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29549A - 양극성 접합 트랜지스터를 사용하는 정전기 방전 보호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양극성 접합 트랜지스터를 사용하는 정전기 방전 보호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129549A KR20240129549A KR1020230074381A KR20230074381A KR20240129549A KR 20240129549 A KR20240129549 A KR 20240129549A KR 1020230074381 A KR1020230074381 A KR 1020230074381A KR 20230074381 A KR20230074381 A KR 20230074381A KR 20240129549 A KR20240129549 A KR 2024012954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gion
- node
- well
- correspond
- gat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0000005669 field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4
- 239000002135 nanoshee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3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019 dop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15 recomb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798 recombin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41 carbon nanotub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21393 carbon nanotub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70 nanowi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955 iso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71 parasi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0203—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 H01L27/0248—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for electrical or thermal protection, e.g. electrostatic discharge [ESD] protection
- H01L27/0251—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for electrical or thermal protection, e.g. electrostatic discharge [ESD] protection for MOS devices
- H01L27/0259—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for electrical or thermal protection, e.g. electrostatic discharge [ESD] protection for MOS devices using bipolar transistors as protective elements
- H01L27/0262—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for electrical or thermal protection, e.g. electrostatic discharge [ESD] protection for MOS devices using bipolar transistors as protective elements including a PNP transistor and a NPN transistor, wherein each of said transistors has its base coupled to the collector of the other transistor, e.g. silicon controlled rectifier [SCR] devi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0203—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 H01L27/0248—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for electrical or thermal protection, e.g. electrostatic discharge [ESD] protection
- H01L27/0251—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for electrical or thermal protection, e.g. electrostatic discharge [ESD] protection for MOS devices
- H01L27/0266—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for electrical or thermal protection, e.g. electrostatic discharge [ESD] protection for MOS devices using field effect transistors as protective elemen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0203—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 H01L27/0248—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for electrical or thermal protection, e.g. electrostatic discharge [ESD] protection
- H01L27/0251—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for electrical or thermal protection, e.g. electrostatic discharge [ESD] protection for MOS devices
- H01L27/0288—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for electrical or thermal protection, e.g. electrostatic discharge [ESD] protection for MOS devices using passive elements as protective elements, e.g. resistors, capacitors, inductors, spark-gap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0203—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 H01L27/0248—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for electrical or thermal protection, e.g. electrostatic discharge [ESD] protection
- H01L27/0251—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for electrical or thermal protection, e.g. electrostatic discharge [ESD] protection for MOS devices
- H01L27/0292—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for electrical or thermal protection, e.g. electrostatic discharge [ESD] protection for MOS devices using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conducting means connecting the protective devices, e.g. ESD bu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장치는, 제1 도전형을 가지는 제1 웰, 제1 웰 상에서 제1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게이트 전극, 제2 도전형을 각각 가지고, 제1 웰 상에서 제1 게이트 전극을 사이에 두고 제1 수평 방향과 교차하는 제2 수평 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제2 도전형을 가지고, 제1 웰 상에서 제2 영역으로부터 제2 수평 방향으로 이격된 제3 영역, 및 제1 도전형을 가지고, 제1 웰 상에서 제3 영역으로부터 제2 수평 방향으로 이격된 제4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게이트 전극 및 제1 영역은, 제1 노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3 영역은, 제2 노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정전기 방전 보호에 관한 것으로서, 자세하게는 양극성 접합 트랜지스터를 사용하는 정전기 방전 보호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전기 방전(electrostatic discharge; ESD)은 집적 회로를 오동작하게 하거나 심지어 손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집적 회로는 정전기 방전 보호를 위한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고, 정전기 방전 보호를 위한 구성요소는 집적 회로의 외부에서 발생한 정전기 방전으로부터 내부 회로를 보호할 수 있다. 반도체 공정의 발전에 기인하여 집적 회로에 포함되는 소자들의 크기가 감소할 수 있고, 집적 회로에 포함되는 소자들의 동작 전압이 소비 전력의 감소를 위하여 감소할 수 있으며, 높은 성능을 위하여 집적 회로에 입출력되는 신호의 주파수가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전기 방전 보호를 위한 구성요소는 다양한 요건들을 충족시킬 것이 요구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높은 효율성으로 정전기 방전 보호를 제공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일측면에 따른 장치는, 제1 도전형을 가지는 제1 웰, 제1 웰 상에서 제1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게이트 전극, 제2 도전형을 각각 가지고, 제1 웰 상에서 제1 게이트 전극을 사이에 두고 제1 수평 방향과 교차하는 제2 수평 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제2 도전형을 가지고, 제1 웰 상에서 제2 영역으로부터 제2 수평 방향으로 이격된 제3 영역, 및 제1 도전형을 가지고, 제1 웰 상에서 제3 영역으로부터 제2 수평 방향으로 이격된 제4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게이트 전극 및 제1 영역은, 제1 노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3 영역은, 제2 노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일측면에 따른 장치는, 제1 게이트, 제1 드레인 및 제1 소스를 포함하는 제1 NFET(n-channel field effect transistor), 및 제1 베이스, 제1 에미터 및 제1 콜렉터를 포함하는 제1 NPN 양극성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게이트 및 제1 드레인은, 제1 노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1 에미터는, 제2 노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1 소스 및 제1 콜렉터는, 하나의 제1 n-형 영역에 대응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일측면에 따른 장치는, 제1 노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게이트들을 각각 가지고 제1 노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드레인을 공유하는, 제1 NFET(n-channel field effect transistor) 및 제2 NFET, 및 각각이 제2 노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에미터를 가지는, 제1 NPN 양극성 트랜지스터 및 제2 NPN 양극성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NFET의 소스 및 제1 NPN 양극성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는, 하나의 제1 n-형 영역에 대응할 수 있고, 제2 NFET의 소스 및 제2 NPN 양극성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는, 하나의 제2 n-형 영역에 대응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장치에 의하면, 정전기 방전 보호를 위한 장치는 감소된 면적을 가질 수 있고, 이에 따라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에 의하면, 정전기 방전 보호를 위한 장치를 형성하기 위한 전용의 공정이 생략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의 비용 및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을 실시함에 따른 의도하지 아니한 효과들 역시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 방전 보호를 위한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FET(field effect transistor)의 예시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 방전 보호를 위한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 방전 보호를 위한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FET(field effect transistor)의 예시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 방전 보호를 위한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장치(1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장치(10)는 반도체 공정에 의해서 제조되는 집적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장치(10)는, 칩 또는 다이(die)일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의 칩(chip) 또는 다이(die)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일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10)는 제1 패드(11), 제2 패드(12), 정전기 방전 보호 장치(13) 및 내부 회로(1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정전기 방전 보호 장치(13) 또는 정전기 방전 보호 장치(13)를 포함하는 장치(10)는, 정전기 방전 보호를 위한 장치로 지칭될 수 있다.
제1 패드(11) 및 제2 패드(12)는 장치(1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제1 패드(11) 및/또는 제2 패드(12)는 신호 또는 전력의 전달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패드(11)는, 장치(10)의 외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 패드, 장치(10)에서 생성된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 패드 및 모드에 따라 신호가 수신되거나 출력되는 입출력 패드 중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제2 패드(12)는, 장치(10)에 전력을 제공하는 양의 공급 전압 및/또는 음의 공급 전압을 수신하는 파워 패드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패드(11)는 제1 노드(N1)에 연결될 수 있고, 제2 패드(12)는 제2 노드(N2)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2이상의 구성요소들이 전기적으로(electrically) 연결된 경우, 2이상의 구성요소들이 연결된 것으로 단순하게 지칭될 수 있다. 예를 들면, 2개의 구성요소들이 저항(예컨대, 기생 저항)을 통해서 연결된 경우, 2개의 구성요소들은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으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2이상의 구성요소들이 직접적으로(directly) 연결된 경우 2이상의 구성요소들은 결합된(coupled) 것으로 지칭될 수 있다.
정전기 방전 보호 장치(13)는 제1 패드(11) 및 제2 패드(12) 사이에 정전기 방전이 발생하는 경우, 제1 패드(11) 및 제2 패드(12) 사이에 낮은 임피던스의 방전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부 회로(14)는 정전기 방전 보호 장치(13)에 의해서 정전기 방전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이하에서, 제1 패드(11) 및 제2 패드(12) 사이, 즉 제1 노드(N1) 및 제2 노드(N2) 사이에 양의 정전기 방전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정전기 방전 보호 장치(13)는 제1 노드(N1)로부터 제2 노드(N2)로 전류가 흐르는 낮은 임피던스 경로를 형성하는 것으로 가정되나,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이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는 점이 유의된다.
