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0400Y1 - 병 마 개 - Google Patents

병 마 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0400Y1
KR810000400Y1 KR2019800002746U KR800002746U KR810000400Y1 KR 810000400 Y1 KR810000400 Y1 KR 810000400Y1 KR 2019800002746 U KR2019800002746 U KR 2019800002746U KR 800002746 U KR800002746 U KR 800002746U KR 810000400 Y1 KR810000400 Y1 KR 8100004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
contents
stopper
bottle stopp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000027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제구
Original Assignee
문제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제구 filed Critical 문제구
Priority to KR20198000027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04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04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04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병 마 개
제1도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상태도.
본 고안은 병속에 들어 있는 환체상의 내용물을 적당수량으로 유출할 수 있게한 병마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병속에 들어 있는 환체의 식품이나 약품 등을 꺼낼 때는 마개를 열고 손바닥에 쏟아 필요한 만큼을 사용하였으나, 잘못 쏟을 경우에는 너무 많이 유출되어 다시 병속에 넣어야 하는 결점이 있고, 또한 손바닥에 묻어 있는 때나 불순물 또는 세균이 오염될 수 있어 비위생적이었으며, 또한 상면에 구멍이 뚫린 뚜껑에 회동관을 유삽하여 내용물을 꺼낼 때는 구멍과 회등판의 구멍을 일일이 맞춘 후에 구멍을 통하여 내용물을 꺼내야 하므로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고안한 것으로 마개에 유착된 재치턱을 누르면 적당한 수량만 유출되고 더이상의 수량이 나오지 않게 하므로 많은 수량이 쏟아져 나와 다시 병속에 넣어야 할 불편이 없고, 또한 손바닥에 묻은 불순물이나 세균이 병속의 내용물에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며, 간단한 작동에 의하여 필요한 양의 내용물을 손쉽게 꺼낼 수 있게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병(1)에 마개(2)를 나합한 것에 있어서 마개(2)의 상부 내측에 요홈부(3)와 돌부(4)가 형성된 작동구(5)의 선단(5′)이 병(1)의 상단에 핀(6)으로 유착하여서 된 것이며, 도면중 미설명부호 7은 재치편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내용물이 수장되어 있는 병구에 마개(2)를 나합하고 내용물을 꺼내고저 할때는 병(1)을 거꾸로 하여 내용물의 일부가 요홈부(3)에 들어가면 재치편(7)을 눌러 핀(6)에 유착된 작동구(5)가 회동하도록 하여 선단부(5′)가 열리면서 요홈부(3)에 들어 있는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게 하고 병속에 들어 있는 내용물은 돌부(4)에 걸리어 더이상 밖으로 유출되지 않게 되는 것으로 수량에 따라 작동구(5)를 수번 회동시킬 수도 있고, 요홈부(3)를 양에 따라 크고, 작게하여 유출양을 조절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원은 병속에 들어 있는 내용물이 한꺼번에 많이 쏟아져 다시 병속에 넣어야 하는 불편이 없고, 내용물에 불순물이나 세균이 들어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간단한 조작으로 내용을 손쉽게 꺼낼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병(1)에 마개(2)를 나합한 것에 있어서 상부 내측에 요홈부(3)와 돌부(4)가 형성된 작동구(5)의 선단(5′)이 마개(2)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핀(6)으로 유착하여서 된 병마개.
KR2019800002746U 1980-04-28 1980-04-28 병 마 개 KR8100004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2746U KR810000400Y1 (ko) 1980-04-28 1980-04-28 병 마 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2746U KR810000400Y1 (ko) 1980-04-28 1980-04-28 병 마 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0400Y1 true KR810000400Y1 (ko) 1981-04-18

Family

ID=19217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00002746U KR810000400Y1 (ko) 1980-04-28 1980-04-28 병 마 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040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TE30135T1 (de) Flasche mit dosiervorrichtung.
DE3672121D1 (de) Fluessigkeitsbehaelter.
EP0137458A3 (en) Opening and discharging cap
SE8501520L (sv) Fickforpackning for ogonskoljvetska
AU3535784A (en) Squeeze bottle with drip catching depression
CA2120085A1 (en) Sampler
ES1002204U (es) Dispositivo para la recogida de muestras fisiologicas
KR810000400Y1 (ko) 병 마 개
DE3868010D1 (de) Verschluss fuer behaelter, insbesondere flaschen.
JPH082118Y2 (ja) 蓋付き注出栓の液跳ね・液垂れ防止装置
FR2603187A1 (fr) Capuchon de biberon
JPH0619502Y2 (ja) 2種の収納物を混合するための容器
CH611224A5 (en) Tear-off cap
US2663460A (en) Combined can puncturing and can holder device
JPS5916245Y2 (ja) 果実酒用広口壜
IT1225198B (it) Contenitore a fiala in materia plastica con distributore incorporato
KR790001844Y1 (ko) 병 마 개
FR2442779A3 (fr) Bouchon avec verseur
KR880002606Y1 (ko) 액체용 병뚜껑
JPH0333650Y2 (ko)
KR19980015251U (ko) 정량인출용기
KR840002822Y1 (ko) 샴푸우 용기
JP3066386U (ja) 混合用容器
KR890007168Y1 (ko) 음료용기
US2510104A (en) Milk bot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