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0656B1 - 디스크 레코드의 홈 스키퍼(Skipper)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크 레코드의 홈 스키퍼(Skipper)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0656B1
KR800000656B1 KR7501827A KR750001827A KR800000656B1 KR 800000656 B1 KR800000656 B1 KR 800000656B1 KR 7501827 A KR7501827 A KR 7501827A KR 750001827 A KR750001827 A KR 750001827A KR 800000656 B1 KR800000656 B1 KR 8000006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needle
pick
disc record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501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알렌 리돈 마빈
클리포드 블리져 죤
넬슨 쿠룩 호라티오
Original Assignee
죤 부이 리간
알 씨 에이 코포레이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죤 부이 리간, 알 씨 에이 코포레이숀 filed Critical 죤 부이 리간
Priority to KR7501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06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0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06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00Recording by mechanical cutting, deforming or pressing, e.g. of grooves or pits; Reproducing by mechanical sensing;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3/02Arrangements of heads
    • G11B3/04Multiple, convertible, or alternative transduc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1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disks or dru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ving Of Hea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디스크 레코드의 홈 스키퍼(Skipper)장치
제1도는 디스크 레코드 홈스키퍼장치와 상호 작동하는 비데오 디스크 레코드장치의 부분도
제2도는 제1도 장치의 확대된 평면도
제3a,3b도는 제각기 홈스키퍼장치의 바늘과 지지부재의 정면도 및 측면도
제4도는 비데오 디스크 부분과 관련하여 제3도 장치를 확대한 평면도
제5도는 제1내지 4도의 장치에 사용된 2중형태의 압전소자의 사시도
제6도는 제1내지 4도의 장치를 동작시키는데 유용한 비데오 디스크 플레이어 및 회로의 계통도
제7a내지 7d도는 제1내지 6도의 홈스키퍼장치를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타이밍 신호와 톱니파신호를 도시한 도면들
본 발명은 비데오 디스크 레코드(video disc record)의 재생에 활용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스크 레코드상에서 신호가 부호화된 나선홈의 한 회선에서 다른 회선으로 신호 취출바늘을 재위치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비데오 디스크 장치에서, 비데오 정보는 디스크 레코드 표면의 나선홈 바닥의 기하학적 변화에 의하여 기록되어 진다. 이러한 디스크 레코드 표면은 유전물질의 얇은 증착으로 덮힌 도전성 물질의 피복을 갖는다. 픽업암(pick up arm)의 한쪽단에서 지지되는 신호 픽업바늘은 나선홈과 속박되며, 그리고 디스크 레코드의 유전성 증착과 도전성 피복으로 용량을 형성하는 도전성 전극을 포함한다. 디스크 레코드가 회전되는 경우, 전극과 디스크 사이의 용량은 나선홈 바닥의 기하학적 변화에 대응하여 변화한다. 이러한 용량변화는 취출전극에 연결된 적당한 신호 처리회로에 의하여 전기적 신호변화로 변환된다. 이러한 신호처리시 회로의 출력신호는 재생되기 위하여 종래의 TV 수상기에 인가되어진다. 상술된 형태의 시스템은 1974. 10. 15자로 제이 케이 클레먼스(J.K. Clemens)씨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3,842,194호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상술된 형태의 비데오 디스크장치는 인치당 4내지 8천홈 회선의 밀도를 갖는 디스크 레코드를 사용한다. 이러한 형태의 통상적인 비데오 디스크는 3.5미크론(micron)정도 간격의 홈회선을 갖는다. 홈이 디스크 중심구멍에 대해 편심적인 경우, 즉 디스크의 중심구멍이 정밀하게 레코드 중심에 있지 않는 경우라고 할지라도 좁은 나선홈을 따라 갈수 있는 픽업바늘과 연관되는 암(arm)을 제공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스럽다. 그러므로 이 신호 픽업바늘과 연관 지지암은 나선홈의 위치에서 어떠한 측면이동을 따를 수 있도록 하기위하여 비교적 가벼운 질량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그러나 디스크 레코드의 비교적 좁은 홈들의 약한 벽들은 디스크 레코드의 전표면에 가로질러 픽업암 조립체의 무게를 신뢰성있게 당길 수가 없다. 또한 가변용량개념을 이용한 비데오 디스크장치에서 미리 기록된 신호들을 정확히 재생하기 위하여, 신호 픽업전극이 나선홈에서 일정한 모양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지지구조는 픽업암의 길이 축이 실질적으로 나선홈의 접선에 연속적으로 유지되도록 나선홈에 속박된 신호 픽업끝의 래디얼(Radial)이동에 관하여 적당한 픽업암의 지지종단을 가로지르기 위한 방사방향 이송구동 장치를 포함한다. 참고로서 지시된 래디얼 동작을 제공하기 위한 적절한 반사방향 이송구동 장치가 제목이 “비데오 디스크 재생장치”인 에프.알.스타브(F.R. Starve)씨에게 1975년 3월 11일자로 허여된 미국특허 제3,870,835호에 도시되어 있다.
