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790001373B1 - 섬유소 섬유를 함유한 재료에 연속적으로 영구 프레스 가공을 행하는 증기상(蒸氣相)처리방법 - Google Patents

섬유소 섬유를 함유한 재료에 연속적으로 영구 프레스 가공을 행하는 증기상(蒸氣相)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790001373B1
KR790001373B1 KR740001806A KR740001806A KR790001373B1 KR 790001373 B1 KR790001373 B1 KR 790001373B1 KR 740001806 A KR740001806 A KR 740001806A KR 740001806 A KR740001806 A KR 740001806A KR 790001373 B1 KR790001373 B1 KR 790001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station
fabric
chemical treatment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40001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엘 페이엣트 조오지
디이 브룸멧트 베르탈
Original Assignee
차알즈 더블유 멧터
맥그로우 에디슨 컴페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알즈 더블유 멧터, 맥그로우 에디슨 컴페니 filed Critical 차알즈 더블유 멧터
Priority to KR740001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7900013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790001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790001373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섬유소 섬유를 함유한 재료에 연속적으로 영구 프레스 가공을 행하는 증기상(蒸氣相)처리방법
제 1 도는 연속적으로 통과하는 직물에 영구 프레스 가공을 행하기 위한 증기상 처리방법을 수행하는 장치의 개략도.
제 2 도는 연속적으로 통과하는 의복에 동일 증기상 처리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의 개략도.
본 발명은 섬유소 섬유함유 재료(직물 또는 연속적으로 통과하는 의류)를 연속적으로 영구 프레스(durable-press) 가공을 행하는 증기상(蒸氣相)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처리된 재료를 연속처리실을 통하여 이동시켜 급속히 또 경제적으로 처리하는, 미합중국 특허 제3660013호에 대한 개량된 방법이다. 본 신규의 방법은, 다음의 두 공정을 포함한다. 즉, 제1실(室) 또는 스테이숀에서 화학처리제(포름알데히드 및 이산화유황의 증기)와 접촉시키지 않고 재료내에 충분한 수분함량을 먼저 일차 도입하고, 다음 그 재료에 화학처리제의 응축과 재료와의 급속한 반응을 촉진시키기 위해 그 재료를 화학처리실의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 있게함과 동시에, 그 재료를 상기 화학처리제를 함유한 제2실읕 통과시키는 것을 포함하고 있다. 다음, 경화실에서 한층 급속하고 경제적으로 가열을 가능하게 하여 경화실에서의 수분의 응집을 피하기 위해 화학처리실의 다음 배기 덕트에서 배기를 행한다.
의류 처리용의 긴 통로에 있어서, 각각의 실(室은 공기 스크린, 평밸브 및/또는 로울러에 의해 분할되어 있다. 또한, 입구단에 유효한 폐로를 제공하기 위해 통로의 종방향으로 완속배기가 유지된다.
상기한 특허에서는, 일단의 의류를 처리실에 배치하고 그 처리실내에 증기와, 포름알데히드 및 이산화유황 증기로된 화학처리제를 다량 도입한다. 잠시 후에, 수증기를 단절시켜서 온도가 약 -6.7℃(20℉)로 떨어지게 하여 처리실내를 수증기와 화학약품증기로 거의 포화되게 하고, 그 피처리물과 실의 벽면에 응축시켜 의류와 증기와의 사이에 반응을 일으키기 위한 시간적 간격을 준다. 또한 처리실을 약 121℃(250℉) 의 경화온도까지 가열시킨다.
본 발명의 처리방법에서는 의류에 대해서는 수증기실의 물로 덮힌 벽을 사용하고, 직물에 대해서는 물로 패딩하고 조절식 건조통을 사용함에 의해 최초의 독립된 공정으로 물품내에 충분한 수분량을 도입시킨다. 다음, 건조를 방지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수증기를 함유하거나 포름알데히드와 이산화유황증기의 분위기를 갖는 화학처리제실내에 물품을 공급한다. 물품상에 화학약품수증기가 신속히 응축하고 그 결과 물품과 급속한 반응이 일어나도록 물품을 실질적으로 냉온으로 되어 있는 화학처리실내로 공급한다.
