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0671B1 - 부가창 유리 장치의 포장 조립체 - Google Patents

부가창 유리 장치의 포장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0671B1
KR810000671B1 KR750000619A KR750000619A KR810000671B1 KR 810000671 B1 KR810000671 B1 KR 810000671B1 KR 750000619 A KR750000619 A KR 750000619A KR 750000619 A KR750000619 A KR 750000619A KR 810000671 B1 KR810000671 B1 KR 8100006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moisture
resin
window
sub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50000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죠오지후 마앗쪼우니이 레에나토
헨리 보오저 죠오지
로오슨 스츄어어트 죤
레이몬드 류우척 리챠아드
포올 보로그나 죤
Original Assignee
로오즈 엠 페코라
피이 피이 지이 인더스트리이즈 인코포레이팃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오즈 엠 페코라, 피이 피이 지이 인더스트리이즈 인코포레이팃드 filed Critical 로오즈 엠 페코라
Priority to KR750000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06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0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0671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부가창 유리 장치의 포장 조립체
제1도는 본 발명이 실시될 전형적인 단일 유리창문의 내측부분 파단 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따라 방습성 리본(ribbon)에 유기성 격리자 및 밀봉재료가 부착된 테두리 조립체의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테두리 조립체에 대한 변형 실시예의 단면도.
제4도는 유리판 주변에 설치되어 부조립체를 형성한 테두리의 부분 단면도.
제5도는 밀봉재료가 부착된 제4도의 부조립체의 부분 단면도.
제6도는 취급 및 수송에 적합하도록 포장된 제5도의 부조립체의 단면도.
제7도는 다른 형태로 포장된 제5도의 부조립체의 단면도.
제8도는 본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이중유리창으로 변환된 제1도의 창문의 내측부분 파단 투시도.
제9도는 제8도의 선 9-9에 따른 부분 단면도.
제10도는 공간을 감압시키는 장치를 보여주는, 기존 유리창에 부착된 부조립체의 부분 입면도.
제11도는 접합부에 감압관을 갖는 부조립체의 부분 입면도.
제12도는 본 발명에 따라 좁은 창틀에 사용되는 변형 창틀부재의 부분 단면도.
제13도는 본 발명에 따라 넓은 창틀에 사용되는 변형 창틀부재의 부분단면도.
제14도는 본 발명에 따라 나사없는 장식이 사용되는 변형 창틀 부재의 부분 단면도.
제15도는 강고한 격리자를 사용하는 변형 부조립체에 대한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
제16도는 기존의 단일 유리창에 제15도의 부조립체가 완전하게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
제17도는 조립에 앞서 부품들사이의 관계를 보여주는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의 부분 분해 단면도.
제18도는 제17도에 도시된 실시예가 완전하게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
제19도는 방습 밀봉재가 있는 변형 부조립체에 대한 실시예에 부분 단면도.
제20도, 제21도 및 제22도는 제19도의 부조립체에 대한 변형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
제23도는 금속성 격리자를 사용하는 간이 부조립체에 대한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
제24도는 방습덮개로 싼 유기성 격리자로 된 또 다른 부조립체에 대한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
제25도는 본 발명에 따라 하나의 봉합된 포장을 형성토록 결합된 제4도의 부조립체 두개의 부분 단면도.
제26도는 본 발명에 따라 하나의 봉합된 포장을 형성토록 결합된 부가 창유리 부조립체의 제2실시예 두개의 부분 단면도.
제27도는 본 발명에 따라 하나의 봉합된 포장을 형성토록 결합된 부가 창유리 부조립체의 제3실시예 두개의 부분 단면도.
제28도는 제27도의 포장을 절단해서 형성된 부조립체 하나의 부분 단면도.
제29도는 제1도의 창문에 제27도의 부조립체가 완전하게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
제30도는 포장된 부조립체에 대한 제4실시예의 부분 단면도.
제31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설치된 창문의 단면 투시도.
제32도 및 제33도는 부가장식 부재를 갖춘 본 발명 유리 창문의 부분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단일유리 창문을 이중유리 창문으로 개조하는 것, 특히 기존의 창문에 격리자(隔離子)를 사용하여 (또는 이것없이) 부가적인 유리판을 덧붙임으로써 유리판 사이에 밀봉된 절연 공간을 갖게하는 이중 유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중유리이 단일유리 창문보다 훨씬 절연성이 좋다는 것은 오래전부터 인식되어 왔지만 시설비를 절감하기 위하여 대부분이 단일유리로 되어있다. 그러나 건물의 냉난방비의 급격한 앙등으로 인하여 이러한 경제성은 이미 그 가치을 잃었다. 따라서 절연특성의 개선뿐 아니라 반사피막이 형성되었거나 채색된 창유리를 부가함으로써 얻어지는 기타 잇점 때문에 단일 유리를 이중유리로 바꾸고자하는 요구가 크게 증가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유리창을 제거폐기하고 그 곳에 이중유리 장치를 설치하는 것은 막대한 노동력과 재료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기존설비에 부가적인 유리판을 밀봉부착함으로써 단일 유리창을 이중유리 창으로 신속하고 간편하게 개조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본 발명은 특히 모든 크기의 창문 골조에 쉽게 설치할 수 있고 쉽게 다룰 수 있으며 운송저장에 편한 한편 월등한 방습성과 증진된 강도를 지니도록 되어 있다.
종래에도 시공현장에서 제2의 유리판을 설치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있어 왔으나 모두 제각기 결점들이 있어 사용하기가 곤란했다. 종래의 기술중 하나로서 유리 사이를 고무로 밀봉하는 방법은 모든 천연 및 합성고무가 약간은 습기 투과성이 있어 공간과의 접촉표면에 응축현상을 일으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고무는 태양광선이나 의기에 노출되면 퇴화하기 쉽다. 그러한 장치는 실외로 부터 비교적 깊은 골조에 설치할때 한계가 있고 특히 고층건물에 있어서는 분명한 결점이다. 또한 사접(斜接) 모퉁이에서 나타나는 밀봉의 어려움을 어쩔 수 없었다.
또 하나의 종래의 기술은 에폭시 수지를 밀봉 및 격리자로 사용하는 것이다. 이 방법은 습기투과에 비교적 약하고, 고접착 방도와 실온경화성 때문에 요구되는 에폭시수지는 그 자체가 습기투과성이고 저온 시요성이기 때문에 바람직한 밀봉재료가 될 수 없다. 더욱이 모양을 보기좋게 하기 위해서는 에폭시용의 특수한 압출 및 주조장비가 시공장소에 설치되어야 한다.
종전 기술중 또 한가지는 네오플렌 합성물을 시공장소에서 용해 경화시킴으로써 밀봉을 하는 것이다. 이 방법도 경화될 수 있는 열가소성 재료가 방습특성이 좋은 것은 아니어서 역시 길이 방향의 습기투과 장벽이 부족하였다. 또한 이 방법은 시공을 위해서 특수한 전기장비가 사용 되어야하고 가열시간이 길어야하며 균일한 가열이 어렵고 따라서 밀봉상태가 고르지 못하게 되기 쉽다.
그 밖에도 여러가지 방법이 있으나 모두 건축의 유리창 가설분야에서 요구하는 밀봉의 영구성 및 완벽성에 결함이 있다. 모두가 습기투과에 약한 무방비의 유기성 격리자를 사용하고 있다.
