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0316B1 - 간편 콘버전스 디스플레이장치 - Google Patents

간편 콘버전스 디스플레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0316B1
KR800000316B1 KR7501082A KR750001082A KR800000316B1 KR 800000316 B1 KR800000316 B1 KR 800000316B1 KR 7501082 A KR7501082 A KR 7501082A KR 750001082 A KR750001082 A KR 750001082A KR 800000316 B1 KR800000316 B1 KR 800000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lection
horizontal
vertical
yoke
magnetic f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501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헨리 바코우 윌리암
엔엄엔 그로스 죠셉
Original Assignee
죤 브이리간
알씨에이 코포레이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죤 브이리간, 알씨에이 코포레이숀 filed Critical 죤 브이리간
Priority to KR7501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03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0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0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Landscapes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간편 콘버전스 디스플레이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를 도시한 개략단면도.
제2a도와 제2b도는 본 발명의 일부로써 사용되는 수평편향권선의 특성도
제3a도, 제3b도 및 제3c도는 본 발명의 일부로써 사용되는 수직편향권선의 특성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에 사용되는 사극자 자계표시도.
제5a도, 제5b도 및 제5c도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에 사용편 결합사극자 및 수직편향자계의 특성도.
제6도와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사용되는 칼라영상관의 화반상에서 얻어지는 선패턴 특성도.
제8a도, 제8b도 및 제8c도와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에 사용되는 사극자 자계를 만들기 위한 배치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일부로써 사용되는 편향요크 사분원의 콘덕터 분리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일부로써 사용되는 편향요크의 콘덕터분리배치도.
본 발명은 칼라영상관의 세개의 코프래나(coplanar)빔을 콤버전스하기 위해 간단한 콘버전스 장치를 사용하는 칼라 디스플레이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칼라영상파의 빔의 콘버전스 장치에서는 빔에 영향을 미치는 방법으로 영상관의 넥크(neck)부내에 배치되고 또한 선 및 필드주사비로 콘버전스수정파형에 의해 구동편 외부전자석에 의해 여기된 자극편을 사용함으로써 이루어졌다. 이것은 통상 축상 다이나믹콘버전스수정이라고 한다. 또한 가장자리 비콘버전스상태를 수정하려면 선파 필드비파형들을 결합하므로서 유도편 수정파형을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였다. 이런 상태의 구조는 비용이 많이 들고 빔을 적절히 콘버전스하기 위한 많은 제어장치가 필요하다.
화면상에 수직으르 배치편 형광스트립들파 수평으로 배치편 코프래나 빔을 사용하는 칼라영상관은 델타전자빔 형태와 3개조 그룹으르 구성편 점으르편 형광요소들을 갖고 있는 영상관을 사용한 상술한 것보다 더 간단한 다이나믹 콘버전스 구조를 사용할 수 있었다.사극자 자계 형성권선은 편향요크와 접속하여 프래나빔의 콘버전스를 얻는데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평우에, 사극자권선은 바람직한 빔콘버전스를 얻는데 이용편 조정가능한 다수개의 제어소자와 선파 필드비 파형에 의해 여기되어야 한다. 선택적으로 사극자권선에 추가하여, 활성편향권선을 통하는 주사전류는 접속을 하도록 적당하게 될 수 있지만, 이러한 방법은 조정장치가 많이 필요하고, 가격이 비싸며 제조 및 보수를 하기가 복잡하다.