반도체 공정의 발전에 기인하여, 내부 회로(14)에 포함되는 소자들의 크기가 감소할 수 있고, 접합 깊이(junction depth) 및 게이트 산화물(gate oxide)의 두께가 감소할 수 있다. 또한, 낮은 소비 전력 및 높은 동작 속도를 위하여, 내부 회로(14)의 동작 전압, 즉 양의 공급 전압 및 음의 공급 전압 사이 전압 차가 감소할 수 있고, 제1 패드(11) 및/또는 제2 패드(12)를 통해서 입출력되는 신호의 주파수가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전기 방전 보호 장치(13)는 보다 강화된 요건들, 예컨대 높은 전류 구동 능력, 낮은 동작 개시 전압, 낮은 누설 전류, 낮은 캐패시턴스 등을 충족할 것이 요구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내부 회로(14)가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하여 후술되는 바와 같이 입체적인 소자를 포함하는 경우, 정전기 방전 보호 장치(13)는 제한된 면적 및/또는 제한된 공정 하에서 구현되는 것이 요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전기 방전 보호 장치(13)는 제1 노드(N1) 및 제2 노드(N2) 사이에서 상호 병렬 연결된 복수의 회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회로들은 편차(variation)를 가질 수 있고, 정전기 방전 발생시 복수의 회로들 중 일부에 전류가 집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전기 방전 보호가 적절하게 수행되지 아니하거나 일부 회로들이 영구적으로 손상되어 정전기 방전 보호 기능이 손실될 수 있다.
도면들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바와 같이, 정전기 방전 보호 장치(13)는 제1 노드(N1) 및 제2 노드(N2) 사이에서 양극성 접합 트랜지스터(bipolar junction transistor; BJT)를 포함할 수 있고, 양극성 접합 트랜지스터의 PN 접합에 직렬 연결된 저항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전기 방전 보호 장치(13)에 포함된 복수의 회로들 사이 균일성(uniformity)이 달성될 수 있고, 정전기 방전 보호 장치(13)는 높은 신뢰도 및 강건성(robustness)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 방전 보호를 위한 장치(20)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예를 들면, 도 2는 도 1의 정전기 방전 보호 장치(13)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장치(20)는 제1 노드(N1) 및 제2 노드(N2) 사이에서 상호 병렬 연결된 복수의 회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20)는 제1 노드(N1) 및 제2 노드(N2) 사이에서 상호 병렬 연결된 제1 회로(21) 및 제2 회로(22)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장치(20)는 제1 회로(21) 및 제2 회로(22)와 병렬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회로(21) 및 제2 회로(22)는 동일한 구조를 가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
제1 회로(21)는 제1 NFET(n-channel field effect transistor)(M1) 및 제1 NPN BJT(Q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NFET(M1)는 제1 노드(N1)에 연결된 게이트 및 드레인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NPN BJT(Q1)는 제2 노드(N2)에 연결된 베이스 및 에미터(emitter)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4 등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바와 같이, 제1 NFET(M1)의 소스 및 NPN BJT(Q1)의 콜렉터(collector)는 하나의 영역, 즉 하나의 n형 도핑 영역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노드(N1) 및 제2 노드(N2) 사이에 정전기 방전이 발생한 경우, 제1 NFET(M1)의 드레인 및 게이트의 전압이 상승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NFET(M1)의 소스, 즉 제1 NPN BJT(Q1)의 콜렉터의 전압이 상승할 수 있다. 제1 NPN BJT(Q1)의 콜렉터 및 베이스 사이 PN 접합에서 애벌런치 항복(avalanche breakdown)이 발생할 수 있고, 이 때 제1 NFET(M1)의 게이트 뿐만 아니라 소스(즉, 제1 NPN BJT(Q1)의 콜렉터)는 발리스틱 저항치(ballistic resistance)를 제공할 수 있다. 애벌런치 항복에 의해서 발생한 홀(hole) 전류는 제1 NPN BJT(Q1)의 베이스 전류를 통해서 전개될 수 있고, 베이스의 전압이 상승함에 따라 제1 NPN BJT(Q1)이 동작할 수 있다.
제2 회로(22)는 제2 NFET(M2) 및 제2 NPN BJT(Q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NFET(M2)는 제1 노드(N1)에 연결된 게이트 및 드레인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NPN BJT(Q2)는 제2 노드(N2)에 연결된 베이스 및 에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4 등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바와 같이, 제2 NFET(M2)의 소스 및 NPN BJT(Q2)의 콜렉터는 하나의 영역, 즉 하나의 n형 도핑 영역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노드(N1) 및 제2 노드(N2) 사이에 정전기 방전이 발생한 경우, 제2 NFET(M2)의 드레인 및 게이트의 전압이 상승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2 NFET(M2)의 소스, 즉 제2 NPN BJT(Q2)의 콜렉터의 전압이 상승할 수 있다. 제2 NPN BJT(Q2)의 콜렉터 및 베이스 사이 PN 접합에서 애벌런치 항복이 발생할 수 있고, 이 때 제2 NFET(M2)의 게이트 뿐만 아니라 소스(즉, 제2 NPN BJT(Q2)의 콜렉터)는 발리스틱 저항치를 제공할 수 있다. 애벌런치 항복에 의해서 발생한 홀 전류는 제2 NPN BJT(Q2)의 베이스 전류를 통해서 전개될 수 있고, 베이스의 전압이 상승함에 따라 제2 NPN BJT(Q2)이 동작할 수 있다.
발리스틱 저항치에 기인하여, 정전기 방전 발생시 제1 노드(N1)로부터 제1 회로(21) 및 제2 회로(22)에 각각 유입되는 정전기 방전 전류들이 제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회로(21) 및 제2 회로(22)에 각각 유입되는 정전기 방전 전류들 사이 편차가 감소할 수 있고, 정전기 방전 전류가 제1 회로(21) 및 제2 회로(22) 중 하나에 집중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전기 방전 전류들의 균일성이 달성될 수 있고, 장치(20)의 높은 신뢰도 및 강건성이 달성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FET(field effect transistor)의 예시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예를 들면, 도 3a는 FinFET(30a)을 나타내고, 도 3b는 GAAFET(gate-all-around field effect transistor)(30b)을 나타내고, 도 3c는 MBCFET(multi-bridge channel field effect transistor)(30c)을 나타내며, 도 3d는 VFET(vertical field effect transistor)(30d)을 나타낸다. 도해의 편의를 위하여, 도 3a 내지 도 3c는 3개의 소스/드레인 영역들 중 하나가 제거된 모습을 도시하고, 도 3d는 Y축 및 Z축으로 이루어진 평면과 평행하고 VFET(30d)의 채널(CH)을 통과하는 평면으로 VFET(30d)를 자른 단면을 나타낸다.
도 3a를 참조하면, FinFET(30a)은, STI(shallow trench isolation)들 사이에서 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핀(fin) 형상의 활성 패턴 및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게이트 전극(G)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G)의 양측에 소스/드레인 영역(SD)이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소스 및 드레인은 X축 방향으로 상호 이격될 수 있다. 채널(CH) 및 게이트 전극(G) 사이에 절연막이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FinFET(30a)은 Y축 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복수의 활성 패턴들 및 게이트 전극(G)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GAAFET(30b)은, Z축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활성 패턴들, 즉 나노와이어들(nanowires) 및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게이트 전극(G)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G)의 양측에 소스/드레인 영역(SD)이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소스 및 드레인은 X축 방향으로 상호 이격될 수 있다. 채널(CH) 및 게이트 전극(G) 사이에 절연막이 형성될 수 있다. GAAFET(30b)에 포함되는 나노와이어들의 수는 도 3b에 도시된 바에 제한되지 아니하는 점이 유의된다.
도 3c를 참조하면, MBCFET(30c)은, Z축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활성 패턴들, 즉 나노시트들(nanosheets) 및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게이트 전극(G)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G)의 양측에 소스/드레인 영역(SD)이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소스 및 드레인은 Y축 방향으로 상호 이격될 수 있다. 채널(CH) 및 게이트 전극(G) 사이에 절연막이 형성될 수 있다. MBCFET(30c)에 포함되는 나노시트들의 수는 도 3c에 도시된 바에 제한되지 아니하는 점이 유의된다.