한편 격리자의 조립이 공장같은 곳에서 행해지면 종전 방법에 대해 몇가지 잇점을 얻을 수 있는데 그 잇점이란 대량생산기술이 주는 효율, 특수장비의 이용으로 인한 개선된 결합 및 밀봉의 형성, 사용되는 재료에 대한 제한의 감소, 숙련공의 채용과 품질관리에 따른 상품의 규격화 등이다.
조립부품에 대한 실용적인 수송 및 취급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면 그러한 조립부품 생산기술은 갈수록 바람직해질 것이다. 단한가지 문제는 보통 수송중 대기습기로 부터 보호되도록 건조제를 함유하고 있는 격리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대부분의 경우, 사이의 공간에 면할 유리면에 반사성 피막을 형성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그런 피막들은 약해서 부속들의 선적중 피막이 대기중 노출이나 마멸에 의해 퇴화되기 쉽다. 또한 공간내에 봉입될 유리표면은 부착시 매우 깨끗해야 하므로, 엄격한 공장세척작업이 행해진뒤 부수적인 선적이나 취급의 과정에서 오염으로 부터 보호되면 좋다. 종전에 사용된 한 방법은 린렌등의 천을 부품의 전체표면에 덮고 주변의 격리자에 접착시키는 것이었다. 이러한 방법은 재료가 많이 요구되고 방습밀봉을 얻기는 어려우며, 천이 우발적인 사고로 찢기거나 벗겨지기도 쉽기 때문에 좋지 않다. 따라서 부가할 창유리부품의 취급, 저장, 수송을 위한 개선된 장치를 제공하는 것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이다.
본 발명은 도시된 실시예 뿐만 아니라 그 공간이 일시적으로 개방되는 유리창 장치도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지난 수년동안 건설된 대부분의 건물은 투명유리로 되어 있는데, 연료비의 앙등과 공기조절 장치의 일반화로 인해 유리창의 태양 복사열 투과량을 보통 투명유리에 의한 것보다 줄일 것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보통 투명유리 보다는 복사열 특히 적외선 근처의 복사열을 더많이 흡수 및/또는 반사하는 유리를 사용하는 것이 상식화 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건물에서 유리를 제거하고 새로운 유리로 대치하는 것은 막대한 노동력과 재료를 요구하고, 유리창이 외측으로 부터 설치된 고층건물의 경우 매우 비실용적이다.
설치된 유리창의 복사열투과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현재 상업적으로 유통되는 한 방법은 얇게 채색된 플라스틱 필름을 창문의 내표면에 붙이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많은 결점이 있는데 그중 중요한 것은 시각적 충실도가 다소 감소되고 태양 에너지조절이 불충분하고, 필름이 긁히기 쉬워서 세척하기가 불편하며, 필름과 유리사이의 기포도 문제가 된다.
본 발명은 기존유리창을 통한 태양복사열의 투과를 감소시키고 특히 섬광 및/또는 총태양 복사열투과를 감소시키도록 기존 유리창에 채색 또는 피막된 창유리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방습장벽 및/또는 개선된 구조강도를 제공하도록, 기존창문 유리에 부착될 유리판 외면에 격리자를 부착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부가 유리판은 격리자가 부착된 띠와 함께 격리자와 기존 유리판사이에 끈적끈적한, 바람직하게는 비경화성인 밀봉재료를 삽입한 다음 가압함으로써 기존 유리창에 봉입된다.
또한 본 발명은 주변에 우수한 밀봉 및 구조특성을 가지는 격리자가 부착된 미설치 유리판으로 구성되는 부조립체를 포함한다. 그러한 부조립체들은 제조업체에서 효율적으로 대량 생산되어 유리직공을 편하게 하며 보다 균일한 품질을 보증한다.
본 발명은 또한 현장에 시공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생산되고, 보다 우수한 밀봉특성 및 구조적 강도를 가지며, 평행으로 간격을 가진 다수의 유리판으로 구성된 새로운 겹유리 창문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그 사이에 공간을 두고 면과 면을 대하도록 배치되어 임시로 밀봉됨으로써 내면과 건조제를 보호하는 기밀공간을 형성하도록 된 두개의 부가창유리 장치 부조립체를 제공한다. 공간은 접착제로 피복된 테이프를 사용하여 밀봉하는 것이 좋다. 시공 현장에서 이들 부조립 체들은 테이프를 절단함으로 분리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는 서로 연한 주변 표면사이에 얇은 층의 방습 밀봉재료를 사용함으로써 채색되거나 반사피막이 형성된 투명한 유리판이 기존 유리창에 직접 부착된다. 격리자를 사용하지 않고 공간을 감소시켜 장치의 총두께를 최소로 한다. 결과적으로 생기는 장치는 플라스틱 필름을 사용했을 때 일어나는 독특한 보존 및 내구성의 문제를 일으키거나 시계를 가리지 않고 태양 복사열의 투과를 효과적으로 조절한다. 더욱이 유리를 태양광선 조절판으로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복사열 흡수 및/또는 반사재를 사용하여 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다양한 요구 및 조건에 쉽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밀봉재료는 부가 유리판이 방습성 밀봉을 형성하도록 기존의 유리창에 가압될때 유등할 수 있도록 선택된다. 압력은 공간내에 공기를 뱀으로서 그리고/또는 기계적 지렛대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가해진다. 건조한 공기로 공간을 정화하거나 공간내에 건조제 조각이 투입될 수도 있다.
제1도에 도시된 것은 건물벽구조의 일부를 형성하는 단일유리 창문의 내측 투시도인데 창문은 창짝틀(61)과 유리판(15)으로 구성된다. 그런 창문을 이중 유리창으로 개조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제2도는 본 발명의 기초를 이루는 테두리띠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단면도 이다. 테두리 띠는 기저(基底)요소로써 방습성(습기를 절대 통과시키키지 않는) 재료로 된 기다란 리본(ribbon)(20)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약 8mm정도의 두께를 갖는 알미늄 박판이 적합하다. 습기투과에 약하기는 하지만 폴리에틸렌 같은 프라스틱 물질로 만든 다양한 박판이 리본(20)의 재료로 사용될 수도 있다. 기다란 유기성 격리자(21)가 접착제층(22)에 의하여 리본의 길이를 따라 덧붙여진다. 접착제(22)는 밀봉재료일 수도 있으나, 휘어질 수 있는 유기성 격리자가 설치위치에서 전위되지 않도록 필수적으로 강력한 접착제중에서 선택되어야 한다. 접착제(22)는 창문에 설치되었을 때 기대되는 온도범위에서 강고해야 하고 제조상의 편이를 위하여 박판과 격리자 사이에 즉각적인 결합을 형성할 수 있어야 한다.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접착제는 시판 폴리에틸렌공 중합체 usm 1311이며, 이는 가열 용해된 상태로 역시 가열되어 있는 박판에 도포된다. 그러한 접착제는 접착제가 냉각 고착되면 리본과 격리자 사이에 4.5kg./cm 이상이 되는 180°필 강도(Peel strength)의 아주 강력한 결합을 형성한다.
