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790001310B1 - N(-1, 2, 4-트리아진-5-온-4-일)-글라이신 유도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N(-1, 2, 4-트리아진-5-온-4-일)-글라이신 유도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790001310B1
KR790001310B1 KR7602237A KR760002237A KR790001310B1 KR 790001310 B1 KR790001310 B1 KR 790001310B1 KR 7602237 A KR7602237 A KR 7602237A KR 760002237 A KR760002237 A KR 760002237A KR 790001310 B1 KR790001310 B1 KR 7900013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azine
amino
alkyl
acid
but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602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드라버 빌프리트
디코레 칼프리트
팀러 헬무트
오이에 루드비히
루돌프 슈미트 로베르트
Original Assignee
요젭 쉬톡크하우젠
바이엘 아크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젭 쉬톡크하우젠, 바이엘 아크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요젭 쉬톡크하우젠
Priority to KR7602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7900013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790001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790001310B1/ko

Links

Landscapes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N(-1,2,4-트리아진-5-온-4-일)-글라이신 유도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선택적 제초작용을 갖는 다음 구조식(Ⅰ)인 N-(1,2,4-트리아진-5-온-4-일)-글라이신 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Figure kpo00001
상기 구조식에서
R1은 알킬, 알콕시, 알킬티오 또는 알킬아미노이고
R2는 알킬, 사이클로알킬 또는 임의로 치환된 페닐이고
R3는 수소, 알킬, 알케닐 또는 알키닐이고
R4는 하이드록실, 알콕시, 알킬티오, 아미노, 알킬아미노 또는 디알킬아미노이다.
예를 들어 4-아미노-6-3급 부틸-3-메틸티오-1,2,4-트리아진-5-온 또는 4-아미노-6-페닐-3-메틸티오-1,2,4-트리아진-5-온과 같은 1,2,4-트리아진-5-온 유도체는 참조에 이미 제초제로 사용하는 것에 관해 기술되어져 있다.
[참조 : 미국특허명세서 제3,671,523호와 독일공개명세서 제1,542,873호]
이러한 화합물들은 제초효과가 큰 반면에 많은 양을 사용했을 때 이용작물에도 실질적으로 해를 끼치기 때문에 선택적 제초제로의 용도가 부적합한 것들이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상기 기 설명중 R1은 직쇄 또는 측쇄인 탄수소 1-4인 알킬, 알콕시 또는 알킬티오 또는 탄수소 2-4인 알킬아미노가 바람직하며 R2는 직쇄 또는 측쇄인 탄소수 1-6인 알킬(특히 3급 부틸), 탄소수 5-7인 사이클로알킬 또는 임의로 치환된 페닐(바람직한 치환체는 할로겐(특히 염소와 취소) 탄소수 1-2인 알킬 또는 알콕시임), 2-5개의 할로겐 원자와 탄소수 1-2인 할로알킬, 시아노 또는 니트로가 바람직하며 R3는 수소, 탄소수 1-4인 알킬 또는 탄소수 2-4인 알케닐 또는 알키닐이 바람직하며 R4은 하이드록실, 탄소수 1-4인 알콕시(메톡시 또는 에톡시가 특히 좋음) 또는 알킬티오, 아미노 또는 알킬알킬아미노 또는 알킬부분의 탄소수가 1-4인 디알킬아미노(특히 탄소수 1-2가 좋음)이다.
본 발명은 다음 구조식(Ⅱ)인 4-아미노-1,2,4-트리아진-5-온을 임의이 부형제 존재하에서 구조식(Ⅱ)인 글리옥실산 또는 글리옥실산 유도체와 다음 구조식(Ⅱ)인 알코홀(이 경우는 R3가 소수가 아닌 경우임)과 반응시켜 구조식(Ⅰ)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kpo00002
상기 구조식에서
R1, R2, R4는 상기와 같고
R5는 알킬, 알케닐 또는 알키닐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인 N-(1,2,4-트리아진-5-온-4-일)-글라이신 유유체가 기지의 화합물과 총체적인 제초작용은 같지만 실제적으로 이 유도체는 놀랄 정도로 기지의 활성 화합물인 4-아미노-6-3-3급-부틸-3-메틸티오-1,2,4-트리아진-5-온과 4-아미노-6-페닐-3메틸티오-1,2,4-트리아진-5-온보다 작물에 대해 훨씬 좋은 선택적 작용을 갖는다.
이리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새로운 활성 화합물은 많은 방법을 대표할 만한 것이다.
