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1394B1 - 분말제용 흡입기 - Google Patents

분말제용 흡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1394B1
KR800001394B1 KR7403629A KR740003629A KR800001394B1 KR 800001394 B1 KR800001394 B1 KR 800001394B1 KR 7403629 A KR7403629 A KR 7403629A KR 740003629 A KR740003629 A KR 740003629A KR 800001394 B1 KR800001394 B1 KR 800001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sule
inhaler
case
carver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403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타일 에메람
Original Assignee
파울리짜우파리-베르크케이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울리짜우파리-베르크케이지 filed Critical 파울리짜우파리-베르크케이지
Priority to KR7403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13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1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1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분말제용 흡입기
제1도는 작동 또는 유휴위치(遊休位値)에 있는 본 발명의 흡입기의 전체도,
제2도는 제1도의 II-II선에 따른 충전 및 공허(空虛)한 위치에 있는 흡입기의 횡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Ⅲ -Ⅲ선에 따른 작동 또는 유휴위치에 있는 흡입기의 횡단면도,
제4도는 제1도의 Ⅲ - Ⅲ선에 따른 구명이 뚫려 있는 위치에 있는 흡입기의 횡단면도.
본 발명은 분말제(粉末濟)용 흡입기에 관한 것으로 그 분말제는 호흡용 공기의 입구와 출구를 갖춘 흡입기 케이스 내에 삽입할 수 있는 캅셀에 들어 있다.
예를 들면, 의료에 사용되어 왔던 이러한 종류의 흡입기는 이미 알려져 있다. 캅셀의 삽입에 의해 흡입하고저 하는 물질의 정확한 복용량을 흡입기 내에 넣을 수 있으므로, 이를 필요로 하는 경우, 예컨대 급성천식 발병중 필요할 때에 해로운 과잉복용량의 흡입을 막을 수 있다. 이것은 또한 사용하기에 편리하여 포켓 속에 용이하게 넣을 수 있다.
전술한 종류의 흡입기는 캅셀이, 흡입기에 배치된 프로펠러 날개에 의해 공기류가 본 흡입기에 설치된 흡구(吸口)를 통해 흡인(吸引)될 때에 흔들거리는 회전운동을 하는 것과 같은 회전을 하도록 부착시킨 원통형 슬리브(sleeve) 중에 삽입되도록 만들어져 있다. 거기서 흡입된 공기와 함께 흡구(吸口)를 통해 환자의 입에 들어가는데 이 흡입기의 결점은 각개의 캅셀을 삽입할 때에 세부분으로 분해해야 하며 또 대략 1주일에 1회 정도 수리 즉 분해, 청소 및 주유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신뢰도가 좋지 않으므로 제조업자들은 항시 용이하게 대체할 수 있는 장치를 원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들 결점을 해결하고 사용하기에 편리하며 유지비가 들지 않고 신뢰도가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고 신뢰성 있게 작동하는 흡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이러한 문제는 모두 해결되며, 여기서 캅셀 수용공소(受容空所 : reception space)를 케이스의 원주에 위치하여 이 원주에 개구하는 측면을 가게 하며, 여기에 이동식으로 배치된 카버를 설치하며 이것은 충전 및 공허한 상태에서 캅셀 수용공소를 열어 주고 서로 다른 위치에서 이것을 덮게 해준다. 이 카버는 회전하도록 배치되고 캅셀이 횡단하는 통로로서 작용하는 구멍을 갖는다.
이 카버는 커버의 노취(notch) 대해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되는 정지핀에 의해 충전 및 공허한 위치에서 멈춘다. 이 스톺핀은 수용공소(受容空所) 내에 있는 캅셀에 대한 방출기가 결합되어 있으나, 이것은 캅셀을 스프링의 힘으로 수용공소 내에 삽입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스톺핀 카버의 노취 내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캅셀을 수용공소 내로 삽입하는 동안 방출기와 스톺핀은 케이스 내부로 밀어넣어져서, 케이스는 동시에 움직이게 된다. 그 다음에 스프링은 자동적으로 카버를 유휴위치로 이동시켜 준다. 카버에 예를 들면, 두 개의 작은 블래이드(blade)형을 한 캅셀 개봉용 장치로 설치하는데 이것은 전술한 스프링에 힘이 반하여 작용될 때 캅셀의 수용공소 내로 밀어 넣어진다. 이 카버는 여러 가지 형태, 예를 들면 흡입기를 둘러싸는 원통형 슬리이브, 슬라이더 또는 착탁(着脫)할 수 있는 뚜껑으로 만들어져 있다. 