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0678B1 - 기화기의 쵸오크변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기화기의 쵸오크변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0678B1
KR800000678B1 KR750002811A KR750002811A KR800000678B1 KR 800000678 B1 KR800000678 B1 KR 800000678B1 KR 750002811 A KR750002811 A KR 750002811A KR 750002811 A KR750002811 A KR 750002811A KR 800000678 B1 KR800000678 B1 KR 8000006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oke
main
engine
lever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50002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쓰히고 쓰쓰이
헤이하찌 미우라
유기오 미야노
Original Assignee
가와시마 기요시
혼다기켄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와시마 기요시, 혼다기켄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가와시마 기요시
Priority to KR750002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06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0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0678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eans For Warming Up And Starting Carbure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기화기의 쵸오크변 제어장치
도면은 본 발명 장치의 실시예를 표시한 것으로서,
제1도는 제1실시예에 따른 기화기 및 내연기관의 일부 종단 측면도.
제2도는 그 기화기의 중요부 횡단 사시도.
제3도는 제2실시예에 따른 기화기의 중요부 횡단 사시도.
본 발명은 연소실을 주연소실과, 거기에 토오치노즐을 통하여 연통하고, 내부에 점화전을 비치한, 주연소실에 비하여 소용적의 부연소실로서 구성된 내연기관용으로서, 상기 주 및 부연소실에 각각 연통되는 희박 및 농후 혼합공기 생성용 주 및 부흡기로(吸氣路)를 비치한 기화기에 있어서의 쵸오크 변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내연기관의 저온 시동시에는, 연료의 흡입관 벽등에의 부착에 따른 손실을 예상하고, 상기 주흡기로내의 쵸오크변을 적당히 닫아서 주연소실로 공급되는 혼합공기를 농후하게 조절하여, 기관의 압축 행정에서 그 농후 혼합공기를 토오치 노즐을 통하여 부연소실내의 농후 혼합공기에 적당량을 가하는 것에 의하여, 주 및 부 연소실내의 혼합공기의 건기 착화성 및 분액(噴焰)착화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그렇지만 외기 온도가 영하 20℃이하의 혹한 조건하에서는 연료와 무화(霧化) 및 기화가 극도로 악화되어서 연료의 부착손실이 심하게 되기 때문에, 주흡기로의 쵸오크변 제어에 의한 것만으로서는 부 연소실에, 착화에 적합한 농후 혼합공기를 형성시키는 것은 곤란하므로, 그 결과 시동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것이다.
그래서 본 발명은, 혹한시에도 기관을 용이하게 시동시킬 수 있는 쵸오크변 제어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먼저 제1실시예를 도시한 제1도 및 제2도에서 C는 기화기로써, 희박 및 농후혼합공기 생성용의 한쌍을 이루는 주 및 부흡기로(1),(1′)을 비치하고 있고, 그 상류에 주 및 부 쵸오크변(2),(2′)을, 또 하류에는 주 및 부 교축변(3),(3′)을 각각 지지한다.
주, 부흡기로(1),(1′)의 각 벤튜리부(4),(4′) 및 각 교축변(3),(3′)주변에는 도시하지 않은 고속용 및 저속용 등의 연료 노즐이 종래와 같이 설치되고, 또 주 및 부 조임변(3),(3′)은 연동기구(5)를 사이에 두고 도시하지 않은 공통의 가속 폐달에 연결된다.
주 쵸오크변(2)을 주 흡기로(1)에 지지시키는 변축(6)의 외단에는 주 제1쵸오크 레버(71)를 고착시키고, 다시 그에 인접하여 주 제2 및 제3쵸오크 레버(72),(73)를 회전하재하게 지지한다. 주 제1쵸오크레버(71)는 선단을 다른 2개의 레버(72),(73)를 향하여 굴곡시켜서 괘지 갈고리(8)를 형성시키고 있고, 그 괘지 갈고리(8)가 다른 레버(72),(73)의 앞테두리에 접촉되도록 주 제1 및 제2쵸오크 레버(71),(72)를 비틀림 코일형 연결 용수철(9)로 접속시키고, 앞의 레버(71)와 기화기 C외벽사이에 같은 비틀림 코일형의 개변(開辨)용수철(10)을 접속시킨다.