도 3d를 참조하면, VFET(30d)는, 채널(CH)을 사이에 두고 Z축 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상위(top) 소스/드레인(T_SD) 및 하위(bottom) 소스/드레인(B_SD)을 포함할 수 있다. VFET(30d)는 상위 소스/드레인(T_SD) 및 하위 소스/드레인(B_SD) 사이에서 채널(CH)의 둘레를 둘러싸는 게이트 전극(G)을 포함할 수 있다. 채널(CH) 및 게이트 전극(G) 사이에 절연막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GAAFET(30b) 또는 MBCFET(30c)을 포함하는 장치가 주로 설명될 것이나, 장치에 포함되는 소자들이 도 3a 내지 도 3d의 예시들에 제한되지 아니하는 점이 유의된다. 예를 들면, 장치는, P형 트랜지스터를 위한 나노시트들 및 N형 트랜지스터를 위한 나노시트들이 유전체 벽(dielectric wall)으로 분리됨으로써 N형 트랜지스터 및 P형 트랜지스터가 보다 근접한 구조를 가지는 ForkFET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집적 회로는 CFET(complementary FET), NCFET(negative CFET), CNT(carbon nanotube) FET 등과 같은 FET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Y축 방향 및 X축 방향은 제1 수평 방향 및 제2 수평 방향으로 각각 지칭될 수 있고, Z축 방향은 수직 방향으로 지칭될 수 있다. X축 및 Y축으로 이루어진 평면은 수평면으로 지칭될 수 있고, 제2 구성요소보다 상대적으로 +Z방향으로 배치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 위에 있는 것으로 지칭될 수 있으며, 제2 구성요소보다 상대적으로 -Z방향으로 배치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 아래에 있는 것으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구성요소의 면적은 수평면과 평행한 면에서 구성요소가 차지하는 크기를 지칭할 수 있고, 구성요소의 폭은 구성요소가 연장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를 지칭할 수 있다. +Z방향으로 노출된 표면은 상면(top surface)으로 지칭될 수 있고, -Z방향으로 노출된 표면은 하면(bottom surface)으로 지칭될 수 있으며, ±X방향 또는 ±Y방향으로 노출된 표면은 측면으로 지칭될 수 있다. 배선층의 패턴과 같이 전도성 물질로 구성되는 패턴은 전도성 패턴으로 지칭될 수 있고, 단순하게 패턴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도면들에서, 도해의 편의상 일부 층들만이 도시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예를 들면, 도 4는 도 2의 제1 회로(21) 및 제2 회로(22)를 포함하는 레이아웃(40)의 평면도 및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해의 편의상 p+ 영역들, n+ 영역들 및 게이트들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구조들, 예컨대 컨택들, 비아들 및 전도성 패턴들은 생략된다. 이하에서, 도 4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기판(SUB)에서 p-웰(PW)이 배치될 수 있다. p-웰(PW) 상에서 제1 p+ 영역(p1), 제1 내지 제5 n+ 영역(n1 내지 n5) 및 제2 p+ 영역(p2)이 X축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n+ 영역(n2) 및 제3 n+ 영역(n3) 사이에 제1 게이트(G1)가 형성될 수 있고, 제3 n+ 영역(n3) 및 제4 n+ 영역(n4) 사이에 제2 게이트(G2)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아웃(40)은, 제1 게이트(G1)를 X축 방향으로 관통하여 제2 n+ 영역(n2) 및 제3 n+ 영역(n3)에 연결되는 3개의 활성 패턴들(예컨대, 3개의 나노시트들)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게이트(G2)를 X축 방향으로 관통하여 제3 n+ 영역(n3) 및 제4 n+ 영역(n4)에 연결되는 3개의 활성 패턴들(예컨대, 3개의 나노시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전극을 관통하는 활성 패턴들의 개수는 도 4에 도시된 바에 제한되지 아니하는 점이 유의된다.
제1 p+ 영역(p1), 제1 내지 제5 n+ 영역(n1 내지 n5) 및 제2 p+ 영역(p2)은 Y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제1 게이트(G1) 및 제2 게이트(G2) 역시 Y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p-웰(PW) 상에서 도핑된 영역들(예컨대, n+ 영역들 및 p+ 영역들) 사이 게이트가 제거된 부분에 절연체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n+ 영역(n1) 및 제2 n+ 영역(n2) 사이에 절연체가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핑된 영역들 사이 게이트는 디퓨전 브레이크(diffusion break)에 의해서 제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는 게이트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는 싱글 디퓨전 브레이크(single diffusion break; SDB)에 의해서 제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레이아웃(40)은 하나의 도핑된 영역 및 이에 인접한 게이트 전극들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는 더블 디퓨전 브레이크(double diffusion break; DDB)에 의해서 제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4의 레이아웃(40)은 내부 회로와 동일한 공정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도 2의 제1 NFET(M1)은 제1 게이트(G1), 제2 n+ 영역(n2) 및 제3 n+ 영역(n3)에 대응할 수 있고, 제1 NPN BJT(Q1)은 p-웰(PW), 제1 p+ 영역(p1), 제1 n+ 영역(n1) 및 제2 n+ 영역(n2)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노드(N1)에 연결된 제1 게이트(G1) 및 제3 n+ 영역(n3)은 제1 NFET(M1)의 게이트 및 드레인에 각각 대응할 수 있고, 제2 n+ 영역(n2)은 제1 NFET(M1)의 소스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제2 노드(N2)에 연결된 제1 n+ 영역(n1)은 제1 NPN BJT(Q1)의 에미터에 대응할 수 있고, 제1 p+ 영역(p1)을 통해서 제2 노드(N2)에 연결된 p-웰(PW)은 제1 NPN BJT(Q1)의 베이스에 대응할 수 있으며, 제2 n+ 영역(n2)은 제1 NPN BJT(Q1)의 콜렉터에 대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n+ 영역(n2)은 제1 NFET(M1)의 소스 및 제1 NPN BJT(Q1)의 콜렉터에 대응할 수 있고, 제1 NFET(M1) 및 제1 NPN BJT(Q1)에 의해서 공유될 수 있다.
도 2의 제2 NFET(M2)은 제2 게이트(G2), 제3 n+ 영역(n3) 및 제4 n+ 영역(n4)에 대응할 수 있고, 제2 NPN BJT(Q2)은 p-웰(PW), 제4 n+ 영역(n4), 제5 n+ 영역(n5) 및 제2 p+ 영역(p2)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노드(N1)에 연결된 제2 게이트(G2) 및 제3 n+ 영역(n3)은 제2 NFET(M2)의 게이트 및 드레인에 각각 대응할 수 있고, 제4 n+ 영역(n4)은 제2 NFET(M2)의 소스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제2 노드(N2)에 연결된 제5 n+ 영역(n5)은 제2 NPN BJT(Q2)의 에미터에 대응할 수 있고, 제2 p+ 영역(p2)을 통해서 제2 노드(N2)에 연결된 p-웰(PW)은 제2 NPN BJT(Q2)의 베이스에 대응할 수 있으며, 제4 n+ 영역(n4)은 제2 NPN BJT(Q2)의 콜렉터에 대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4 n+ 영역(n4)은 제2 NFET(M2)의 소스 및 제2 NPN BJT(Q2)의 콜렉터에 대응할 수 있고, 제2 NFET(M2) 및 제2 NPN BJT(Q2)에 의해서 공유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n+ 영역은 n-웰보다 높은 n-형 도펀트의 농도를 가질 수 있고, p+ 영역은 p-웰보다 높은 p-형 도펀트의 농도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p-웰 및/또는 n-웰은 딥 n-웰에 배치될 수 있고, 딥 n-웰은 n-웰과 유사하거나 n-웰보다 낮은 n-형 도펀트의 농도를 가질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장치(50)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예를 들면, 도 5의 회로도는 도 4의 레이아웃(40)에 대응하는 등가 회로를 나타낸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50)는 제1 노드(N1) 및 제2 노드(N2) 사이에서 상호 병렬 연결된 제1 회로(51) 및 제2 회로(52)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5는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제1 회로(51)는 저항들(R11 내지 R14) 및 제1 NPN BJT(Q1)를 포함할 수 있다. 저항들(R11 내지 R14)은 상호 병렬 연결된 3개의 저항들(R11 내지 R13) 및 제1 NPN BJT와 직렬 연결된 저항(R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호 병렬 연결된 3개의 저항들(R11 내지 R13)은 제1 게이트(G1)를 관통하는 3개의 활성 패턴들에 각각 대응할 수 있고, 저항(R14)은 제2 n+ 영역(n2)에 대응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도 2의 제1 NFET(M1)은 저항들(R11 내지 R14)에 대응하는 발리스틱 저항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회로(52)는 저항들(R21 내지 R23) 및 제2 NPN BJT(Q2)를 포함할 수 있다. 저항들(R21 내지 R24)은 상호 병렬 연결된 3개의 저항들(R21 내지 R23) 및 제1 NPN BJT와 직렬 연결된 저항(R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호 병렬 연결된 3개의 저항들(R21 내지 R23)은 제2 게이트(G2)를 관통하는 3개의 활성 패턴들에 각각 대응할 수 있고, 저항(R24)은 제4 n+ 영역(n4)에 대응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도 2의 제2 NFET(M2)은 저항들(R21 내지 R24)에 대응하는 발리스틱 저항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예를 들면, 도 6은 도 2의 제1 회로(21) 및 제2 회로(22)를 포함하는 레이아웃(60)의 평면도 및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해의 편의상 p+ 영역들, n+ 영역들 및 게이트들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구조들, 예컨대, 컨택들, 비아들 및 전도성 패턴들은 생략된다. 이하에서, 도 6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기판(SUB)에서 p-웰(PW)이 배치될 수 있다. p-웰(PW) 상에서 제1 p+ 영역(p1), 제1 내지 제7 + 영역(n1 내지 n7) 및 제2 p+ 영역(p2)이 X축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3 n+ 영역(n3) 및 제4 n+ 영역(n4) 사이에 제1 게이트(G1)가 형성될 수 있고, 제4 n+ 영역(n4) 및 제5 n+ 영역(n5) 사이에 제2 게이트(G2)가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아웃(60)은, 제1 게이트(G1)를 X축 방향으로 관통하여 제3 n+ 영역(n3) 및 제4 n+ 영역(n4)에 연결되는 3개의 활성 패턴들(예컨대, 3개의 나노시트들)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게이트(G2)를 X축 방향으로 관통하여 제4 n+ 영역(n4) 및 제5 n+ 영역(n5)에 연결되는 3개의 활성 패턴들(예컨대, 3개의 나노시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전극을 관통하는 활성 패턴들의 개수는 도 6에 도시된 바에 제한되지 아니하는 점이 유의된다.
