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0266B1 - 조방기(粗紡機)에 있어서의 도핑방법 - Google Patents
조방기(粗紡機)에 있어서의 도핑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00000266B1 KR800000266B1 KR7502231A KR750002231A KR800000266B1 KR 800000266 B1 KR800000266 B1 KR 800000266B1 KR 7502231 A KR7502231 A KR 7502231A KR 750002231 A KR750002231 A KR 750002231A KR 800000266 B1 KR800000266 B1 KR 80000026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bbin
- doping
- conveyor
- shaft
- frame bod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9/00—Arrangements for replacing or removing bobbins, cores, receptacles, or completed packages at paying-out or take-up stations ; Combination of spinning-winding mach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제4도는 본 발명을 구체화한 조사권취기구의1 실시상태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제1도는, 권취(卷取)운전상태의 측면도이다.
제2도는, 도핑 상태의 측면도이다.
제3도는, 제1도에 있어서의 하부푸레임체를 확대하여 표시하는 단면도이다.
제4도는, 제2도에 있어서의 하부푸레임체를 확대하여 표시하는 단면도이다.
제5도-제8도는 마찬가지로 조사권취 기구의 다른 실시상태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제5도는 권취운전상태의 측면도이다.
제6도는 도핑 상태의 측면도이다.
제7도는 제5도에 있어서의 하부푸레임체를 확대하여 표시하는 요부(要部)단면도이다.
제8도는 제6도에 있어서의 하부푸레임체를 확대하여 표시하는 요부 단면도이다.
제9도 a,b-제14도는 보빈반송기구 및 보빈배출기구의 실시상태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제9도 a는 보빈반송수단의 좌측상면을 표시하는 평면도이다.
제9도 b는 마찬가지로 우측상면을 표시하는 평면도이다.
제10도는 보빈반송기구의 구동스프로켓트 부분을 확대하여 표시하는 평면도이다.
제11도는 상기 반송수단의 구동기구 및 보빈배출기구를 확대하여 표시하는 종단면도이다.
제12도는 제11도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종단면도이다.
제13도는 보빈배출기구의 돌상편을 끄집어내어 표시하는 확대 측면도이다.
제14도는 보빈배출기구의 캠부재의 캠면을 전개하여 표시하는 확대 전개도이다.
제15도 a,b-제23도는 상기 보빈반송기구에 부설되는 보빈 공급기구의 실시상태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제15도 a는 보빈공급상자 및 보빈수용상자의 배치구성을 표시하는 요부종단면도이다.
제15도 b는 보빈반송수단의 구동기구와의 연동구성을 표시하는 요부 정면도이다.
제16도는 상기 보빈공급상을 확대하여 표시하는 종단면도이다.
제17도는 마찬가지로 보빈공급상의 평면도이다.
제18도는 제16도의 18-18선에 있어서의 확대 단면도이다.
제19도는 상기 보빈수용상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제20도는 제19도에 있어서의 전자클럿치장치를 확대하여 표시하는 단면도이다.
제21도는 보빈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스윗치등을 갖춘 보빈반송기구의 실시상태를 표시하는 요부확대 평면도이다.
제22도는 제21도의 리밋트스윗치 부분을 확대하여 표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제23도는 보빈공급기구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도이다.
제24도-제28도 a,b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보빈의 일실시상태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제24도는 보빈반송기구의 보빈홀더상에 재치된 상태를 표시하는 보빈의 요부 파단(破圻) 측면도이다.
제25도는 마찬가지로 보빈홀더상에 경도된 상태를 표시하는 요부 파단 측면도이다.
제26도는 보빈구동수단과의 결합관계를 표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제27도는 마찬 가지로 저면도이다.
제28도 a ,b는 보빈저부에 형성된 경사면 및 감합구와, 보빈구동수단측에 설치된 계지편과의 계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전개도이다.
제29도-제32도는 상술한 제1도-제4도에 표시한 실시상태와 근사(近似)하는 상태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제29도는 권취운전상태의 측면도이다.
제30도는 도핑 상태의 측면도이다.
제31도는 제29도에 있어서의 하부푸레임체를 확대하여 표시하는 단면도이다.
제32도는 제30도에 있어서의 하부푸레임체를 확대하여 표시하는 단면도이다.
제33도 및 제34도는 상술한 제5도-제8도에 표시하는 실시상태와 근사하는 상태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제33도는 특히 하부푸레임체를 상세히 표시하는 요부 종단면도이다.
제34도는 제33도에 있어서의 벨트콘베이어 부분을 확대하여 표시하는 부분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조방기에 있어서의 도핑 방법에 관한것이며, 특히, 상부지지식 풀라이어(flyer)를 사용한 조방기에 있어서, 만관(滿管)의 보빈을 그 구동수단(驅動手段)으로부터 분리함과 더불어, 반송수단상에 재치(載置)하고, 이 반송수단에 의하여 풀라이어의 배열방향으로 반송한 후, 반송수단의 주회부(周回部)에 있어서 그 반송수단으로 부터 배출하여, 만관의 보빈을 자동적으로 도핑을 하는 조방기의 도핑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조방기에 있어서는 합리화의 일환(一環)으로서, 가동(稼動)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고속화 및 라아지 팩키지(large package)화의 경향이 현저하며, 거기에 따라서, 풀라이어는 대형화 하는것과 아울러 고강도의 것이 사용되어, 중량도 큰것으로 되었다. 이와같은 경향에 대처하여, 풀라이어의 고속안정성 및 도핑 작업의 용이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상부지지 식의 풀라이어가 채용되도록 되어왔다.
한편, 만관후의 도핑 작업의 합리화도 긴급한 과제로 되었다. 즉, 라아지팩키지화된 만관의 보빈을 손작업으로써 끄집어 내는 것은, 작업자에 대하여 매우 중노동일뿐이 아니라, 도핑 작업에 요하는 시간이 현저하게 길어지게 됨으로 조방기의 가동효율을 저하시키는 것이 되어, 일손이 부족한 오늘날, 매우 불리한 상황에 있다. 이 때문에, 만관의 보빈을 자동적으로 끄집어내는 도핑 방법이 필요하며, 더욱이 전추(全錘) 일제히 행할수 있는 도핑 방법이 희망되는 바이다.
이와같은 요망에 대처하기 위하여, 만관으로 된 보빈을 조방기로 부터 자동적으로 끄집어내는 도핑장치가 종래부터 여러가지 제안되었다.
그 하나는, 특공소(持公昭) 41-12057호 공보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만관의 보빈을 보빈레일(rail)로 부터 이탈시킴과 함께, 그 보빈레일상으로 부터 끄집어내기 위한 만관의 보빈용파지부(把持部)와, 공보빈을 보빈레일상에 공급하기 위한 공보빈용 파지부와를 구비한 도핑 레버어(lever)를, 조방기의 전부(前部)에 각추(鍾)마다, 각각, 대응하여 회동(回動)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도핑 레버어의 회동에 의하여, 보빈의 끄집어내기 및 공급에 필요한 량의 보빈레일 하강도중에 있어서, 상기 만관보빈 파지부로써 만관의 보빈을 보빈레일상으로 부터 끄집어내는것과 함께, 보빈레일의 상승시에 있어서 상기 공보빈용 파지부로써 공보빈을 보빈레일상에 지지시키도록 한 자동 도핑 장치이다. 또, 그외의 하나는, 특공소 41-12058호 공보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조방기의 전부에, 만관의 보빈을 보빈레일로 부터 이탈시켜, 거기서 부터 끄집어 내기 위한 파지부를 가진 취출간(取出杆)과, 공보빈을 보빈레일상에 공급하기 위한 파지부를 가진 공급간과를 각추마다 각각 대응하여 전진, 후퇴 운동 가능하게 배치하고, 상기 취출간 및 공급간의 전진, 후퇴운동에 의하여, 보빈레일상으로 부터 만관의 보빈을 끄집어 내는 동시에, 거기에 공보빈을 공급하도록 한 자동 도핑 장치이다.
또, 그외의 하나는, 특공소 48-3099호 공보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보빈을 재치하여 승강동작하는 보빈레일과 직교(直交) 하도록 조방기 전방의 기대(機臺)설치면에 레일을 병설(竝設)하고, 그 레일상에 보빈레일과 평행(平行)한 푸레임을 가진 대차(臺車)를 전후동 가능하게 재치하며, 그 대차의 전면에는 보빈의개수에 상당하는 포오크레버어(fork lever)를 돌설(突設)하고, 그 포오크 레버의 선단부에는 대차를 전진시켰을 때에 보빈의 포오크 계합부(係合部)와 계합하는 2차(又) 포오크부를 형성하고, 상기 보빈레일의 승강동작과 대차의 전후동과에 의하여, 각 포오크레버의 2차 포오크부에서 만관의 보빈을 전추 일제히 파지하여, 조방기로 부터 끄집어 내도록 한 도핑 장치이다.
그리고, 최후의 하나는, 특개소 48-1228호 공보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조방기의 전면에 도핑 기(機)를 진퇴운동 가능하게 배치하고, 그 도핑기에는 조방기측의 보빈선단에 진출하여 이것을 포착하기 위한 도핑레버어를 각추마다 대응하여 설치하는 것과 더불어, 그 도핑 레버어의 후퇴에 의하여 끄집어 내어진 만관의 보빈을 받아내기 위한 콘베이어를 설치하며, 상기 도핑레버의 진퇴동작에 의하여, 만관의 보빈을 전추 일체히 파지하여 조방기로부터 끄집어 내고, 상기 콘베이어상에 받아넘겨서, 상기 도핑기의 후퇴위치에 있어서, 콘베이어 상에 배치된 보빈을 반송하도록 한 도핑 장치이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같은 종래의 각종 도핑 장치는 어느것이든지 조방기의 전부(前部)에 있어서 그 전장(全長)에 걸쳐서 배치되고, 도핑레버어의 회동, 도핑레버어의 진퇴 혹은 도핑 레버를 구비한 대차 또는 도핑기의 진퇴에 의하여, 조방기로 부터 만관의 보빈을 끄집어 내도록 하고 있으므로, 도핑 장치 자체의 구조 및 그 구동기구의 구조가 극히 복잡한 것으로 되었다. 즉, 상기의 제1 및 제3의 종래장치에 있어서는, 보빈을 재치한 보빈레일을 만관보빈의 끄집어내는 것에 필요한 양만큼 하강시키고, 그 도중에 있어서 도핑 레버어를 회동 또는 전진시켜, 동(同) 도핑레버어 선단의 파지부를 만관보빈의 상단 또는 하단에 제지시키고, 상기 보빈레일을 더욱 하강시켜 상기 만관의 보빈을 보빈레일로 부터 이탈시킴과 함께, 도핑레버어의 파지부상에 지지하며, 그후에, 상기 도핑레버어를 회동 또는 후퇴시키고, 그 파지상에 지지된 만관의 보빈을 조방기의 전방에 끄집어내도록 하며, 또 상기 제4의 종래장치에 있어서는, 보빈을 재치한 보빈레일을 만관 보빈의 끄집어 내는것에 필요한 양만큼 하강시켜, 그 도중에 있어서 도핑 레버를 전진시키고 동 도핑레버어 선단의 파지부를 만관 보빈의 상단에 계지하여, 그후, 도핑레버를 상승시켜 상기 만관의 보빈을 파지부상에 지지함과 더불어, 보빈레일 상으로 부터 이탈시키고, 그후, 상기 도핑 레버어를 후퇴시켜, 그 파지부상에 지지된 만관의 보빈을 조방기의 전방에 끄집어내도록 하고 있으므로, 전추의 보빈에 각각 대응한 다수의 도핑레버어, 만관의 보빈을 보빈레일로 부터 이탈시켜, 도핑 레버어상에 받아넘기기위하여, 보빈레일 또는 도핑레버어를 상하방향에 상대 이동시키는 기구, 및 상기 제4의 종래장치에 있어서는 도핑 레버상의 만관 보빈을 콘베이어상에 받아 넘기기 위하여, 동 도핑 레버를 콘베이어상에 있어서 하강시킴과 더불어, 더욱 후퇴시키는 기구등이 필요로 되어, 도핑 장치 자체의 구조 및 그 구동기구의 구조가 극히 복잡하여, 고가의 것으로 되고, 더욱이 도핑 장치의 동작 타이밍과 조방기의 동작타이밍과를 일치시키는 것이 매우 곤란하여, 원활한 도핑 동작에 지장을 가져오는 큰 원인으로 되었다.
