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790000873B1 - 전원회로 - Google Patents

전원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790000873B1
KR790000873B1 KR740002601A KR740002601A KR790000873B1 KR 790000873 B1 KR790000873 B1 KR 790000873B1 KR 740002601 A KR740002601 A KR 740002601A KR 740002601 A KR740002601 A KR 740002601A KR 790000873 B1 KR790000873 B1 KR 790000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input
voltage
circuit
tran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40002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찌로우 후나쓰
아기오 나까시마
에이이찌 마쓰무라
Original Assignee
요시야마 히루요시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구쇼
고바야시 고우지
닛뽕덴기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야마 히루요시,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구쇼, 고바야시 고우지, 닛뽕덴기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요시야마 히루요시
Priority to KR740002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7900008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790000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790000873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Continuous-Control Power Sources That Use Transis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원회로
제1도는 종래의 교직양용(交直兩用)의 전원회로를 표시한 회로도
제2도, 제3도는 본발명에 의한 전원회로의 실시예를 표시한 회로도
본 발명은 상용(商用)교류전원과 직류전원의 양쪽을 입력전원으로 할 수 있고, 더우기, 어느 쪽의 전원을 사용할 경우도, 유효 필터를 통하여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한 전원회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교류전원 및 직류전원의 양쪽을 사용할 수 있는 전자기기, 특히 텔레비젼 수신기에 응용하면 가장 적합하다.
종래의 교직양용의 전원회로는 제1도에 표시한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도면에 있어서, 상용교류전원을 사용할 경우, 플럭(1)은 전원소켓(2)에 접속되므로, 교류전원은 전원트랜스(3)의 일차권선의 양단에 접속되고, 정류회로(4)의 출력단자(6)와 유효 필터(7)의 입력단자(9)가 접속된다. 따라서, 교류입력은 전원트랜스(3)로 강압(降壓)되어, 정류회로(4)와 콘덴서(10)로 정류, 평활(平滑)되고, 리플분은 포함한 직류전원으로서 유효 필터(7)의 입력단자 (8),(9)사이에 공급된다.
이 직류전원의 리플분은 이 유효 필터로 평활되어서 부하(11)에 공급 된다.
직류전원을 사용할 경우, 풀럭(12)은 전원소켓(2)에 접속된다. 이 경우, 직류전원은 유효 필터(7)의 입력단자(8),(9)의 사이에 접속되어, 정류회로(4)의 출력단자(6)와 유효 필터(7)의 입력단자(9)는 절단된다.
따라서, 직류전원은 유효 필터(7)로 평활되어, 리플분이 적은 직류로서 부하(11)에 공급된다.
제1도에 표시한 유효 필타(7)에 있어서, 필터(7)의 입출력 전압차는 트랜지스터(13)의 베이스전류에 의한 저항(14)의 전압 강하에 트렌지스터(13)의 베이스. 에미터 전압 VBE를 가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류의, 교직양용의 전원회로에 사용되는 유효 필터(7)로는, 리플분이 큰 교류전원의 리플분이 평활될 수 있게 입출력차 전압설정사항(14)의 치(値)를 직류전원용 유효 필터의 입출력차 전압 설정저항에 비하여, 크게 설정하고 있다.
교류전원의 리플을 평활할 수 있게 필터(7)의 저항(14)의 치를 설정하면, 이 필터(7)를 직류전원에 사용할 경우에는, 필터(7)의 입출력 전압차가 필요이상으로 크게 되고, 이 필터(7)를 효율좋게 사용할 수 없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결점을 해결하고, 교류전원 사용시와 직류전원 사용으로 리플 필터의 입출력 전압차를 바꾸어, 양 전원에 대하여 효율좋게 유효 필터를 동작시킬 수 있는 전원회로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전원회로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제2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블록(15)은 본 발명에 의해 부가(付加)된 회로이다. 저항(16),(17)은 저항(14)과 동일하게, 유효 필터의 입출력 전압차 설정용 저항으로서, 트랜지스터(13)의 콜렉터와 베이스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저항(16)의 일단에는 절환트랜지스터(18)의 콜렉터가, 저항(16)의 타단에는 트랜지스터(18)의 에미터가 접속되어 있고, 트랜지스터(18)의 베이스는 단자(6)와 단자(8)사이에 접속되어 있는 저항(19),(20)의 접속점에 접속되어 있다.
이 회로에 있어서, 저항(19),(20)은, 그 비(比)가 유효 필터(7)의 입력단자 (8),(9)사이에 가해진 전압을 저항(19),(20)으로 분압(分壓)한 전압이 트랜지스터(18)의 에미터 전압보다 낮은 치로 되게금 선정된다.