제1 p+ 영역(p1), 제1 내지 제7 + 영역(n1 내지 n7) 및 제2 p+ 영역(p2)은 Y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제1 게이트(G1) 및 제2 게이트(G2) 역시 Y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p-웰(PW) 상에서 도핑된 영역들(예컨대, n+ 영역들 및 p+ 영역들) 사이 게이트가 제거된 부분에 절연체가 배치될 수 있고, 예컨대 싱글 디퓨전 브레이크가 배치될 수 있다.
도 2의 제1 NFET(M1)은 제1 게이트(G1), 제3 n+ 영역(n3) 및 제4 n+ 영역(n4)에 대응할 수 있고, 제1 NPN BJT(Q1)은 p-웰(PW), 제1 p+ 영역(p1), 제1 내지 제3 n+ 영역(n1 내지 n3)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노드(N1)에 연결된 제1 게이트(G1) 및 제4 n+ 영역(n4)은 제1 NFET(M1)의 게이트 및 드레인에 각각 대응할 수 있고, 제3 n+ 영역(n3)은 제1 NFET(M1)의 소스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제2 노드(N2)에 연결된 제1 n+ 영역(n1) 및 제2 n+ 영역(n2)은 제1 NPN BJT(Q1)의 에미터에 대응할 수 있고, 제1 p+ 영역(p1)을 통해서 제2 노드(N2)에 연결된 p-웰(PW)은 제1 NPN BJT(Q1)의 베이스에 대응할 수 있으며, 제3 n+ 영역(n3)은 제1 NPN BJT(Q1)의 콜렉터에 대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n+ 영역(n3)은 제1 NFET(M1)의 소스 및 제1 NPN BJT(Q1)의 콜렉터에 대응할 수 있고, 제1 NFET(M1) 및 제1 NPN BJT(Q1)에 의해서 공유될 수 있다.
도 2의 제2 NFET(M2)은 제2 게이트(G2), 제4 n+ 영역(n4) 및 제5 n+ 영역(n5)에 대응할 수 있고, 제2 NPN BJT(Q2)은 p-웰(PW), 제5 내지 제7 n+ 영역(n5 내지 n7) 및 제2 p+ 영역(p2)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노드(N1)에 연결된 제2 게이트(G2) 및 제4 n+ 영역(n4)은 제2 NFET(M2)의 게이트 및 드레인에 각각 대응할 수 있고, 제5 n+ 영역(n5)은 제2 NFET(M2)의 소스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제2 노드(N2)에 연결된 제6 n+ 영역(n6) 및 제7 n+ 영역(n7)은 제2 NPN BJT(Q2)의 에미터에 대응할 수 있고, 제2 p+ 영역(p2)을 통해서 제2 노드(N2)에 연결된 p-웰(PW)은 제2 NPN BJT(Q2)의 베이스에 대응할 수 있으며, 제5 n+ 영역(n5)은 제2 NPN BJT(Q2)의 콜렉터에 대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5 n+ 영역(n5)은 제2 NFET(M2)의 소스 및 제2 NPN BJT(Q2)의 콜렉터에 대응할 수 있고, 제2 NFET(M2) 및 제2 NPN BJT(Q2)에 의해서 공유될 수 있다.
도 4의 레이아웃(40)과 비교할 때, 도 6의 레이아웃(60)은 추가적은 n+ 영역들, 즉 제2 n+ 영역(n2) 및 제6 n+ 영역(n6)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2의 제1 NPN BJT(Q1)의 에미터는 2개의 n+ 영역들, 즉 제1 n+ 영역(n1) 및 제2 n+ 영역(n2)에 대응할 수 있고, 도 2의 제2 NPN BJT(Q2)의 에미터는 2개의 n+ 영역들, 즉 제6 n+ 영역(n6) 및 제7 n+ 영역(n7)에 대응할 수 있다. 증가된 n+ 영역들에 기인하여, 도 6의 레이아웃(60)에서 정전기 방전 발생시 에미터 과밀(crowding)이 감소할 수 있고, 높은 파괴 전류, 즉 높은 정전기 방전 전류를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2의 장치(20)에 대응하는 레이아웃은, 제1 NPN BJT(Q1)의 에미터 또는 제2 NPN BJT(Q2)에 대응하는 3개 이상의 n+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예를 들면, 도 7은 도 2의 제1 회로(21) 및 제2 회로(22)를 포함하는 레이아웃(70)의 평면도 및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해의 편의상 p+ 영역들, n+ 영역들 및 게이트들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구조들, 예컨대, 컨택들, 비아들 및 전도성 패턴들은 생략된다. 이하에서, 도 7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기판(SUB)에서 p-웰(PW)이 배치될 수 있다. p-웰(PW) 상에서 제1 p+ 영역(p1), 제1 n+ 영역(n1), 제2 p+ 영역(p2), 제2 내지 제4 n+ 영역(n2 내지 n4), 제3 p+ 영역(p3), 제5 n+ 영역(n5) 및 제4 p+ 영역(p4)이 X축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n+ 영역(n2) 및 제3 n+ 영역(n3) 사이에 제1 게이트(G1)가 형성될 수 있고, 제3 n+ 영역(n3) 및 제4 n+ 영역(n4) 사이에 제2 게이트(G2)가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아웃(70)은, 제1 게이트(G1)를 관통하여 제2 n+ 영역(n2) 및 제3 n+ 영역(n3)에 연결되는 3개의 활성 패턴들(예컨대, 3개의 나노시트들)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게이트(G2)를 X축 방향으로 관통하여 제3 n+ 영역(n3) 및 제4 n+ 영역(n4)에 연결되는 3개의 활성 패턴들(예컨대, 3개의 나노시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전극을 관통하는 활성 패턴들의 개수는 도 7에 도시된 바에 제한되지 아니하는 점이 유의된다.
제1 p+ 영역(p1), 제1 n+ 영역(n1), 제2 p+ 영역(p2), 제2 내지 제4 n+ 영역(n2 내지 n4), 제3 p+ 영역(p3), 제5 n+ 영역(n5) 및 제4 p+ 영역(p4)은 Y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제1 게이트(G1) 및 제2 게이트(G2) 역시 Y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p-웰(PW) 상에서 도핑된 영역들(예컨대, n+ 영역들 및 p+ 영역들) 사이 게이트가 제거된 부분에 절연체가 배치될 수 있고, 예컨대 싱글 디퓨전 브레이크가 배치될 수 있다.
도 2의 제1 NFET(M1)은 제1 게이트(G1), 제2 n+ 영역(n2) 및 제3 n+ 영역(n3)에 대응할 수 있고, 제1 NPN BJT(Q1)은 p-웰(PW), 제1 p+ 영역(p1), 제1 n+ 영역(n1), 제2 p+ 영역(p2) 및 제2 n+ 영역(n2)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노드(N1)에 연결된 제1 게이트(G1) 및 제3 n+ 영역(n3)은 제1 NFET(M1)의 게이트 및 드레인에 각각 대응할 수 있고, 제2 n+ 영역(n2)은 제1 NFET(M1)의 소스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제2 노드(N2)에 연결된 제1 n+ 영역(n1)은 제1 NPN BJT(Q1)의 에미터에 대응할 수 있고, 제1 p+ 영역(p1)을 통해서 제2 노드(N2)에 연결된 p-웰(PW)은 제1 NPN BJT(Q1)의 베이스에 대응할 수 있으며, 제2 n+ 영역(n2)은 제1 NPN BJT(Q1)의 콜렉터에 대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n+ 영역(n2)은 제1 NFET(M1)의 소스 및 제1 NPN BJT(Q1)의 콜렉터에 대응할 수 있고, 제1 NFET(M1) 및 제1 NPN BJT(Q1)에 의해서 공유될 수 있다.
