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0403B1 - 정구화용 외창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정구화용 외창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0403B1
KR800000403B1 KR750002893A KR750002893A KR800000403B1 KR 800000403 B1 KR800000403 B1 KR 800000403B1 KR 750002893 A KR750002893 A KR 750002893A KR 750002893 A KR750002893 A KR 750002893A KR 800000403 B1 KR800000403 B1 KR 8000004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sole
mold
insert
sole
tenn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50002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오네로 로저어
Original Assignee
제이 디이 오부타이엔
유니로이알 인코포레이팃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 디이 오부타이엔, 유니로이알 인코포레이팃드 filed Critical 제이 디이 오부타이엔
Priority to KR750002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04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0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0403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정구화용 외창의 제조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되는 사출주형의 분해 평단도이다.
제2도는 정구화 족형이 배치되고, 정구화 외창이 부분단면으로 표시된 제1도의 주형의 일부를 단면으로 표시한 입면도 이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정구화의 측면도 이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정구화의 저면도 이다.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제4도의 정구화의 선 5-5에 따라 취한 분해부분 단면도 이다.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라 제도된 제4도의 정구화의 선6-6에 따라 취한 분해부분 단면도 이다.
본 발명은 정구화 외창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직업선수와 우수한 청구 플레이어가 신는 정구화는 발끝부분에 해당하는 외창와 연부(edge)및 발의 안쪽 둥근부분 및 발꿈치의 외측연부에서 대단히 많이 닳기 때문에 수명이 짧았다. 정구화의 윗갑피(甲皮)는 보통 양호한 상태로 남아있다. 따라서 신발의 수명은 외창의 마모를 양호히 평형시키면 연장될 수 있다. 미국특허 3, 327, 334호에는 외창의 중심지역내에 삽입물을 이용하는 탄성체의 외창을 제조하는 방법이 제안되었으며 여기서 삽입물은 부분 경화된 외창위에 얹쳐서 외창속으로 압착되어 가황처리가 완료된다. 이 삽입물은 외창과는 상이한 재료로서 개량된 저장수명을 가지며 삽입물이 상당히 오랜 기간 방치되도록 한다. 외창의 주요부분은 삽입물보다 덜 탄력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외창은 가요성이 부족하고 외측지역에서 심한 마모를 받으며 외창이 균형있게 닳지 못하므로 정구화창으로는 부적합하다. 또 다른 고무외창을 제조하는 방법이 미국특허 2,256,863호에 제안되었으며 여기서는 뒤꿈치 소재에 중심지역내에 뒤끔치가 황주형내에 부분 가황처리된 마모용 플러그를 조합시켜서 최종 가황처리를 한다. 플러그는 앞창의 중심지역내에 위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형식의 외창도 전술한 것과 비슷한 이유로 정구화창으로는 부적합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균형있게 마모하는 신규의 개량된 정구화외창을 제고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정구화용 외창제조방법은 간격을 두고 배열된 구멍들을 갖는 미리 성형된 외창 삽입물을 창판상에 인덱스핀들을 갖는 외창 공동(空洞)주형의 창판상에 핀과 삽입물의 상응하는 구멍과 일치시켜 배치함으로 구성된다. 본 방법은 또한 주형을 덮고 주형내의 삽입물에 부착된 외창을 사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정구화의 제조는 간격을 두고 배열된 구멍들을 갖는 미리 성형된 외창 삽입물을 창판상에 인덱스핀들을 갖는 외창 공동주형의 창판상에 핀과 삽입물의 상응하는 구멍들을 일치시켜 배치하고, 족형(足型)위에 갑피를 놓고 이 갑피를 갖는 족형을 주형속에 집어넣고, 주형을 덮고 주형내의 갑피 및 삽입물에 부착된 외창을 사출 성형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정구화용 외창은 외창의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해 외창의 중심부보다 항마모성이 더 큰 하나 이상의 항마모 삽입물을 사용중 마모되기 쉬운 외측부분에 부착시킨 외창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정구화는 갑피를 갖고 있으며, 또한 사용중 마모되기 쉬운 외창의 외측 부분에 부착된 하나 이상의 항마모성 삽입물이 있는 갑피에 부착된 외창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수설계된 항마모성 삽입물은 외창의 중심보다 마모에 대한 저항성이 횔씬 커서 정구경기중 외창이 보다 균일하게 마모되게 한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을 참조해가면서 좀더 상세히 설명하겠다. 제2도에서 외창과 접착성형된 삽입물(10)및 (11)들이 단면도로 표시되어 있다. 삽입물(10)은 발끝부분과 발의 안쪽을 다른 발의 둥근부분에 해당하는 외창(12)연부(edge)에 배치되어 있는 바, 이는 외창(12)의 측면도인 제3도와 저면도인 제4도에 명확히 표시되어 있다. 삽입물(1l)은 제3도와 4도에서와 같이 외창(12)의 발꿈치부분 외측 후단연부에 배치되어 있다.