상술된 형태의 비데오 디스크 장치에서 디스크 레코드와 신호 픽업사이의 상대적 운동은 기록된 신호의 재생 및 고충실도를 얻기 위하여 허용한도(즉, 450rpm, ±0.01퍼센트)내에서 소정속도를 유지하여야만 한다는 것을 인식하여야 한다. 소정속도 및 특정허용한계는 수평 및 수직 동기화 정보가 안정하며, TV 수상기의 편향회로의 폐쇄범위내에 있다는 것을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더우기 기록된 정보가 변조된 반송파 신호로서 기록된 색도정보를 갖는 칼라 TV신호일 때, 재생된 신호는 칼라 위상의 곡을 감소하기 위하여 재생장치의 칼라처리 회로의 폐쇄 범위내에서 안정되어야만 한다.
이러한 디스크 레코드/신호 취출 상대속도는 선정된 속도로부터 순간 상대속도의 이탈을 막는 방법으로 픽업암의 길이축에 따라서 주기적 병진이동을 하는 픽업암 지지부재를 제공함으로 특정 허용한도내에서 그리고 소정속도에서 유지되어진다. 설명하자면 병진운동을 지지부재에 전하는 장치는 제목이 “속도조정장치”이고 1973년 1월 16일자로 알.씨.파머(R.C. Palmer)에게 허용된 미국특허 제3,711,641호에서 설명되었다.
또한 상술된 형태의 비데오 디스크 장치용으로 적당한 픽업장치에 있어서, 픽업암이 도전성 재질이며 그리고 도전성 덮개내에 동봉되므로 도전성 픽업암과 둘러싸인 도전성 덮개는 전기적 전송라인의 내부 및 외부 도전체로서 작동될 수 있다. 이러한 전송라인은 공기유전 콘덴서와 전압가변 콘덴서(동조목적용)를 포함하는 용량의 직렬조합에 의하여, 픽업암 지지종단에서 부하된 캐패시터 종단이다. 또한 이러한 전송라인은 신호픽업 전극/디스크 레코드의 도전성 피복가변용량을 포함하는 용량의 조합에 의하여 신호픽업 종단부에서 부하되는 캐패시터 종단이다. 이러한 전송라인 및 관련된 용량들은 신호픽업 디스크 도전성 피복용량 가변으로서 변화하는 공진주파수를 갖는 동조회로를 형성한다. 이러한 동조회로는 ISM-할당주파수 대역내의 주파수(예 : 915MHz)에서 작동하는 신호 처리회로의 고정주파수 발진기로부터 UHF발진을 여기시킨다. 동조회로의 공진주파수를 변화시킴으로, 결과적인 UHF발진 진폭변화는 신호 처리회로 검출기에 의해 검출되어 미리 기록된 정보를 재생한다. 참고로서 1975년 3월 18일자로서 제목이 “비데오 디스크 플레이어용 픽업장치”이고 디.제이. 칼슨씨 이외 다수(D.J. Carlson)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3,872,240호에 적당한 전송라인 공진회로장치와 여기에 연관된 신호처리회로가 설명되어 있다.
또한 상술된 형태의 비데오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픽업암과 신호취출은 조정하기 편리한 그리고 대치할 수 있는 유니트로서 다를 수도 있으므로 신호취출 마모에 기인하여 교체가 필요할때, 디스크 레코드 플레이어 사용자는 기계적 숙련이나 손재주가 필요하지 않고 픽업암/신호픽업 유니트를 쉽게 취출하고 다시 갈아낄 수 있다. 상술된 형태의 교체가능한 유니트 장치는 다음 몇가지 이유로서 바람직하다. 첫째 픽업암/신호픽업 유니트의 대치가 신호 픽업전극과 도전성 픽업암 사이에 전선의 제거 및 연결을 요하지 않는다. 둘째, 플레이 위치에서 신호픽업에 대한 적정한 모양을 쉽게 성취할 수 있으며 고체동안에 사용자의 기술이나 지식에 의존하지 않는다. 세째 약한 소형의 신호픽업(예로서 신호픽업의 폭 2마이크론, 깊이 5마이크론, 전극깊이 0.2미크론)의 대치가 실제적으로 이루워진다.
높은 홈밀도(예 : 인치당 4천내지 8천홈)를 갖는 디스크 레코드는 나선홈의 너무 이른 종단을 야기하는 우발적인 결점이 생긴다(주로 “폐쇄된 홈”으로서 언급되는). 이러한 조기종단은 디스크 레코드의 재생동안, 특정홈 회선의 바람직하지 않는 반복을 결과로 한다. 그러므로, 비데오 디스크 플레이어에서 폐쇄된 홈으로부터 신호픽업을 옮기기에 적당한 장치를 상호 작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데오 디스크 레코드 장치의 어떤 특별한 사용에서, 영상의 정지작동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즉, 이것은 TV모니터에 같은 영상의 출력신호를 반복적으로 제공하는 것이는 그러한 영상 정지동작은 시청자가 비교적 오랜 시간동안 특정영상을 관찰하는데 바람직하다. 또한, 교재형 재료의 프레임(frame)들을 축적하기에 바람직한 데이타 축적장치에서, 특정영상을 오래 지속시키는 것은 특히 중요하다.
