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0798B1 - 직물의 예비수축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직물의 예비수축 가공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00000798B1 KR800000798B1 KR760000005A KR760000005A KR800000798B1 KR 800000798 B1 KR800000798 B1 KR 800000798B1 KR 760000005 A KR760000005 A KR 760000005A KR 760000005 A KR760000005 A KR 760000005A KR 800000798 B1 KR800000798 B1 KR 80000079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abric
- drum
- blanket
- roller
- entry roll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Landscapes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직물 웨브(web)를 가공하기 위한 본 발명 장치의 제1실시예의 개략적 측면도
제2도는 에이프런(apron)(21)형태의 가압판(19)을 나타내기 위한 제1도의 부분 확대도로서, 에이프런(21)와 블랭킷(blanket)(11), 진입 로울러(12), 드럼(15) 및 가공중인 직물(18)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제3도는 직물 웨브를 가공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개략적 측면도
제4도는 무단형 리본(endless ribbon)형태의 가압판을 나타내기 위한 제3도의 부분 확대도로서, 무단형 리본(22)과 블랭킷(11), 진입 로울러(12), 드럼(15) 및 가공중인 직물(18)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제5도는 제4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우측 단면도
제6도는 종래 장치에 있어서의 전기적으로 가열된 슈즈(17)를 나타내는 세부도로서, 이 슈즈(17)와 블랭킷(11), 진입 로울러(12), 드럼(15) 및 가공중인 직물(18)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제7도는 제1도의 장치를 종래의 고무 벨트식 압축 예비수축 장치와 직렬로 연결한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적 측면도
제8도는 제1도의 장치를 종래의 관상(管狀) 편직물용 예비수축 장치와 직렬로 연결한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적 측면도
본 발명은 진입 로울러, 가열 건조 드럼 및 상기 진입 로울러 위를 진행하면서 가열 드럼의 외표면과 접촉하는 블랭킷(blanket) 등을 가지고 있는 형태의 직물 웨브(web) 예비수축 가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편직물의 예비수축, 안정화 및 마무리가공에 관한 것이다. 직물과는 달리 편직물에서는 연속사로 이루어진 일련의 루우프(loop)나 또는 일련의 연속사에 의해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직물조직이 이루어진다. 결과적으로 편직물은 길이방향 및 폭방향의 크기에 있어서 상호 의존성을 지니게 되므로, 이로 인하여 쉽게 변형될 수 있는 성질이 있다. 편직물은 이러한 변형성으로 인하여 많은 종류의 의류에 사용되게 되었다. 왜냐하면 편직물로 만들어진 의류는 착용자의 몸 움직임에 따라서 의류의 형태가 변할 수 있어 착용자의 몸에 운동학적으로 일치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와같은 변형성때문에 편직물이 의류로서 적합하게 이용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이 성질로 말미암아 편직물의 예비수축가공, 안정화가공, 마무리가공에 있어서는 여러가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하 제6도를 참조하여 공지 기술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편직물의 예비수축, 안정화, 마무리 가공을 이루기위한 공지 형태의 장치(제6도)에 있어서는, 블랭킷(11)[보통, 무단형(無端型) 휄트(felt)블랭킷]이 진입 로울러(12)상을 진행하여, 이 블랭킷(11)의 제1작동면(초기에는 외표면)(13)이 구역(14)에 닿게된다. 진입 로울러(12)와 블랭킷(11)은 회전하고 있는 커다란 직경의 가열 드럼(15)의 외표면에 대하여 닙(nip) 부분에서 견고하게 밀착되어 있으며, 이 블랭킷(11)은 진입 로울러(12)를 통과한 후 가열 드럼(15)의 원주를 통과하게 된다. 진입 로울러(12)로 부터 가열 드럼(15)의 닙부분으로 진행하는 동안에 블랭킷(11)의 만곡방향이 바뀌므로 이 블랭킷(11)의 제1작동면(13)은 압착지역(16)내에서 길이방향으로 수축하게 된다.
