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790000987B1 - 원격조작이 가능한 전화 자동 응대장치 - Google Patents

원격조작이 가능한 전화 자동 응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790000987B1
KR790000987B1 KR750000307A KR750000307A KR790000987B1 KR 790000987 B1 KR790000987 B1 KR 790000987B1 KR 750000307 A KR750000307 A KR 750000307A KR 750000307 A KR750000307 A KR 750000307A KR 790000987 B1 KR790000987 B1 KR 790000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control
message
control signal
tape
re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50000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스오 안또
아끼라 오까무라
Original Assignee
이시즈까 요오조오
파이오니아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시즈까 요오조오, 파이오니아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이시즈까 요오조오
Priority to KR750000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7900009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790000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790000987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원격조작이 가능한 전화 자동 응대장치
도면은 이 발명의 1실시예에 의한 전화자동 응대장치를 표시하는 블럭디이어 그램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동회로 2 : 스윗칭회로
4 : 타이머회도 7 : 콘덕터포울
8 : 비이프로온(beep tone)발생기 9 : 지연회로
10 : 스윗칭회로 11 : 녹재(錄再)앰프
13 : 필터회로 14 : 확인회로
15 : 모노멀티바이브레이터 17 : 스윗칭회로
18 : 콘덕터포울 T1: 응답용테이프
T2:전언용테이프 t21: 제1트랙
t22: 제2트랙 Y1∼Y6: 릴레이
M1, M2: 모우터 PL : 플런져
본 발명은, 벨신호에 응답하여 전화회선을 통화상태로 유지하고, 미리 녹음되어 있는 응답메시지를 발호자(發呼者)에 송출함과 동시에, 발호자로 부터의 전언메시지를 녹음하는 동작을 자동적으로 행함과 동시에 전화회선을 통하여 특정의 리모 트콘트롤(remote control) 신호를 보냄으로써, 전언메시지를 녹음하기 위한 전언용테이프를 되감고, 이어서 재생하는 동작을 행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전화자동 응대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화자동응대장치에 있어서, 전화회선을 통하여 전언용 테이프를 원격제어할 수 있는 기구를 설치하는 것은, 외부로부터 전언메시지를 청취할 수 있다고 하는 점에서, 전화자동응대장치의 이용가치를 현저하게 높인다.
그러나 공지의 원격제어장치에 있어서는, 특정의 리모트콘트롤 신호가 보내져 올때마다, 녹음용 테이프를 시점(始點)까지 되감고, 이어서 재생하는 동작이 행하여지기 때문에, 2회째 이후의 원격조작시에는 이미 청취를 끝마치고 있는 전언메시지를 반복하여 청취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 발명의 목적은, 원격제어에 의하여 행하여지는 전언 메시지를 능율적으로 재생청취할 수가 있게 한 전화자동응대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 발명의 장치에 있어서는, 1회의 통화동작중에 최초의 리모트 콘트롤 신호가 도래했을 때에는 소정의 시간(예컨대, 약 10초간)만큼 전언용테이프를 되감고, 2회째 이후의 리모 트콘트롤신호의 도래시에는 그 계속시간만큼 되감고, 이어서 재생하는 것 같은 동작이 행하여 진다. 