비데오 디스크 플레이어와 상호 작동하기 위한 또 다른 특성은 재현영상의 급속한 전진동작과 역진동작을 제공하는 능력이다. 급속한 전진동작기능은 특히 비데오 디스크 레코드상에 기록된 정보를 빨리 주사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역진동작 기능은 데이타 복귀에 유용하며, 특히 디스크상에 기록된 연속지시영상을 다시 보기 위하여 교습용으로서 유용하다.
본 발명의 원리에 의하면, 신호픽업 바늘을 나선홈이 있는 디스크 레코드상의 하나의 나선으로부터 다른 나선으로 재위치시키기 위한 장치는 나선홈에 연관된 바늘을 지지하기 위하여 바늘에 연결된 장치를 포함한다. 위치장치는 지지장치에 관하여 바늘에 측면이동을 응답적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지지장치와 바늘사이에 삽입 위치된다. 제어장치는 위치장치에 연결되어 그리고 이러한 위치장치의 측면 이동방향과 크기를 제어하도록 신호를 제공한다.
이하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다. 제1도와 제2도에서는 턴 테이블 설치한 10을 갖는 비데오 디스크 플레이어를 도시하였다. 이 플레이어는 미국특허 제3,842,194호에 공개된 것 같은 비데오 디스크장치에 활용하기가 적당하다. 턴테이블 11은 턴테이블 설치판 10위에서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턴테이블 10의 상부표면은 비데오 디스크 레코드 12를 지지한다. 비데오 정보는 디스크 레코드 12의 기판 14위의 유연한 나선홈 13의 바닥에서 기하학적 변화에 의하여 녹화되어 진다. 이 디스크 레코드 12의 표면은 유전물질의 얇은 도포 16을 완전히 덮는 도전성 피복 15를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도면을 간략화하기 위하여 디스크 레코드 12의 한쪽에만 기록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물론 양면에 기록되어져 있다. 도전성 픽업암 18에 의하여 지지된 신호 픽업바늘 17은 나선홈 13에 접하게되며, 또한 도전성 피복 15와 유전성 피복 16과 함께 바늘은 용량을 형성하는 도전성 전극(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신호 픽업바늘 17과 디스크 레코드 12사이의 상대적 운동이 성립될 경우에, 신호 픽업에 포함된 전극의 한쪽단은 유연한 나선홈의 바닥에서 기하학적 변화에 기인하여 변화하는 콘덴서의 전극으로서 사용된다. 픽업암 18의 다른쪽단은 픽업암 지지체 21에 의해 이동되는 지지부재 20으로서 지지되어 있다.
픽업암 지지체 21은 방사방향이송 구동장치 23과 병진운동 전달장치 22를 포함한다. 방사방향이송 구동장치 23은 바늘홈 13에 접촉하는 바늘 17끝의 방사방향이동과 적절한 시간관계로 픽업암 지지부재 20을 횡단하여 바늘홈과 실질적으로 거의 무관한 픽업암의 길이축을 계속하여 유지한다. 방사방향이동을 제공하기위한 적절한 이송 구동 장치의 설명이 전술한 미국특허 제3,870,835호에 되어있다.
상기 언급한 바와같이, 암 신장기로서 알려진 병진운동 전달장치는 소정속도로부터 순시 상대속도의 이탈을 막는 방법으로, 지지부재 20을 통하여 길이축에 따라 순환 병진운동을 픽업암에 전하므로서, 픽업바늘 17의 위치를 디스크 레코드 나선홈 13에 따라 변화시킨다. 설명하자면, 병진운동 전달수단은 상기 언급한 팔머형(Palmer type)(미국특허 제3,411,641호)이다.
상자형 도전성 덮개 24는 도전성 픽업암 18을 둘러싸기 위해 지지체 21에 설치되어 있다. 재생하는동안 픽업암 18은 하우징의 바닥벽 26의 개구 25를 통과하여 신호 픽업바늘 17이 나선홈 13위에 타도록 되어있다. 축상으로 설치된 블라켓 27은 픽업지지암 18의 단부를 들어올려, 플레이어가 동작하지 않을때 신호 픽업바늘 17이 나선홈에 접촉되지 않게한다.