도 2의 제2 NFET(M2)은 제2 게이트(G2), 제3 n+ 영역(n3) 및 제4 n+ 영역(n4)에 대응할 수 있고, 제2 NPN BJT(Q2)은 p-웰(PW), 제4 n+ 영역(n4), 제3 p+ 영역(p3), 제5 n+ 영역(n5) 및 제4 p+ 영역(p4)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노드(N1)에 연결된 제2 게이트(G2) 및 제3 n+ 영역(n3)은 제2 NFET(M2)의 게이트 및 드레인에 각각 대응할 수 있고, 제4 n+ 영역(n4)은 제2 NFET(M2)의 소스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제2 노드(N2)에 연결된 제5 n+ 영역(n5)은 제2 NPN BJT(Q2)의 에미터에 대응할 수 있고, 제2 p+ 영역(p2)을 통해서 제2 노드(N2)에 연결된 p-웰(PW)은 제2 NPN BJT(Q2)의 베이스에 대응할 수 있으며, 제4 n+ 영역(n4)은 제2 NPN BJT(Q2)의 콜렉터에 대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4 n+ 영역(n4)은 제2 NFET(M2)의 소스 및 제2 NPN BJT(Q2)의 콜렉터에 대응할 수 있고, 제2 NFET(M2) 및 제2 NPN BJT(Q2)에 의해서 공유될 수 있다.
도 4의 레이아웃(40)과 비교할 때, 도 7의 레이아웃(70)은 p-웰(PW) 상에서 추가적인 p+ 영역들, 즉 제2 p+ 영역(p2) 및 제3 p+ 영역(p3)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전기 방전 발생시 제1 NPN BJT(Q1)에서 제2 p+ 영역(p2)에 기인하여 베이스 재결합(base recombination)이 더욱 활성화될 수 있다. 유사하게, 정전기 방전 발생시 제2 NPN BJT(Q2)에서 제3 p+ 영역(p3)에 기인하여 베이스 재결합이 더욱 활성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냅백(snapback) 소자의 홀드(hold) 전압을 상승시킬 수 있고, 신호의 왜곡, 소자의 열화 및/또는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2의 장치(20)에 대응하는 레이아웃은, 제1 NPN BJT(Q1) 또는 제2 NPN BJT(Q2)에서 베이스 재결합의 활성화를 위한 2개의 이상의 추가적인 p+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 방전 보호를 위한 장치(80)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예를 들면, 도 8은 도 1의 정전기 방전 보호 장치(13)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80)는 제1 노드(N1) 및 제2 노드(N2) 사이에서 상호 병렬 연결된 제1 회로(81) 및 제2 회로(82)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2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것이다.
제1 회로(81)는 2개의 제1 NFET들(M11, M12) 및 제1 NPN BJT(Q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로(81)에서 도 2의 제1 회로(21)에 포함된 제1 NFET(M1)은 2개의 제1 NFET들(M11, M12)로 대체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NFET(M11)의 게이트 및 드레인은 제1 노드(N1)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NFET(M12)의 게이트는 제1 노드(N1)에 연결될 수 있고, 제1 NFET(M12)의 드레인은 제1 NFET(M11)의 소스에 연결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후술되는 바와 같이, 제1 NFET(M12)의 소스 및 제1 NPN BJT(Q1)의 콜렉터는 하나의 n+ 영역에 대응할 수 있다.
제2 회로(82)는 2개의 제2 NFET들(M21, M22) 및 제2 NPN BJT(Q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회로(82)에서 도 2의 제2 회로(220에 포함된 제2 NFET(M2)은 2개의 제2 NFET들(M21, M22)로 대체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NFET(M121)의 게이트 및 드레인은 제1 노드(N1)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NFET(M22)의 게이트는 제1 노드(N1)에 연결될 수 있고, 제2 NFET(M22)의 드레인은 제2 NFET(M21)의 소스에 연결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후술되는 바와 같이, 제2 NFET(M22)의 소스 및 제2 NPN BJT(Q2)의 콜렉터는 하나의 n+ 영역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바와 같이, 제1 회로(81) 및 제2 회로(82) 각각에서 추가된 NFET에 기인하여 보다 높은 발리스틱 저항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9를 참조하여 도 8의 장치(80)를 포함하는 레이아웃이 설명될 것이고, 도 10을 참조하여 도 8의 장치(80)에 대응하는 등가회로가 설명될 것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예를 들면, 도 9은 도 8의 제1 회로(81) 및 제2 회로(82)를 포함하는 레이아웃(90)의 평면도 및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해의 편의상 p+ 영역들, n+ 영역들 및 게이트들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구조들, 예컨대, 컨택들, 비아들 및 전도성 패턴들은 생략된다. 이하에서, 도 9는 도 8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기판(SUB)에서 p-웰(PW)이 배치될 수 있다. p-웰(PW) 상에서 제1 p+ 영역(p1), 제1 내지 제7 n+ 영역(n1 내지 n7) 및 제2 p+ 영역(P2)이 X축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n+ 영역(n2) 및 제3 n+ 영역(n3) 사이에 제1 게이트(G1)가 형성될 수 있고, 제3 n+ 영역(n3) 및 제4 n+ 영역(n4) 사이에 제2 게이트(G2)가 형성될 수 있고, 제4 n+ 영역(n4) 및 제5 n+ 영역(n5) 사이에 제3 게이트(G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5 n+ 영역(n5) 및 제6 n+ 영역(n6) 사이에 제4 게이트(G4)가 형성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아웃(90)은, 제1 내지 제4 게이트(G1 내지 G4) 각각에서 X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3개의 활성 패턴들(예컨대, 3개의 나노시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전극을 관통하는 활성 패턴들의 개수는 도 9에 도시된 바에 제한되지 아니하는 점이 유의된다.
제1 p+ 영역(p1), 제1 내지 제7 n+ 영역(n1 내지 n7) 및 제2 p+ 영역(P2)은 Y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제1 내지 제4 게이트(G1 내지 G4) 역시 Y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p-웰(PW) 상에서 도핑된 영역들(예컨대, n+ 영역들 및 p+ 영역들) 사이 게이트가 제거된 부분에 절연체가 배치될 수 있고, 예컨대 싱글 디퓨전 브레이크가 배치될 수 있다.
도 8의 제1 NFET(M11)은 제2 게이트(G2), 제3 n+ 영역(n3) 및 제4 n+ 영역(n4)에 대응할 수 있고, 제1 NFET(M12)은 제1 게이트(G1), 제2 n+ 영역(n2) 및 제3 n+ 영역(n3)에 대응할 수 있으며, 제1 NPN BJT(Q1)는 p-웰(PW), 제1 p+ 영역(p1), 제1 n+ 영역(n1) 및 제2 n+ 영역(n2)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노드(N1)에 연결된 제2 게이트(G2) 및 제4 n+ 영역(n4)은 제1 NFET(M11)의 게이트 및 드레인에 각각 대응할 수 있고, 제3 n+ 영역(n3)은 제1 NFET(M11)의 소스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노드(N1)에 연결된 제1 게이트(G1)는 제1 NFET(M12)의 게이트에 대응할 수 있고, 제2 n+ 영역(n2) 및 제3 n+ 영역(n3)은 제1 NFET(M12)의 소스 및 드레인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n+ 영역(n3)은 2개의 제1 NFET들(M11, M12)에 의해서 공유될 수 있다. 또한, 제2 노드(N2)에 연결된 제1 n+ 영역(n1)은 제1 NPN BJT(Q1)의 에미터에 대응할 수 있고, 제1 p+ 영역(p1)을 통해서 제2 노드(N2)에 연결된 p-웰(PW)은 제1 NPN BJT(Q1)의 베이스에 대응할 수 있으며, 제2 n+ 영역(n2)은 제1 NPN BJT(Q1)의 콜렉터에 대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n+ 영역(n2)은 제1 NFET(M12)의 소스 및 제1 NPN BJT(Q1)의 콜렉터에 대응할 수 있고, 제1 NFET(M12) 및 제1 NPN BJT(Q1)에 의해서 공유될 수 있다.