만약 3-에틸-4-아미노-6-(3-트리폴루오로 메틸페닐)-1,2,4-트리아진-5-온과 글리옥실산을 출발물질로 사용하면 반응과정은 다음 도표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igure kpo00003
만약 4-아미노-6-3급-부틸-3-메틸티오-1,2,4-트리아진-5-온, 글리옥실산과 에탄올을 출발물질로 사용하면 반응과정은 다음 도표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
Figure kpo00004
구조식(Ⅱ) 화합물은 출발물질로 사용되는 일반적인 4-아미노-1,2,4-트리아진-5-온 유도체 화합물이다.
출발물질로써 사용되는 것은 각각의 예를 들어 보면 다음과 같다 :
4-아미노-3-메톡시-6-메틸-1,2,4-트리아진-5-온, 4-아미노-3-메톡시-6-페닐-1,2,4-트리아진-5-온, 4-아미노-3-메톡시-6-3급부틸-1,2,4-트리아진-5-온, 4-아미노-3-메톡시-6-(4'-클로로페닐)-1,2,4-트리아진-5-온, 4-아미노-3-메톡시-6-사이클로헥실-1,2,4-트리아진-5-온, 4-아미노-3-에톡시-6-에틸-1,2,4-트리아진-5-온, 4-아미노-3-에톡시-6-3급부틸-1,2,4-트리아진-5-온, 4-아미노-3-에톡시-6-(4'-니트로-페닐)-1,2,4-트리아진-5-온, 4-아미노-3-부톡시-6-페닐-1,2,4-트리아진-5-온, 4-아미노-3-메틸티오-6-3급부틸-1,2,4-트리아진-5-온, 4-아미노-3-메틸티오-6-페닐-1,2,4-트리아진-5-온, 4-아미노-3-메틸티오-6-(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2,4-트리아진-5-온, 4-아미노-3-메틸티오-6-(2',4'-디클로로페닐)-1,2,4-트리아진-5-온, 4-아미노-3-메틸티오-6-사이클로헥실-1,2,4-트리아진-5-온, 4-아미노-3-에틸티오-6-메틸-1,2,4-트리아진-5-온, 4-아미노-3-에틸티오-6-3급부틸-1,2,4-트리아진-5-온, 4-아미노-3-프로필티오-6-3급부틸-1,2,4-트리아진-5-온, 4-아미노-3-프로필-티오-6-페닐-1,2,4-트리아진-5-온, 4-아미노-3-메틸-아미노-6-메틸-1,2,4-트리아진-5-온, 4-아미노-3-메틸아미노-6-페닐-1,2,4-트리아진-5-온, 4-아미노-3-메틸아미노-6-에틸-1,2,4-트리아진-5-온, 4-아미노-3-메틸아미노-6-(4'-메틸페닐)-1,2,4-트리아진-5-온, 4-아미노-3-에틸아미노-6-3급부틸-1,2,4-트리아진-5-온, 4-아미노-3-프로필아미노-6-프로필-1,2,4-트리아진-5-온, 4-아미노-3-부틸아미노-6-(4'-니트로페닐)-1,2,4-트리아진-5-온, 4-아미노-3-메틸-6-3급부틸-1,2,4-트리아진-5-온, 4-아미노-3-메틸-6-이소프로필-1,2,4-트리아진-5-온, 4-아미노-3-메틸-6-사이클로헥실-1,2,4-트리아진-5-온, 4-아미노-3-에틸-6-페닐-1,2,4-트리아진-5-온, 4-아미노-3-에틸-6-(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2,4-트리아진-5-온, 4-아미노-3-에틸-6-에틸-1,2,4-트리아진-5-온, 4-아미노-3-에틸-6-3급부틸-1,2,4-트리아진-5-온, 4-아미노-3-3급부틸-1,2,4-트리아진-5-온과 4-아미노-3-3급부틸-6-페닐-1,2,4-트리아진-5-온.
구조식(Ⅱ)의 4-아미노-1,2,4-5-온 유도체의 대부분은 기지의 것이다. (참조 : 미국특허명세서 제3,671,523호와 독일공개명세서 제1,542,873호, 제2,107,757호, 제2,138,031호와 제2,224,161호) 기지가 아닌 구조식(Ⅱ) 화합물은 상기 언급한 문현에 이미 기술된 방법에 따라 간단한 방법에 의해 제조되어질 수 있는 것이다.
구조식(Ⅲ) 화합물은 출발물질로 사용되는 일반적인 글리옥실산 유도체이다.