설명하자면 교체가능한 픽업암 유니트는 유연한 결합부재 31에 의하여 픽업암 18단부에로 피보트되는 신호 픽업홀도 32를 포함한다. 유연한 부재 31은 픽업암 18의 주기적 병진운동을 신호 픽업홀더 32에 전달하며, 한편 나선홈에서 신호 픽업바늘 17의 정확한 수직 및 수평운동을 공급한다. 신호 픽업바늘 17에 인접하여 위치한 유연한 부재 31은 신호픽업이 정확한 운동을 하도록, 픽업암 유니트 질량을 감소시키므로서 픽업암의 유연성이 증가된다.
결합기 28은 유연한 픽업암 지지부재 29에 의하여, 신호픽업 17로부터 떨어진 픽업 지지암 18의 단부에 고착된다. 이 결합기 28은 지지부재 20에 풀어질 수 있게끔 결합되어 있다. 또한 유연한 픽업암 지지부재 29는 결합기 28의 주기적인 병진운동을 픽업암 18에 정확하게 전달하며 결합기를(지지부재 20에 속박되는) 픽업암의 정확한 이동으로부터 분리한다. 그 참고로서 결합기 28과 지지부재 20 사이의 느슨한 결합은 “분리 가능한 픽업암 마그네틱 결합”으로 명명된 1974년 11월 12일자로 비.케이. 케일러(B.K. Kaylor)등이 출원한 미국출원번호 522,822에 되어 있다.
픽업암 지지부재 29로부터 먼쪽의 도전성 픽업암의 단부는 어떤 적당한 장치에 의하여 신호 픽업전극에 연결되어 있다. 도면에서 리이드(lead)의 제각기 단부들은 도전성 지지픽업암 18의 먼쪽 단부와 신호 픽업바늘 17의 전극에 납땜되어 있다. 도전성 제1단부와 둘러싸인 도전성 덮개는 전송라인의 내부와 외부도체로서 제각기 사용된다. 기 전송 라인은 양단부에서 부하된 용량종단이다. 즉 양단부란 첫째 신호 픽업 전극과 디스크 레코드 전도성 피복 15사이에 성립되는 가변용량과, 도전성 덮개 24의 바닥과 덮개에 의하여 덮혀진 디스크 레코드 도전성 피복사이에 나타나는 더 큰 용량을 포함하는 직렬결합에 응하는 가변용량에 의한 신호 픽업바늘 17의 단부와, 둘째, 공기 유전콘덴서 30과 전압 가변콘덴서(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는 직렬결합에 의한 픽업암 지지부재 20의 단부를 지칭한다.
공기 유전콘덴서 30은 가동 캐패시터판 33을 포함하는데, 이것은 절연막대 36에 의하여 도전성 덮개의 바닥표면 26에 고정적으로 설치된 한쌍의 고정 콘덴서판들 34와 35사이의 공기공극에 놓여지며, 픽업지지암 18에 달려있다.
전송라인과 이에 관련된 용량은 신호 픽업전극/디스크 레코드 도전성 피복용량이 변화하는 바와같이 변화하는 공진주파수를 갖는 동조회로를 구성한다. 이러한 동조회로는 ISM할당 대역내의 주파수(예 : 915MHz)에서 작동하는 덮개 37내에 동봉된 신호처리회로 19의 고정된 주파수 발진기(도시되지 않음)로부터 UHF발진을 여기시킨다. 동조회로의 공진주파수가 변화할때에, 결과적인 진폭변화는 신호처리회로 19의 검출기에 의하여 검출되어져서 녹화된 정보가 재생되어 진다. 참고로서, 적절한 전송라인 회로배열과 관련된 신호 처리회로가 전술한 미국특허 제3,872,240호에 도시되어 있음을 주지하라.
2중 형태의 소자 38은 지지부재 20에 고정지지된 제1단과, 지지체 21의 병진운동 전달장치 22에 고정지지된 제2단을 갖는다. 2중 형태의 소자 38은 적절한 변환기 즉 자기(磁氣)식, 전자(電磁)식, 압전식등의 변환기를 포함한다. 예시로서 2중 형태의 소자 38은 압전구조를 포함한다. 제2도에 더 명확히 도시된 바와같이, (예를들면 제7b내지 7d도에 도시한 형의)제어신호에 응답하는 2중 형태의 소자 38은 신호픽업 17의 방사방향의 변위를 일으키도록, 2중 형태소자의 제1단 종단(제2종단에 관련하여)에 고착된 지지부재 20을 편이시킨다. 특정 질량, 강도 및 댐핑 특성들을 갖는 픽업암 유니트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전술된 형태의 디스크 레코드 홈스키퍼장치의 한가지 적용에 있어서, 픽업암 18은 2중 형태소자 38이 펄스되는 경우, 그 질량중심 주위에서 회전되어지도록됨이 발견되었다. 다시 말하자면, 픽업암 18의 지지단부와 신호 픽업 바늘단부는 반대방향으로 움직인다. 이러한 작동은 제2도에서 도시되어 있다. 홈스키퍼의 특정 방향에 대한 극성을 갖는 제어펄스는 픽업암 매개 변수들을 고려하여 선정되어져야 한다.