도 8의 제2 NFET(M21)은 제3 게이트(G3), 제4 n+ 영역(n4) 및 제5 n+ 영역(n5)에 대응할 수 있고, 제2 NFET(M22)은 제4 게이트(G4), 제5 n+ 영역(n5) 및 제6 n+ 영역(n6)에 대응할 수 있으며, 제2 NPN BJT(Q2)는 p-웰(PW), 제6 n+ 영역(n6), 제7 n+ 영역(n7) 및 제2 p+ 영역(p2)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노드(N1)에 연결된 제3 게이트(G3) 및 제4 n+ 영역(n4)은 제2 NFET(M21)의 게이트 및 드레인에 각각 대응할 수 있고, 제5 n+ 영역(n5)은 제2 NFET(M21)의 소스에 대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4 n+ 영역(n4)은 제1 NFET(M11) 및 제2 NFET(M21)에 의해서 공유될 수 있다. 제1 노드(N1)에 연결된 제4 게이트(G4)는 제2 NFET(M22)의 게이트에 대응할 수 있고, 제5 n+ 영역(n5) 및 제6 n+ 영역(n6)은 제2 NFET(M22)의 드레인 및 소스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5 n+ 영역(n5)은 2개의 제2 NFET들(M21, M22)에 의해서 공유될 수 있다. 또한, 제2 노드(N2)에 연결된 제7 n+ 영역(n7)은 제2 NPN BJT(Q2)의 에미터에 대응할 수 있고, 제2 p+ 영역(p2)을 통해서 제2 노드(N2)에 연결된 p-웰(PW)은 제2 NPN BJT(Q2)의 베이스에 대응할 수 있으며, 제6 n+ 영역(n6)은 제2 NPN BJT(Q2)의 콜렉터에 대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6 n+ 영역(n6)은 제2 NFET(M22)의 소스 및 제2 NPN BJT(Q2)의 콜렉터에 대응할 수 있고, 제2 NFET(M22) 및 제2 NPN BJT(Q2)에 의해서 공유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장치(100)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예를 들면, 도 10의 회로도는 도 9의 레이아웃(90)에 대응하는 등가 회로를 나타낸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100)는 제1 노드(N1) 및 제2 노드(N2) 사이에서 상호 병렬 연결된 제1 회로(101) 및 제2 회로(102)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10은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제1 회로(101)는 저항들(R11 내지 R18) 및 제1 NPN BJT(Q1)를 포함할 수 있다. 저항들(R11 내지 R18)은 상호 병렬 연결된 3개의 저항들(R11 내지 R13), 저항(R14), 상호 병렬 연결된 3개의 저항들(R15 내지 R17) 및 저항(R18)을 포함할 수 있다. 상호 병렬 연결된 3개의 저항들(R11 내지 R13)은 제2 게이트(G2)를 관통하는 3개의 활성 패턴들(예컨대, 3개의 나노시트들)에 각각 대응할 수 있고, 저항(R14)은 제3 n+ 영역(n3)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상호 병렬 연결된 3개의 저항들(R15 내지 R17)은 제1 게이트(G1)를 관통하는 3개의 활성 패턴들(예컨대, 3개의 나노시트들)에 각각 대응할 수 있고, 저항(R18)은 제2 n+ 영역(n2)에 대응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2개의 제1 NFET들(M11, M12)은 저항들(R11 내지 R18)에 대응하는 발리스틱 저항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회로(102)는 저항들(R21 내지 R28) 및 제2 NPN BJT(Q2)를 포함할 수 있다. 저항들(R21 내지 R24)은 상호 병렬 연결된 3개의 저항들(R21 내지 R23), 저항(R24), 상호 병렬 연결된 3개의 저항들(R25 내지 R27) 및 저항(R28)을 포함할 수 있다. 상호 병렬 연결된 3개의 저항들(R21 내지 R23)은 제3 게이트(G3)를 관통하는 3개의 활성 패턴들(예컨대, 3개의 나노시트들)에 각각 대응할 수 있고, 저항(R24)은 제5 n+ 영역(n5)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상호 병렬 연결된 3개의 저항들(R25 내지 R27)은 제4 게이트(G4)를 관통하는 3개의 활성 패턴들(예컨대, 3개의 나노시트들)에 각각 대응할 수 있고, 저항(R28)은 제6 n+ 영역(n6)에 대응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2개의 제2 NFET들(M21, M22)은 저항들(R21 내지 R28)에 대응하는 발리스틱 저항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장치(110)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예를 들면, 도 11의 회로도는 장치(110)의 등가 회로를 나타낸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110)는 제1 노드(N1) 및 제2 노드(N2) 사이에서 상호 병렬 연결된 제1 회로(111) 및 제2 회로(1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11에 대한 설명 중 도 5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것이다.
제1 회로(111)는 저항들(R11 내지 R14), 제1 NPN BJT(Q1) 및 제1 다이오드(D1)를 포함할 수 있다. 상호 병렬 연결된 저항들(R11 내지 R13)은 게이트(예컨대, 도 12의 G1)를 관통하는 3개의 활성 패턴들(예컨대, 3개의 나노시트들)에 대응할 수 있고, 저항(R14)은 제1 NPN BJT(Q1)의 콜렉터에 대응하는 n+ 영역(예컨대, 도 12의 n3)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NPN BJT(Q1)의 베이스는 제1 노드(N2) 대신 제1 다이오드(D1)의 캐소드에 연결될 수 있다.
도 5의 제1 회로(51)와 비교할 때, 제1 회로(111)는 제1 노드(N1)에 연결된 애노드 및 제1 NPN BJT(Q1)의 베이스에 연결된 캐소드를 가지는 제1 다이오드(D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노드(N1) 및 제2 노드(N2) 사이에 정전기 방전이 발생하는 경우, 제1 다이오드(D1)는 제1 NPN BJT(Q1)의 베이스의 전위를 상승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NPN BJT(Q1)는 조기에 구동될 수 있다. 즉, 제1 다이오드(D1)에 의해서 제1 회로(111)의 트리거 전압이 감소할 수 있고, 낮은 동작 전압을 가지는 내부 회로(예컨대, 도 1의 14)가 정전기 방전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제2 회로(112)는 저항들(R21 내지 R24), 제2 NPN BJT(Q2) 및 제2 다이오드(D2)를 포함할 수 있다. 상호 병렬 연결된 저항들(R21 내지 R23)은 게이트(예컨대, 도 12의 G2)를 관통하는 3개의 활성 패턴들(예컨대, 3개의 나노시트들)에 대응할 수 있고, 저항(R24)은 제2 NPN BJT(Q2)의 콜렉터에 대응하는 n+ 영역(예컨대, 도 12의 n5)에 대응할 수 있다. 제2 NPN BJT(Q2)의 베이스는 제2 노드(N2) 대신 제2 다이오드(D2)의 캐소드에 연결될 수 있다.
도 5의 제2 회로(52)와 비교할 때, 제2 회로(112)는 제1 노드(N1)에 연결된 애노드 및 제2 NPN BJT(Q2)의 베이스에 연결된 캐소드를 가지는 제2 다이오드(D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노드(N1) 및 제2 노드(N2) 사이에 정전기 방전이 발생하는 경우, 제2 다이오드(D2)는 제2 NPN BJT(Q2)의 베이스의 전위를 상승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제2 NPN BJT(Q2)는 조기에 구동될 수 있다. 즉, 제2 다이오드(D2)에 의해서 제2 회로(112)의 트리거 전압이 감소할 수 있고, 낮은 동작 전압을 가지는 내부 회로(예컨대, 도 1의 14)가 정전기 방전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예를 들면, 도 12는 도 11의 제1 회로(111) 및 제2 회로(112)를 포함하는 레이아웃(120)의 평면도 및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해의 편의상 p+ 영역들, n+ 영역들 및 게이트들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구조들, 예컨대 컨택들, 비아들 및 전도성 패턴들은 생략된다. 이하에서, 도 12는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고, 도면들을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것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기판(SUB)에서 제1 n-웰(NW1), p-웰(PW) 및 제2 n-웰(NW2)이 X축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n-웰(NW1) 상에서 제1 p+ 영역(p1) 및 제1 n+ 영역(n1)이 배치될 수 있고, p-웰(PW) 상에서 제2 p+ 영역(p2), 제2 내지 제6 n+ 영역(n2 내지 n6) 및 제3 p+ 영역(p3)이 X축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n-웰(NW2) 상에서 제7 n+ 영역(n7) 및 제4 p+ 영역(p4)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3 n+ 영역(n3) 및 제4 n+ 영역(n4) 사이에 제1 게이트(G1)가 형성될 수 있고, 제4 n+ 영역(n4) 및 제5 n+ 영역(n5) 사이에 제2 게이트(G2)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아웃(120)은, 제1 게이트(G1)를 관통하여 제3 n+ 영역(n3) 및 제4 n+ 영역(n4)에 연결되는 3개의 활성 패턴들(예컨대, 3개의 나노시트들)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게이트(G2)를 X축 방향으로 관통하여 제4 n+ 영역(n4) 및 제5 n+ 영역(n5)에 연결되는 3개의 활성 패턴들(예컨대, 3개의 나노시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전극을 관통하는 활성 패턴들의 개수는 도 12에 도시된 바에 제한되지 아니하는 점이 유의된다.
제1 내지 제4 p+ 영역(p1 내지 p4) 및 제1 내지 제7 n+ 영역(n1 내지 n7)은 Y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제1 게이트(G1) 및 제2 게이트(G2) 역시 Y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n-웰(NW1), p-웰(PW) 및 제2 n-웰(NW2) 상에서 도핑된 영역들(예컨대, n+ 영역들 및 p+ 영역들) 사이 게이트가 제거된 부분에 절연체가 배치될 수 있고, 예컨대 싱글 디퓨전 브레이크가 배치될 수 있다.
