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790002003Y1 - 오픈엔드 정방기에 있어서의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오픈엔드 정방기에 있어서의 제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790002003Y1 KR790002003Y1 KR7906038U KR790006038U KR790002003Y1 KR 790002003 Y1 KR790002003 Y1 KR 790002003Y1 KR 7906038 U KR7906038 U KR 7906038U KR 790006038 U KR790006038 U KR 790006038U KR 790002003 Y1 KR790002003 Y1 KR 79000200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dust collecting
- collecting chamber
- open
- blood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4/00—Open-end spinning machines or arrangements for imparting twist to independently moving fibres separated from slivers; Piecing arrangements therefor; Covering endless core threads with fibres by open-end spinning techniques
- D01H4/30—Arrangements for separating slivers into fibres; Orienting or straightening fibres, e.g. using guide-rolls
- D01H4/36—Arrangements for separating slivers into fibres; Orienting or straightening fibres, e.g. using guide-rolls with means for taking away impurities
-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11/00—Arrangements for confining or removing dust, fly or the like
- D01H11/005—Arrangements for confining or removing dust, fly or the like with blowing and/or suction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Preliminary Treatment Of Fib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종래 장치를 표시하는 단면도.
제2도는 제2도의 집진실을 확대한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표시하는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중요부분을 확대한 단면도.
본 고안은 오픈엔드 정방기의 개섬부에서의 제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1도에서와 같이 공급스라이버(1)가 코밍로울러(2)에 의하여 개섬되어서 개섬된 섬유는 섬유박리위치(A)로 운반되고 여기에서 코밍로울러(2)에서 분리되어 로오터에 보내지도록 된 오픈엔드 정방기의 개섬정치에 있어서 코밍위치(B)와 섬유박리위치(A)의 도중에 제진혈(3)을 설치하면 슬라이버 중에 포함되는 비교적 비중이 큰 네프, 씨찌꺼기, 잎의 찌꺼기 및 짧은 섬유의 불순물은 원심력의 작용으로 집진실(4)쪽으로 비산해서 불순물 수송파이프(5)의 부압원의 방향으로 운반되어 배출된다.
이때 제진혈(3) 부분에서 개섬과 불순물의 분리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집진실(4)의 코밍 상류쪽에 대기중으로 통하는 분리차넬(6)을 설치하고 있으나 집진실(4) 내의 공기흐름을 고려한다면 제2도에서와 같이 수송파이프(5)로 유입되는 공기(7)를 집진실(4) 내에서 대기 중으로 연통된 공기흡입구(8)에서의 공기흐름(9)으로 유입시키거나 코밍로울러(2)로 유입되는 공기(10)를 분리차넬(6)에 의한 공기흐름(11)으로, 또한 일부는 공기흡입구(8)에서 공기흐름으로서 흡입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제진혈(3)에서 분리되어 집진실(4)로 잘못 들어온 불순물의 영향은 집진실(4)의 공기흡입구(8)에서 코밍로울러(2)의 방향으로 유입되는 공기흐름(12)이 있기 때문에 그 불순물의 일부는 코밍로울러(2)의 방향과 역류하는 경향이 있어서 불순물의 제거가 효과적으로 되지 않는 폐단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결정믈 해소하고자 집진실(4)로 잘못 들어 오는 불순물을 역류시키는 일이 없이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제3도에 표시하는 것 같이 제진혈(3)을 직접 집진실(4)의 입구로서 개구하는 일이 없이 그제진혈(3)과 집진실(4) 사이에 공기통로(13)를 개재하여 연결한 것이다.
집진실(4)의 한끝은 불순물 수송파이프(5)에 의해 부압원에 연결되고 다른 끝을 공기흡입구(8)에 의해 대기로 연통되고 있다.
또 공기통로(13)의 도중에는 분리차넬(6)이 대기와 연통되어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장치에 있어서 집진실(4)의 공기흐름을 고려하면 제4도와 같이 부압원에 유입되는 공기(7)는 공기흡입구(8)에서 공기흐름(9)으로 유입되고, 한편 코밍로울러에 유입되는 공기(10)는 공기통로(13)의 존재 때문에 재래의 공기흡입구(8)에서 공기흐름(12)을 발생하지 않고 분리차넬(6)에서만 공기흐름(11)으로 흡입되고 있다.