이 최초의 리모트콘트롤 신호에 의한 자동적인 되감기 및 재생동작에 의하여, 이미 녹음되어 있는 전언메시지의 최후의 부분만큼을 청취할 수가 있으며, 이것에 의하여 이 부분의 전언메시지가 전회의 재생청 취시에 이미 청취를 끝마친 것인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기회가 주어진다. 만약 청취하고 있지 않은 새로운 전언메시지가 녹음되어 있는 것을 알면, 임의의 시간만큼 리모 트콘트롤 신호를 보냄으로써, 소망의 위치까지 전언용테이프를 되감을 수가 있고, 새로운 전언메시지가 녹음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알면, 통화상태를 차단할 수가 있다. 어느 경우에도, 최초의 리모 트콘트롤 신호에 의하여 되감기를 시작한 개소까지 전언용 테이프가 주행했을때에는, 장치는 자동적으로 복구하여 대기 상태로 된다.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도면에 따라서 다시 상세히 설명한다. 전화회선을 통하여 호출신호가 도래하면, 이 호출신호는, 릴레이 Y1의 접점 y11을 거쳐 기동회로(1)로 들어 간다. 이 기동회로(1)는, 최초의 벨신호가 도래한 시점으로부터 적당한 시간(예컨대, 3-10초)을 경과한 후에 직류출력을 발생하고, 스윗칭회로(2)의 동작상태를 반전시키고, 후술하는 점점 y51을 거쳐 릴레이 Y1을 동작시킨다. 릴레이 Y1의 동작에 의하여, 접점 y11은 라인 트랜스(3)측에 절환(切換)되고, 동시에 다른 6개의 접점 y12∼y17이 절환된다. 기동회로(1) 및 스윗칭회로(2)간에 삽입된 접점 y12는, 스윗칭회로(2)의 입력단을, 기동회로(1)측으로부터 타이머(4)측으로 절환한다. 이 타이머(4)는, 이미 페성(閉成)된 접점 y13을 거쳐 전원으로 접속되고, 접점 y13의 폐성시로부터 소정의 시간(예컨대, 약 60초간)만큼 직류출력을 발생하는 기능을 가지며, 이에 의해서 스윗칭회로(2)는 온(on) 상태를 유지하고, 릴레이 Y1의 동작이 계속한다. 릴레이 Y1의 동작에 의한 접점 y11의 절환동작에 의해서 전화회선은 통화상태로 유지되고, 이미 폐성된 접점 y14를 통하여 전원(5)에 접속된 모우터 M1에 의하여, 응답용 테이프 T1이 주행한다. 이 응답용테이프 T1은, 정속주행상태예로 예컨대, 20초간에 1주하는 길이를 가진 엔드레스(endless)한 것으로, 미리 전언메시지가 녹음되어 있다. 이 전언메시지는, 자기 헤드 H1에 의하여 재생된후 재생앰프(6), 후술하는 릴레이 Y2의 접점 y21및 라인트렌스(3)를 거쳐서 전화회선으로 송출된다. 또 응답용테이프 T1가 종단까지 주행하면, 적당한 종단 검출수단, 예컨대, 응답용테이프 T1에 첨부된 도전박(導電箔)과 이에 의하여 쇼오트(short)되는 큰덕터폴(7)에 의하여 응답용테이프 T1의 종단이 검출된다. 이 종단검출에 의하여, 비이프로온(beep tone) 발생기(8)가 동작하여 전화회선에 비이프토온을 송출하고, 전언메시지의 녹음준비가 완료되었다는 것은 발호자에게 보지(報知)한다. 또 지연회로(9)는, 응답용테이프 T1의 종단이 검출되었을 때로부터 소정의 시간, 예컨대, 1-2초후에 직류출력을 발생하고, 이 직류출력에 의하여 스윗칭회로(10)가 온(on)으로 되어서, 이미 폐성된 접점 y15를 개하여 릴레이 Y2가 동작한다.
릴레이 Y2는, 2개의 접점 y21및 y22를 동작시킨다. 이중 접점 y21은, 라인트랜스(3)의 2차측을 재생앰(6)프측으로부터 녹재(錄再)앰프(11)축으로 절환하고, 전화회선으로부터 보내져 오는 발사자로부터의 전언메시지 신호를 자기헤드 H21로 공급한다. 또 타방의 접점 y22는, 모우터 M1을 전원(5)으로부터 분리시켜 응답용테이프 T1의 주행을 정지시키고, 동시에 모우터 M2를 전원(5)에 접속시키고, 전언용테이프 T2를 정속주행시키고, 그 제1트랙 t21에 자기헤드 H21을 동작시켜 전언메시지를 녹음시킨다.
이 상태로 타이머(4)의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스윗칭회로(2)의 입력레벨이 저하해서 오프(off)상태로 반전하고, 릴레이 Y1이 복구된다. 또 접점 y15의 개방에 의하여 릴레이 Y2도복구 되고, 각부는 원상태로 복귀하여, 장치전체는 대기상태로 된다. 이 동작은 벨신호가 도래할 때마다 반복되고, 전언용테이프 T2는 그때마다 전진하여, 그 제1트랙 t21에 전언메시지를 녹음한다.
한편, 전언용테이프 T2의 녹음동작중에, 전화회선을 통해서 특정의 리모트콘트롤 신호(이하 "리모콘신호"라 약칭한다)가 도래하면, 이 리모콘신호는, 상기 과정에서 전언용테이프 T2의 제 1트랙 t21에 녹음됨과 동시에, 앰프(12)에서 증폭되고, 판별용의 필터회로(13)를 통함으로써 다른 신호와 판별된후, 자기헤드 H22에 의하여 전언용 테이프 T2의 제2트랙 t22에 녹음된다.