이 카버는 투명한 형태로 만들어져 새로운 열지 않은 캅셀의 삽입여부를 나타내기 위해 블레이드와 캅셀은 항시 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라서, 분말제용 흡입기가 얻어지는데, 이것은 호흡용 공기를 통하는 입구 및 출구를 갖는 흡입기 케이스와 전술한 분말제를 함유하는 캅셀을 삽입할 수 있도록 받기 위한 전술한 케이스의 외주부분이 전술한 수용공수의 캅셉을 둘러싸는 제1위치와 전기 카버부분이 전기 수용공소 내외 캅셀을 덮지 않고 캅셀을 제거하고 교환할 수 있는 제2의 위치 사이를 흡입기의 케이스와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전기 카버부분을 전기 케이스에 부착시킨 장치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잇점은, 전술한 케이스의 주변부에 있는 캅셀 수용공소가 착탈 뚜껑과의 조합에 의해 결합된 결과, 케이스를 분해하지 않고 새로운 캅셀을 삽입할 수 있는 것이다. 카버의 스프링장치는 카버가 자동적으로 유휴위치에 이동하므로서, 공지의 방법에 존재하는 개방위치와 유휴 또는 작동 위치와의 사이에 있는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스프링의 부하(負荷)를 받도록 배치된 전술한 방출기는 본 흡입기의 취급을 상당히 간단하게 해 준다. 터어빈 임펠리 휘일(turbo impeller wheel)의 생략은 본 흡입기의 조작을 간편하게 하고, 또한 그의 신뢰성을 개선한다.
본 발명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행하여지는 하기 설명으로부터 한층 잘 이해될 것이다.
첨부도면에서 흡입기는 원통형 케이스(2)를 가지며 그의 일단에 흡구(17)이 설치되어 있다. 카버(3)의 공부(aperture)(4)는 스프링(16)에 탄력에 반하여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충전 및 공허 위치로 오게 된다. 그 다음에 케이스의 구멍(7) 내로 안내되며 방출기(10)에 견고하게 결합된 스톺핀(6)을 다른 1개의 스프링(9)의 탄력에 의해, 그때 이용될 수 있는 카버(3)의 노취(8) 내로 삽입되어 카버를 고정시킨다. 이 상태에서 캅셀(11)은 방출기(10)과 결합하는 핀이 동시에 풀어지도록 흡입기의 수용공소(1) 내에서, 거기에 돌출하고 있는 방출기(10)에 대하여 밀어 넣어지고, 카버(3)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16)에 의하여 유휴 및 작동위치로 이동되고, 여기에서 캅셀(11)은 외측으로 개구(開口)된 원주상의 수용공소(1) 내의 카버(3)에 의해 덮혀진다.
카버(3)을 충전 및 공허한 위치로부터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므로서 카버(3) 상에 고정되고 케이스의 슬롯트(18) 내로 안내되는 두 개의 작은 블레이드(12)를 갖는 절단기가 수용공소(1)에 부착하여 그 안에 설치한 캅셀(11)에 그의 양단 가까이에 작은 2개의 구멍(13)을 뚫었다.
원주를 따라 설치된 슬롯트(18) 내에서 이동하는 블레이드(12)는 동시에, 카버로서 구성된 케이스의 원통형 슬리브에 대한 측방향 지지대로서 작용한다. 흡입기의 구멍이 뚫려 있는 위치를 제4도에 나타냈다.
양측에서 작동하는 스프링(16)의 탄력에 의해, 카버(3)는 스프링이 풀어진 후에 자동적으로 유휴 및 작동 위치로 이동된다. 흡입 도중 캅셀(11) 내에 있는 분말제는 제1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구멍(13)의 결과로, 흡구(17), 수용공소(1)에 연결된 입구(14) 및 흡구(17)에 향하여 개구된 출구(17)를 경유하여 입속으로 흡입된다.
공허한 상태에 있는 캅셀을 제거하기 위해 카버(3)를 스프링(16)에 반하여 충전 및 공허한 위치로 오게 하고, 그 다음에 스톺핀(6)과 방출기(10)를 스프링(9)의 탄력에 의해 윗쪽으로 이동시키고 방출기는 자동적으로 캅셀을 밀어내게 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입구(14)에 대한 공기입구 구멍이 설치되고 원통형으로 만들어진 카버(3) 내에 삽입된 흡입기의 저부는 축 가까이 포트(pot) 형으로 만들어지고 또, 수용체로서 일부 스프링(16)의 인트레이닝 소자(entraining element)로서 작용하도록 홈(groove)으로 갖추어 있다. 카버(3)를 투명하게 제작함으로써 구멍이 뚫려 있지 않은 새로운 캅셀이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직접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카버(3)가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되었는지 여부도 분명히 볼 수 있다.
예시하지 않은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카버를 케이스의 형태에 부합하는 밀접된 슬라이드로서 만들어질 수 있다. 이 슬라이더는 원주방향 축과 평행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시하지 않은 또 다른 실시예로 카버를 착탈 또는 돌저귀(hinge)를 부설한 뚜껑 형태로 만들 수도 있다.

