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1130Y1 - 재 봉 기 - Google Patents
재 봉 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10001130Y1 KR810001130Y1 KR7600786U KR760000786U KR810001130Y1 KR 810001130 Y1 KR810001130 Y1 KR 810001130Y1 KR 7600786 U KR7600786 U KR 7600786U KR 760000786 U KR760000786 U KR 760000786U KR 810001130 Y1 KR810001130 Y1 KR 81000113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auxiliary plate
- sewing machine
- lower arm
- arm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75/00—Frames, stands, tables, or other furniture adapted to carry sewing machines
-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73/00—Casings
- D05B73/04—Lower casings
- D05B73/06—Lower casings for free-arm sew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고안을 구체화한 재봉기를 평베드(平 bed)형으로 세트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역시 프리이 아암(free arm)형으로 세트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3도는 제1도의 상태의 재봉기를 확대하여 나타낸 요부파단(破斷) 측면도.
제4도는 제3도의 상태에서 연결판 및 보조판을 회동시킨 상태를 나타낸 요부 파단측면도.
제5도는 제2도의 상태의 재봉기를 확대하여 나타낸 요부 파단측면도.
제6도는 제3도 6-6선에 있어서의 단면도.
제7도는 제1도의 상태에 있어서의 재봉기에 커버를 장착해서 좌측 윗쪽에서 본 사시도.
본원고안은 평베드형(平 bed 型) 재봉기 또는 프리이 아암(free arm)형 재봉기로서 사용할 수 있는 재봉기에 관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필요에 응해서, 매우 간단한 조작으로 평베드형 또는 프리이아암형으로 변경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신규의 재봉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다음에, 본원 고안을 구체화한 수단의 일체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자면 도면중(11)은 재봉기의 기대(基臺)이며, 이 좌측면의 후단(後端)에 치우친 곳에는 가공품 지지면(12a)을 갖는 아래쪽아암(12)이 수평방향으로 돌설되어 있다. (13)은 상기 아래쪽아암(12)의 전면 선단부에 개폐가능하으로 부착된 반달집덮개(釜蓋)이며, 이 반달집덮개(13)를 개폐함으로써, 밀실용의 북(bobbin)이 수납된 북집(bobbin case)을 상기 아래쪽아암(12) 내에 착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14)는 상기 기대(11)에 이어져서 그 상면 후단에 치우친 곳에 일어서서 형성된 각주(脚柱)이며, 그 좌측상단에는 선단에 두부(15a)를 갖는 윗쪽아암(15)이 수평방향으로 돌설되어 있다. (16)은 상기 기대(11)의 하단부에 고착된 지지판이며, 상기 아래쪽아암(12)의 아래쪽에 일정 간격을 두고 대충 평행으로 뻗으며, 그 후 단가장자리(後端緣) 및 좌단 가장자리가 제2도 및 제3도에 나타낸 것처럼, 상기 아래쪽아암(12)의 후단가장자리 및 좌단가장자리의 수직아래쪽으로 위치되도록 되어 있다. (17)은 상기지지판(16)의 하면적소(下面適所)에 부착된 복수개의 고무제의 지지각(支持脚)이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재봉기를 제3도에 나타낸 것처럼, 테이블등의 지지면 S상에 안정되게 재치(載置)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18)은 상기 아래쪽아암(12)의 아래쪽에 있어서 지지판(16)의 상면에 형성된 융기부(隆起部)이며, 제3도에 나타낸 것처럼 지지판(16)의 전방으로 감에 따라서 높아지도록 경사지어 있다. (19)는 상기 융기부(18)의 전방에 있어서 지지판(16)의 상면 전단가장자리에 형성된 요부이며, 제3도에 나타낸 것처럼 지지판(16)의 상면 후단과 대충 동일한 높이로, 상기 융기부(18)의 전단가장자리보다도 낮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20)은 상기 지지판(16)의 요부(19)의 좌우양측부에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한쌍의 관통구멍(透孔)으로서, 그 상단 개구가장자리(開口緣)에는 제6도에 나타낸 것처럼, 각 한쌍의 나사(21)에 의해 지축(支軸)(22)이 각각 좌우방향으로 교가(橋架)고정되어 있다. (23)은 한쌍의 각부(23a)에 있어서 상기 지축(22)의 둘레에 각각 회동 가능토록 지지(支承)된 측면 크랭크상의 부착쇠장식이며, 한쪽의 각부(23a)의 선단에는 제3도 및 제6도에 나타낸 것처럼, 상기 관통구멍(20)내에서 다른쪽의 각부(脚部)(23a)를 향해서 대충 수평방향으로 뻗는 돌편(23b)이 각각 절곡(折曲) 형성되어 있다.