다음은 이 출발물질의 각 예를 들은 것이다 :
글리옥실산, 글리옥실산 메틸 에스텔, 글리옥실산 에틸 에스텔, 글리옥실산 프로필 에스텔, 글리옥실산 부틸 에스텔, 글리옥실산 티오메틸 에스텔, 글리옥실산 티오에틸 에스텔, 글리옥실산 아마이드, 글리옥실산 메틸아마이드, 글리옥실산 에틸아마이드, 글리옥실산 이소프로필아마이드, 글리옥실산 디메틸아마이드, 글리옥실산 디메틸아마이드, 글리옥실산 에틸메틸아마이드와 글리옥실산 메틸 프로필아마이드.
구조식(Ⅲ)인 글리옥실산 유도체는 일반적으로 유기화학분야에서 잘 알려진 기지화합물이다.
구조식(Ⅳ) 화합물은 역아 출발물질로 쓰이는 알코홀 류이다.
이 구조식에서 R5는 탄수소 1-4인 알킬, 또는 탄수소 2-4인 알케닐 또는 알키닐이 바람직하다.
다음은 이러한 알코홀류의 각 예이다 :
메틸알코홀, 에틸알코홀, n-프로필알코홀 이소프로필알코홀, n-부틸알코홀, i-부틸알코홀, 2급, 부틸알코홀, 3급-부틸알코홀, 알릴알코과 프로파길 알코홀.
구조식(Ⅳ)인 출발물질로 쓰이는 알코홀류는 통상의 유기화학 분야에 잘 알려진 기지의 화합물이며 쉽게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모든 불활성 용매는 본 발명반응의 희석제로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부형제로는 벤젠, 크실렌 또는 톨루엔과 같은 탄화수소; 디옥산 또는 테트라하이드로푸란과 같은 에텔; 에틸 아세테이트 또는 클로로포름 또는 메틸렌클로라이드와 같은 염소화 된 탄화수소와 같은 에스텔이 있다.
R3가 수소가 아닌 구조식(Ⅰ) 화합물의 제조반응에 있어서는 구조식(Ⅳ)인 사용된 알코올을 과량 사용하여 희석제로 쓰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온도는 실질적인 범주에서 변화시킬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10-50℃의 온도에서 반응시킬 수 있으며 실온이 바람직하다.
반응 수행에 있어서 반응물은 당량씩 사용한다. 특히 구체적으로 언급하면 모노하이드레이트 형태 또는 수용액 상태로 구조식(Ⅲ) 화합물인 글리옥실산을 구조식(Ⅱ)인 4-아미노-1,2,4-트리아진-5-온 화합물 1몰당 1-1.2몰 사용하며 구조식(Ⅳ) 화합물인 알코홀을 과량 사용하여 동시에 이 알코홀이 용매역활도 하게끔 한다. 반응생성물은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분리해 낸다. 반응 완결 후의 적당한 방법은 여과하여 이 여액을 농축하는 것이다. 여과 잔사를 모으고 세척하거나 유기용매로 처리하고 건조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활성 화합물은 식물성장에 영향을 미침으로 낙엽제, 고사제, 광엽식물제거제와 발아억제제에 쓰일 수 있으며 특히 잡초제거제로 좋다. 넓은 의미로 잡초는 원치 않는 모든 식물을 의미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필연적으로 사용된 양에 따라서 총체적 잡초제 또는 선택적 잡초제가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예를 들어 다음 식물들의 경우에 사용할 수 있다 :
잡초인 쌍자엽식물의 속 : 거자무리(겨자 속), 개구리자리무리(다닥냉이 속), 갈퀴덩굴무리(속 나물 속), 별꽃무리(쇠별꽃 속), 중대가리 국화무리(만트리카리아 속)(Matricaria), 메이우드(May weed)무리(안테미스 속(Anthemis)), 갈란트 솔져무리(Gallant soldier)(가린세가 속)(Galinsega)) 명아주무리(명아주 속), 쐐기풀무리(쐐기풀 속), 개쑥갓무리(세네시오 속(Senecio)), 명아주무리(비름 속), 쇠비름무리(쇠비름 속), 우엉무리(크산티움 속(Xanthium)), 메꽃무리(메꽃 속), 나팔꽃무리(고구마 속), 마디풀무리(여뀌 속), 세바니아무리(세바니아속(Sebsbania)), 쑥갓무리(암브로시아(Ambrosia)), 스페어 티스틸무리(엉겅퀴속), 엉겅퀴무리(카두드속(Carduus)), 방가지똥무리(방가지똥속), 가지무리(가지속), 필드 크레스무리(매갓냉이속), 마디꽃(마디꽃속), (린데르니아속(Lindernia)), 데드네틀(광대수염속), 꼬리풀무리(꼬리풀속), 아욱무리(아부틸론(Abutilon)), 에멕스(에멕스 속(Emey)), 아가위나무무리(다투라속(Datura)), 제비꽃무리(제비꽃속) 헴프-네틀(갈레오프시시(Galeopsis)), 양귀비(파파베르속(Papaver))와 수레국화무리 센타우레아속(Centaurea))
작물인 쌍자엽식물의 속 :
목화(목화속), 대두(글라이신속(Glycine)), 사탕무우(베타속(Beta)), 당근(다우쿠스속(Daucus)), 콩무리(파세오루스속(Phaseolus)), 완두콩(피숨속(Pisum)), 감자(가지속), 아마(리눔속(Linum)), 나팔꽃(고구마속), 잠두(비시아(Vicia)), 담배(니코티아나속(Nicotiana)), 토마토(리코페르시콘속(Lycopersicon)), 땅콩(아라키스속(Arachis)), 양배추(브라시카속(Brassica)), 상추(상치속), 오이(외속), 서양호박(쿠쿠르비타속(Cucurbita)).
