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1647Y1 - 향 수 병 - Google Patents

향 수 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1647Y1
KR800001647Y1 KR7906088U KR790006088U KR800001647Y1 KR 800001647 Y1 KR800001647 Y1 KR 800001647Y1 KR 7906088 U KR7906088 U KR 7906088U KR 790006088 U KR790006088 U KR 790006088U KR 800001647 Y1 KR800001647 Y1 KR 8000016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fume
bottle
perfume bottle
fragranc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9060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서
Original Assignee
김종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서 filed Critical 김종서
Priority to KR79060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16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16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164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2Scent flasks, e.g. with evapora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61L9/127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comprising a wic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향 수 병
제 1 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종 단면도.
제 3 도는 제 2 도 A-A선 단면도로서,
(a)는 개방상태이고,
(b)는 밀폐상태이다.
본 고안은 향취를 발산시키는 향수병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병 입구에 향수를 흡인 발산하는 해면체를 삽입하고 그 외주에 복착되는 내외 개체로 향취의 발산량을 가감 조절할 수 있게 한 향수병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향취 발산 방법은 분무 노즐이 장설된 향수병에서 향수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는바, 분무 방법은 지속적인 향취 발산이 곤란하고 고체향료는 향료를 고형화시키는 과정이 복잡하고 고형화시킬때 사용하는 부형제에 의하여 향취가 변질될 우려도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 방법의 결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향수병의 병구에 헤면체를 삽입하여 병내의 향수가 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흡인되면서 발산되도록 하므로서 병이 쓰러졌을 때 향수가 누출되지 아니함과 동시에 2중으로 된 마개의 향취발산공을 가감 개폐 조절되게 하므로서 실내 크기 또는 취향에 따라 임의로 향 발산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고안한 것으로 이를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향수병(1) 내부에 해면체(2)를 삽설하여 해면체(2) 상단부가 향수병(1)의 구연나사부(1') 상방으로 돌출되게 하고 그 상단에 속마개(4)(4')를 개제시켜서 나사부(3')를 갖는 내개체(3)를 부착하고 내개체(3) 중앙에 지지턱(6)(6')을 갖는 통공(5)과 그 통공(5)으로 부터 3방향으로 개구된 축공(7)(7')(7")을 형성하여 그 측공(7)(7')(7") 일측벽과 지지턱(6)(6') 사이에 스토퍼(8)(8')(8")를 돌설하고 내게체(3) 하단 외주면에 돌륜(9)을 돌설하며, 그 내개체(3) 외주면에 3방향의 향취조절공(11)(11')(11")과 돌출편(12)(12')(12") 및 하단 감합 요홈(13)을 갖는 외개체(10)를 부착하여 내외 개체(3)(10)가 돌륜(9)과 요홈(13)이 감합됨에 따라 서로 공회진 상태로 일체 결합하게 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밀폐 포장시나 운반 보관시에는 속마개(4)를 해면체(2) 상단부에 복착한 상태로서 결합된 내외개체(3)(10)의 나사부(3')를 향수병(1)의 구연나사부(1')에 체착하면 외개체(10)의 돌출편(12)(12')(12")이 일정각도 공회전한 다음에 내게체(3)의 스토퍼(8)(8')(8")에 걸리게 됨에 따라 내개체(3)가 향수병(1) 구연부에 밀착되어 지지턱(6)이 속마개(4) 연부를 속마개(4') 연부에 밀착시켜 향수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향취를 발산시키고져 할때는 속마개(4)를 빼어내고 내외개체(3)(10)만을 복착한 상태로서 사용하는 것으로, 내개체(3)가 향수병(1) 구연부에 밀착된 상태에서 외개체(10)만을 가볍게 공회전시키면 외개체(10)의 향취조절공(11)(11')(11")이 내개체(3)의 축공(7)(7')(7")과 합치개공됨에 따라 해면체(2)로 흡인된 향수가 외부로 발산되고, 향의 발산을 중단코저 할때는 다시 외개체(1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외개체(10)의 향취 조절공(11)(11')(11")이 내개체(3)의 주벽에 가리워짐과 동시 외개체(10)의 돌출편(12)(12')(12")이 내개체(3)의 축공(7)(7')(7")의 내면부를 밀폐하여 2중으로 밀폐되므로 향취 발산이 중단되어 외개체(10)의 회동각도를 증강함에 따라 향취 발산량을 임의로 가감 조절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공회전되는 내외개체를 이용하여 밀폐나 완전 개방은 물론 향취의 발산량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고 향수를 고형화시키지 않고도 넘어졌을때 향수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으며 향수의 향취가 변하지 않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도시한 바와 같이 향수병(1)의 병구에 해면체(2)를 삽설한 것에 있어서, 지지턱(6)(6')을 갖는 통공(5)과 3방향의 축공(7)(7')(7") 및 스토퍼(8)(8')(8")가 형성된 내개체를 복착하고 내개체(3)에 3방향의 향취조절공(11)(11')(11")과 돌출편(12)(12')(12")이 형성된 외개체(10)를 복착하여서 된 향수병.
KR7906088U 1979-10-10 1979-10-10 향 수 병 KR8000016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6088U KR800001647Y1 (ko) 1979-10-10 1979-10-10 향 수 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6088U KR800001647Y1 (ko) 1979-10-10 1979-10-10 향 수 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1647Y1 true KR800001647Y1 (ko) 1980-10-02

Family

ID=19214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906088U KR800001647Y1 (ko) 1979-10-10 1979-10-10 향 수 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164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73746A1 (en) Insecticidal liquid bait station
ES2186519A1 (es) Dispositivo de descarga de articulos
KR800001647Y1 (ko) 향 수 병
JPS6124272Y2 (ko)
PT1305230E (pt) Dispositivo de obturacao reversivel para recipiente
JPH0718615Y2 (ja) 微粉末剤用防湿容器
CN2347890Y (zh) 圆球瓶
JPH09240715A (ja) 液体・粉体用びんのびん口構造
CN208602990U (zh) 一种密封盖
JPS588171Y2 (ja) 固形放香剤容器
JPH0238758Y2 (ko)
TWM645042U (zh) 按壓式保健食品容器
JPS5856226Y2 (ja) 密封容器
JPS5827733Y2 (ja) 魔法瓶の栓装置
KR970001372Y1 (ko) 분첩이 설치된 분통뚜껑
JPH0441865Y2 (ko)
JPS588170Y2 (ja) 液体用芳香剤容器
JPH0358662U (ko)
KR900002720Y1 (ko) 금연 파이프
JPH038164U (ko)
JPH0166380U (ko)
JPS5845698Y2 (ja) 芳香容器
KR800000563Y1 (ko) 약액병의 도포마개
JP3007013U (ja) 容器の口部密閉構造
JP2001072099A (ja) キャッ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