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790001655Y1 - 냉장고용 증발기의 냉매 유, 출입 장치 - Google Patents

냉장고용 증발기의 냉매 유, 출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790001655Y1
KR790001655Y1 KR7803674U KR780003674U KR790001655Y1 KR 790001655 Y1 KR790001655 Y1 KR 790001655Y1 KR 7803674 U KR7803674 U KR 7803674U KR 780003674 U KR780003674 U KR 780003674U KR 790001655 Y1 KR790001655 Y1 KR 7900016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pipe
capillary tube
refrigerator
effiu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8036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남세
Original Assignee
박승찬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승찬, 주식회사 금성사 filed Critical 박승찬
Priority to KR78036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7900016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7900016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790001655Y1/ko

Links

Landscapes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냉장고용 증발기의 냉매 유, 출입 장치
제1도는 본 고안 전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를 절결하여 본 확대도.
제3도는 종래 고안의 측면도.
본 고안은 별도의 수액기(accumulator)를 갖는 냉장고, 냉응용기, 에어컨 등의 증발기에 관한 것으로서, 별도의 수액기가 없는 공지된 롤 본드형(roll bond type) 증발기에 적용한 일방흡입(singleinlet)방식을 핀튜브형(fin & tube) 증발기에 개량 적용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세관 내부를 통과하는 액체상태의 냉매는 저온일수록 증발기내에서 팽창증발이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제3도와 같이 모세관(11)의 외경일부를 저온 가스상태의 냉매가 흐르고 있는 이음관(12)에 용접 등에 의해 접착시켜 모세관(11) 내부의 냉매 온도를 하강시키는 구조로서 즉 이는 모세관(11)과 이음관(12)의 접합부(13)를 용접하는 공정을 요하게되고, 또 못세관(11)과 접속관(14) 사이를 이어주는 중간 파이프(15)를 필요로 하며, 이중간파이프(15)느 그 제질이 동(동)이믈로 알루미늄과의 접속이 용이하지 않아 접속관(14) 선단에 접속부(14')를 형성하여 용접하게 도어 결국 수액기(16)의 배출관(17)과 이음관(12)을 접속하는 접속부(17')등 알루미늄과 동가의 접속부가 2개소가 되어 용접 작업이 많아지고 따라서 알루미늄과 동과의 접촉에 의해 전식(전식)이 일어나기 쉬워 냉매가 누출될 염려가 큰 점등 많은 결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모세관을 배출관 내부에 삽입하는 구조이므로 종래의 이음관(12) 외부에 모세관(11)을 접합사는 경우보다 보세관 내부의 냉매온도를 보다 더 하강시킬 수 있어 냉매의 증발로 인한 냉각효과가 한층 증대됨은 물론 접속관이 종래보다 1개소로 줄게되어 전식발생 요인이 감소되고 이로인하여 제작경비가 절감되는 등 다목적적인 효과를 갖는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액기(1)의 상방일측에 배출관(2)을 관설하되 그 내경에 모세관(감압장치)(3)을 내삽하여 그 후단을 수액비(1) 상방에 관설한 접속관(4)에 연통되게 용착하고 접속관(4)을 연장하여 증발기(5)의 유입관(60에 접속하여서 된 것으로 도면중 미설명부호 7은 압축기에 연결된 이음관, 8은 접속부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제1도와 같이 액체상의 냉매가 모세관(3)을 통하여 접속관(4)을 거쳐 증발기(5)에 이르면 입력차에 의해 기화가 되며 냉매가 저온을 유지한체 수액기(1)를 거쳐 모세관(3)이 내장된 배출관(2)을 통하여 압축기로 순환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 저온 가스상의 냉매가 흐르는 배출관(2) 내에 모세관(3)이 내장된 것이므로 종래와 같이 이음관(12) 외면에 모세관(11)의 일측외면을 용착한 경우보다 모세관내로 흐르는 액체상의 냉매온도를 보다 더 하강시키게 되어 증발기 내에서의 냉매의 팽창증발이 가일층 증대하게 되고 따라서 냉각효과가 월등 향상되며 또한 종래의 경우와 같이 모세관(11)을 연결하는 중간 파이프(15)가 불필요하게 되어 부품 개수가 절감되고 또 알루미늄관과 동관의 연결부가 종래의 2개소에서 1개소로 줄어들게되어 알루미늄과 동의 접촉에 의한 전식이 일어날 우려가 감소되어 수명이 연장되는 등 경제성 및 냉각효과를 향상시키는 등 그 이용가치가 높은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공지의 수액기(1)의 상방일측에 배출관(2)을 관설하되 그 내경에 모세관(감압장치)(3)을 내삽하여 그 후단을 수액기(1) 상방에 관설한 접속관(4)에 연통용착하여서 된 냉장고용 증발기의 냉매 유, 출입장치.
KR7803674U 1978-07-11 1978-07-11 냉장고용 증발기의 냉매 유, 출입 장치 KR7900016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3674U KR790001655Y1 (ko) 1978-07-11 1978-07-11 냉장고용 증발기의 냉매 유, 출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3674U KR790001655Y1 (ko) 1978-07-11 1978-07-11 냉장고용 증발기의 냉매 유, 출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790001655Y1 true KR790001655Y1 (ko) 1979-09-25

Family

ID=19209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803674U KR790001655Y1 (ko) 1978-07-11 1978-07-11 냉장고용 증발기의 냉매 유, 출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79000165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78586C2 (ru) Теплообменник
KR100256077B1 (ko) 수액기 일체형 냉매 응축기
JPH03164664A (ja) 冷凍システム
JP4006861B2 (ja) 減圧器一体型熱交換器
US2990698A (en) Refrigeration apparatus
RU2035013C1 (ru) Переохладитель холодильной системы
KR790001655Y1 (ko) 냉장고용 증발기의 냉매 유, 출입 장치
JPH11504706A (ja) 管体蒸発器における機構
US20030097856A1 (en) Regulator with receiver for refrigerators and heatpumps
US4020646A (en) Diffusion-absorption type refrigerating machine
US2056022A (en) Flow controlling device for refrigerating systems
JP2001201227A (ja) 冷凍冷蔵庫
CN219063827U (zh) 回气管组件和冰箱
KR200284797Y1 (ko) 공기 조화기용 모세관
JP3814729B2 (ja) 冷凍サイクルにおける受液部の構造
JPS63101666A (ja) 温度作動式膨脹弁
KR100512525B1 (ko) 김치저장고의 냉매 배관구조
JPS6136131Y2 (ko)
KR200157876Y1 (ko) 분리형 에어컨의 배관 연결구조
JP2002340441A (ja) 熱交換器および冷却システム
JPS5865Y2 (ja) 冷凍装置
KR100237792B1 (ko) 쇼우케이스의 냉각 장치
JP2005114232A (ja) 冷凍冷蔵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冷蔵庫
KR20240051445A (ko) 냉동사이클용 일체형 파이프, 그 제조 시스템 및 제조 방법
KR20220143481A (ko) 그루브가 구비된 냉장고용 석션파이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