주 제2쵸오크 레버(72)에는 조종자에 의하여 조작되는 쵸오크 조작 손잡이(11)를 와이어를 사이에 두고 접속하고, 주 제3쵸오크 레버(73)에는, 기화기 C의 적소에 장치한 부압(負壓) 작동기(12)의 다이어프램(13)을 연간(連杆)(14)을 사이에 두고 연결한다. 이 부압 작동기(12)내에서 다이어프램(13)이 구획하는 부압실(15)에는, 그 다이어프램(13)의 만곡 행정을 일정하게 제한하는 스토퍼(15a)와 그 다이어프램(13)을 항상 바깥쪽으로 힘을 가해주는 복귀 용수철(16)이 설치되고, 그리고 주 흡기로(1)의 최하류에 개구된 부압 검출공(17)이 부압도관(18)을 통하여 연통된다. 그 부압도관(18)은 그 도중에 부압의 전달을 적당히 지연시키는 오리피스(18a)를 비치하고 있다. 그리고 부압 작동기(12) 및 오리피스(18a)는, 후기하는 내연기관 E의 완폭시에, 그 흡기 부압에 응동하는 완폭검지 장치를 구성한다.
또 부 쵸오크 변(2′)의 변축(6′) 위에도, 상기 변축(6)의 경우와 같이, 괘지 갈고리(8′)를 가진 부 제1쵸오크레버(71′), 부 제2 및 제3쵸오크 레버(72′),(73′), 연결 용수철(9′) 및 개변 용수철(10′)을 설치한다. 물론, 부 제1쵸오크레버(71′)는 변축(6′)에 대하여 고정적으로 지지되며, 다른 레버(72′),(73′)는 회전 자재하게 지지된다.
부 제2쵸오크레버(72′)에는 연간(19)을 지지 연결하고, 그 연간(19)의 선단을, 주 제2쵸오크 레버(72)에, 설치한 호형장공(弧形長孔)(20)에 접동 자재하게 괘합하여 지연 연동장치를 구성한다. 이 장치는, 주 제2쵸오크레버(72)를 주 쵸오크변(2)의 폐쇄방향으로 회동시킬때, 호형장공(20)과 연간(19)와의 유동 간격만큼 부 제2쵸오크레버(72′)의 회동을 지연시키는 것이다.
또 주 및 부 제3쵸오크레버(72),(73′)사이에는 연간(21)의 양단을 지지 연결하고, 이에 의하여 부 제3쵸오크레버(73′)까지도 상기 부압 작동기(12)에 연동 연결한다.
또 도면중(22a),(22b)는 주 쵸오크 변(2)이 완전이 열렸을 때에 접촉되는 개변 스토퍼, (22a′),(22b′)는 부 쵸오크변(2′)의 상기와 같은 개변 스토퍼이다.
상기 기화기 C를 장착하는 내연기관 E는, 실린더(30) 상부에 형성되는 주 연소실(31)과, 거기에 토오치노즐(32)을 통하여 연통되는 소용적의 부연소실(31′)을 가지고, 이 연소실(31),(31′)에 개구되는 주 및 부흡기 포오트(33),(33′)에 상기 주 및 부 흡기로(1),(1′)가 각각 연통된다. 배기 포오트는 도시하지 않으나, 주 연소실(31)에 개구되어 있고, 이들 포오트에는 도시하지 않은 동변(動辨)장치에 의하여 작동되는 주 흡기변(34), 부 흡기변(34′) 및 배기변(도시하지 않음)을 장착한다. 점화전(35)은 그 전극을 부 연소실(31′)에 임하도록 한다.
다음에 이 실시예의 작동을 설명하면, 기관 E의 통상 운전상태에서는, 흡입행정에 의하여 주 및 부 흡기로(1),(1′)에서 희박 및 농후 혼합공기가 각각 생성되고, 그들은 주 및 부 흡기 포오트(33),(33′)를 지나서 주 및 부 연소실(31),(31′)에 흡입된다. 그리고 부 연소실(31′)내의 농후 혼합공기는, 압축 행정에 의하여 주 연소실(31)에서 토오치 노즐(32)을 통하여 침입되는 희박 혼합공기에 의하여 적당하게 희석되어 비로소 착화되기 쉬운 공연비(空燃比)로 된디. 이 때문에 압축행정의 마지막에 점화전(33)이 불꽃 방전을 발하게 되면 즉시로 착화 연소하고, 그 화염은 토오치노즐(32)을 통하여 주 연소실(31)로 분출하고, 거기에서 대기하는 희박 혼합공기를 연소시켜, 기관은 팽창 행정으로 옮겨지며, 이렇게 하여서 종합공연비가 이론 공연비보다도 희박한 혼합공기에 의하여 운전된다.