"자기콘버전스칼라영상 디스플레이어장치”란 제목으로편 미합중국 특허제3,800,176호에는, 다이나믹콘버전스장치릍 사용하지 않고 칼라영상관의 세개의 코프래나 빔을 콘버전스하는 장치가 설명되어 있다. 또한 여기에는 화면의 대각선 길이가 약 25인치 정도로 비교적 커다란 화면영상관에서, 간단한 다이나믹콘버전스장치를 사용하여 화면의 모든 점에서 빔을 콘버전스 할 수 있다. 이러한 장치는 본 발명에 의해 제공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간단한 콘버전스 장치를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편다. 칼라영상관은 세개의 상이한 칼라형광 요소로 구성편 화면파 세개의 코프래나 전자빔을 생성시키기 위한 전자총부픔을 포함한다. 정(Static) 콘버전스 장치는 화면의 중앙부분에서 세개의 전자빔을 콘버전스 시키도록 영상관에 관련해서 배치편다. 영상관의 넥크부분 주위에 동작관계를 유지하도록 배치편 편향요크는 수직파 수평편향코일을 포함한다.수펑코얼의 권선배치는 수평편향축을 따라 수직선을 콘버전스하기 위하여 부극성수평등방성 비점수차(非點數差)를 만들도록 선택되고, 수직코일의 권선배치는 수평선이 평형으로 되도록 선택된다. 화면상의 모든점에서 수평선을 콘버전스 시키고 또한 수펑 편향측을 따라 수직선을 집속시키기 위해 영상관에 관련하여 요크를 배치시키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코일권선부분은 넥크부분내에서 사극자 편향자계를 형성하도록 영상관의 넥크주위에 배치되고 또한 수직선을 콘버전스하기 위해 수직주사비에서 에너지로 코일권선부분을 여기시키는 장치가 있어서 세개의 빔이 화면의 모든점에 콘버전스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기술하겠다.
제1도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상부단면도 및 개략도이다. 칼라영상관 20은 유리덮개가 70파 면판 21을 포함한다. 면판 21의 포면내부에는 청, 녹 및 적색형광요소 22a,22b 및 22c 그룹이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영상파 20의 넥크부 내에는 각각의 칼라형광요소에 충돌하도록 구멍파스그 23의 구멍24를 통해 지나가는 세개의 코프래나 수평빔 B, G, 및 R을 형성서키는 전자총부품 25가 배치되어 있다. 영상관 20의 넥크영역 주위에는 수평 및 수직편향코일을 형성하는 콘덕터 27의 권선을 갖는 페라이트코어 26을 포함하고 있는 편향요크가 배치되어 있다. 편향요크 자체는 다음에 설명하는 사극자 자계형성 콘덕터로 구성된다. 영상관의 넥크 주위의 편향요크 뒤에는 정콘버전스부품 28이 배치되어 있다. 이 부품은 중앙전자빔에 의해 외부전자빔 2개가 일직선을 이루도톡 하기 위해 조정가능한 사극자 및 6극자 자계를 형성할 수 있는 형태로 될 수 있다.
이러한 장치는 미합중국특허 제3,725,831호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칼다순도조정장치 29는 정콘버전스부품 28뒤에 있다. 이 장치는 두개의 회전가능한 금속링으로 구성되는데, 이 금속링은 각각 그 직평 양단이 서로 다른 극성으로 자화되어 있다. 정 콘버전스 부품 28파 칼라순도부품 29는 여기에 설명된 바와같은 분리된 부품이거나 하나의 장치로 결합되는 수도 있다. 칼다순도 링부품 29는 세개의 내부선빔이 모두 이동하게 된다.
회로 32는 사극자권선에 결합되어 사극자권선을 여기시킨다. 종래의 설계로 된 수직편향발생기 30은 수직편향코일에 대한 파형 31로 표시편 주사전류를 발생시키고, 표시된 바와같이 극성이 결정되고 상호 접속된 다이오드 33a,33b,33c 및 33d로 구성된 다이오드 브릿지에 결합된다. 다이오드 33a와 33d의 애노드의 접합부는 저항기 34를 거쳐 직렬접속된 사극자권선의 일단에 결합된다. 사극전자권선의 타단은 다이오드 33b와 33c의 캐소드의 접합부에 결합된다. 공지된 바와같이 다이오드 브릿지는 선형톱니전류파형 31을 포물선형인 파형 35로 변형시킨다. 이 포물선전류파형 35는 이하에 설명된 바람직한 자계를 형성하기 위해서 사극자권선을 여기시키기에 적당하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편향요크의 수평편코일은 종래의 수평편향발생기에 의해 만들어진 주사전류이 의해 여기된다.