또 필터회로(13)를 통과한 리모콘신호의 1부는 확인회로(14)에도 공급된다. 이 확인회로(14)는, 리모콘 신호가 예컨대, 2초간 만큼 계속하여 공급되었을 때에 동작하여 그 출력단에 직류출력을 발생하고, 이 상태는, 리모콘신호가 계속되는 한 유지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직류출력이 발생하면, 적당한 시한회로 예컨대, 모노멀티 바이브레이터(15)의 입력단에 1개의 펄스가 들어가고 모노멀티바이브레이터(15)는, 그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예컨대, 10초간)만큼 직류출력을 발생하고, 이미 폐성되어 있는 접점 y16을 통하여 릴레이 Y3을 동작시킨다. 이 릴레이 Y3은, 3개의 접점 y31∼y33을 동작시키고, 폐성한 접점 y31은, 전언용테이프 T2의 되감기동작용의 플런져 PL을 전원(5)에 접속하고, 모노멀티바이브레이터(15)의 설정시간(10초간)만큼 전언용 테이트 T2를 되감은 뒤에 자동적으로 복구한다. 또 플런져 PL은, 전언용테이프 T2의 동작선택기구를 조작하여, 되감기종료후에 재생상태로 전언용 테이프 T2를 정속주행시키는 기능을 가지며, 따라서 제1트랙 t21에 녹음되어 있었던 전언메시지가 자기 헤드(磁氣 head) H21에 의하여 재생된다. 또 릴레이 Y3의 동작시에 폐성된 접점 y32는, 릴레이 Y4를 전원에 접속하고, 이 릴레이 Y4는, 이미 폐성되어 있는 접점 y17및 자신의 접점 Y41에 의하여 자기 보지(自己保持)한다.
릴레이 Y4에 의하여 제어되는 6개의 접점 y41∼y46중, 접점 y42는, 확인회로(14)의 출력단을 모노멀티바이 브레이터(15)의 입력단으로부터 분리시키고, 이후의 리모콘신호에 의하여 모노멀티바이브레이터(15)가 동작하는 것을 저지한다. 또, 접점 y43은 및 y44는, 녹재앰프(11)의 입력단을 자기헤드 H21측에, 출력단을 라인트랜스(3)측에 절환하고, 이에 의하여 전언용테이프 T1의 제1트랙 t21에 녹음되어 있는 전언메시지가 전화회선에 송출된다. 또 접점 y45는, 스윗칭회로(2)의 입력단을 타이머회로(4) 측으로부터 전원측으로 절환되고, 스윗칭회로(2)는 타이머회로(4)의 설정시간 경과후에도 온(on)상태를 보지한다. 전언메시지의 재생청취가 진행되고, 전언용테이프 T2가 되감기개시점, 곧 최초에 리모콘신호가 공급된 개소까지 주행하면 제1트랙 t21에 녹음되어 있었던 리모콘신호가 전화회선으로 송출되어서, 전언메시지의 최후의 부분을 재생 완료한 것을 보지한다. 또 제2트랙 t22에 녹음되어 있었던 리모콘신호는, 자기헤드 H22에 의하여 재생된 후 이미 절환되었던 릴레이 Y4의 접점 Y46을 거쳐서 앰프(16)로 들어가고, 스윗칭회로(17)에 의하여 릴레이 Y5를 동작시킨다. 릴레이 Y5가 동작하여 접점 y51이 오프(off)로 되면, 릴레이 Y1은 스윗칭회로(2)의 출력단으로부터 분리되고, 이에 의하여 상기 동작이 행하여져서 전체는 대기상태로 복귀한다.
또 전언용테이프 T2의 재생동작중에 다시 리모콘 신호가 보내지면, 이 리모콘신호는, 앰프(12)에 필터회로(13), 확인회로(14), 접점 y42, 다이오우드 D 및 접점 y16을 거쳐서 릴레이 Y3을 리모콘신호가 보내지고 있는 동안만큼 동작시킨다. 이에 의하여 상기와 마찬가지로 전언용 테이프 T2의 되감기동작이 행하여지지만, 이 경우에는 모노멀티바이브레이터(15)는 분리되어 있으므로, 되감기동작의 지속시간은 리모콘신호의 지속시간에 의해서만 규제된다.
