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0393B1 - 창틀이 부착된 콘크리트 판넬의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창틀이 부착된 콘크리트 판넬의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0393B1
KR800000393B1 KR750002249A KR750002249A KR800000393B1 KR 800000393 B1 KR800000393 B1 KR 800000393B1 KR 750002249 A KR750002249 A KR 750002249A KR 750002249 A KR750002249 A KR 750002249A KR 800000393 B1 KR800000393 B1 KR 8000003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frame
fixture
locking means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50002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이료오 오오카미
Original Assignee
요시다다다오
요시다고오교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다다다오, 요시다고오교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요시다다다오
Priority to KR750002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03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0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0393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anufacturing Of Tubular Articles Or Embedded Moulded Articles (AREA)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창틀이 부착된 콘크리트 판넬의 성형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성형장치의 개요를 표시한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선 II-II에 따른 확대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샤시틀 고정장치의 투시도
제4도 및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창틀 고정장치의 작동상태를 표시한 단면도.
본 발명은 창틀 이 부착된 콘크리트 판넬을 성형하는 장치, 즉 창틀의 부착을 실시할때 사용될 형틀 및 창틀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창틀의 부착방법은 일반적으로 형틀의 바닥판에 창틀을 얹어놓고, 그 위에 고정틀을 얹고 볼트, 넛트등을 사용하여 조립하는 방식으로서, 창틀의 설치, 형틀의 조립 및 해체가 복잡하고 많은 시간을 요하였으며, 창틀을 전체적으로 혹은 최소한 모서리만으로 고정해야 할 경우에는 콘크리트를 증기처리하는 동안 창틀의 신장을 허용치 않기때문에 팽창변형에 의하여 창틀의 중간부분이 부스러 지거나, 찌그러져서형틀과 창틀사이에 불필요한 간격이 발생하거나, 창문의 개폐에 지장을 주는 예가 많았다.
본 발명은 상기 결함을 고려하여 개발한 것으로, 창틀을 내형이되는 받침대위에 설치하고, 소요간격으로 배치되어 핸들등에 의하여 간편히 조작될 수 있는 창틀 고정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결함을 해소하는데 성공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과 실시예로서 상세히 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에는 본 발명에 따라 콘크리트(11)가 원하는 모양으로 주입될 형틀(10)이 도시되어 있다. 형틀(10)은 수평의 바닥판(12)과 바닥판(12)이 직사각형으로 배열되어 형틀(10)의 외벽을 이루는 4장의 옆판(13)으로 구성된다. 한편 바닥관(12)에는 옆판(13)의 안쪽으로 받침대(14)가 배열되어 형틀(10)의 내벽을 이룬다.
창틀(15)은 받침대(14)위에 놓여진다. 잘 알려진 바와같이 창틀(15)은 직사각형으로 결합 웃틀과 밑틀, 그리고 한쌍의 선틀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창틀의 각 부재에는 상부 및 하부 플랜지(16)(17) 혹은 그와 본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필요하면 창틀(15)에 적당한 앵커(anchor)(18)를 장착시켜도 좋다.
창틀(15)은 그 모서리를 제외하고 받침대(14)의 안쪽에 소정간격으로 배열된 다수의 고정창치(19)에 의하여 상기 받침대위에 고정된다. 각 고정장치(19)는 하향력을 가지고 창틀(15)의 하부 플랜지(16)에 결합되는 하부 고정구(20)와 역시 하향력을 가지고 상기 창틀의 상부 플랜지(17)에 결합되는 상부 고정구(21)로 구성된다.
이렇게하여 창틀(15)이 받침대(14)위에 견고하게 지지되면, 콘크리트(11)가 형틀(10)에 부어져 바닥판(12), 옆판(13), 받침대(14) 그리고 창틀(15)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을 메운다. 콘크리트(11)가 경화되면 고정장치(19)의 상하 고정구(20)(21)를 창틀(15)의 플랜지(16)(17)로 부터 벗겨냄으로써 창틀(15)이 부착된 콘크리트판넬을 형틀(10)로 부터 떼낸다.
