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0815B1 - 판유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판유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0815B1
KR800000815B1 KR7201390A KR720001390A KR800000815B1 KR 800000815 B1 KR800000815 B1 KR 800000815B1 KR 7201390 A KR7201390 A KR 7201390A KR 720001390 A KR720001390 A KR 720001390A KR 800000815 B1 KR800000815 B1 KR 8000008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bath
electrode
molten
p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201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드니 로빈슨 알버트
고든 라우케스 데이비드
로렌슨 잭
Original Assignee
안토니 리챠드 필킹론, 리오넬 알랙산드 베륜 필킹톤
필킹턴 브라더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GB4328971A external-priority patent/GB1345925A/en
Application filed by 안토니 리챠드 필킹론, 리오넬 알랙산드 베륜 필킹톤, 필킹턴 브라더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안토니 리챠드 필킹론, 리오넬 알랙산드 베륜 필킹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0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08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8/00Shaping glass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a liquid
    • C03B18/02Forming shee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lass Melting And Manufactur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판유리의 제조방법
제1도는 탱크구조체에 포함된 용융금속의 욕상에서 평평한 유리를 제조하기위한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측면 단면도
제2도는 대상유리가 형성되고 있는 제1도장치의 부분사시도
제3도는 제2도에 표시된 탱크구조체의 부분평면도이며 전원접속을 나타냄
제4도는 제3도의 Ⅳ―Ⅳ선의 단면도
제5도는 대상유리의 가장자리에 횡방향의 억제력을 가하게 되어있는 제1도장치의 변형실시예
제6도는 제5도장치의 공급전원을 나타낸 평면도
제7도는 제6도의 Ⅶ―Ⅶ선에서의 단면도
제8도는 만곡된 전극봉을 사용한 다른 실시예의 제5도에 유사한 사시도
제9도는 제8도 장치의 평면도이며 그 장치에의 전원접속을 나타냄
제10도는 유리박판의 제조를 나타낸 제8도에 유사한 사시도
제11도는 제10도장치의 평면도이며 그 장치에의 전원접속을 보임
제12도는 제11도의 XⅡ―XⅡ에서의 단면도
제13도는 유리박판 제조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제10도에 유사한 사시도
제14도는 제13도 장치의 평면도이며 그 장치에의 전류공급의 접속을 나타냄
제15도는 변형된 전극봉을 갖는 제10도장치의 사시도
제16도는 용융유리를 욕상에 보지하는 3개의 전극봉으로 되는 제15도 장치의 변형실시예의 사시도
제17도는 전류공급접속을 나타낸 제16도장치의 평면도
제18도는 용융유리를 보지하는 전극이 가라앉혀져있는 본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탱크구조체의 입구단의 사시도
제19도는 전류공급접속을 나타낸 제18도 장치의 평면도
제20도는 제19도의 XX―XX 선에서의 단면도
제21도는 용융유리의 상부를 보지하기위해 사용되는 특수전극봉의 단면도
제22도는 또다른 형상의 전극봉이 횡단면도
제23도는 서로 절연된 2개의 도전성부분으로되는 변형된 전극봉의 횡단면도
본 발명은 대상(帶狀) 유리를 용융금속지지체 위에 형성하는 방법에 의한 판(板)유리의 제조에 관한 것이다.
대상의 판유리는 용융유리의 부유체(浮遊體)를 용융금속욕(溶融金屬浴)위에 형성하여 그 부유체를 대상의 모양으로 욕(浴)에 따라 전진시키는 프로트(flot)방법에 의하여 용융금속욕위에 형성된다. 전진(前進)하는 유리를 받는 온도는 조의 출구끝에서 마지막 대상 유리에 가해지며 또한 대상유리가 형성될 때 상부(上部)를 (Roll)에 의하여 유리의 가장자리에 가해지는 견인력(牽引力)에 관여하며 제어된다. 이들의 요인을 조절하므로써 제조되는 유리의 두께가 결정된다. 유리가 변형가능 상태에 있을 때 대상유리의 윗면은 그 가장자리만이 윗면 롤(Roll)등에 접촉한다. 그러나 유리면의 변형때문에 유리의 화염다듬질면이 생기지않는 응융재료체를 유리의 윗면에 접촉시킬 수도 있다.
욕의 출구끝에서부터의 견인작용으로 유리를 얇게 만드는 어느 작업방법에서 욕의 뜨거운 끝에서 형성되는 용융 유리의 부유체의 가장자리는 탱크구조체의 측부에있는 내열부재를 축이게되어 견인력에 대한 연반작용력(緣反作用力)을 낳게된다.
본 발명은 마지막의 대상유리를 인출하는 용융유리의 폭(幅) 전면(全面)에 견인력에 대한 반작용력을 생기게하여 용융금속 지지체위에 엷은 평평한 유리를 제조하는 새로운 착상에 기인하는 것이다.
이 새로운 착상은 두께 10mm의 평판유리로부터 두께 0.005mm의 유리까지 여러가지 두께의 평판 유리를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이 발명은 매우 엷은 평판 유리와 유리박(箔)의 제조에 적합하다.
용융유리를 제어된 속도로 용융금속의 욕상에 주입하여 욕상에 용융유리의 풀을 형성하고 풀의 하류(下流)끝을 가로질러 뻗어있는 고체부재에 의하여 풀로부터 앞쪽으로 흐르는 용융유리의 흐름을 제어한다. 평판유리로 제조하는 이 발명에 의한 방법은 앞서 말한 전향(前向)흐름을 욕면의 윗방향에 배치되어 용융유리로 적셔지는 고체부재에 의하여 제어되고 고체부재 구역에서 유리를 가열(加熱)하여 앞서말한 전향흐름을 다시 조절하여, 고체부재상의 유리가 적셔짐으로써 생기고 대상유리의 폭 전면에 걸쳐 분포되는 반작용력보다 강하게 대상유리에 가해지는 견인력에 의한 전기의 전향(前向)흐름의 가속으로 욕에 연하여 대상유리를 인장하고 고체부재로부터 떨어지도록 연해져서 인장될 때의 대상유리의 치수를 안정시킨다는 것이 특징이다. 대상 유리에 흘러들어가는 유리의 점도(粘度)를 조절하기 위하여 될수있는대로 유리의 전기가열이 사용된다. 이 발명은 또한 고체부재를 전극(電極)으로 구성하고 이 전극과 용융금속욕과의 사이에 유리를 통하여 전류를 흐르게하고 전류를 조절하여 유리의 온도를 제어하여 이로써 유리의 전방(前方)에의 흐름을 조절한다. 가열전류의 한쪽 전극으로 용융금속욕을 사용하는 대신에 이 발명은 또한 고체부재를 한쌍의 전극으로 구성하여 각 전극은 부재의 길이에 따라 뻗어 부재 밑을 흐르는 유리를 거쳐서 전극간에 전류를 통하여 유리의 온도가 제어되며 따라서 유리의 전방(前方)에의 흐름이 조절된다. 이 발명을 실시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에 있어서 풀로부터 흐르는 용융유리의 전방에의 흐름은 용융유리면에 닿는 고체부재를 가지고 조절된다.