(24)는 제3도 및 제6도에서 명확한 것처럼 기단부(基端部) 내면에 있어서 각 한쌍의 나사(25)에 의해 상기 양 부착쇠장식(23)의 선단에 고착된 연결판이며, 상기 지축(22)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되며, 제1도 및 제3도에 나타낸 것처럼 상기 지지판(16)의 전단가장자리에서 대충 수직으로 일어선 기립(起立) 위치와, 제2도 및 제5도에 나타낸 것처럼 지지판(16)의 전단가장자리에서 작업자측으로 향해서 대충 수평으로 뻗는 넘어진위치(倒伏位置)를 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26)은 상기 지지판(16)의 관통구멍(20)의 하단개구 가장자리에 있어서, 나사(27)에 의해 지지판(16)의 뒷면에 고착된 토글작용을 갖는 한쌍의 판(板)스프링으로서, 제3도~제6도에서 명백한 것처럼, 그 상면에 상기 부착쇠장식(23)의 돌편(23b)이 각각 당접되어, 상기 연결판(24)이 제3도에 나타낸 일어선위치에서 제4도에 나타낸 회동위치를 넘어서 제5도에 나타낸 넘어진 위치로 회동되었을 때에는 연결판(24)에 넘어진위치로 향하는 회동력을 부여하며, 또 연결판(24)이 넘어진 위치에서 제4도에 나타낸 회동위치를 넘어서 일어선위치로 회동되었을 때에는, 상기한 경우와는 반대로 연결판(24)에 일어선위치로 향하는 회동력을 부여하도록 되어 있다. (28)은 상기 연결판(24) 뒷면의 기단부를 제외한 외주가장자리(外周緣)에 입설(立設) 형성된 리브이며, 제6도에서 명백한 것처럼, 그 선단가장자리의 좌우양측에 치우친 곳에는 한쌍의 관통구멍(28a)이 각각 형성되는 동시에, 선단가장자리의 좌우 양단부에는 한쌍의 부착각부(28b)가 각각 돌출 형성되어 있다.
(29)는 좌우방향으로 뻗는 긴 보조판부(29a)와 전후방향으로 뻗는 보조판부(29b)에 의해 평면 대충 L형으로 형성된 보조판이며, 그 뒷면전단의 좌우양측부에 돌설 형성된 한쌍의 부착각부(30)에는, 제6도에서 명백한 것처럼 상기 연결판(24) 선단의 부착각부(28b)에 각각 유감(遊嵌)하는 지지핀(31)이 돌출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이 보조판(29)은 지지핀(31)을 중심으로하여 회동되며, 제1도 및 제3도에 나타낸 것처럼 상기 연결판(24)이 일어선위치에 놓여졌을 경우에는, 아래쪽아암(12)의 전단부 및 좌단부에 접근하는 윗쪽위치를 취하며, 또 제2도 및 제5도에 나타낸 것처럼 상기 연결판(24)이 도복위치에 놓여졌을 경우에는, 그 연결판(24)위에 중합(重合)된 아래쪽위치를 취한다.