잡초인 외떡잎 식물의 속 :
피(피속), 독새풀무리(세타리아속), 윌드 밀렛(파니쿰속(Panicum)), 바랭이무리(바랭이속), 큰조아제비(프레움속(Phleum)), 포아풀(포아풀속), 김의털아재비무리(김의털속), 왕바랭이(왕바랭이속), 시그날그래스(브라키아리아속(Brachiaria)), 독보리(호리움속(Lolium)), 치트(브로무스속(Bromus), 귀리(귀리속), 프래트세쥐(방동산이속), 사탕수수(소르그험(Sorghum)), 켁크그래스(개밀속), 베르무다 그래스(시노돈속(Cynodon)), 모노카리아속(Mono charia), 핌브리스틸리스(하늘직이속), 쇠귀나물 새기타리아속(Sagittaria), 쇠턱골(에레오카리스속(Eleocharis), 큰고쟁이무리(스키르푸르속(Scirpus)), 참새피(파스팔룸속(Paupalum)), 이스카에뭄속(Ischaemum), 갈퀴덩굴(스페노클레아속(Sphenoclea)), 미나리아재비(닥틸록테니움(Dactyloctenium)), 외거이삭(아그로스티스속(Agrostis)), 큰 독새풀(알로페쿠루스속(Alopeeurus))와 실키벤트-그래스(아페라속(Apera)).
작물인 외떡잎 식물의 속 :
쌀(오리자속(Oryza)), 옥수수(제아속(Zea)), 밀(트리티쿰속(Triticum)), 보리(호르데움속(Hordeum)), 귀리(아베나속(Avena)), 호밀(세칼레속(Secale)), 사탕탕수(수소르그험속(Sorghum)), 기장(파리쿰속(Panicum)), 사탕수수(사카룸속(Saccharum)), 파인애플(아나나스속(Ananas)), 아스파라거스(아스파라거스속)과 부추(알리움속(Allium)).
본 발명에 따른 활성 화합물의 용도는 이들 상기 속 식물에만 제한된 것이 아니라 역시 다른 류의 식물에도 넓혀 사용할 수 있다.
농도에 따라 화합물을 예를 들어 공업지역과 기차 레일, 과 골목과 나무있는 지역 또는 나무가 없는 지역에 따라 적당히 맞춤에 의해 잡초를 제거하는데 적당하다.
화합물은 다년생 작물재배의 잡초제거에도 역시 똑같이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조림, 장식용 나무재배, 바나나 플랜테이션, 커피 플랜테이션, 차 플랜테이션, 고무 플랜테이션, 오일 팜(oil palm) 플랜테이션, 코코아 플랜테이션, 연과 작물과 홉재배와 같은 재배와 같은 일년초작물재배의 선택적 잡초제거제에 사용할 수 있다.
대두, 감자, 보리, 귀리, 밀, 옥수수, 쌍과 사탕무우와 같은 곡물과 같은 작물재배의 잡초에 대한 선택적 제제로의 용도는 특히 언급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활성 화합물은 용액, 유탁액, 현탁액, 분말제, 파스타제와 입제와 같은 통상의 제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것은 기지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액체 또는 고체 또는 액화 기체 희석제 또는 담체와 같은 중량제와 임의로 유탁제 및/또는 분산제 및/또는 포말제와 같은 계면활성제와 활성 성분화합물과 혼합하여 제조한다.