편직물은 그의 변형성 때문에 예비수축의 효과를 상실하여 느슨해 지기 쉽다. 이러한 점을 방지하기 위해, 전기적으로 가열된 슈즈(17)가 설치되어서 직물(18)이 블랭킷의 작동면(13)과 접촉할 때 이 직물(18)을 상기 작동면(13)에 압착시킨다. 이 슈즈는 직물을 작동면(13)에 대하여 완전 압착시켜 블랭킷과 드럼사이의 닙 부분으로 보내주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드럼(15)의 외표면 및 슈즈(17)의 사이에는 구조적으로 약간의 간격이 있어야하기 때문에, 이와같은 공지기술로서는 슈즈(17)의 단부 및 드럼 사이의 전이부분(16)에서 직물(18) 및 블랭킷(11)간의 압축상태를 유지할 수가 없었다. 직물(18)은 공급 로울러(12)에 도입되기 전에 습윤되어 이완된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블랭킷 및 드럼 사이의 닙 부분에 이르기까지 직물을 블랭킷에 대해 완전 밀착시켜서 직물의 장력상의 문제점을 방지하고, 또한 직물이 공급 로울러를 통과할 때 이 직물이 느슨해져서 블랭킷으로 부터 불거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편직물의 낮은 변형 저항으로 인한 편직물의 느슨해짐은 특히 곤란한 문제가 된다.
공급 로울러(12)에 대한 블랭킷(11)의 곡률로 말미암아 블랭킷(11)의 작동면(13)이 구역(14)에 도달하는 지점에서 직물(18)이 상기 작동면(13)에 공급되며 이때 마찰이나 점착(粘着)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열되어 있는 슈즈(17)에 의해 최초로 상기 작동면(13)과 접촉한 후, 드럼(15)에 의해 다시 가열된다. 블랭킷(11)의 만곡 방향이 바뀌어 작동면(13)의 수축 상태를 정상 이하로, 그리고 압착지역(16)의 수축 상태 이상으로 하여주는 지점으로 직물(18)이 접근함에 따라, 이 직물(18)은 블랭킷(11)의 작동면(13)과 마찰접촉을 하게 되므로 직물(18)은 더욱 수축된다. 이러한 수축작용은 순간순간마다 미세한 연속 작용으로서, 장치에 설비된 블랭킷(11)의 재질 및 두께에 따라 달라지지만 1야드(91.44cm)당 전체 6인치(15.24cm) 또는 그 이상인 것이 전형적이다.
직물(18)은 슈즈(17)의 하부에 도달하거나 또는 이를 통과하기 전에 습윤되어 유연하고 다소 가요성이 있으므로, 직물(18)은 블랭킷의 작동면(13)과 마찰 접촉하여 용이하게 수축된다. 이 직물(18)을 가열 드럼(15)상으로 통과시켜서 직물(18)을 완전히 건조시키는 방법으로 수분을 제거하여 주면 수축단계 또는 예비수축단계에서 직물이 안정화되고 마무리 가공된다.
가열된 슈즈(17)를 진입 로울러(12) 및 가열 드럼(15)에 대하여 정확한 위치로 유지시키는 데에는 난점이 있다. 슈즈(17)는 통상 전기적으로 가열되어야 하며, 슈즈(17) 및 블랭킷(11)은 상당히 마모된다. 따라서 슈즈(17)는 그 밑을 통과하는 직물(18)에 저항을 주지 않을 수 없으며, 이 저항으로 말미암아 장치의 동력 소모가 증가된다. 슈즈(17)는 기구적으로 복잡하며 수리하는데 경비가 많이 든다. 슈즈(17)는 자주 수정하여 주어야 하며, 또한 진입 로울러(12)도 자주 교체하여 주어야 하는데, 이러한 수정 및 교체로 인하여 장치의 작동이 복잡하여 지므로, 실수를 저지를 확률이 높아질 뿐만 아니라 장치의 고유한 작동 오차가 나타나게 되고, 따라서 작동자의 숙련도가 더욱 요구된다. 또한 슈즈의 위치는 거의 고정되어 있으므로, 블랭킷이 소모됨에 따라 좀더 큰 진입 로울러로 바꾸어 주어야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 기술상의 난점을 유용하고도 쉽게 해결하여 준다. 즉, 매끄럽고 튼튼한 가요성판(可搖性板)[최소한 직물의 폭과 같은 폭을 갖는 무단형 리본(無端型 ribbon)이나 에이프런(apron)형태인 것]으로 직물을 진입 로울러상에 압착시키고, 그후 이 판을 직물의 상부표면 및 드럼의 외표면에 연속적으로 접촉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목적은 가열된 슈즈가 필요없는 장치를 제공하여 거기에서 소모되는 제반 경비, 즉 설치비, 유지비, 수리비의 대부분을 절약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에이프런의 형태, 또는 무단형 리본의 형태로 되어있는 가압판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목적은 직물이 드럼에 대하여 종래 장치에서 보다 더욱 더 밀착될 수 있도록 압축시키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4목적은 편직물이 느슨하게 불거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려는 것이다.