삽입물(10) 및 (11)은, 폴리우레탄인 것이 좋고 적당한 구조의 사출 주형내에서 미리 성형 경화되는것이 좋다. 이러한 사출주형은 삽입물을 원하는 형태로 성형시키는 적당한 덮개판에 의해 둘러쌓인 공동을 가질수 있다. 주형의 공동의 기판에는 제4, 5, 6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삽입물내에 구멍(13)을 형성토록 단부에 노브(knob)를 갖는 핀들이 돌출되어 있다. 삽입물 주형내에 사출된 액상 폴리우레탄 화합물이 가교 결합하는데 충분한 3-5분간의 지속시간후 주형을 열고 삽입물을 꺼내어 플래쉬를 제거한후 주형내의 잔류물질을 씻어내고 적당한 이형제로 주형을 피복시켜 다음 행정에 쓸 수 있도록 한다. 사출성형 공정은 잘 알려진 사출성형 방법으로나 달리 예를들면 캐스팅에 의해 행해질 수도 있다.
삽입물용의 전형적인 폴리우레탄 배합은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01
삽입물들은 외창의 외측부분에 화학적으로 결합되고 항마모성 물질이어서 외창의 중심부나 여타 지역보다 마모에 대한 저항성이 커서 외창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균형잡힌 마모가 이루어진다.
상응하는 인덱스핀들이 창판상에 생략되고 외창의 잔여부분용 물질이 생략된 삽입물에 의해 점유되는 공간내에 사출되어. 발끝삽입물(10)이나 발꿈치 삽입물(11)중 하나가 생략되는 정구화도 있을 수 있다.
제1도 및 2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정구화 외창(12)용 사출주형은 두 주형링(14), (15), 창판(16) 및 족형(17)로 구성된다. 제2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핀(22)가 올려진 위치에 있게되어 폴리우레틴과 같은 외창용 물질이 주형링(14), (15), 창판(16) 및 갑피(19)가 통상의 방법으로 맞쳐지는 족형(17)로 형성되는 주형공동내에 사출되는 위치에 있게되면 탕도(18)은 사출기구(도시안됨)의 노즐과 소통된다. 갑피(19)는 예컨대 가죽, 섬유 또는 합성물질이다.
창판(16)상에는 끝에 노브(21)을 갖는 인덱스핀(20)들이 있다. 핀의 직경은 1/16인치이고 노브의 직경은 5/64인치이고 노브를 포함한 핀의 길이는 3/16인치 정도이다.
노브(21)을 포함한 핀(20)의 길이는 삽임물내의 상응하는 구멍보다 0.05-0.2인치 긴것이 좋다. 따라서 외창 제조시 삽임물을 핀(20)위에 꼭 끼우면 된다.