또, 상기 종래장치에 의한 도핑 방법에 있어서는, 만관의 보빈을 상하방향 및 전후방향에 이동시켜 조방기의 전방에 끄집어내어, 특히 제4의 종래장치에 있어서는 그후 전기만관의 보빈을 더욱 하강시키고, 콘베이어상에 재치시킴과 더불어, 조방기의 전방에 있어서 그 긴쪽 방향(長側方向)에 반송하고 있으므로 만관의 보빈을 조방기로 부터 끄집어 내어, 소정개소까지 반송하는데 요하는 도핑 동작시간이 현저하게 길게걸리고, 작업에 의한 도핑에 비교하면 조방기의 가동효율을 향상시킬수 있었다고 하여도, 아직 충분한 것이라고 할 수 없었다. 더욱이, 상기 종래장치에 의한 도핑 방법에 있어서는, 어느것이든지 도핑 레버가 만관보빈의 상단 또는 하단을 파지하고, 그 만관의 보빈을 상하방향 및 전후방향에 이동시켜 도핑 하도록 하고 있기때문에, 만관 보빈의 전중량이 상기 도핑레버에 의한 파지부에 집중하여 걸리고, 그 보빈의 파지부가 소모하여 보빈의 장기(長期) 반복사용이 불가능이었다.
그위에, 전술한 바와같이, 라아지팩키지 화가 추진되어, 만관의 보빈이 대경(大徑), 장대(長大)하며, 더욱이 대중량이 되면, 그것을 끄집어내기 위한 도핑레버를 견고히 구성하는 것과 더불어, 그 구동기구의 파우어(power)를 크게할 필요가 있으며, 또, 상기 도핑 레버에 의한 보빈의 파지부의 소모도 한층 조장되고, 상술한 도핑 장치의 구조의 복잡함과 보빈의 장기 반복사용의 곤란성에 박차를 거는 것이 되었다.
본 발명의 제일의 목적은 상부지지식 플라이어를 사용한 조방기에 있어서, 보빈을 지지하는 보빈구동수단과 동구동수단의 상부에 설치한 반송수단과를 보빈의 축선방향으로 상대 이동시키고, 만관의 보빈을 보빈구동수단으로 부터 분리함과 더불어, 반송수단상에 재치하도록 한것이 의하여, 상기 종래의 도핑 방법에 있어서의 몇개의 결함을 전부 해소시키며, 이 발명방법을 실시한 경우에는, 전추의 보빈에 각각 대응한 도핑 레버 및 동 도핑 레버어를 회동 또는 전후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등을 필요로 하지않으며, 장치자체의 구조 및 그 구동기구의 구조를 현저하게 간소화할 수 있는 것과 더불어, 원활히 도핑 동작을 행할수 있고, 더욱이, 상기 종래의 도핑 방향에 있어서의 만관보빈의 전후방향의 끄집어내기 동작을 생략하여 도핑에 요하는 시간을 대폭으로 단축하고 조방기의 가동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으며, 더욱이 보빈의 소모를 전혀 없게 하여, 보빈의 반복 사용을 가능하게 할수있는 신규한 도핑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 본 발명의 제2의 목적은 상기와 같이 반송수단상에 재치된 만관의 보빈을, 등 반송수단에 의하여 풀라이어의 배열방향에 반송하도록 한것에 의하여, 조방기의 전방에 도핑 장치를 설치하여 만관의 보빈을 조방기의 전방에 끄집어내도록 한 종래의 도핑 방법과는 달리, 조방기의 전부(前部)에 도핑 장치를 위한 특별의 스페이스를 취할 필요가 없고, 비교적 소면적의 방적공장내에 다수의 조방기를 합리적으로 배치하는것이 가능함과 아울러, 조방기의 운전중에 있어서 조사(粗系) 절단 보수등을 행하는 경우, 아울러 도핑 후에 조방기에 대하여 공보빈의 공급 및 공보빈에 대하여 조사의 실걸이등을 행하는 경우에도, 종래방법과는 달리 도핑 장치가 방해가 되는일도 없으며,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는 우수한 도핑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제3의 목적은 상기와 같이 반송수단에 의하여 반송된 만관의 보빈을, 반송수단의 주회부에 있어서 동반송수단으로 부터 배출하도록 한것에 의하여, 만관이 된 보빈의 보빈구동수단으로 부터의 분리, 동반송수단상으로의 재치, 동반송수단에 의한 반송 및 동반송수단으로 부터의 배출로 부터 이루어지는 일련(一連)의 도핑 동작을 자동적으로 행할수 있는 동시에, 상기 만관의 보빈을 반송수단의 주회에 있어서 일개소(一個所)에 배출하고, 그후의 만관보빈의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우수한 도핑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도핑 장치의 구성을 도면에 관하여 설명하면, 이 도핑 장치는 개략적으로 보아 보빈을 지지하고 또 그 외주에 조사를 권취(卷取)하기 위한 권취기구와, 만관이 된 보빈을 받아내어, 조방기의 일측부로 이송하기 위한 반송기구와, 그 반송기구상으로 부터 만관의 보빈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기구와, 상기 반송기구에 근접하여 부설되고, 반송기구상에 공보빈을 공급하기 위한 공보빈 공급기구로 부터 이루어져 있다.
거기에서, 이들의 각기구에 관하여, 그 상세를 순차 설명하면, 먼저, 제1도-제4도는 상기의 조사권취 기구의 일실시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이 조방기에서는, 다수의 거이 역(逆) U자형을 이루는 풀라이어(40)가 상부 레일(41)의 하면에 대하여 전후 2열로 지그재그상으로 정렬하여 현가(懸架) 지지되어, 그 상부레일(41)내에 장비된 구동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전추 일제히 회전 구동된다. 또, 상기 각 풀라이어(40)의 중앙부 하면으로 부터 한개의 스핀들(42)가 풀라이어(40)의 하단위치 부근까지 각각 돌출되며 또한, 풀라이어(40)의 한쪽의 완부(腕部)의 하단에는 수평방향에 뻗는 한개의 푸레써(43)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상부레일(41)의 하방에 있어서, 승강동작 가능하게 장설(裝設)된 하부푸레임체(44)는 특히 제3도 및 제4도로 부터 명백한 것과 같이, 상면이 개방된 거이 상자형 보빈레일(45)과, 그 상면에 있어서 상하방향에 분리 가능하게 재치된 콘베이어 레일(46)과, 그 상부를 덮도록 고정된 하면이 개방된 거이 상자형의 콘베이어 커버(47)로 이루어지며, 별도 구동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제1도에 표시하는 권취상승 위치에 있어서 일정승강 범위내에서 일체적으로 승강 작동된다.
상반부에 지지부(48a)를 가지고 있으며, 하단부에 나사부(48b)를 가지는 다수의 지지축(48)은 특히 제3도 및 제4도로부터 명백한 바와같이, 그 하반부가 상기 보빈레일(45)의 저부전후 양측에 각각 관삽(貫揷)되어, 상기 나사부(48b)에 박혀진 너트(49)에 의하여 각 풀라이어(40)의 회전축선과 일치하도록 전후 2열로 정열하여 돌출고정되어, 상기 지지부(48a)의 주측에는 한쌍의 베어링(50a),(50b) 및 1개의 슬리이브(51)를 거쳐서 다수의 통상의 보기 구동축(52)이 각각 회전자재로 지지되어 있다.
상기 각 보빈구동측(52)은 콘베이어 레일(46) 및 콘베이어커버(47)에 형성된 투공(透孔)을 통하여 상방에 뻗으며, 그 상단에는 소경으로 선단테이퍼(taper)상의 감합지지통부(52a) 및 한쌍의 계지편(52b)이 각각 형성되어, 하단에는 피동치차(被動齒車)(5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빈구동축(52)의 전후양렬의 거이 중앙부에 있어서의 보빈레일(45)상에는 그 긴쪽 방향으로 뻗는 전추공통의 한개의 주구동축(54)이 가설되고, 그 주측부에는 볼트(55)에 의하여 상기 각 보빈구동축(52)하단의 피동 치차(53)와 각각 맞물고 있는 다수의 구동치차(56)가 고정되며, 제1도 및 제3도에 표시하는 하부푸레임체(44)의 권취상승위치에 있어서 상기 주구동축(54)이 모우터등의 구동원(驅動源) (도시하지않음)에 의하여 회전되었을때, 그 회전이 전기 각 구동치차(56) 및 피동치차(53)를 거쳐서 각 보빈구동축(52)에 전달되어, 다수의 보빈구동축52)이 일제히 회전된다.
상기 각 보빈구동축(52) 상단의 감합지지통부(52a)에 각각 감합지지되는 다수의 보빈(57)은 특히 제3도 제4도 및 제24-제28도 a,b로 부터 명백한 바와같이, 저부(底部)의 일부분에 대경부(大徑部)(57a)를 가지고 거이 원통상을 이루고, 그 저단에는 윤상구(輪狀溝) (58) 및 단차부(段差部) (59)가 형성되어, 그 단차부(59)의 하단주연에는 상기 보빈구동축(52) 상단의 한쌍의 계지편(52b)과 접접(摺接)할 수 있는 경사면(60) 및 상기 계지편(52b)과 계합할 수 있는 감합구(溝)(61)가 인접하여 복수쌍(複數雙)으로 형성되어있다,
또, 상기 각 보빈(57)은 제1도에 표시하는 하부푸레임체(44)의 권취 상승위치에 있어서, 그 상단에 형성된 가이드통부(57b)부터, 상기 각 풀라이어(40) 중앙부 하면의 스핀들(42)이 각각 감삽되어, 그 스핀들(42)에 의하여 권취동작중은 직립상태로 안정 유지된다.
따라서, 보빈레일(45), 콘베이어레일(46) 및 콘베이어커버 (47)로 이루어지는 하부푸레임 (44)이 제 1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상방의 권취위치까지 상승되어 소정범위내에 일체적으로 승강동작되고, 상기 주구동축(54)의 회전에 의하여 각 구동치차(56) 및 피동치차(53)를 거쳐서 각 보빈구동축(52)이 회전되며, 그 상단의 감합지지통부(52a)에 감합지지된 보빈(57)이 전추 일제히 회전되고, 더욱이 상기 상부레일(41) 내의구동기구에 의하여, 각 풀라이어(40)가 일제히 회전되면, 그들의 풀라이어(40)로부터 푸레써(43)를 통하여 각 보빈(57)의 외주부에 안내되는 조사는 보빈(57)과의 상대속도차에 의하여 그 보빈(57)의 외주에 권취된다.
이와같이 권취운전되어, 각 보빈(57)이 조사가 가득이 감아져서 만관사(62)가 형성되면, 이것을 도핑하기 위하여 상기 주구동측(54)이 정지된 후, 제1도의 권취상승 위치에 있는 하부푸레임체(44)가 상기 권취승강 범위로부터, 일체로 되어 하강되어, 제2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각 풀라이어(40)의 중앙부 하면에 돌출된 스핀들(42)이 각 보빈(57) 상단의 가이드(guide) 통부(57b)로 부터 일제히 뽑아진다.
이 하부푸레임체(44)의 하강시에 있어서, 보빈레일(45)이 콘베이어레일(46) 및 콘베이어커버(47)로부터 불리하고 더욱 하강되도록, 상기 콘베이어레일(46)의 하면 적당한 곳에는 볼트(63)에 의하여 복수개의 거이 원통상의 가이드 바아(guide bar)(64)가 고정되어, 각 가이드 바아(64)는 제3도 및 제4도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보빈레일(45)에 고정시킨 복수개의 슬리브(65) 내를 상하 접동가능하게 관통하며, 보빈레일(45)의 하방에 각각 돌출하고, 그들의 가이드 바아(64)에 대응하여, 조방기의 하부기대(66) 상면에는 제2도 및 제4도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각 가이드 바아(64)의 하단면과 당접할 수 있는 복수개의 스톱퍼(stopper)(67)가 돌설되어 있다.