교류전원 사용시에는, 단자(6),(9)가 접속되어, 단자(8)와 단자(9) 사이에 저항(19),(20)이 직렬로 접속되기때문에, 트랜지스터(18)의 베이스 전압은 에미터 전압보다 낮고, 트랜지스터(18)는 차단되고 있으나, 직류전원 사용시에는, 단자(6),(9)가 절단되어, 저항(20)의 일단은 개방되므로, 트랜지스터(18)의 베이스 전압은 올라가고, 트랜지스터(18)는 도통(導通)한다.
따라서, 직류전원 사용시의 필터(7)의 입출력 전압차는 트랜지스터(13)의 베이스 전류에 의한 저항 (16),(17)의 전압강하에 트랜지스터(13)의 베이스. 에미터 사이의 전압을 가한 것이고, 직류전원 상용시의 필터(7)의 입출력 전압차는 트랜지스터(13)의 베이스 전류에 의한 저항(17)의 전압강하에, 트랜지스터(18)의 베이스 전류에 의한 저항(19)의 전압강하와, 트랜지스터(18)의 베이스·에미터 사이의 전압과, 트랜지스터(13)의 베이스·에미터 사이의 전압과를 가한 것이다.
그러므로, 저항(17)의 치를, 직류전원을 사용하여, 리플분이 적은 전압을 평활하기에 적합한 치로 선정하고, 저항(16)에 저항(17)을 가산한 치를, 교류전원을 사용한 경우에 필터(7)에 공급되는 리플분이 큰 전압을 평활하기에 적합한 치로 선정하면, 교류전원 사용시, 및 직류전원사용시 공히 유효 필터(7)를 효율좋게 이용할 수가 있다.
또한, 제2도의 전원회로에 있어서, 저항(19),(20)으로 분압된 전압이 트랜지스터(18)의 에미터 전압보다 낮아지게금, 저항(19)과 저항(20)의 비를 정함과 동시에, 저항(19)의 치를 적게 설정하면, 저항(19)에 의한 전압강하는 적게되어, 보다 효율좋게유효 필터(7)를 이용할 수가 있다.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전원회로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한 회로도로서, 이는, 입력전압 [단자(8),(9)사이의 전압] 이 미리 정해진 치 이상의 경우에는 정전압회로로서 동작하고, 입력전압이 미리 정해진 치보다 낮을 경우에는 유효 필터로서 동작하는 회로(21)에 본발명을 응용한 경우의 실시예이다.
회로(21)의 동작은 공지이므로, 간단히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22)는 제어트랜지스터, (23)은 정전류 회로이다.
따라서, 트랜지스터(18)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저항(24),(25)에는 항상 정전류가 흐르고, 저항(24),(25)의 양단간의 전압은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다.
단자(8),(9)사이의 전압이 미리 정해진 치 이상의 경우, 트랜지스터(22)의 콜렉터·에미터 사이의 전압에 비해서, 저항(24),(25)의 양단간의 전압이 낮기때문에, 즉, 트랜지스터(22)의 콜렉터 전압에 비해서 저항(25)과 정전류회로(23)의 접속점의 전압쪽이 높기 때문에, 트랜지스터(26),(27)는 차단되어 있다.
따라서, 부하전압의 변동은 저항(28),(29), 제너다이오우드(30), 저항(31), 오차증폭 트랜지스터(32)로 구성되는 오차증폭회로로 검출 되어, 이 오차증폭회로의 출력에 의해서 제어트랜지스터(22)가 제어되므로 부하에는 일정한 전압이 공급된다.
단자(8),(9)사이의 전압이 미리 정해진 치보다 낮게 되었을 경우, 트랜지스터(26),(27)가 없으면, 트랜지스터(22)는 증폭작용을 잃고, 부하(11)에 리플을 포함한 전압이 공급되지만, 이 회로에 있어서는, 저항(25)의 정전류회로(23)의 접속점의 전압에 비해서 트랜지스터(22)의 콜렉터 전압이 높아지고, 트랜지스터(26),(27)가 도통되며, 트랜지스터(32),(22)의 베이스 전류가 감소되는 결과, 트랜지스터(22)는 증폭작용을 유지하므로, 부하전압은 단자(8),(9)사이의 전압에 따라서 감소되지만 리플분은 감소된다.
즉, 이경우 회로(21)는 유효 필터로서 동작한다.
또한, 이 회로(21)에 있어서, (33)은 평활콘덴서이며, (34)는 입력전압인가(印加)시에 회로(21)를 기동(起動)시키기위한 저항이다. 이 회로(21)에 있어서도, 이 회로(21)를 유효 필터로서 사용할 경우에는 직류전원 입력시와 교류전원 입력시에 있어서의 리플분의 크기에 따라서 이 유효 필터의 입출력 전압차를 바꾸어, 각각의 전원에 적합하도록 회로(21)의 입출력 전압차를 설정하 것이 바람직하다. 제3도의 실시예에 있어서, 트랜지스터(18)는 제2도에 표시한 실시예에서 설명한바와 같이, 교류전원 사용시에는 차단되고, 직류전원 사용시에는 도통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26)의 베이스 이미터 사이의 전압을 VBE, 저항(24),(25)의 치를 각각 Ra, Rb, 정전류회로(23)의 전류를 I0로 하면, 교류전원 사용시의 회로(21)의 입출력 전압차 V1은 다음식으로 표시된다.
V1=I0(Ra+Rb)-VBE……………(1)
또, 직류전원 사용의 회로(21)의 입출력 전압차 V2는 트랜지스터(18)의 베이스·에미터 사이의 전압을 V'BE로 하면,
V2=I0Rb+V'BE-VBE……………(2)
로 표시된다.
단, (2)식에 있어서, 저항(19)의 전압강하는 V'BE, VBE에 비해서 적으므로 무시하였다.
V'BE, VBE는 사용하는 트랜지스터에 의해서 정해지고, 더우기 이들 전압은 너무 변화하지 않으므로, 입출력 전압차 V1, V2는 (1),(2)식에서 명확한바와 같이, 저항(24),(25)의 치와 전류 I0에 의해서 정해진다.
즉, 이 실시예에 있어서, 저항(24), (25)은 유효 필터 동작시의 회로(21)의 입출력 전압설정용 저항이고 교류전원 사용시의 입출력 전압차 V1은 저항(24), (25)의 치에 의해서 정해지고, 직류전원 사용시의 입출력 전압차 V2는 저항(25)의 치에 의해서 정해지므로, 회로(21)의 입력전 전압차를 사용하는 전원의 리플분에 따라서 적절한 치로 선택할수가 있다.
이상 설명한바와 같이, 본발명에 의하면, 교류전원 사용시와 직류전원사용시에, 유효 필터의 입출력 전압차를 바꾸고, 양전원에 대하여 효율좋게 필터를 동작시킬 수가 있으므로, 무익한 전력소비를 없게할 수 있다.
교직 양용기기, 예를 들면 교직양용의 텔레비전 수신기에 있어서는, 전기의 소모를 어떻게 적게 하느냐가 중요과제의 하나로 되어 있으나, 본발명의 이용하는 것에 의해 무익한 전력소비를 피할 수 있으므로, 본발명은 텔레비전 수신에 응용하여 가장 적합하다.