지지장치(도시안됨)상의 족형을 제2도에 표시된 위치로 낮추고 주형링(14), (15)를 제2도에 표시된 위치로 닫아 주형을 닫는다. 외창의 나머지 부분을 형성하도록 주형내에 사출되는 물질이 주형내의 삽임물 및 갑피에 화학적으로 결합되도록 삽입물(13)과 갑피(19)사이에 격을 두면서 갑피(19)를 족형(17)위에 맞쳐 주형내에 배치시킨다.
외창(12)의 잔여부분용 폴리우레탄 배합은 삽입물과는 달리 외창의 잔여부분을 발포 폴리우레탄으로 만들기 위해 1/10부(0.1부)의 물을 첨가한다는 것 이외에는 삽임물용 배합과 동일할 수 있다. 주된 창부분에는 삽입물과 다른 색갈의 안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주된 창부분용 폴리우레탄 포말(foam)배합은 예를들면 원샷(one-shot)프리폴리머 또는 유사프리 폴리머시스템 내에서 액체사출 성형기로 알려진 통상의 우레탄 포말계량, 혼합 및 분산장치를 사용한다. 원샷 시스템의 한예는 기아형 디시소시아네이트 및 비슷한 또 다른 폴리올 촉매 물배합 펄프를 통해 계량하며 그 양은 화학양론적으로 결정된다. 이들 펌프로부터 각각의 개량된 양은 성분들을 신속히 배합해서 주형속으로 넣어주는 고속 믹서 또는 스크류가 있는 실(室)로 보내진다.
프리폴리머 또는 유사 프리폴리머 시스템에 있어서, 폴리올 및 디이소시아네이트의 배합물은 앞의 구절에서의 디이소시아네이트에 대치된다. 이 배합물은 폴리올성분보다 이소시아네이트의 함량이 4-20% 높도록 조제된다. 삽입물 및 외창의 잔여부분용으로 상용성(相容性)물질이 사용될때 삽입물은 외창에 화학적으로 결합된다. 만일 상이한 물질이 사용될 경우, 정상적으로는 비상용성인물질들을 적당한 화학처리를 하여 외창의 잔여부분과 화학적 결합을 통한 부착을 이룰 수 있다.
외창용 공동주형은 액체시스템으로부터 폴리우레탄 생성물을 성형시키는데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적당한 폴리우레탄 이형제로 미리 윤활되어 있다. 성형될 신발의 칫수에 따라 발끝 및 발꿈치 삽입물을 선택하여 앞선 성형 작업중 삽입물내에 성형된 구멍을 창판상에 위치한 접합핀에 일치시켜 창판상에 배치시킨다. 핀의 목적은 외창의 사출성형 공정중 삽입물을 적소에 유지시키는데 있다. 그렇지 않으면 주입된 폴리우레탄화합물의 유체력학에 의해 삽입물이 그들의 위치에서 벗어나게 될 것이다.
약 20°-140℉정도의 온도로 족형을 따라 예열된 주형을 족형둘레에 덮어 주형내에 족형상의 갑피를 효과적으로 밀봉시킨다. 액상 폴리우레탄화합물 주형 조립체내에 미리 정해진 부피만큼 사출되면 사출성형기구(도시 안됨)상에 자동적으로 세트된다. 3-5분 지나면 폴리우레탄이 가교 결합한다. 주형은 다음에 열리고 신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족형에서 제거된다. 그다음 선반위에서 대기중에 노출시켜 약 30-60분 냉각시킨다. 그리고나서 통상의 방법으로 와이어휠을 사용해서 모든 플래쉬를 닦아낸 후 최종 처리한다.
정구화를 만드는 딴 방법으로는 외창을 별도로 제조한 후 수공으로 정구화 갑피에 부착 조립시키는 것이 있다. 이러한 방법에 있어서는, 정구화 제조에 대해 앞서 기술한 바와같이 삽입물을 미리 성형시킬 수도 있다.