여기에 언급되는 "방습성", "습기부과에 대한 장벽", "밀폐봉합" 그밖의 이와 비슷한 표현들은 해당물질이나 구조가 영구적으로 다중창유리 건축설비에 사용될 수 있을 정도로 수증기의 통과를 저지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함이다. 그런 건축용도에 적합하기 위해서는, 그 물질 또는 구조가 다중 창유리 장치 내부의 수증기 응축이 여러해를 거듭해도, -20℃이하까지의 온도에서 장치내의 공기 1㎤당 1.07×10-6g이하로 저지되도록 습기 투과를 막기에 충분한 장애효과를 발휘해야 한다. 요구되는 기간은 최소 3년에서 5년이어야하며, 최소 10년이상이 바람직하고 최소 20년 정도가 최적이다. 습기 투과량은 장애물로 사용된 물질의 고유 습기 투과성 뿐 아니라 습기 투과경로에 있어서의 장애물의 크기(즉 두께)에도 의존된다. 건축의 유리공사에 있어서는 시각적인 미(美)가 고려되어야 하므로, 방습장벽의 칫수를 최소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상대적으로 습기 투과성이 작은 재료가 요구된다. 이런 이유로 다중 유리의 습기 장벽용 물질은 온도 40℃, 상대습도 90% 하에서 두께 1 mm당, 넓이 1㎡당, 24시간당, 약 15g미만(약 6g이하이면 최적)의 습기 투과성을 지녀야 한다. 흔히 다중 창유리에는 공간내의 습기를 흡수하도록 건조제가 포함되며, 건조제가 사용되면 습기장벽은 건조제의 흡수용량 만큼 완화될 수 있다. 그러나 시각적 미관문제로 건조제의 사용량은 제한되면 불연속 격리자가 사용되지 않은 경우는 더욱 더 제한된다.
제2도를 다시보면 격리자(21)는 주변온도 조건하에서 두장의 유리판을 평행하게 간격을 둔 상태로 보지시키도록 충분한 강고성을 유지하는 고체 또는 반고체 고무 또는 합성 중합체 재료로 된다. 바람직한 격리자는 보통 흡습성 물질이 분산된 스틸렌 및 부타디엔 블록(block) 공중합체의 습기 투과성 기질(基質)로서 표현되는 흡습성 격리자이다. 그런 흡습성 격리자가 사용되지 않으면, 별도의 건조체가 격리자의 길이를 따라 일부에 부착 또는 매봉(埋封)되거나 현장 설치시 공간내에 삽입되는 것이 좋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다란 띠로된 수지(23)가 격리자(21)와 평행하게 리본(20)에 부착되어 있다. 수지(23)의 조성과 폭은 다음에 상세히 기술하는 바와같이 유리표면에 결합되었을 때 충분한 방습 장벽을 형성하도록 선택된다. 수주(23)는 방습성 밀봉 및 탄성 구조상 결을 형성하도록 실온 경화성물질이 좋다. 실온 경화성 부틸 기제(基劑)로 된 수지가 바람직한 것이다. 현장조립은 수지(23)에 끈적끈적한 비경화성 성분을 인가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한 비경화성 수지는 다음과 같은 조성으로 되어 있다.
성 분 중 량
폴리이소부틸렌(점도 평균 분자량 75,000-100,000) 15-50
폴리이소부틸렌(점도 평균 분자량 8,000-10,000) 10-45
카본블랙 10-45
실리카 색소 5-15
지르코늄 오르토실리케이트 5-15
폴리부텐 20-50
산화아연 0-5
감마-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0-5
리본(20)의 길이를 따라 격리자(21)를 중심으로 수지(23)의 반대쪽에 접착대(24)가 마련되어 있다. 접착대(24)의 1차적 기능은 다음에 행해지는 조립공정에 따라 리본이 접혀졌을 때 격리자(21)의 측면에 대해 리본(20)의 연장부분을 보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접착대(24)는 단순히 접착물질이 구슬모양으로 좁게 배치되거나 불연속적인 점의 형태로 마련되어도 좋다. 대부분의 경우 접착대(24)는 수지(23)와 동일한 조성을 갖는다. 테두리 띠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3도에 보인 바와 같이 리본(20)의 한쪽면 전체에 단일 수지-접착층(25)이 형성되어 있다.
제3도의 실시예는 제2도의 실시예의 열가소성 접착제(22)를 사용하는 잇점은 없지만 유기성 격리자(21)가 방습성 수지의 연속층에 의해 보호된다는 밀봉상의 잇점을 가지고 있다. 수지(25)는 상기한 것과 같은 조성으로 될 수 있다.
제4도를 보면 기존설치물에 부가될 강고한 부가 투명유리판(30)이 설치된 제2도의 테두리 띠가 도시되어 있다. 판(30)은 유리나 플라스틱이고 이미 알려진 방법으로 채색되거나 반사피막으로 피복되어 있다. 판(30)이 피복될 때, 특히 피복이 약화되기 쉬운 경우에, 피복은 밀봉된 공간내로만 노출되도록 내표면(31)에 형성된다. 기름, 먼지 기타 오물을 창에서 닦아내려면 적절한 용제를 사용하는 주의를 해야한다. 유리창의 주변은 가볍게 다듬어져 있어 사람의 피부나 리본(20)이 찢기는 것을 막는다.
제4도에보인 바와 같이 격리자(21)는 한쪽이 판의 표면(31)과 가까이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밀봉재 즉 접착제가 꼭 요구되는 것은 아니지만, 격리자와 판 사이에 별도의 밀봉 및 강도를 제공하기 위해, 삽입되는 것이 좋다. 수지(23)를 수반하는 리본(20)의 연장부분은 판(30)의 가장자리에서 접혀져 수지를 밀착시키고 판의 주평면(33) 가장자리 및 밑면날(32)과 리본 사이에 밀봉을 이루도록 판에 대해 가압된다. 접착제 즉 수지(24)를 수발하는 리본(20)의 또 다른 연장부분은 격리자가 이미 리본에 접착된 측면에 인접한 측면에 대해 접혀져 접착된다. 일반적으로 테두리 조립체의 부착은 긴 테두리 조립체 하나로 먼저 판의 한쪽 구석에서 시작해서 창의 전체 둘레에 계속된다. 끝이 마주닿는 곳에서 테두리는 끝들이 서로 접착되도록 다듬은 다음접합마디에 밀봉재가 부가되거나 테두리의 중첩지점에서 부터 격리자가 절단된 다음 리본(20)의 별도의 길이가 접합마디를 넘어서 가로질러 접착된다. 이제 리본(20)의 존재에 대한 몇가지 잇점을 알 수 있다. 첫째 휘어질 수 있는 유기성 격리자는 리본에 접착되므로 구조적 강고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가요성 격리자이건 강고한 격리자이건 간에 판(30)에 대한 보다 강력한 구조적 접착을 얻을 수 있다. 또 다른 중요한 잇점은 리본(20)의 존재가 격리자와 판(30)사이의 내면 밀봉용 방습물질(밀봉재 23)의 사용폭을 늘려주며, 방습물질이 격리자와 판 사이가 아니라 리본(20)과 판(30)의 표면사이에 전개되었기 때문에, 우수한 밀봉을 형성하기 위해 휘어지는 유기성 격리자 자체를 판에 대해 가압하는 경우보다 더 큰 힘으로 보다 균일하게 압력을 가할 수 있다. 더욱이 리본은 투과성이 있는 유기성 격리자속의 습기 투과경로에 종횡으로 연속적인 방습방벽을 마련해준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30)의 주평면에 평행하고 격리자 둘레로 연장된 리본(20)의 노출표면에 수지대(34)를 부착시키면 더욱 좋다. 수지대(34)는 끈적끈적하고 비경화성이어야 하며 상술한 리본 내면의 수지(23)와 같이 부틸 기제 합성물이 좋으며 종이에 입힌 띠모양으로 되어 공급된다. 상기 종이는 수지대가 밀착되도록 가압하여 밀봉이 형성된 후 떼내어진다. 수지대(34)는 리본의 상기 한 부분의 전표면을 덮어야 한다. 수지대(34)를 부착하지 않아도 장치의 성능에는 심대한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그의 존재는 최소의 압력으로 우수한 밀봉형성의 결과를 나타낼 수 있다.