또, 상기 각 스톱퍼(67)는, 제4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기대(66)의 상면에 고정되고, 중앙부에 나사구멍(68)을 가지는 지지블록(69)과, 상기 나사공(68)내에 조절가능하게 박힌 나사부(70)를 가지며 , 넛트(71)에 의하여 소망(所望)의 높이 위치에 조절고정되는 스톱프편(72)과, 전기지지블록(69) 및 스톱프편(72)의 외측에 감삽된 보호통(7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톱프편(72)을 회동하여 나사구멍(68)에 대한 나사부(70)의 박히는 양을 변화시키는 것에 의하여, 스톱프편(72)의 높이 위치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제1도의 권취상승위치에 있는 하부푸레임체(44)가 권취승강범위로부터 더욱 하강되어, 제2도 및 제4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 바아(64)의 하단면이 이 스톱퍼(67)의 상단면에 당접한 때, 콘베이어 레일(46)의 하강동작이 규제되고, 그 콘베이어레일(46) 및 콘베이어커버(47)는 그 도면에 표시하는 위치에서 정지보지되며, 보빈레일(45)만이 콘베이어레일(46) 및 콘베이어커버(47)로부터 분리하여 더욱 하강된다. 그 하강에 따라서, 각 만관사(62)의 보빈(57)을 지지하는 다수의 보빈구동축(52)도 일제히 하강되고, 그 보빈구동축(52)의 상단이 제4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콘베이어커버(47)에 형성된 투공 부근에 접근하였을 때, 리밋트 스위치(limit switch) 등의 감지수단(感知手段)(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상기보빈레일(45)의 하강동작이 정지된다.
이때에, 상기 만관사(62)의 보빈(57)은 전추 일제히 보빈구동축(52) 상단의 감합지지통부(52a)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콘베이어레일(46)의 상면에 설치된 후술하는 반송수단상에 받아넘겨진다.
다음에, 제5도-제8도에 표시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조사권취기구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관하여 설명하면, 이 조방기는 상부레일(81)와 하면에 현가 지지되고, 스핀들(82) 및 푸레써(83)를 가지는 풀라이어(80)의 구성에 있어서는 상술한 제1도-제4도에 표시하는 실시상태와 동일하지만, 하부푸레임체(84)의 구성 및 보빈(57)을 회전 및 승강동작시키기 위한 구동기구의 구성에 있어서 제1도-제4도에 표시하는 실시상태와는 상위(相違)하다.
즉, 이 실시상태의 하부푸레임체(84)는 제7도 및 제8도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거이 평판상(平板狀)을 이루는 저부지지푸레임(85)과 저부지지푸레임(85)의 상면에 재치고정된 취부(取付)푸레임(86)과, 그 취부프레임(86)을 덮도록 고정된 커버(87)로 이루어지고, 상면(床面)상에 승강동작 불능하게 설치고정되어 있다. 상기 취부푸레임(86)의 전후방향의 거이 중앙에 있어서 그 긴쪽방향에 가설된 전추공통의 상부구동축(88) 및 하부 구동축(89)의 외주에는, 각추마다의 다수의 구동치차(90),(91)가 각각 고정되며, 상기 상부구동축(88)은 모우터 등의 동력원(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회전되고, 또 상기 하부 구동축(89)은 적당한 변속기구(도시하지 않음) 등을 거쳐서 연속 회전된다.
상기 하부 구동축(89)의 전후 양측에 있어서, 상기 각 풀라이어(80)의 회전축선과 일치하도록 베어링(92)에 의하여, 상기 저부지지푸레임(85)의 상면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승된 다수의 피동치차(93)는, 전기 하부의 구동치차(91)에 항시 맞물고 회전되고, 그중앙부 상면에 입설(立設)된 나사봉(94)은 상기 커버(87)의 정부(頂部) 부근까지 뻗어서 그 상단부에 스톱프편(95)을 가지고 있다. 상기 취부푸레임(86)의 정부(頂部)와 상기 각 피동치차(93)와의 사이에 있어서 상기 나사봉(94)을 동심적(同心的)으로 포위하도록, 베어링(96a),(96b)에 의하여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승된 다수의 원통상의 회전통체(97)의 거이 중앙부 외주에는, 상기 상부의 구동치차(90)와 항시 맞무는 피동치차(98)이 고정되고, 상기 각 회전통체(97)는 상기 상부구동축(88)의 회전에 따라서, 일제히 회전된다.
상기 각 회전통체(97) 내에 각각 상하의 접동가능하게 감삽된 거이 원통상의 다수의 볼스터(bolster)(99)는, 그 하단 일측부에 슬라이드키이(slide key)(100)를 가지며, 그 슬라이드키이 (100)는 상기 회전통체(97)의 내주면의 일측에 형성 키이홈(溝)(97a) 내에 상하 접동 가능하게 계합되고, 그 상하 접동이 허용되는 것과 더불어, 회전전달이 유지된다. 또, 상기 볼스터(99)의 하단부에는 상기 나사봉(94)에 나합(螺合)하는 나사부(99c)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구동축(88)에 의하여 상부의 구동치차(90) 및 피동치차(98)를 거쳐 회전통체(97)와 일체적으로 회전되는 볼스터(99)는, 상기 하부구동축(89)에 의하여 하부의 구동치차(91) 및 피동치차(93)을 거쳐서 회전되는 나사봉(94)과의 회전속도차에 의하여 승강 동작된다. 더욱이, 상기 볼스터(99)는 제7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통체(97) 내로부터 하부푸레임체(84)의 커버(87) 정면(頂面)에 형성된 투공내를 통하여 상방에 돌출할 수 있으며, 그 상단에는 상기 보빈(57)의 저부에 감합할 수 있는 소경(小徑)으로 된 선단 테이퍼상의 감합지지통부(99a) 및 보빈(57) 저부의 감합구(61)에 계합할 수 있는 한쌍지 계지편(99b)이 각각 형성되고, 상술한 제1도-제4도의 실시상태에 있어서의 보빈 구동축(52)과 동일하게, 보빈(57)을 감합지지한다.
따라서, 상기 각 볼스터(99)가 제5도 및 제7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통체(97) 내로부터 하부푸레임체(84)의 커버(87)의 정부에 형성된 투공을 통하여 상방에 돌출되어, 그 상단의 감합지지통부(99a)에 있어서 보빈(57)을 권취상승위치에 보지한 상태에서, 상기 각 풀라이어(80) 및 하부푸레임체(84) 내의 상하양구동축(88),(89)이 회전되면, 상부구동축(88)의 회전은 상부의 구동치차(90), 피동치차(98), 회전통체(97) 및 슬라이드키이(100)을 거쳐서 각 볼스터(99)에 각각 전달되는 동시, 하부구동축(89)의 회전은 하부의 구동치차(91) 및 피동치차(93)를 거쳐서 각 나사봉(94)에 각각 전달된다.
그리하여, 상기 각 볼스터(99)는 한방으로 일제히 회전되는 동시에, 그 하단의 나사부(99c)에 나합된 나사봉(94)과 회전차에 응하여 회전통체(97) 내를 일정 범위내로 승강 동작되어, 상기 각 보빈(57)의 외주에 조사가 일제히 권취된다.
이와같이 권취운전되어, 각 보빈(57)에 조사가 가득이 감기어 만관사(62)가 형성되면, 각 풀라이어(80)및 하부푸레임체(84) 내의 상부구동축(88)이 정지되어 하부구동축(89)만이 회전되고, 각 볼스터(99)는 회전됨이 없이, 나사봉(94)에 의하여, 전추 일제히 상기 권취승강 범위로부터 더욱 하강되며, 제8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푸레임체(84) 내에 몰입(沒入)된다. 따라서, 만관사(62)의 보빈(57)은 상기 볼스터(99) 상단의 감합지지통부(99a)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하부푸레임체(84)의 취부푸레임(86) 상면에 설치된 후술의 반송수단상에 받아 넘겨진다.
이와같이, 제1도-제4도에 표시하는 권취기구 또는 제5도-제8도에 표시하는 권취기구에 의하여 조사가 가득이 권취된 만관사(62)의 보빈(57)은 보빈구동축(52) 또는 볼스터(99)의 하강에 의하여 그들로부터 전추 일제히 분리되어 바로 반송수단상에 재치되고, 그후 전기반송수단에 의하여 조방기의 하부푸레임체(44),(84) 상면에 있어서 그 장수방향에 반송된다. 이 반송수단외 구성은 특히, 제3도, 제4도, 제7도, 제8도, 제9도 a,b 및 제10도에 상세히 표시되어 있으며, 이하 그 구성을 설명한다.
먼저, 하부푸레임체(44)(84)의 콘베이어레일(46) 혹은 취부푸레임(86)의 상면 전후양측단부에 있어서 적당한 개수의 볼트(110)에 의하여 고정된 전후 한쌍의 콘베이어가이드레일(111)은 상방에 개방하도록 측면 거이 U자상을 이루고, 특히 제9로 a,b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상기 콘베이어레일(46) 혹은 취부푸레임(86)의 상면 거이 전장에 걸쳐서 긴쪽 방향에 평행으로 뻗어있다.
상기 콘베이어레일(46) 혹은 취부푸레임(86)의 좌단상면에는, 주측(周側)에 다수의 클로오(claw)부(112a)를 가지는 한개의 구동 스프로켓트(sprocket)(112)가 회전가능하게 지승되어 있는 동시에, 똑같이 우단상면에는 주측에 다수의 클로오부(113a)를 가지는 한개의 피동스프로켓트(113)가 회전가능하게 지승되어 있어, 상기 양스프로켓트(112),(113)간에 계장(掛裝)된 무단상(無端狀)의 체인콘베이어 (114)는 상기 한쌍의 콘베이어가이드레일(111) 내에 활동(滑動) 가능하게 수용되며, 상기 구동스프로켓트(112)의 회전에 따라서 평면 트랙(track)상의 궤적(軌跡) 내에서 제9도 a,b에 있어서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행된다. 또, 상기 체인 콘베이어(114)는 단부에 있어서 서로 중합연결되어 상하로 평형이고 긴쪽 방향에 대상(帶狀)으로 뻗는 다수의 체인편(114a)과, 그들의 상하체인편(114a)의 연결부간에 회전자재로 개장(介裝)된 다수의 로울러(114b)와, 상기 체인편(114a)의 연결부 하면에 고정된 측면 거이 역 U자상의 각편(脚片)(114c)으로. 이루어지며, 그 좌우양주회부(周回部)에 있어서 상하의 체인편(114a)간에 상기 스프로켓트(112),(1I3)와 클로오(claw) 부(112a),(113a)가 계합된다. 상기 체인콘베이어(114)의 임의의 체인편(114a)상에, 상기 보빈구동축(52) 혹은 볼스터(99)의 배치간격과 일치하는 간격으로써 외단부를 고정시켜진 다수의 보빈홀더(holder)(115)는 제3도, 제4도, 제7도 및 제8도로 부터 명백한 바와같이, 하부푸레임체(44)(84)의 콘베이어커버(47) 혹은 커버(87)에 형성된 구부(溝部)를 통하여 상방에 뻗고, 내단하면에 고정된 슬라이더(slider)(116)에 의하여 상기 콘베이어커버(47) 혹은 커버(87)의 상면에 긴쪽 방향으로 접동가능하게 지승된다. 상기 각 보빈 홀더(115)의 수평상을 이루는 보빈지지면(115a)상에 각각 돌설된 다수의 원통상의 보빈지지통(117)은 상기 체인콘베이어(114)가 조사권취 동작때문에 정지되었을때에, 제4도 및 제8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각 보빈구동축(52) 혹은 볼스터(99)의 회전축선과 각각 동심상에 배치되어, 제3도 및 제7도로 부터 명백한 바와같이, 각 보빈 구동축(52) 혹은 볼스터(99)의 상승작용을 허용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같이 만관사(62)의 보빈(57)을 지지한 각 보빈 구동축(52) 혹은 볼스터(99)가 도핑을 위하여 제4도 및 제8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전추 일제히 하강되면, 상기 만관사(62)의 보빈(57)은 전추 일제히 보빈구동축(52) 혹은 볼스터(99)의 감합지지통부(52a),(99a)로 부터 분리되어, 전후방향에 이동됨이 없이 즉시로 상기 보빈홀더(115)의 보빈지지면(115a)상에 재치된다. 그리고, 이 재치 상태에 있어서, 제4도 및 제8도로 부터 명백한 것처럼, 각 보빈(57) 저부의 윤상구(輪狀溝)(58) 내에 상기 보빈지지통(117)이 감삽되며, 만관사(62)의 보빈(57)은 상기 보빈홀더(115)의 보빈지지면(115a) 상에 안정된다. 더욱이, 제1도-제4도에 표시하는 실시상태에서는, 보빈구동축(52)의 상승위치에 있어서도, 상기 보빈지지통(117)이 보빈(57) 저부의 윤상구(58)내에 유감(遊嵌)되어 있는데, 보빈(57)의 저면이 제3도로부터 명백한 바와같이, 상기 보빈홀더(115)의 보빈지지면(115a)으로 부터 상방에 되어있기때문에, 보빈(57)의 권취회전에 지장을 가져오는 일은 없다.