이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풀로부터의 용융유리의 전방에의 흐름은 블록면(凸면)이 용융유리의 풀에 접하는 만곡된 부재로써 조절되며 대상 유리의 형성전에 부재의 오목면(凹면)으로부터 대상유리의 중앙부분을 인출할수 있는 정도의 점도로서 대상유리가 부재로부터 인출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이 발명에 의한 방법은 똑바른 중앙부분과 유리의 흐름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는 익편(翼片)과를 가지는 교체부재에 의해서 풀로부터 나오는 용융 유리의 전방에의 흐름을 조절하는 공정과 익편의 끝에서 대상유리의 가장자리의 형성전에 부재의 똑바른 부분으로부터 대상유리의 중앙부분을 인출할 수 있는 점도로서 대상유리를 고체부분으로부터 인출하는 공정과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전류는 고체부재의 중앙부분과 익편(翼片)에 별도로 공급되어 대상 유리의 중앙부분과 옆부분으로 인출되는 용융유리의 온도를 각각 별도로 조절한다. 대상 유리를 가늘게 되지않도록 횡방향의 억제력은 풀로부터 고체부재의 끝 가까이를 흘러 두꺼운 가장자리가 되는 용융 유리의 연류(緣流)에 의하여 가해진다. 즉, 이두꺼운 가장자리가 대상유리에 횡방향의 억제력을 가한다. 특히 유리박(箔)을 제조할 때 중요한 것은 풀로부터의 유리의 연류를 조장하여 대상 유리의 두꺼운 가장자리를 형성한다는 것이며, 또한 이 발명에 의하면 연류는 용융유리의 풀의 가장자리를 가열하여 각각 달리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이 발명에 의하면 대상 유리의 폭을 유지하기 쉽게하기위하여 고체부재의 가장자리의 바깥쪽 가까이의 용융유리의 연류는 고체부재의 옆쪽 연장부에 접촉된다. 이들 옆쪽 연장부는 용융유리에 의하여 적셔진다. 유리의 적셔지는 가장자리의 이와같은 작용은 만곡한 전극을 사용할 때 특히 유효하다. 왜냐하면 대상유리의 중앙부가 형성되어 고화(固化)될 때 대상의 가장자리가 떨어져 유지되기 때문이다.
이 발명은 또한 각 옆쪽 연장부를 전극으로하여 구성하며 이들 부재와 용융 금속용과의 사이에 전류를 통하여 풀로부터 대상 유리에 흐르는 유리의 연류의 온도를 조절한다. 또한 대상 유리의 폭은 대상 유리의 두꺼운 가장자리의 뒷면을 맞물게하며 이에 가로방향의 억제력을 가함으로써 보다 잘 유지할 수 있다.
매우 엷은 평판유리 예를들면 두께 0.005mm 내지 0.5mm의 유리박(箔)을 제조할 때, 이 발명에 있어서는 대상유리가 두꺼운 가장자리를 갖는 대상 유리박이 될 정도의 점도(粘度)에서 대상 유리를 교체부재로부터 인출하고 유리박이 형성되면 즉시 대상유리를 냉각시켜 박이 교화된다.
이 발명에 의하면 또한 용융금속의 욕을 수용하는데 탱크구조체, 욕면(浴面)위에 퍼지고 욕면위에 용융유리를 주입하는 주입장치, 주입장치로부터 탱크구조체에 연하여 떨어져 나가도록 배치되고 또 용융유리의 전향(前向) 흐름을 제어하는 고체부재, 대상유리의 견인력을 가하여 대상유리를 욕면에 따라 인장하기 위한, 탱크구조체에 조합(組合)되는 견인장치, 및 욕에 따라 인장될때의 대상유리를 안정시키기위한, 탱크구조체중의 냉각장치를 갓는, 평판유리를 제조하는 장치가 제공되며, 이 장치에 있어서는 그 특징으로서 앞서말한 고체부재가 이 고체부재에 의하여 욕면상에 유지되는 용융유리의 풀로부터 나와 견인 장치에 의하여 이 고체부재로부터 떨어지도록 욕면에 연하여 인장되는 대상유리로되는 용융 유리의 흐름을 조절하기위하여 용융 유리로 적셔지는 재료로 만들어지며 가늘고 긴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또한 욕면위에 배치되어 고체부재 구역에서 유리를 가열하기위하여 가열 장치가 이 고체부재에 조합(組合)되어, 냉각장치가 고체부재의 바로 하류(下流)에 배치된다.
될 수 있으면 탱크구조체는 가늘고 긴 구조체이어야하며, 주입장치는 탱크구조체의 일단 즉 뜨거운 끝에 있는 단벽(端壁)을 넘어 뻗으며 또한 욕면 가까이에서 끝나는 하향경사(下向傾斜)된 순부(
Figure kpo00001
部)를 가지며, 대상유리의 출구가 탱크구조체의 반대측끝에 형성되어있으며 고체부재는 용융유리가 풀로부터 대상유리에 흐르게하기위한 가늘고 긴 간격을 한정하는 거리만 욕면으로부터 윗쪽으로 떨어져서 위치한다.
고체부재는 가열된 내열부재, 예를들면 가열 철사를 매입한 융해시리카(silica)이다. 될 수 있는한 고체부재는 내열금속봉(耐熱金屬棒)이고 전원은 유리가열 전류를 봉(棒)에 공급하는 방향으로 봉과 용융금속에 연결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봉은 주입순으로부터 떨어지고 또 이에 평행(平行)하게 고정된 똑 바른 봉이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봉은 만곡한 모양을 하고 또 그 불록면을 주입순부에 맞보는 방향으로 또 주입순부로부터 떨어져서 고정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봉은 주입순부터 떨어지고 또 이에 평행한 똑 바른 중앙부분과 유리의 흐름 방향으로 경사시켜 중앙부분의 끝에 고정된 익편(翼片)을 가진다. 익편은 전기절연체에 의하여 중앙부분에 고정되며 중앙 부분과 각 익편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하여 별개의 전기 접속부재가 설치된다. 보통의 봉은 욕면과 봉의 밑바닥과의 사이에 7mm 내지 18mm 간격이 형성되도록 하는 높이에 욕면으로부터 위로 떨어져서 고정된다.
봉의 횡단면은 이 발명작용의 일부를 이루도록 형성되며, 봉의 하면(下面)은 욕면과 더불어 가변 횡단면의 가늘고 긴 간격을 형성하도록 유리의 흐름방향으로 상향(上向)으로 경사시킨다.
또한, 봉의 하류측의 밑 가장자리는 용융유리로 적셔지게되는 비부(鼻部)로 형성된다.
장치는 또한 앞서말한 고체부재의 상류측 가까이에서 탱크구조체의 측벽에 부착된 내열타일과, 이들 타일에 고정되어 또 용융유리의 풀 가장자리에 적셔져있는 전극과, 전류를 공급하여 풀의 연류를 가열하기 위하여 이들 전극 및 욕에 연결되어있는 전력공급장치를 포함한다.
고체부재의 둘레에 용융유리의 연류를 적시게하며 접촉시키기 위하여 장치는 더욕 고체부재의 측방연장부를 포함하고, 이들 연장부의 하면(下面)은 용융유리의 가장자리가 풀로부터 대상유리의 두꺼운 가장자리쪽으로 흐르게하기위한 통로를 형성하도록 고체부재의 하면 보다 더욕 높게 욕면위에 자리잡는다.
이 실시예의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 측방 연장부는 유리로 적셔지는 도전(導電)자료이며, 고체부재로부터 전기적 절연이 되며 또 전력공급장치에 각각 벌도로 연결된다.
장치는 또한, 대상 유리 가장자리의 상면에 맞물려 가장자리에 폭 제어력을 가하기 위하여 간격을 한정하는 고체부재의 하류에서 탱크구조체에 부착된 상부를(Roll)을 포함한다.
용융 금속욕이 가열 전류회로의 한쪽 전극으로 되어 있지않은 실시예에 있어서 고체부재는 절연재료의 간격요소에 의해서 분리되어있는 내열재로의 두(2)개의 평행봉과 두개의 봉을 전원에 연결하기 위한 별개의 전기접속부재로 이루어져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고체부재는 용융유리의 풀중에 완전히 가라앉혀지도록 욕면으로부터 약간위로 떨어져 위치하는 끝 브라켓트간에 부착되어있는 내열 금속봉이다.
이 발명을 한층 더 명확히 이해시키기위하여 이 발명의 몇가지 실시예가 첨부도면에서 설명된다. 도면에 있어서 같은 부호는 같은 부분을 나타낸다. 도면의 제1내지 3도면에 대하여 설명하면 용융금속의 욕 1은 가늘고 긴 모양의 탱크구조체에 용융되어, 이 탱크구조체는 밑바닥 2, 측벽 3, 욕의 입구끝에 자리잡고 있는 단벽 4 및 욕의 출구끝에 있는 단벽 5로 이루어져있다.