셀룰로우즈 섬유로 제조된 실로 편직한 편직물 뿐만 아니라, 셀룰로우즈 섬유 및 열가소성 인조섬유의 혼방사로 편직된 편직물도 본 발명의 장치로써 열경화, 예비수축 및 마무리가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혼방직물의 예비수축가공, 안정화가공 및 마무리가공을 균일하고도 정확하게 행함으로써, 바람직하고, 예측가능하며, 반복 재생산이 가능한 마무리가공된 직물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가느다란 소편(疎編)의 편직 튜우브(tube)의 형태, 또는 변(邊)이 형성된 소편의 경편(經編) 웨브 형태, 또는 평평한 편직 튜우브의 형태로 직물의 예비수축가공, 안정화가공 및 마무리 가공을 행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가느다란 소편의 편직 튜우브 형태, 또는 변이 형성된 소편의 경편 웨브형태, 또는 평평한 편직 튜우브의 형태로 행하여지는 직물의 예비수축가공, 안정화가공 및 마무리가공이 단1대의 장치에서 이루어지도록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제직물(製織物)의 예비수축가공, 안정화가공, 마무리가공을 행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슈즈에 의한 것보다도 더 큰 압력을 진입 로울러상의 직물에 가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진입 로울러의 교체 횟수를 감소시키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진입 로울러와 리본 로울러의 축방향 병진운동(進運動)을 단순하게 하여서, 슈즈를 조절하여야 하였던 문제점을 제거하려는 것이다. 실제로 본 발명에 따르면, 진입 로울러는 생산이 진행되는 동안 전혀 수리할 필요가 없었을 뿐만 아니라 블랭킷의 소모에 따르는 교체의 필요성도 없었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장치를 정지시키지 않고도 수리가 가능하도록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장치의 예비수축능력을 변화시키기 위해 블랭킷의 크기를 변화시켜야 할 필요성을 배제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슈즈를 없앰으로써 장치의 동력소모를 감소시키며, 슈즈를 가열하는데 필요한 에너지를 절약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장치의 작동 능력을 향상시키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자신과 같은 형태 또는 다른 형태의 추가적인 장치와 함께 작동하여 예비수축 능력을 증가시키고, 또한 직물의 표리 양면에 마무리 가공된 형상을 만들어주는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종래 장치에서보다 더욱 더 균일한 예비수축가공, 안정화가공, 마무리가공을 행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과수축되지 않고 적당한 정도로 수축시킬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예비수축의 정도를 편리하고도 확실하게 변화시킬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예컨대 고무 벨트와 같은 다른 형태의 예비수축장치와 협동 작용하여 직물이 느슨하여 불거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추가의 수축을 부여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직물을 건조시킬 수 있으며, 또한 어떤 형태의 예비수축장치에서 예비수축되었던 간에 예비수축 후의 느슨해짐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 장치의 가압 슈즈(17)를 제1도-2도에 도시된 에이프런(21)의 형태, 또는 제3도-5도에 도시된 무단형 리본(22)의 형태를 갖는 가압판(19)으로 대체한 것이다.
