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0694B1 - 정전력을 이용한 부직물(不織物)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정전력을 이용한 부직물(不織物)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0694B1
KR800000694B1 KR740003340A KR740003340A KR800000694B1 KR 800000694 B1 KR800000694 B1 KR 800000694B1 KR 740003340 A KR740003340 A KR 740003340A KR 740003340 A KR740003340 A KR 740003340A KR 800000694 B1 KR800000694 B1 KR 8000006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filaments
filament
electrode
electrostatic f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40003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귀그나르드 클라우데
Original Assignee
헬무트 호에글
바텔레 메모리얼 인스티튜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헬무트 호에글, 바텔레 메모리얼 인스티튜트 filed Critical 헬무트 호에글
Priority to KR740003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06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0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0694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정전력을 이용한 부직물(不織物)제조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위한 일 장치의 측면도.
제2도는 본 발명방법을 수행하기위한 장치의 다른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3도는 제2도의 선Ⅲ-Ⅲ에서 본 단면도.
제4도는 제1도의 다른 변형예의 측면도.
제5도는 제1도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6도 및 제7도는 제5도 장치에 의해 제조된 제품의 확대 세부도.
제8도는 본 발명방법의 다른예를 수행하기위한 장치의 일예의 측면도.
제9도는 제1도의 실시예를 수행하기위한 휴대용 장치의 단면 정면도,
제10도는 본 발명방법의 또 다른 예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의 측면도.
제11도는 제8도 방법에 따라 얻어진 제품의 측면도.
제12도는 본 발명방법의 또 다른예를 수행하기위한 장치의 측면도.
제13도 및 제14도는 제1도 방법에 의해 얻어진 제품의 각각 1,050배, 2,200배의 확대사진들이다.
본 발명은, 소정의 온도에서 필라멘트로 인발될 수 있는 점도를 갖는 소성(塑性)의 부전도성(不傳導性)물질로부터 정전력을 이용하여 다수의 필라멘트들을 형성하여 부직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용액조내에 부분적으로 잠기어 상기 용액조내의 용액으로 표면이 습윤되는 가동(可動)장치에 의해 용액이 매우 소량씩 취해져 대략 10%의 부전도성용액으로 비교적 짧은 섬유들을 제조하는 것이 프랑스국특허 제707,191호, 미합중국 특허 제1,975,504호 및 스위스국 특허 제537,205호에 이미 제안되어있다. 이 가동강치는 하나의 전극을가지고 있고 그 전극에 대향하여 적어도 하나의 부(副)전극이 배치되어있다. 그 전극과 그 부전극사이에 전위차를 적용시킴에 외해 그 전극의 표면상의 부전도성 용액에 전기계(electric field)를 형성시키고 그의 정진력에 의해 그 가동장치의 돌출부분상의 용액이 부전극쪽으로 비산되어 단섬유들이 형성된다. 그 액체에의 정전계의 작용은 상기 액체의 일종의 원자화(atomization)를 일으키는 것이다.
프랑스국 특허 제707,191호와 미합중국 특허 제1,975,504호의 경우에, 그 가동장치가 치(齒)를 가진 휘일로 형성되고, 그치의 첨단부상의 정전계의 집중에 의해 그 첨단부에서 섬유가 형성됨은 잘알려져 있다. 또한, 스위스국 특허 제537,205호에서, 그 가동장치는 약 1.5m/초의 속도에 해당하는 30rpm의 회전속도로 구동되는 1m 직경의 링으로 구성되어있다. 사용되는 용액의 유동성을 이용하여, 액체를 원심력에 의해 전극들사이에 형성된 전기계내로 분산시키든 것도 예상될 수 있다.
더우기, 이 방법들의 적용은 매우 제한되어 있고 많은 실시상의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으며, 이 제한점들은 각종요인(factor)으로부터 발생한다. 무엇보다도, 사용될재료는 용액으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용액을 사용한다는 것은 2가지 모순된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다. 즉, 그 용액은, 가동장치에 의해 이송될 때 그 용액이 전기계내로 들어가기 전에 증발하지 않도록 하기위해 충분히 유동성을 가져야한다. 가동장치로 부터 섬유가 형성분리되는 순간으로부터 그 섬유가 부전극쪽으로 투사되기 때문에 전극들사이의 간격이 그 전극들사이 공간에서 용액이 증발하게 하는데 충분히 커야하고, 그렇지 않으면 그 섬유는 부전극에의 접촉시 작은 물방울을 형성하게 된다. 전극들사이의 간격이 크기 때문에 50-200KV의 전압을 사용하여야 한다. 또한, 이들 제한점들은 비교적 짧은 섬유들만으로 형성되어 얻어진 제품에까지 파급된다.