도 11의 저항들(R11 내지 R13)은 제1 게이트(G1)를 관통하는 3개의 활성 패턴들에 대응할 수 있고, 저항(R14)은 제3 n+ 영역(n3)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1의 제1 NPN BJT(Q1)는 p-웰(PW), 제2 p+ 영역(p2), 제2 n+ 영역(n2) 및 제3 n+ 영역(n3)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노드(N2)에 연결된 제2 n+ 영역(n2)은 제1 NPN BJT(Q1)의 에미터에 대응할 수 있고, 제2 p+ 영역(p2)을 통해서 제1 n+ 영역(n1)에 연결된 p-웰(PW)은 제1 NPN BJT(Q1)의 베이스에 대응할 수 있으며, 제3 n+ 영역(n3)은 제1 NPN BJT(Q1)의 콜렉터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노드(N1)에 연결된 제1 p+ 영역(p1)은 도 11의 제1 다이오드(D1)의 애노드에 대응할 수 있고, 제1 n-웰(NW1)은 제1 다이오드(D1)의 캐소드에 대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n-웰(NW1)은 제1 n+ 영역(n1) 및 제2 p+ 영역(p2)을 통해서 p-웰(PW), 즉 제1 NPN BJT(Q1)의 베이스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1의 저항들(R21 내지 R23)은 제2 게이트(G2)를 관통하는 3개의 활성 패턴들에 대응할 수 있고, 저항(R24)은 제5 n+ 영역(n5)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1의 제2 NPN BJT(Q2)는 p-웰(PW), 제5 n+ 영역(n5), 제6 n+ 영역(n6) 및 제3 p+ 영역(p3)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노드(N2)에 연결된 제6 n+ 영역(n6)은 제2 NPN BJT(Q2)의 에미터에 대응할 수 있고, 제3 p+ 영역(p3)을 통해서 제7 n+ 영역(n7)에 연결된 p-웰(PW)은 제2 NPN BJT(Q2)의 베이스에 대응할 수 있으며, 제5 n+ 영역(n5)은 제2 NPN BJT(Q2)의 콜렉터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노드(N1)에 연결된 제4 p+ 영역(p4)은 도 11의 제2 다이오드(D2)의 애노드에 대응할 수 있고, 제2 n-웰(NW2)은 제2 다이오드(D2)의 캐소드에 대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n-웰(NW2)은 제7 n+ 영역(n7) 및 제3 p+ 영역(p3)을 통해서 p-웰(PW), 즉 제2 NPN BJT(Q2)의 베이스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장치(130)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예를 들면, 도 13의 회로도는 장치(130)의 등가 회로를 나타낸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130)는 제1 노드(N1) 및 제2 노드(N2) 사이에서 상호 병렬 연결된 제1 회로(131) 및 제2 회로(1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13에 대한 설명 중 도 5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것이다.
제1 회로(131)는 저항들(R11 내지 R14), 제1 NPN BJT(Q1), 제1 캐패시터(C1) 및 제1 저항(R1)을 포함할 수 있다. 상호 병렬 연결된 저항들(R11 내지 R13)은 게이트(예컨대, 도 14의 G1)를 관통하는 3개의 활성 패턴들(예컨대, 3개의 나노시트들)에 대응할 수 있고, 저항(R14)은 제1 NPN BJT(Q1)의 콜렉터에 대응하는 n+ 영역(예컨대, 도 14의 n2)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NPN BJT(Q1)의 베이스는 제1 노드(N2) 대신 제1 캐패시터(C1) 및 제1 저항(R1)이 상호 연결된 노드에 연결될 수 있다.
도 5의 제1 회로(51)와 비교할 때, 제1 회로(131)는 제1 캐패시터(C1) 및 제1 저항(R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노드(N1) 및 제2 노드(N2) 사이에 정전기 방전이 발생하는 경우, 제1 노드(N1)에 연결된 제1 캐패시터(C1)에 의해서 제1 NPN BJT(Q1)의 베이스의 전위가 상승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NPN BJT(Q1)는 조기에 구동될 수 있다. 즉, 제1 캐패시터(C1) 및 제1 저항(R1)에 의해서 제1 회로(131)의 트리거 전압이 감소할 수 있고, 낮은 동작 전압을 가지는 내부 회로(예컨대, 도 1의 14)가 정전기 방전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제2 회로(132)는 저항들(R21 내지 R24), 제2 NPN BJT(Q2), 제2 캐패시터(C1) 및 제2 저항(R2)을 포함할 수 있다. 상호 병렬 연결된 저항들(R21 내지 R23)은 게이트(예컨대, 도 14의 G2)를 관통하는 3개의 활성 패턴들(예컨대, 3개의 나노시트들)에 대응할 수 있고, 저항(R24)은 제2 NPN BJT(Q2)의 콜렉터에 대응하는 n+ 영역(예컨대, 도 14의 n4)에 대응할 수 있다. 제2 NPN BJT(Q2)의 베이스는 제2 노드(N2) 대신 제2 캐패시터(C2) 및 제2 저항(R2)이 상호 연결된 노드에 연결될 수 있다.
도 5의 제2 회로(52)와 비교할 때, 제2 회로(132)는 제2 캐패시터(C2) 및 제2 저항(R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노드(N1) 및 제2 노드(N2) 사이에 정전기 방전이 발생하는 경우, 제1 노드(N1)에 연결된 제2 캐패시터(C2)에 의해서 제2 NPN BJT(Q2)의 베이스의 전위가 상승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2 NPN BJT(Q2)는 조기에 구동될 수 있다. 즉, 제2 캐패시터(C2) 및 제2 저항(R2)에 의해서 제2 회로(132)의 트리거 전압이 감소할 수 있고, 낮은 동작 전압을 가지는 내부 회로(예컨대, 도 1의 14)가 정전기 방전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도 14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예를 들면, 도 14는 도 13의 제1 회로(131) 및 제2 회로(132)를 포함하는 레이아웃(140)의 평면도 및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해의 편의상 p+ 영역들, n+ 영역들 및 게이트들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구조들, 예컨대 컨택들, 비아들 및 전도성 패턴들은 생략된다. 이하에서, 도 14는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고, 도면들을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것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기판(SUB)에서 p-웰(PW)이 배치될 수 있다. p-웰(PW) 상에서 제1 p+ 영역(p1), 제1 내지 제5 n+ 영역(n1 내지 n5) 및 제2 p+ 영역(p2)이 X축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n+ 영역(n2) 및 제3 n+ 영역(n3) 사이에 제1 게이트(G1)가 형성될 수 있고, 제3 n+ 영역(n3) 및 제4 n+ 영역(n4) 사이에 제2 게이트(G2)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아웃은, 제1 게이트(G1)를 X축 방향으로 관통하여 제2 n+ 영역(n2) 및 제3 n+ 영역(n3)에 연결되는 3개의 활성 패턴들(예컨대, 3개의 나노시트들)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게이트(G2)를 X축 방향으로 관통하여 제3 n+ 영역(n3) 및 제4 n+ 영역(n4)에 연결되는 3개의 활성 패턴들(예컨대, 3개의 나노시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전극을 관통하는 활성 패턴들의 개수는 도 14에 도시된 바에 제한되지 아니하는 점이 유의된다.
제1 p+ 영역(p1), 제1 내지 제5 n+ 영역(n1 내지 n5) 및 제2 p+ 영역(p2)은 Y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제1 게이트(G1) 및 제2 게이트(G2) 역시 Y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p-웰(PW) 상에서 도핑된 영역들(예컨대, n+ 영역들 및 p+ 영역들) 사이 게이트가 제거된 부분에 절연체가 배치될 수 있고, 예컨대 싱글 디퓨전 브레이크가 배치될 수 있다.