제2a도는 제1도에 도시한 편향요크의 수평편향코일에 의해 형성되는 수평편향자계를 도시한 것이다. 수평편향코일의 권선 배치는 자속선 40으로 도시된 핀쿠션형 자계를 형성하도록 선택된다. 이 자계는 중앙에서 가장 약해지고 수평방향으로 끝쪽으로 갈수록 점점 강해진다. 이 자계는 통상 발생되는 크로스해취라인테스트패턴(cross-hatch 1ine test pattern)이 영상관상에 표시될 때 제1도의 영상관 화면에서 관찰할 수 있는 바와같이 수평편향축을 따라 수직선을 콘버전스하는데 필요한크기의 부극성 수평등방성 비점수차를 만든다.
제2b도는 극선 Hy로써 도시한 바와갈은 이 편향자계의 상대적인 크기를 도시한 것이다. 또 이 자계는 중앙에서 보다는 수평편향축이나 X축의 가장자리 부분에서 강하게 된다.
제3a도는 수직방향으로 전자빔이 편향하게 하는 제1도의 요크의 수직편향코일에 의해 형성된 자속신 41로 구성된 편향자계를 도시한 것이다. 제3a도에서 알 수 있듯이, 자속선 41은 도면의 상부나 하부에서보다 수평중심선 근처에 밀집되어 있다. 그러므로, 제3a도에 도시한 자계는 라스터의 상반부내의 빔에 영향을 준다.
제3c도는 수직편향축 Y의 중앙으로부터 그 거리의 함수로써 수직자계의 강도를 나타내는 곡선 Hx를 도시한 것이다.
제3b도는 주사된 라스터의 하반부에서 빔을 편향하기 위해 수직편향코일에 의해 형성된 수직 편향자계를 도시한 것이다. 이 편향자계는 그 방향이 반전되는 것 이외에는 제3a도에 도시한 것파 동일한 특징을 갖는다. 자속선 41은 라스터의 중앙에 더욱 집중되고 최소한 주사된 라스터의 상부와 하부부분 근처의 농도와 강도를 갖고 있다. 제3c도의 곡선 Hx는 제3b도에 도시한 자계내의 자속밀도를 도시한 것이다.
제4도는 제1도내에 사용된 사극자권선장치에 의해 형성된 자속선 42로 구성되는 사극자 편향자계를 도시한 것이다. 사극자계는 화살표로 표시되는테, 이 화살표는 서로 90。의 관계로 배치되고 수평 및 수직편향축으로 부터 약 45정도로 분리된4극 43a,43b,43c 및 43d에 관련해서 방사상으르 표시된다. 그러나, 상이한 각 분리는 다른 요크권선 분리에 필요하게된다. 사극자계의 효파는 중앙녹색빔으로부터 떨어져서 각각 다른 방향으로 청색파 적색빔을 분리시키는테 있다. 빔상의 이러한 효파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간단한 콘버전스부품의 특징이다.
제5a도와 제5b도는 결합된 수직방향 자계와 사극자 편향자계를 도시한 것이다. 제5a도에서, 자속선 41은 라스터의 하부 부분에서 보다 직선에 가까워지며 밀도가 높아지고 라스터의 상무부 올라갈수록 밀도가 낮아지고 쉽게 구부러진다. 제5a도의 자계는 라스터의 상반부 내에서 세개의 전자빔을 전향시킨다. 이 편향자계의 강도는 제5c도에 굵은 곡선 Hx로 도시되어 있다. 라스터의 상부에서, 자속량은 라스터의 하반부에서 보다 적고, 상부와 하부는 X혹은 수평축에 관련해서 정해진다.
제5b도는 라스터의 하반부에서 빔에 영향을 주는 결합된 수평편향 및 사극자 편향자계를 도시한 것이다. 제5b도에서, 자속선 41은 라스터의 상부에서 더욱 직선에 가까워지고 밀도가 높아지며 하부에서는 밀도가 낮고 구부러진다. 자제강도 Hx는 제5c도에 점선곡선 Hx로 도시되어 있다.