Claims (1)

  1. 캅셀 수용공소(1)이 흡입기 케이스의 외부주연에 있고 케이스는 케이스의 내부를 향하는 절단장치(12)와 캅셀을 개구하는 카버(3)로 덮혀 있으며, 이 카버는 이동할 수 있으며 외부 케이스(2)의 외측에 점유되어 있어서, 이것은 캅셀 수용공소(1)를 덮고 있는 그의 유휴 위치로부터 공소를 노출시키는 위치 및 절단장치가 캅셀 수용공소에 부착된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케이스의 내부공소에 부착된 공기의 흡구 및 공기의 출구를 경유하여 통과하는 분말제를 함유하는 캅셀을 수용하는 분말제용 흡입기.
KR7403629A 1974-09-18 1974-09-18 분말제용 흡입기 KR800001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403629A KR800001394B1 (ko) 1974-09-18 1974-09-18 분말제용 흡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403629A KR800001394B1 (ko) 1974-09-18 1974-09-18 분말제용 흡입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1394B1 true KR800001394B1 (ko) 1980-11-26

Family

ID=19200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403629A KR800001394B1 (ko) 1974-09-18 1974-09-18 분말제용 흡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1394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70046A (en) Insufflator
US3858583A (en) Medicament inhalation device
JPS5841067B2 (ja) フンマツザイヨウキユウニユウキ
US7275538B2 (en) Inhaling type medicine administering apparatus and medicine cartridge used therein
CA1089735A (en) Device for dispensing medicaments
JP4585862B2 (ja) カプセル中の一回投与混合物の吸入器
IE56241B1 (en) Inhalation apparatus
KR100805992B1 (ko) 건조 분말 흡입기
EP0063599B1 (en) Powder inhalation device
US5769073A (en) Powder inhalator
CA1046882A (en) Inhaler
EP1009461B1 (en) Dry powder inhaler
CA2084400C (en) Inhaler
WO2005089843A1 (en) Inhaler for preparations in powder form
BRPI0313357B1 (pt) inalador de pó
JPH04507357A (ja) 吸入器
PL185672B1 (pl) Otwieracz kapsułki do inhalatora proszkowego
JP6222709B2 (ja) 流動体ディスペンサ装置
JP2011527215A (ja) 粉末吸入器
JP2015517861A (ja) ドライパウダー吸入器
KR800001394B1 (ko) 분말제용 흡입기
TW418096B (en) Turbine dry powder inhaler
JP2019506240A (ja) 吸入器
CN103052417B (zh) 干粉末吸入器
KR830001228B1 (ko) 분말상 약제의 흡임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