출구 단벽 5의 외측(外側)에 견인롤러 6이 부착되어있고 이들 롤러는 탱크 구조체로부터 출구 8을 통하여 최종 대상유리를 운반해 내도록 작용하고, 출구 8은 단벽 5와 지붕 구조체 10의 단벽 9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지붕 구조체는 탱크구조체위에 설치되어 용융금속의 욕 1의 위에 공간 11을 한정한다. 욕면에 용융유리를 주입하는 주입구 12는 단벽 4의 위에서 번져나가도록 설치된다. 주입구 12는 유리 용융로(溶融爐)의 전로(前爐)에서 뻗어있는 홈의말단을 형성한다. 주입구에는 밑으로 향하여 경사하는 순부(
Figure kpo00002
部)13을 가지며 이 순부는 용융금속의 욕 1의 면 15에 접근하여 14로 끝난다. 주입구와 하향경사하는 순부 13은 측벽 16을 가지며 주입구의 횡단면은 장방형(長方形)에 가까운 모양이다.
지붕 구조체는 폐쇄벽(shut off wall) 17로 욕의 입구 끝부분에서 폐쇄되어있으며 측벽 19를 가지는 지붕의 연장부 18은 주입구를 둘러싸는 방(chamber)을 형성한다. 투윌(tweel) 20은 방을 패쇄하고 주입구 12와 같이 작동하여 주입구에서 용융금속의 욕면에 흐르는 용융유리 2의 유량(流量)을 제어한다.
욕의 온도 및 역에 연하여 전진하는 유리의 온도를 제어하기위하여 온도 조절기 22는 용융금속욕 1속에 잠기며 온도 조절기 23은 욕위의 공간에 설치된다. 보호기체 예를들면 질소및 수소의 혼합기체는 닥트(duct) 24로부터 욕위의 공간에 공급되어 이 닥트는 헷더(header)에 의해서 비산화 보호 기체원에 연결된다. 기체는 공간 11에 충만하여 욕의 입구와 출구로부터 밖으로 흐르며 그러므로써 외기(外氣)의 침입을 막는다.
용융유리 예를들면 소다 석회 시리카 유리는 주입구의 순부끝에서 욕면에 주입되어 욕면에 용융유리의 비교적 깊은 풀 26을 형성한다. 이 풀은 욕에 연하여 앞쪽으로 흐르는 유리와 탱크구조체의 측벽 4를 향하여 주입구의 밑을 뒤쪽으로 넓혀지는 용융유리로서 형성된다.
내열재료의 가늘고 긴 고체(중공이 아님)부재 27은 주입구 순부 14와 평행하고 또 욕의 하류방향으로 순부로부터 떨어지게 또한 욕면 15에서 위로 떨어지게 배치되며 가변단면(可變斷面)의 가늘고 긴 간격 28을 형성하며, 이 간격은 부재 27로 욕면에 보지되어 있는 용융유리의 풀 26으로부터 용융유리를 유출시키는 간격이다.
제1내지 3도면의 실시예에 있어서, 중공(中空)이 아닌 부재 27은 내열재료될 수 있으면 내열 스텐레스강(鋼)의 똑바른 봉(棒)이다.
봉 27은 또 카븐, 모리브덴, 탕그스텐, 탄탈, 니오브, 이리쥼, 루테늄, 파라쥼, 백금 또는 보호기체중에 수소가 없을 경우에는 산화 제2주석으로 만들어져도 좋다. 이 봉은 가로보(cross-beam) 30으로부터 늘여떨어져있는 기둥 29에 의해서 욕면에 고정되며 가로보 30은 지붕 구조체의 측벽에 고정된다.
봉의 하면은 간격의 높이가 18mm에서 7mm가 되도록 욕면에서 위로 떨어져 고정된다. 욕면 레벨이 용융유리의 풀 26을 지지하는 주입구의 낮은 레벨에서 대상유리 7이 인출되는 봉 27의 하류측의 높은 레벨로 변화함으로써 간격은 변화하는 욕면 레벨의 이 변화로 간격 28의 하면으로 상승하는 모양이 된다. 용융금속이 뜨거운 용융 유리에 주는 상향(上向)트라스트(trust)와 간격의 하면에 봉에의 용융유리의 적셔짐은 용융유리가 간격으로부터 인출되어 구멍 28의 바로 하류에서 대상유리 7에 연속적으로 형성될 때 용융유리가 받는 점성(粘性) 인장력(引長力)을 증가시키는 요인이된다.
봉 27위치의 하류측에는 회기전극(return electrode)이 있어 이 회기전극은 예를들면 내열주석으로 만들어져 탱크구조체의 한쪽 측실 3을 넘어서 뻗어, 이 측실 바로 앞의 욕의 용융금속에 침지되어있다. 가로보 30과 기둥 29는 도전재료 예를들면 강(鋼)이며 가로보 30의 한쪽끝은 도선 32로 주도선에 연결되어있는 단권(單卷) 변압기선륜(變壓器線輪) 34의 가변(可變) 탭(tap)에 연결된다. 선륜 34의 중성단(newtralend)은 도선 35로 욕에 침지되어있는 회기전극 31에 연결된다. 내열금속 예를들면 모리브덴의 윗트 백(wet back, 뒷면이 유리로 젖는다) 전극 36은 제1,2도면에서 한층 더 명료하게 나타나있는 것과같이 주입구의 밑에있는 탱크구조체의 단벽 4에 부착된다. 전극 36은 L자모양 단면의 긴봉의 모양을 이루고 단벽 4에 가까운 곳의 용융유리의 풀에 침지되도록 배치된다. 전기 콘넥터 37은 주입구 밑을 밖으로 뻗어도선 38(제3도)로 단권 변압기선륜 40의 가변 탭에 연결되어, 단권변압기선륜 40은 주도전선에 연결되고, 그 중성단은 도선 41로 회기전극 31에 연결된다. 전극 36은 탱크의 단벽 4와 주입구 12의 밑면과의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어 밀봉된다.
제한 타일 42는 주입구의 양쪽에 있으며 탱크 구조체에 고정되는 풀 26의 가장자리는 이 타일을 적신다. 각 타일 42에는 L자모양의 모리브덴 전극 43이 부착되어 이 전극은 제4도에 나타나 있는 것과같이 용융유리에 잠기며 용융금속면 15로부터 떨어져있다.
강제(鋼製) 전기연결봉 44는 각 전극 43으로부터 탱크측벽을 지나 뻗는다. 한쪽의 봉 44는 도선 45로 주도선에 연결되어있는 단권 변압기선륜 47의 가변탭 46에 연결된다. 선윤 47의 중립선단은 도선 48로 회기 전극 41에 연결된다. 다른쪽의 봉 44는 똑같이 주도선에 연결되어있는 단권변압기 선륜 51의 가변탭 50에 도선 49로서 연결되며 선륜의 중립선단은 도선 52로 회기전극 31에 연결된다. 자동 변압기 34의 탭 33의 위치조절은 도선 32와 전극봉 27의 독립적인 전암 조절을 할 수가 있다. 이것은 간격 28을 지나 흐르는 용융유리를 통하여 유리의 점도를 조절하는 가열 전류를 조절하고 이로써 유리는 부재 27을 적셔 더욱 앞으로 흐르는 유리를 점성(粘性)으로 잡아 당길 수 있을 정도의 점도로된다. 유리가 적당한 저점도로 유지되어있기 때문에 유리는 내열부재 27로부터 손쉽게 떨어질 수 있다.
욕의 입구단과 욕에 주입되는 용융유리 21의 온도는 일반적으로 1000°C 내지 1050°C 이며 용융유리의 풀 26도이 온도이다 단권변압기 40을 조절하여 도선 38로 윗트백 전극에 공급되는 전력을 조절하면 봉 27밑의 간격 28을 통하여 흐르는 유리의 온도와는 관계가 없이 주입구의 용융유리의 풀 26의 온도가 조절된다. 그러므로 주입구밑의 유리의 점도는 전극 36에 부착 될 수 있는 점도로 유지되며 따라서 전극 36은 유리 26의 온도(간격 28을 통하여 흐르는 유리보다 차다)를 조절할뿐 아니라 풀 26의 윗트(wet)구역의 폭을 유지, 제한타일 42의 방향으로 흐르는 풀의 가장자리 방향으로 윗트구역으로부터 흐르는 용융유리의 밖으로의 흐름을 강하게 한다.