화학처리실은 균일한 온도로 유지되기 때문에, 온도가 상하로 순환되어야 할 때보다도 포르마린은 응축하지 않고 처리실로부터 상실되지 않는다. 화학처리실의 다음의 예비건조장치는 재료로 부터 수분을 제거하고 경화실에서 필요한 121℃의 온도까지 재료를 용이하고 경제적으로 가열하도록 하며 동시에 경화실에서 수분이 응집하는 것을 방지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피처리재료를 일정한 연속속도로 연속처리실을 통하여 이동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섬유소 함유 재료를 연속처리실을 통하여 연속적으로 이동시켜 그 재료에 대해 각각 독립된 처리작업을 행하는 공정으로 된, 섬유소 함유 재료를 영구 프레스 가공처리하는 개량된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제까지 가능한 것보다 한층 신속, 저렴하게 재료를 처리할 수 있는 개량된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재료를 신뢰성과 균일성을 가지고 처리할 수 있는 개량된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소규모로 경제적인 설비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개량된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재료에의 화학처리제의 응측과 재료와의 급속한 반응을 촉진시키도록 재료를 화학처리실의 온도보다도 낮은 온도로 함과공시에, 처리될 재료를 포름알데히드 및 이산화유황의 처리제를 함유하는 화학처리실에 도입시키는 그러한 개량된 연속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특수한 목적은, 다음과 같이 섬유소함유 재료에 영구 프레스가공을 행하는 개량된 연속처리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즉, 본 방법에서는
1) 단일 처리실내에서 온도상승이나 하강이 필요치 않기 때문에, 열 에너지를 보존할 수 있다.
2) 화학실의 배기가 없기 때문에, 화학처리제의 경제적인 사용이 달성된다.
3) 화학실이 배기되지 않기 때문에, 저농도의 화학약품만이 스크러버(scrubber)로 배출되어 스크러버장치를 감소시킬 수 있다.
4) 경제적인 재료가 사용될 수 있고, 재료들이 열전도와 부식에 대해 안정하기 때문에, 간단하고 경제적인 구조의 장치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나의 실이 다른 실에 의해 오염되지 않고, 또 피처리재료가 실과 실 사이의 외기에 실질적으로 노출되지 않고, 하나의 실로 부터 다음의 실로 피처리 의류를 이동시킴과 동시에 의류를 각각의 처리실에서 증기, 열 및 화학약품을 보존하고 있는 개개의 실로 세분된 하나의 긴 통로를 통하여 운반되는 의류에 영구프레스가공을 행하는 연속적 처리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은 하기 설명 및 청구범위로 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섬유소 섬유 함유 재료를 제 1 스테이숀을 통과시킬때 그 재료내에 수분을 도입하고, 다음 그 재료를 제 2 스테이숀을 통과시킬 때 그 재료를 포름알데히드 및 이산화유황의 증기로 작용시키고, 또 그 재료를 제 3 스테이숀을 통과시킬 때 그 재료를 건조시키고 그 재료의 온도를 약 121℃로 상승시키는 것으로 구성된 섬유소 섬유 함유 재료에 영구 프레스 가공을 행하는 증기상 처리방법은, 상기 제 1 스테이숀이 습윤된 저압 수증기를 갖는 수증기실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재료가 수분을 급속히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더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에 나타낸 장치에서, 섬유소 섬유 함유 직물 10을 일련의 스테이숀 11-15를 통하여 연속적으로 공급하고, 그들의 스테이숀에 직물 10에 각각 독립된 작업을 행하여 직물 10에 영구 프레스 가공을 한다.
제 1 스테이숀 11은 수조 17을 구비하고 있고, 그 수조 17은 뚜껑이 없는 용기 18로 구성되어 있고, 그 용기 18내에는 수조를 통하여 직물에 방향을 부여하기 위한 안내로울러 19와 그 상방에 1조의 짜는(絞) 로울러 20이 있고, 그 수조에서 직물에 수분을 흡수시키고 다음, 상기 1 조의 로울러 20의 사이에서 직물로부터 대부분의 과잉 수분을 눌러 짜낸다. 다음, 직물을 일련의 건조통 21주위를 통과시켜 건조통의 온도와 직물 통과속도를 조절함으로서 직물의 수분함유량을 소망의 정도로 감소시킨다.