제6도는 적합한 테스트신호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를 사용하는 텔레비존 수상기의 종래의 신호처리회로에 인가될 때 얻어지는 크로스해취패턴의 선특성을 도시한 것이다. 특히, 제6도는 사극자 편향자계를 추가하지 않고 영상관의 넥크 주위에 동작관계로 배치된 요크와 제2a,3a 및 3b도에 도시된 편항자계의 결파로써 얻어진 선패턴을 도시한 것이다. 수평적, 녹 및 청색선은 서로 평행되고 라스터의 모든점에서 수직방향으르 콘버전스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선의 작은 간격은 여기에 중첩된 세개의 선이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수직 적, 녹 및 청색 선은 수평편향축을 따라 콘버전스 되지만 라스터의 상부와 하부에서 콘버전스되는 것은 아니다. 적, 녹, 청색선은 라스터의 중앙상부와 하부에서 보다는 좌측 및 우측상부와 하부에서 더욱 크게 분리된다. 상기에 연급한 미합중국특허 제3,800,176호에 기술된 바와같이, 편향요크는 수평축을 따른 수직선의 콘버전스상태와 수평선의 콘버전스상태를 형성시키기 위해서 빔에 관련해서 요크의 편향자계를 일직선으로 배열하기 위하여 영상관에 관련해서 약간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콘버전스상태를 얻기 위해 편향요크에 대한 기울기 조정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크의축, 회전, 반전 및 경사(원하는 경우에)이동을 제공하기 위한 종래의 편향요크장착파, 바람직한 위치에 요크를 고착시키기 위한 장치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수평편향코일은 수평편향축을 따라 수직선을 콘버전스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수직코일의 권선배치는 수평선이 모든 라스터선에서 평형하게 되도톡 선택된다.
제7도는 제6도에 도시한 선상태를 얻었던 이전의 장치에 사극자계를 가하므로서 얻어지는 수직 및 수평선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제7도에서, 수직선뿐만 아니라 수평선이 콘버전스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간단히 말해서, 수평편향축을 따른 수직선의 콘버전스와 라스터의 모든 점에서의 수평선의 콘버전스를 얻도록 영상관에 관련해서 요크가 배치되고 편향코일이 실계되어 있다. 수직편향코일은 트랩(trap)이라고도 하는 비등방성 비점수차를 최소화 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트랩상태는 두 빔을 외측으로 분리시키므로서 만들어진 라스터가 사각형으로 있기 보다는 본래의 사다리꼴로 있을 때 존재한다. 그러나, 코일은 제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라스터의 상부와 하부에 빔이 콘버전스되어 이 트랩을 제거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사극자편향자계를 추가하면 콘버전스 수직선을 콘버전스시키므로 크로스해취 패턴선으로 쉽게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빔이 제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주사된 라스터의 모든 점에서 콘버전스된다.
실제적으로 평행인 영상관의 화면상에 나타나는 수직 혹은 수평선에 관련해서, 핀쿠션 보정회로가 사용될지라도 대부분의 텔레비존수상기가 약간의 핀쿠션 찌그러짐을 표시한다. 핀쿠션 찌그러짐은 선을 구부려뜨리는 효파를 갖고 있다. 이때 실제로 평행구부러짐선은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떨어진 두개 이상의 곡선일 수도 있다. 더구나, 약간의 선교차가 생기지만, 화면을 볼 수 없을 정도로 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약간의 교차선은 여기서 실제로 평행인 것으로 생각한다.
“실제콘버전스”라는 용어에 대해 논의하겠다. 특히 텔FP비죤수상기의 설계에서 비콘버전스한계 설정이 필요한 것은 텔레비죤수상기 제작자의 통상문제이다. 가능한한 영(zero)에 가깝게 비콘버전스를 유지하는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의 크로스해취선패턴테스트신호가 수상기에 인가됨에 따라 중첩된 적, 녹 및 청색선을 분리하므로써 비콘버전스가 관찰된다. 다수개의 영상관상에 편향요크, 정콘버전스부픔 및 사극 자계형정권선파 같은 다수의 성분을 제조공정때 장착하고, 평균측정 비콘버전스를 결정하므로서 비콘버전스설계 목표를 얻을 수 있다. 이 평균형태는 이것파 같고 설계의 기준을 형성한다. 토로이달(toroidal)편향코일을 사용하는 본 발명에서, 평균 비콘버전스는 라스터내의 최악의 위치에서 60밀(mi1s)정도이다. 안장형태의 편향코일을 사용하거나 요크내에 안장형 및 토로이달형 편향코일을 결합하면 약 90밀 정도로 평균비 콘버전스가 증가하게 된다.
