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790001767Y1 - 세탁기의 여과기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여과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790001767Y1 KR790001767Y1 KR7805397U KR780005397U KR790001767Y1 KR 790001767 Y1 KR790001767 Y1 KR 790001767Y1 KR 7805397 U KR7805397 U KR 7805397U KR 780005397 U KR780005397 U KR 780005397U KR 790001767 Y1 KR790001767 Y1 KR 79000176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ter
- water
- washing machine
- present
- laundry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3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7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0—Filtering arrang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6—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destroying sc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 이부의 분해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 사시도.
본 고안은 전기 세탁기의 여과기에 관한 것이다. 현용 전기 세탁기는 세탁물을 넣어 세탁할 경우 찌꺼기나 티끌 등의 오물이 세탁물에 많이 묻어나는 결함이 있다. 특히 백색 면제품이나 모직물은 오물이 많이 붙기 때문에 세탁이 깨끗이 되지 않아 다시 헹궈야 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이와같은 오물을 제거하기 위한 현용 여과기는 망상의 원추형 주머니를 세탁조 내벽에 흡착시키거나 물에 뜨는 원형공에 착설하여 부유시키는 것 등이 있으나 흡착식은 회전하는 세탁물에 걸려서 떨어지기 쉽고 부유식은 여과 주머니가 적어서 만족할 정도로 오물을 깨끗이 여과하기는 어려운 결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과 결함을 감안하여 V형의 여과집을 형성하고 여과집 하단에는 추봉이 입설된 물받이 막을 착설한 여과구를 물에 뜨는 받침대에 착설하여 세탁수의 회전력으로 여과구가 기울면서 오물을 걷어낼 수 있도록 고안된 것으로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두개의 파이프(2)(2')를 다수의 U형 받침살(3)로 연설하여 받침대(1)를 형성하되, 중앙에 구획된 장방형의 함입구(4) 양측 받침살(3)에는 삽통공(5)이 천공된 돌기부(6)를 형성하고, 다수의 사각공(9)이 형성된 V형의 여과집(10)(10')양면 내에는 여과망(11)을 착설하고 여과집(10)(10')하단의 지지축(14)에는 추봉(12)(12')이 입설된 물받이 막(13)(13')의 상단을 연설하여 형성된 여과구(8)(8')가 받침대(1)의 함입구(4) 내에서 좌우 회동이 자재하게 지지축(14)을 돌기부(6)의 삽통공(5)에 삽설하여서 되는 것으로 미설명 부호(7)은 흡착판, (15)는 세탁조, (16)은 세탁수 회전 방향 표시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제4도 참조).
본 고안을 세탁조(15)에 놓으면 파이프(2)(2')의 부력으로 받침대(1)의 받침살(3)은 수주에 몰입된 상태에서 물에 뜨게 된다. 그리고 흡착판(7)을 세탁조(15)내벽에 흡착시키면 받침대(1)는 큰 요동 없이 고정된다.
이때에 여과집(10)(10') 상부는 수면 위로 노출되고 그 이하는 수중에 몰입되어 추봉(12)(12')의 중력으로 여과구(8)(8')는 정립하게 된다.
세탁기를 가동시키면 회전하는 세탁수의 수압과 세탁물이 물 받이막(13)(13')을 밀어서 기울어지게 되면 지지축(14)을 축으로 하여 여과집(10)(10')은 물이 회전하는 반대 방향으로 기울게 되고 세탁수 내의 오물이 여과망(11)에 걸리게 되고 물은 계속 흐르게 된다.
받침살(3)은 회전하는 세탁물이 걸리는 것을 막아 주며 물받이막(13)(13')은 유연성 있게 물의 회전 운동에 따라서 걸리지 않는다.
세탁기의 가동을 정지시키면 추봉(12)(12')의 중력으로 여과구(8)(8')는 정상 위치로 정립하게 됨으로 여과망(11)에 걸린 오물은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된 본 고안은 여과구가 물의 회전력에 의해 자재로 좌 우 회동하게 되어 있음으로 세탁기의 종류에 따른 물의 회전 방식이 상이 하드라도 이에 구애됨이 없이 사용할 수 있고 설치 및 작동이 간편함으로 세탁수의 오물에 신경 쓸 필요 없이 깨끗한 세탁을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 도면에 표시한 바와 같이 두개의 파이프(2)(2')를 다수의 받침살(3)로 연설하여 받침대(1)를 형성하고, 여과망(11)이 내착된 V형 여과집(10)(10')의 지지축(14)에 추봉(12)(12')이 입설된 물받이막(13)(13')을 착설하여 형성한 여과구(8)(8')를 받침대(1)의 함입구(4)내에서 좌 우 회동이 자재하게 지지축(14)를 돌기부(6)에 삽설하여서 된 세탁기의 여과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7805397U KR790001767Y1 (ko) | 1978-10-24 | 1978-10-24 | 세탁기의 여과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7805397U KR790001767Y1 (ko) | 1978-10-24 | 1978-10-24 | 세탁기의 여과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790001767Y1 true KR790001767Y1 (ko) | 1979-10-18 |
Family
ID=19210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7805397U KR790001767Y1 (ko) | 1978-10-24 | 1978-10-24 | 세탁기의 여과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790001767Y1 (ko) |
-
1978
- 1978-10-24 KR KR7805397U patent/KR790001767Y1/ko activ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3960733A (en) | Filter unit for washing machine | |
CN104727064A (zh) | 洗衣机 | |
US4533371A (en) | Vacuum cleaner | |
IT1195594B (it) | Filtro per lavabiancheria | |
US2682213A (en) | Apparatus for washing photographic prints | |
US4125003A (en) | Sump strainer for tumbler washing machine | |
KR790001767Y1 (ko) | 세탁기의 여과기 | |
US2916900A (en) | Lint filter for a clothes washing machine | |
JP6697782B2 (ja) | 洗濯機 | |
US3151188A (en) | Porous blanket humidifier | |
KR0135836Y1 (ko) | 세탁기용 휠터 | |
KR101863078B1 (ko) | 부유식 스컴 제거 장치 | |
JPH08323096A (ja) | 脱水兼用洗濯機 | |
JP2018167156A (ja) | 容器洗浄装置 | |
JPS6411326B2 (ko) | ||
JPS60139290A (ja) | 洗濯機の除湿式乾燥機用排水装置 | |
KR200143267Y1 (ko) | 세탁기의 보푸라기걸름장치 | |
KR940000221Y1 (ko) | 물청소가 가능한 진공청소기의 배수장치 | |
KR940006385Y1 (ko) | 드럼식 세탁기의 배수여과장치 | |
JPH1190426A (ja) | 液体回収装置 | |
JPH0233278B2 (ja) | Sentakuki | |
SU1256770A1 (ru) | Фильтр дл очистки воздуха | |
KR100935922B1 (ko) | 세탁기의 터브커버 구조 | |
JPS6015140Y2 (ja) | フロ−ト式液面計 | |
JPS6092794A (ja) | 一槽式遠心脱水洗濯機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