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1941Y1 - 온 후크 다이얼링 장치 - Google Patents

온 후크 다이얼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1941Y1
KR800001941Y1 KR790006383U KR790006383U KR800001941Y1 KR 800001941 Y1 KR800001941 Y1 KR 800001941Y1 KR 790006383 U KR790006383 U KR 790006383U KR 790006383 U KR790006383 U KR 790006383U KR 800001941 Y1 KR800001941 Y1 KR 8000019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switch
flop
rly
hand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900063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성희
Original Assignee
구두회
금성통신주식회사
하인츠 디터 케루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두회, 금성통신주식회사, 하인츠 디터 케루트 filed Critical 구두회
Priority to KR7900063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19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19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1941Y1/ko

Links

Landscapes

  • Devices For Supply Of Signal Curren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온 후크 다이얼링 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임.
제 2 도는 본 고안장치가 사용되는 공지의 전화기 회로임.
본 고안은 온 후크 스냅(snap) 스위치를 한번 누르면 송수화기를 전화기에 놓은채 다이얼링 할 수 있고, 통화후 송수화기를 놓으면 별도의 스위치 조작없이 자동으로 통화회로가 완전 개로되는 온 후크 다이얼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온 후크 다이얼링 장치는 단순히 혹 스위치에 병렬로 별도의 온 후크 스위치를 연결하여, 온 후크 스위치를 접속시킨 다음 송수화기를 놓은채 다이얼링하여 통화한 후, 송수화기를 전화기에 내려 놓은 후에도 반드시 온 후크 스위치를 개방하도록되어 있기 때문에 송수화기를 들고 다이얼링하여 통화후 그대로 놓던 습관 때문에 온 후크 다이얼링시에도 통화후 송수화기를 전화기에 내려놓은 채 온 후크 스위치를 개방시키지 않고 그대로 방치하는 일이 빈번하고, 따라서 온 후크 스위치를 개방하지 않으면 송수화기를 전화기에 올려 놓아도 계속 통화 회로가 접속되므로 통화상태가 되어, 외부에서 전화 호출을 할 수 없어 다이얼링의 간편성을 목적으로한 온 후크 다이얼링 장치가 오히려 통화 장애를 주는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결점을 시정하기 위하여 온 후크 스냅 스위치가 연결된 인버터 게이트, 스위치 입력을 기억하는 후립후롭회로, 릴레이 구동용 트랜지스터, 통화 라인을 접리하는 릴레이등을 결합하여, 다이얼링 하기 위하여 온 후크 스냅 스위치를 한번 누르면, 인버터와 후립후롭회로 및 트랜지스터가 순서적으로 동작하면서 릴레이가 전화 라인에 연결된 접점을 접속시키어, 송수화기를 들지 않고도 후크 스위치가 개방상태에서 릴레이 접점이 후크 스위치 대신 전화 라인을 연결하게 되어 그 발신음을 전화기 회로에 연결된 공지의 스피커에 의하여 확인한 다음 다이얼링을 하고, 통화시 전화 송수화기를 들면 후크 스위치의 접속과 함께 인버터 게이트의 복구 신호가 후립 후롭에 인가하여 후립후롭회를 비롯한 트랜지스터 및 릴레이 회로가 복구되어 통화후에는 별도의 스위치 조작없이 송수화기를 제자리에 놓으면 모든 통화회로가 완전히 복구되어서, 온 후크 다이얼링을 하거나 통상의 다이얼링을 임으로 하므로서 종래의 것에 비하여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안출한 것으로 이를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온 후크 스냅 스위치(K1)와 저항(R1)(R2) 및 콘덴서(C1), 인버터 게이트(G1) 회로를 구성하여 스위치 입력기억용 후립후롭(IC1)의 단자(CLK)에 연결하고 후립후롭단자 J,K는 +5V에 의하여 항상 H가 되게 하고, 후립후롭(IC1)의 단자(CLK)는 스위치(K1)를 누를때만 H가 되게 하며, 후립후롭(IC1)의 단자(CLR)에는 전화기 내부의 일측 후크 스위치(H.SⅢ)와 저항(R3)을 통한 인버터 게이트(G2)의 출력부를 연결하여 후크 스위치(H.SⅢ가) 접속되면 인버터 게이트(G2)에서 복구신호가 후립후롭(IC1)의 단자(CLR)에 유입하여 후립후롭의 동작을 원상태로 복구되게 하고 후립후롭(IC1)의 출력단(Q)에는 저항(R4)과 트랜지스터(TR1,2) 및 릴레이(RLY)를 연결하여 출력단에 출력이 있을때만 트랜지스터(TR1,2) 및 릴레이(RLY)가 동작하여 전화기의 훅 스위치(HS I)와 병렬로 연결된 릴레이 접점(rly1)과 트랜스(T)측에 연결된 릴레이 접점(rly2)이 동작하여 통화회로를 끊어주는 동시 트랜스(T)의 2차선 측에 연결된 저항(R5)(VR1) 및 공지의 증폭기(IC2)에 의하여 스피커(SP)를 통하여 응답 신호음이나 다이얼링 음을 청각적으로 수화기를 통하지 않고 들을 수 있게 된 것이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은 송수화기를 들고 다이얼링 할때는 후크 스위치(HS I)(HS Ⅱ)가 접속되므로 별도의 스냅 스위치의 조작없이 통상의 요령으로 다이얼링하여 통화하고, 또한 온 후크 다이얼링한 경우에는 온 후크 스위치(K1)를 한번 눌렀다. 놓으면 그순간 인버터 게이트(G1)의 출력단에는 스냅 스위치(K1)를 누르기 전의 L에서 H로 되어 후립후롭(IC1)의 단자(CLK)에 클럭 펄스가 인가되는 동시 출력단는 H가 되어 저항(R4)을 거쳐 트랜지스터(TR1,2)에 순 바이어스가 가해지면서 동작되어, 릴레이(RLY)가 동작되고, 따라서 그 접점(rly1)(rly2)이 접속되어, 트랜스(T)의 1차선측이 루우프가 되므로 국선(L1)(L2)을 통하여 오는 발신음의 교류성분이 트랜스(T)의 2차를 거쳐 가변저항(VR1)을 통하여 증폭기(IC2)에 증폭되어 스피커(SP)로 발신음을 듣게되고 그 음량은 가변저항(VR1)로 조절되며 이때 전화기의 후크 스위치(HS1)(HS1)는 송수화기가 놓인 상태이므로 개방되어 있으나, 전화라인은 릴레이 접점(rly1)(rly2)를 통하여 루우프를 이루고 있어 그대로 다이얼링하여 상대를 호출하게 되며 호출이 되어 상대방이 송수화기를 들고 응답하면 이쪽도 송수화기를 들어 통화하는바 통화를 위하여 송수화기를 들면 후크 스위치(HS I)(HS Ⅱ) 및 (HS Ⅲ)가 접속되는데, 특히 후크 스위치(HS Ⅲ)가 접속하면 인버터 게이트(G2)의 출력이 L가 되면서 후립후롭(IC1)의 단자(CLR)에 복귀신호 L가 인가되어 후립후롭(IC1)의 출력단도 L가 되어 트랜지스터(TR1,2) 및 릴레이(RLY)는 복귀되고 그 접점(rly1)(rly2)도 복귀되어, 온 후크 스위치 회로는 원상태로 되므로 통화후 별도의 조작없이 송수화기를 제자리에 놓으면 되는 것으로, 스냅 스위치 회로가 결합된 후립후롭의 출력단에 트랜지스터와 릴레이를 연결하여 스냅 스위치를 한번만 누르면 후크 스위치가 개방상태에서도 전화회로가 루우프를 구성할 수 있게 하였기 때문에 송수화기를 들지 않고 다이얼링할 수 있는 동시, 전화기 내의 후크 스위치(HS Ⅲ)와 직렬로 인버터 게이트(G2)를 연결하여 후크 스위치의 접속과 동시에 후립후롭의 동작을 복귀시킬 수 있게 하였기 때문에, 송수화기를 들때 후크 스위치의 접속이 온 후크 다이얼링 회로의 복귀 동작을 겸할 수 있게 되어, 통화후에도 별도의 복귀 조작없이 송수화기를 놓으면 되므로 종래의 것에 비하여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1)