이것을 더욱 설명하자면, 제1도-2도의 실시예에서 직물(18)은 전형적으로 가이드 로울러(23)와 연신 로울러(24)를 지난 후, 노즐(26)로 부터의 증기나 물의 분무에 의해 수분율을 조정하도록 되어있는 습윤기구(25)를 통과하며, 이때 이와같이 습윤된 직물(18)은 공지의 장치 〔대표적인 것은 로울러(27)의 형태〕에 의해 편편하게 진행되어 조정가능한 공급 로울러(28)를 거친후, 본 발명 장치의 요부(要部)[전체를 (29)로 표시]로 도입된다. 이때까지의 공정을 위한 예비장치는 종래의 것과 동일하다. 이때 직물(18)의 수분율은 압축성 예비수축에 적합한 범위의 것이어야 하며 직포는 적당히 펴지고 이완되어야 한다. 예비장치는 고온의 캔 위에서 직물(18)을 부분 건조시켜서 고무 벨트(55)(제7도 참조)나 또는 관상 편직물에 적합한 기타의 압축성 예비수축장치(제8도 참조)로 부터, 또는 기타의 예비장치로 부터 직물(18)을 송출시키는 방식으로 변화될 수도 있다. 또한 직물(18)이 장치 요부(29)에 도달할 때 적합한 수분율을 지니며 또한 적당히 펴지고 이완될 수만 있다면, 이와같은 펴짐공정 및 이완공정은 습윤공정에 앞서서 이루어져도 좋다. 제직물 및 경편직물은 취급하기에 용이하지만, 관상 편직물은 공지 장치 및 공지 기술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모든 공정을 거쳐서 가느다란 형태로 만들거나 펴거나 또는 편편하게 만들어 주어야 한다.
블랭킷(11)〔전형적으로는 무단형 휄트(felt) 블랭킷〕은 진입로울러(12)의 원주를 따라 진행하여서 이 블랭킷(11)의 작동면(13)이 연신구역(14)에 도달하게 된다. 이때 진입로울러(12)와 블랭킷(11)은 커다란 직경의 가열 드럼(15)에 대하여 서로 접촉하게 되며, 블랭킷(11)은 진입로울러(12)를 거친 후 상기 가열 드럼(15)의 원주를 통과한다. 진입 로울러(12)로 부터 드럼(15)으로 옮아가는 도중에 블랭킷(11)의 만곡방향이 바뀌므로, 블랭킷(11)의 연신상태의 작동면(13)은 압착지역(16)에서는 수축상태로 된다. 블랭킷(11)은 제직된 모직물 또는 니이들링(needling)된 폴리에스텔로 만들어지는 것이 가장 적당하다. 가열 슈즈(17)가 있는 경우에는 이 가열 슈즈(17)에 필요한 온도(375℉-450℉, 즉 190.6℃-232.2℃)에서 합성섬유가 용해하거나 파괴되므로 합성섬유로 된 블랭킷을 사용할 수가 없으나, 본 발명의 장치에는 가열 슈즈(17)가 없으므로 합성섬유로 된 블랭킷(11)도 사용할 수 있다. 즉, 에이프런(21)이나 무단형 리본(22) 형태의 가압판(19)을 사용하면 최대 드럼 온도가 약 325℉, 즉 162.8℃이므로 합성섬유로 된 블랭킷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최대 드럼온도에서는 모직물보다 오래 사용할 수 있는 다른 섬유물질로 된 블랭킷도 사용할 수 있다.
블랭킷(11)은 진입 로울러(12), 드럼(15)의 원주(31), 가이드 로울러(32), 가열 드럼(34)의 원주(33)를 차례차례로 지난후, 다수의 가이드 로울러(35)를 통과하여 다시 진입 로울러(12)로 반복 순환된다.
제1도-2도의 실시예에서의 가압판(19)은 고정된 가압 에이프런(21)의 형태로 되어 있는데, 이 가압 에이프런(21)은 진입 로울러(12)에 대한 드럼(15)과 반대쪽의 단부(36)가 고정되어 있다. 가압 에이프런(21)은 앵글 아이론(angle iron)(37) 및 바(bar)(38)(제2도 참조)의 사이에서 지지되어 진입 로울러(12)상으로 뻗어나가며, 닙 구역(39)을 거쳐서 드럼(15)의 원주(31)상으로 뻗어나가서, 직물(18)의 견인력(牽引力) 및 운동중인 드럼 표면에 의한 견인력을 받게된다. 또한 장력(張力)으로 말미암아 에이프런(21)은 진입 로울러(12)로 향하여 압력을 받게되며, 직물(18)이 진입 로울러(12), 닙 구역(39) 및 드럼(15)의 원주(31)를 통과할 때 에이프런(21)이 직물(18)을 압착하게 된다. 에이프런(21)은 그의 내단부(40)까지 드럼(15)의 원주(31)상으로 끊김이 없이 뻗어있으며, 이 길이는 이동중인 직물(18) 및 드럼으로 부터 충분한 견인력을 발생시켜서 필요한 압력을 얻을 수 있기에 충분한 길이이다. 물론 이 압력은 블랭킷의 작동면을 향하여 진입 로울러(12)의 반경방향으로 가해진다. 이와같은 방법으로 직물(18)이 느슨하게 불거지지 않고도 직물(18)을 압축하여 예비수축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후 이 직물(18)은 드럼(15)의 원주(31)를 지나면서 완전히 건조되며, 건조된 직물은 송출 로울러(41) 및 가이드 로울러(42)를 거쳐서 접철기(43)로 진행되어 차곡차곡 접혀져서 운반차(44)에 쌓이게되고, 이어서 기타의 공정 혹은 전환 공정으로 보내어진다. 도시된 접철기(43)는 크랭크(45)에 의해 작동된다. 직물을 수취하여 차후의 공정 혹은 전환 공정으로 보내주기 위한 기타 수단은 이 방면의 숙련자에게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다.