장치 39는 2중 형태소자 38을 선택적으로 구동화시키기 위해, (예를들어 제7b 내지 7d도에 도시된 형태의)제어신호를 발생하도록 제공된다. 지지체 21에 장착된 장치 40과 41은 첫째, 재생하는동안 픽업암 18의 정확한 동작과 둘째 신호픽업의 마모로 대치가 필요할 때, 픽업암 유니트의 대치를 할 수 있는 방법으로 2중 형태소자 38에 제어신호 발생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사용된다. 적당한 장치는 제어신호를 2중 형태소자에 갖도록 결합시키기 위해 사용되어질 수 있다. 예를들자면, 한쌍의 도전성 와이어들 40 및 41의 단부들은 각각 제어신호 발생장치 39의 단자들 63과 64와 압전구조 38에 제각기 측단에 부착된 금속전극을 42와 43에 제각기 고착적으로 접속된다.
제3a도와 제3b도에 있어서, 픽업바늘 17은 보지장착부재 32에 부착되어 진다. 바늘 17은 사파이어와 같은 절연금속에 부착된 금속전극 65를 포함한다. 제3도에 있어서, 보지부재 32는 바늘 17을 수용하는데 적당한 노치캇트(notch cut)로 된 단부를 갖는 프라스틱 사각구조로 되어있다. 에폭시 시멘트 또는 다른 적당한 접착재료는 바늘 17을 보지부재 32에 접착시키는데 사용된다. 유연한 결합부재 31의 종단부는 바늘 보지부재 32의 종단부에 부착된다. 부재 31은 고무 또는 다른 적절한 유연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압전 2중 형태소자 38은 결합부재 31의 다른쪽 종단부에 부착된다. 도선들 40과 41은 2중 구조소자 38의 양편의 금속층에 고정되어 이 소자에 전기적 제어신호를 제공한다. 에폭시 접착재료는 결합부재 31의 제각기 종단에서 바늘 지지부재 32와 2중 형태소자 38을 제각기 고착하도록 사용되어진다. 이 픽업지지암 18은 2중 구조소자 38의 반대종단과 피보트부재 29에 부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픽업지지암 18은 얇은 벽으로 된 알미늄관과 같은 비교적 가벼운 재료로 구성된다. 지지암 18의 질량에 비교하여 2중 구조소자 38과 바늘픽업 17의 단부사이의 비교적 작은 질량의 구조는 소자 38이 급히 굽어지는 경우에 바늘 17의 이동을 확실하게 한다.
제5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압전구조 38은 금속층과 압전 재질층의 교번 배열로서 구성된다. 이 압전구조 38은 제1금속층 42, 압전층 44, 제2금속층 45, 제2압전층 46 및 마지막 금속층 43의 순서로 되어 있다. 제5도에 도시된 구성에서 압전재질 44와 46을 배열시킴으로 2중 구조소자 38이 구성된다. 2중 구조(또는 밴딩형)소자 38은 압전층 44와 46의 적당한 극성화에 의하여 제5도에 도시한 구조로부터 만들어진다. 이러한 층들 44와 46은 금속층 45에 공통 전기적 귀환연결을 갖으며 금속층들 42 및 43에 동일극성의 전기전위를 우선 인가하므로서 분극되어진다. 이후에 압전 및 금속층에서의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2중 구조를 만드는데 요구되는 특징온도는 압전재료의 큐리(curie)온도이다. 압전층이 적재하게 식어지면, 압전층은 분극되어지고 금속층들 42, 45 및 43에 인가된 전위는 제기되어진다. 이 결과적인 분극은, 층 44가 외부금속층들 42 및 43에 관하여 층 46과 반대극성을 갖도록 한다. 그러므로 금속층들 42 및 43에 걸쳐 적당한 전위를 인가함으로서, 압전층의 하나는 수축될 것이고, 다른 하나는 팽창되어 인가된 전위의 극성에 의해 지지하는 방향으로 굽어진다. 금속층들 42와 43의 양단이 주어진 극성의 특정전위를 인가함으로서, 2중 구조소자 38의 굽힘운동은 제2도와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수행될 것이다.