(32)는 상기 아래쪽아암(12)의 좌측상단에 형성된 위치결정 요부(凹部)이며, 제2도 및 제3도에 나타낸 것처럼 윗쪽 및 좌측을 향해서 개방되어 있다. (33)은 상기 위치 결정요부(32)내에 감합할 수 있도록 상기 보조판(29)의 짧은 보조판부(29b)의 우측부에 돌설된 위치결정 핀이며, 제1도 및 제3도에 나타낸 것처럼 보조판(29)의 윗쪽위치에 놓여졌을 경우에는 상기 위치결정 요부(32) 내에 감합하여, 보조판(29)의 상면을 아래쪽아암(12)의 가공품 지지면(12a)과 그 전방 및 좌측방에 있어서 동일면을 구성하는 상태로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34)는 제2도에서 명백한 것처럼 아래쪽아암(12)의 기판전면에 돌출성형된 위치결정단부(段部)이며, 제1도 및 제3도에 나타낸 것처럼 보조판(29)이 윗쪽위치에 놓여졌을 때, 긴 보조판부(29a)의 우측후단부를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제1도 및 제3도에 나타낸 것처럼 상기 연결판(24)이 일어선위치에 놓여지는 동시에 보조판(29)이 윗쪽위치에 놓여졌을 경우에는, 보조판(29)의 상면이 아래쪽아암(12)의 가공품지지면(12a)과 동일면상에 유지되며, 양자(29),(12)의 협동(協動)에 의해 보통의 평베드형 재봉기로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 이 상태에 있어서, 상기 보조판(29)이 지지판(16) 내에 설치된 한쌍의 핀스프링(26)의 작용에 의해 후측아래쪽을 향해서 압착(押着)되어 있기 때문에, 보조판(29)과 아래쪽아암(12)과의 접합부에 간극(間隙)이 생기는 일은 없으며, 더구나 재봉기의 운전주에 보조판(29)이 함부로 움직이는 일도 없다.
(35)는 상기 보조판(29) 위의 위치결정핀(33)에 대응해서, 상기 지지판(16)의 좌측부에 형성된 위치결정 요부로서, 제2도 및 제5도에 나타낸 것처럼 보조판(29)이 아래쪽 위치에 놓여지며, 그 긴 보조판부(29a)의 후단 가장자리가 지지판(16)전단의 요부(19) 위에 지지되었을 때에, 상기 위치결정핀(33)이 이 위치결정 요부(35)내에 감합하며, 상기 요부(19)와 협동하여 보조판(29)의 상면을 지지판(16)의 상면과 대충 동일면을 구성하는 상태로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제2도 및 제5도에 나타낸 것처럼 상기 연결판(24)이 넘어진 상태에 놓여지는 동시에 보조판(29)이 아래쪽위치에 놓여 졌을 경우에는, 상기 양판(24),(29)가 각업자측을 향해서 중합되어 접혀진 상태로 유치되며, 프리이아암형 재봉기로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 이 상태에 있어서, 상기 보조판(29)이 지지판(16) 내에 설치된 한쌍의 판스프링(26)의 작용에 의해 아래쪽을 향해서 압착되어 있기 때문에, 재봉기의 운전주의 보조판(29)이 함부로 움직이는 일은 없으며, 안정되게 사용할 수 있다.
(36)은 상기 보조판(29)의 뒷면 구석부(隅部)에 돌설된 복수개의 고무제의 지지각이며, 기단부에 설치된 2개의 지지각(36)은 제6도에 나타낸 것처럼 연결판(24) 뒷면의 리브(28)위에 형성된 한쌍의 관통구멍에 각각 대응하여, 연결판(24) 및 보조판(29)의 상대 회동시에 그 관통구멍(28a) 내를 통과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동시에, 연결판(24) 면 보조판(29)이 작업자측에 접혀진 상태에 있어서, 제5도에 나타낸 것처럼 테이블등의 지지면판에 당접하며, 재봉기의 운전중에 보조판(29)을 지지면 S위에 안정되게 재치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37)은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재봉기의 윗쪽에서 장착되는 하면이 개방된 커버이며, 제7도에 나타낸 것처럼 보조판(29)이 윗쪽위치에 유지된 평베드형 재봉기의 상태이며, 지지판(16)부분을 제외한 재봉기의 대충 전체를 덮도록 되어 있다.
(38)은 재봉기의 윗쪽아암(15) 위에회동가능하게 부착된 휴대용의 핸들로서, 재봉기의 운전시에는 제7도에 있어서 실선으로 나타낸 것처럼 윗쪽아암(15)의 후방으로 접혀지며, 재봉기의 운반시에는 제7도에 있어서 쇄선으로 나타낸 것처럼 상기 커버(37)의 일부에 형성된 관통구멍(27a)을 통해서 윗쪽아암(15) 위에 일어서 게되며, 재봉기 전체를 커버(37)와 함께 운반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재봉기에 대해서, 다음에 작용을 설명한다.