제3도, 제4도 및 제5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장치(19)가 상세하게 도시되어있다. 도시된 고정장치(19)는 형틀(10)의 바닥판(12)에 고착되도록 된 지지프레임(22)을 포함하여, 상기 지지프레임에 상하 고정구(20)(21)가 지지된다. 하부 고정구(20)는 받침대(14)위에 설치된 창틀(15)에 대하여 수평으로 미끄럼운동을 하도록 지지프레임(22)에 의하여 수평으로 지지되며, 그 중심에 길이 방향으로 홈(23)이 형성되어있다. 홈(23)을 통하여 나사 기둥(24)이 연장되어 지지프레임(22)의 바닥에 형성된 받침(25)위에 고정되어있다. 나사기둥(24)의 상하에는 한쌍의 지지부재(26)(27)가 각각 하부고정구(20)의 상하에 놓이도록 느슨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부 지지부재(26)의 윗쪽으로 아랫면이 볼록한 넛트(28)가 나사기둥(24)에 끼워져 있어서 상부 지지부재(26)를 정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하부지지부재(27)의 아랫쪽에는 상기 기둥주위로 압축 코일 스프링(29)이 있어서 하부 지지부재(27)를 하부 고정구(20)쪽으로 민다. 하부고정구(20)는 상하 지지부재(26)(27)사이에 이렇게 지지되어 수직방향으로 약간 피보트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지지프레임(22)의 뒷쪽에 형성된 윗판(32)에는 손잡이(31)가 달린 핸들(30)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있어서,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연결기구(33)를 거쳐서 하부 고정구(20)가 창틀(15)의 하부플랜지(16)에 결합되거나 풀어지도록 수동으로 작동된다. 핸들(30)에는 아랫쪽으로 나사막대(34)가 같이 회전하도록 연장되어 있고, 나사막대(34)에는 다시 핸들(30)이 회전함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도록 핀(35)이 나사로 결합되어 있다.
앞서 말한 연결기구(33)는 한쌍의 링크(36)(37)와 벨크랭크(38)로 구성된다. 링크(36)의 한쪽끝에는 홈(39)이 있어서 나사막대(34)의 핀(35)에 느슨하게 걸리고, 상기 핀의 상하운동에 따라 피보트 운동을 하도록 그 중간지점(40)에서 피보트로 지지되어 있다. 링크(36)의 반대쪽 끝은 중간 링크(37)의 한끝에 피보트로 이어지고, 중간링크(37)는 반대쪽 끝의 조금 안쪽에서 다시 크랭크(38)의 한쪽끝에 피보트 연결되어있다. 벨크랭크(38)는 그 중간 지점(41)에서 피보트로 고정되고 반대쪽끝이 하부 고정구(20)에 형성된 구멍(42)에 느슨하게 끼워진다.
하부 고정구(20)의 뒷쪽 끝에는 머리가 없이 홈만 파인 기계나사(43)가 위에서 부터 아래로 조금 돌출하도륵 끼워져 있어서 기계나사(43)의 돌출된 끝이 핀(35)이 내려감에 따라 중간 링크(37)의 피보트가 없는 끝에 접촉하도록 되어있다. 따라서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핸들(30)을 핀(35)이 나사막대(34)를 따라 하강하도록 하는 방향으로 돌리면, 홈이 파인 링크(36)는 피보트(40)를 축으로 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홈인 파이 링크(36)의 시계방향 회전은 중간 링크(37)를 거쳐서 벨크랭크(38)에 전달되고, 벨크랭크(38)는 상기 크랭크의 피보트(41)를 축으로해서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하부고정구(20)는 이렇게해서 받침대(14)위에 얹혀있는 창틀(15)의 하부 플랜지(16)위로 미끄러져 들어가는것이다.
한편 홈이 파인 링크(36)의 시계방향 회전은 중간 링크(37)를 위쪽으로 밀어 올려서 나사(43)에 접촉하게 한다. 이렇게 되면 하부고정구(20)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하부 플랜지(16)를 받침대(14)에 압착시키게 된다.
창틀(15)이 부착되어 완성된 콘크리트 판넬을 떼어내려면 핸들(30)을 반대방향으로 돌려서 핀(35)이 나사막대(34)를 따라 상승하게 하면된다. 그렇게 되면 하부 고정구(20)가 창틀(15)로 부터 이탈하여 제4도의 본래 위치로 돌아가게 된다.
다시 제3도와 제4도를 보면, 창틀(15)의 상부 플랜지(17)에 결합되는 상부 고정구(21)가 번호(44)의 지점에 흠이 파인 직육면체로 도시되어 있다. 상부 고정구(21)는 일정한 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한쌍의 레버(45)의 고정되지 않은 끝에 피보트로 조립되어, 상부 고정구(21)의 홈이 파인면이 상기 고정구의 자중에 의하여 항상 아래로 향하도록 되어있다. 레버(45)는 그 반대쪽 끝이 각각 지지프레임(22)의 옆판(46)에 피보트로 연결되어 있다.
상술한 레버(45)는 또 한쌍의 레버(47)와 결합되어 아래와 같은 작용을 하는 터글(toggle)장치를 구성한다. 레버(47)의 한쪽끝은 각각 레버(45)의 각 중간 지점에 피보트로 연결되고 반대쪽은 작동레버(50)에 형성된 한쌍의 돌출부재(49)사이에 연장된 가로막대(48)에 역시 피보트로 연결된다.