제6도에 보인 부조립체는 기존의 유리창에 즉각 부착시킬 수 있다. 상술한 부조립체는 대규모 공장에서 제작되어 작업장으로 수송될 수도 있고 현장에서 제조될 수도 있다. 부조립체들이 미리 제작된 상태로 수송될때는 제6도에 보인 바와 같이 수지대(34)표면에 박리지(35)를 부착하여 이를 보호하든가 부조립체의 개방표면 전체에 나중에 벗겨낼 수 있는 덮개(36)를 덮는 것이 바람직하다. 덮개(36)는 수지대(34)를 보호할 뿐 아니라 판(30)의 내표면(31)의 청결을 유지하며, 덮개가 비교적 비투과성 물질이면 격리자에 포함되어 있는 건조제와 판의 내표면(31)을 습기로부터 보호한다.
제8도에는 제5도의 부조립체가 제1도의 기존 단일유리 창문의 내측에 설치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내측에 설치하는 것이 쉽게 부착할 수 있어 유리하지만 유리창을 외측에 부가하는 경우에도 사용될 수 있다. 사쉬(Sash)의 구조가 특수한 경우에나 반사 피복유리를 사용하는 경우 반사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외측에서 설치하는 것이 불가피하다. 창의 주변 둘레에는 임의의 장식 마감재(40)가 부착된다. 설치의 자세한 내용은 창문 대부분의 단면도인 제9도에서 볼 수 있다.
부조립체를 기존판(15)의 표면(41)에 설치할 경우 그 표면과 창짝틀(16)의 인접부분은 완전히 세척되어야 한다. 그다음에 방습성 수지층(42)이 제9도에 보인 바와 같이 부조립체의 격리자(21)의 외곽선에 상응하는 경로를 따라 판(15)의 주변에 둘려진다. 수지층(42)의 폭은 접촉면을 최대로 하고 약간의 오차에 대한 여유를 가지도록 최소한 격리자(21)가 창의 표면(41)에 접촉하는 부분의 외곽선보다 약간 아래로 연장되도록 충분히 넓어야 한다. 수지층(42)을 창짝틀(16)까지 연장시키면 오차에 대한 이유가 증대되는 한편 보다 신속하게 수지층(42)을 표면(41)에 정렬시킬 수 있다. 수지층(42)은 상술한 리본상의 수지(23)와 같이 끈적끈적하고 비경화성인 부틸기제 밀봉재이고 판(15)에 대해 가압된 후 떼내어지는 종이에 부착되어 공급된다. 수지(34) 및 (42)의 결합두께는 서로 가압되었을 때 기포없이 전길이가 완변하게 밀봉되도록 수지물질의 밀착이 확실시 될만한 두께이어야 한다. 각각의 수지(34) 및 (42)의 두께를 약 0.16cm로 하거나 부조립체의 수지(34)가 없는 경우에는 수지(42)를 약 0.32cm정도의 두께로 하는 것이 만족할만 하다고 알려져 있다.
그 다음 부조립체가 수지층(42)에 의하여 정위치에 배치되고 네오프렌과 같은 탄력성 재료로 된 고정블록(44)들이 통상의 유리끼우는 방법에 따라 부조립체와 창짝틀(16) 사이의 공간내에 부조립체의 밑면 테두리를 가로질러 간격을 두고 삽입된다. 그다음 부조립체는 판(15)에 대해 가압되어 수지층(42)에 의해 밀봉을 형성한다. 압력은 유리지지 장비에 달린 집게장치 또는 벽이나 창틀과 함께 작동하는 특수한지지 대장치에 의해 주어진다. 또 다른 방법은 수지가 밀착되어 밀봉되도록 충분한 시간에 걸쳐 새로생긴 공간(43)내를 감압시키는 것이다. 최적의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감압 및 기계장치를 둘다 동시에 사용하는 것이 좋다.
감압상태는 공간이 허용된다면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본(20)과 격리자(21)을 통해속이 빈 바늘(47)을 삽입하여 얻은 다음 구멍을 막는다. 대부분의 경우 공간을 외부와 소통시키기 위해서는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조립체를 제작할 때 이 테두리의 접합부분을 통해 일정한 길이의 가늘고 휘어질 수 있는 플라스틱관(48)을 봉입하는 것이 좋다. 관을 통해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감압상태로 만든 다음 일정기간동안 그대로 보지시킨뒤 감압을 해제하고 관을 밀봉하거나, 관을 제거한 뒤 구멍을 밀봉한다. 때로는 이중유리 장치에 공기흡입관을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 경우 공기흡입관은 공간내를 감압시키는데 사용된다.
이상의 조립과정에 의해 얻어지는 이중유리 장치는 기본적으로 완전한 것이지만 별도의 예방수단으로 장치둘레의 남은 간격내에 밀봉재(44)를 채워넣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력성의 부틸-, 폴리 설파이드-, 또는 실리콘-기제로 돈 밀봉재가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그러한 밀봉재는 대충 채워져도 좋고 장식적인 마무리로써 채색되어도 좋다. 미관을 위해 금속, 플라스틱 또는 목재장식물(40)을 창짝틀(16)에 부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비록 리본(20)과 다양한 수지층 만으로도 함께 결과적으로 형성된 이중유리 장치를 지지하는데 적절한 강도가 제공되지만 장식물(40)역시 이차적인 지지력을 제공하도록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가 창유리 공사기술은 어떠한 창틀구조에서 원만히 사용될 수 있다. 두가지 적용예가 제12도 및 제13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12도는 비교적 좁은 창짝틀(16a)에 수정된 형태 장식부재(40a)를 사용하여 완성된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제13도는 비교적 넓은 창짝틀(16b)과 수정된 장식부재(40b)로 구성되어 완성된 설치 상태의 도면이다. 창짝틀이 지나치게 좁은 경우에는 별도의 부재를 틀에 부착하여 틀의 폭을 넓혀야 한다.
제14도에 보인 또다른 변형에서는 못이나 나사가 없는 장식부재(40c)를 사용하고 있다. 그런 장식부재는 다수의 가시(36)가 형성되어 있는 기다란 플랜지(flange)(45)를 가지고 있다. 장식부재(40c)는 단지 플랜지(45)를 밀봉제(44)속으로 밀어넣음으로써 외측으로 배향된 가시(36)가 밀봉재(44)가 결합되어 고착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기술은 유기성 격리자의 사용에 관한 것이 었으나 본 발명은 금속성 격리자가 사용될때에도 몇가지 잇점이 있다.
