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0580Y1 - 인입(引入) 케이블용 밀봉체 - Google Patents

인입(引入) 케이블용 밀봉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0580Y1
KR800000580Y1 KR2019800000929U KR800000929U KR800000580Y1 KR 800000580 Y1 KR800000580 Y1 KR 800000580Y1 KR 2019800000929 U KR2019800000929 U KR 2019800000929U KR 800000929 U KR800000929 U KR 800000929U KR 800000580 Y1 KR800000580 Y1 KR 8000005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
cable
seals
sealing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000009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벨 올프강
크라우스 헤르베르트
Original Assignee
시멘스 악팅겟셀샤후트
루돌프 세이버르트, 크라우스 피테르 슈미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멘스 악팅겟셀샤후트, 루돌프 세이버르트, 크라우스 피테르 슈미트 filed Critical 시멘스 악팅겟셀샤후트
Priority to KR20198000009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05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05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05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26Lead-in insulators; Lead-through insulators
    • H01B17/30Sealing
    • H01B17/301Sealing of insulators to support

Landscapes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인입(引入) 케이블용 밀봉체
제1도는 일련의 라미나 밀봉 소자들을 갖고 밀봉체 블랭크로부터 만들어진 분할된 밀봉체의 도식적인 단면을 보여준다.
제2도는 3부분으로 되어 있는 분할된 밀봉체 블랭크의 도식적인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에서 보여진 밀봉체 블랭크를 전기한 도면의 Ⅲ-Ⅲ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제4도는 제2도에서 보여진 밀봉체 블랭크의 측면도이다.
본 고안은 케이블 부속품 속으로 들어가는 케이블 입구의 합성수지로 된 밀봉체를 사용하여 세로로 분할된 밀봉의 구조와 조립을 간단히 하고 밀봉하는데 요구되는 밀폐력을 가능한 한 적게 유지하며, 밀봉효과를 개선시키는데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으로 본 고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서는, 하나의 밀봉체가 보여지는데 그것은 케이블 방향으로 세로로 두 부분(1)과 (1')로 나뉘어진다. 각 부분은 일련의 라미나 밀봉부재(2)와 (2')를 갖는데, 그것들은 그들 사이에 공동(3)과 (3')를 형성한다. 밀봉체를 케이블(7)에 조립할 때는 밀봉 콤파운드(7)가 그 케이블에 적용되며 부분(1)과 (1')가 전기한 콤파운드 주위에 위치하게 되는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다.
전기한 부분들을 콤파운드(5)속으로 밀어 넣기 위해서 전기한 부분들에 입력이 가해질 때는 밀봉 콤파운드는 부분적으로 밀봉부재(2), (2')에 의해 옮겨지며 전기한 소자들에 의해 정해진 공동(3), (3') 속으로의 이동은 또한 밀봉소자(2), (2')가 부분적으로 방사방향으로 밀봉 콤파운드에 의하여 축여져서 그 결과로서 밀봉체를 따라 효과적인 밀봉 길이가 간단한 형태로 증가하게 된다. 또한 공동(3), (3') 속으로 밀봉 콤파운드(5)가 침투합으로서 초과압력이 공동에 발생하는데 그것은 거기에 있는 밀봉콤파운드(5)가 또한 그 지역에 있는 케이블(7)에 가압되게 만드는 것이다.
라미나 구조로 인해서, 이러한 관점에서 요구되는 힘은 완전한 원주표면인 밀봉체를 갖는 밀봉의 경우보다 낮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라미나 밀봉체의 밀봉성은 그러한 이유 때문에 손상받지 않게 된다.
제1도에서도 보여진 바와 같이, 밀봉체(1), (1')의 외부 표면은 라미나 밀봉 소자들이 장치하는데 그 주위에는 밀봉조각(5')가 배열될 수 있기 때문에 케이블 부품(6), (6')이 각축에(예를 들면 홈이 패인 슬리브튜브) 죄어질 때는 밀봉이 밀봉소자(2), (2')와 밀봉콤파운드(5)에 의해 얻어지는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일어나게 된다.
제2도, 제3도, 제4도에서는 하나의 밀봉체가 보여지는데, 그것은 3부분 8, 9, 10으로 되어 있고 거기서는 큰 용량의 케이블을 위해서 3개까지의 케이블 인입구멍(12), (13), (14)가 뚫려질 수 있다. 밀봉체는 세로로 분할된 조각들이므로 쉽게 조립될 수 있으며, 또한 연속적 케이블로 사용될 수가 있고 밀봉체를 부분(8), (9), (10)으로 나누는 커트들은 우선적으로 그러한 방법으로 위치하기 때문에 케이블 인입 구멍들은 이등분된다.
만약 필요하다면, 케이블 인입 구멍들은 그 속에 도입되는 케이블의 직경에 상응하게 절단될 수 있다. 밀봉체 양측을 절단하는데 특별한 절단기구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라미네이션 수가 우수 배수가 되면 유리하다. 제3도로부터 알 수 있는 것은 밀봉체가 축방햐으로 일렬로 배열된 라미나 밀봉소자를 갖고 있다는 점이며, 이 도면으로부터 또한 보여주는 바로는 라미나 소자(2), (2')의 형태와, 케이블 입구(12)가 절단되어 버린 후에 그들 사이에 형성되는 공동(3), (3')를 보여준다. 라미나 톱니형태(20)들은 또한 고정장치(11) 구역에 제공러기 때문에 여기서도 또한 같은 조건이 이루어진다. 밀봉체 외부 말초상에 제공된 라미네이션들이 또한 보여지는데 이러한 라미네이션들도 제4도에서 보여진다. 연결선 속으로 도입러는 케이블에 밀봉제를 적용하고 난 다음, 또는 전기한 케이블이 이미 상응하는 케이블 인입구 속으로 삽입되었을 때는, 부분(8)과 (9), (9)와 (10) 사이의 밀봉체의 분할판에 있는 라미네이션들을 푸라스틱봉제를 가지고 코팅한 후에는, 그 부분들은 서로 간과 케이블 덮개에 대해서 고정장치(11)에 의해서 압착당하게 되는데 그 장치는 밀봉체들에 제공된 가느다란 솔과 스크류로 되어있거나 밀봉체를 감싸는 고정소자로 되어 있다. 스크류들은 또한 부분들을 서로 연관지어 선도하기도 한다. 전기한 상태들은 밀봉들에서 일어난다. 밀봉체는 또한 모든 제공된 케이블 연결선들이 필요치 않을 때 사용될 수도 있는데, 왜냐하면 밀봉은 밀봉체와 후속하는 고정으로서 비절단 분할판(8), (9)와 (9), (10)을 코팅함으로서 일어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고정장치(11)은 각각 끝이 날카로운 펀치에 의해 둘러싸여질 수 있는데 그 펀치는 전기한 부분들에 입력이 적응되었을 시 고정장치들의 구역에 있는 적용된 밀봉제들을 펀치시키는 작용을 한다. 펀치된 밀봉제들이 추출러었을 시는, 스크류들이 쉽사리 삽입될 수 있다. 고화소자(15)가 밀봉체에 제공되어 밀봉체의 원하는 기계적인 안정성을 생성하게 되는데, 그에 의해서 그것이 가압되었을 시 그것의 형태를 유지되게할 수 있다. 제공된 케이블 입구의 중앙에는 구멍을 뚫은 기계의 적응을 위한 방추형 오목부위(16)가 제공되거나 또는 밀봉체의 벽 두께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원주형 오목부위(16)이 제공되는데, 큰 직경의 구멍을 뚫어야 할 때 후자를 통과하여 절단기를 도입시킬 수 있는 것이다. 구멍 뚫는 것을 돕기 위해서, 여러가지 케이블 직경들을 나타내는 환형 마크들이 이러한 오목부위들 주위에 중심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케이블 인입 구멍(12), (13) 또는 (14) 대신에 두개의 더 작은 케이블 인입선, 예를들면 (17)과 (18)를 삽입할 수가 있는데, 이 경우에는 분할판에는 두개의 추가 오목부위(16)들이 필요하다.