또한, 이 방법에 의해, 필터는 물론, 직물의 외양을 갖는 제품을 제조하는 것도 이미 제안되었다. 그리나, 섬유의 길이와, 그들 섬유가 서로 접촉하기전에 건조되어야하는 사실때문에 제품의 결합력(coherence)이 불충분하게되어 부직포의 형성이 곤란하게 된다.
본 발명은, 소정의 온도에서 필라멘트로 인발될 수 있는 검도를 갖는 소성(塑性)의 부전도성물질로부터 다수의 필라멘트들을 형성하여 부직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온도에서 상기 부전도성물질의 층을 기질(基質)의 표면상에 형성하고, 그 기질의 표면에 수직인 힘의 선을 갖는 정전계의 작용을 그 기질을 덮고있는 물질이 받게하고, 그 정전계의 작용하에 상기 부전도성물질의 분자그룹들이 상기 힘의 선을 따라 인발된다음, 냉각되어 다수의 필라멘트들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력을 이용한 부직물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물질은, 수 미터길이의 필라멘트를 형성하는데 충분한 용적으로 기질(基質; substrate)의 표면상에 공급되고, 이 물질이 필라멘트를 형성한다. 또한, 이들 필라멘트들이 건조되기 전에 서로 접촉하게 될지라도 그 필라멘트들은 국부적으로 서로 융합하면서 그들의 외형을 유지하는데, 이것은 용액으로부터 형성된 섬유에서는 불가능하다.
첨부도면은 본 발명의 방법을 실시하는 여러가지 실시예들과, 그에 따라 얻어진 필라멘트에 의해 제조된 각종제품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이용된 원리는, 하나의 전극이 고전압 제너레이터에 의해 전류가 공급되고 다른 하나의 전극은 접지된 2개의 전극들사이에 형성된 정전계(electrostatic field)에 의해 발생되는 정전력을 기초로한 것이다. 이 원리자체는 잘알려져있고, 이미 파우더링(powdering)이나 식모(植毛; flocking)에 사용되어왔다. 또한 이 원리는, 사(
Figure kpo00001
)들을 전기적으로 충전시켜 그들이 지지체상에 수집되기전에 그 전기충전에 의해 그 사들이 서로 반발하게 하여 부직물층을 형성하는데에도 이용되어 왔다.
본 발명의 경우에서는, 부전도성(dielectric) 물질이 기질(基質)상에서 용융되고, 그 용융된 물질은 고전압전류가 공급되는 전극의 전위(電位)에 의해 전기적으로 충전된다. 상기 전극에 대향하여 접지전극을 배치함에 의해, 그 용융된 물질은 발생된 정전계의 힘의 선(線)을 따라 향하게 된다. 교착(agglutinate)된 분자그룹은 용융물질 집단으로부터 분리되어 다른 전극쪽으로 이동되어 그물질을 연신(stretch) 시키게된다. 원칙적으로, 그 필라멘트의 길이는 용융된 물질층의 그 물질의 양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물론, 이들 필라멘트들은 불규칙하게 절단될 수 있으나, 이 경우 물질층에 부착되고 단부가 절단된 필라멘트에서, 그 물질층이 소모될때까지 즉시 다른 필라멘트를 다시 형성한다.
물질의 점도에 따라, 형성된 필라멘트는 모노필라멘트 또는 나뭇가지형태의 필라멘트중 어느한가지 형태를 갖는다. 나뭇가지형태의 필라멘트는 메인필라멘트와 그메인 필라멘트보다 가는 2차 필라멘트로 구성되고, 그러한 필라멘트의 구조는, 많은 용도의 부직물(不織物)의 제조에 특히 유익하다. 부직물의 문제점들중의 하나는 균일한 불투명도를 갖는 제품을 제조하는데에 있다. 이제까지의 제조방법으로는 이러한 불투명도의 균일성은 얻기가 매우 어렵다. 필라멘트의 나뭇가지형상과, 메인 필라멘트와 2차 필라멘트사이의 섬도(纖度)의 차이에 의해, 생성된 부직물이 더 균질(均質)로 될 수 있다.
