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19575A - 하천 부유 쓰레기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하천 부유 쓰레기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19575A
KR20240119575A KR1020230011805A KR20230011805A KR20240119575A KR 20240119575 A KR20240119575 A KR 20240119575A KR 1020230011805 A KR1020230011805 A KR 1020230011805A KR 20230011805 A KR20230011805 A KR 20230011805A KR 20240119575 A KR20240119575 A KR 202401195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ver
blocking
blocking member
floating wast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1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효동
박성민
김찬주
원종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어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어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어시스
Priority to KR1020230011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119575A/ko
Priority to PCT/KR2023/013868 priority patent/WO2024162552A1/ko
Publication of KR20240119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19575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02B15/0814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with underwater curt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02B15/0857Buoyancy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10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from the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Or Clearing Of The Surface Of Open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하천 부유 쓰레기 처리 시스템은 하천(A1)에 설치되며 하천(A1)의 부유 쓰레기(G)를 차단하는 제1 차단부(100), 하천(A1)에 인접한 둔치(A2)의 지하에 설치되며 하천(A1)의 수위 변화에 따라 둔치(A2)의 상부면 위로 상승하여 둔치(A2)로 유입되는 부유 쓰레기(G)를 차단하는 제2 차단부(200), 그리고 제1 차단부(100) 및 제2 차단부(200)에 연결되며 제1 차단부(100) 및 제2 차단부(200)에서 차단된 부유 쓰레기(G)를 수거하는 부유 쓰레기 수거부(3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하천 부유 쓰레기 처리 시스템{RIVER FLOATING GARBAGE DISPOSAL SYSTEM}
본 발명은 하천 부유 쓰레기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천의 수위가 상승하는 경우에 둔치로 유입되는 부유 쓰레기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하천 부유 쓰레기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해양 쓰레기 증가로 인한 생태계 파괴와 인명 피해에 대한 국내외 우려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정부 차원에서 육상 폐기물의 해양 유입 방지와 부유 쓰레기 수거를 의무화하는 법안의 시행을 앞두고 있다. 해양 쓰레기는 필연적으로 하천을 통해서 유입되는데, 생활 수준의 향상으로 인한 캠핑 문화의 증가로 인해 무분별하게 버려지는 각종 생활 쓰레기와, 하천 주변의 각종 개발 사업에 따라 발생하여 무단으로 투기되는 산업용 쓰레기 등으로 인해 하천 주변은 쓰레기 천지가 되고 보 주변에는 온갖 부유물이 떠다니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로 해양 쓰레기의 60% 이상은 하천을 따라 유입되고 있으며, 예를 들어 해양 플라스틱의 약 60~80%는 하천을 통해 바다로 유입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하천의 부유 쓰레기는 특히 장마철에 태풍이나 집중 호우로 인해 다량 유입되어 생태 경관을 해치고 하천의 수질을 오염시켜서 하천 주변의 인근 생태계뿐 아니라 바다를 오염시키며 해양 생태계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우려가 크다.
따라서, 정부나 지자체의 관련 부서 등에서는 하천으로 유입되는 생활 쓰레기의 양을 줄이기 위해서 우수관과 오수관을 분리하고 주택에 배수 시설을 설치하는 등의 사업을 추진하고 있고 하천에서 발생하는 부유 쓰레기의 수거 및 처리에도 힘쓰고 있다. 예를 들어, 환경부 주도로 이루어지는 하천 및 하구 쓰레기 정화사업은 태풍, 집중 호우 시 하천으로 유입되는 다량의 부유 쓰레기를 신속히 수거 및 처리해 생태 경관을 보호하고 하천 수질오염을 예방하고자 추진되고 있다.
하천에 있는 부유 쓰레기는 발생 초기에 오염원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한데, 바다로 들어가기 전에 이러한 부유 쓰레기들을 하천으로부터 건져낼 수만 있다면 하천의 환경 오염은 물론 해양 생태계의 오염도 줄일 수 있고 수거된 부유 쓰레기들을 재활용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하천의 부유 쓰레기 처리 시스템은 부유체를 포함하는 쓰레기 집적 설비(floating bin)를 활용하여 작업자들이 도구를 이용해 하천의 부유 쓰레기를 수동으로 수거하거나, 집게 크레인이 설치되어 있는 청항선을 이용하여 하천의 부유 쓰레기를 수거하거나, 또는 부유 쓰레기를 수거한 선박을 하천 인근에 설치되어 있는 쓰레기 수거 장치로 이동시킨 후 수거한다.