정구화용 외창을 제조하는 방법은 간격을 두고 배열된 구멍들을 갖는 미리 성형된 내창삽입물을 인덱스핀을 갖는 외창 공동주형의 창판상에 삽입물의 핀들이 창판상의 상응하는 구멍에 들어맞게 배치하는 것이다. 공동주형은 제1도 및 2도에 표시된 것과 유사할 수도 있다. 어쨌든, 갑피가 입혀진 족형대신 적당한 접합덮게판으로 주형을 덮는다. 앞서 정구화 제조에 관해 기술한 것과 비슷한 방법으로 주형내에 삽입물에 외창접착층을 사출 성형시킨다.
삽입물과 주형덮게 부재사이에 간격을 두면서 주형을 덮게부제로 덮고, 삽입물의 배치는 주형을 덮기전에 삽입물을 창판상의 핀에 맞추도록 한다.
성형작업의 나머지는 최종품이 신발이 아니라 외창이란 것 이외에는 앞서 기술한 정구화 제조방법과 동일하다. 발끝 및 발의 안쪽 둥근부분 또는 발꿈치형의 삽입물(10),(11)과 비슷한 삽입물들이나, 단 하나의 삽입물도 사용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의 특정한 예를 중심으로 기술했으나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수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화 및 수정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

  1. 본문에 상술한 바와같이 인덱스핀보다 약간 짧은 간격을 두고 배열된 구멍들을 갖는 미리 성형된 외창(12) 삽입물을, 끝에 노브(knob)를 가지는 인덱스핀(20)들을 갖는 외창 공동주형(14),(15)의 창판(16)상에 상기 핀들이 삽입물의 상응하는 구멍(13)들에 들어맞게 배치시키고, 상기 주형을 덮고, 상기 주형내에서 삽입물에 부착된 외창을 사출 성형시키는 것으로 구성되는 정구화용 외창의 제조방법.
KR750002893A 1975-12-31 1975-12-31 정구화용 외창의 제조방법 KR8000004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50002893A KR800000403B1 (ko) 1975-12-31 1975-12-31 정구화용 외창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50002893A KR800000403B1 (ko) 1975-12-31 1975-12-31 정구화용 외창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0403B1 true KR800000403B1 (ko) 1980-05-12

Family

ID=19201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50002893A KR800000403B1 (ko) 1975-12-31 1975-12-31 정구화용 외창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0403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64966A (en) Construction for an athletic shoe and process of making
US4050108A (en) Method of manufacturing of shoes and shoes thus manufactured
US4616430A (en) Method of making an article of footwear
US3988797A (en) Tennis shoe outsol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2383117A (en) Treaded shoe sole and heel
US4272858A (en) Method of making a moccasin shoe
US3805419A (en) Safety footwear and manufacture thereof
US2256329A (en) Method of making footwear
US3116566A (en) Injection molded shoe bottom and shoe having same
NO146059B (no) Fenylisotiocyanatderivater for anvendelse som fungisider
KR800000403B1 (ko) 정구화용 외창의 제조방법
DE2216439A1 (de) Polster-schuhsohle fuer insbesondere arbeits-, sport- oder skischuhe sowi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S6092251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hoes and shoe obtained with the method
CN109198784B (zh) 高弹性跑步鞋及其制作工艺
US3609889A (en) Spiked golf sole
US3007184A (en) Improvements in methods of molding outsoles to shoes
EP0372297B1 (en) Inner shoe particularly for ski boots
US3098308A (en) Footwear having an outsole of elastomeric material cured directly to the sole
US3226851A (en) Shoe bottom units
CZ285587A3 (en) Footwear with shock-absorbing means
JPS6057324B2 (ja) 靴底の製造方法
JPH0655162B2 (ja) 靴の製造法
JPS5851765Y2 (ja) 革靴
US2858571A (en) Method of making rubber soles
JPS5926281B2 (ja) 靴の製造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