이와같이 보빈구동축(52) 혹은 볼스터(99)로 부터 분리되어 보빈홀더(115) 상에 재치된 다수의 만관사(62)의 보빈(57)은 상기 구동스프로켓트(112)의 회전에 의하여 체인콘베이어(114)가 제9도 a,b에 있어서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행되면, 상기풀라이어(40),(80)와 하부푸레임체(44),(84)의 콘베이어커버(47) 혹은 커버(87)와의 사이에 공간내에서, 풀라이어(40),(80)의 회전축심을 맺는 선상에 있어서 하부푸레임체(44),(84)의 긴쪽방향으로 반송된다. 이 구동스프로켓트(112)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기구는 특히 제11도 및 제12도에 상세히 표시되어 있으며, 이하는 그 구성을 설명한다.
한편, 동도면에 표시된 구동기구는 특히 제1도-제4도에 표시된 조사권취 기구에 적합한 실시상태로서, 전술의 반송수단을 지지하고, 풀라이어(40)의 하방에 있어서 승강동작되는 하부 푸레임체(44) 측에 설치된 피동부와, 그 피동부에 대하여 접리(接離)가능하게 대응하도록 하부기대(66) 측에 설치된 구동부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하부푸레임체(44)측의 피동부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하부푸레임체(44)의 콘베이어레일(46)의 좌단부 상면에 형성된 수용 凹부(46a) 내에는 볼트(120)에 의하여 한개의 거이 원통상의 지지통(121)이 입설되고, 그 지지통(121) 내에는 베어링(122a)(122b) 및 슬리브(123)을 거쳐서 한개의 피동축(124)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피동축(124)의 상단에는 볼트(125)에 의하여 키이(126)를 거쳐서 상기 구동스프로켓트(112)가 고정되며, 상기 볼트(125)의 상부에는 캡(cap)(127)이 씨워져 있다. 또, 상기 피동축(124)의 하단중앙부에는 테이퍼상을 이루는 감합공(128)이 형성되어 있는 것과 더불어, 하단 주측연(周側緣)에는 하단 주연에 다수의 클로오부(129a)를 가지는 클럿치반(129)이 하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콘베이어레일(46)의 수용 凹부(46a) 저부에 형성된 투공을 통하여 하방에 돌출하고 있다.
다음에, 하부기대(66)측의 구동부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하부기대(66)의 좌단부상면에 볼트(130)에 의하여 고정된 설치대(設置台)(131)의 중앙부 상면에는 상기 피동축(124)의 회전축선과 일치하도록 한개의 지축(132)이 입설되고, 그 상면 중앙부에 형성된 지지공(132a)내에는, 상단이 테이퍼상의 돌부(突部)(133)을 가지고 있는 연결축(134)이 감합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같이 상기 콘베이어레일(46)의 하면에 돌설된 적당한 개수의 가이드바아(64)가 하부기대(66)의 상단에 돌설된 스톱퍼(67)와 당접하는 위치까지 상기 하부푸레임체(44)가 도핑 때문에 하강되었을때, 상기 피동축(124)하면의 테이퍼상 감합공(128)이 연결축(134)상단의 테이퍼상 돌부(133)가 감삽되고, 양축(124),(134)의 축선은 용이하게 일치 연결된다.
상기 지축(132)의 외주에 슬리브(135)를 개하여 상하접동 및 회전 가능하게 지승된 클럿치체(136)는 그 상단주연에 상기 피동축의 클럿치반(129)의 클로오부(129a)와 계합할수 있는 다수의 클로오부(136a)를 가지고, 상기 지축(132)중앙부의 프랜지(132b)상에 재치한 스프링좌(座)(137)와 상기 클럿치체(136)과의 사이에 개장(介裝)된 코일스프링(138)에 의하여, 지축(132)의 상단에 설치한 스톱퍼(139)에 의하여 제한되는 상방 위치를 향하여 부세(附勢)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푸레임체(44)가 도핑 때문에 하강되어, 피동축의 클럿치반(129)이 구동축의 클럿치체(136)에 연결된때에, 양자(129),(136)의 클로오부(129a),(136a)가 서로 계합하지 않는 상태에서 당접되면, 클럿치체(136)가 코일스프링(138)의 탄성작용에 대항하여 조금만 하강되어, 양 클로오부(129a),(136a)는 격돌(激突)되는 일없이 완충적으로 계합된다.
상기 클럿치체(136)의 통상부 외축에 슬라이드키이(140)를 거쳐서 상하 방향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구동치차(141)은 상술한 클럿치반(129)파 클럿치체(136)의 연결상태에 있어서, 모우터등의 동력원(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적절한 치차 전달기구를 거쳐서 회전되고, 그 회전이 상기 슬라이드키이(140), 클럿치체(136), 클럿치반(129) 및 피동축(124)을 거쳐서 상기 구동스프로켓트(112)에 전달되며, 상기 체인콘베이어(114) 는 제9도 a,b에 있어서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행된다.
더욱이, 상기 코일스프링(138)은 설치대(131)의 상면에 볼트(142)에 의하여 고정된 원통상의 보호통체(143)에 의하여 포위되어 보호되고, 또 상기 지축(132)의 상단부는 연결축(134) 중앙부의 프랜지(134a)와 슬리브(135)의 상단주측(周惻)과의 사이에 설치된 벨로우즈(bellows)(144)에 의하여 먼지의 혼입을 방지하고 있다.
따라서, 제11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하부푸레임체(44)가 도핑을 위하여 하강되면, 구동축의 연결축(134)상단의 테이퍼상 돌부(133)이 피동축의 피동축(124)하단의 테이퍼상 감합공(128)에 감삽되어 양축(134),(124)의 축심이 일치연결되며, 피동축의 클럿치반(129)의 클로오부(129a)가 구동축의 클럿치체(136)의 클로오부(136a)에 계합되어 양자(129),(136)가 연결되고, 그후, 구동치차(141)가 회전되면, 그 회전이 피동축에 설치된 구동스프로켓트(112)에 전달되며, 체인 콘베이어(114)는, 제9도 a,b의 화살표방향으로 이행된다.
거기에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각 보빈홀더(115)상에, 각각재치 되어 있는 다수의 만관사(62)의 보빈(57)은 상기 풀라이어(40) 및 보빈 구동축(52)의 회전축선상의 위치로 부터, 풀라이어(40)와 하부푸레임체(44)의 콘베이어커버(47)와의 사이의 공간내에서 풀라이어(40)의 회전축심을 맺는 선상에 있어서 하부푸레임체(44)의 긴쪽방향으로 반송되고, 상기 체인 콘베이어(114)의 좌단 주희부분에 있어서, 상기 구동스프로켓(112)상에 장설(裝設)된 후술하는 배출기구에 의하여, 상기 보빈홀더(115)상으로 부터 배출된다.
또, 상기 만관사(62)의 보빈(57)이 배출된후, 하부푸레임체(44)가 제12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조사권취를 위하여 상승되면, 피동측의 클럿치반(129)가 구동축의 클럿치체(136) 로부터 떨어져서, 피동측부분만이 하부푸레임체(44)와 더불어 제1도에 표시하는 권취상승위치까지 상승된다. 따라서, 하부푸레임체(44)는 비교적 경량으로되고, 상술한 권취상승위치까지의 상승시 및 그위치에 있어서 승강동작시에 있어서도, 지장을 가져 오는 일이 없으며 원활히 동작을 행한다.
다음에, 제10도-제14도를 특히 참조하어, 상기와 같이 하부푸레임체(44)의 좌단부에 반송되어 오는 만관사(62)의 보빈(57)을 보빈홀더(115)상으로 부터 배출하기 위한 보빈배출기구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구동스프로켓트(112)에는, 제10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상기 체인콘베이어(114)의 이행에 의하여 이 구동스프로켓트(112)의 상면을 주희시켜지는 보빈홀더(115)상의 보빈지지통(117)의 축심과, 제10도에 있어서의 90°∼270°의 사이에 일치하도록, 복수개(실시예에서는 4개)의 부착공(150)이 동일원주상에 동일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그들의 부착공(150)내에 고정된 슬리브(151)를 거쳐서 각각 감삽된 복수개의 거이 유저(有底)원통상의 돌상편(突上片)(152)은 제11도-제13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그 중앙부 양측에 형성된 상하방향에 뻗는 장공(長孔)(152a)내에 상기 슬리브(151)의 상단 주연간에 가설된 핀(153)이 관통되어, 그 핀(153)에 의하여 상하 방향에 안내 접동된다. 또, 상기 돌상편(152)의 저부상면과 핀(153)의 하면과의 사이에는 코일스프링(154)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각 돌상편(152)는 각 코일스프링(154)에 의하여 하방으로 부세되어 있다.
상기 각 돌상편(152)의 저부에 각각 회전자재로 부착된 로울(roll)(155)은 제11도 및 제12도에 표시하는바와 같이 상기 지지통(121)의 하부주측에 감삽 고정된 캠(cam)부재(156)의 캠면(157)상에 전동(轉動) 가능하게 재치되어 있다. 또, 상기 캠부재(156)의 캠면(I57)은 특히 제10도 및 제14도로 부터 명백한 바와같이, 상기 구동스프로켓트(112)의 회전방향(1회전의 0°∼360°방향)에 향하여, 낮은면(157a), 상승경사면(157b) 높은면(157c), 하강 경사면(157d) 및 상기 최초의 낮은면(157a)에 연속하는 낮은면(157e)을 가지며, 상기 구동스프로켓트(112)의 회전에 따라서 각 돌상편(157a)저부의 로울(155)가 이 캠면(157)에 따라서 전동되어, 각 돌상편(152)는 상기 코일스프링(I55)의 탄성작용에 대항하여 또 탄성작용에 의하여 상기 구동스프로켓트(112)로 부터 출몰된다.
상기 각 돌상편(152)의 상단에 형성된 팽경상(膨徑狀)의 돌상부(152b)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스프로켓트(112)의 회전에 따라서 제10도에 있어서의 90°∼270°의 사이에서 그 구동스프로켓트(112)상의 부착공(150)의 축심과 보빈홀더(115)의 보빈 지지통(117)의 축심과가 일치하고 있을 때에, 상기 캠부재(156)의 캠면(157)에 의하여 구동스프로켓트(112) 상으로 부터 상기 보빈지지통(117)내를 통하여 상방에 돌출되며, 제11도로 부터 명백한 바와같이, 상기 캠면(157)의 얕은 캠면(157c)에 의한 180°부근의 최고 돌출상태에 있어서, 상기 보빈홀더(115)상에 재치되어 있는 만관사(62)의 보빈(57)을 최고로 들어올려서, 상기 보빈지지통(117)로부터 이탈시킨다.