2중 구조소자 38의 굽힘운동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제6도에 도시한 장치가 사용된다. 제6도에서는 비데오 디스크 레코드 48을 회전시키는 턴테이블을 포함한 비데오 디스크 플레이어 47이 도시되었다. 앞덮개 49는 제1도와 제2도에 도시된 픽업암 유니트를 둘러싸고 그리고 슬로트 50을 따라 미끄러짐에 의하여 비데오 디스크 레코드 48위에 위치되도록 장치되었다. 디스크 레코드 48의 도전성 피복과 신호픽업 17의 전극사이의 용량변화는 해독이 되며, 복합 비데오 신호가 발생되는 신호발생회로 51에 인가된다. 신호발생회로 51에 의하여 발생된 신호는 비데오 처리회로 52와 동기 분리기 53에 결합된다. 비데오 처리회로 52는 비데오신호의 명도와 색도성분을 TV수상기 54에 의해 해독되기에 적당한 형태(즉 NTSC형태)로 재배열한다. 처리회로 52에 의하여 재배열된 비데오 신호는 수상기 54에 결합되어 연관영상 표지장치상에서 표시된다. 동기 분리기 53에 의하여 제공된 동기신호는 동기 계수기 55에 결합된다. 제어유니트 56으로부터의 신호에 응답하는 동기 계수기 55는 인가된 수직동기신호 주파수의 선정된 전체수 분할에서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출력신호를 제공한다. 톱니파 발생기 57은 동기 계수기 55와 제어회로 56으로부터의 신호를 받아들이며 이에 응답하여 톱니파 제어신호를 제공한다. 이들 톱니파 제어신호는 도선들 40 및 41(제1도와 제3도)을 통하여 2중 구조소자 38에 결합되며 그리고 2중 구조소자의 굽힘운동을 제어하도록 작동된다.
전술된 회로의 작동에 있어서, 재현된 영상은 효과적으로 정지동작, 급동작, 역동작을 하도록 되어있다. 비데오 디스크 레코드로부터 정지동작을 제공하기 위하여, 이전의 텔레비젼 프레임에 대하여 재생된 정보를 반복하여 플레이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의사 정지동작은 몇개의 후레임을 반복 연주함으로서 행할 수 있다. 비데오 디스크 기록의 한가지 특정형태에 있어서, 4개의 TV프레임들은 비데오 디스크 프레임의 제각기 회선내에 녹화되어 진다. 이 비데오 디스크 레코딩 형태가 산출하는 영상의 효과적인 정지동작을 제공하기 위하여, 신호픽업 17은 제각기 디스크 레코드 회전의 완성후에, 디스크의 인접 회선내에 반복적으로 복구되어 진다. 다시 말하면 비데오 정보의 4개의 후레임은 신호 픽업바늘 17에 의해 레코드 각 회전의 같은 위치에서 인접 외부회선에로 뛰어넘도록 계속하여 반복되어 진다.
비데오 디스크 레코드의 급 연주(fast forward play)는 회선의 특정위치에서 인접 내부회선으로 디스크 레코드의 중심을 향하여 뛰어넘도록 하면된다. 예를들면 신호픽업 17은 비데오 디스크 레코드의 제각기 반회전마다 근접 내부홈 회선으로 건너뛰게 된다. 레코드 연주의 제각기 반회전마다 홈회선을 변화시킴으로 단지교번의 한쌍의 프레임만이 연주되어질 것이다. 레코드 프레임의 하나를 연주하고 다른 것들을 뛰어넘으므로서 산출되는 결과적인 영상은 속도 증진으로 나타난다.
동일하게, 재현된 영상의 역동작은 신호파형 17을 디스크 레코드의 외부를 향하여 홈회선의 이동, 예를 들어 비데오 디스크 레코드의 각반회전마다 이동시킴으로 실시되어질 수 있다. 실제로 이것은 각 회선에서 녹음된 4개의 프레임중 2개만을 연주하는 동안, 신호픽업 17을 디스크 레코드의 외부를 향하여 서서히 이동하게 한다. 다시말하면 비데오 디스크 플레이어 47은 순방향에서 두 프레임을 연주하고 다시 4개의 프레임을 역으로 뛰어넘어서 다시 순방향으로 두 후레임을 연주하고 디스크 레코드의 시작점을 향하여 진행한다.