스테이숀 11직후에서 직물 10을 스테이숀 12의 화학처리실 22로 시일(seal) 23을 통하여 인입시킨다. 그 처리실에는 1조의 연질 로울러 24와 케이스 25를 구비하고 있고, 케이스 25는 배출가스를 인출하기 위한 덕트(duct) 26을 거쳐 외부로 배기되어 있다. 그 화학처리실에는 일련의 로울러 27이 있고 그 주위에 직물이 실의 천정으로부터 바닥까지 인장되어 있다. 화학처리실에 노즐 28을 거쳐 충분한 수증기를 주입하고, 직물의 실내를 통과하는 사이에 직물이 건조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이산화유황을 주입하기 위한 제 2 노즐 29와, 처리실 내에서 포름알데히드증기를 생성시켜 주는 가열된 판 31내부로 파라포름알데히드를 공급하는데 적당한 나선형추를 설치한 파이프 30이 있다. 이 실온 적당한 가열상자 33에 의해 주위보다 높은 온도, 즉 -6.7℃(20℉)정도의 높은 온도로 유지되기 때문에, 직물은 화학약품의 분위기보다도 냉각되어 직물 상에 포름알데히드와 이산화유황의 증기의 급속한 응축을 발생시키고 직물과의 급격한 반응을 갖게한다. 또한, 포름 알데히드와 이산화유황 증기는 2-20용적%의 포름알데히드 농도와 0.1-5용적%범위의 이산화유황 농도를 유지하도록 처리실로 공급된다. 이들 증기는 저온의 직물상에서는 용이하게 응축되지 않는다. 그 화학 처리실 22로부터 직물을 안내로울러 34의 주위를 경유하여 상기한 시일 35를 통하여 배출한다. 그 시일 35는 상기 시일 23과 같은 연질로울러 36, 주위 케이스 37 및 배기덕트 38을 구비하고 있다. 배기덕트 38은 화학처리실내로 재도입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처리실 22다음에는, 건조 및 가열 스테이숀 13이 있다. 그 스테이숀 13은 예비건조실 39와 가열실 43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비 건조실에는 일련의 종방향으로 엇갈려 있는 건조통 40이 있는데, 이 건조통 주위에서 직물을 인장하여 시일 35와 같은 시일 41을 통해 예비 건조실 39로부터 인출한다. 건조통 40은 수증기로 가열시켜 직물로부터 과잉의 수분과 화학약품 증기를 전부 충분히 건조시키며, 덕트 42를 통해 배기시키고, 주변 대기를 오염하지 않도록 화학처리실로 재도입시키는 것이 좋다. 그 예열(豫熱)의 잇점은 차기 가열(경화)실 43에서 수분이 형성하는 것을 막고, 직물을 경화온도로 신속히 적은 경비로 가열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직물을 실 43에서, 단시간에 그리고 큰 가열실내에서 121℃의 경화 온도에 도달되게 하기 위해서는 직물을 수직 방향으로 일련의 안내 로울러 44의 주위에서 왕복시키고, 출구단 가까이의 실의 저부로 부터, 송풍기 45B와 가열장치 45R을 통하여 입구단 가까이의 실의 정부로 통하는 덕트 45를 거쳐 가열공기에 의해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적당히 배치된 방열판이나 가열코일을 사용하여 달리 가열을 행할 수 있다.
경화실 다음에 세정 스테이숀 14가 있다. 그 세정스테이숀 14는 예를들면, 약 0.5%의 탄산소다와 0.1%의 습윤제를 함유하는 제1수조 46을 구비하고 있으며, 그 수조 46을 통하여 일련의 안내로울러 41주위를 지나 직물을 수조로부터 출입시켜 왕복시킨다. 다음, 직물을 일련의 안내 로울러 49에 의해 직물을 헹구는 수조 48을 통하여 다시 수조로부터 출입시켜 인장한다. 또한, 직물의 스테이숀 15의 건조탑 50을 통하여 인장하고, 그 스테이숀 15내에는 일련의 건조통 51이 있다. 가공을 마친 직물이 건조탑으로 부터 나와 사용될때까지 용기 53내에 접어서 저장하기 위해 일련의 주름 52로 절첩한다.
제 2 도에 도시된 의류 처리의 실시예에 있어서, 변형된 양복걸이를 사용하는 것으로 계류중인 1972년 2월 18일 출원한 헨드렌의 미국특허출원 제277409호에서 설명한 바와같은 콘베이어 장치 56에 의해 또는 그들대신 간단한 체인콘베이어를 사용하여 의류 54를 긴 통로를 통해 운반한다. 이 통로를 따라 연속하는 스테이숀 57-62가 있고 그 스테이숀에는,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순서로 연속된 별개의 처리 작업을 행한다. 먼저 최초의 스테이숀은 수증기실 63으로 되어 있고, 그 수증기실에는 노즐 64를 거쳐 포화된 저압의 습한 수증기를 공급한다. 의류에 수분히 신속히 인입하는 사이에, 그 실에 수증기를 주입하여 놓고, 실을 습윤 상태로 보유하기 위해 실의 벽에는 천정가까이의 구멍을 가진 관 65a로 부터 유수(流水) 65를 유입한다.