무관계로 연결되어 있는 단권 변압기 47,51은 전극 43의 가까이의 풀 26의 가장자리에 있는 용융유리의 가열에 소비되는 전력을 무관계로 조절할 수 있도록한다. 이것은 풀 26으로부터의 용융유리의 가장자리의 흐름 53이 전극봉 27의 끝을 돌아 대상유리의 가장자리쪽으로 향하기 쉽게하고, 가장자리 54를 두껍게, 횡방향으로 억제력을 가하여 인출되는 대상유리가 가늘게 되지않도록 한다.
간격 28을 통하여 흐르는 유리로부터 용융금속면 15에 연하여 대상유리 7을 인출하기위하여 견인력은 롤러 6에 의해서 가해진다.
두께 5mm의 대상유리를 매시간 110mm의 속도로 제조하기위한 실험장치의 작업의 일예에있어서, 용유유리는 주 70톤의 율로 욕에 공급된다. 전극봉 27은 폭, 다시 말하여 욕의 횡방향으로 350mm, 유리의 흐르는 방향으로 길이가 25mm이며 풀 15를 지지하는 욕면의 낮은 레벨 15보다 9mm위쪽에 위치된다. 두께 5mm의 대상 유리를 사용할 수 있는 중앙부분의 폭은 300mm이었다. 이와같은 결과를 얻기위하여 도선32로 전극 27에의 급전(給電)은 22볼트, 450암페어 10kw이며, 도선 38로 윗트백전극에의 급전은 30볼트 200암페어 6kw였다. 전극 43에의 급전은 약 27볼트, 48암페어 1.5kw로 평형되었다. 간격 28을 가로질러 봉 27의 밑의 용융유리를 통하는 전류로, 유리가 간격을 통하여 흐를 때 유리의 온도는 약 1250°C 내지 1300°C로 상승하여 이 부근의 유리점도는 약 102포이스이다.
유리가 욕에 연하여 전진할 때 형성된 찬(冷)대상 유리 7로 상류로 전해지는 견인력으로 대상유리는 간격을 통하여 흐르는 매우 낮은 점도의 유리로부터 인출된다. 대상유리의 폭의 유지는 찬용융유리의 가장자리의 흐름 53에 의한 대상 유리의 두꺼운 가장자리 54의 형성으로 도움을 받게되며 이 두꺼운 가장자리는 대상유리가 가늘게 되지않도록한다. 용융유리가 앞쪽으로의 흐름을 억제하도록 작용하는 힘, 특히 욕의 면(面)레벨이 변화하는 곳에서 유리에 작용하는 용융금속의 상향 트라스트(trust)―와 조합되어 견인력에 대한 반작용으로 작용하는 점성 인장력에 대항하고 또한 봉 27에의 용융유리 윗면의 젖음(wet)에 의한 표면장력(表面張力)에 역행하여 간극(間隙)으로부터 인출될 때 대상유리의 하면이 용융금속면에 접촉하여 형성된다.
앞서 말한 표면 장력은 용융유리가 봉 27의 하려 측의면을 적시고있는 반월형부(meniscus) 56(제1도면)에 있는 용융유리가 대상유리의 상면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있다.
가장자리의 흐름 53의 찬유리의 점도는 약 1445포이즈이며, 그 효과는 두꺼운 가장자리 54의 형성에있고, 이 두꺼운 가장자리는 두께 5mm로 인출되는 대상유리의 중앙부분 55보다 점도가 높다.
욕으로부터의 대상유리 7의 배출속도 및 대상유리의 폭의 유지는 대상유리의 중앙부분 55의 두께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란 것을 알게되었다. 욕면으로부터 위의 봉 27의 높이, 즉 간격 28의 높이와 형상도 또한 중요한 요인이다. 특정한 두께의 유리를 만들기위한 간극(間隙)의 조절에 일역을 담당하는 다른 요인은 유리의 가열에 소비되는 전력과 전극봉 27로 유지되는 풀 26의 용융유리 윗면의 높이와 유리의 흐르는 방향에 있어서의 봉 27의 길이이다.
대상 유리의 형성직후에 대상유리는 예를들면 제1도에 57로 표시되어있는 냉각상자에 의하여 비교적 빨리 냉각되며 이 냉각으로 대상유리는 소망의 두께로 고화(固化)되기 쉽게한다.
견인 롤러 6의 속도로 대상유리의 유용한 중앙 부분 55의 두께가 변화하고 두께 10mm에서 3mm까지의 유리는 이 방법으로 제조된다.
용융금속욕면에 고온으로 유지되어있는 유리로부터 대상 유리가 형성되기 때문에 제조된 유리는 화염다듬처리가 된 품질의 면을 가지고 또 실질적으로 찌그러짐이 없다.
두꺼운 가장자리는 유리를 소둔할 때 대상유리로부터 절단된다.
제5내지 6도는 제1내지 4도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며 이 변형예는 엷고 평평한 유리, 예를들면 두께 1mm 또는 2mm의 평판유리와 두께 0.5mm까지의 유비박을 제조하기 위한 것이다.
제한 타일 42는 탱크측벽 3까지 뻗어있지않고 대상 유리의 두꺼운 가장자리 54는 측 61에 부착된 일련의 상부롤 60에 맞물린다. 앞서말한 측 61은 탱크구조체의 측벽을 지나 뻗어있다. 상부롤 60은 흑연(黑鉛) 또는 내열스텐레스 강의원판이며 유리의 두꺼운 가장자리 54에 들어박힐 유치연(有齒緣)을 갖는다. 축 61은 대상 유리의 전진방향에 대하여 60°의 각도를 이루고 있으며 상부롤은 탱크측벽을 향하여 약간 지그자그로 배치되어, 유리의 전진방향에서 생각하면 유리의 두꺼운 가장자리 54에 가해지는 폭을 제어하는 힘은 대상유리의 중앙부분 55에 약간 횡방향의 인장력을 가하여 롤의 횡방향의 억제기능을 증대시킨다.
가장자리 롤은 또한 전극봉 27의 끝 둘레를 흐르는 용융유리의 연류(緣流) 53에 안정성을 주어 대상 유리의 엷은 중앙부분 55가 변형하는 것을 저지한다.
2개의 상부롤의 바로 하류에는 냉각기 62가 용융금속욕중에 가라앉혀진다. 각 냉각기는 지그자그로 굽혀진 강관(鋼管)이며 냉각수원에 연결된다. 이들 냉각기는 대상유리의 두꺼운 가장자리 54로부터 열을 빼앗아 상부롤 60의 하류를 지난 직후의 대상 유리의 폭을 유지한다. 냉각 상자 57은 냉각기 62의 위치 바로 하류의 탱크 구조체를 완전히 가로질러 뻗어서 그 밑, 넓은 열흡수면을 유리에 면하고 있다.
상부롤 60사이를 유리가 지나는 사이에 유리는 냉각하고 냉각기 57,62의 작용으로 대상유리의 중앙부55는 상부롤에서 옆이 억제되어있는 사이에 고화(固化)하여 대상유리의 중앙부분보다 더 많은 열을 가지는 두꺼운 가장자리가 가늘어져 대상유리의 폭을 줄이고 이미 고화된 엷은 대상유리의 중앙부분을 변형시키지는 않는다.
봉 27의 밑에 형성되는 간극(間隙)28의 형상은 제7도에 표시되어있다. 봉의 하면(下面) 63은 유리의 흐름방향을 향하여 상향(上向)으로 경사되어 있어 상류측의 간격의 입구가 최대이다. 따라서 간극의 높이는 서서히 증가하여 봉 27의 하면 63의 경사가 작동상태가 안정되어있을 때의 봉밑의 용융금속면의 입상부분 65의 모양에 관련한다.
두께 0.1mm의 유리박을 제조하기위한 제5내지 7도의 장치작업의 일예에 있어서 제5,6도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4쌍의 상부롤 60이 사용되어 각 롤은 대상 유리의 전진방향에 대하여 80° 각도를 이루는축에 부착된다.