먼저, 재현된 영상의 정지동작을 실시하기 위하여, 제어유니트 56의 정지버튼 58을 누른다. 정지버튼 58은 동기 계수기 55의 8부분의 분배를 압박하여 톱니파발생기 57에 의하여 제공되는 출력신호의 극성을 셋트한다. 이 동기 계수기 55는 제각기 텔레비죤 피일드의 수직소거 구간동안 동기 분리기 53으로부터 수직 동기펄스를 받아들인다. 4개의 텔레비죤 프레임에 대응하는 비데오 디스크 레코드의 나선당 8개의 텔레비죤 피일드가 제공된다. 수직 동기펄스에 대응하는 수직 타이밍 신호는 제7a도에서 도시되었다. 8개의 수직 동기신호가 동기 계수기 55내로 통과되는 경우에, 출력신호가 발생하여 톱니파 발생기 57에 인가된다. 톱니파발생기 57은 동기 계수기 55에 의하여 제공된 입력신호의 초기에 대응하는 비교적 날카로운 상승시간을 갖는 톱니파 제어신호(제7b도)를 발생한다.(제7도의 그래프에 도시한) 전압에 있어서 비교적 날카로운 상승은 지지구조(21)에 의해 지지된 2중 형태소자 38을 급히 이동시키고, (제2도의 픽업암 위치 61로 도시된 바와같이)비데오 디스크 레코드의 외부방향 인접홈회선으로 픽업바늘 17을 이동시킨다. 그후에 인가된 톱니파 제어신호의 진폭은 새로운 회선위치(제2,4도)를 향하여 픽업암 18을 점차로 이동시키면서, 영의 치로 감소된다. 제각기 한 회전마다 톱니파형 제어신호(제7b도)를 2중 형태소자 38에 특히 수직소거구간동안에 인가함으로써, 신호픽업 17은 재현영상의 혼란없이 한 특정회선에서 신호정보를 연속적으로 독출한다. 하나의 홈회선으로부터의 연속적인 독출은 특정 회선내에 기록된 비데오 정보의 4프레임들의 연속적인 연주를 할 수 있게끔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회선의 4프레임들동안 신호정보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이동이 없다면, 정지영상으로서 나타나는 신호독출이 텔레비젼 모니터상에 제공될 것이다. 그러나 반복되는 회선의 4프레임들동안, 신호정보가 이동상태에 있다면, 이후에 4프레임들의 반복되는 재생은 4프레임들 구간동안 발생하는 이동동작을 계속적으로 반복시킬 것이다. 이러한 동작재현은 정구(Tennis) 또는 골프(golf)스윙지도와 같은 것이 비데오 디스크 레코드에 녹화되어 있을때 유용하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정지동작, 급동작, 역동작동안 텔레비젼 수상기 54의 오우디오 신호출력을 선택적으로 소거하기 위하여, 오우디오 소거장치를 제어유니트 56에 상호 작동시킬 수 있다.
둘째로 급동작 버튼 59을 압압하므로서 제각기 4개의 수직 동기펄스들 또는 비데오 디스크 레코드의 제각기 반회전에 대응하는 계수기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제공하는 동기 계수기 55의 부분에 의한 분할을 허용한다. 또한 이러한 톱니파 발생기 57은 정지동작 또는 역동작들중 하나에 대하여 사용되는 파형과는 반대극성의 제어신호를 제공하도록 급동작 버튼 59에 의하여 작동된다. 그러므로 급동작 버튼 59을 압압하므로서, 톱니파 제어신호는 수직소거 구간동안 비데오 디스크 레코드의 제각기 반회전마다 발생되므로 2중 형태소자 38이 디스크 레코드의 중심(제2도에서 픽업암 위치 62로서 도시됨)에 근접한 근접 홈회선에 신호픽업 17을 옮기도록 잡아당겨진다. 디스크 레코드의 제각기 반회전마다 디스크 레코드의 중심을 향한 신호픽업 17의 순방향 이동작동은 신호픽업 17이 프레임들사이의 두 프레임을 뛰어넘은 두개의 프레임의 교번군을 감지하도록 한다. 상술된 바와같이, 한쌍의 교번 프레임 뛰어넘기 작동은 재현영상의 급동작을 하게 한다.
세째로 역동작은 상기와 유사한 방법으로 역동작 버튼 60을 누르므로서 효과된다. 역동작 버튼 60의 누름은 동기 계수기 55가 급동작에서 행해졌던 바와같이 4모우드의 분할에서 작동되도록 한다. 톱니파 발생기 57은 정지동작(제7c도)에서 제공된 것과 똑같은 극성을 갖는 톱니파 펄스를 제공한다. 역동작 버튼 60이 사용되어질 때, 일련의 톱니파 제어신호는 (제2도에서 픽업암 위치 61로 도시된 바와같이 신호픽업 17을 인접외부홈 회선으로 복귀시키기 위하여 2중 형태소자 38에 인가되도록 발생되어 진다. 제각기 톱니파 제어신호는 디스크 레코드의 반회전 후에 발생된다. 이것은 결과적으로 한쌍의 교번 텔레비젼 프레임의 재생을 나타내며, 그내에 한 회선층 4프레임들중의 두개는 앞의 회선내의 4프레임들중 둘에 의하여 연주되어 진다. 비데오 재생의 이러한 연속은 재현하는 영상의 역동작을 나타내게 된다.
네째로, 디스크 레코드 홈 스키퍼장치의 또다른 사용목적은 폐쇄된 홈으로부터 신호픽업을 이동시키는 것이다. 이미 설명한 바와같이 폐쇄된 홈은 원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신호픽업 17이 같은 홈회선을 반복적으로 연주하도록 하는 형태의 것이다. 폐쇄된 홈이 디스크 레코드의 결함에 의하여 존재할때, 신호픽업 17을 이러한 폐쇄된 홈외부로 재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폐쇄된 홈으로부터 신호픽업 17의 이동은 급동작 버튼 59을 순간적으로 사용하여 용이하게 되고 이것에 의해 신호픽업을 디스크 레코드의 중심 가까이의 홈회선으로 복귀시킨다. 폐쇄된 홈의 존재를 감지하기 위한 장치는 신호픽업을 폐쇄된 홈외부로 복귀시키기 위한 홈스키퍼장치와 상호 작동할 수 있다. 적절한 홈감지장치와 이에 대응하는 제어신호 발생회로는 참고로서 “비데오 디스크 재생장치에서 폐쇄된 홈검출비 및 보정”의 제목인 티. 더블유 부루스(T.W. Burrus)씨가 1974년 11월 12일에 출원한 미국출원 제522,817호에 설명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부르스씨 출원은 본 발명의 홈스키퍼장치의 동작에 적당한 제어신호 파형을 더 상세히 도시하였다.