작동레버(50)는 손잡이(51)와 한쌍의 돌출부재(49)로 구성되어 돌출부재(49)가 지지프레임(22)의 각각의 옆판(46)에 피보트로 연결된다. 작동레버(50)를 수동으로 회전시키면 터글장치에 의해서 상부 고정구(21)가 상하로 이동하면서 창틀(15)의 상부 플랜지(16)에 결합 및 이탈하게 된다.
터글장치의 레버(45)에는 상부 고정구(21)를 향하여 전후로 수평이동하는 밀대(52)가 설치되어있다. 밀대(52)는 한쪽끝이 레버(53)에 피보트로 연결되고 반대쪽 끝은 레버(47)의 사이에 연장된 또 하나의 가로막대(54)에 피보트로 연결된다.
이러한 구조로 된 본 발명의 고정장치(19)를 사용하는 방법은, 먼저 핸들(30)을 한 방향으로 회전시켜 하부 고정구(20)가 받침대(14) 위에 놓여있는 창틀(15)의 하부 플랜지(16)위의 작동위치로 움직이게 한다. 그 다음에 작동레버(50)를 수동조작에 의하여 제4도 및 제5도의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레버(45)(47)로 구성되는 터글장치를 거침으로써 상부 고정구(21)가 아랫쪽으로 밀려서 상기창틀의 상부 플랜지(17)에 결합된다. 한편 작동레버(50)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링크(53)는 밀대(52)를 밀어서 레버(45)를 따라 앞쪽으로 미끄러지게 하고, 상기 밀대가 상부 고정구(21)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고정구가 창틀(15)위에 정확히 배치되도록 한다.
이렇게해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형틀(10)이 완성되면 콘크리트(11)를 붓고 경화시킨뒤, 각 고정창치(19)의 핸들(30)과 작동레버(50)를 반대방향으로 작동시키면 상하부 고정구(20)(21)가 창틀(15)로부터 이탈되어 완성된 콘크리트 판넬이 형틀(10)로 부터 떼내진다.

Claims (1)

  1. 바닥 및 상기 바닥위에 세워져 외형틀을 이루는 4장의 옆판과 상기 옆판 안쪽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내형틀을 이루는 창틀의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 안쪽에 모서리 부분을 제외하고 소요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고정장치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장치는 핸들의 조작에 의하여 수평으로 진퇴하는 동시에 그 선단이 약간상하로 피보트 운동을 하는 하부 고정구와 레버의 조작에 의하여 상하로 운동하는 상부고정구를 포함하여 상기 받침대위에 올려지는 창틀을 상기 상하고정구로 고정 할수 있도록 된 창틀 이 부착된 콘크리트 판넬의 성형장치.
KR750002249A 1975-10-16 1975-10-16 창틀이 부착된 콘크리트 판넬의 성형장치 KR8000003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50002249A KR800000393B1 (ko) 1975-10-16 1975-10-16 창틀이 부착된 콘크리트 판넬의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50002249A KR800000393B1 (ko) 1975-10-16 1975-10-16 창틀이 부착된 콘크리트 판넬의 성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0393B1 true KR800000393B1 (ko) 1980-05-12

Family

ID=19201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50002249A KR800000393B1 (ko) 1975-10-16 1975-10-16 창틀이 부착된 콘크리트 판넬의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0393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65540A (en) Method of producing precast concrete panels with built-in outer sash frames
US4205498A (en) Partition wall fastening unit
KR800000393B1 (ko) 창틀이 부착된 콘크리트 판넬의 성형장치
JPS6320521Y2 (ko)
JPH0327765Y2 (ko)
JP3967189B2 (ja) 支柱の取付構造
JP2001061668A (ja) 焼物調理器の支持台昇降装置
JPH0366376U (ko)
JPH059427Y2 (ko)
CN216607907U (zh) 辅助组装治具
JPH0120030Y2 (ko)
JPH038792Y2 (ko)
JPH0428391Y2 (ko)
JPS6323124Y2 (ko)
JPS6313701Y2 (ko)
KR200153311Y1 (ko) 자바라셧타용 타발장치
JPH067873Y2 (ja) 板伏被加工材の反転装置
JPS625498Y2 (ko)
JP2512696B2 (ja) コンクリ―ト製品成形用型枠装置
JP2530419Y2 (ja) 型開き装置
JPS5821681Y2 (ja) コンクリ−トブロツク用型枠の組立装置
JPS5826295Y2 (ja) 昇降窓における窓内枠固定装置
JPH11207717A (ja) コンクリート製品の型枠
JPH03321Y2 (ko)
JPH09286016A (ja) 水ぬき孔を有するコンクリート板の製造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