봉 27은 조의 횡방향의 폭이 460mm이며, 유리의 전진 방향의 길이가 50mm이다. 상부 롤 60은 모두 매시 820m의 주속도(周速度)와 같은 속도로 구동되어, 대상유리 7은 매시 820m의 비율로 욕에서 인출되었다.
공급전력제원은 다음표와 같았다.
[표 1]
Figure kpo00003
이들 제원에서 폭 520mm, 두께 0.1mm의 대상유리박이 주로 18톤의 비율로 제조되었다.
제 8,9도는 두께 1mm 내지 0.05mm의 평평한 유리를 제조하기 위한 이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내열금속, 될수있는대로 모리브덴의 봉 27은 만곡한 모양이며 블록하면 66을 주입순부 14의 쪽을 향해서 도전성의 횡봉 30으로부터 욕면상에 고정된다. 조면으로부터 상방의 봉 27의 하면의 높이는 제1내지 4도의 실시예와 같은 정도이며 즉 7mm 내지 18mm이다.
블록형은 전극의 후방인 풀 26의 곳에서 용융유리가 정체되지 않으며 또 대상 유리의 두꺼운 가장자리에의 용융유리 53의 연류를 돕는다는 점에서 작용상 유리하다. 더욱, 봉 27의 만곡은 대상 유리의 가장자리가 고화되기전에 간격의 중앙부분의 밑을 흐르는 유리로부터 인출되는 얇은 유리의 고화를 돕는다.
냉각상자는 유리의 위에 설치되어 유리가 봉 27의 원호내의 구역으로부터 나감에 따라서 유리를 급냉한다. 유리가 가늘게 되지않게하도록 방향의 억제력은 탱크구조체의 측벽을 통해서 뻗은 축 61에 대해서 부설되어있는 상부롤 60에 의해서 주어지고 있다. 축 61은 대상 유리의 전진방향에 직각으로 측벽에 부설되어 대상유리의 두꺼운 가장자리에 횡방향의 억제력을 부여하여 이 억제력으로 롤러 6으로부터 강한 견인력을 받는 대상유리의 폭이 제어되며 또한 유지된다.
대상 유리의 중앙부분 55의 고화는, 유리가 상부롤 60의 사이를 통과하고 있을때 유리를 가속시키지 않게 하는 같은 속도로 상부롤 60을 모두 구동시킴으로서 도움을 받으며 대상 유리는 대상 유리의 얇은 중앙부분에 비틀림이 들어가지않고 형성된다.
두께 1mm의 평평한 유리는 제8,9도에서와 같은 만곡된 스텐레스강 전극 27 및 상부롤 60을 사용해서 제조되었다. 만곡된 전극은 폭이 540mm이며 유리의 전진 방향에서의 길이가 25mm이었다.
상부롤 60은 매시 220m의 주속도로 구동되어 대상유리 7은 매시 190m인 비율로 욕으로부터 배출되었다.
공급전력의 제원은 표 Ⅱ와 같았다.
[표 II]
Figure kpo00004
이들 제원으로 폭 500mm, 두께 1mm인 대상의 평평한 유리 500mm가 과(過) 40톤의 비율로 제조되었다.
제10내지 12도는 두께 0.1mm 내지 0.005mm인 유리박을 제조하기위한 이 발명에 의한 방법및 장치를 나타낸다. 이 장치는 대단히 얇은 유리박 예들면 0.02m, 0.01mm 또는 0.005mm인 유리박의 제조에 특히 유효하다. 제8,9도의 실시예서 사용된 봉과같은 만곡의 전극봉 27이 사용되어, 단, 상부롤은 사용되지 않는다. 연류 53이 생겨 이 연류에서 대상 유리의 두꺼운 가장자리 54를 형성하기위하여 더욱 복잡한 열가열장치가 만곡된 전극봉 27의 상류에 사용된다. 이때 대상 유리와 두꺼운 가장자리가 필요한 횡방향의 억제력을 부여해서 중앙부분 55가 필요한 유리박이 되도록 유리의 폭을 유지한다.
탱크구조체의 입구단의 우측에는 2개의 제한타일 67,68이 설치된다. 모리브덴 가열 전극 69는 타일 67에 또 똑같은 전극 70은 타일 68에 부설된다.
탱크구조체의 좌측에는 제한 타일 71,72 및 모리브덴 가열전극 73,74의 조합장치가 설치된다. 제12도는 타일 72 및 전극 74의 단면도이며 만곡된 봉 27의 끝가까이를 흐르는 유리의 가장자리 75에 대한 전극의 배치를 나타낸다.
전극 69,70,73,74의 각각은 각기 다른 전원을 가진다. 전극 69는 주도선에 연결되어있는 단권변압기 선륜의 탭 77에 도선 76으로 연결된다. 선륜 78의 중립측은 도선 79로서 회기전극 31에 연결된다.
똑같이 전극 70은 주도선에 연결되어 있는 단권변압기 선륜 82의 탭 81에 도선 80으로서 연결되어 선류 82의 중립측은 도선 83에 의해서 회기전극 31에 연결된다.
같은 방법으로 가열 전극 73은 주도선에 연결되어있는 단권 변압기 선륜 86의 가변탭 85에 도선 84로서 연결되어, 선륜 86의 중립측은 도선 87에 의해서 회기전극 31에 연결된다. 또 가열 전극 74는 주도선에 연결되어있는 단권변압기 90의 가변 탭 89에 도선 88로서 연결되어 단권변압기의 중립측은 도선 91에 의해서 회기전극 31에 연결된다.
이 장치는 풀 26에서 전극봉 27의 끝의 둘레를 흐르는 연류의 가열을 개개로 조절하여 용융유리에 제12도에서 보인 형태를 취하게 할 수 있어, 두꺼운 가장자리 75는 전극 74를 젖게하므로서 형성되며, 전극 27의 끝에서 경계되어있는 구역으로부터 유리박이 움직이기 시작할때 까지 전극 27의 만곡부내에 이미 형성되어있는 유리박에 횡방향의 억제력을 부여한다.
냉각기 62는 전극 27의 끝 가까이에서 조의 용융 금속중에 가라앉혀져, 두꺼운 가장자리를 급냉해서 대상유리의 폭 유지를 더욱 돕는다. 유리박의 치수를 일정하게 하기위하여 오버헤드 냉각기 57이 또 제10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사용된다.
두께 0.1mm인 유리박을 제조하기위한 제10내지 12도의 장치의 작업의 일예에 있어서, 전극봉 27은 욕의 횡방향에 있어서 폭이 520mm이며, 유리의 흐르는 방향에 있어서 길이가 25mm이다. 두꺼운 가장자리를 갖는 대상의 유리박은 140m/시의 비율로 욕에서 배출된다. 박의 두께는 0.1mm 이어서 대상유리의 중앙부분 55의 폭은 716mm이다. 이것은 주 25톤의 0.1mm인 유리박의 유효한 생산고를 부여한다.
이 결과를 얻기위한 공급전력의 제원은 표 Ⅲ과 같다.
[표 III]
Figure kpo00005
제13,14도는 만곡전극봉 27을 사용해서 유리박을 제조하는 다른 방법을 보인 것이다. 전극봉 27의 상류측에는 앞의 실시예일 때보다도 어느정도 긴 단체(單體)의 가열전극 43이 설치된다. 만곡된 봉 27의 끝의 하류측에는 제5,6도에 사용된 같은 형의 2쌍의 상부롤 60이 설치되어, 롤의 측 61은 대상의 유리박의 전진방향에 직각으로 배치된다.
만곡된 전극봉 27에 측부연장부 91이 설치되어 각 측부 연장부는 봉 27의 일단으로부터 인접된 탱크 측벽 3에 연장되는 익전극(翼電極)으로 고려되어도 좋다. 각 익전극 91은 예를들면 시리마나이트의 절연편 92로서 봉 27로부터 절연된다. 익전극 91은 전극봉 27보다 얕으며 따라서 익전극 91의 하면은 욕면으로부터 만곡 전극봉 27보다도 더욱 위에있어 풀 26에서 대상 유리의 두꺼운 가장자리 24로 흐르는 용융유리의 연류 53의 통로 93을 형성한다. 전극 91의 밑을 흐르는 연류 53은 이들 전극 및 전기 절연편 92를 적신다.