제15도에는 금속으로 성형되어 건조체(51)를 함유하고 개구(52)가 마련된 강고한 격리자(50)를 포함하는 부조립체가 도시되어 있다.
제15도의 금속성 격리자는 구석 결합부에 용접을 해야하므로 1차적으로 공장에서 제조되어야 한다. 이러한 경우에도 수지물질은 앞서 언급한 방습성 합성물중 어느 것이어도 좋으나, 부틸기제 밀봉재가 바람직하다. 금속성 격리자는 견고한 구조를 이루고 있으므로 수지는 구조적 강도특성에 앞서 밀봉특성을 보고 선택해야 한다. 격리자(50)는 1차밀봉을 위해 밀봉재(53)를 사용하여 부가될 판(30)에 부착되고 밀봉재(55)로 피복된 방습리본(54)(금속이 좋음)이 격리자(50)의 외표면에 부착되어 판(30)의 가장자리 둘레에서 접혀져서 외면의 둘레표면(32) 및 주표면(33)의 끝부분과 방습성 밀봉을 형성하게 된다. 이렇게 형성된 2차 밀봉과 앞서 행해진 1차 밀봉은 보다 우수한 방습장벽을 제공한다. 원한다면 1차 밀봉재(53)를 생략하고 2차 밀봉재(55)만으로도 적절한 밀봉을 형성할 수 있다. 금속성 격리자는 습기 비투과성이므로, 유기성 격리자 구조에서와 같이 리본(54)이 격리자(50)의 인접표면을 덮도록 연장될 필요는 없다. 그러나 리본(54)은 격리자를 판(30)에 부착시키는데 있어서 보강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런 이유로 금속성 격리자의 경우에도 리본이 격리자의 한 모서리에 접혀져서 격리자의 인접한 전면(前面)에 부착되도록 리본의 폭을 충분히 넓게하는 것이 유리하다.
제15도의 분조립체가 단일유리 창문에 설치된 상태가 제16도에 도시되어 있다. 설치방법은 유기성 격리자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비슷하다. 수지층(56)은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끈적끈적하고 비경화성인 부틸기제물질이 좋으며 앞서 언급한 유기성 격리자 구조에서의 수지(42)와 같은 방식으로 기존의 판(15)에 부착된다. 설치에 앞서 별도의 수지가 층(56)과 수지대 사이의 결합을 형성하도록 판(30)의 주평면에 평행한 격리가(50)의 노출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용접할 필요없이 현장에서 부가될 판에 금속성 격리자를 부착시키는 방법에도 사용될 수 있다. 제17도를 보면 건조제(61)와 개구(62)를 갖는 용접되지 않은 금속성 격리자(60)의 조각이 도시되어 있다. 각 조각은 판(30)의 각측면에 배치되어 즉각적 결합을 형성하도록 끈적끈적한 접착제 또는 밀봉층(63)을 사용하여 개별적으로 부가될 판(30)에 붙여진다. 끈적끈적하고 비경화성인 방습성 밀봉재(65)가 부착된 알미늄 박판등의 방습성 물질로 된 긴 리본(64)이 장치의 격리자(60)의 모서리와 판(30)의 가장자리에서 접힘으로써 밀봉재가 밀착되어 밀봉을 형성하도록 가압된다. 리본은 판(30)의 모서리 둘레를 통해 연속하여 있으므로 금속성 격리자의 접합부가 용접될 필요없이 우수한 밀봉이 이루어 진다.
제17도의 부조립체는 상기수지(56)와 같이 끈적끈적하고 비경화성인 수지(66)를 사용하여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은 설치 공정에 의하여 제1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 유리창문(15)상에 설치된다. 비록 테두리 리본이 지니는 구조 및 밀봉상의 이득 때문에 앞서 기술한 실시예 들이 바람직하지만 그러한 리본없이도 건축용도에 적합한 부조립체들이 생산될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가 제19도에서 제24도까지에 도시되어 있다.
제19도에 보인 부조립체는 리본이 생략된 대신 방습성이 밀봉층(70)에 의해 제공되고 구조적 강도는 접착층(71)에 의해 주어진다는 점 이외엔 제4도의 실시예와 같다. 유기성 격리자(21)나 격리자와 판(30)사이를 통한 수증기 침투를 막는 장벽은 밀봉재(70)용으로 적합한 재료와 두께를 선택함으로써 제공된다. 제20도에서 제22도까지의 밀봉재(70)와 밀봉재용으로 적합한 재료는 이미 언급된 끈적끈적하고 비경화성인 부틸기제 합성물이다. 그러한 끈적끈적한 밀봉재가 사용될 경우 수송이나 저장도중 적절한 종이로 밀봉재의 노출표면을 보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제(71)는 마찬가지로 방습물질일 수 있고, 제20도에서와 같이 방습밀봉재의 연속적인 층(72)이 방습장벽 및 구조결합재로서의 기능을 발휘하도록 격리자(21)의 삼면을 둘러쌀 수도 있다.
제21도는 별도의 두꺼운 밀봉체(73)가 방습장벽 구실을 하는 이층방식을 도시하고 있다. 이방식은 습기가 유기성 결리자(21)에 도달하기 전에 판(30)의 주평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방대한 두께의 방습밀봉채를 통과할 것을 요구한다. 밀봉체(73)는 부조립체가 설치된 기존장비과의 밀봉을 향성하도록 격리자밖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22도에 보인바와 같이 연장된 밀봉체(74)를 사용하여 기존장에 부조립체를 봉합하는데 사용되는 면적을 늘릴 수도 있다.
금속성 결리자는 그 자체가 습기 비투과성이므로, 금속성 격리자를 사용한 실시예에 있어서 방습성 밀봉의 필요는 우선적으로 격리자 주위로 투과하는 습기를 막는데 있다. 따라서 제23도에서는 제15도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같은 금속성 격리자(50)가 방습성물질층(75)에 의하여 판(30)에 밀착되어 있다. 같은 방법이 어느정도 습기를 투과시키는 유기성 격리자에도 사용될 수 있는데, 단 격리자가 우선 제24도에 보인바와 같이 방습성 테이프(76)로 쌓여진 경우이어야 한다. 테이프(76)는 점검이 배치된 접착제(77)에 의하여 격리자(21)에 고착되며 알미늄 박판과 같은 습기 비투과성 물질이 바람직하다.
제19도에서 제24도까지에 도시한 부조립체 실시예의 겹 유리 설치공정 과 일반구조는 제19도에서 제16도에 관련해서 이미 설명한 것과 같다. 여기에 언급된 어느 구조든 제2의 부조립체가 3중 유리창 설치를 위해 앞서 장착된 부조립체에 설치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할 것이다. 한편 하나의 부조립체 자체가 2중 또는 3중 또는 그 이상의 판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제 제24도를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제4도의 부조립체와 이와 똑같은 제2의 부조립체로 형성된 등봉포장이 도시되어 있다.