종래의 조절 방법에 의해, 또한 본 발명 장치의 요부(29)에 앞서 직물(18)을 조작하여서, 특히 공급 로울러(28)를 화살표(46)와 같이 조절하고 진입 로울러(12)를 드럼(15)에 대하여 화살표(47)와 같이 이동시키면 장치를 조절할 수 있다. 에이프런(21)의 외단부(36)은 여러가지 위치(48a)(48b)(48c)에서 지지될 수 있으므로 에이프런(21)이 직물(18)을 압착시키는 진입 로울러(12)의 원주(49)의 길이를 미리 조절할 수 있다. 에이프런(21)의 외단부(36)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하여서는 활모양의 프레임(51)상에 일련의 핀구멍(52a)(52b)(52c)을 설치하여, 에이프런(21)의 외단부(36)를 지지하고 있는 앵글 아이론(37) 및 바(38)에 연결된 핀이 이 핀구멍에 고정되도록 하면 된다. 물론 진입 로울러(12)를 드럼쪽으로 근접 이동시키면 견인력이 증가하여 에이프런(21)상의 장력도 증가하게 된다.
제3도-5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가압판(19)은 제1도-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에이프런(21)의 형태가 아니라 무단형 리본(22)의 형태로 되어 있는데, 이 무단형 리본(22)은 드럼(15)에 의해 구동되어 드럼(15)의 원주(31)상을 운동한다. 무단형 리본(22)은 진입 로울러(12) 반대쪽으로 부터 드럼(15)의 바깥쪽으로 진행하여 진입 로울러(12)에 인접 설치된 리본 로울러(53)위를 지난다. 리본 로울러(53)의 축은 진입 로울러(12)의 축과 평행하게 되어있다. 리본 로울러의 축은 진입 로울러의 축에 대하여 화살표(54)의 방향으로 전이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무단형 리본(22)에서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또한 무단형 리본(22)이 진입 로울러(12)상을 통과할때 이 무단형 리본(22)의 입사각(入射角)을 변화시킬 수도 있다. 제5도에 가장 잘 나타난 바와 같이, 직물(18)은 일정한 폭을 가지고 있으며, 무단형 리본(22)의 폭은 최소한 직물의 폭과 같아야 한다.
에이프런(21) 및 무단형 리본(22)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수지로 피복시켜 수지로 결합시킨 유리섬유로 이루어진 직물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0.016인치(0.041cm)의 두께로 배열하면 가장 실용적이라는 것이 입증되었다. 무단형 벨트는 종래의 기술로 연결될 수 있다.