연류의 온도는 이점에서 연류 53으로부터 욕의 속에 전류를 흐르게 함으로서 따로따로 조절되어, 이것을 행하기 때문에 좌측의 익전극 91은 주도선에 연결되어 있는 단권변압기의 선륜 96의 가변탭에 도선 94로 연결되어, 변압기의 중립측은 도선 97에 의해서 회기전극 31에 연결된다.
똑같이 우측의 익전극 91은 주도선에 연결되어 있는 변압기의 선륜 100의 가변 탭 99에 도선 98로 연결되어, 선륜 100의 중립측은 도선 101에 의해서 회기 전극 31에 연결된다.
익전극의 밑에 있는 용융 유리흐름 53의 가열로 익전극에의 유리흐름 53의 직심은 크게되어 이것에 의해 전극봉 27의 만곡부내에 이미 형성된 대상 유리박의 폭유지가 도와진다.
다음에 상부롤 60은 유리박이 급냉되어 또 광범위한 냉각관 102에 의해서 안정될 때의 폭을 유지한다. 상기의 냉각관 102는 욕속에 가라앉혀서 또한 상부롤 60간의 유리박의 전구역밑에 연장되어있다. 이들 광범위한 냉각관 102는 이 냉각기의 바로 하류에 부설되어있는 오바헤드 냉각상자 57과 함께 동작하여 욕에 연하여 연속적으로 전진하는 두꺼운 가장자리를 갖게 형성된 대상의 유리박을 급냉한다.
제13,14도의 실시예의 작업의 일예에 있어서, 두께 0.01mm, 폭 500mm인 유리박은 500m/시의 속도로 욕에 배출된다. 상부롤 60은 500m/시와 같은 주속도로 구동된다.
전극 27은 욕의 횡방향에 있어서 폭이 500mm이며 유리의 흐름 방향에 있어서 길이가 25mm인 만곡된 봉이다. 봉 27의 하면은 제7도에서와 같이 상향으로 경사되어있다.
공급전력의 제원은 표 Ⅳ와 같다.
[표 IV]
Figure kpo00006
이와같은 공급전력의 제원인 경우, 두께 0.1mm, 폭 500mm인 유리박이 주 25톤의 비율로 제조된다.
제15도는 유리박, 예를들면 두께 0.1mm 내지 0.005mm인 유리박을 제조하는 다른 방법을 나타낸것이다. 장치는 제10,11도의 장치와 유사하나, 제10,11도에 표시되어있는 만곡된 전극봉 대신에 전극은 주입순부로 부터 떨어지며 또한 이에 평행한 곧바른 중앙부분 103과 이 중앙부분에 고정되며 또한 유리의 흐름 방향에 대해서 25°의 각도를 이루는 익편 104와를 갖는다. 봉전체는 내열스텐레스강의 일체구조이며, 29로 표시되는 기둥에 의해서 달아매어진다. 봉전체 103,104는 가열 전원에 연결된다.
플 26으로부터 나오는 연류구역에는 쌍의 가장자리 가열기 69,70 및 73,74가 설치되어, 이들 가장자리 가열기는 제10,11도에 관해 설명된 바와 똑같게 연결되며 또한 작업된다.
두께 0.1mm, 폭 480mm인 유리박을 제조하기 위한 제15도의 실시예의 작용에 있어서 욕으로 부터의 대상 유리의 배출속도는 130m/시이며, 가장자리를 절취한 유리박은 주 26톤의 비율로 제조된다.
장치에의 공급전력의 제원은 표 Ⅴ와 같다.
[표 V]
Figure kpo00007
예를들면 두께 0.1mm 내지 0.005mm인 유리박을 제조하기 위한 제 16,17도의 실시예에 있어서, 전극봉은 제15도에 관해서 설명된 것과 형상이 같으나 익편은 전극봉 103의 중앙부분으로부터 절연된 별개의 전극으로 형성된다. 좌측에 있는 비탈진 익편 105는 전기절연 내열재료 예를들면 시리마나이트의 블럭(Block)106에 의해서 중앙부분 104로부터 절연되어있다. 전극봉의 우측에 있는 익편 107도 똑같이 전기 절연 블럭에 의해서 전극봉의 중앙부분 104로부터 절연되어있다.
전원으로부터 중앙부 103 및 익편 105, 107의 각각에의 별개의 전기접속부재가 설치되어있다. 중앙부분 103은 단권변압기로부터 공급된다. 익편 105는 도선 109에 의해서 단권변압기의 선륜 111의 가변탭 110에 연결되어 선륜 111은 주도선에 연결되며 이 선륜의 중립측은 도선 112에 의해서 회기 전극 31에 연결된다. 좌측의 익편 107은 주도선에 연결되어있는 단권변압기의 선륜 115의 가변탭 114에 도선 113에 의해서 연결되어, 선륜 115의 중립측은 도선 116에 의해서 회기전극 31에 연결된다.
이 장치로 전극봉의 중앙부분 및 측방부분의 밑을 흐르는 용융유리의 온도가 독립해서 조절되어 이온도 조절은 가장자리 가열전극 69, 70, 73, 74,에 의한 연류 53의 온도 조절외에 행해진다. 가장자리 가열전극 69, 70, 73, 74는 복합전극 구조체로서 후방을 유지하고 있는 용융유리의 풀 26의 측부에 배치되어 있다.
가라앉혀있는 주석 냉각기는 대상유리의 측부에 또한 익편 105, 107의 끝의 받로 하류의 장소에 설치된다. 오받헷드 냉각기 57도 또 대상 유리박의 안정을 돕기 위하여 설치되어 또 만약 희망한다면 상부를 60이 제17도에 보인바와같이 익편 105,107의 바로 하류에 설치해도 좋다. 상부롤은 대상유리의 두꺼운 가장자리에 몰리는 대상유리와 같은 속도로 구동된다.
두께 0.1mm, 폭 500mm인 유리박을 제조하는 작업의 일예에서 전극은 폭이 350mm로 유리의 흐름 방향의 길이가 25mm인 중앙봉 103을 포함한다.
익편 105,107의 각각은 익편을 전극의 중앙부분에 결합하는 전기절연 블럭으로 부터 230mm연장되며 또 유리의 흐름 방향의 길이가 25mm이다. 대상 유리박은 100m/시의 속도로 욕에서 배출되어, 필요한 유리박이되는 대상 유리의 중앙부분의 형성비율은 주 22톤이다.
가장자리 가열기 및 전극의 부분 103,107에의 공급전력의 제원은 표 Ⅵ에 표시한다.
[표 VI]
Figure kpo00008
제18내지 20도의 실시예는 얇은 유리를 제조하기 위한 것이며 풀 26으로부터 전방에 흐르는 용융유리의 유량은 용융유리중에 완전하게 가라앉혀져 있는 곧바른 고체(중공이 아님을 뜻함)부재 117에 의해서 조절된다. 부재 117은 내열스텐레스강의 부재이며 밑으로 향하여 폭넓은 U자형으로 굽혀져, 그 곧바른 저면부분이 가라앉혀진 전극 117을 구성한다. 전극의 상향으로 굽혀진 측부 118은 용융 유리의 연류를 통해서 상방으로 돌출하고 또 탱크구조체의 측벽을 거쳐서 밖에 나가도록 굽혀진다. 욕면 15로부터 위 전극의 곧바른 부분 117의 높이는 제조된 대상유리의 두께를 제어하기 위하여 조절된다. 전극의 직립부분 118의 둘레에 생기는 연류 53을 조절하기 위하여 단체의 가열기가 풀 26에 대해서 설치되어 또 제조된 유리박을 안정시키기 위하여 전극의 하류의 용융욱중에 가라앉혀진 냉각기 62 및 오바헤드 냉각기 57이 설치된다.
제20도에 보인 바와같이 용융유리는 풀 26으로부터 전극의 곧바른 부분 117의 위, 아래로 흐른다. 얇은 유리의 하면은 용융금속욕에 접해서 형성되어, 얇은 유리의 상면은 뜨거운 풀 26에 비틀림이 없는 평평한 모양으로 차분하게있는 용융유리의 불의 끝손질 표면 부분에서 인출된다. 가열전류는 전극 117로부터 밑으로 향해서 욕면에 흘러, 발생한 열은 또 전극으로 부터 위의 흐름을 가열한다.