이 보빈(57)의 돌상시기(時期)에 있어서, 만관사(62)의 보빈(57)을 보빈홀더(115)상으로부터 상시 일정방향으로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돌상편(152)의 돌상부(152b)상단면에는 제11도 -제13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스프로켓트(112)의 외주방향에 하강하도록 경사한 경사면(152c)이 형성되어, 이 경사면(152c)가 상술한 보빈(57)의 돌상시기에 있어서, 그 보빈(57) 저면의 단차부(段差部)(59)에 당접하고, 보빈(57)저부의 윤상구(論狀溝)(58)가 보빈지지통(57)으로 부터 이탈된 180°부근에서 만관사(62)의 보빈(57)을 경도(傾倒)시켜, 제11도의 화살표방향으로 배출한다. 따라서, 상술한 제1도-제4도에 있어서의 보빈구동축(52)혹은 제5도-제8도에 있어서의 볼스터(99)로부터 전추 일제히 보빈홀더(115)상에 받아넘겨져, 보빈지지통(117)에 의하여 직립상태로 안정보지듸고, 상기 구동스프로켓트(112)의 회전에 의한 체인콘베이어(114)의 이행에 따라서, 구동스프켓트(112)의 상방주희부분에 반송되어 오는 다수의 만관사(62)의 보빈(57)은, 상기 각 돌상편(152)의 돌출동작에 의하여 들어올려져서 보빈 지지통(117)으로 부터 이탈되는 동시에, 돌상편(152)상단의 경사면(152c)에 의하여 경도되고, 제10도의 180°부근에 일정방향으로 한개씩 배출되어, 상기 체인 콘베이어(114)가 일주(一周)하는 사이에 전부의 만관사(62)의 보빈(57)의 배출이 완료한다. 그리고, 상기 보빈홀더(115)상으로부터 배출된 만관사(62)의 보빈(57)은 제9도 a에 있어서 쇄선(鎖線)으로 표시하는 보빈 회수상자(158)내에 회수되고, 또는 다음 공정의 정방기에 연결되는 콘베이어의 수단상에 받아 넘겨진다.
이와 같이 보빈배출기구에 의하여 보빈홀더(115)상으로 부터 계속하여 만관사(62)의 보빈(57)이 배출 되는 동시에, 상기 보빈배출기구의 바로 부근에 설치된 보빈공급기구에 의하여 상기 보빈홀더(115)상에 공보빈(57)이 한개씩 연속적으로 공급되고, 상기 체인콘베이어(114)가 일주하는 동안에 전만관사 보빈이 배출되는 동시에 공보빈이 공급되어 보빈이 교환된다.
이 보빈공급기구는 제9도 a에 있어서 쇄선으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스프로켓트(112)에 인접하여, 그 직후부(直後部)에 배치되어, 제15도 a, b-제20도에 그 상세한 구성이 표시되어 있다.
이하, 그 보빈공급기구에 관하여 상술하면, 상기 체인 콘베이어(114)의 이행에 따라서 구동 스프로켓트(112)부분에 있어서 만관사(62) 보빈(57)을 배출한 상태로 보내오는 보빈홀더(115)에 근접하여 상기 하부푸레임체(44),(84)의 상부에 한개의 보빈공급상자(160)가 설치되고, 그의 보빈공급상자(160)는 제15도a, 제16도-제18도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전단상부에 공(空) 보빈공급용의 입구(160a)를 가지고 있으며 후단부에 공 보빈(57)용의 출구(160b)를 가지고 있다. 상기 보빈공급상자(161)의 저부를 구성하는 저벽(161)은 상기 체인콘베이어(114)의 이행방향을 향하여 하방에 경사하여 그 경사 하단부에 있어서 공보빈(57)의 대경부(57a)를 지지하는 한쌍의 지지연(緣)(16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빈홀더(115)상의 보빈 지지통(117)이 침입하는 절결(切缺) 凹부(161b)가 형성되고, 또, 하단부 양측에 있어서 한쌍의 부착각부(脚部)(161c)가 돌설되어 있다.
상기 저벽(161)의 경사 상단부 주연에 입설된 전벽(162)는 후방 및 하방을 향하여 차츰 축경(縮徑)되고, 그 후단부의 중앙보다도 약간 아래쪽으로 형성된 절결부(162a)를 경계로 하여, 상방의 부분에는 상기 입구(160a)로부터 보급되는 공보빈(57) 저부의 대경부(57a)를 받아 멈추게하고, 하방에 유도하기 위하여, 상기 대경부(57a)로부터 좁은폭으로 보빈(75)의 두부(頭部)로 부터 넓은폭의 가이드구(溝)(162b)가 형성되고, 또, 상기 절결부(162a)로 부터 하방의 부분에는 상기 가이드구(162b)에 따라서 하방으로 유도된 보빈(57)의 대경부(57a)를 통과시키기 위하여, 그 대경부(57a)보다 약간 폭이 넓은 통과부(162c)가 형성 되어있다.
상기 저벽(161)의 후단 양측에 입설된 한쌍의 측푸레임(163)은 상편(上片)(163a)과, 그의 상편(163a)으로부터 굴곡부(163b)를 거쳐서 양측외방(外方)에 팽출(膨出)된 후편(後片)(163c)과, 그의 후편(163c)으로부터 전방에 연장된 하편(下片)(163a)과에 의하여 각각 측면 거이 C자상(狀)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편(163a) 및 하편(163d)의 전단부가 상기 전벽(162)의 가이드구(162b)상단 외측 및 통과구(162c)의 외측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상편(163a)사이에 보빈(57)의 두부를 상기 출구(160b)로 향하여 유도하는 동시에 상기 하편(163d) 사이에서 보빈(57)저부의 대경부(57a)를 상기 저벽(161)후단의 지지연(161a)상에 유도한다. 이와 같이 측푸레임(163)의 상편(163a) 및 하편(163d)에 의하여 유도되고, 상기 저벽(161)의 상면(上面)에 따라서 출구(160b)에 안내되는 공보빈(57)은 그 출구(160b) 부근에 설치된 계지수단에 의하여 경도상태로 계지된다. 즉, 상기 한쌍의 측푸레임(163)의 양상편(163a)후단부간에는 계지편(164)이 가설되고, 그 계지편(164)에 의하여 제15도 a 및 제16도로부터 명백한 바와같이 출구(160b) 부근에 안내된 공보빈(57)의 두부상단에 계지된다. 한편, 상기 저벽(161)의 지지연(161a) 상방에 있어서의 측푸레임(163)의 한쪽의 하편(163d)내면에는 장방형상(長方形狀)이 계지돌부(係止突部)(165)가 내측을 향하여 돌설되고, 또 타방의 하편(163d)에는 스프링(166)에 의하여 계지볼(ball)(167)이 내측으로 출몰가능하게 장설되어 있으며, 그 계지돌부(165)와 계지볼(167)에 의하여 제16도 및 제18도로 부터 명백한 바와같이 상기 한쌍의 지지연(161a)상상에 유도 재치된 공보빈(57)저부의 대경부(57a)가 협지된다.
따라서, 제15도 a로 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상기 보빈공급상자(160)의 입구(160a)로 부터 저부를 선(先)으로 하여 보급되는 공보빈(57)은 가이드구(162b)에 의하여 하방으로 안내되어 입구(160a)부분에서 직립되고, 다음에 보급되는 보빈(57)에 의하여 후방으로 넘어지게 되어 보빈공급상자(160)의 저벽(161)에 따라서, 출구(l60b)로 안내되며, 그출구(160b)부분에 있어서 계지편(164), 계지돌부(165) 및 계지볼(167)에 의하여 경도상태로 계지된다. 그리고, 상기 체인콘베이어(114)의 이행에 의하여 저벽(161)의 절결凹부(161b)내에 보빈홀더(115)상의 보빈지지통(117)이 통과하여 오면, 상기 공보빈(57)의 하단내주면의 일부가 제15도 a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보빈지지통(117)의 상단 외주면의 일부에 걸리게되어, 보빈(57)은 상기 계지편(164), 계지돌부(165) 및 계시볼(167)에 의한 계지로 부터 이탈되고, 보빈홀더(115)상에 공급재치된다.
이때에, 상술한 바와같이 보빈(57)의 저부에 단차부(59)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보빈(57)저부의 개구면적이 넓어져서, 제15도 a로 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경도상태로 계지되고, 보빈공급상자(160)의 출구(160b)부분에 대기하고 있는 보빈(57)의 저면 개구내에 보빈지지통(117)이 용이하게 침입하며, 그 보빈지지통(117)의 상단 외주면의 일부에 걸려서 공보빈(57)은 확실히 보빈홀더(115)상에 재치된다. 또, 이 재치상태에 있어서는, 제24도로 부터 명백한 것처럼, 보빈(57)저부의 윤상구(58)내에 상기 보빈지지통(117)이 감삽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체인콘베이어(114)의 이행에 따라서, 전술한 만관사(62)의 보빈(57)의 반송시와 동일하게 공보빈(57)은 넘어지는 일이 없이 안정하여 보송된다.
더욱이, 상기 보빈(57) 저부의 윤상구(58)은 제25도로 부터 명백한 바와같이, 보빈(57)이 경도되어도 적립상태로 자연 복귀할 수 있도록, 그 보빈(57)의 중심(重心)위치(57c)가 사점(死點)(경도시의 보빈홀더(115)에 대한 보빈(57)저부의 당접점)을 넘지않을 정도로 그 구폭을 넓게 잡을 수가 있어, 그것이 의하여, 특히 제1도-제4도에 표시하는 실시 상태와 같이 보빈(57)의 조사권취중에 있어서도 보빈지지통(117)이 상기 윤상구(58)내에 감삽되어 있는 타입의 조사권취기구에 실시한 경우, 보빈지지통(117)이 회전중의 보빈(57)의 윤상구(58)내면에 당접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체인콘베이어(114)의 이행에 따라서, 상기 보빈 공급상자(160)로 부터 공보빈(57)이 보빈홀더(115)상에 한개씩 공급되는 것인데, 이 보빈공급기구에 있어서는, 상기의 보빈공급동작에 연동하여 보빈공급상자(160)내에 공보빈(57)이 한개씩 보급되도록 되어 있다. 이하, 그 구성을 특히, 제15도 a, b 제19도-제23도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보빈공급상자(160)의 상부에 실치된 보빈수용상자(168)는 특히 제15도a로 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전후 및 좌우의 측판(168a)과 상사(斜狀)의 저판(168b)과에 의하여 상면 개방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저판(168b)의 경사 하단부에는 드럼케이싱(169)이 설치되는 동시에, 그 드럼케이싱(169)의 급출구(169a)로 부터 상기 보빈공급상자(160)의 입구(160a)로 향하여 안내판(170)이 사상(斜狀)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드럼케이싱 (169)의 양측판간에는 베어링(171a),(171b)에 의하여 드럼축(172) 이 회전가능하게 지승되어, 그 드럼축(l72)의 외주에 슬리브(173)를 거쳐서 고정된 송출드럼(174)은 그 외주면의 긴쪽방향으로 상기 보빈수용상(168)내의 공보빈(57)을 받아넣기 위한 다수(실시예에서는 4개)의 수구(受溝)(174a)를 가지고 있다. 상기 드럼케이싱(169)의 측판으로 부터 외방에 돌출된 상기 드럼측(172)의 일단부에는 제20도로 부터 명백한 것처럼 슬리브(175a),(175b)를 거쳐서 통상의 회전축(176)이 유전(遊轉) 가능하게 감합 지승되고, 그 외주에 키-177을 거쳐서 고정된 외주면에 다수의 클로오부(178a)를 가지는 피동스프로켓트(178)는, 제15도 a, b부터 명백한 바와같이 상기 콘베이어 구동기구의 구동치차(141)와 연계(連係)된 구동스프로켓트(179)로 부터, 양스프로켓트(178),(179)간에 계장(掛裝)된 체인벨트(180)에 의하여 동력을 전달받아서, 상기 체인콘베이어(114)의 이행과 동기(同期)하여 회전된다.