기관 E의 정지시, 따라서 부압 작동기(12)의 부압실(15)이 대기압으로 되어 있을때, 제2도에서, 기관분위기 온도의 저하에 따라서 쵸오크 조작 손잡이(11)률 인입위치 “가”에서 견인하면, 먼저 주 제2쵸오크 레버(72)와, 그 앞테두리에 괘지 갈고리(8)를 연결 용수철(9)로 압압하게 하는 주 제1쵸오크레버(7)가 동시에 개변용수철(10)의 비틀리는 힘에 저항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므로, 주 쵸오크 변(2)은 변축(6)을 통하여 쇄선 표시의 전개 위치에서 동일하게 회동되어, 손잡이(11)가 위치 “나“에 도달하였을때 실선표시의 (제1도에서는 점선 표시) 폐쇄 상태로 된다. 이 동안에, 주 제2쵸오크레버(72)는 장공(20)의 도중에서 이제까지 놀고 있던 연간(19)의 선단이 겨우 그 장공(20)의 앞테두리에 접한다. 따라서 연간(19)은 아직 아무런 견인이 되지 않고, 부 쵸오크변(2′)은 개변용수철(10′)의 비틀리는 힘에 의하여 쇄선표시의 전개 위치 상태를 유지한다. 또 쵸오크 조작 손잡이(11)를 위치 “나”에서 위치 “다”로 향하여 견인하면, 폐쇄상태의 주 쵸오크 변(2)과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주 제1쵸오크레버(71)는 그 이상 회동을 계속할 수가 없기 때문에, 그 레버(71)를 남기고 주 제2쵸오크레버(72)만이 다시 회동한다.
이 주 제2쵸오코레버(72)의 과회동(過回動)에 의하면, 연결 용수철(9)은 비틀려져서 비틀리는 힘을 증가하고, 그 힘은 주 제1쵸오크레버(71)를 통하여 주 쵸오크 변(2)에 폐쇄 토오크로서 작용한다. 이때 장공(20)의 전단부에 선단을 대기시켜놓은 연간(19)이 비로소 주 제2쵸오크레버에 견인되기 때문에, 연결용수철(9′)로 연결되는 부 제1 및 제2쵸오크 레버(71′),(72′)가 다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어서 부 쵸오크변(2′)이 닫혀지기 시작하고, 손잡이(11)가 위치 “다”에 도달하였을 때 전폐된다. 다음에 쵸오크 조작 손잡이(11)를 위치 “라”로 견인하면, 부 제2쵸오크 레버(72′)가 과회동을 일으켜, 연결 용수철(9′)의 비틀리는 힘의 증대에 의하여 부 쵸오크변(2′)의 폐쇄 토오크도 증대한다.
그리고 기관이 시동할때, 주 초오크변(2)만이 적당히 닫혀져 있으면(손잡이(11)의 위치 “가~나”), 주흡기로(1)에서 생성되는 혼합공기 공연비만이 상기 통상 운전시보다도 농후하게되고, 또 주 쵸오크변(2)에 폐쇄 토오크가 주어짐과 동시에 부 쵸오크변(2′)이 적당히 닫혀져 있으면(손잡이(11)의 위치 “나~다”), 주흡기로(1)의 생성혼합공기가 더욱 농후하게 됨과 동시에 부 흡기로(1′)의 생성혼합 공기도 농도를 증가시키고, 또 주, 부 쵸오크변(2),(2′)의 폐쇄 토오크를 함께 증대시키면(손잡이(11)의 위치 “다~라”), 양 흡기로(1),(1′)의 생성 혼합공기는 더 한층 농후하게 되기 때문에, 전기 점화 및 분염 점화전의 주 및 부양연소실(31),(31′)의 공연비를 기관 분위기의 폭넓은 저온역에서 착화에 적합하도록 확실하게 조절할 수가 있고, 기관 E를 항상 빠르게 시동할 수가 있다.