증량제로 물을 사용할 경우에 예를 들면 유기용매를 첨가용매로 역시 사용할 수 있다.
액체 희석제 또는 담체로는 크실렌, 톨루엔, 벤젠 또는 알킬 나프탈렌과 같은 방향족탄화수소, 클로로벤젠, 클로로에틸렌, 또는 메틸렌 클로라이드와 같은 염소화된 방향족 또는 지방족 탄화수소, 사이클로헥산 또는 파라핀광유 부분과 같은 지방족 탄화수소, 부탄올 또는 글라이콜과 같은 알코홀, 그의 에텔, 에스텔, 아세톤, 메틸 에틸 케톤, 메틸 이소부틸케톤 또는 사이클로헥사논과 같은 케톤, 디메틸 포름아마이드 디메틸 설폭사이드 아세토니트릴 또는 물과 같은 강한 극성용매가 바람직하다.
액화 기체 희석제 또는 담체에 상온, 상압하에서는 기체인 프레온과 같은 할로겐화시킨 탄화수소와 같이 에어러졸 분무제와 같은 액회된 액체가스를 의미한다.
고체 희석제 또는 담체로는 카오린, 진흙, 탈크, 촉크, 수정, 아타풀가이트(attapulgite), 몬트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 또는 규조토와 같은 마쇄시킨 천연 광물질 또는 잘 분산된 규산, 알루미나 또는 규산염과 같은 마쇄시킨 합성 광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화제 또는 포말제로 바람직한 것은 비이온성 또는 음이온성 유화제로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 에스텔, 알킬아릴폴리 글라이콜에텔과 같은 폴리옥시에틸렌-패티(fatty) 알코홀 에텔, 알킬 설포네이트, 알킬 설페이트, 아릴 설포네이트와 알부민 가수분해 산물이 있고 분산제로 바람직한 것은 리그닌-설파이트 폐액과 메틸세루로즈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활성 화합물은 용도에 따른 작용범위를 강화시키고 보완시키기 위해 다른 제초작용을 갖는 활성 화합물과 혼합시킬 수 있고 완결제제나 탱크(tank) 혼합물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아래 언급한 활성화합물과 이 활성화합물들에 의해 특징지워지는 활성화합물 그룹 중의 다른 대표적 활성화합물은 이러한 혼합에 적합한 것들이다.
2, 3, 6-트리클로로벤조인 산과 그의 염, 2,3,5,6-테트라클로로벤조인산과 그의 염, 3-니트로-2,5-디클로로벤조인산과 그의 염, 3-아미노-2,5-디클로로벤조인산과 그의 염, 2-메톡시-3,6-디클로로벤조인산과 그의 염, 2-메톡시-3,5,6-트리클로로벤조인 산과 그의 염, 2,6-디클로로-티오벤즈아마이드, 2,6-디클로로벤조니트릴, 2,4-디클로로페녹시아세틴 산과 그의 염과 에스텔, 2,4,5-트리클로로페녹시아세틴 산과 그의 염과 에스텔, (2-메틸-4-클로로페녹시)-아세틴 산과 그의염과 에스텔, 2-(2,4-디클로로페녹시)-프로피온산, 2-(2-메틸-4-클로로페녹시)-프로피온 산과 2-(2,4,5-트리클로로페녹시)-프로피온 산과 그의 염과 에스텔, 4-(2,4-디클로로페녹시)-부틸 산과 그 염과 에스텔, 4-(2-메틸-4-클로로페녹시)-부틸 산과 그의 염과 에스텔, 2,3,6-트리클로로페녹시-아세틴 산과 그의 염과 4-아미노-3,5,6-트리클로로피콜린 산.
트리클로로아세틴 산과 그의 염, 2,2-디클로로프로피온 산과 그의 염, 2-클로로-N, N-디알릴아세틴 산아마이드, 디니트로-크레졸, 디니트로-2급부틸페놀과 그의 염.