제4도의 부조립체와 동일한 제2부조립체의 해당번호에는 프라임(Prime)이 붙어 있다. 부조립체들은 병합되어 있는데 표면(31)과 (31')은 면과 면을 마주 대한 위치에 있고 격리자(21)과 (21')는 그들 경제면 주위에서 각각 비접착성으로 병합되어 있다. 격리자 사이의 경계면 주변에 봉합장치를 부착함으로써 두개의 부조립체가 병합되고 그 내부공간(39)이 밀봉된다. 봉합장치는 점착성(粘着性)인 접착층(38)을 수반하는 금속박판(특히 알미늄 박판)같이 습기비투과성 물질은 압력에 민감한 테이프(37)로 구성될 수 있다.
형성된 폐쇄용기는 항상 심한 온도조건에 노출되는게 아니라 일시적으로만 노출되기 때문에 접착제(38)는 고방습 특성을 가질 필요는 없고 테이프(37)와 접착제(38)가 습기투과 경로에 비교적 긴 장벽을 형성하도록 충분한 폭과 방습성을 가지면 된다. 결국 결합된 부조립체의 경계부분 표면의 대부분을 덮을 수 있을 만한 폭을 지니면 된다. 결합된 부조립체보다 넓은 테이프를 사용하여 부조립체의 외측둘레에서 꺽어접음으로써 보다 긴 방습장벽을 얻을 수도 있다. 적절한 박판 접착 테이프로는 "3M425"가 있다.
본 발명의 장치는 이렇게 포장된 형태로 조립된 한 쌍의 부조립체로 통상의 공장제품인 겹유리창 장치와 같이 취급, 수송, 저장될 수 있다. 격리자에 함유된 건조재가 보호되고 내표면상의 피복도 마멸이나 파괴되지 않은채 내표면의 청결이 보존된다. 설치장소에서 격리자의 경계면을 따라 절단기구로 테이프를 찢거나 벗김으로써 두 부조립체를 갈라 놓는데 그때 리본이나 유기성 격리자에 손상이 가지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테이프는 비교적 얇고 작은 힘으로 절단할 수 있어서 아래 깔린 리본이나 격리자를 상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제4도는 테이프(37)가 벗겨진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제8도 및 제9도는 이미 설명한 과정에 따라 부조립체가 제자리에 배치되어 제1도의 기존창에 설치된 것을 보여주고 있다.
제26도는 부가 겹유리 부조립체의 다른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와 변형된 포장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이 실시예는 특히 제15도 및 제1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조재(51) 및 개구(52)를 포함하는 속이빈 금속성 격리자(56)를 사용한 부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금속성 격리자는 접착제 혹은 밀봉층(53)으로 판(30)에 부착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따라 하나의 부조립체는 각 소자들이 상응하는 프라임 번호로 표시된 제2의 부조립체와 병합되어 제26도에 보인 바와같이 격리자(51) 및 (51')가 비접착성으로 폐공간(56)을 형성하고 있다. 이렇게해서 형성된 포장은 부조립체 격리자 사이의 결계면을 덮도록, 결합된 부조립체의 둘레에 방습테이프(54) 및 접착제(55)로 구성된 봉합장치를 부착하여 밀된되.
제26도에 보인 바와 같이 테이프에 의해 형성된 방습장벽은 부조립체의 바깥쪽 둘레에서 꺾여 접히도록 넓은 테이프를 사용함으로써 연장될 수도 있다. 8mm 두께의 알리늄등을호 된 강력한 테이프를 사용해서 포강을 더 강하게 할 수도 있다. 금속성 격리자를 사용하는 경우 장치를 분리할 때 강력한 테이프를 자르는데 요구되는 큰 노력운 그다지 큰 결점이 못되는데, 그 이유는 금속성 격리자는 유기성 격리자와는 달리 절단할 때 별로 손상을 입지 않기 때문이다. 물론 테이프는 자르는 대신 벗기는 수도 있다. 접착제(55)는 점착성인 것이 주고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끈적끈적한 비경화성 부틸기제 밀봉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5도에 인접한 테이프(54)와 접착제(55)의 부분이 부착된 상태로 제26도의 포장에서 절단된 하나의 부조립체가 도시되어 있다. 테이프 및 접착제 부분은 판(30)에 대한 격리자와 접착을 보강하는 동시에 밀봉층(53)에 의해 형성된 밀봉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제16도는 제1도의 창문골조에 제15도의 부조립체를 장착시킨 것을 보여주고 있다. 부조립체는 앞서 언급한 실시예와 같은 방법으로 창문에 설치된다.
제26도의 금속성 격리자는 유기성 격리자로 대치될 수 있는데, 단 가능한한 테이프를 벗겨서 떼어내도록 해야하고, 장치를 절단으로 분리할 경우에는 상당히 주의해야 한다.
제27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건조제(81)로 채워지고 개구(82)가 마련되어 있는 금속성 격리자(80)를 특징으로 하고 있다. 격리자(80)에는 가열용해 상태로 부가되는 열가소성 플라스틱등의 유동적이고 실온경화성인 밀봉재나 통상의 폴리설파이드-기제 밀봉재를 수용하기 위한 만입부(83)가 길이를 따라 마련되어 있다. 그런 력리자는 격리자의 한쪽면을 끈적끈적한 부틸기제로 된 밀봉층(84)으로 부가될 판(30)에 봉합함으로서 부가창유리의 부조립체를 만드는데 사용된다. 이렇게 제작된 부조립체는 상응하는 요소들이 프라임 번호로 표시된 제2의 똑같은 부조립체와, 격리자표면 일부의 비접착성 접촉으로 결합되어 제27도의 포장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는 봉합장치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두 격리자 사이의 경계면에 테이프를 부착하는 대신 마주 대한 격리자들의 인접한 만입부에 의해 생기는 공간에 폴리설파이트등의 유동적이고 실온경화성인 밀봉재(85)를 밀어넣음으로써 봉합포장을 할 수 있다. 그러한 밀봉재는 폐공간(88)을 밀봉할 뿐 아니라 포장에 구조적인 결합력을 제공하도록 경화된다.
제27도의 포장은 설치장소에서 밀봉재(85)를 절단함으로써 분리되어 밀봉재의 인접부분(85)이 그대로 보지된 제8도와 같은 하나의 부조립체를 제공한다. 제29도에 보인 바와 같이 기존판(15)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앞서 언급한 끈적끈적한 수지(42)를 사용한다. 폴리설파이트등의 유동성 밀봉재(87)가 부조립체 주변 공간내와 민입부(83)에 의해 형성된 공간내에 삽입되면 밀봉이 완성된다.