두께 3mm, 폭 400mm인 유리를 제조하는 작업의 일예에 있어서, 가라앉혀져 있는 전극 117은 폭 480mm, 직경 12mm인 스텐레스강의 봉이다.
공급전력의 제원은 표 Ⅵ에 표시된다.
[표 VII]
Figure kpo00009
두께 3mm, 폭 400mm인 유리가 주 25톤의 비율로 제조되어 50m/시의 속도로 욕에서 인출되었다.
제7도에 관해서 이미 설명한 바와같이 제18내지 20도의 원형단면은 별도로 하고 전극의 하면을 상향으로 경사시켜, 또 봉의 저면부의 구석을 둥글게하는 것은 유리하다. 봉의 밑을 흐르는 유리의 점도는 가열 전류에 있어서 유리가 낙봉(落棒)으로부터 쉽게 떨어질 수 있는 값으로 유지된다.
유리의 반월형부(meniscus) 56이 봉에서 떨어져 나가는 정확한 위치는 용융유리의 반월형부 56에서 적셔지는 비부(鼻部) 119와 같이 봉의 하류측의 밑의 가장자리를 형성하면 제21도에서와 같이 더욱 정확하게 할 수가 있다.
제22도에서 보여진 다른 실시예는 위로 향하여 만곡되는 저면 120의 하류측의 가장자리에 비부 119를 갖는다.
전극봉의 하면과 용융욕의 면과의 사이에 전류를 흐르게하는 대신 제23도에 보여지는 구조가 사용되어도 좋다. 이 구조에 있어서 내열 부재는 보통 모리브텐인 2개의 평행한 봉 121,122로부터되어, 절연 내열재료 예를들면 시리마나이트의 스트립상 간격요소 123에 의해서 분리된다. 124,125로 나타낸 별개의 전기접속부재는 2개의 봉 121,122와로 결합된다. 한쪽의 전기접속부재는 공급변압기의 가동탭에 다른쪽의 전기접속부재는 전기변압기의 코일의 중립측에 연결된다. 전류는 전극의 밑의 간격을 통해서 흐르는 유리를 거쳐서 봉 121,122의 저면사이에 흘러, 유리를 가열하고 필요한 저점도로 한다.
이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풀 26으로 부터 전방에 흐르는 용융유리의 유량을 조절하는 고체부재는 가열선을 속에 묻은 비도전재료, 예를들면 순 시리카, 시라카를 적어도 80%포함한 내열물, 혹은 시리마나이트와 같은 알미노 시리케이트 내열물로 형성된다. 종(從)용융유리에 접하는 고체부재의 면은 부재의 밑을 흐르는 유리를 가열하고 필요한 저점도로 한다.
다른 내열재료는 시리마나이트와 똑같이 제13,14도의 절연체 92 및 제16,17도의 절연체 106,108의 전기 절연체로서 사용될 수 있는 가장, 보통의 알미나 시리케이트는 고시리카 내열재료로서 흔히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작업의 각 예에 있어서, 전력은 보통 50Hz의 주전원에서 공급된다. 전류의 싸이클은 바뀌어도 좋고 예를들면 500Hz, 1000Hz 또는 그 이상의 싸이클의 전류가 사용되어도 좋다.
전술한 각 실시예에 있어서 대상 유리의 두꺼운 선 54는 대상유리가 욕으로부터 인출된 후 될 수 있는한 빨리 끊겨져, 남은 연속하는 대상의 평평한 유리 또는 유리박은 또 다시 다음의 가공을 받는다. 예를 들면 유리박은 수지로 연속 파괴되어 파괴된 박은 작은 편(片)으로 절단되어, 수지 또는 시멘트의 보강재료로서 사용되는 유리의 작은 조각으로 만들어진다.
그러므로 이 발명은 예들면 두께 10mm내지 1mm인 평평한 유리 및 두께 0.005mm인 유리박까지의 대단히 얇은 평평한 유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같은 장치로 대단히 낮은 부하로 평평한 유리 및 박을 제조할 수가 있어, 또 견인력, 욕에 송출되는 유리의 양 및 가열된 간격을 통해 욕의 입구단에 생긴 용융유리의 풀로부터 인출되는 유리의 온도를 바꿈으로서 제조되는 유리의 두께를 바꿀수가 있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실시된다.
(1) 본 발명에 의한 방법에 있어서, 풀로부타 나오는 용융 유리의 전방에의 흐름은 풀의 하류단을 가로질러서 연장되는 용융 유리에 의해 적셔지는 고체부재의 밑을 통한다.
(2) 본 발명 또는 상기 제(1)항에 의한 방법에 있어서, 고체부재는 전극으로서 구성되며, 유리를 거쳐서 전극과 용융금속욕과의 사이에 전류가 통해져, 이 전류를 조절해서 유리의 온도, 따라서 유리의 전방에의 흐름이 조절된다.
(3) 본 발명 또는 전기 제(1)항에 의한 방법에 있어서, 고체부재는 한쌍의 전극으로 구성되어, 각 전극은 부재의 길이에 따라서 연장되어, 부재의 밑을 흐르는 유리를 거쳐서 전극 사이에 전류를 흘려서 유리의 온도가 제어되어 따라서 유리의 전방에의 흐름이 조절된다.
(4) 본 발명및 전기 제(1)내지 (3)항에 의한 방법에 있어서, 풀로부터의 용융유리의 전방에의 흐름은 용융유리의 면에 접촉되는, 곧바른 고체부재에 의해서 조절된다.
(5) 본 발명 및 전기 제(1)내지 (3)항에 의한 방법에 있어서, 풀로부터의 용융유리의 전방에의 흐름은 불룩면이 용융유리의 풀에 접하는 만곡한 부재에 의해서 조절되어, 대상 유리의 가장자리의 형성전에 부재의 오목면으로부터 대상유리의 중앙부분을 인출할 수 있을만한 점도로서 대상유리가 부재로부터 인출된다.
(6) 본 발명 및 전기 제(1)내지 (3)항에 의한 방법에 있어서, 풀로부터 나오는 용융유리의 전방에의 흐름은 곧바로 중앙부분과 유리의 흐름 방향에 대해서 경사되어있는 익편과를 갖는 고체부재에 의해서 조절되어, 대상유리는 익편의 끝에서 대상유리의 가장자리의 형성전에 부재의 곧바른 부분으로부터 대상 유리의 중앙부분을 인출할 수 있을만한 점도로 고체 부재로부터 인출된다.
(7) 전기 제(6)항에 의한 방법에 있어서, 전류는 고체 부재의 중앙 부분 및 익편에 별도로 공급되어서 대상유리의 중앙부 및 측부에 인출되는 용융유리의 온도를 따로따로 조절한다.
(8) 본 발명 및 전기 제(1)내지 (2)항에 의한 방법에 있어서, 풀로부터 나오는 용융유리의 전방에의 흐름은 용융유리중에 완전히 가라앉혀져 있는 곧바른 고체부재의 의해서 조절된다.
(9) 본 발명 및 전기 제(1)내지 (8)항에 의한 방법에 있어서, 용융유리의 연류는 풀로부터 고체부재의 끝의 둘레를 통해서 대상 유리의 가장자리에 향하게되어 횡방향의 억제력을 가해서 대상유리를 가늘게 되지 않도록 하는 두꺼운 가장자리를 형성한다.
(10) 전기 제(9)항에 의한 방법에 있어서, 대상 유리에의 전기의 연류는 용융유리의 풀의 가재자리를 가열해서 따로따로 조절한다.
(11) 전기 제(9항) 또는 제(10)항에 의한 방법에 있어서, 고체부재의 가장자리의 둘레를 통하는 용융유리의 상기의 연류는 용융유리로 적셔지는 상기 고체부재의 측방연장부에 접촉된다.
