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0789B1 - 폐지 처리 공정 - Google Patents

폐지 처리 공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0789B1
KR810000789B1 KR7803857A KR780003857A KR810000789B1 KR 810000789 B1 KR810000789 B1 KR 810000789B1 KR 7803857 A KR7803857 A KR 7803857A KR 780003857 A KR780003857 A KR 780003857A KR 810000789 B1 KR810000789 B1 KR 8100007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paper
separator
fibers
hydrocyclone
auxiliary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803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베르트 오르트너 헤르
붸어 테오도르
무셀만 발터
Original Assignee
볼프강 바이첼
요트. 엠. 보이스 게엠베하
베르너 로렌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볼프강 바이첼, 요트. 엠. 보이스 게엠베하, 베르너 로렌츠 filed Critical 볼프강 바이첼
Priority to KR7803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07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0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07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BFIBROUS RAW MATERIALS OR THEIR MECHANICAL TREATMENT
    • D21B1/00Fibrous raw materials or their mechanical treatment
    • D21B1/04Fibrous raw materials or their mechanical treatment by dividing raw materials into small particles, e.g. fibres
    • D21B1/06Fibrous raw materials or their mechanical treatment by dividing raw materials into small particles, e.g. fibres by dry methods
    • D21B1/08Fibrous raw materials or their mechanical treatment by dividing raw materials into small particles, e.g. fibres by dry methods the raw material being waste paper; the raw material being rag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BFIBROUS RAW MATERIALS OR THEIR MECHANICAL TREATMENT
    • D21B1/00Fibrous raw materials or their mechanical treatment
    • D21B1/04Fibrous raw materials or their mechanical treatment by dividing raw materials into small particles, e.g. fibres
    • D21B1/12Fibrous raw materials or their mechanical treatment by dividing raw materials into small particles, e.g. fibres by wet methods, by the use of steam
    • D21B1/30Defibrating by other means
    • D21B1/32Defibrating by other means of waste pap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4Paper recycling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폐지 처리 공정
제1도는 본 발명의 공정을 나타내는 개략도.
본 발명은 폐지를 조[租)펄프화하기 위한 비어터를 거쳐 1차 선별단계에서 이 물질이 분리되고 보조회로에서 가벼운 이 물질은 진동 선변기로, 무거운 이물질은 하이드로 사이클론으로 선별하여 분리된 섬유질들은 처리공정으로 순화되는 폐지처리공정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폐지속에 존재하는 불순물들은 대부분 처리공정중 본류(本流)중에서 분리되어 오물 제거장치와 선별장치를 거쳤으나 이는 정화장치를 심각하게 오염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또한 현탁액중에 이 물질이 오랫동안 머무르게 되면 점차 그 크기가 작아져서 제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어떤 경우에는 제거가 거의 불가능한 형편이었다. 따라서 이들 종래의 방법들은 처리된 원료의 품질에 치명적인 영향을 가져왔다.