3-페닐-1,1-디메틸-우레아, 3-(4-클로로페닐)-1,1-디메틸-우레아, 3-(3', 4'-디클로로페닐)-1,1-디메틸-우레아, 3-(3',4'-디클로로-페닐)-1-n-부틸-1-메틸-우레아, 3-(3',4'-디클로로페닐)-1,1,3-트리메틸-우레아, 3-(4'-클로로페닐)-1-메톡시-1-메틸-우레아, 3-(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1-디메틸-우레아, 3-(3',4'-디클로로페닐), 1-메톡시-1-메틸-우레아, 3-(4'-브로모페닐)-1-메톡시-1-메틸-우레아, 3-(3',4'-디클로로페닐-)-3메톡시-1,1-디메틸-우레아, 3-(4'-클로로페녹시페닐)-1,1-디메틸-우레아, N'-사이클로옥틸-N,N-디메틸-우레아, 3-(벤즈티아졸-2-일)-1,3-디메틸우레아와 3-(3-클로로-4-메틸페닐)-1,1-디메틸우레아.
N,N-디-(n-프로필)-S-n-프로필-티오카바민 산 에스텔, N-에틸-N-(n-부틸)-S-n-프로필-티오카바민 산 에스텔, N,N-디-(n-프로필)-S-에텔-티오카바민 산 에스텔, N-페닐-0-이소프로필-카바민 산 에스텔, N-(m-클로로페닐)-0-이소프로필-카바민 산 에스텔, N-(3',4'-디클로로페닐)-0-메틸-카바민산에스텔, N-(m-클로로페닐)-0-(4-클로로-부틴-2-일)-카바민산 에스텔, N-(3'-메틸페닐)-0-(3-메톡시-카보닐아미노페닐)-카바민 산 에스텔과 N,N--디이소프로필-티오카바민 산 2,3,3-트리클로로알릴 에스텔.
3-사이클로헥실-5,6-트리메틸렌-우라실, 5-브로모-3-2-급부틸-6-메틸-우라실, 3,6-디옥소-1,2,3,6-테트라하이드로피리라진과 4-아미노-5-클로로-1-페닐-6-피리다존.
2-클로로-4-에틸아미노-6-이소프로필아미노-S-트리아진, 2-클로로-4, 6-비스-(메톡시프로필아미노)-S-트리아진, 2-메톡시-4, 6-비스-(이소프로필아미노)-S-트리아진, 2-디에틸아미노-4-이소프로필아세트아미노-6-메톡시-S-트리아진, 2-이소프로필아미노-4-메톡시-프로필아미노-6-메틸티오-S-트리아진, 2-메틸티오-4,6-비스-(이소프로필아미노)-S-트리아진, 2-클로로-4,6-비스-(에틸아미노)-S-트리아진, 2-메틸티오-4, 6-비스-(에틸아미노)-S-트리아진, 2-메톡시-4-에틸아미노-6-이소프로필아미노-S-트리아진, 2-메틸티오-4-에틸아미노-6-이소프로필아미노-S-트리아진, 2-메톡시-4, 6-비스-(에틸아미노)-S-트리아진과 2-클로로-4,6-비스-(이소프로필아미노)-S-트리아진.
N,N-디에틸-2,4-디니트로-6-트리플루오로메틸-1,3-페닐렌-디아민, N,N-디-n-프로필-2,6-디니트로-4-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 4'-니트로-2,4-디클로로-디페닐 에텔, 3,4-디클로로페닐-프로피온아마이드와 2',6'-디에틸-N-(메톡시메틸)-2-클로로-아세트아닐리드.
본 발명에 따른 활성화합물은 살균제, 살충제와 살비제와 같은 다른 합성화합물과의 혼합물로 사용할 수 있다.
보통 일반적으로 제제는 중량으로 활성 화합물을 0.1-95% 함유하며 0.5-90% 함유케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활성 화합물은 제제형태 또는 제제로부터 만든 산포형태 즉, 즉시 사용용액, 유탁액, 현탁액, 페이스트와 입제 등으로 하여 사용할 수 있다. 통상의 방법 즉, 분무, 마쇄, 살분, 산포와 조루식 분무와 같은 방법에 의해 산포할 수 있다.
조성물은 실제 산포할 때 희석하며 사용된 활성 화합물의 양은 실제적 사용시 적당히 변화시킬 수 있다. 이는 원하는 효과면에서 필연적으로 고려되어진다.
일반적으로 활성 화합물을 재배면적에 산포시 그 양은 0.1-20㎏/ha이며 0.2-15㎏/ha가 바람직하다.
화합물을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선택적 제초제로 사용할 때 그 양은 적당히 일정 범주 내에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화합물은 발아 후 처리 또는 발아 전 처리방법에 따라 사용할 수 있다.