제3도 장치의 특정실시예에 있어서, 높이 약 90밀(mil), 폭 5밀, 깊이 15밀 정도의 사파이어바늘이 사용되었다. 이 바늘의 무게는 약 0.3밀리그램 정도이다. 고무 결합부재 14에 바늘 10을 고정시키는데 사용된 바늘대의 무게는 약 2 1/2밀리그램의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었다. 대략 40듀로미터(durometer)의 견고성을 갖는 부틸(butyl)고무 결합부재 14는 바라는 정도의 유연함과 댐핑을 제공하였다. 이러한 결합부재는 직경이 약 1/16인치, 길이가 약 1/8인치 정도이다. 제1도와 제3도의 장치에서, 2중 형태소자의 각면은 약 25밀정도, 길이는 약 3/4인치정도이다. 2중 형태소자는 PZT-5로서 구성되어지고, 오하이오, 메드포드의 클리베이트회사로부터 완성된 유니트를 구할 수 있다. 최대치 100볼트의 톱니파 파형이 5밀정도의 바늘이동을 제공하도록 사용되었다.
비록 중요장치가 용량 감지바늘로서 설명되었지만, 상호 작동하는 압전재료와 같은 신호 픽업소자의 다른 형태들도 역시 사용되어질 수 있다.

Claims (1)

  1. 도면에 도시하고 본문에 상술한 바와같이, 신호 픽업바늘이 통상적으로 순환하는 신호성분을 포함하는 축적된 정보를 재생하기 위하여 회전 레코드 디스크의 나선홈에서 작동하는 플레이어 장치를 위하여 신호픽업바늘이 위치된 홈나선을 선택적으로 변경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보 축적홈(13)에 연관하여 상기 바늘을 위치시키기 위하여 상기 바늘(17)에 연결된 지지장치(21)와,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홈에 관하여 상기 바늘의 측면이동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바늘과 상기 지지장치 사이에 위치된 장치(38)와, 상기 바늘의 측면이동을 제어하도록 상기 제어신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순환신호성분에 응답하여 상기 바늘이동장치에 연결된 제어장치를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홈스키핑장치.
KR7501827A 1975-08-18 1975-08-18 디스크 레코드의 홈 스키퍼(Skipper)장치 KR8000006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501827A KR800000656B1 (ko) 1975-08-18 1975-08-18 디스크 레코드의 홈 스키퍼(Skipper)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501827A KR800000656B1 (ko) 1975-08-18 1975-08-18 디스크 레코드의 홈 스키퍼(Skipper)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0656B1 true KR800000656B1 (ko) 1980-07-12

Family

ID=19201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501827A KR800000656B1 (ko) 1975-08-18 1975-08-18 디스크 레코드의 홈 스키퍼(Skipper)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06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3295B1 (ko) * 2015-06-10 2016-06-24 주식회사 이노더스 레코드 플레이어 구동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3295B1 (ko) * 2015-06-10 2016-06-24 주식회사 이노더스 레코드 플레이어 구동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74007A (en) Disc record groove skipper apparatus
CA1070424A (en) Disc record groove skipper
US4164756A (en) Disc record groove skipper
US4143405A (en) Automatic head scan tracking system
JPS6242326B2 (ko)
US3678186A (en) Video tape recorder with slow motion reproducing apparatus
US4183059A (en) Track skipper for a video disc player
JPS6030008B2 (ja) 再生装置
US4490752A (en) Rotary recording medium having a selectively reproducible continuous stream of audio signals recorded thereon and reproducing apparatus therefor
US4567535A (e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JPS5812791B2 (ja) レコ−ド盤の情報記録トラック変更装置
US4513327A (en) Digital signal recording system and reproducing apparatus
KR800000656B1 (ko) 디스크 레코드의 홈 스키퍼(Skipper)장치
US4604667A (en)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US444783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ngle frame recording on video tape
US4258233A (en) Track skipper apparatus for video disc player
GB2140963A (en) Video disc playback system
WO1983004360A1 (en) Rotary head magnetic recorder/reproducer
US3987483A (en) Magnetic recording disk and apparatus with slow motion mode
JPS5935236B2 (ja) 映像信号再生装置
US4262174A (en) Track skipper for video disc player
GB2034507A (en) Track skipper apparatus for video player
JPS5919949Y2 (ja) ビデオテ−プレコ−ダの早読み出し装置
JPS6118256B2 (ko)
USRE31223E (en) Track skipper for video disc play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