합물에 작용시켜 제조한다. 융점 99℃인 4-클로로카보닐-1-t-부톡시카보닐피페라진( 24.8g)은 포스겐을 -5℃에서 1-t-부톡시카보닐피페라진(40.8g)의 톨루엔 용액에 작용시켜 제조한다.
[실시예 2]
7-(7-클로로-1,8-타프티리딘-2-일)-8-옥소-6-(피페라진-1-일)카보닐옥시-3,4,7,8-테트라하이드로-2H,6H-디티에피노[1,4][2,3-C]피롤(7.1g), 디사이클로헥실카보디이마이드(4.75g)및 프로판산(1.75cc)의 무수 메틸렌믈로라이드( 150cc)용액을 출발물질로 실시예 1의 과정에 따르면, 아세트니트릴(100cc) 및 디메틸포름아마이드(20cc) 혼합물로 재결정한 후 246℃에서 녹는 7-(7-클로로-1,8-나프티리딘-2-일)-8-옥소-6-(4-프로피오닐피페라진-1-일)카보닐옥시-3,4,7,8-테트라하이드로-2H,6H-디티에피노[1,4][2,3-C] 피롤(5.3g)을 얻는다.

Claims (1)

  1. 다음 일반식(Ⅱ)의 산, 또는 그의 활성유도체와 다음 일반식(Ⅲ)의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다음 일반식(Ⅰ)의 디티에피노[1,4][2,3-C] 피롤유도체의 제조방법
    Figure kpo00008
    상기식에서 A는 페닐, 피리드-2-일,퀴놀-2-일 또는 1,8-나프티리딘-2-일기이고, 각각 할로겐 원자, C1-4의 알킬기, C1-4의 알콕시기, 시아노기 또는 니트로기로 임의 치환될 수 있고 R은 C1-4의 알카노일이고 R1는 수소원자 또는 C1-3의 알킬기이다.
KR1019810002606A 1977-02-17 1981-07-18 디티에피노[1, 4][2,3-c] 피롤유도체의 제조방법 KR8100011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2606A KR810001133B1 (ko) 1977-02-17 1981-07-18 디티에피노[1, 4][2,3-c] 피롤유도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0357A KR810000933B1 (ko) 1977-02-17 1977-02-17 디티에피노[1,4][2,3-c]피롤 유도체의 제조방법
KR1019810002606A KR810001133B1 (ko) 1977-02-17 1981-07-18 디티에피노[1, 4][2,3-c] 피롤유도체의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700357A Division KR810000933B1 (ko) 1977-02-17 1977-02-17 디티에피노[1,4][2,3-c]피롤 유도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1133B1 true KR810001133B1 (ko) 1981-09-20

Family

ID=26625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2606A KR810001133B1 (ko) 1977-02-17 1981-07-18 디티에피노[1, 4][2,3-c] 피롤유도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1133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94828A (en) New derivatives of 4-amino-5-alkyl sulphonyl orthoanisamides, methods of preparing them and their application as psychotropic agents
US3364229A (en) 1, 4 dithiin-2, 3, 5, 6-tetracarboximides and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EP0390654B1 (en) Aminobenzenesulfonic acid derivative
DE69533043T2 (de) Acrylamid-derivate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KR840001836B1 (ko) 9-아미노알킬플루오렌의 제조방법
US3641016A (en) Thionine derivatives
CH520681A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neuer Mutterkornpeptidalkaloide
KR870000275B1 (ko) 3-메틸플라본-8-카르복실산 에스테르류의 제조방법
KR810001133B1 (ko) 디티에피노[1, 4][2,3-c] 피롤유도체의 제조방법
EA002211B1 (ru) Новые производные камптотецина
FR2496666A1 (fr) Nouveaux derives de cephalosporine et composition pharmaceutique les contenant
EP0040422A1 (en) Novel substituted pyrazinyl-1,2,4-oxadiazoles, processes for preparing the same and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KR810001174B1 (ko) 디티에피노[1,4][2,3-c] 피롤유도체의 제조방법
KR100382998B1 (ko) 6-메톡시-1h-벤조트리아졸-5-카르복사미드유도체,그제조방법및그것을함유하는의약조성물
US3988371A (en) Meta-[2-(benzylamino)-ethyl] benzoic acid amides
CH620678A5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 derivative of piperidine
CA1097652A (en) Eprimerization process
KR0148365B1 (ko) 4,5,5a,6-테트라하이드로-3H-이소옥사졸로[5,4,3-kl]아크리딘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EP0126894B1 (en) Tropone derivatives, processes for preparation thereof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US3689523A (en) Substituted haloalkanesulfonanilides
US4910196A (en) Highly soluble antibacterially active organic salts of pyridobenzothiazines
KR800000304B1 (ko) 티아졸로[3, 4-b] 이소퀴놀린 유도체의 제법
US4124711A (en) Derivatives of dithiepino[1,4][2,3-C]pyrrole
US3914379A (en) Substituted (nitrofuryl-acrylidene) hydrazines with antibacterial properties
KR970004044B1 (ko) 약물동력학적으로 개선된 세팔로스포린 유도체, 그의 제조방법, 그를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및 합성 중간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