제1도 및 제3도는 연결판(24)이 일어선 위치에놓 여지는 동시에 보조판(29)이 윗쪽위치에 놓여진 평베드형 재봉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특히 제3도에 명백한 것처럼, 보조판(29)에 돌설된 위치결정핀(33)이 아래쪽아암에 형성된 위치결정 요부(32)에 감합되는 동시에, 보조판(29)의우측후단부가 위치결정 단부(34) 위에 지지되어 있기때 문에, 보조판(29)의 상면은 아래쪽아암(12)의 가공품 지지면(12a)과 그 전방 및 좌측방에 있어서 동일면으로 되도록 유지되며, 또, 보조판(29)이 지지판(16) 내에 설치 된 한쌍의 판스프링(26)의 작용에 의해 후측아래쪽을 향해서 압착되어 있기 때문에, 보조판(29)가 아래쪽아암(12)과의 접합부에 간극이 생기는 일은 없으며, 더우기 재봉기의 운전중에 보조판(29)이 함부로 움직이는 일도 없다. 따라서, 이 평베드형 재봉기의 상태에서, 상기 보조판(29)과 아래쪽 아암(12)과의 접합부에 작업자의 손이가 가공품의 일부가 걸리는 일은 없으며, 상기 아래쪽아암(12)의 가공품 지지면(12a) 및 평면 대층 L형의 보제판(29)의 상면전체의 넓은 작업면적을 사용하여 안전하고 편리하게 봉제작업을 할 수 있다.
다음에 이평 베드형 재봉기의 상태에서 프리이아암형 재봉기의 상태로 변경할 경우에는, 제1도 및 제3도에 나타낸 것처럼 윗쪽위치에 있는 보조판(29)의 좌측후단부를 윗쪽으로 들어올려, 연결판(24)을 판스프링(26)의 작용이 항거하여 작업자측으로 넘어뜨려 회동시키면, 그 연결판(24)이 제4도에 나타낸 회동위치를 넘었을 때에 상기 판스프링(26)의 작용방향이 반대로 되며, 연결판(24) 은그 판스프링(26)의 작용에 의해 제5도에 나타낸 넘어진 위치로 자동적으로 회동된다. 그후, 상기 보조판(29)을 회동지켜, 제2도 및 제5도에 나타낸 것처럼 넘어진 위치의 연결판(24)과 겹쳐지도록 접으면, 보조판(29)에 돌설된 위치결정핀(33)이 지지판(16)에 형성된 위치 결정요부(35)에 감합되는 동시에, 보조판(29)의 긴 보조판부(29a)의 후단 가장자리가 지지판(16) 전단(前端)의 요부(19)위에지지되며, 보조판(29)의 상면은 지지판(16)의 상면과 대충 동일면으로 되도록 유지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보조판(29)이 지지판(16)의 전방에 있어서 윗쪽으로 일어서서 봉제작업의 방해가 되는 일은 없으며, 프리이아암형 재봉기로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동시에, 보조판(29)과 지지판(16)과의 접합부에 작업자의 손이나 가공품의 일부가 걸릴 염려는 없으며, 안전하게 봉제작업을 할 수 있다. 또, 이 상태에 있어서, 상기 보조판(29)이 판스프링(26)의 작용에 의해 아래쪽을 향해서 압착되는 동시에, 그 보조판(29)의 하면에돌설된 복수개의 고무제의 지지각(36)이 제5도에 나타낸 것처럼 테이블등의 지지면 S에 당접 재치되어 있기 때문에, 재봉기의 운전중에 보조판(29)이 함부로 움직이는 일은 없으며, 안정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 프리이아암형 재봉기의 상태에서 평베드형 재봉기의 상태로 변경할 경우에는, 제2도 및 제5도에 나타낸 것처럼 아래쪽 위치에 있는 보조판(29)의 좌측후단부를 윗쪽으로 들어올려, 연결판(24)을 판스프링(26)의 적용에 항거하여 일으켜서 회동시키면, 그 연결판(24)이 제4도에 나타낸 회동 위치를 넘었을 때에 상기 판스프링(26)의 작용방향이 반대로 되며, 연결판(24)은 그 판스프링(26)의 작용에 의해 제1도 및 제3도에 나타낸 일어선 위치로 자동적으로 회동된다. 그후, 상기 보조판(29)을 회동시켜, 제1도 및 제3도에 나타낸 것처럼 보조판(29)에 돌설된 위치결정핀(33)을 아래쪽아암(12)에 형성된 위치결정 요부(32)내에 감합하면, 보조판(29)의 상면이 아래쪽아암(12)의 가공품 지지면(12a)가 동일면상에 배치되며, 상술한 평베드형 재봉기의 상태로 된다.
