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0622Y1 - 브러시레스형 발전기의 유도자 - Google Patents

브러시레스형 발전기의 유도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0622Y1
KR800000622Y1 KR790001985U KR790001985U KR800000622Y1 KR 800000622 Y1 KR800000622 Y1 KR 800000622Y1 KR 790001985 U KR790001985 U KR 790001985U KR 790001985 U KR790001985 U KR 790001985U KR 800000622 Y1 KR800000622 Y1 KR 8000006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uctor
generator
field
coil
field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900019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중형
Original Assignee
황규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규삼 filed Critical 황규삼
Priority to KR7900019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06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06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0622Y1/ko

Links

Landscapes

  • Synchronous Machiner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브러시레스형 발전기의 유도자
제1a도는 공지 유도자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1b도는 본 고안 유도자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1c도는 본 고안의 전방유도자의 원형 개구부와 후방유도자의 유도철심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2a도는 공지 발전기 요부의 축단면도.
제2b도는 본 고안 발전기요부의 축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 발전기의 상반부만을 나타내는 축단면도.
본 고안은 브러시레스형 발전기에 사용되는 유도자의 구조를 개량한 것으로서 계자코일과 전기자코일을 고정시켜 이들 양코일 사이에 수개의 자극편을 갖는 원형유도자를 회전시켜 발전코일에 3상 교류전압을 유도시켜 다시 발전기 자체에 내장된 정류기를 통하여 정류시켜 충전용 직류전압으로 되어 나오게한 발전기로서 특히 후방유도자 내면 중심부에 이 후방유도자와 일체로 형성된 유도철심이 있고 이 유도철심에 계자코일이 감긴 계자권선 보빈을 삽입한 후 전방 및 후방유도자를 비자성체 링에 의하여 양 자극편이 상호 근접해서 엇갈리게 결합하여 접합용접한 후 상기 계자권선 보빈을 직접 발전기 본체에 보울트로 나착시켜서된 유도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브러시레스형 발전기(특허공고번호 76-224)가 있었으나 이는 아래와 같은 문제점이 있어 왔다. 즉 종래 발전기의 유도자는 계자코일 인출선 및 고정용(전기자와 계자 권선부와의 고정) 보울트를 전반 및 후방 발전기의 유도자는 계자코일 인출선 및 고정용 (전기자와 계자 권선부와의 고정)보울틀르 전방 및 후방 자극편 사이로 뽑아낸 구조이므로 불가피하게 양 자극편 사이가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벌어진 상태로 되어야 하기 때문에 계자권선부의 부피가 커지고 이에 따라 발전기의 외형도 커짐은 물론 첨부도면 제1a도 및 제1b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양자극편의 거리 r1이 r2보다 크므로 동일 암페어횟수(ampereturn)에서 자속밀도(Wb/㎡가 낮으므로 플레밍 우수법칙에 의하여 저출력의 직접적인 원인이 된다.
또한 계자코일이 있는 계자권선부 지지통과 전기자 코일이 있는 전기자 철심은 최소 4개의 고정용 보울트에 의하여 일체로 고정되는 구조이므로 계자코일 인출선을 위한 구멍을 포함하여 최소 6개의 정밀한 관통구멍을 전기자 철심과 계자 권선지지통에 형성해야 한다는 것은 제작상의 기술 및 사용사으이 안전도면에서 여러 난점이 있다.