부직물들의 다른 문제점은 그들에 충분한 결합력을 부여하는데에 있다. 그 문제점은 필라멘트들이 서로 빈번히 접합된다는 이유 때문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방법을 사용함에 의해, 이러한 문제를 매우 간단히 해결할 수 있다.
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일예의 장치가 제1도에 도시되어있다. 그 장치는 2개의 로울러(2)와 (2a)상에 장착된 제1금속 컨베이어벨트(1)을 가지고 있고, 그 로울러들중 하나(2a)는 고전압전원(HT)에 연결되어 있다. 제2금속 컨베이어밸브(4)가 2개의 로울러(3) 및 (3a)상에 설치되어있고, 그 로울러들중 하나는 접지(接地) 되어있다. 이들 2개의 컨베이어벨트(1)과 (4)는 서로 평행한 주행부를 가지고 있다.
홉퍼(hopper)(6)이 컨베이어벨트(1)의 상부 주행부의 일단에 분말로된 부전도성물질을 배출한다. 전원(도시안됨)에 연결된 가열장치(7)은 화살표(F)로 나타낸 벨트(1)의 주행방향으로 홉퍼(6)의 뒤에 배치되어 있다. 2개의 벨트(1)과 (4)는 적당한 구동장치(도시안됨)에 의해 구동된다.
홉퍼에서 배출된 부전도성 물질은 가열장치(7)의 아래를 통과할 때 용융되어 점성(粘性)층을 형성한다. 온도는 사용되는 부전도성물질의 기능에 따라 선택되고 그 물질의 용융점보다 상당히 높아야 한다. 이 용융물질은, 서로 반대로 배치된 2개의 벨트(1)및 (4)가 받는 전위의 차이에 기인하여 벨트들의 두부분사이에 발생되는 정전계내로 신장된다.
그 용융된 부전도성물질이 이 정전계내로 신장할 때 이 물질에 발휘된 인력에 의해 발송되는 힘은 접지벨트(4)에 의해 벨트(1)의 전위를 발생시키고 분자 그룹을 분리시켜 그 물질을 벨트(4)쪽으로 연신시킨다. 벨트(4)는 부직물(5)의 형태로 그 필라멘트들을 수집한다. 제1도에서, 부전도성물질은 필라멘트가 나뭇가지모양을 형성하도록 선택된다.
벨트(1)의 속도는 물질층이 완전히 소모되어 연속적으로 새로운 물질이 공급될 수 있게 선택되고, 벨트(4)의 속도는 요구되는 부직물(5)의 층의 두께에 따라 선택된다. 즉,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같이 벨트(1)의 속도는 부전도성물질층은 점차 감소되고, 전체물질층이 정전계에서 나온 후에는 상기 벨트상에 거의 남아있지 않도록 선택되어야 한다.
전극들사이의 간격은, 필라멘트 냉각단계의 기능은 물론 물질의 성질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같이, 필라멘트들이 국부적으로 서로 융합하도록 아직 점착성이 있을 때 그 필라멘트들을 수집하는 것이 매우 유익하다.
예로서, 서로 융합된 나뭇가지모양의 필라멘트로 구성되는 1mm 두께의 부직물은 20mm 간격을 가지고 떨어져 있는 2개의 전극에 의해 형성된다. 공급전극, 즉 벨트(1)은 제너레이터에서 100μA의 전류세기와 10KV 전압의 전류를 공급받으며, 수용전극, 즉 벨트(4)는 접지되어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예를들어 필터와같은 무접합선관(seamless tube) 형태의 물체를 제조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장치는 장방형으로 배치된 4개의 가이드 폴리(8a),(8b),(8c) 및 (8d)를 가지고 있고, 그 풀리 주위에, 양단이 적당한 후크(hook)(10)에 의해 서로 분리가능하계 연결된 와이어(9)가 설치되어있다. 구동풀리(8b)에 의해 화살표(F3)의 방향으로 구동되는 이 와이어(9)는, 저항기(12)에 의해 가열되는 부전도성물질의 탱크를 통과하고, 다음, 브러시(brush)(14)를 거쳐, 접지된 금속 격자(grid)가 형성된 관체(管體)(13)내로 통과한다. 그 관체 13은 격자의 일단에 성형되어있는 절연 링(13a)(이 예에서는 플라스틱제)를 거쳐 3개의 로울러(15a),(15b),(15c)에 의해 안내된다. 로울러(15a)는 모우터(16)에 의해 구동되어 관체(13)을 화살표(F1)으로 나타낸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홉퍼(17)은 2개의 풀리(19)와 (20)사이에 배치된 금속벨트(18)상에 분말의 부전도 성물질을 배출한다. 그 2개의 풀리들중 하나(19)는 피구동적이고, 다른풀리(20)은 풀리(8a)에도 전류를 공급하는 고전압전원(HT)에 연결되어있다. 이 금속벨트는 관체(13) 아래에서 연장되어있다. 벨트(18) 위에서 홉퍼(17)의 출구에 배치된 가열부재(21)은, 벨트가 화살표(F2)로 표시된 방형으로 전진이동할 때 그 부전도성물질을 용융시킨다.