또, 재봉기의 사용중에 밀실용의 북을 교환할 경우에는, 제2도 및 제5도에 나타낸 것처럼 연결판(24)과 보조판(29)을 작업자측으로 접어서 프리이아암형 재봉기의 상태로 하고, 아래쪽아암(12)의 전면 좌단의 반달집덮개(13)를 개방하여, 상기 북을 북집과 함께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또한, 재봉기의 사용후, 제7도에 나타낸 것처럼 평베드형 재봉기의 상태로 하여, 그윗쪽에서 커버(37)를 장착하면 재봉기 전체가 그 커버(37)에 의해 덮어지며, 또 제7도에 있어서 쇄선으로 나타낸 것처럼 윗쪽아암(15) 위의 핸들(38)을 일으키면, 재봉기를 커버(37)와 함께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아래쪽 아암(12)이 기대(基臺)(11)의 좌측면의 후단에 치우친 곳에 돌설되며, 그 후단가장자리가 지지판(16)의 후단가장자리의 수직윗쪽에 위치되도록 구성되는 동시에, 평베드형 재봉기의 상태로 상기 보조판(29)의 전면이 기대(11)의 전면과 동일면으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비교적 소형의 커버(37)를 사용하여 재봉기전체를 완전히 덮을 수 있다.
이상 기재한 바에서 명백한 것처럼, 본원고안은 다음과 같은 몇가지의 뛰어난 효과를 나타낸다.
(1). 본원고안은 지지판의 전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연결판을 일어선 위치로 회동시키는 동시에, 그 연결판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된 보조판을 아래쪽아암과 접근한 윗쪽위치에 세트했을 때에는, 아래쪽아암과 보조판이 협동하여 평베드형 재봉기의 상태로 되며, 또 상기 연결판을 넘어선 위치로 회동시키는 동시에, 상기 보조판을 그 연결판상에 겹쳐지도록 아래쪽위치로 세트하고, 그들의 양판을 작업자측으로 접었을 때에는, 프리이아암형 재봉기의 상태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프리이아암형 재봉기의 아래쪽아암의 전방에 보조판을 착탈하는 구성의 것과는 달리, 보조판이분실될 염려는 없으며, 필요에 응해서 매우 간단한 한쪽손의 조작에 의해 평베드형 또는 프리이아암형의 상태로 변경해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2). 본원 고안은 보조판과 아래쪽 아암과의 사이에 설치된 위치결정수단에 의해, 평베드형 재봉기의 상태로 세트했을 때에, 보조판의 상면이 아래쪽아암의 가공품 지지면과 동일면상에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보조판이 그 상태로 안정되어서 유지되며, 그 보조판과 아래쪽 아암과의 접합부에 작업자의 손이나 가공품의 일부가 걸릴 염려는 없으며,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3). 본원 고안에 있어서는, 보조판이 평면 대충 L형으로 형성되며, 평베드형 재봉기와 상태로세트 했을 때에, 그 보조판의 상면이 아래쪽아암의 가공품 지지면의 전방 및 좌측방향으로 뻗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넓은 작업면적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4). 본원 고안은 프리이아암형 재봉기의 상태로 세트했을 때에, 보조판 및 연결판이 지지판의 전방에 있어서 윗쪽으로 일어나는 일은 없으며, 작업자 측으로 접힌 상태로 되도록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봉제작업 및 아래쪽아암의 전면에 설치된 반달집덮개(釜蓋)의 개폐작업의 방해가 되는 일은 없으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원 고안은 상술한 실시양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과 같이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1). 본원 고안의 연결판은 반드시 한장의 판상(板狀)의 것으로 구성할 필요는 없으며, 예컨대 상기 실시양태에 있어서의 한쌍의 부착쇠장식(23)을 윗쪽으로 연장해서 연결판부를 형성하고, 그들 연결판부의 상단(上端)에 보조판(29)을 회동 가능하게 부착하도록 구성할 것.
그리고, 상기 실시양태와 같이 연결판(24)을 한장의 판상의 것으로 구성했을 경우에는, 제1도에 나타낸 것처럼 평베드형 재봉기의 상태로 세트했을 때에, 그 연결판(24)에 의해 재봉기의 전면이 덮이며, 상자형 평베드의 우미한 외관을 나타내게 된다.