따라서 제진혈(3)로 분리된 집진실(4)에 잘못 들어오는 불순물은 제2도에 표시하는 공기흐름(12)이 없기 때문에 재차 코밍로울러(2)의 방향에 반려되는 일이 없이 완전하게 공기흐름(9)에 실려서 불순물 수송파이프(5)를 통해서 부압원의 방향으로 송출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제진혈(3)로 섬유군에서 분리되어 집진실(4)로 잘못 들어온 네프, 씨의 찌꺼기, 잎의 찌꺼기, 짧은 섬유 등의 불순물은 재차 코밍로울러의 방향으로 되돌려지는일 없이 완전하게 부압원에 의해 제거된다.
따라서 방출되는 실에는 불순물이 없기 때문에 실의 질이 향상된다. 또 로울터의 방향에 불순물이 고이지 않으므로 로우터에 고이는 불순물의 소제가 필요없는 등의 이점이 있으며 실용상 유용한 것이다.
Claims (1)
- 개섬부의 코밍위치(B)와 섬유박리위치(A)의 도중에 집진실(4)과 통하는 제진혈(3)을 보유한 오픈엔드 정방기에 있어서 제진혈(3)과 집진실(4) 사이를 공기를 불어넣는 통로로 연통하고 그 공기를 불어넣는 통로(13)의 도중에 대기와 통하는 분리차넬(6)을 설치한 제진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7906038U KR790002003Y1 (ko) | 1979-10-06 | 1979-10-06 | 오픈엔드 정방기에 있어서의 제거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7906038U KR790002003Y1 (ko) | 1979-10-06 | 1979-10-06 | 오픈엔드 정방기에 있어서의 제거장치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740003964 Division | 1974-10-31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790002003Y1 true KR790002003Y1 (ko) | 1979-12-10 |
Family
ID=19214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7906038U KR790002003Y1 (ko) | 1979-10-06 | 1979-10-06 | 오픈엔드 정방기에 있어서의 제거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790002003Y1 (ko) |
-
1979
- 1979-10-06 KR KR7906038U patent/KR790002003Y1/ko activ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082969B2 (ja) | 木綿繊維用のカード、クリアラ機械などに設ける装置 | |
SU897116A3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 бескольцевого пр дени | |
GB1419862A (en) | Removal of impurities from fibres in open end spinning | |
US4009562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eliminating impurities from an open-end spinning machine | |
GB922473A (en) | Apparatus for cleaning textile machines | |
JPS6147828A (ja) | 繊維材料からほこりを分離する方法および装置 | |
US5217509A (en) | Filtration system | |
GB2066863A (en) | Dust removal in open-end spinning units | |
JPS6123286B2 (ko) | ||
KR850000915B1 (ko) | 오픈엔드 정방기의 제진장치 | |
JPS6056812B2 (ja) | オ−プンエンド紡績装置の分離夾雑物を搬出する方法及び装置 | |
US4036002A (en) | Dirt removal in spinning device | |
SE436972B (sv) | Filter i synnerhet luftreningsfilter | |
US3145428A (en) | Pneumatic web removal in carding machines | |
KR790002003Y1 (ko) | 오픈엔드 정방기에 있어서의 제거장치 | |
JPH06306712A (ja) | オープンエンド紡績装置 | |
US3907671A (en) | Separating device | |
US4486922A (en) | Apparatus for separating impurities from fiber material | |
JPS62117824A (ja) | 紡績機、特に混打綿機及びカ−ドから吸引されたウエスト繊維等から夾雑物を分離する装置 | |
US4459800A (en) | Method of feeding individual fibers to a spinning rotor and device for carrying out the method | |
US5832710A (en) | Open-end spinning frame with dirt removal device | |
US3782095A (en) | Method and arrangement for withdrawing air from spinning units | |
US4142356A (en) | Open-end spinning apparatus | |
US4974293A (en) | Apparatus for cleaning cotton | |
US3481116A (en) | Overhead cleaner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