고전압전원(HT)에 연결된 와이어와 벨트에 각각 해당하는 기질(9) 및 (18)에 의해 형성된 전극들과 관체(13)와의 사이의 전위차는 2개의 정전계, 즉 하나는 와이어(9)와 관체(13)사이의 반경방향으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관체외측에 형성되는 2개의 정전계를 형성하여 2층의 부직물이 관체(13)의 내외측면상에 각각 형성되게 한다.
변형예로서, 구멍이 없는 벽을 가진 튜브로 되어있는 관체의 내측이나 외측표면중 어느한 표면에 2층의 부직물중 하나만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 그렇게 얻어진 부직물은 2개의 반원통형 부분들로 된 튜브로된 기질로부터 분리된다.
제4도의 변형에는, 본 방법에 의해 비전도성 회전체를 둘러싸서 운송시 그 물체를 보호하기위한 보호외피를 제공하는 방식을 나타낸다.
이 예에서는 고정된 전극(23)이 고전압전원(HT)에 연결된 금속벨트(22)와 대향하여 배치되어있다. 둘러싸여질물체(24)(이 예에서는 병)는 벨트(22)에 평행한 축주위에서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된다. 부전도성물질은 미리 용융되어 벨트(22)상에 공급된다. 벨트(22)와 접지전극(23)사이에 전위차의 결과로 형성된 정전계는 필라멘트들을 형성시키고 그 필라멘트의 일부는 이 정전계내에 위치된 물체(24)에 의해 차단부착된다. 변형예로서, 접지전극(23) 대신에 전도성물체(24)자체를 접지시켜 작업을 행할 수도 있다.
제5도는 또다른 타입의 물질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낸다. 이 장치는 서로 떨어져있는 2개의 루우프(loop)를 형성하는 2개의 무단벨트(25),(26)을 가지고 있다. 2개의 고정전극(27),(28)이 각 벨트의 상부주행부 아래 배치되고 고전압전원(HT)에 연결되어있다. 금속으로된 제3의 벨트(29)는 다른 두 개의 벨트위에 평행히 연장하여 배치되고 접지되어있다.
필라멘트절단기(30)이 벨트(26)과 벨트(29)다이에 배치되어있다. 벨트(25)에는 나뭇가지 모양의 필라멘트를 형성할 수 있게하는 점도를 갖는 용융된 부전도성물질이 공급되고, 벨트(26)에는 모노필라멘트가 형성될 수 있게하는 점도를 갖는 용융된 부전도성 물질이 공급된다. 벨트(29)와 전극(27) 및 (28)사이에 형성된 정전계는 먼저 나뭇가지형상과 필라멘트를 형성하고, 그 필라멘트는 벨트(29)에 의해 수집된후 부직물을 형성한다. 이와같은 정전계에서, 벨트(26)상에 배출된 용융물질로부터는 그 물질의 높은 점도에 의해 모노필라멘트가 형성된다. 다음, 절단기(30)이 이들 필라멘트들을 절단하여 단섬유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수단으로, 벨트(25)상에 퇴적된 용융물질로부터의 부직 지지체와, 제2벨트(26)상에 퇴적된 용융물질로부터 형성된 단섬유층으로 구성된 섬유제품의 벨트가 얻어진다(제7도). 그 단섬유들은 서로 결합되어 부직포를 형성하며, 그 제품에 벨벳(velvet)과 같은 성질을 부여한다. 그 제품의 성질 및 외형은 선택된 제품의 성질 및 색상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또한, 단섬유들을 평편하게하고 펠트와 같은 외양을 갖는 제품을 형성하기위해 카렌더링(calendering)과 같은 처리를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다(제6도).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벨트(25)상에 용융 폴리에틸렌으로 된 제1부직층을 형성하고 식모(flocking)함에 의해 또는 셀루로우즈용액으로 된 상기 부직물에 셀루로오즈 섬유질을 부착함에 의해 종이를 제조할 수도 있다. 다음, 그 제조된 제품에 카렌더링을 하여, 종이를 대신할 수 있고 목재의 절약을 달성하는 잇점을 갖는 제품을 얻는다.