  1. 도면에 표시한 바와 같이 온 후크 스냅 스위치(K1)를 가진 인버터 게이트(G1)가 결합된 스위치 입력기억용 후립후롭(IC1)의 출력단에 트랜지스터(TR1,2)와 릴레이(RLY)를 연결하여, 릴레이 동작으로 접점(rly1)(rly2)이 다이얼링을 위한 루우프 회로를 구성케 하고, 전화기의 후크 스위치(HS Ⅲ)에 연결된 인버터 게이트(G2)를 후립후롭 소거 단자(CLR)에 연결하여 후크 스위치가 접속되는 순간 게이트(G2)출력으로 후립후롭의 동작이 복귀되게 함을 특징으로 한 온 후크 다이얼링 장치.
KR790006383U 1979-10-23 1979-10-23 온 후크 다이얼링 장치 KR8000019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006383U KR800001941Y1 (ko) 1979-10-23 1979-10-23 온 후크 다이얼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006383U KR800001941Y1 (ko) 1979-10-23 1979-10-23 온 후크 다이얼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1941Y1 true KR800001941Y1 (ko) 1980-12-01

Family

ID=19214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90006383U KR800001941Y1 (ko) 1979-10-23 1979-10-23 온 후크 다이얼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194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32835A (en) Telephone device for amplifying opposite party's voice after user's telephone is placed on-hook
US3976847A (en) Key telephone system intercom arrangement
US3028452A (en) Loudspeaking telephone using transistors
KR800001941Y1 (ko) 온 후크 다이얼링 장치
JPH0131745B2 (ko)
US3136864A (en) Loudspeaking telephone with electronic voice switching
US4001517A (en) Direct station selection hold arrangement
US4442322A (en) Electronic common switch having an improved receiver mating arrangement
US3488450A (en) Sender for transmitting trains of pulses
US4204094A (en) Tone applying line circuit
US5040207A (en) Two-telephone intercom
US3529096A (en) Annoyance call holding device
GB1250118A (ko)
KR850002664Y1 (ko) 외부전원 공급장치가 필요없는 온 후크 다이얼막 전화장치
US5317634A (en) Telephone subset arrangement
US4841568A (en) Circuit arrangement for a telephone station with earth connection to the central supply device
KR900002475Y1 (ko) 키폰(key phone)의 자동 다이얼링회로
JPS5816287Y2 (ja) 発振器の制御回路
JPS6048693A (ja) 局線トランク回路
JPS57104354A (en) Button telephone set
KR860002227Y1 (ko) 홈 키폰(Home Keyphone)의 대기음악 송출회로
SU1131039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осылки сигналов телефонного номера
KR850000820Y1 (ko) 전화기의 온 후크 다이얼 장치
KR940000961Y1 (ko) 전화기의 온후크 다이얼링 장치
JPS6211099Y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