물론, 제작자들은 서로 다른 설계를 하고 있으며 수상기 들도 평균 형태보다 비콘버전스 상태가 좋거나 나쁘게 된다. 더구나, 구성품의 조정상태는 비콘버전스량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비콘버전스를 거의 나타내지 않거나 125밀 이상의 콘버전스 비콘버전스를 나타내는 텔레비죤수상기에 사용될 수 있다.
제9도는 수직편향코일내의 주사전류를 불균형하게 하므로서 사극편향자계를 형성시키기 위한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요크코어 26은 한쌍의 수직편향 코일 61a 및 61b와 한쌍의 수평편향코일 62a 및 62b를 그 주위에 감고 있다. 수평코일은 병렬 접속되어 S정형 캐패시터 66을 거쳐 종래의 수평편향 발생기 60에 결합된다. 수직코일은 종래의 수직편향 발생기 30에 직렬결합된다. 직렬접속된 백-투-백(back-to-back) 다이오드 63파 64는 수직 발생기 30의 단자양단에 결합된다. 다이오드 63파 64의 애노드접합부는 전류제어 전위차계를 거쳐 수직코일 61a와 61b의 공통단자에 결합된다. 회로동작을 논의하기 위해서 수직 및 수평주사전류의 극성은 각각의 발생기출력단자에서 지시된 바와같다고 가정한다.
회로에서 다이오드 63과 64및 전위차계 65의 상호 접속을 무시하면, 코일 61a와 61b를 통하는 수직주사전류는 자속선
Figure kpo00001
Figure kpo00002
으로 도시된 수직편향자계를 형성한다. 코일 62a와 62b를 통하는 수평주사전류는 자속선
Figure kpo00003
Figure kpo00004
로 도시된 수평편향자계를 형성한다. 통상코일 61a와 61b에 의해 형성된 수직편향자계는 이두 코일을 통하는 주사전류가 모두 같기 때문에 서로 대칭형이다. 코일 61a와 61b내의 전류를 불균형하게 하므로서 제6도와 같은 수직선의 비콘버전스된 상부 및 하부부분을 콘버전스하기에 적당한 사극자계가 생길 수 있다. 필요한 불균형은 회로에서 다이오드 63파 64와 전위차계 65의 상호 접속으로 이루어진다.
제9도에 도시한 자속자계는 라스터의 상부 위측부분에 대한 것으로, 이하에 설명하겠다. 다른 라스터 부분내의 빔에 영향을 주는 자속자계는 동일한 방식으로 결정될 수 있다. 주사전류는 수직발생기 30의 +단자로부터 코일 61a, 전위차계 65 및 다이오드 63을 거쳐 발생기 30의 부극정단자로 호른다.
다이오드 64는 역바이어스된다. 또한 주사전류는 +단자로부터 코일 61a와 코일 61b를 거쳐 부극성 단자로 호른다. 그러므로, 전위차계 65와 다이오드 63은, 코일 61파 션트shunt)를 이루는 주사 전류용 통로가 된다. 코일 61a는 주사전류를 모두 받아들인다. 전위차계 65의 조정은 코일 61b를 거쳐 호르는 전류를 결정하여 코일 61a와 61b 사이의 전류의 불균형을 결정한다. 코일 61b를 거쳐 호르는 전류가 감소하면 자속
Figure kpo00005
이 감소되고 이것은 코일 61a에 의해 생성된 보조보정자속
Figure kpo00006
와 코일 61b와 연결된 반대된 보정자속
Figure kpo00007
파 동일하다. 그러므로, 만일
Figure kpo00008
Figure kpo00009
보다 작다면, 두개의 코일에 대한 정미(net)공통편향자속
Figure kpo00010
Figure kpo00011
와 같고
Figure kpo00012
Figure kpo00013
와 같다. 라스터의 상부내의 실질 자속
Figure kpo00014
Figure kpo00015
파 같고, 라스터의 하부내의 실질자속
Figure kpo00016
Figure kpo00017
와 같다.