제8도는 본 발명의 방법을 행하기 위한 또 다른장치를 나타낸다. 그 장치는 서로 연장하여 배치된 2개의 루우프를 형성하는 2개의 벨트(31),(32)를 가지고 있다. 제1벨트(31)의 상부주행부는 고전압 전원(HT)에 연결된 고정전극(33) 위를 통과한다. 이 전극(33)은 벨트(31)의 주행부위에 배치된 제2전극(34)와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제2벨트(32)의 상부 주행부위에 절단기(35)가 배치되고, 가열장치(36)제품의 전진방향(좌에서 우로)에서 보아 전극(33),(34)의 전방에서 제1벨트(31) 위에 배치되어있다.
이 예에 사용되는 부전도성 물질은 스트립(strip)(37)형태로 공급되고, 그 스트립은 가열장치(36)아래를 통과할 때 그의 표면이 용융된다.
그 스트립이 전극(33)과 (34)사이에 형성된 정전계에 도달하자마자 이 정전계의 작용으로 필라멘트가 형성되고 전극(34)의 쪽으로 인발된다. 이 예에서, 필라멘트가 스트립(37)에 부착된체 남아있는 것이 요구될 때는 그 필라멘트가 전극(34)에 도달하기전에 그들의 연신을 중단시키는 것이 필요하며, 이 목적을 위해, 냉기류(冷氣流)와 같은 냉각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절단기(35)는 모든 필라멘트들을 동일길이로 절단한다. 그러나, 모피제품과 같은 제품을 얻기 위해서는 그 털들을 절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정전인발(electrostatic drawing)에 의해 얻어진 모노필라멘트들은 동물털과 같은 매우 긴 원추형의 털을 형성하는 중요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 의모피(imitation fur)를 제조할 수 있다.
제9도에 도시된 장치는 즉석에서 부직물 피복재를 형성하기 위한 휴대용 장치이다. 손잡이(39)가 설치된 하우징(36) 내에는, 전도성로울러(41)이 내장된 체임버(40)이 형성되어있고, 그 로울러(41)은 화살표(F)로 나타낸 방향으로 도시되지 않은 수단에 의해 구동되며 브러시(42)를 통해 고전압전원(HT)에 연결되어있다. 이 로울러(41)은 손잡이(39)의 반대측에서 하우징(38)에 형성된 개구(43)에 인접하여 설치되어있다. 체임버(40)은 홉퍼(44)의 기저부와 통하여있고 그 기저부를 통해 로울러(41)이 약간 돌출하여있다. 가열장치(45)는, 홉퍼(44)내로 장입된 부전도성물질의 입자가 상기 로울러(41)과 접촉하여 용융하고 그리하여 점성이고 소성(塑性)인 물질층을 형성하는데 충분한 온도로 로울러(41)를 가열시킨다. 그 소성의 물질층은 화살표(F)로 나타낸 방향으로의 로울러(41)의 회전에 의해 하우징(38)의 외측으로 배출된다.
그 로울러에 부(負)전압이 공급되고 물체(46)이 접지되어있기 때문에, 로울러(41)과 물체(46) 사이에 정전계가 형성되어 필라멘트들이 로울러(41)의 표면상에 형성된 용융된 물질층으로부터 인발된다. 선택된 부전도성물질의 점도에 의해 나뭇가지형상으로 형성된 이들 필라멘트들은 물체(46)의 표면상에 부직피복재를 형성한다. 그 피복재의 두께는 장치를 이동시키는 속도에 좌우된다.