Claims (1)

  1. 본문에 상술하고 도시한바와 같이 상용교류전원과 직류전원과를 절환하는 절환장치와, 정류회로 및 유효 필터를 구비하고, 교류전원 입력시에는 상기 절환장치에 의해서 교류전원은 상기 정류회로를 통하여 상기 유효 필터에 공급되고, 직류전원 입력시에, 상기 절환장치에 의해서 상기 정류회로와 유효 필터가 분리되고, 직류전원은 직접 상기 유효 필터에 공급되는 회로에 있어서, 상기 유효 필터의 입출력 전압차를 설정하는 저항을 적어도 2분할하여, 이 분할된 저항의 한쪽에 절환트랜지스터를 병렬로 접속하고, 상기 절환장치의 절환에 의해서, 상기절환트랜지스터를 도통 또는 차단시켜, 교류전원 입력시와 직류전원 입력시에 상기 유효 필터의 입출력 전압차를 바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회로.
KR740002601A 1974-05-30 1974-05-30 전원회로 KR790000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40002601A KR790000873B1 (ko) 1974-05-30 1974-05-30 전원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40002601A KR790000873B1 (ko) 1974-05-30 1974-05-30 전원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790000873B1 true KR790000873B1 (ko) 1979-07-29

Family

ID=19200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40002601A KR790000873B1 (ko) 1974-05-30 1974-05-30 전원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790000873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5834494Y2 (ja) 電源回路
US3368139A (en) Switching mode series voltage regulator
US2965833A (en) Semiconductor voltage regulator apparatus
KR790000873B1 (ko) 전원회로
US3898474A (en) Power circuit
GB1596674A (en) Shaping arrangement
EP0050963B1 (en) Ringing converter
SU1403299A1 (ru) Стабилизированный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ь переменного напр жени в посто нное
JP2518478Y2 (ja) 安定化電源の過電流保護回路
GB947119A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rectifying devices for welding purposes
SU756392A1 (ru) Стабилизатор-ограничитель переменного тока 1
SU845153A1 (ru) Параметрический стабилизатор перемен-НОгО НАпР жЕНи
JPH0610415Y2 (ja) 定電流入力電源
KR840000992Y1 (ko) 전원전압 자동 절환회로
JPH0248889Y2 (ko)
US4075685A (en) Emitter follower voltage controlled power supply
SU1069087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слаблени пульсаций питающего напр жени
JPS5914814Y2 (ja) 電圧安定化回路
SU594490A1 (ru) Стабилизатор напр жени переменного тока
KR840001051Y1 (ko) 전압 자동 조절회로
SU1335951A1 (ru) Высоковольтный стабилизированный источник посто нного напр жени
SU1019541A1 (ru)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ь посто нного напр жени с защитой от перегрузок
GB1516693A (en) Electrical power supply circuits
SU997017A1 (ru)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ь источника напр жени в источник с пр моугольной внешней вольтамперной характеристикой
JPH0524968Y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