도 13의 저항들(R11 내지 R13)은 제1 게이트(G1)를 관통하는 3개의 활성 패턴들에 대응할 수 있고, 저항(R14)은 제2 n+ 영역(n2)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3의 제1 NPN BJT(Q1)는 p-웰(PW), 제1 p+ 영역(p1), 제1 n+ 영역(n1) 및 제2 n+ 영역(n2)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노드(N2)에 연결된 제1 n+ 영역(n1)은 제1 NPN BJT(Q1)의 에미터에 대응할 수 있고, 제1 p+ 영역(p1)을 통해서 제1 캐패시터(C1) 및 제1 저항(R1)에 연결된 p-웰(PW)은 제1 NPN BJT(Q1)의 베이스에 대응할 수 있으며, 제2 n+ 영역(n2)은 제1 NPN BJT(Q1)의 콜렉터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캐패시터(C1)는 제1 노드(N1)에 연결될 수 있고, 제1 p+ 영역(p1)을 통해서 p-웰(PW), 즉 제1 NPN BJT(Q1)의 베이스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저항(R1)은 제2 노드(N2)에 연결될 수 있고, 제1 p+ 영역(p1)을 통해서 p-웰(PW), 즉 제1 NPN BJT(Q1)의 베이스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3의 저항들(R21 내지 R23)은 제2 게이트(G2)를 관통하는 3개의 활성 패턴들에 대응할 수 있고, 저항(R24)은 제5 n+ 영역(n5)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3의 제2 NPN BJT(Q2)는 p-웰(PW), 제4 n+ 영역(n4), 제5 n+ 영역(n5) 및 제2 p+ 영역(p2)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노드(N2)에 연결된 제5 n+ 영역(n5)은 제2 NPN BJT(Q2)의 에미터에 대응할 수 있고, 제2 p+ 영역(p2)을 통해서 제2 캐패시터(C2) 및 제2 저항(R2)에 연결된 p-웰(PW)은 제2 NPN BJT(Q2)의 베이스에 대응할 수 있으며, 제4 n+ 영역(n4)은 제2 NPN BJT(Q2)의 콜렉터에 대응할 수 있다. 제2 캐패시터(C2)는 제1 노드(N1)에 연결될 수 있고, 제2 p+ 영역(p2)을 통해서 p-웰(PW), 즉 제2 NPN BJT(Q2)의 베이스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저항(R2)은 제2 노드(N2)에 연결될 수 있고, 제2 p+ 영역(p2)을 통해서 p-웰(PW), 즉 제2 NPN BJT(Q2)의 베이스에 연결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를 사용하여 실시예들을 설명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20)
- 제1 도전형을 가지는 제1 웰;
상기 제1 웰 상에서 제1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게이트 전극;
제2 도전형을 각각 가지고, 상기 제1 웰 상에서 상기 제1 게이트 전극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수평 방향과 교차하는 제2 수평 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상기 제2 도전형을 가지고, 상기 제1 웰 상에서 상기 제2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수평 방향으로 이격된 제3 영역; 및
상기 제1 도전형을 가지고, 상기 제1 웰 상에서 상기 제3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수평 방향으로 이격된 제4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게이트 전극 및 상기 제1 영역은, 제1 노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3 영역은, 제2 노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전형을 가지고, 상기 제1 웰 상에서 상기 제2 영역 및 상기 제3 영역 사이에서 상기 제2 영역 및 상기 제3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수평 방향으로 이격된 제5 영역을 더 포함하는 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5 영역은, 상기 제2 노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웰 상에서 상기 제2 영역 및 상기 제5 영역 사이에서 상기 제1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게이트 전극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게이트 전극은, 상기 제1 노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형을 가지고, 상기 제1 웰 상에서 상기 제2 영역 및 상기 제3 영역 사이에서 상기 제2 영역 및 상기 제3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수평 방향으로 이격된 제5 영역을 더 포함하는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4 영역은, 상기 제2 노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전형을 가지는 제2 웰;
상기 제2 도전형을 가지고, 상기 제2 웰 상에서 상기 제4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수평 방향으로 이격된 제5 영역; 및
상기 제1 도전형을 가지고, 상기 제2 웰 상에서 상기 제5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수평 방향으로 이격된 제6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5 영역은, 상기 제4 영역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6 영역은, 상기 제1 노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 영역 및 상기 제4 영역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저항; 및
상기 제1 노드 및 상기 제4 영역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캐패시터를 더 포함하는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전형을 가지고, 상기 제1 웰 상에서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수평 방향으로 이격된 제5 영역;
상기 제1 웰 상에서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5 영역 사이에서 상기 제1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게이트 전극;
상기 제2 도전형을 가지고, 상기 제1 웰 상에서 상기 제5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수평 방향으로 이격된 제6 영역; 및
상기 제1 도전형을 가지고, 상기 제1 웰 상에서 상기 제6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수평 방향으로 이격된 제7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게이트 전극은, 상기 제1 노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5 영역은, 상기 제2 노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1 게이트, 제1 드레인 및 제1 소스를 포함하는 제1 NFET(n-channel field effect transistor); 및
제1 베이스, 제1 에미터 및 제1 콜렉터를 포함하는 제1 NPN 양극성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게이트 및 상기 제1 드레인은, 제1 노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에미터는, 제2 노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소스 및 상기 제1 콜렉터는, 하나의 제1 n-형 영역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는, p-웰에 대응하고,
상기 제1 n-형 영역은, 상기 p-웰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 게이트 및 상기 제1 드레인은, 상기 p-웰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는, 상기 제2 노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노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애노드 및 상기 제1 베이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캐소드를 포함하는 다이오드를 더 포함하는 장치.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노드 및 상기 제1 베이스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캐패시터; 및
상기 제2 노드 및 상기 제1 베이스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저항을 더 포함하는 장치. - 청구항 10에 있어서,
제2 게이트, 제2 드레인 및 제2 소스를 포함하는 제2 NFET; 및
제2 베이스, 제2 에미터 및 제2 콜렉터를 포함하는 제2 NPN 양극성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게이트 및 상기 제2 드레인은, 상기 제1 노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에미터는, 상기 제2 노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소스 및 상기 제2 콜렉터는, 하나의 제2 n-형 영역에 대응하고,
상기 제1 드레인 및 상기 제2 드레인은, 하나의 제3 n-형 영역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1 노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게이트들을 각각 가지고 상기 제1 노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드레인을 공유하는, 제1 NFET(n-channel field effect transistor) 및 제2 NFET; 및
각각이 제2 노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에미터를 가지는, 제1 NPN 양극성 트랜지스터 및 제2 NPN 양극성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NFET의 소스 및 상기 제1 NPN 양극성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는, 하나의 제1 n-형 영역에 대응하고,
상기 제2 NFET의 소스 및 상기 제2 NPN 양극성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는, 하나의 제2 n-형 영역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1 NPN 양극성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 NPN 양극성 트랜지스터는, 하나의 p-웰에 대응하고,
상기 제1 n-형 영역 및 상기 제2 n-형 영역은, 상기 p-웰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및 상기 게이트들, 상기 제1 NPN 양극성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 NPN 양극성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들은, 상기 p-웰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1 NPN 양극성 트랜지스터 및 제2 NPN 양극성 트렌지스터 각각의 베이스는, 상기 제2 노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EP24157587.7A EP4425569A1 (en) | 2023-02-20 | 2024-02-14 | Device for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using bipolar junction transistor |
US18/443,892 US20240282764A1 (en) | 2023-02-20 | 2024-02-16 | Device for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using bipolar junction transistor |
CN202410187184.0A CN118522726A (zh) | 2023-02-20 | 2024-02-20 | 用于使用双极结型晶体管的静电放电保护的装置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30022448 | 2023-02-20 | ||
KR1020230022448 | 2023-02-20 | ||
KR20230034575 | 2023-03-16 | ||
KR1020230034575 | 2023-03-16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129549A true KR20240129549A (ko) | 2024-08-27 |
Family
ID=92587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74381A KR20240129549A (ko) | 2023-02-20 | 2023-06-09 | 양극성 접합 트랜지스터를 사용하는 정전기 방전 보호를 위한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129549A (ko) |
-
2023
- 2023-06-09 KR KR1020230074381A patent/KR20240129549A/ko unknow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039899B2 (en) |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device | |
TWI580001B (zh) | 靜電放電保護電路、結構及其製造方法 | |
US7354813B2 (en) | Method for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in integrated circuits | |
US9209265B2 (en) | ESD devices comprising semiconductor fins | |
US10096589B2 (en) | Fin ESD protection diod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 |
JP2010016177A (ja) | 静電気放電保護素子 | |
KR20040081055A (ko) | 반도체 장치 | |
JP2010182727A (ja) | 半導体装置 | |
US8963256B2 (en) | CMOS device structures | |
JP3888912B2 (ja) | 半導体集積回路装置 | |
TW201725694A (zh) | 靜電放電保護電路、半導體靜電放電保護元件及其佈局結構 | |
JP5243773B2 (ja) | 静電気保護用半導体装置 | |
TWI784064B (zh) | 閘極控制雙載子接面電晶體及其操作方法 | |
KR20100079083A (ko) | 반도체 소자의 정전기 방전 보호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 |
JP5774422B2 (ja) | 半導体装置 | |
KR20150044803A (ko) | 반도체 장치 | |
JP5022013B2 (ja) | 静電気保護用半導体装置および自動車用複合ic | |
JP2007019413A (ja) | 保護回路用半導体装置 | |
KR20240129549A (ko) | 양극성 접합 트랜지스터를 사용하는 정전기 방전 보호를 위한 장치 | |
CN112054025B (zh) | 一种串联soi mosfet器件结构及其制备方法 | |
US20240282764A1 (en) | Device for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using bipolar junction transistor | |
TW202435417A (zh) | 使用雙極接面電晶體進行靜電放電保護的裝置 | |
CN118522726A (zh) | 用于使用双极结型晶体管的静电放电保护的装置 | |
JP2003152163A (ja) | 半導体保護装置 | |
US20240222357A1 (en) | Device for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using silicon controlled rectifi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