(2). 본원 고안에 있어서의 위치결정 수단을 상기 실시양태의 위치결정핀(33) 및 위치결정 요부(32) 이외에, 여러가지로 변경해서 구성하고, 또는, 상기 실시양태와는 반대로 보조판(29)측에 위치결정 요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아래쪽 아암(12) 측에 위치 결정핀을 돌설하도록 구성하는 일.
Claims (1)
- 도면에 표시하고 본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뻗어서 가공품 지지면을 구성하는 아래쪽 아암을 갖는 기대(基臺)와, 수평방향으로 뻗혀 나와서 단부에 두부가 형성된 윗쪽아암을 가지며, 상기 기대에 이어져서, 윗쪽으로 일어선 각주(脚柱)와, 상기 기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아래쪽아암의 아래쪽으로 뻗은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전단부를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그 지지판에서 작업자측으로 뻗는 넘어진 위치와, 그지지판의 전단에서 일어서는 기립위치와의 사이에 회동할 수 있는 연결판과, 그 연결판 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상기 넘어진위치에 있어서 그 연결판 위에 겹쳐지는 아래쪽위치와, 상기 일어선위치에 있어서 아래쪽아암의 전단부 및 좌측단부에 접근하는 윗쪽위치를 취할 수 있는 평면의 대충 L형의 보조판과, 그 보조판의 상기 윗쪽위치에 있어서, 그 상면이 상기 아래쪽아암의 가공품 지지면과 그 전방 및 좌측방에있어서 동일면을 구성하는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 그 보조판과 아래쪽 아암과의 사이에 설치된 위치결정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조판이 상기 윗쪽위치에 세트되었을 때, 아래쪽 아암과 보조판이 협동(協動)하여 보통의 평베드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보조판 및 연결판을 작업자측으로 접음으로써 프리이아암형 재봉기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해서 이루어진 재봉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7600786U KR810001130Y1 (ko) | 1976-02-07 | 1976-02-07 | 재 봉 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7600786U KR810001130Y1 (ko) | 1976-02-07 | 1976-02-07 | 재 봉 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10001130Y1 true KR810001130Y1 (ko) | 1981-09-17 |
Family
ID=19202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7600786U KR810001130Y1 (ko) | 1976-02-07 | 1976-02-07 | 재 봉 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810001130Y1 (ko) |
-
1976
- 1976-02-07 KR KR7600786U patent/KR810001130Y1/ko activ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900003036B1 (ko) | 절첩식 다림질대 | |
KR101157682B1 (ko) | 찬장형 가구 | |
KR810001130Y1 (ko) | 재 봉 기 | |
JPS6018313Y2 (ja) | 角丸兼角切断裁機 | |
KR810001398Y1 (ko) | 프리이아암(free arm) 재봉기에 있어서의 보조테이블장치 | |
KR810001397Y1 (ko) | 재 봉 기 | |
ATE311T1 (de) | Naehmaschinenmoebel mit einer versenkvorrichtung. | |
US2174363A (en) | Support for foldable ironing boards | |
US4056294A (en) | Open arm sewing machine cabinet | |
US2398697A (en) | Sewing machine | |
JP3051713B2 (ja) | 蓋取付構造 | |
US4089572A (en) | Multiple position sewing machine cabinet | |
US2148645A (en) | Portable casing transformable into a table for sewing machines | |
US4224887A (en) | Sewing machine with fabric-supporting arm and add-on table | |
KR940004065Y1 (ko) | 개량 손재봉틀 테이블 | |
US3822659A (en) | Portable sewing machine and case | |
KR950008804Y1 (ko) | 밥상 다리의 절첩 장치 | |
JPH0647429Y2 (ja) | ミシンにおける布台 | |
JPS6132000Y2 (ko) | ||
JPS592800Y2 (ja) | ミシンキヤビネツトにおけるテ−ブル板支持装置 | |
US3587500A (en) | Sewing machine casing | |
JPS5913984Y2 (ja) | 作業テ−ブルにおける袖板操作装置 | |
JPS5918049Y2 (ja) | 内倒し窓のストツパ− | |
JPS5913969Y2 (ja) | ミシンにおけるアタツチメント固定装置 | |
JPH0569780U (ja) | 表示装置の筐体構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