수증기가 용이하게 의류에 접근하도록 , 의류를 나란히 배열시켜 수증기실을 통하여 운반한다.
수증기실 63 바로 다음에 공기스크린 또는 커튼 66이 있고, 여기서 화살표 67a와 67b에 표시된 바와같이 공기를 상부로 부터 송입하고 저부에서 배출시킨다. 또한, 이 지점에 평 밸브, 연질 로울러등을 설치한 시일을 장치하여도 좋다.
공기스크린 다음에는 스테이숀 58의 화학 처리실 68이 있는데 여기에서는 일정양의 수증기가 건조를 방지하기 위해 노즐 69에 의해 주입되고, 이산화유황은 노즐 70에 의해 주입되며, 파라포름알데히드가 증발시키기 위해 가열되는 쟁반 72내에 관과 추 71을 거쳐 주입된다. 포름알데히드의 2-20용적 % 및 이산화유황 0.1-5용적 %의 범위로 분위기를 유지시키는 바와같은 비율로 이산화유황과 파라포름알데히드가 주입된다. 약 -6.7℃(20℉)만큼 수증기실 63의 온도보다도 높은 온도로 실내를 유지하기 위해 벽가열기 73에 의해 실이 가열된다. 따라서 의류는 약간 낮은온도에서 화학처리실에 들어오게 된다. 실의 분위기는 이산화유황과 포름알데히드 증기로 포화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증기는 습윤된 의류 위에 신속히 응축하여 거기서 30초이내에 의류와 반응한다. 또한, 화학약품을 의류와 반응하여 소모되는 정도의 양만 사용하기 때문에 화학약품의 매우 경제적인 사용이 달성된다.
화학처리실 다음에 건조 및 가열스테이숀 59의 배기 및 예비 건조실 74가 있으며, 이는 공기스크린의 역할도 한다. 이 배기는, 의류로 부터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의류를 통과시켜 건조공기내에서 행해지는데, 화학처리실로부터 들어오는 화학약품중에도 행해지기때문에 그 배기 75를 주위의 분위기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화학처리실로 복귀시킨다.
또한, 스테이숀 59에는 경화실 76이 있는데, 이 경화실 76은 출구단에 근접한 실의 바닥으로부터 송풍기 78과 가열장치 79를 통하여 입구단 가까이의 실의 정부로 통하는 덕트 77을 거쳐 가열공기에 의해 적절히 가열된다. 의류가 나란히 배치되어 운반되기 때문에, 경화실은, 대향하는 벽에 설치된 복사형 또는 코일형 가열된 장치에 의해, 또 대향하는 가열판 장치사이에 한번에 한벌씩 의류가 있는 것과 동일하게 가열시켜도 좋다. 상술한 방법에서 의류를 적어도 121℃로 가열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본 장치에서는 가열에 의해 실내를 평균 온도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가열이 매우 경제적으로 행하여 진다.
경화실 다음에는 스테이숀 60의 완속 배기실 80이 있다. 장치운전중, 의류로 부터의 오염된 가스를 제거시키도록 공기가 관 81을 거쳐 인입되고 가스가 배기구 82를 거쳐 스크러버 83내로 배출된다. 이 완속배기는, 수증기실, 화학 처리실 및 경화실을 지나 통로의 입구로 부터 출입하는 가스의 흐름을 장치의 입구단에 있는 시일(seal)을 본질적으로 제공하도록 유지한다. 또한, 이 배기는 의류를 냉각시켜 차기 세정 스테이숀 61의 수증기실 84에서 보다 용이하게 의류에 수분을 유지시키도록 한다.
실(室) 84는 저압 습윤 수증기를 가지고 있고 이 수증기로 실을 82℃로 부터 104℃로 가열시킨다. 수증기의 일부는 노즐 85에 의해 의류에 직접 접촉시켜 의류중에 첨부시킬 수 있다. 실 62로부터의 배기구 86은 약간의 포름알데히드를 함유한 수증기를 배출시킨다.
수증기실 84다음에는 공기 스크린 87이 있으며, 그 다음에, 스테이숀 62의 건조실 88이 있다. 건조실 88은 송풍기 90 및 가열장치 91을 가지고 있는 순환 덕트 89에 의해 121℃로 부터 177℃까지의 온도로 건조가열을 부여시킨다. 의류를 건조실로 부터 배출한 후 냉각시키고, 접어서 포장한다.