상기 회전축(176)과 드럼축(172)과의 사이에는, 양자를 계탈(係脫) 가능하게 작동연결하기 위한 전자클럿치 장치가 설치되어, 그 전자클럿치 장치의 일부를 구상하는 강자성 재료재의 피흡착반(181)은 제20도로부터 명백한 것처럼, 상기회전축(176)의 축단부 외주상에 축선방향으로 접동가능하게 스플라인(182) 연결되고, 통상은 그 열측면과 상기 회전축(176)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설치된 판상의 스프링(183)에 의하여, 제20도에 있어서의 좌우 위치에 부세되어 있다. 한편, 상기 드럼축(172)의 축단부 외주상에 키-184를 거쳐서 고정된 강자성 재료재의 흡착반(185)은 그 일측에 상기 피흡착반(181)과 대향하는 흡착면(185a)를 가지며, 또, 상기 흡착반(185)의 부착보스(boss)상에 베어링(186a),(186b)을 거쳐서 상대희동 가능하게 지승된 환상의 전자석체(187)는 기틀 일부에 돌설된 스톱퍼(188)에 의하여 그 회전이 저지되어 있다.
따라서, 상가 전자석체(187)의 비통전(非通電)상태에 있어서는 제20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상기스프링(183)의 탄성작용에 의하여 피흡착반(181)이 흡착반(185)의 흡착면(185a)로 부터 격리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구동프로켓트(179)로 부터 체인벨트(180)및 피동스프로켓트(178)를 거쳐서 회전축(176)에 전달된 동력은 드럼축(172)에 전달되지 않고, 송출드럼(174)이 정지상태로 유지되어 상기 보빈 수용상자(168)로부터의 공보빈(57)의 급출은 행하여지지 않는다. 또, 상기 전자석체(187)가 통전된 경우에는 흡착반(185)가 여자(勸磁)되어, 피흡착반(181)은 스프링(183)의 탄성작용에 대항하여 흡착반(185)의 흡착면(185a)에 흡착 연결된다. 따라서, 구동스프로켓트(179)로 부터 체인벨트(180) 및 피동스프로켓트(178)를 개하여 회전축(176)에 전달된 동력은 드럼축(172)에 전달되고, 상기 송출드럼(174)이 회전되어, 그 외주의 수구(174a)내에 수용된 공보빈(57)은 드럼케이싱(169)의 급출구(169a)로 부터 안내판(170)상에 급출된다.
이 급출시에 있어서, 상기 보빈수용상자(168)내에 두부 및 저부를 맞출것없이 수용된 공보빈(57)은 상기 드럼케이싱(169)내에 설치된 보빈규제수단에 의하여 정돈되고, 저부를 선(先)으로 하여 급출구(169a)로 부터 안내판(170)상에 송출된다. 즉, 상기 드럼케이싱(169)의 양측단 내면에 대향하여 고정된 한쌍의 안내규제판(189)은 제19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송출드럼 (174)의 회전에 따라서, 그의 수구(174a)내에 받아 들여져 있는 공보빈(57)저부의 대경부(57a)하단면에 계합하는 캠면(189a)을 각각 가지고, 그 캠면(189a)은 상기 송출드럼(174)의 회전방향에 향하여 드럼케이싱(169)의 내측으로 서서히 돌출되어 있다. 또 상기 양안내규제판(189)의 종단부 하방에는, 상기 송출드럼(174)의 수구(174a)로 부터 드럼케이싱(169)의 급출구(169a)에 송출되는 공보빈(57)의 두부선단을 계지할 수 있는 한쌍의 계지편(190)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송출드럼(174)의 수구(174a)내에 받아들여진 공보빈(57)은 제19도로 부터 명백한 것처럼, 그 저부의 대경부(57a)하단면이 상기 안내규제판(189)의 캠면에(189a)계합하어여, 상기 송출드럼(174)의 회전에 따라서 수구(174a)내에서 축선방향으로 이동되어, 그 두부를 송출하고 드럼(174)의 단면으로부터 크게 돌출시킨다. 그리고, 상기 공보빈(57)이 드럼케이싱(169)의 급출구(169a)상부에 접근하고, 상기수구(174a)내로 부터 방출되었을 때, 제19도의 쇄선으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그 두부가 상기 한쪽의 계지편(190)에 계지되며, 저부의 대경부(57a)가 선행낙하되어, 공보빈(57)은 두부 및 저부가 어느방향을 향하여 수구(174a)내에 보지되어 있어도, 상기 급출구(169a)로부터 저부의 대경부(57a)를 선으로하여 안내판(170)상에 한개씩 송출된다.
이와 같이, 상기 체인콘베이어(114)의 이행에 따라서 보빈공급상자(160)으로 부터 보빈홀더(115)상에 공보빈(57)이 한개씩 공급되고, 또 그 공급동작에 동기하여 보빈수용상자(168)로 부터 보빈공급상(160)내에 공보빈(57)이 한개씩 보급되는 것인데, 이보빈 공급기구에 있어서는, 제9도 a, b로 부터 명백한 바와같이, 보빈홀더(115)를 갖추고 있지 않은 체인콘베이어(114)부분이 보빈공급상자(160)의 하부를 통과하여, 보빈공급상자(160)로 부터 보빈(57)이 공급되지 않을때, 그것을 검지하여 상기 전자클럿치 장치를 이탈시키고, 송출드럼(174)을 정지시켜 상기 보빈 수용상자(168)로 부터 보빈공급상자(160)내로 보빈(57)이 보급되지 않도록 되어있다.
이하, 그 구성을 특히 제21도-제23도에 의하여 설명하면, 이 실시예에서는 제21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체인콘베이어(114)의 피동축 주회부에 제9도 b에 표시된 피동스프로켓트(113)로 바꾸어 고정된 주희반(周回盤)(191)이 설치되고, 상기 체인콘베이어(114)는 그 주회반(191)의 외주에 따라서 주회된다. 상기주회반(191) 외측의 콘베이어레일(46) 혹은 부착푸레임(86)상면에 설치된 리밋트스윗치(192)는 그 구동축(192a)상단부에 볼트(193)에 의하여 평면 거이 +자형의 액추에이터(actuater)가 고정되어, 그 액추에이터(194)가 90°씩 간헐(間欠)회동됨으로써 ON,OFF 동작이 교대로 반복된다. 한편, 상기 체인콘베이어(114)의 절한체인편(114a)의 상면에는, 체인콘베이어(114)상에 배열된 시단부(始端部)의 보빈홀더 (115)가 상기보빈 공급상자(160)의 하면에 접근하였을 때, 및 종단부의 보빈홀더(115)가 보빈공급상자(160)의 하면을 통과하였을때, 상기 액추에이터(194)와 계합할 수 있도록, 복수개(실시예에서는 4개)의 스윗치 작동편(195)이 돌설되어 있다.
또, 상기 리밋트스윗치(192)는 제23도로 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상기 체인콘베이어(114) 구동용의 모우터(196)의 전원회로(197)에 대하여 변압기(198)를 거쳐서 접속된 제어회로(199)중에 릴레이(200)와 직렬로 접속되고, 그 릴레이(200)의 릴레이 스윗치 200 a는 상기 제어회로(199) 대하여 정류(201)를 거쳐서 병렬로 접속된 또 한개의 제어회로(202)중에 상기 전자클럿치장치의 전자석체(187)과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모우터(196)에 의하여 체인콘베이어(114)가 이행되고, 그 체인콘베이어(114)상에 배열된 시단부의 보빈홀더(115)가 상기 보빈 공급상자(160)의 하면에 접근하여 공보빈(57)의 공급이 개시 또는 재개되면, 상술한 한개의 스윗치작동편(195)이 액추에이터(194)에 계합하고, 상기 리밋트스윗치(192)의 구동축(192a)이 90°회동되어, 그 리밋트스윗치(192)는 ON된다. 그것에 의하여 제23도에 표시 하는 릴레이(200)가 부세되어 릴레이스윗치(200a)가 닫혀지고, 상기 전자클럿치 장치의 전자석체(187)이 여자되어, 제20도에 표시하는 전자클럿치 장치는 동력전달상태로 절환(切換)된다. 그 절환에 의하여 상기 구동스트로켓트(179)로 부터 체인벨트(180) 및 피동스프로켓트(178)를 거쳐서 회전축(176)에 전달되어 있는 동력이 드럼축(172)에 전하여져서, 송출드럼(174)이 회전되어, 상기 보빈수용상자(168)로 부터 보빈공급상자(160)에 공보빈(57)이 한개씩 보급된다.
또, 상기 체인콘베이어(114)의 이행에 따라, 그 체인콘베이어(114)상에 배열된 종단부의 보빈홀더(115)가 보빈공급상자(160)의 하면을 통과하여 공보빈(57)의 공급이 중지 또는 종료되면, 상술한 지금 한개의 스윗치 작동편(195)이 액추에이터(194)에 계합하고, 상기 리밋트스윗치(192)의 구동축(192a)이 다시 90°회전되어서, 그 리밋트스윗치(192)는 OFF된다. 그것에 의하여 제23도에 표시하는 릴레이(200)가 소세(消勢)되어서, 릴레이스윗치(200a)가 열려, 상기 전자클럿치 장치의 전자석체(157)가 소자(消磁)되어서, 그 전자 클럿치장치는 동력을 전달하지 않는 상태로 절환된다. 그 절환에 의하여 상기 송출드럼(174)이 정지되어 보빈공급상자(160)에 대한 공보빈(57)의 보급이 정지된다.
더욱이, 이 보빈공급기구에서는, 상기 보빈공급상자(160)로 부터 보빈홀더(115)상에 소정시간이상 공보빈(57)이 공급되지 않을시, 이것을 감지하여서 상기 체인콘베이어(114)의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되어있다.
이하, 그 구성을 특히 제15도 a 및 제23도에 의하여 설명하면, 상기 보빈공급상자(160)의 양측에는 제15도 a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광전관(光電管)(도시않함) 및 수광관(受光管)(203)으로 부터 이루어지는 감지수단이 대향하여서 배치되며, 그 수광관(203)은 상기 보빈수용상자(168)내에 공보빈(57)이 없어져서 보빈공급상자(160)내로 보급되지 않을때에, 혹은 공보빈(57)이 보급통로의 도중에서 어떤사고에 의하여 계지되어 원활히 보급되지 않을시등에, 닫혀진다.
또, 상기 감지수단의 수광관(203)은 제23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리밋트스윗치(192) 및 릴레이(200)와 병렬하여서 제어회로(199)중에 타이머(204)와 직렬로 접속되어, 그 타이머(204)의 설정시간이상 상기 수광관(203)이 닫혀진 때에 열리는 상폐형(常閉型)의 타이머스윗치(204a)는 상기 수광관(203) 및 타이머(204)와 병렬하여서 상기 제어회로(199)중에 릴레이(205)와 직렬로 접속되어, 그 릴레이(205)의 릴레이스윗치(205a)는 상기 모우터(196)의 전원회로(197)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보빈수용상자(198)로 부터 보빈공급상자(160)내로 일정시간이상 공보빈(57)이 보급되지않을 경우에는, 수광관(203)이 닫혀져 타이머(204)가 부세되고, 그 타이머스윗치(204a)가 열려 릴레이(205)가 소세되고, 그 릴레이스윗치(205a)가 열려 모우터(196)가 정지된다. 그 때문에, 상기 보빈수용상자(168)내에 공보빈(57)이 없어져 보빈공급상자(160)내에 보급되지 않을때, 혹은 공보빈(57)이 보급통로의도중에서 어떤사고에 의하여 계지되어 원활히 보급되지 않을때 등에 있어서는, 상기 체인콘베이어(114)가 반듯이 정지되고, 보빈홀더(115)상에 보빈(57)이 공급되지 않으면 체인콘베이어(114)가 이행되는 일이없다.