이 방면의 숙련자라면 본 명세서상의 직물이 제직물, 또는 소편(疎編)의 경편직물, 가느다란 관상 편직물, 또는 편편한 관상 편직물을 의미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 섬유는 셀룰로우즈, 또는 셀룰로우즈와 인조섬유의 혼방물일 수도 있으며, 이때의 인조섬유는 열가소성이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한 직물 가공장치는 예컨대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고무 벨트식 압축 예비수축장치(55)와 같은 기타의 압축 예비수축 장치와 직렬로 연결되어 사용되는 것이 유리하다. 도시된 바와 같은 고무 벨트식 압축 예비수축 장치(55)의 전방에는 연전기(延展機)(57)가 위치하고 있으며, 이 압축 예비수축 장치(55)는 가열 드럼(58), 다수의 로울러 및 운동가능한 두꺼운 고무 벨트(61)로 이루어져 있다. 제8도에는 본 발명에 의한 직물 가공장치가 종래의 관상 편직물용 예비수축 장치와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제8도의 장치에서는 관상 편직물을 연전시켜 습윤장치(25a)내에서 증기 분사기(26a)에 의해 습윤시키고 평평하게 편 다음, 로울러(63)에 걸려있는 한쌍의 무단형 고무벨트(62)에 의해 압착시킨다. 이것을 로울러(64)에 의해 연전시킨후, 평평해진 관상 편직물을 공급 로울러(28)로 이송시켜, 이후 본 발명의 장치로 가공하는 것이다. 이와같이 하면 관상 편직물이 느슨해져 불거져 나옴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더 이상의 예비수축도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1)
- 드럼축을 가지고 있는 가열드럼, 이 드럼에 인접 설치되어 있으며 드럼축에 평행한 축을 가지고 있는 진입 로울러, 상기 진입 로울러의 외주를 통과한 후 드럼의 외주를 통과하는 것으로서 이때 진입 로울러의 외주를 통과할 때에는 그의 제1작동면이 연신되며 그후 드럼의 외주를 통과할 때에는 이 제1작동면이 수축되도록 되어 있는 블랭킷, 최소한 일부분의 상기 연신작용 및 최소한 일부분의 상기 수축작용이 발생할 때 습윤상태의 직물을 블랭킷의 제1표면에 도입하여 상기 제1표면이 직물과 마찰 접촉을 이루며 이 직물을 운송할 수 있도록 하여주는 도입수단 등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장치로서, 진입 로울러의 원주상에서 직물을 압축하도록 지지되고 있으며 또한 드럼의 원주상의 직물의 안쪽으로 뻗어나가는 매끄럽고 강고하며 가요성이 있는 판을 가지며, 이때 이 판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수지로 피복시켜 수지로 결합시킨 유리섬유로 이루어진 직물로 만들어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의 압축예비수축 가공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760000005A KR800000798B1 (ko) | 1976-01-06 | 1976-01-06 | 직물의 예비수축 가공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760000005A KR800000798B1 (ko) | 1976-01-06 | 1976-01-06 | 직물의 예비수축 가공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00000798B1 true KR800000798B1 (ko) | 1980-08-11 |
Family
ID=19201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760000005A KR800000798B1 (ko) | 1976-01-06 | 1976-01-06 | 직물의 예비수축 가공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800000798B1 (ko) |
-
1976
- 1976-01-06 KR KR760000005A patent/KR800000798B1/ko activ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156955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hrinking cloth | |
US1971211A (en) | Fabric treating apparatus | |
US2574200A (en) | Method of making stretchable woven fabrics | |
US2721370A (en) | Machine and process for shrinking and finishing woven textile fabrics | |
US2522663A (en) | Apparatus for condensing fabrics | |
US2583630A (en) | Apparatus for shrinking and condensing textile fabrics | |
US4908918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ressive shrinkage of tubular fabric | |
KR0153461B1 (ko) | 개선된 누름날을 이용한 압축장치 | |
KR800000798B1 (ko) | 직물의 예비수축 가공장치 | |
US4058874A (en) | Method for knitting and pre-shrinking knit fabrics in accordance with pre-determined comfort levels | |
US4575909A (en) | Apparatus for treating fabric for shrinkage | |
US2450022A (en) | Cloth finishing | |
US1837408A (en) | Method of shrinking fabrics | |
US4102643A (en) | Decatizing of fabrics | |
US1861423A (en) | Cloth-finishing | |
EP1055764B1 (en) | Method and device for finishing knitted or woven fabrics | |
KR890000240B1 (ko) | 직물을 압축수축시키는 방법 및 장치 | |
JPS5853105B2 (ja) | オリモノ アミモノトウノ レンゾクジヨウジユウソウチ | |
US3905765A (en) | Steam treatment of fabrics | |
FI66934C (fi) | Foerfarande foer slaetning av ytan av en filt vira eller liknande aendloes termoplastisk behandlingsbana samt anlaeggning foer tillaempning av detta foerfarande | |
US2503629A (en) | Web carrier and method of making same | |
CN220166455U (zh) | 一种纺织面料烫平设备 | |
SU520927A3 (ru) | Способ прессовой усадки ткани | |
US2451337A (en) | Semidecating machine | |
US2919484A (en) | Ornamentation of fabric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