평편한 지지체상에 확포된 다소 점성의 물질층으로부터 국부적으로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정전계의 집중부를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점성물질층의 표면상에 형성된 불규칙한 부분은 정전계의 집중을 야기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실시예의 목적을 정전계 집중부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며, 특히 소망하는 필라멘트의 어떤 크기에서도 그 필라멘트의 밀도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해, 제10도에 도시된, 장치는 용융된 부전도성물질의 표면상에 필라멘트 형성지점을 형성하는 간단하고 효과적인 수단을 가지고 있다. 이 장치는 컨베이어벨트(47), 입자 또는 분말상의 격전도성물질을 공급하는 홉퍼(48), 가열기(49), 벨트(47)의 양측에 배치되고 회전축이 상기 벨트의 주행방향에 가로지르는 반향인 한쌍의 로울러(50), 각각 고전압전원과 접지된 2개의 전극(51) 및 (52), 절단기(53) (이것은 임의적임)으로 구성되어있다.
그 부전도성물질은 가열기(49)에 의해 용융된 다음, 2개의 로울러(50) 사이를 통과한다. 그 로울러들 중 하나는 벨트(47)을 지지하고 다른 하나는 용융물질층의 표면에 접촉하여있다. 이들 2개의 로울러들은 화살표(W)로 나타낸 방향으로(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수단에 의해) 구동되어 용융물질과 로울러와의 사이의 접촉에 의해 다수의 요철부들을 형성한다.
벨트(47)이 화살표(F)로 나타낸 방향으로 계속 전진이동하여 전극(51)과 (52)사이에 형성된 정전계내로 들어가면 상기 각 철부에서 필라멘트가 신장하여 형성된다.
도시된 예에서, 필라멘트의 급냉에 의해 필라멘트형상의 중단없이 인조모피와 같은 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식은 그러한 제품의 제조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들어 제1도 예에 외해 얻어지는 것과 같은 부직물의 제조에도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제11도는 털모양의 제품을 나타내며, 그 제품의 털의 길이는 정전계의 강도를 변화시킴에 의해 서로 다르게될 수 있다.
제12도는 정전계의 집중부를 얻기위한 또다른 예를 나타낸다. 이 목적을위해, 이 장치는 평행한 주행부를 가진 2개의 긴 루우프를 형성하는 2개의 무단금속 벨트(56), (57)을 가지고 있다. 홉퍼(58)은 분말상의 부전도성물질을 하부 벨트(56)의 상부 주행부에 공급한다. 홉퍼(58)의 뒤에 배치된 가열기(59)는 그 부전도성물질을 용융시킨다. 그 가열기(59)의 뒤에 제2홉퍼(60)이 배치되어 있고, 그 홉퍼(60)의 목적은 소망의 필라멘트성도와 털의 밀도에 따라 정해지는 크기의 분말입자를 용융물질 층상에 확포시키기위한 것이다. 그들 분말입자들은 완전히 용융되지 않고 용융물질에 부착하여 그 용융물질층의 표면상에 돌기를 형성하며 그 돌기에서 정전계의 집중이 일어난다. 따라서, 그 분말입자들은 필라멘트발생기(initiator)로 작용한다.
또한, 그러한 필라멘트 발생기를 형성하기위해, 적당한 주파수의 진동을 용융물질에 적용시키는 것과 같은 다른 수단이 예상될 수도 있다.
필라멘트들이 축적되는 기질을 구성하는 부재의 성질은 얻어진 필라멘트상의 제품의 외양에대해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 따라서, 철망으로 형성된 기질을 사용하면, 그 기질의 근조를 나타내는 “가아제(gauze)”의 외양을 갖는 필라멘트상 제품이 얻어진다. 예를들어 실(絲), 관, 알맹이, 등을 그의 표면상에 배치하여 기질의 구조를 변경시킴에 의해 그러나 구조의 전체 또는 부분적인형상을 가진 필라멘트상제품을 얻을 수가 있다.
제13및 14도의 사진은 본 발명에따른 방법에 의해 얻어진 부직물의 각각 1,050배, 2,200배의 확대사진들이다. 제13도의 사진은 필라멘트들 사이에 형성된 융합 부(fusions)는 물론 필라멘트들의 혼합부(intermingling)를 나타낸다. 또한, 그 사진에서, 다른 필라멘트들 사이의 점도의 차이는 물론 분기부(branchings)를 명확히 볼 수 있다. 이들 후자의 특성은, 매우 가는 수개의 2차 필라멘트들을 형성하는 메인 필라멘트나 명백히 나타내어진 제14도의 사진에서 더 명확하다.