한편, 하천 부유 쓰레기 처리 시스템과 관련하여 본 출원인에 의해 선 출원된 한국특허출원 제10-2021-0130396호(출원일자: 2021년 9월 30일)에는 수위변화 대응형 부유식 차단막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는데, 여기에서는 부유식 차단막과 고정 지지 구조물 간의 연결방식을 개선시킴으로써, 차단막 시스템의 위치변화와 하천이나 해양의 수위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여, 부유쓰레기의 차단 효율을 크게 개선시키고 환경하중(wind, wave, current)에 견디는 성능을 최대한 발현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본 출원인에 의해 선 출원된 한국특허출원 제10-2021-0124037호(출원일자: 2021년 9월 16일)에는 부유폐기물 성상 분류 및 차집량 추정 시스템, 이의 추정 방법, 및 부유폐기물 성상 분류 및 차집량 추정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부유 쓰레기 처리 시스템은 하천의 수위가 상승하는 경우에, 하천에 인접한 둔치로 유입되는 부유 쓰레기를 차단할 수 없다.
다만, 하안 위 또는 둔치에 고정 설치한 부유 쓰레기 처리 시스템은 하천의 수위가 상승하는 경우, 둔치로 유입되는 부유 쓰레기를 일부 차단할 수 있으나, 이러한 부유 쓰레기 처리 시스템은 하안의 경사가 완만하고 사람의 통행이 없는 둔치에만 설치할 수 있으므로, 부유 쓰레기의 차단 효율이 낮고, 설치 장소에 제약이 많아 설치하기가 어렵다.
한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03-0007256호(하천쓰레기 자동 수거장치, 2003.01.23)
본 발명의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하천의 수위가 상승하는 경우에 둔치로 유입되는 부유 쓰레기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하천 부유 쓰레기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천(A1)에 설치되며 상기 하천(A1)의 부유 쓰레기(G)를 차단하는 제1 차단부(100); 상기 하천(A1)에 인접한 둔치(A2)의 지하에 설치되며 상기 하천(A1)의 수위 변화에 따라 상기 둔치(A2)의 상부면 위로 상승하여 상기 둔치(A2)로 유입되는 상기 부유 쓰레기(G)를 차단하는 제2 차단부(200); 및 상기 제1 차단부(100) 및 상기 제2 차단부(200)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차단부(100) 및 상기 제2 차단부(200)에서 차단된 상기 부유 쓰레기(G)를 수거하는 부유 쓰레기 수거부(300);를 포함하는, 하천 부유 쓰레기 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차단부(100)는, 상기 하천(A1)의 부유 쓰레기(G)를 차단하는 제1 차단 부재(110)와, 그리고 상기 제1 차단 부재(110)의 일단 또는 양단에 연결되며 상기 하천(A1)의 수위 변화에 따라 상기 제1 차단 부재(110)를 부유시키는 제1 부이(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차단 부재(110)는, 제1 차단막(111)과, 그리고 상기 제1 차단막(111)에 부착되며 상기 제1 차단막(111)에 부력을 제공하는 제1 부유체(11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차단부(100)는, 상기 하천(A1)의 바닥에 고정되며 상기 제1 부이(120)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부이(120)의 수평 이동을 제한하는 제1 고정 부재(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차단부(200)는, 상기 둔치(A2)에 유입되는 상기 부유 쓰레기(G)를 차단하는 제2 차단 부재(210)와, 상기 제2 차단 부재(210)의 양단에 연결되며 상기 둔치(A2)로 유입되는 하천수(11)의 수위 변화에 따라 상기 제2 차단 부재(210)를 부유시키는 제2 부이(220)와, 그리고 상기 둔치(A2)의 지하에 상기 제2 차단 부재(210)를 매립하는 차단 부재 매립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차단 부재(210)는, 제2 차단막(211)과, 그리고 상기 제2 차단막(211)에 부착되며 상기 제2 차단막(211)에 부력을 제공하는 제2 부유체(2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 부재 매립부(240)는, 상기 둔치(A2)의 지하에 형성되며 상기 제2 차단 부재(210)를 저장하는 차단 부재 저장부(241)와, 그리고 상기 차단 부재 저장부(241)에 설치되며 상기 차단 부재 저장부(241)를 개폐하는 개폐부(24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단 부재 저장부(241)는 상기 하천수(11)의 흐름 방향과 소정 각도(θ)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부(242)는, 상기 차단 부재 저장부(241)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2 차단 부재(210)의 부력에 의해 상기 차단 부재 저장부(241)를 개방하는 개폐 도어(10)와, 상기 개폐 도어(10)를 상기 차단 부재 저장부(241)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개폐 힌지(20)와, 그리고 상기 개폐 도어(10)에 연결되며 상기 개폐 도어(10)를 회전시켜 상기 차단 부재 저장부(241)를 폐쇄하는 힘을 제공하는 개폐 구동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 도어(10)는 복수의 개구부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 힌지(20)는 상기 개폐 도어(10)가 상기 둔치(A2)의 상부면에서 상부 방향으로만 열리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 구동부(30)는 상기 개폐 도어(10)와 상기 제2 차단 부재(210)를 서로 연결하는 구동 연결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차단부(200)는, 