이와 같이, 상기 체인콘베이어(114)가 일주하는 사이에 보빈홀더(115)상으로 부터 만관사(62)의 보빈(57)이 배출되는 동시 그 보빈홀더(115)상에 공보빈(57)이 공급되어 공보빈의 교환이 종료하고, 상기 각 보빈홀더(115)의 중심이 제9도 a. b 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다시 상기 보빈구동축(52) 혹은 볼스터(99)의 회전축심과 각각 일치한때에, 상기 체인콘베이어(114)는 정지된다. 그 정지기구를 제21도에 의하여 설명하면, 상기 주회반(191)의 상면에는 한개의 리밋트스윗치(206)가 고정되고, 상기 체인콘베이어(114)의 적절한 체인편(114a)의 상단에는 각보빈홀더(115)의 중심이 보빈구동축(52) 혹은 볼스터(99)의 회전축심과 일치한때에 상기 리밋트스윗치(206)와 계합하는 한개의 스윗치작동편(207)이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체인콘베이어(114)의 이행에 따라서, 상기 스윗치 작동편(207)이 리밋트스윗치(206)에 계합하고, 그 리밋트스윗치(206)이 작동하면, 상기 모우터(196)가 정지되어 체인콘베이어(114)는 보빈홀더(115)의 중심이 보빈구동축(52) 혹은 볼스터(99)의 회전축심과 일치한 위치에서 정지된다. 이경우 관성에 의한 이동을 고려하여 리밋트스윗치(206)를 설치하는 것으로 한다. 그후, 상술한 바와같이 제1도-제4도에 표시하는 실시상태에 있어서 하부푸레임체(44)의 보빈레일(45)가 상승되며, 혹은 제5도-제8도에 표시하는 실시상태에 있어서 볼스터(99)가 상승되며, 각보빈 구동축(52) 혹은 볼스터(99)가 상기 각보빈홀더(115)상의 보빈지지통(117)내를 통하여 일제히 상승되면, 상기 보빈홀더(115)상에 재치된 공보빈(57)은 보빈구동축(52)혹은 볼스터 (99)상단의 감합지지통부(52a),(99a)상에 감합지지된다. 이 감합시에 있어서, 상기 공보빈(57)의 재치상태와 보빈구동축(52) 혹은 볼스터(99)의 회동정지 상태와의 일치에 의하여, 보빈구동축(52) 혹은 볼스터(99)상단에 설치된 한쌍의 계지편(52b),(99b)가 제28도 b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보빈(57)저면에 형성된 감합구(61)내에 감합되는 일도 있지만, 대부분의 보빈(57)이 관하여서는 상기 계지편(52b),(99b)가 제28도 a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보빈(57) 저면에 형성된 경사면(60)에 당접된다.
그런데, 본 실시예의 보빈(57)에서는 상기 경사면(60)의 경사각(60r)이 상기 계지편(52b),(99b)과의 마찰각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보빈구동축(52) 혹은 볼스터(99)의 상승에 따라서, 상기와 같이 보빈(57)저부의 경사단(60)에 당접된 계지편(52b),(99b)는 보빈(57)을 제28도 a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시키면서 그 경사면(60)상을 감합구(61)방향으로 활동하며, 제28도 b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그 감합구(61)내에 감합된다. 따라서, 상기 보빈홀더(115)상에 재치된 공보빈(57)은 상기 보빈 구동축(52) 혹은 볼스터(99)의 상단에 받어 넘겨져서 확실하게 결합지지 되고, 제1도, 혹은 제5도에 표시하는 권취상승 위치까지 상승되어, 그 위치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권취 회전된다.
더욱이, 상기 보빈(57)의 감합구(61)에 대한 계지편(52b),(99b)의 감합시에 있어서, 상기 보빈구동축(52) 혹은 볼스터(99)가 제28도 a에 있어서 우측방향으로 일시적으로 1회정도로 회전되도록 구성하면, 상기 계지편(52b),(99b)는 감합구(61)내에 일층 정확히 감합되는 것으로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구체화한 조방기의 도핑장치에 있어서의, 각기구의 설명을 마치고, 다음에 상기 각기구의 작용을 총괄적으로 설명한다.
제1도-제4도에 표시하는 조사권취 기구 혹은 제5도-제8도에 표시하는 조사권취기구에 의하여 각추의 보빈(57)의 외주에 조사가 가득히 감겨지면, 하부푸레임체(44) 혹은 볼스터(99)가 하강되고, 제4도 및 제8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보빈구동축(52) 혹은 볼스터(99)의 상단에 감합지지된 만관사(62)의 보빈(57)은 거기에서 부터 분리되어 반송기구의 보빈홀더(115)상에 전추 일제히 재치된다.
그리고, 그들의 만관사(62)의 보빈(57)은 상기 반송기구에 의하여 풀라이어(40),(80)의 배열방향에 반송되어 그 주회부에 있어서 보빈 배출기구에 의하여 상기 보빈홀더(115)상으로 부터 한개씩 배출되며, 그후 보빈공급기구에 의하여 상기 보빈홀더(115)상에 공보빈(57)이 한개씩 공급되어, 반송기구가 일주하는 사이에 공보빈(57)의 교환이 행하여진다. 이와 같이 보빈홀더(115)상의 보빈의 교환이 종료하고, 공보빈(57)을 재치한 보빈홀더(115)가 상기 보빈구동축(52) 혹은 볼스터(99)의 회전축심상에 왔을때, 상기 반송기구가 정지되는 동시 하부푸레임체(44) 혹은 볼스터(99)가 상승되어, 새로운 보빈(57)에 대한 조사의 권취동작이 개시된다.
다음에 본 발명과는 직접 관계하지 않지만, 상술한 조사 권취기구 및 반송기구와 근사(近似)한 구성에 관하여, 제29도-제34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29도-제32도는 상술한 제1도-제4도의 조사권취기구와 근사한 구성을 표시하는 것으로서, 이 구성의 조방기는 하부푸레임체(244)의 구조 및 반송기구를 갖추고 있는점에 있어서 제1도-제4도에 표시된 구성과 상위하지만, 그외의 구성에 있어서는 동일하다. 이하, 제1도-제4도의 실시상태에 있어서 참조부호(40)-(73)으로 표시된 구성부품과 동일 또는 근사한 부품에 관하여는 부호(240)-(273)을 부치고, 특히 제1도-제4도의 구성과 상위하는 부분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이조방기의 하부푸레임체(244)는 특히 제31도 및 제32도로 부터 명백한 바와같이, 상면이 개방된 거이 상자형의 보빈레일(245)과, 그 상면을 덮도록 상하방향으로 분리가능하게 재치된 하면이 개방된 거이 상자형의 커버(247)로 부터 되고, 제29도에 표시하는 권취상승위치에 있어서 일정 승강범위내에서 일체적으로 승강 동작시킨다.
또, 상기 보빈레일(245)에는 상술한 제1도-제4도의 실시상태와 동일하게, 상단부에 감합지지통부(252a)및 한쌍의 계지편(252b)를 가지고 있는 다수의 보빈구동축(252)이 지지축(248)을 거쳐서 각각 회전 가능하게 배열지승되어, 제29도 및 제31도에 표시하는 권취상승위치에 있어서, 상기 보빈레일(245)내에 가설된 주구동축(254)의 회전에 의하여, 구동치차(256) 및 피동치차(253)를 거쳐서 전추 일제히 회전된다. 한편, 이 조방기에 사용되는 보빈(257)은 상술한 제1도-제4도의 실시 상태에 있어서의 보빈(57)과는 다르고(동일한 것도 사용 가능하다), 저부에 윤상구(58)을 갖고 있지 않으며, 저부에 형성된 다수의 감합구(261)내에 상기 보빈구동축(252)상단의 계지편(252b)이 감합되어, 보빈구동축(252)상단의 감합지지통부(252a)상에 감합지지되고, 보빈구동축(252)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되어, 풀라이어(240)와의 상대회전 속도차에 의하여 그 외주에 조사가 권취된다.
이와 같이 보빈(257)의 외주에 조사가 권취되어 만관사(262)가 형성된때에, 하부푸레임체(244)는 제1도-제4도의 경우와 똑같이, 제29도의 권취상승위치로 부터 제30도의 도핑 하강위치에 일체적으로 하강된다.
이때에, 하부기대(266)상에 돌설된 적당한 개수의 스톱퍼(267)와 당접하고, 상기 하부푸레임체(244)의 보빈레일(245)이 커버(247)로 부터 분리되어 단독으로 더욱 하강하는 것을 허용하는 가이드바아(264)는 제31도 및 제32도부터 명백한 바와같이 상기 커버(247)의 하면에 볼트(263)에 의하여 적당한 개수가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제29도 및 제31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하부푸레임체(244)가 권취상승위치에 놓여져 있는 경우에는, 상기 보빈구동축 (252)의 상단이 하부푸레임체(244)의 커버(247)상면에 형성된 투공을 통하여 상방에 돌출되고, 그 상단의 감합지지통부(252a)상에 감합지지된 보빈(257)은 제31도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상기 커버(247)상단으로 부터 격리되어, 상기보빈구동축(252)의 회전에 따라서 그 외주에 조사를 권취한다. 그후 상기 하부푸레임체(244)가 도핑을 위하여 제29도의 권취상승위치로 부터 일체적으로 하강되고, 상기 가이드바아(264)가 제30도 및 제32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스톱퍼(267)에 당접되면, 커버(247)의 하강동작이 저지되어, 보빈레일(245)만이 단독으로 하강되며, 상기 각보빈 구동축(252)의 상단이 커버(247)내에 일제히 몰입된다.
그것에 의하여, 보빈구동축(252)의 상단에 감합지지되어 있는 만관사(262)의 보빈(257)은 제32도로 부터 명백한 것처럼 전추 일제히 상기 보빈구동축(252)의 상단으로 부터 분리되고, 하부푸레임체(244)의 커버(247)상면에 재치된다. 이와 같이 커버(247)상단에 재치된 만관사(262)의 보빈(257)은 보빈구동축(252)및 풀라이어(240)중앙부의 스핀들(242)로 부터 각각 뽑아내지게 되므로, 작업자가 이들의 만관사(262)의 보빈(257)을 손작업으로 회수한다고 하여도, 그의 보빈(257)을 수직방향으로 들어올릴필요가 없으며, 상기 하부푸레임체(244)의 커버(247)상면에 있어서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용이하게 행할수 있다.
다음에 제33도 및 제34도에 표시하는 구성에 관하여 설명하면, 이구성의 조방기는 상술한 제5도-제8도의 조사권취기구와 근사하는 것이지만, 반송기구에 관하여는 그 조사권취기구와 상위하고 있다. 이하, 제5도-제6도의 실시상태에 있어서 참조부호(80)-(100)으로 표시된 구성부분과 동일 또는 근사하는 부품에 대하여는 부호(280)-(300)을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하고, 특히 제5도-제8도의 구성과 다른 반송기구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조방기에서는 하부푸레임체(284)의 커버(287) 중앙부 상면에 무단상(無端狀)의 벨트콘베이어(301)이 그 긴쪽방향에 부설되고, 그 벨트콘베이어(301)는 제34도로 부터 명백한 것처럼, 양단주회부에 있어서 한쌍의 구동로울러(302)에 계장(採裝)되어, 하면적소에 있어서 다수의 가이드로울러(303)이 접접(摺接)하고 있다. 또, 상기 하부푸레임체(284)의 상부 전후양측에 각각 회동 가능히 지승된 회동축(304)에는 그 적소에 복수개의 회동레버어(305)가 고정되고, 그 회동레버어(305)의 상단부에는 지축(306)에 의하여 요동(搖勤) 레버어(307)가 각각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각 요동레버어(307)의 상단부 간에는 하부푸레임체(284)의 커버(287) 상면에 재치된 보빈(257) 저부의 대경부(257a)와 계합할 수 있는 각 한개의 압부봉(押付捧)(308)이 가설되고, 그 압부봉(308)은 외주의 적소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복수개의 안내로울러(309)가 상기 하부푸레임체(284)의 커버(287) 상면을 활동하는 것에 의하여, 커버(287)의 상면에 있어서 전후방향으로 안내이동된다.