(12) 상기 제(11)항에 의한 방법에 있어서, 각 측방 연장부는 전극으로 구성되어 이들 부재와 용융금속욕과의 사이에 전류를 통해서 풀로부터 대상 유리에 흐르는 유리의 연류의 온도를 조절한다.
(13) 상기 제(9)내지 (12)항에 의한 방법에 있어서 대상 유리의 두꺼운 가장자리의 상면은 맞물려서 이에 횡방향의 억제력이 가해진다.
(14) 상기 제(9)내지 (13)항에 의한 방법에 있어서, 대상유리는 대상 유리가 두꺼운 가장자리를 갖는 대상의 유리박이 되도록된 점도로 고체부재로부터 인출되어, 유리박이 형성되면 곧 대상 유리를 냉각하여 박을 고화한다.
(15) 본 발명에의한 장치에 있어서 탱크 구조체가 가늘고 긴 구조체이며 주입장치가 탱크 구조체의 일단 즉 뜨거운 끝에 있는 단실(端室)을 넘어서 연장되어 또한 욕면 가까이에서 끝나는 방향으로 경사된 순부를 갖는 주입구로 형성되어 대상 유리의 출구가 탱크 구조체의 타단에 형성되어, 고체부재는 용유 유리가 풀로부터 대상 유리에 흐르게 하기위한 가늘고 긴 간격을 한정하는 거리만큼 욕면으로부터 위로 떨어져 위치된다.
(16) 상기 제(15)항에 의한 장치에 있어서, 고체부재는 내열금속의 봉이며, 전원은 유리 가열전류를 봉에 공급하는 방향으로 봉및 용융금속에 연결된다.
(17) 상기 제(16)항에 의한 장치에 있어서, 봉은 주입순부로부터 떨어지며 또한 이것에 평행으로 고정된 곧 바른 봉이다.
(18) 상기 제(16)항에 의한 장치에 있어서, 봉은 만곡된 모양을 하며 또 그 블록면을 주입순부에 대향시키며 또 주입순부로부터 떨어져 고정시킨다.
(19) 상기 제(16)항에 의한 장치에 있어서, 봉은 주입순부로부터 떨어지며 또한 이에 평행한 곧바른 중앙부분과 유리의 흐름 방향으로 경사시켜서 중앙부분의 끝에 고정된 익편과를 갖는다.
(20) 상기 제(19)항에 의한 장치에 있어서 익편은 전기절연체에 의해서 중앙부분에 고정되어 중앙부분 및 각 익편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별개의 전기 접속부재가 설치된다.
(21) 상기 제(16)내지 (20)항에 의한 장치에 있어서 봉은 욕면과 봉의 저면과의 사이에 높이 7mm내지 18mm인 간격이 형성되도록 하는 높이로 욕면으로부터 위에 떨어져 고정된다.
(22) 상기 제(16)내지 (21)항에 의한 장치에 있어서, 봉의 하면은 욕면과 함께 가변횡단면의 길고 가느다란 간격을 형성토록 유리의 흐름 방향으로 상향으로 경사된다.
(23) 상기 제(16)내지 (22)항에 의한 장치에 있어서, 봉의 하류측의 하연은 용유유리의 부착하는 비부로서 형성된다.
(24) 상기 제(15)내지 (22)항에 의한 장치는 더욱 전기 고체부재의 상류 가까이에서 탱크구조체의 측벽에 부설된 내열타일과 이들 타일에 고정되며 또한 용융유리의 풀의 가장자리에 적셔져있는 전극과, 전류를 공급하여 풀의 연류를 가열하기 위하여 이들 전극 및 욕에 연결되어있는 전력공급장치와를 포함한다.
(25) 상기 제(15)내지 (24)항에 의한 장치는 더욱 더욱 고체부재의 측방 연장부를 포함하고 이들 연장부의 하면은 용융유리의 가장자리가 풀로부터 대상유리의 두꺼운 가장자리에 흐르게 하기위한 통로를 형성토록 고체부재의 하면보다 더욱 높게 욕면으로부터 위에 있다.
(26) 상기 제(25)항에 의한 장치에 있어서 측방연장부는 유리로서 적셔지는 도전재료이며, 고체부재로부터 전기 전열되며 또한 전력공급장치에 따로따로 연결된다.
(27) 상기 제(15)내지 (26)항에 의한 장치는 더우기 대상유리의 가장자리의 상면에 맞물려서 가장자리에 폭제어력을 가하기 때문에 간격을 한정하는 고체부재의 하류에서 탱크 구조체에 부설된 상부롤을 포함한다.
(28) 상기 제(15)에 의한 장치에 있어서, 고체부재는 절연재료의 간격요소로서 분리되어 있는 내열 재료의 2개의 평행한 봉과, 2개의 봉을 전원에 연결하기 위한 별개의 전기 접속부재와로 된다.
(29) 본 발명에 의한 장치에 있어서, 고체부재는 용융유리의 풀속에 완전히 가라 앉혀지기 때문에 욕면으로부터 약간위로 떨어져서 위치하는 끝 브라켓 사이에 부설되어있는 내열 금속의 봉이다.

Claims (1)

  1. 용융유리를 제어(制御)된 속도로 용융금속욕(溶融金屬浴)위에 주입하고 욕상에 용융유리의 풀(pool)를 형성하여, 풀의 하류(下流)끝을 가로질러서 뻗은 고체부재(固體部材)에 의하여, 풀로부터의 용융유리의 앞방향의 흐름을 제어하는 평평한 유리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의 앞방향의 흐름을 욕면의 위로 배치하여 용융유리로 적셔지는 고체부재로 제어하고, 고체부재의 구역에서 유리를 가열하여 상기의 앞방향 흐름을 다시 조절하면, 고체 부재위에 있는 유리가 젖음으로서 생기는 대상(帶狀)유리의 폭(幅)에 고루 분포되는 반작용력을 극복하여 대상 유리에 가해지는 견인(牽引)에 의한 상기의 앞방 흐름의 가속(加速)에 의하여, 욕에 연하여 대상유리를 인장하고, 고체부재로부터 떨어지도록 욕에 연하여 인장될 때의 대상유리의 칫수를 안정시킴을 특징으로하는 판유리를 제조하는 방법.
KR7201390A 1971-09-16 1972-09-14 판유리의 제조방법 KR8000008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4328971A GB1345925A (en) 1970-09-28 1971-09-16 Reaction products of an n-3-oxohydrocarbon-substituted 3-alkoxy-, 3-thio- or 3-amino-propionamide and a polyamine or polyamide and their use as low-viscosity epoxy curing agents
GB71-43289 1971-09-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0815B1 true KR800000815B1 (ko) 1980-08-21

Family

ID=10428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201390A KR800000815B1 (ko) 1971-09-16 1972-09-14 판유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0815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4212B1 (ko) 유리질재료를용융하기위한장치
US344521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ical viscosity control of float glass
SU824891A3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плоского стеклаНА пОВЕРХНОСТи РАСплАВлЕННОй МЕТАлли-чЕСКОй ВАННы
US4110098A (en) Molten glass refining apparatus
TWI238149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in glass panes
JP2001019436A (ja) ガラス溶融タンク及びガラスを溶融する方法
US330534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currents in molten glass
US441667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glass filament or fibers
US3479171A (en) Method and apparatus to produce transverse surface flow of the float glass bath metal
US3961930A (en) Manufacture of flat glass
KR800000815B1 (ko) 판유리의 제조방법
US2021002439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glass ribbons
US4361431A (en) Method of forming thin sheet glass by float process
US3770406A (en) Manufacture of wired glass on molten metal bath
US20210061694A1 (en) Glass product manufacturing apparatus
KR20060020888A (ko) 유리용해로 용융조용 전기부스팅장치
JP5490888B2 (ja) ストリップ鋳造によって鋼ストリップ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S63185831A (ja) 電気溶解装置
JP2969731B2 (ja) タンディッシュ内溶鋼の加熱方法
US4361430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selectively heating molten glass stream marginal edges
JPS6011235A (ja) ガラス板の成形方法及び成形装置
JPH0133625Y2 (ko)
US394157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molten glass
US3806396A (en) Control of flow of glass to a glass ribbon being drawn
JPS5948769B2 (ja) ガラスシ−トの製法および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