사용될 수 있는 용융상태의 부전도성물질의 범위는, 실제 모든 부직물에서와 같은 나뭇가지형상의 필라멘트를 얻는 것이 요구되는가 또는 모노 필라멘트를 얻는 것이 요구되는 가에 따라 그 물질의 점도에 의해서만 실제 제한된다. 그 물질들중에는 폴리아미이드(나일론), 폴리에틸렌, 폴리염화비닐, 아크릴수지, 폴리스틸렌, 폴리우레탄 등이 있으나, 또한, 타르(tar), 설탕, 초코렛과 같은 물질이 사용될 수도 있다.
제조된 제품의 용도는 매우 다양하고, 소모품외에 마루 및 벽의 피복재, 포장재, 카펫트, 실내장식물, 가구류, 자동차 차체의 라이닝(lining), 열절열 및 방음재, 전기절연재, 도로 기초재(진흙이 올라오는 것을 방지하는 하층(sublayer)), 의류 및 인조모피, 인조가죽, 제과류(초코렛, 설탕, 등의 필라멘트상 제품) 음식(단백질로부터 인조섬유 추출), 여과재, 문방구류(제6도의 예에 의해), 등이다.
정전계에서 필라멘트를 인발함에 의해, 인조가죽 용도에서 특히 중요한 특성인 마이크론 정도의 직경을 형성할 수 있다. 얻어진 필라멘트의 그러한 섬도는, 소정의 외관을 위해 두께가 작게 제조되는 부직물의 불투명도를 증진시키고, 다른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유사한 제품의 것과 비교하여 가격을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1)

  1. 소정의 온도에서 필라멘트로 인발될 수 있는 점도를 갖는 소성(塑性)의 부전도성물질로부터 다수의 필라멘트들을 형성하여 부직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온도에서 상기 부전도성물질의 층을 기질(基質)의 표면상에 형성하고, 그 기질의 표면에 수직인 힘의 선을 갖는 정전계의 작용을 그 기질을 덮고 있는 물질이 받게하고, 그 정전계의 작용하에 상기 부전도성물질의 분자그룹들이 상기 힘의 선을 따라 인발된 다음, 냉각되어 다수의 필라멘트들을 형성함을 특징으로하는 정전력을 이용한 부직물 제조방법.
KR740003340A 1974-08-16 1974-08-16 정전력을 이용한 부직물(不織物)제조방법 KR8000006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40003340A KR800000694B1 (ko) 1974-08-16 1974-08-16 정전력을 이용한 부직물(不織物)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40003340A KR800000694B1 (ko) 1974-08-16 1974-08-16 정전력을 이용한 부직물(不織物)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0694B1 true KR800000694B1 (ko) 1980-07-21

Family

ID=19200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40003340A KR800000694B1 (ko) 1974-08-16 1974-08-16 정전력을 이용한 부직물(不織物)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0694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99870A (en)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filaments from a thermoplastic material
US3280229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producing patterned non-woven fabrics
US233674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unwoven and composite fabrics
US2522527A (en) Spinning gun for the production of filaments and method of making nonwoven fabrics
US4592815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et filter
US5312500A (en) Non-woven fabric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the same
US3817211A (en) Apparatus for impregnating strands, webs, fabrics and the like
US3387326A (en) Apparatus for charging and spreading a web
US3565729A (en) Non-woven fabric
US4944854A (en) Electret process and products
US3705070A (en) Nonwoven fabric and process for preparing
US4623438A (en) Electret making process using corona discharge
US5871836A (en) Composite pleated fibrous structures containing split film fibers
CA204043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niformly distributed filaments from a spun filament bundle and spunbonded fabric ob tained therefrom
WO199302137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a web of thermoplastic filaments
US3781393A (en) Process for the continuous production of a random-filament fleece
GB932482A (ko)
US20200263323A1 (en) Electrospinning apparatus and electrospinning method
US4211736A (en) Process for forming and twisting fibers
US3510038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handling fibrous elements forwarded in fluid streams
IE48241B1 (en) Fibre structures of split multicomponent fibres
EP0414917B1 (en) Nonwoven fabric, production thereof, and apparatus therefor
KR800000694B1 (ko) 정전력을 이용한 부직물(不織物)제조방법
WO199901913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line splitting of plural-component fibers and formation of nonwoven fabrics
JPH06220761A (ja) 繊維の面状構成体を製造する方法と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