따라서, 이조방기에 있어서는, 제33도의 쇄선으로 표시하는 권취상승위치에 있어서 보빈(257)의 외주에 만관사(262)가 형성된후, 볼스터 (299)가 일제히 하강되어 하부푸레임체(284)의 커버 (287)내에 몰입되면, 그 볼스터(299)상단에 감합지지되어 있는 상기 만관사(262)의 보빈(257)은 제33도의 실선으로 표시하는 바와같이, 전추 일제히 볼스터(299)의 상단으로부터 분리되어 하부푸레임체(284)의 커버(287) 상단에 재치된다. 그후, 상기회동축(304)이 그 도면의 화살표로 각각 천천히 회동되면, 상기 회동레버어(305) 및 요동레버(307)를 거쳐 압부봉(308)이 제33도의 실선으로 표시하는 위치로 부터 쇄선으로 표시하는 위치로 이동되고, 상기 만관사(262)의 보빈(257)의 대경부(257a)가 압부봉(308)에 의하여 내측에 압부(押付)되어 그 보빈(257)은 상기 커버(287)의 상면으로부터 벨트콘베이어(301)상에 일제히 이행 재치된다.
그런후에, 상기 벨트콘베이어(301)가 구동되면, 그 상단에 재치된 만관사(262)의 보빈(257)은 풀라이어(280)와 하부푸레임체(284)와의 사이의 공간내에서, 그 하부푸레임체(284)의 긴쪽방향으로 반송되어, 상기 벨트콘베이어(301)의 주회부에 있어서 콘베이어(301)상으로부터 방출된다.
더욱이, 상기 압부봉(308)은 보빈(257)의 반송 및 배출이 완료할때까지 제33도의 쇄선으로 표시하는 중앙위치에 보지 되어, 반송되는 보빈(257)의 대경부(257a)에 접접하여 보빈(257)을 가이드한다.
따라서, 전술한 제29도-제32도의 경우에 비교하여 도핑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이상 상술한 바와같이 본원의 제일발명은 상부지지식 풀라이어를 사용한 조방기에 있어서, 보빈을 지지하는 보빈구동수단과 동구동수단의 상부에 설치한 반송수단과를 보빈의 축선방향으로 상대이동시켜, 보빈을 보빈구동 수단으로 부터 분리함과 더불어 반송수단상에 재치하는 것이기 때문에, 조방기의 전면에 전추의 보빈과 각각 대응하여 설치된 도핑 레버의 회동 또는 전후동작에 의하여 만관사의 보빈을 도핑하는 종래의 도핑 방법과는 달리, 전추의 보빈에 대응하는 다수의 도핑 레버어 및 그들을 일제히 회동 또는 전후동 시키기 위한 구동기구를 필요로 하지 않고, 이방법의 실시에 직접 사용하는 도핑장치의 구조 및 그 구동기구의 구조를 현저히 간략화 할수 있는 동시 원활히 도핑 동작을 행할수 있고, 더욱이, 상술한 종래의 도핑 방법과는 달리 만관사의 보빈을 도핑 레버어등에 의하여 조방기의 푸레임체 상면으로 부터 외방으로 횡방향에 이동시키는 일없이, 상기 보빈 구동 수단과 반송수단과의 종방향의 상대이동만으로 즉시, 보빈을 반송수단상에 재치하여 도핑 할수있으며, 도핑에 요하는 시간을 대폭 단축하여 조방기의 가동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고, 더욱이, 도핑 레버어에 의하여 만관사의 보빈의 단부를 파지(把持)하여 도핑하는 종래의 도핑 방법과는 달리, 보빈의 소모를 전혀 없게하여 보빈의 반복사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여러가지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 본원의 제2 발명은 상술의 제1 발명이 있어서 반송수단상에 재치된 보빈을 동 반송수단에 의하여 풀라이어의 배열방향으로 반송하는 것이기 때문에, 조방기의 전방에 다수의 도핑 레버어를 가지고 있는 도핑 장치를 설치하여, 만관사의 보빈을 조방기의 전방으로 끄집어 내도록 한 상술한 종래의 도핑 방법과는 달리, 조방기의 전부(前部)에 도핑 장치를 이동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특별한 스페이스를 잡을 필요가 없으며, 비교적 소면적의 방적공장내에 다수의 도핑 장치가 부착된 조방기를 합리적으로 배열 할 수 있는 동시, 조방기의 운전중에 있어서 조사 결단의 보수등을 행하는 경우, 혹은 도핑후에 조방기에 대하여 작업으로 공보빈을 공급하는 경우, 더욱이는 공보빈에 대하여 조사의 실걸이등을 행하는 경우에도, 종래의 방법과는 달리, 도핑 장치가 방해가 되는 일도 없으며,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더욱이, 본원의 제3 발명은 상술한 제 발명에 있어서 반송 수단에 의하여 반송된 보빈을 반송수단의 주회부에 있어서 동 반송수단으로 부터 배출하는 것이기 때문에, 만관으로 된 보빈의 구동수단으로 부터의 분리, 동 반송수단으로의 재치, 동 반송수단에 의한 반송 및 동 반송수단으로 부터의 배출로 부터 이루어지는 일련의 도핑 동작을 연속하여 자동적으로 행할수 있는 동시, 상기 보빈을 반송수단의 주회부에 있어서 일개소에 배출하여, 그후의 보빈의 처리를 용이하게 할수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실시상태 및 그것에 근사한 상태로서는, 상술한 도시한 구성외에, 다음과 같이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가) 상술한 제1도-제4도에 표시하는 실시상태 및 제29도-제32도에 표시하는 근사상태에 있어서, 하부푸레임체(44),(244)를 도핑 할때에 소정위치까지 일체적으로 하강시킨후, 콘베이어레일(46) 및 콘베이어커버(47) 혹은 커버(247)만을 일정량 상승시켜, 보빈구동축(52),(252)상단에 감합지지된 만관사(62),(262)의 보빈(57),(257)을 그 구동축(52),(252)으로 부터 분리하는 동시, 반송수단상의 보빈홀더(115)상단 혹은 상기 커버(247) 상단에 재치하도록 구성하는 것.
(나) 상술한 제1도-제4도에 표시하는 실시상태, 제5도-제8도에 표시하는 실시상태, 제29도-제32도에 표시하는 근사상태 및 제33도, 제34도에 표시하는 근사상태에 있어서, 풀라이어(40),(80),(240),(280)의 중앙부 하면에 돌설된 스핀들(42),(82),(242),(282)가 짧은 조방기 혹은 그 스핀들이 없는 조방기의 경우 도핑 할때에 만관사(62),(262)의 보빈(57),(257)을 상기 풀라이어의 하단으로 부터 이간(離間)하는 위치까지 하강시키는 일없이, 상기 스핀들로 부터 빠져나온 위치에서 그 하강을 정지시켜, 풀라이어(40),(80),(240),(280)자체를 권취운전의 종료시에 정위치(定位置) 정지수단에 의하여 일정한 개구 위치에 정지시키고, 그 풀라이어 내를 통하여 만관사(62),(262)의 보빈(57),(257)을 반송하고 혹은 이동시킬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
(다) 상술한 제1도-제4도에 표시한 실시상태, 제5도-제8도에 표시하는 실시상태, 제29도-제32도에 표시하는 근사상태 및 제33도, 제34도에 표시하는 근사상태에 있어서는, 풀라이어(40),(80),(240),(280)의 위치가 부동(不動)이었는데, 이것을 하부푸레임체(44),(244) 혹은 볼스터(99),(299)와 더불어 또는 단독으로 상승시켜, 보빈구동축(52),(252) 혹은 볼스터(99),(299)로 부터 상대적으로 분리되도록 구성하는것.
(라) 상술한 제10도-제14도에 표시하는 보빈 배출기구의 실시 상태에 있어서, 돌상편(152)를 구동스프로켓트(112)상에 복수개 지승하는일 없이, 한개의 돌상편(152)를 구동스프로켓트(112)의 하부에 독립하여 상하동 가능하게 배치하고, 체인콘베이어(114)가 간헐적으로 이행되어 보빈홀더(115)상의 보빈지지통(117)의 중심이 구동스프로켓트(112)에 형성된 부착공(150)과 똑같은 투공의 축선과 일치하였을때, 상기 돌상편(152)이 상승하여 상기 보빈지지통(117)에 감삽지지된 만관사(62)의 보빈(57)을 들어올려서 배출하도록 구성하는 것.
(마) 상술한 제10도-제14도에 표시하는 실시상태에 있어서, 보빈 배출기구를 피동스프로켓트(113) 측에 설치하고, 만관사(62)의 보빈이 체인콘베이어(114)의 이행에 따라서 피동스프로켓트(113)의 외방으로 배출되도록 구성하는 것.
Claims (1)
- 상부지지식 풀라이어를 사용한 조방기에 있어서 보빈을 지지하는 보빈구동수단과 동구동수단의 상부에 설치한 반송수단과를 보빈의 축선방향에 상대이동 시켜, 만관의 보빈을 보빈구동수단으로 부터 분리하는 동시 반송수단상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방기에 있어서의 도핑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7502231A KR800000266B1 (ko) | 1975-10-14 | 1975-10-14 | 조방기(粗紡機)에 있어서의 도핑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7502231A KR800000266B1 (ko) | 1975-10-14 | 1975-10-14 | 조방기(粗紡機)에 있어서의 도핑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00000266B1 true KR800000266B1 (ko) | 1980-04-09 |
Family
ID=19201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7502231A KR800000266B1 (ko) | 1975-10-14 | 1975-10-14 | 조방기(粗紡機)에 있어서의 도핑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800000266B1 (ko) |
-
1975
- 1975-10-14 KR KR7502231A patent/KR800000266B1/ko activ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0026471B1 (de) | Spulenwechseleinrichtung für Textilmaschinen | |
US5096357A (en) | Apparatus for removing yarn bobbins and depositing them on a peg trolley | |
US4630435A (en) | System for automatically changing spools of a spinning machine | |
JP3203961B2 (ja) | ワインダの糸巻取用チューブ供給装置 | |
US5119621A (en) | Maintenance device for exchanging yarn supply packages at spindle assembly stations of a yarn processing machine | |
EP0285186A1 (en) |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doffing bobbins in a winding machine | |
KR100192742B1 (ko) | 실패 끝실을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 |
EP0112303B1 (en) | Ring spinning or twisting machine having a device for the automatic and simultaneous removal of all full cops | |
EP0282105B1 (en) |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onnecting the yarn to the tube of a winding machine | |
KR800000266B1 (ko) | 조방기(粗紡機)에 있어서의 도핑방법 | |
EP0109000B1 (en) | Method of and apparatus for exchanging bobbins in a flyer frame | |
US3774753A (en) | Bundle feed device | |
SU1125180A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 приема наработанных паковок на многоместной мотальной машине и перегрузки их на шпул рник | |
US5010724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packages | |
CN109956073B (zh) | 对医疗垃圾进行有序化分装回收处理的方法 | |
JPS61215725A (ja) | 粗紡・精紡機間の篠巻交換方法 | |
US4023338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offing full packaged bobbins in a fly frame | |
US4618104A (en) | Strand transfer | |
US4561243A (en) | Spinning or twisting machine having devices for the simultaneous automatic removal of all cops | |
US4534517A (en) | Method of automatic doffing in a spinning unit | |
IT8323047A1 (it) | Dispositivo di cambio bobina per la sostituzione di bobine avvolte con tubetti vuoti | |
JPH08188340A (ja) | 紡機のボビン供給・搬出装置 | |
SU939371A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замены катушек в машинах дл намотки проволоки на катушки | |
JPH03115070A (ja) | 自動ワインダーへの給糸供給装置 | |
JPH0236694B2 (ja) | Sobokiniokerukarabobinnokyokyusoch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