시동후, 기관 E의 회전이 안정된 소위 완폭상태로 될 무렵에는, 부압검출공(17)에서 검출되고, 오리피스(18a)로 계량된 기관 E의 흡기부압이 부압작동기(12)의 부압실(15)내를 충분히 감압시키기 때문에, 다이어프램(13)은 연간(14)을 견인하면서 만곡하여 주 제3쵸오크레버(73)를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고, 동시에 연간(21)을 통하여 부 제3쵸오크 레버(73′)도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때 주 및 부 쵸오크 변(2),(2′)이 다같이 폐쇄위치에 있으면, 주 및 부 제3쵸오크 레버(73),(73′)가 주 및 부 제1쵸오크 레버(71),(71′)의 괘지갈고리(8),(8′)에 괘합하여 이들 (71),(71′)을 각 연결용수철(9),(9′)의 비틀리는 힘에 항거하여 같은 방향으로 회동시키고, 이들 (7),(71′)에 연결되는 주 및 부 쵸오크 변(2),(2′)을 각각 개방시킨다. 그리고 부압 작동기(12)의 다이어프램(13)의 만곡행정은 부압실(15)상면에 돌출하는 스토퍼(15a)에 의하여 적당히 제한되기 때문에, 주 및 부 쵸오크변(2),(2′)은 소정의 중간 개도(開度), 즉 완폭개도에서 정지하며, 따라서 각 흡기로(1),(1′)의 생성 혼합공기의 공연비는 기관 E의 난기 운전에 적합하도록 희박한 것으로 보정된다.
기관 E의 난기 상태를 보아서, 쵸오크 조작 손잡이(11)로 인입 위치 “가”까지 압입시키면, 연결 용수철(9) 및 개변 용수철(10)의 비틀리는 힘에 의하여 주 제1 및 제2쵸오크 레버(71),(72)를 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서 주 쵸오크 변(2)을 전개되도록 하고, 또 같은 방법으로 부 쵸오크변(2′)도 동시에 전개로 할 수가 있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제1 및 제2도의 수동 조작되는 쵸오크 조작 손잡이(11)대신에, 주 및 부 제2쵸오크 레버(72),(72′)를 기관 분위기 온도에 응동되는 바이메탈에 의하여 자동 조작되도록 한 것이다.
제1도 및 제2도의 실시예와 대응되는 같은 부재에 동일 부호를 붙여서 이것을 상술하면, 기화기 C바깥쪽에는 변축(6)에 관통되는 원형제어함(40)을 고정 설치하고, 그 함 내부에 가열되면 수축 동작을 하는 스파이럴형 바이메탈(41)을 수납함과 동시에, 그 내단을 기단(基端)(41a)로 하여서 제어함(40)에 고정시키고, 그 굴곡 유단(遊端)(41b)에는, 기단이 부 제2쵸오크 레버(72′)에 연결된 연간(19)의 선단을 대향시키고 또 그 바이메탈(41a)의 중간부의 괘지 돌출부(41c)의 한쪽에 주 제2쵸오크 레버(72)의 선단을 괘합시킨다. 그와의 구성은 전 실시예와 같다. 그리고 바이메탈(41)의 굴곡 유단(41b)는, 바이메탈(41)이 소정의 확장 상태로 되었을때 비로소 연간(19)에 압압 괘합하는 지연 연동장치를 구성한다.