발명에 따른 화합물인 활성성분과 고체 또는 액화 기체 희석제 또는 담체와 혼합하거나 계면활성제를 함유한 액체 희석제 또는 담체와 혼합시켜 조성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만 또는 희석제 또는 담체와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형태로 잡초 또는 이들의 서식지에 살포하여 잡초제거하는 방법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만 또는 희석제 또는 담체와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과 혼합하여 살포하여 성장 바로 직전 및/또는 성장기간 내에 재배지에 자라는 잡초에 의한 피해로부터 작물을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추수 작물의 통상적인 방법은 본 발명에 의해 개선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그의 제법 및 용도를 다음 실시예로 상술한다.
[실시예 A]
발아 후 처리시험
용매 : 중장비로 아세톤 5부
유화제 : 중량비로 알킬아릴 폴리글라이콜 에텔 1부
활성화합물의 적당한 제제는 1부의 활성화합물을 상기 언급된 양의 용매와 혼합하고 상기 언급된 양의 유화제로 가하고 농축액을 물로 희석하여 원하는 농도로 한다.
키가 5-15㎝인 시험식물에 표에 표시된 단위면적당 활성화합물의 양을 살포하도록 활성화합물의 제제로 분무해준다. 분무액의 농도는 표에서 본 바와 같이 활성화합물의 양을 2, 000ℓ/ha의 물에 혼합시켜 살포하게끔 선택한다. 3주일 후에 식물의 피해도를 활성화합물로 처리시키지 않은 대조용의 성정과 비교하여 백분율 피해도를 계산해 낸다.
숫자의 표시 : 0=작용 없음(활성화합물로 처리하지 않은 대조용과 같음)
100%=전량 피해 입음.
활성화합물, 사용된 량 및 그 결과는 다음 표와 같다.
[표 A]
발아 후 처리 시험
Figure kpo00005
[실시예 B]
발아 전 처리 시험
용매 : 중량비로 아세톤 5부
유화제 : 중량비로 알킬아릴 폴리글라이콜 에텔
활성화합물 제제의 적당한 제법은 활성화합물 1부를 상기 언급된 양의 용매와 혼합하고 유화제를 상기 언급된 양을 가하고 농축액을 물로 희석하여 원하는 농도로 한다.
시험 식물의 씨앗을 정상적인 토양에 심고 24시간 후에 활성화합물의 제제와 함께 물을 준다. 단위 면적당의 물의 양은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는 것이 편리하다. 제제의 있어서의 활성화합물의 농도는 중요치 않으며 단지 단위 면적답에 살포하는 활성화합물의 양이 결정적인 것이다. 3주일 후 작물의 피해도는 활성화합물로 처치하지 않은 대조용의 성장과 비교하여 백분율 피해도를 결정한다.
숫자의 표시 : 0%=작용 없음(활성화합물로 처리하지 않은 대조용과 같음)
100%=전량 피해 입음.
활성화합물, 사용량 및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B1]
발아 전 처리 시험
Figure kpo00006
[표 B1-a]
발아 전 처리 시험
Figure kpo00007
[표 B1-b]
Figure kpo00008
[표 B2]
발아 전 처리 시험
Figure kpo00009
[실시예 1]
Figure kpo00010
214g(1몰)의 4-아미노-6-3급-부틸-3-메틸티오-1,2,4-트리아진-5-온, 101g(1.1몰)의 글리옥실산 모노하이드레이트와 2ℓ의 에탄올을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해 준다. 침전된 생성물을 여과해 내고 여액을 농축하여 물질을 더 결정으로 석출해 낸다. 합한 여액을 잔사를
Figure kpo00011
시간 동안 약 500㎖의 냉수중에서 교반해 준 후 생성물을 여과해 내고 진공상태, 40℃에서 건조시킨다. 304g(이론치의 96%)의 N-(3-메틸티오-6-3급-부틸-1,2,4-트리아진-5-온-4일)-α-에톡시-글리이신을 얻는다.
융점 154-55℃(분해)
[실시예 2]
Figure kpo00012
21.4g(0.1몰)의 4-아미노-6-3급-부틸-3-메틸티오-1,2,4-트리아진-5-온과 10.1g(0.11몰)의 글리옥실산 모노하이드레이트를 12시간 동안 실온에서 250㎖의 에틸 아세테이트에 가하여 교반해 준다.
이렇게 하여 맑은 용액을 얻는다. 그 후 혼합물을 방치하면 3시간 후 생성물을 결정으로 석출되기 시작한다. 여과해 내고 여액을 농축하여 물질을 더 석출해 낸다. 합한 여과 잔사를 에텔로 세척하고 건조한다.