다시 말하면 동일한 크기에 동일한 출력의 발전기를 전제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전기자 철심내의 여러슬롯(slot)과 슬롯사이가 약 3.5-4㎜밖에 안되므로 이 좁은 간격에 관통구멍을 정밀하게 그리고 양측 슬롯벽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내에서 형성한다는 것은매우 어려우며 도 형성하였다 하더라도 각각 4개의 보울트 조임정도에 따라 계자권선부가 편심의 가능서잉 생기고 이렇게 된다면 결과적으로 맥동전압이 발생하게 되며 그 편심정도가 좀더 심하게 되면 회전자극편과 계자권선부의 외주 지지통간에 마찰현상이 발생하므로써 소음 및 성능의 저하는 물론 계자코일이 단선되는 결과는 생기며 이같은 고장이 일단 발생하면 계자권선부 및 특히 회전자극편의 구조(전후방 회전자극의 측면이 모두 막혀 있으므로 계자코일만을 빼어낼수 없음, 본 고안은 한쪽 회전자극에 원형 개구부 형성) 상 수리 불가능한 상태로 되고 구태어 수리를 하려면 전체를 분해하지 않으면 안된다.
설사 상기와 같은 편심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이러한 구조로된 발전기를 자동차에 장치하였을 때 외부로 부터의 수많은 진동에 대하여 상기와 같이 직경이 매우 작은(약 2-2.5㎜) 고정용 보울트의 힘으로는 장시간 견딜수가 없어 사용되중 편심이 발생하고 이렇게 되면 상술한 바와같은 여러문제가 발생하게 되며 더욱이 상기와 같은 여러개의 관통구멍은 이 구멍을 통한 습기침투의 원인도 되는 등 여러결점이 있어왔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발전기가 갖고 있는 여러문제점을 제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써 본 고안에서는 계자코일의 인출선 및 고정용 보울트를 전방 유도자에 형성된 원형 개구부를 통하여 뽑아 내므로서 전후방 유도자가 서로 일정간격을 유지할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양 유도자를 비자성체인 용접링을 통하여 근접해서 결합할수 있기 때문에 발전기의 사이즈르 소형화 할수 있음은 물론 동일 암페어 횟수에서 자밀속도가 조밀하므로 현저한 고출력의 효과를 얻을수 있으며 또 계자 코일은 종래와는 달리 후방 브라켓에 보울트로 고정되고 또 후방유도자 중심부에는 유도철심이 후방 유도자와 일체로 되어 제조되기 때문에 설계상의 이상이 없는한 종래와 같이 조립중 또는 사용중에 계자코일이나 전후방 유도자의 편심문제가 발생한다함은 상상조차 할수 없으며 또 제작상 견지에서 보다라도 본 고안은 단순히 계자코일을 전방유도자의 원형개구부를 통하여 후방 브라켓에 보울트로 고정시키는 것으로 끝나기 때문에 전기자 철심이나 계자권선 지지통등에 기술적으로 정밀해야 할 관통구멍을 내야할 필요도 없게 되고 이렇게 되므로써 습기가 관통구멍을 침투할 여지도 없으며 더 나아가서 발전기의 정비면에서 보더라도 본 고안은 계자코일에 이상이 발견시 수시라도 2개의 고정용 보울트를 후방 브라켓쪽에서 풀어주기만 하므로써 용이하게 계자코일의 교환을 가능하게 할수 있는등 여러장점이 있다.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b도, 제1c도 및 제2b도에서 수개의 자극편(2')이 형성된 후방 유도자(2)와 또 수개의 자극편(3')이 형성된 전방 유도자(3)를 자극편(2', 3')들이 서로 엇갈리게 밀결합한 상태에서 비자성체 링(5)에 의해 접합용접시킨후 계자코일(4)이 감겨진 계자권선 보빈(10)을 후방 유도자(2)의 중심부에 일체로 형성된 유도철심(13)에 유동자재하게 삽입한 후 이 조립체를 회전축(1)에 축설하고 2개의 고정용 보울트(12)로써 후방 브라켓(11)으로부터 전방 유도자(3)의 원형 개구부(7)를 거쳐 계자권선 보빈(10)에 마련된 나사구멍을 이용하여 계자권선부(4, 10)를 브라켓(11)에 고정시키고 계자코일(4)의 인출선(6)도 역시 제2b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방 유도자(3)의 원형 개구부(7)를 거쳐 브라켓(11)의 관통공을 통하여 인출시킨다.
그외에 설명하지 않은 전기자에 대하여서는 종래의 것과 동일하므로 여기에서 설명을 생략한다.
첨부도면중 미설명 부호(8)은 전기자 코일이며 (9)는 전기자이다.
본 고안의 작동상태는 종래의 발전기와 동일하므로 생략하나 다만 본 고안이 종래의 것과 비교하여 특징이 되는 점만을 다시 강조항u 요약하면 첫째, 양쪽 유도자(2, 3)의 결합을 비자성체 링(5)에 의하여 근접결합시켜 용접하므로서 발전기의 크기를 소형화하는 동시에 제1a도 및 제1b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양 자극편 간의 거리 r2<r1이 되므로 동일 암페어횟수에서 자속밀도를 증가시켜 플레밍의 우수법칙에 의하여 출력을 높여주고 둘째, 전방 유도자(3)에 원형개구부(7)를 형성시켜 이곳을 통하여 2개의 고정용 보울트(12)와 계자코일(4)의 인출선(6)을 뽑아내어 브라켓(11)에 고정하므로써 종래와 같이 제작상 조립상의 여러복잡한 문제를 단순화시킴은 물론 특히 정비면에서도 계자권선부(4, 10)를 전방유도자(3)의 원형개구부(7)를 통하여 용이하게 새것으로 교환가능케 하였을 때 셋째, 후방유도자(2)의 중심부에 유도철심(13)을 일체로 형성시켜 이 유도철심(13)에 계자권선부(4, 10)를 삽입시킨 후 보울트(12) 로 고정시키므로써 종래와 같이 조립작업의 잘못에 의하거나 또는 자동차에 장치하여 사용하는 중에 차체의 심한 진동에 의해서 자주 발생하는 계자권선부(4, 10)의 편심문제를 완전 해소시켜준 정비가 용이하고 소형이면서도 고출력인 실용적 발전기이다.