더욱이, 전언용테이프 T2가 그 시단까지 되감기면, 이 부분에 첩부되어 있었던 도전박에 의해서 한쌍의 콘덕터플(18)이 쇼오트(Short)되고, 트랜지스터 Tr1이 그 베이스 바이어스의 증대에 의해서 온으로 된다. 이에 의하여 트랜지스터 Tr1의 콜렉터측에 접속된 릴레이 Y6이 동작하고, 그 동작은 자신의 접점 y61및 이미 폐성되어 있는 접점 y33에 의하여 자기보지(自己保持)된다. 또 릴레이 Y6의 다른접점 y62는, 되감기용의 플런져 PL을 전원으로부터 분리시키기 때문에, 그 후에 리모콘신호가 보내져와도, 되감기동작은 행하여지지 않는다.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전언용테이프 T2의 녹음동작중에 리모콘신호를 보냄으로써, 이 리모콘 신호의 계속시간과는 무관계로, 미리 정해진 일정시간만큼 되감기동작이 행하여지고, 이어서, 재생상태로 이행한다.
이 때문에 전언용테이프 T2에 새로이 전언메시지가 녹음되어 있는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가 있으며, 이후의 리모콘신호에 의하여, 필요한 부분을 필요한 회수만큼 재생청취하든가, 또는 불필요한 것으로서 통화를 종료하든가의 판단을 정확하게 할 수가 있게 된다. 이 결과, 장시간에 걸쳐서 리모콘신호를 계속하여 보내는 것 같은 사태는 적게되고, 전화회선 및 전화자동 응대장치의 부당한 점유를 회피할 수 있다. 또 최초의 리모콘신호는 전언용테이프 T2의 제2트랙 t22에 녹음되고, 이 위치까지 재생되었을 때에 복구하여 차회(次回)의 녹음이 이루어 지기 때문에, 이미 녹음되어 있는 전언메시지를 소거(消去)하여 버리는 것 같은 불편은 일어나지 않는다.

Claims (1)

  1. 전화회선을 통하여 도래하는 리모트콘트롤(remote control)신호를 판별하는 판별용필터회로(13)와 최초의 리모트 콘트롤 신호가 도래하고 나서부터 모노멀티바이브레이터(15)의 소정의 설정시간 만큼 전언녹음용테이프(T2)를 되감고, 그 설정시간 경과후, 즉시 이 테이프(T2)를 재생하는 플런저(PL)와 상기 최초의 리모트콘트롤 신호 도래후, 다시 리모트콘트롤 신호가 도래한 경우에는 그 리모트콘트롤 신호의 도래계속시간 중 만 상기 전언녹음용테이프(T2)를 되감고 리모트콘트롤 신호의 정지후 이 테이프(T2)를 재생상태로 두는 다이오드(D)와 발호자에게 전언메시지를 전화회선으로 송출하는 녹재앰프(11)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원격조작이 가능한 전화자동응대장치.
KR750000307A 1975-02-18 1975-02-18 원격조작이 가능한 전화 자동 응대장치 KR7900009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50000307A KR790000987B1 (ko) 1975-02-18 1975-02-18 원격조작이 가능한 전화 자동 응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50000307A KR790000987B1 (ko) 1975-02-18 1975-02-18 원격조작이 가능한 전화 자동 응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790000987B1 true KR790000987B1 (ko) 1979-08-16

Family

ID=19200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50000307A KR790000987B1 (ko) 1975-02-18 1975-02-18 원격조작이 가능한 전화 자동 응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790000987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37690A (en) Automatic telephone answering and message recording machine having fixed cycle of operation and remote callback
US3858006A (en) Automatic telephone answering apparatus
US4032712A (en) Telephone answering device with separate announcement erase and playback control timing periods
US4079200A (en) Apparatus for recording replies to pre-recorded messages
KR930001824B1 (ko) 부재시 전화장치
US3943292A (en) Automatic telephone answering apparatus
KR790000987B1 (ko) 원격조작이 가능한 전화 자동 응대장치
US4011411A (en) Automatic telephone answering and recording device
US4031323A (en) Remote controllable telephone answering device having a dual playback capability
US4024348A (en) Remote controllable automatic telephone answering apparatus
US4672659A (en) Single tape automatic telephone answering machine
US3999016A (en) Automatic telephone answering and message recording apparatus
US3168620A (en) Electromechanical device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telephone messages received in the absence of the subscriber
JPS6333393Y2 (ko)
JPS6322664B2 (ko)
JPH075714Y2 (ja) 留守番電話装置
JPH0351147B2 (ko)
JPS6347109Y2 (ko)
KR790000988B1 (ko) 원격조작(遠隔操作)이 가능한 전화자동응대장치
JP2576438B2 (ja) 留守番電話装置
JPS6320208Y2 (ko)
JPS6324693Y2 (ko)
JPH0422386B2 (ko)
JPH0351146B2 (ko)
JPS58119255A (ja) 留守番電話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