만일 수펑코일 62a와 62b의 병렬회로가 접속을 부수므르서 개방상태로 되면 두개의 보정자속
Figure kpo00018
Figure kpo00019
는 같고 추가되며 코어 26내에서 트랩된다. 이 전체 보정자속
Figure kpo00020
Figure kpo00021
와 같고, 원형으로 둘러싸인 극성표시로 표시된 바와같은 극성으로된 코일 62a와62b내에 동일전압을 유도한다. 그러나, 수평코일이 제9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병렬로 접속되면, 코일 62a와 62b양단의 동일 및 반대 전압이 상쇄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코일은 보정자속
Figure kpo00022
에 의해 유도된 전압을 단락시킨다. 이결파 수평코일 62a와 62b에는 동일 및 반대자속
Figure kpo00023
,가 야기된다· 이 최종결파 4개의 보정자속성분
Figure kpo00024
Figure kpo00025
가 생기고 라스터상에 나타나는 수직선을 접속시키기에 필요한 사극자 편향자계를 형성한다.
빔이 라스터의 하부에 있을 때, 다이오드 64는 도전상태로 되고 코일 61a는 전체 주사전류양보다 적은량을 받아들이며, 다시 동일한 사극 자계형태는 제9도에 도시된 바와갈은
Figure kpo00026
,
Figure kpo00027
의 자속방향으로 결정된다.
제8a도, 제8b도 및 제8c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간단한 콘버전스 디스플레이장치에 사용된 사극자계를 형성하는 여러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제8a도에서, 토로이달 편향요크코어 32은 보정발생기 32의 출력단자들 사이에 직렬접속된 4개의 사극권선부분 47a,47b,47c 및 47d로 감겨져 있다. 보정발생기 32는 제1도에 도시한 보정발생기 32와 유사하여 사극권선을 여기시키기 위하여 수직 편향비로 포물선형 전류파를 형성한다. 여기에 설명한 사극자 권선 장치와 다른 형태의 장치는 순수 포물선파형이 아닌 전류형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들어, 톱니파형이 포물선파형파 결합될 수 있다. 권선 47a 내지 47d를 거쳐 호르는 전류는 도시한 것파 같은 자속선을 형성하므로, 바람직한 사극편향 자계를 형성한다.
제8b도는 사극 편향자계 형성장치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두개의 c형 코어 부재 48a와 48b는 편향요크 뒤에 있는 영상관의 넥크부분의 반대편에 수평으로 배치된다. 두개의 코일권선 부분 49a와 49b는 코어부재 48a와 48b주위에 각각 감기고 보정발생기 32의 출력단자들 사이에 직렬 접속된다. 코일 49a와49b를 통하는 보정전류는 바람직한 사극 편향자계인 자속자계를 형성한다.
제8c도는 사극 편향자계형성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4개의 투파성물질코어몸체 50a,50b,50c 및 50d는 편향요크의 후방부에서 방사형으로 장착되어 있으므르 요크에 의해 만들어진 편향자계에 찌그러짐이 생기지 않는다. 예를들면 이것들은 편향요크에 고착된 장착링에 의해 장착되고 서로 90°의 간격으로 떨어져서 요크의 반대편에 직선적으로 배치되고, 이 실시예에서는 요크의 수직 및 편향축으로 부터 45°씩 간격을 띠운다. 요크상에 장착되므로서, 사극자계는 요크가 이동함에 따라 편향자계와 일치하여 이동한다. 코어몸체 50a내지 50d 주위의 권선은 코일 51a 내지 51d이다. 이 코일들은 보정발생기 32의 출력단자들 사이에 직렬접속된다. 발생기 32에 의해 형성되고 코일 51a내지 51d를 거쳐 호르는 보정전류는 필요한 사극편향자개를 형성한다.