Claims (1)

  1. 계자코일(4)을 권취한 계자권선보빈(10)을 발전기 후방 브라켓(11)측에서 보울트(12)에 의해 전방 유도자(3)의 원형개구부(7)를 통해 고정시키는 동시에 계자코일(4)의 안출선(6)을 상기 원형개구부(7)를 통해 후방 브라켓측의 관통 구멍으로 인출하고 후방 유도자(2)의 중심부 내면에는 유도철심(13)을 일체로 형성시켜계자코일(4)을 권취한 계자권선보빈(10)을 삽입하고 전방 및 후방 유도자(3, 2)는 자극편(3', 2')이 서로 엇갈리게 근접 결합된 상태로 용접링(5)에 의해 접합용접시켜됨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 레스형 발전기의 유도자.
KR790001985U 1979-04-06 1979-04-06 브러시레스형 발전기의 유도자 KR8000006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001985U KR800000622Y1 (ko) 1979-04-06 1979-04-06 브러시레스형 발전기의 유도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001985U KR800000622Y1 (ko) 1979-04-06 1979-04-06 브러시레스형 발전기의 유도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0622Y1 true KR800000622Y1 (ko) 1980-05-22

Family

ID=19212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90001985U KR800000622Y1 (ko) 1979-04-06 1979-04-06 브러시레스형 발전기의 유도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062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08347A (en) Dynamoelectric machine with diamagnetic flux shield
US5177392A (en) High efficiency, low reactance disk-type machine including an improved rotor and stator
US5051640A (en) Heteropolar excited synchronous machine
US7518278B2 (en) High strength undiffused brushless machine and method
KR890012823A (ko) 전자식 리타더와 그 전기 공급수단으로 형성된 조립체
US6972504B1 (en) Permanent magnet machine and method with reluctance poles for high strength undiffused brushless operation
JPS63140647A (ja) 全磁束可逆可変リラクタンスブラシレス装置
AU648206B2 (en) Stator support and positioning structure for a dynamoelectric machine
US5001378A (en) Rotor with reduced windage losses
US20040232794A1 (en) Method and radial gap machine for high strength undiffused brushless operation
US20040119368A1 (en) Stator for an electrical induction machine, especially a synchronous machine
KR800000622Y1 (ko) 브러시레스형 발전기의 유도자
US5317227A (en) Rotor with hollow cylindrical permanent magnet
US2073760A (en) Synchronous machine
JP3233945B2 (ja) 爪形磁極機械
JP7150171B2 (ja) 回転電機の固定子、端子台及び回転電機
GB1574255A (en) Rotary electrical machine
CN113726059B (zh) 一种永磁电机
JPS62189928A (ja) 誘導子形交流発電機の回転子
JP3049249U (ja) 回転電機用回転子
CA1115319A (en) Armature for dynamoelectric machine
JPS59127571A (ja) ミシン駆動用整流子電動機
WO2022180724A1 (ja) 電動機
RU2061988C1 (ru) Статор электрической машины постоянного тока с постоянными магнитами
SU1163419A1 (ru) Статор однофазной электрической машин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