따라서 독일 특허 제2, 514, 162호에서는 소위 경량펄퍼라 불리는 제1선별단계를 제공하여 대부분의 분리된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섬유질 손실이 어떤 한계치내에 있기 위해서는 보조회로에 설치되어 있는 진동 선별기의 거르개 체눈이 비교적 굵어야만 한다. 이는 비교적 많은 양의 이물질 역시 거르개의 체눈을 통과하여 처리공정에 재투입됨으로써 현탁액중의 이물질 농도가 불리한 상태로 되며 계속 순환되는 도중 이들 이물질 조각이 깨어져서 작게되어 경량펄퍼내에 반스터프거르계의 작은 구멍을 통과하게 되고 섬유 현탁액중에 남게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폐지처리 공정에 있어서 더 좋은 품질의 펄프를 적정한 장치투자비 부담선에서 생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의하면 전술한 형태의 폐지처리 공정은 제1차 선별단계에서 분리과정이 충분히 진행되어 다량의 이물질을 제거한 다음 펄프화되지 않은 섬유 덩어리와 함께 하이드로사이클론과 진동선별기에서 선별되고 아직도 약간의 이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반스터프는 보조회로로 투입되어 다단 선별 과정 및 오물제거과정을 거치게 된다.
본 발명의 공정에 있어서 폐지중에 존재하는 이 물질은 1차 선별단계의 처리공정을 시작하기 직전에 본류로부터 펄스화된 섬유질과 분리되어 별도의 보조회로에서 이물질에 아직도 부착되어 있는 섬유질과 분리된다. 따라서 섬유질을 분리하기 위한 본류증에 대개 설치되어 있는 이물 제거와 세정장치는 매우 많다.
또한 이물질들은 절대적으로 필요한 이상으로 오랫동안 동반되지 않게 한다. 보조회로에서 이물질이 거의 완전히 제거되지 때문에 처리공정에서 이물질의 농축이나 순환은 실질적으로 필요치 않다.
본 발명은 하이드로사이클론으로부터 반스터프가 진동 선별기로 이동되는 방법의 개발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하여 이물질의 제거처리가 수행된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특징은 상술한 형태의 공정을 실시하기 위한 공장에 포함되어 있는 1차 선별기는 고안의 한끝에 회전자가 설치되어 있는 회전대칭형 경량펄퍼로 구성되어 있어 과압을 제공하며 그 주변벽에는 무거운 이물질이 배출되기 위한 출구가 잇고 회전자의 반대쪽 끝벽의 중앙부에 가벼운 이물질이 배출되기 위한 출구가 있으며 또한 반스터프 출구앞에 거르개가 설치되어 있는데 그 안에는 펄프화된 섬유만이 통과할 수 있는 작은 구멍들이 있으며 진동선별기와 하이드로싸이클론 뒤에 있는 보조회로의 2차 선별기에서 배출되는 반스터프는 다시 처리공정으로 순환된다.
오물제거를 목적으로 하고 하이드로사이클론과 진동선별기로부터 나오는 반스터프의 배출도관에 연결되어 있는 2차선별기에서는 섬유질 물질 덩어리를 더 펄프화시키고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좀더 발전시켜서 2차 선별기로부터 나오는 분리된 이물질의 배출관이 1차 진동선별기보다 더 작은 구멍을 갖는 선별기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 경우 추가로 설치되는 선별기는 진동선별기가 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는 가압 작동되는 선별기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추가로 설치되는 선별기로부터 나오는 반스터프가 연결되는 하이드로 사이클론에는 무거운 슬러지의 배출구가 있고 하이드로사이클론의 중앙부에 가벼운 슬러지의 배출구가 있으며 가벼운 슬러지 출구 근방에 동축상에 반스터프 배출관이 설치되어 이 배출관이 다시 처리공정으로 순환되게 하는 것이 유리하다. 무거운 슬러지와 매우 가벼운 이 물질이 분리될 수 있는 하이드로 사이클론은 예를 들면 독일특허 제1, 442, 503호에 기술되어 있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여 보조회로에서 이물질이 거의 완전하게 제거된다.
라텍스비트와 같은 가벼운 이물질이나 점착성입자나 이와 유사한 것들은 최종선별기로부터 나오는 반스터프속에 아직도 존재할 수 있는데 이들 이 물질은 전술한 하이드로 사이클론상에서 제거된다.
본 발명에 의한 한가지 공정을 첨부한 도면과 함께 이하에서 설명하며 이로부터 본 발명의 특징을 알수 있을 것이다.
처리할 페지는 짐짝의 형태로 비어터(1)에 공급되어 조펄프화되며 그곳에서 원료밀도가 4-5%가 되도록 처리된 다음 펌프(2)에 의해 회전대칭형 경량펄퍼(3)으로 도입된다. 경량펄퍼의 한쪽 끝에는 회전자가 설치되어 있고 펄퍼는 과압하에 있게 되는데 예를 들면 제2, 514, 162호에 이러한 장치가 예시되어 있다.
펄프화된 섬유질인 반스터프는 원료밀도 4-5%로서 거르개에서 배출되어 중간배트(4)로 유입되고 다시 펄프(5)에 의해 단계의 가공 공정으로 보내진다. 경량펄퍼(3)으로부터 가벼운 이물질은 도관(6)을 통해 진동선별기(7)로 보내지며 경량펄퍼의 가장자리에 쌓여있는 무거운 이물질들은 도관(8)을 통하 하이드로사이클론(9)로 공급되는데 이때의 물질의 밀도는 1-1.5%이다. 수분과 섬유질(섬유질덩어리)와 함께 분리된 이물질의 양은 경량펄프(3)에 공급되는 양의 약 20%이다.
하이드로사이클론에서 분리된 이물질은 제거되고 반스터프도관(10)을 통해 현탁액 역시 진동선별기(7)로 이송된다.
진동선별기(7)에서 나오는 반스터프는 밀도 1.5-2%로서 펌프(11)에 의해 경량펄퍼(12)와 같은 2차 선별기로 공급된다. 이 선별기(12)의 거르개를 거친 반스터프인 회수된 섬유질은 선별기(12)에 공급된 전체양의 70% 정도로서 도관(13)을 통하여 중간배트(4)로 이송되어 침적된다. 2차 선별기(12)에서 분리된 가벼운 이물질 및 무거운 이물질은 도관(14)와 (15)를 통하여 더 작은 구멍을 가진 거르개가 있는 2차 진동 선별기(16)에 공급된다.
진동선별기(16)의 반스터프도관으로부터 현탁액은 펌프(17)에 의해 밀도 1.5-2%로 하이드로 사이클론으로 이송된다. 사이클론(18)에서 슬러지의 형태로 분리된 무거운 물질은 하부에서 폐기물로서 제거되는데 사이클론의 중앙도관(19)에 축적되는 가벼운 이물질 역이 폐기물로서 제거된다.
경량펄퍼(3)에 있는 구멍의 폭은 경량펄퍼에 공급되는 현탁액의 10-30%정도가 이물질의 제거를 위한 보조회로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이 보조회로에서 선별 및 오물제거 장치를 적절히 선택함으로서 존재하는 어떠한 섬유질도 회수되고 또한 어떠한 이물질이라도 제거된다.