제8a도, 제8b도, 제8c지 및 제9도는 필요한 사극자계를 형성하기 위한 4개의 상이한 배열을 도시한 것이다. 이 각각의 구조는 별도로 여기된 코일부분파 갈은 편향요크상에 감겨질 수 있고 이들의 자계는 편향권선 부분에 의해 발생될 수 있으여 이것들은 편향요크의 뒤에 장착될 수도 있다. 사극자계를 만들기위한 다른 배열들이 본 발명을 실시할 때 이롭게 사용될 수 있다.
제10도는 본 발명의 일부로써 사용되는 토로이달편향요크의 한 사분원내의 콘덕터권선 분배를 도시한 것이다. 기준선 X와 Y는 제1도의 편향요크인 토로이달 편향요크의 수평 및 수직 편향축을 각각 표시한다. 제10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0으로 표시된 콘덕터는 수평자계형성 편향코일을 형성한다. X로 표시한 콘덕터는 수직 자계형성 편향코일을 나타낸다. △으로 표시된 콘덕터는 토르이달요크의 코어 주위에 감겨진 분리 사극자계형성코일 권선부분을 형성하는 콘덕터이다. 제10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이 실시예는 바람직한 코일권선부분을 형성하도톡 도시된 바와 같은 간격으로 배치된 4개의 콘덕터층이 있다. 도시된 특정권선배치는 110° 편향각파 25″의 화면 대각선 크기를 갖는 영상관에 사용하기에 적당하다.
제11도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사용된 편향 요크의 콘덕터 배치 W의 배열을 도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사분원 I내지 Ⅳ의 각각에서의 W부분은 제10도에 도시한 것파 같다. 각 부분은 각각의 사분원내에서 X축으로부터 Y축으로 코어주위로 원주형으로 연장된다. 이 콘덕터들은 페라이트코어 26주위에 환형으로 감긴다. 코어 26의 외부주변상에 나타나는 복귀 콘덕터는제11도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화면 대각선크기가 25˝인 110°편향각 영상관을 사용하는 여기에 기술한 본 발명의 장치에서, 어떤 장치는 특히 효파적인 디스플레이장치임을 알게 되었다. 특히, 편향코어의 실제길이는 수평감도가 증가되고 페라이트 물질내에 보유량이 큰 이러한 형태의 영상관상에 사용되는 이전의 요크의 코어보다 짧게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이러한 보유량은 수직콘덕터 권선수를 추가시키므로써 재결정된다. 그결과 5내지 6와트 정도로 수직편향장치에 의해 전력소모가 감소되었다. 예를들어, 종래 장치의 코어보파 약 10퍼센트 가량 짧아진 코어의 길이 축소는 콘덕터 권선수의 일정수에 비해 구리콘덕터의 길이를 감소시켜야한다. 따라서 코일의 L/R비율이 개선된다.
코어의 길이를 감소시키면 짧은 코어상에서 본 발명에 따라 감긴 코일로 요크의 전자-광학 기능을 개선할 수가 없다. 결과적인 소형 요크는 외부요크 자계의 범위를 감소시키는 이점이 있다. 보다긴 코어릍 가진 요크에서, 이러한 외부자계는 텔레비죤 수상기의 다른 부분파 결합하거나 불필요한 간섭을 야기시킨다.
최종차폐부품이 그 최종 후방 풀백(pu11-back) 위치에서 편향요크의 후방파 약간 떨어져 있는 위치로 영상관의 넥크부내에서 전방으로 전자총부품을 놓으므로써, 장치의 편향감도는 감소되지 않으나, 결파적인 소형 디스플레이장치가 빔콘버전스렌즈의 전자-광학 확대를 감소시키기 때문에 선명도가 좋아진다.
넥크칫수가 29mm인 영상관의 넥크부에 고착될 수 있는 전자총부품은 미합중국특허 제3,800,176호에 기술된 형태이지만 다음파 같은 차이가 있다. 즉 전자총의 빔형성 영역내의 구멍이 원형이 아니고 약간 타원형이다. 이 전자총부품은 적어도 하나의 공통 빔형성 구멍전극을 사용한다. 이 구멍전극은 필요한 빔랜딩 보정량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빔을 비교적 정확하게 랜딩시키는 정확한 구조로 되어 있다.