이와같은 구성이기 때문에, 바이메탈(41)이 기관 분위기 온도의 저하에 따라 확정되면, 굴곡 유단(41b)및 괘지 돌출부(41c)는 변축(6) 둘레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먼저 괘지 돌출부(41c)가 주 제2쵸오크 레버(72)를 같은 방향으로 회동시키고, 연결 용수철(9) 및 주 제1쵸오크 레버(71)를 통하여 주 쵸오크 변(2)을 폐쇄시켜 간다. 그리고 주 쵸오크변(2)이 실선 표시의 폐쇄위치에 도달한 후, 기관 분위기온도가 계속 저하되면 (혹한시), 바이메탈(41)의 확장이 더욱 진행되어, 주 제2쵸오크 레버(72)가 괘지돌출부(41c)에서 과회동이되면, 연결 용수철(9)의 비틀리는 힘이 증가되어서 주 쵸오크변(2)에 폐쇄 토오크가 미치게 된다. 이 단계에서 굴곡 유단(41b)이 연간(19)의 선단에 비로소 괘합하여 그것을 압동시키기 때문에, 부 제2쵸오크 레버(72′)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어 부 쵸오크변(2′)을 폐쇄하고, 나아가서는 과회동되어 부 쵸오크 변(2′)의 폐쇄토오크를 증가시킨다. 그 후 기관이 시동되어 완폭 상태로 되면, 전 실시예와 같이, 부압 작동기(12)가 작동하면 주 및 부 양 쵸오크 변(2),(2′)을 동시에 완폭개도로 개방시킨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기화기의 주 및 부 쵸오크 변을 지연 연동장치에 의하여 연결시켜서 주쵸오크변에서 부 쵸오크변의 순서로 이들을 점차로 폐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므로, 혼합공기의 종합공연비의 농후 보정 범위가 넓어짐과 동시에 그것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가 있고, 그 결과, 상온에서 혹한 상태에 걸치는 넓은 온도범위에서 기관을 용이하게 시동시킬 수가 있다. 그리고 또 기관의 완폭시에는 완폭검지 장치에 의하여 주 및 부 양 쵸오크변을 동시에 소정의 완폭 개도로 개방할 수 있게 한 것이므로, 부연소실에서 잘못된 점화를 초래함이 없이 혼합공기의 종합 공연비를 가급적으로 희박하게 보정할 수 있고 청정한 기관의 난기 운전 상태를 얻을 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연소실을 주연소실과, 토오치 노즐을 통하여 연통하고, 내부에 점화전을 구비한, 상기 주연소실에 비하여 소용적의 부연소실로서 구비된 내연기관용으로서, 주 및 부 연소실에 각각 연통하는 희박 및 농후 혼합공기 생성용의 주 및 부 흡기로를 비치한 기화기에 있어서, 상기 주 및 부 흡기로의 상류에 주 및 부 쵸오크 변을 각각 개폐 자재하게 지지하고, 그 양 쵸오크변을, 주 쵸오크의 소정 개도의 폐쇄후에 부 쵸오크변의 폐쇄를 개시할 수 있는 지연 연동 장치에 의하여 연결하고, 또한 그 양 쵸오크변에, 그들을 페쇄위치에서 기관의 완폭 상태에 응동하여 완폭 개도로 개방할 수 있는 완폭 검지 장치를 연결하여서 되는 기화기 쵸오크변 제어장치.
KR750002811A 1975-12-22 1975-12-22 기화기의 쵸오크변 제어장치 KR8000006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50002811A KR800000678B1 (ko) 1975-12-22 1975-12-22 기화기의 쵸오크변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50002811A KR800000678B1 (ko) 1975-12-22 1975-12-22 기화기의 쵸오크변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0678B1 true KR800000678B1 (ko) 1980-07-14

Family

ID=19201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50002811A KR800000678B1 (ko) 1975-12-22 1975-12-22 기화기의 쵸오크변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0678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60062A (en) Carburetor choke valve control system apparatus
US3967600A (en) Carburetor choke control device
US4018856A (en) Fuel increase system for engine
US4348338A (en) Injection-type pressure-freed carburetor
US3498274A (en) Fuel injecto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4026280A (en) Choke control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800000678B1 (ko) 기화기의 쵸오크변 제어장치
JPS5840015B2 (ja) キカキノ チヨ−クベンセイギヨホウホウ オヨビ ソノソウチ
JPH0256508B2 (ko)
US6135428A (en) Diaphragm carburetor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a manual starter
US3294374A (en) Carburetor
EP0262491A3 (en) Choke valve mechanism for carburetor
JPH0217701B2 (ko)
US2346016A (en) Carburetor
JP2003239807A (ja) 層状掃気内燃機関用蝶型絞り弁式気化器
KR800001229B1 (ko) 기화기의 쵸오크변 제어장치
US3328008A (en) Carburetor
KR800000679B1 (ko) 기화기의 연료 증량장치
JPS5941014B2 (ja) エンジンの吸気装置
JPS5843631Y2 (ja) エンジンの温間始動促進装置
US2092297A (en) Carburetor and control means therefor
JPS641480Y2 (ko)
US4099492A (en) Mixture correction system during rapid acceleration in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auxiliary combustion chamber
US1625313A (en) Combustion apparatus
JPH0744750Y2 (ja) 気化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