제30도에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또 다른 포장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는 특히 포장을 절단할때 유기성 격리자를 보호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처음부터 마주보는 격리자(21)과 (21')사이에 간격이 있는 상태로 봉합된 한쌍의 부조립체 경계주변에 알미늄 박판등의 방습성 테이프(90)을 부착함으로 얻어진다. 간격을 연결하는 테이프(90)의 일부는 부조립체들이 서로를 향해 밀렸을 때 안쪽으로 주름(91)을 형성하도록 주름살이 잡혀있다. 이렇게 형성된 포장의 각 반은 주름(91)을 따라 날카로운 기구로 절단되어 하나의 부조립체를 형성한다. 수송 및 취급시 주름(91)은 접착제(24) 및 (24')의 최소한 일부가 격리자들에 접착되도록 압축된다. 접착제(24) 및 (24')는 처음부터 테이프에가 아니라 격리자에 붙여질 수도 있다. 테이프(90)의 전폭에 걸쳐 끈적끈적한 비경화성 밀봉재의 단일 연속층을 사용하는 또 다른 변형이 있을 수 있다. 주름(91)의 존재로 인해 제30도의 포장은 유기성 격리자에 손상을 입힐 우려가 없이 신속하게 절단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제31도에 도시된 것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창문이 건물벽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고 창틀(116)내에 단일의 투명유리판(115)이 설치되어 있다. 대부분의 경우 판(115)는 약 90% 정도의 가시광선 투과성을 갖는 투명유리이다. 본 발명은 이미 채색 또는 피복된 판을 포함하는 기존창의 태양복사열 전도를 감소시키는 대도 적용될 수 있다. 기존창은 단일판(115) 대신 두개 이상의 판을 갖는 겹유리참이어도 좋다. 제31도에 도시한 창틀(116)은 개략적인 것으로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채색되거나 반사막으로 피복된 부가판(130)을 기존판(115)에 평행하고 간격을 둔 상태로 부착시켜서 좁은 공간을 형성시킴으로써 열 및 광투과성을 요구대로 감소시킬수 있다. 부가판(130)은 기존창의 외부 또는 내부에 설치할 수 있다. 부가판의 표면이 반사막으로 피복된 경우, 부가적인 창을 외부에 설치함으로써 보다 우수한 태양복사의 반사가 얻어질 수 있다. 반면에 실내측에 설치하면 풍우에 노출됨으로서 손상되는 것을 막음으로써 부가판(130)이나 공간(143)을 밀봉하는데 사용되는 장치를 절약할 수 있다. 고층건물의 경우에는 실시의 용이성 때문에 보통 실내에 설치한다.
본 발명과 관련해서 사용되는 채색유리는 투사가시광선의 복사 및/또는 총태양에너지(특히 열 또는 적외선복사)를 대부분 흡수하도록 투명유리와는 다른 조성을 가지는 모든 유리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표준소다-라임-실리카의 합성유리에 소량의 산화철을 첨가하면 촉록빛을 띠게 된다. 부가될 판으로 사용되는 반사 피복유리는 유리표면에 입사광선 및/또는 열복사를 반사시키는 특성을 갖는 투명피복을 입힌 것이다. 이 방면의 기술은 다양하게 알려져 있으며 경우에 따라 채색과 피복이동시에 행해지는 경우도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합색 및/또는 피복된 부가판은 약 75% 미만의 가시광선 투과율을 가져야 한다. 한편 총태양 에너지 투과율은 70%미만이어야 한다. 부가판으로 사용되는 유리에는 이두 투과한계가 다 사용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최소한 몇가지 이점만을 위해서는 한가지만으로도 된다.
창문의 구조적 완전성은 특히 부가판이 실내측에 설치된 경우에 기존창에 의해 마련되므로, 경제성을 위해 부가판의 두께는 얇아도 된다. 그러나 부가판의 두께는 대기압의 변화로 인한 요동이 있을때 두판이 서로 맞닿지 않을만큼 두꺼워야 한다.
그러나 작은 플라스틱판 등의 격리자가 공간내에서 한쪽 유리표면의 중심부에 접착되어 있으며 더 얇은 판을 사용해도 된다. 보통은 0.3-0.6cm 정도의 두께를 갖는 유리가 사용되고 있다.
부가판(130)의 기존판(115)에 대한 부착과 밀봉된 공간(113)의 형성은 부가판(130)의 주표면(131)의 가장자리부분(113)과 기존판(115)의 경계면 사이에 배치된 방습성 밀봉대(123)에 의해 이루어진다. 밀봉재는 끈적끈적하고 유동적이나 설치공정 동안에 응집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하므로 비경화 또는 실온 경화성인 중합합성물이 좋다. 비경화 밀봉재는 합성수지의 부틸기제이고 끈적끈적한 수지가 좋다. 그러한 수지는 비경화성이므로 종이테이프에 부착된 띠모양으로 제공되어 현장에서 유리표면에 붙여진다.
또 다른 적절한 방습성 수지로는 두가지 성분으로 된 실온경화성 합성수지인 부틸기제 밀봉재가 있는데 성분들은 현장에서 혼합되어 공급된다. 이들 부틸기제 밀봉재는 어느 것도 문제될 만한 양의 휘발성 물질을 방출하지는 않으므로 피복의 응축이나 파열등의 위험을 초래하지 않는다.
수지대(123)는 부가창의 표면(131)이나 기존창의 노출표면 부분(141) 혹은 둘다에 구슬모양으로 부가되거나 띠모양으로 부착된다. 부가창에 수지를 부가하면 기존창에 부가창을 설치할 때 접합을 용이하게 한다. 반면에 부가창을 기존창에 정열시키는데 상당한 조각이 요구되는 몇몇 창틀장치에 있어서는 기존판에 수지를 부가하는 것이 유리하다.
설치과정동안 비교적 작은 압력으로 균일한 밀부를 얻기위해서는 양쪽 창의 마주보는 가장자리 부분 모두에 수지를 부가해서 수지와 수지를 눌러주면 된다. 수지대(123)의 총두께는 창이 가압될때 어느 정도 유동성을 가져서 모든 간격을 채우고 밀봉을 확실히 할 정도로 두꺼워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어 약 0.3cm 정도의 두께를 갖는 끈적끈적하고 비경화성인 부틸기제 수지를 사용한다. 부가창이 현장에서 가압되어 우수한 밀봉을 형성하게 되면 그런 수지대의 두께는 약 반으로 줄어든다. 수지대(123)의 폭은 밀봉에 사용되는 면적과 시야에 띄어도 될만한 침입정도에 의해 결정된다. 부틸기제의 방습성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약 0.6정도의 폭이면 족하다. 창이 크면 대의 폭도 늘어나게 된다.
공간내에 밀폐될 표면(131) 또는 (141)중 하나의 둘레에 수지를 부가한 후 띠모양의 건조제(151)가 창의 한쪽을 따라 수지대(123)의 안쪽 끝에 부착되는데 보통 창문 밑면쪽에 배치되는 것이 좋다.
건조제의 단면은 제31도 및 제33도에서 처럼 사각형일 수도 있고 제32도에서처럼 원형일 수도 있으니 두께가 공간의 최대간격보다 커서는 안된다. 사용될 수 있는 건조제는 건조물질을 가요성, 습기투과성, 유기기저(基底)내에 분산시킨 것인데 본 발명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얇은 리본이나 실형태로 밀어내질 수 있는, 건조제는 건조물질로 채워진 구멍뚫린 플라스틱 관이나 강고한 주형막대의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수지대(123) 및 건조제(151)가 제위치에 배열되면 부가창(130)이 창틀(116)의 윤곽선내에, 부가창의 끝과 창틀사이에 작은 간격을 남기고 정열된다. 통상의 방법으로 네오프렌같은 탄력성물질의 고정블록(block)이 부가창과 창틀사이의 간격내에 삽입된다. 부가창은 기존창에 대해 눌려져서 수지대(123)에 의해 접착된다. 지렛대장치등을 사용, 계속 압력을 가해 수지가 밀착되어 밀봉을 형성한다. 압력을 가하기 위한 또다른 방법은 새로 형성된 공간(143)내의 압력을 수지가 밀착되어 밀봉을 형성하도록 충분한 시간동안 감압시키는 것이다. 감압은 공간이 허용한다면 수지(123)를 통해 속이빈 바늘을 삽입해서 얻고 후에 구멍을 막는다. 혹은 부가창이 설치되기전 수지대(123)를 통하여 일정한 길이의 가는 플라스틱관을 연장시켜서 부가창이 정위치에 가압된 후 공간과 소통되게 한다. 관을 통해 감압시키고 일정시간이 지나면 다시 감압시키고 일정시간이 지나면 다시 감압을 제거하며 그 다음에 관을 밀봉하거나 관을 제거한 후 구멍을 밀봉한다.