25.2g(이론치의 87.5%)의 N-(3-메틸티오-6-3급-부틸-1,2,4-트리아진-5-온-4-일)-α-하이드록시-글라이신을 얻는다. 융점 : 161℃(분해)
[실시예 3-31]
다음의 표 1의 화합물은 실시예 1과 2의 방법과 유사한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표 1a]
Figure kpo00013
[표 1b]
Figure kpo00014

Claims (1)

  1. 다음 구조식(Ⅱ)인 4-아미노-1,2,4-트리아진-5-온 화합물을 임의로 희석제 존재하에서 다음 구조식(Ⅲ)인 글리옥실 산 또는 글리옥실 산 유도체와 다음 구조식(Ⅳ)인 알코홀(구조식(Ⅰ)에서 R3가 수소가 아닌 경우임)과 반응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다음 구조식(Ⅰ)인 N-(1,2,4-트리아진-5-온-4-일)-글라이신 유도체의 제조방법.
    Figure kpo00015
    상기 구조식에서
    R1는 알킬, 알콕시, 알킬티오 또는 알킬아미노이고
    R2는 알킬, 사이클로알킬 또는 임의로 치환된 페닐이고,
    R3는 수소, 알킬, 알케닐이고
    R4는 하이드록시, 알콕시, 알킬티오, 아미노 알킬아미노, 또는 디알킬아미노이고
    R5는 알킬, 알케닐 또는 알키닐이다.
KR7602237A 1976-09-10 1976-09-10 N(-1, 2, 4-트리아진-5-온-4-일)-글라이신 유도체의 제조방법 KR7900013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602237A KR790001310B1 (ko) 1976-09-10 1976-09-10 N(-1, 2, 4-트리아진-5-온-4-일)-글라이신 유도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602237A KR790001310B1 (ko) 1976-09-10 1976-09-10 N(-1, 2, 4-트리아진-5-온-4-일)-글라이신 유도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790001310B1 true KR790001310B1 (ko) 1979-09-24

Family

ID=19202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602237A KR790001310B1 (ko) 1976-09-10 1976-09-10 N(-1, 2, 4-트리아진-5-온-4-일)-글라이신 유도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790001310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L148464A (en) Uracil substituted phenyl sulfamoyl carboxamides
WO1987005898A2 (en) Use of malonic acid derivative compounds for retarding plant growth
JPH02164864A (ja) N―アリール―置換された窒素―含有複素環類、それらの数種の製造方法、および除草剤としてのそれらの使用
KR920005414B1 (ko) 5-할로게노알킬-1, 3, 4-티아디아졸-2-일옥시아세트 아미드의 제조방법
HU189543B (en) Herbicide compositions containing phenoxy-cinnamoic acid derivativer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active agents
CA1083604A (en) N-(4-benzyloxyphenyl)-n'-methyl-n'-methoxyurea
US4623377A (en) 1,2,3,4-tetrahydroquinolin-1-ylcarbonylimidazoles and herbicidal use thereof
US4067724A (en) N-(1,2,4-Triazin-5-on-4-yl)-glycines and herbicidal compositions
JPH0336826B2 (ko)
US4459151A (en) Herbicidally active fluorine-containing 4,6-diamino-s-triazines
AU7284387A (en) Use of malonic acid derivative compounds for increasing crop yield
KR790001310B1 (ko) N(-1, 2, 4-트리아진-5-온-4-일)-글라이신 유도체의 제조방법
JPH0245403A (ja) ジフルオロメチル‐チアジアゾリル‐オキシアセトアミドの選択除草剤としての使用
EP0290863A2 (de) Benzoxazin-Derivat, Verfahren und Zwischenprodukte zu seiner Herstellung und seine Verwendung als Herbizid
US4058525A (en) 4-Amino-5-thione-1,2,4-triazines
CA1093093A (en) Chloromethanesulphonic acid anilides and their use as herbicides
KR930011685B1 (ko) 5-클로로-1,3,4-티아디아졸-2-일옥시-아세트아미드의 제조방법
EP0477677B1 (en) Herbicidally active benzoxazines
JPH0234945B2 (ko)
US4402732A (en) Herbicidally active dihalogenated imidazolecarboxylic acid amides, compositions and use
US4406692A (en) Meta-substituted dialkylaminooxanilide post-emergent herbicides
US4074059A (en) Substituted-1-phenol-4-sulfonamides
CA1142535A (en) Substituted carbanilic acid este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f these compounds and herbicidal preparations containing them
JPS585165B2 (ja) ジヨソウザイソセイブツ
EP1364951B1 (en) Triazoquinolone derivatives as pest controll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