Claims (1)

  1. 도면에 도시하고 본문에 상술한 바와같이, 세개의 코프래나빔을 형성하기 위한 전자총부품을 갖고 있는 칼라영상관파, 상기 영상관의 화면중앙 영역에서 상기 세개의 빔을 콘버전스하기 위해서 상기 영상관에 관련하여 배치된 정콘버전스장치와, 상기 영상관의 넥크부분 주위에서 동작하도륵 배치되고 상기 빔이 라스터를 주사하게 하는 수직 및 수평편향코일로 구성된 편향요크를 포함하고 있는 간단해진 콘버전스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특히 상기 수평코일의 권선배치는 수평편향축을 따라 수직주사선을 콘버전스하기 위해 부극성 수평등방성 비점수차를 형성하도록 선택되고 상기 수직코일의 권선배치는 수평주사선이 평행으로 되도록 선택되며, 상기 화면의 모든 점에서 수평선을 콘버전스하기 위해 상기 빔에 파련해서 상기 요크의 편향자계를 배열하기 위하여 상기 영상관에 관련해서 상기 요크를 배치하기 위한 장치(26,27), 상기 영상관의 상기 넥크부분내에서 사극 편향자계를 만들기 위해서 상기 영상관의 넥크부분 주위에 배치된 코일권선부분(47a,47b,47c,4d), 및 상기 빔이 상기 화면상의 모든 점에 콘버전스 되도록 수직선을 콘버전스하기 위해서 수직주사비의 에너지로 상기 코일권선부분을 여기시키기 위한 장치(30,32)들을 특징으로하는 간편콘버전스 디스플레이장치.
KR7501082A 1975-05-16 1975-05-16 간편 콘버전스 디스플레이장치 KR800000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501082A KR800000316B1 (ko) 1975-05-16 1975-05-16 간편 콘버전스 디스플레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501082A KR800000316B1 (ko) 1975-05-16 1975-05-16 간편 콘버전스 디스플레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0316B1 true KR800000316B1 (ko) 1980-04-16

Family

ID=19201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501082A KR800000316B1 (ko) 1975-05-16 1975-05-16 간편 콘버전스 디스플레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0316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30185A (en) Display system with simplified convergence
US4257023A (en) Deflecting device for cathode-ray tube
FI60085C (fi) Korrektion av straolformen anvaendande foerevisningssystem
US3440483A (en) Color television display device
US4788470A (en) Deflection yoke apparatus with compensation magnetic field generating means
US3002120A (en) Beam convergence apparatus for tri-color kinescope
WO1992002033A1 (en) A deflection system with a pair of quadrupole arrangements
US3721930A (en) Deflection yoke for use with in-line electron guns
CA1093625A (en) Apparatus producing static eight-pole magnetic field for correcting raster distortion in a television picture tube
US4088930A (en) Color television display device including a cathode-ray tube
KR100235518B1 (ko) 빔 스폿을 조절하는 편향 시스템
KR800000316B1 (ko) 간편 콘버전스 디스플레이장치
US3789258A (en) Electron beam and deflection yoke alignment for producing convergence of plural in-line beams
US2806164A (en) Beam convergence apparatus for tri-color kinescopes
JPH0594781A (ja) カラー表示管システム
US3631296A (en) Television deflection system
Friend Deflection and convergence in color kinescopes
US3441788A (en) Circuit arrangements for dynamic lateral convergence
KR800000610B1 (ko) 비임형 보정을 이용한 디스플레이(display)장치
CA1311793C (en) Video apparatus having self-converging pattern-corrected deflection yoke
JP2001211460A (ja) 偏向ヨークおよびこれを用いたカラー陰極線管受像機
US4429258A (en) Electron beam alignment in tube/coil assemblies
USRE31552E (en) Electron beam and deflection yoke alignment for producing convergence of plural in-line beams
JP2557854B2 (ja) カラ−陰極線管用偏向装置
JPH0719547B2 (ja) コンバ−ジエンス補正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