Claims (1)

  1. 폐지를 조펄프화하기 위해 비이터를 사용하고 본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장치상의 특징을 갖는 1차 선별기에서 펄프화되지 않은 섬유물질과 다량의 가벼운 이물질이제거되고 하이드로 사이클론을 이용하여 무거운 이물질이 제거된 반스터프를 보조회로로 보내어 진동선별기를 거친다음 2차 선별기의 배출관이 1단계에서의 진동선별기보다 작은 구멍을 갖는 다음 단계의 진동선별기로 연결되어 여기서 나오는 반스터프가 본문에 상술한 바와 같은 장치상의 특징을 갖는 하이드로 사이클론에 연결되어 다단 선별 및 이물질 제거를 수행할 수 있으며 분리된 섬유질이 다시 처리공정으로 순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지처리 방법.
KR7803857A 1978-12-11 1978-12-11 폐지 처리 공정 KR8100007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3857A KR810000789B1 (ko) 1978-12-11 1978-12-11 폐지 처리 공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3857A KR810000789B1 (ko) 1978-12-11 1978-12-11 폐지 처리 공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0789B1 true KR810000789B1 (ko) 1981-07-06

Family

ID=19209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803857A KR810000789B1 (ko) 1978-12-11 1978-12-11 폐지 처리 공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07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3026A (ko) * 2018-08-24 2020-03-04 (주) 제이에스티 펄프 재생공정의 불순물 처리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3026A (ko) * 2018-08-24 2020-03-04 (주) 제이에스티 펄프 재생공정의 불순물 처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31526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treating waste paper
KR900004943B1 (ko) 폐지처리용 선별 및 세척장치
US6207015B1 (en) Process for recovering raw materials from paper industry mechanical waste sludge
US3833468A (en) System for recovery of fiber from paper mill effluent, including a sieve bend screen
FI71589B (fi) Saett vid rening av en fibersuspension
GB1535001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recovery of material from waste paper
US5358605A (en) Process for recycling waste paper
EP0537416B1 (de) Verfahren zur Behandlung von Faserstoff
GB2198662A (en) A process and a device for the treatment of mixed waste such as refuse or its fractions for the recovery of plastics sheet material scrap
US5593542A (en) Method for recovering fiber from effluent streams
EP1289664B1 (en) Method and system for utilising waste
JPS59262B2 (ja) 都市廃棄物からの紙繊維の回収方法
KR810000789B1 (ko) 폐지 처리 공정
GB2036603A (en) Recovering cellulose fibres from waste material
KR100495098B1 (ko) 폐지로부터 펄프를 생산하는 장치 및 방법
CN210085905U (zh) 一种废纸制浆轻渣处理系统
EP0887458B1 (de) Verfahren zum Suspendieren und Reinigen von störstoffhaltigen Papierrohstoffen
JPS5934834B2 (ja) 故紙を含む原料から紙繊維を回収する方法および装置
SE8701583D0 (sv)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sbringen von betriebsfremden feststoffen aus stofflosern
RU2128743C1 (ru) Способ и установка для извлечения сырьевых материалов из потока оставшегося или собранного материала, образующегося при производстве бумаги, фабрика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бумаги
KR20020047223A (ko) 처리 플랜트의 물 순환 시스템에서 새로운 물의 사용을최소화하는 방법
JPH10500179A (ja) 再生紙の離解方法
JPH0247381A (ja) 古紙再処理装置
JP2787669B2 (ja) 混合熱帯広葉樹パルプからピッチを除去する方法
JPH0681287A (ja) パルプ中の軽量異物除去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