저압 습윤 수증기의 사용으로 가능하게 되는 수증기실 63에서의 신속한 흡습이 있게 되고, 실질적으로 저온의류를 화학처리실로 도입시켜 화학처리실에 있는 의류에의 화학약품증기의 급속한 응축 및 의류의 화학약품 증기의 급속한 반응에 의해, 또는 의류를 경화실 76에 넣기 전의 예비 건조실 74에서 의류의 예비건조 및 온도를 거의 일정치로 유지함에 의해 얻어지는 경화실 76내에서의 의류의 경제적가열에 의해, 그들 각 실에서 약 30초의 처리시간만이 요구된다. 각 실의 길이로 의류당 61cm와 하나의 실 당 610cm의 전 길이를 인정하면 의류를 1시간당 600착의 속도로 본 장치를 통하여 공급할 수 있다.

Claims (1)

  1. 섬유소 섬유 함유 재료를 제 1 스테이숀을 통하여 운반시키고 그 재료에 수분을 도입하는 공정을 설치한 섬유소 섬유 함유재료에 연속적으로 영구 프레스 가공을 행하는 증기상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재료를 제 2 스테이숀을 통과시키는 동안 그 재료를 포름알데히드 및 이산화유황의 증기에 작용시킨다음, 상기 재료를 제 3 스테이숀을 통과시키는 동안 그 재료를 건조시켜 그 재료의 온도를 약 121℃의 경화온도까지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소 섬유를 함유하는 재료를 연속적으로 영구 프레스 가공을 행하는 증기상 처리방법.
KR740001806A 1973-03-14 1974-03-14 섬유소 섬유를 함유한 재료에 연속적으로 영구 프레스 가공을 행하는 증기상(蒸氣相)처리방법 KR7900013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40001806A KR790001373B1 (ko) 1973-03-14 1974-03-14 섬유소 섬유를 함유한 재료에 연속적으로 영구 프레스 가공을 행하는 증기상(蒸氣相)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41134 1973-03-14
KR740001806A KR790001373B1 (ko) 1973-03-14 1974-03-14 섬유소 섬유를 함유한 재료에 연속적으로 영구 프레스 가공을 행하는 증기상(蒸氣相)처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790001373B1 true KR790001373B1 (ko) 1979-09-28

Family

ID=19199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40001806A KR790001373B1 (ko) 1973-03-14 1974-03-14 섬유소 섬유를 함유한 재료에 연속적으로 영구 프레스 가공을 행하는 증기상(蒸氣相)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790001373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590849A (en) Method for drying fibrous sheet material
US4527343A (en) Process for the finishing and/or drying of wash
US4391602A (en) Process for smoothing and drying washed shaped articles of mixed fabric
US3861179A (en) Apparatus for steaming wearing apparel
US6591639B2 (en) Method of and an arrangement for continuous thermal treatment of a textile product web, in particular for dye fixing
US5320873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treating cellulosic fiber-containing fabric to improve durable press and shrinkage resistance
GB1332727A (en) Textile finishing processes
US5600975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treating cellulosic fiber-containing fabric
US3884632A (en) Continuous durable-press processing of fabric and garments
US3899108A (en) Apparatus for steaming and smoothing of articles of clothing in a closed chamber
US3513669A (en) Apparatus for vapor phase treatment of articles
KR790001373B1 (ko) 섬유소 섬유를 함유한 재료에 연속적으로 영구 프레스 가공을 행하는 증기상(蒸氣相)처리방법
JP2006522236A (ja) アンモニアまたは他の液体によって織物材料を処理する方法及び装置
US3761977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treatment of textile materials
US3469423A (en) 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materials
JPH01501803A (ja) 少なくとも1本の織物糸を連続的に処理するための装置
US3543409A (en) Drying,spreading and radiant heating of tubular knitted,acrylic fabrics
US3984197A (en) Device for the wet treatment and drying of textile material
JP2633223B2 (ja) 繊維製品の形態安定化処理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装置
US2951356A (en) Plant for dyeing or other wet-treatment of textile material
ATE118868T1 (de) Vorrichtung zum trocknen von textilgut.
US3703773A (en) Gas phase reactor
KR790001150B1 (ko) 영구 프레스 방법
FI56983C (fi)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behandling av tygartiklar foer att foerbaettra deras non-iron egenskaper
KR800000153B1 (ko) 영구 프레스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