Claims (1)

  1. 기다란 합성수지 밀봉체 블랭크에 있어서, 케이블 인입선(17, 18)을 위한 밀봉체(1, 1')가 만들어질 수 있고 블랭크는 다수의 부분으로 되어 있으며 밀봉부재(2, 2')로 구성되는데, 부재(2, 2')들은 블랭크의 긴방향에 횡단하여 뻗어 있고 따로 떨어진 간막이 부재(8, 9, 10)에 의하여 평행으로 서로 떨어지기 때문에 적층 구조를 형성하며 조립위치에 고정시키는 장치(11)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입 케이블용 밀봉체.
KR2019800000929U 1980-02-14 1980-02-14 인입(引入) 케이블용 밀봉체 KR8000005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0929U KR800000580Y1 (ko) 1980-02-14 1980-02-14 인입(引入) 케이블용 밀봉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0929U KR800000580Y1 (ko) 1980-02-14 1980-02-14 인입(引入) 케이블용 밀봉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50001969 Division 1975-09-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0580Y1 true KR800000580Y1 (ko) 1980-05-14

Family

ID=19215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00000929U KR800000580Y1 (ko) 1980-02-14 1980-02-14 인입(引入) 케이블용 밀봉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058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56316A (en) Splice protective insert for cable sleeves
US8558427B2 (en) Insulation assembly for electric machine
KR890011155A (ko) 케이블 외장의 단부캡 장치
KR950033138A (ko) 구동측 조립체 및 그 제작 방법
KR930000849A (ko) 복합 편심축의 제조 방법
KR870007585A (ko) 전기 케이블 접속 외장
IL47438A (en) Gaskets for cable inlets
KR840001397A (ko) 회전전기(電機)의 냉각장치
EP3289669A1 (de) Gehäuselose elektrische maschine
DE102004007322A1 (de) Statoranordnung für eine elektrische Maschine
KR840003752A (ko) 밸브시이트
IE831547L (en) Structural element for shower partitions
US4590328A (en) Plastic sealing plugs for cable fittings
KR800000580Y1 (ko) 인입(引入) 케이블용 밀봉체
JPS6048967B2 (ja) ケ−ブルフィッティング内にケ−ブルを插入するためのパッキン
FR2360008A1 (fr) Rotor renforce par des fibres, son procede de fabrication et ses applications
KR870008414A (ko) 정류자 및 그 제조방법
US3764728A (en) End seals for electric cables and method of making same
US4786883A (en) Transformation device for connecting waveguides
KR890003094A (ko) 서어보모우터 조립절차 및 이러한 절차로 조립된 서어보모우터
SE8305257D0 (sv) Oil well cable
KR960013597A (ko) 천공 공구
US2477455A (en) Electric commutator
KR102584226B1 (ko) 격벽의 오리피스의 밀봉된 피드쓰루를 위한 글랜드
DE3907067A1 (de) Rohrhalter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