바늘이나 관은 건조제를 사용하는 대신 또는 그것과 병용해서 건조한 공기로 공간을 채우는데 사용될 수 있다. 기계적 가압 및 감압방식이 동시에 행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장치는 이상의 조립공정에 의하여 기본적으로는 완성된 상태이다. 별도의 예방조치로 제32도 및 제33도에 보인 부가창과 창틀사이의 틈에 징을 박을 수 있다. 모든 통상의 탄력성 부틸-, 폴리설파이트-, 또는 실리콘- 기제 밀봉재가 이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밀봉재는 적절히 채워질수도 있고 장식을 위해 채색될 수도 있다. 또한 별도로 부가창과 창틀사이의 간격과 수지대(123)를 최소한 부분적으로 밀봉하기 위해 제32도에 보인 바와 같이 조립된 장치의 경계면 둘레에 금속, 플라스틱 또는 나무로 된 장식부재(140)를 덧붙이는게 좋다.
비록 수지대(123)가 장치를 지지하기에 충분한 강도를 제공하지만 제2의 지지력을 제공하도록 장식부재를 창틀에 덧붙일 수도 있다.
제33도에는 지지력 뿐 아니라 일정한 압축력을 발휘하는 수정된 탄력성 장식부재(145)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압축력은 수지대(123)에 의해 제공되는 방습장벽의 견고성을 유지시키는 잇점이 있다. 또한 제33도의 장식부재(145)는 설치도중 수지를 밀착시키고 가압하는 지렛대의 역할도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공간을 최소로 줄이면 고가의 수정이 없이도 창틀이 좁은 창문에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투명한 단일유리나 플라스틱 박막을 갖는 단일유리보다 훨씬 우수한 절연성을 제공하지만 본 발명의 제1차적 목적은 태양복사열 정도를 감소시키는데 있다. 또한 냉방비용의 감소가 난방비보다 더 큰 관심사인 더운 지방에서도 본 발명은 크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격리자의 비용을 감소시킴으로써 이러한 요구에 대한 해답을 제공해서 설치비용을 최소로하는 한편 태양열에너지를 최대로 배제한다.
또한 본 발명은 판사이의 공간둘레에 방습장벽을 제공해서 종래의 겹유리 공사에서 나타나던 습기투과 문제를 극복함으로써 판이 영구적인 건축용도에 사용될 수 있도록 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밀봉재, 수지 또는 접착제 각각은 고방습성이다. 즉, 다시 말하면 저습기투과성이어서 우수한 방습장벽과 밀봉을 제공한다. 더욱이 그들은 -40℃∼60℃에 이르는 비교적 넓은 온도 범위에서 우수한 가요성, 접착성 결합, 기타 높은 전단, 인장, 및 손상강도등을 가지고 있다. 더불어 그들은 또한 세척응용이나 오염된 대기등, 그들이 접하기 쉬운 화학물질에 대해 영향을 심하게 받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밀봉재, 수지 또는 접착제의 사용 및 배치에 관한 어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특성과 특색중 한두가지가 딴것보다 더 중요할 수 있으므로 수지물질의 선택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도에 도시된 부조립체의 수지(22)에 있어서는, 리본(20)이 다른 수지들과 함께 수송, 저장도중에 또는 겹유리창문형성을 위한 최종설치후에도 수증기 투과에 대한 보호를 제공하므로, 방습성이 최우선 요구조건이 아니다 더욱이 제26도의 실시예에서 접착제(38)과 함께 테이프(37)가 수송이나 저장도중 수증기 투과에 대해 요구되는 보호를 하는 이상, 방습성이 접착제(38)의 최우선 요구조건은 아니다. 더불어 다른 밀봉재, 수지 또는 접착제들이 우수한 방습장벽과 밀봉을 형성키에 적합한 유동성과 저 습기투과성의 특색을 가진다면, 수지대(123)로도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

  1. 2개의 분리가능한 부조립체로 구성되고, 각 부조립체는 투명한 유리판 및 그 표면의 주변 위치에 취부된 격리자를 가지고, 전기 2개의 부조립체는 2매의 유리 판 사이에 각각 폐공간을 형성하도록 전기 격리자를 2매의 유리 판 사이에 위치시켜 서로 각각 정합되도록 마주향해 합쳐서 접착되지 않도록 접합하고, 또 전기 부조립체를 서로 접합된 관계로 보지하도록 전기 접합된 부조립체의 단부에 폐쇄장치가 접착됨을 특징으로하는 부가창유리장치의 포장조립체.
KR750000619A 1975-03-24 1975-03-24 부가창 유리 장치의 포장 조립체 KR8100006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50000619A KR810000671B1 (ko) 1975-03-24 1975-03-24 부가창 유리 장치의 포장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50000619A KR810000671B1 (ko) 1975-03-24 1975-03-24 부가창 유리 장치의 포장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0671B1 true KR810000671B1 (ko) 1981-06-16

Family

ID=19201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50000619A KR810000671B1 (ko) 1975-03-24 1975-03-24 부가창 유리 장치의 포장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0671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71178A (en) Add-on multiple glazing with hygroscopic material
US3928953A (en) Packaged add-on multiple glazing units and method
US5088258A (en) Thermal broken glass spacer
US4950344A (en) Method of manufacturing multiple-pane sealed glazing units
US5007217A (en) Multiple pane sealed glazing unit
US4831799A (en) Multiple layer insulated glazing units
CA2029148C (en) Compound glass element
US5290611A (en) Insulative spacer/seal system
JP5887922B2 (ja) 複層ガラス窓の組立方法
KR20190057430A (ko) 단열 글레이징 유닛용 스페이서
KR20160095129A (ko) 압출된 프로파일링된 밀봉체를 포함하는, 절연 글레이징 유닛용 스페이서
AU720832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multiple-pane window units containing intermediate plastic films
US9243443B2 (en) Spacers for insulated glass
NO138294B (no) Pakke av vindusruteenheter.
KR810000671B1 (ko) 부가창 유리 장치의 포장 조립체
JP3292681B2 (ja) 板 体
JP2570309Y2 (ja) 複層ガラス
JP6548248B1 (ja) 複層ガラス
JP2014240333A (ja) スペーサ付きガラス板及び複層ガラス窓の組立方法
CA1046351A (en) Add-on multiple glazing
CA1061188A (en) Add-on multiple glazing
CA1056217A (en) Add-on multiple glazing
US20220259916A1 (en) Heat-insulating glass panel
JPH08151865A (ja) フィルム入り複層ガラ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910002590B1 (ko) 절연필름을 갖는 복수유리창 유니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