상기 둔치(A2)의 바닥에 고정되며 상기 제2 부이(220)에 연결되어 상기 제2 부이(220)의 수평 이동을 제한하는 제2 고정 부재(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차단부(200)는, 상기 둔치(A2)의 지하에 상기 제2 부이(220)를 매립하는 부이 매립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부유 쓰레기 수거부(300)는, 상기 부유 쓰레기(G)를 수거하는 수거 본체(310)와, 상기 수거 본체(310)의 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부유 쓰레기(G)의 유입을 가이드하는 보조 수거부(320)와, 그리고 상기 보조 수거부(320)와 상기 제2 부이(220)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3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천 부유 쓰레기 처리 시스템은 하천에 설치되는 제1 차단부, 둔치에 설치되는 제2 차단부, 그리고 제1 차단부와 제2 차단부에서 차단된 부유 쓰레기를 수거하는 부유 쓰레기 수거부를 포함함으로써, 하천의 수위가 상승하는 경우에 둔치로 유입되는 부유 쓰레기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평소에 제2 차단부는 둔치의 지하에 매립되므로, 사람들의 통행에 불편함이 없어서, 설치 장소에 제약이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천 부유 쓰레기 처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천 부유 쓰레기 처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2 차단부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제2 부이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부유 쓰레기 수거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수위 상승 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천 부유 쓰레기 처리 시스템의 처리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수위 상승 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천 부유 쓰레기 처리 시스템의 처리 상태를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천 부유 쓰레기 처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천 부유 쓰레기 처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제2 차단부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천 부유 쓰레기 처리 시스템은 제1 차단부(100), 제2 차단부(200), 그리고 부유 쓰레기 수거부(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차단부(100)는 하천(A1)에 설치되며 하천(A1)의 부유 쓰레기(G)를 차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차단부(100)는 제1 차단 부재(110), 제1 부이(120), 그리고 제1 고정 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차단 부재(110)는 하천(A1)에 설치되며 하천(A1)의 부유 쓰레기(G)를 차단할 수 있다.
제1 차단 부재(110)는 제1 차단막(111), 그리고 제1 부유체(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차단막(111)은 긴 띠 형상을 가지며 하천수(11)의 흐름 방향(X)과 교차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차단막(111)은 고무 재질 또는 그물망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부유체(112)는 제1 차단막(111)에 부착되며 제1 차단막(111)에 부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부유체(112)는 제1 차단막(111)의 양면 또는 일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부유체(112)는 스틸(steel),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 (Fiber Reinforced Plastics, FRP) 등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부력을 제공할 수 있는 재질이면 한정되지 않는다.
제1 부이(120)는 제1 차단 부재(110)의 둔치(A)측 일단이나, 또는 양단에 연결되며 하천(A1)의 수위 변화에 따라 부유하며 동시에 제1 차단 부재(110)를 부유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1 부이(120)는 수위 변화 대응형 부이일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제1 부이(120)가 수위 변화 대응형 부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위 변화에 불구하고 고정되는 부이일 수도 있다.
제1 고정 부재(130)는 하천(A1)의 바닥에 고정되며 제1 부이(120)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고정 부재(130)는 하천수(11)의 흐름에 의해 발생하는 하중을 견디며 제1 부이(12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즉, 제1 고정 부재(130)는 제1 부이(120)의 수평 이동을 제한하는 동시에 부력에 의한 제1 부이(120)의 수직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고정 부재(130)는 모노 파일, 석션 파일, 중력식 파일, 원형 강관, H빔, 및 중력식 앵커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차단부(200)는 하천(A1)에 인접한 둔치(A2)의 지하에 설치되며 하천(A1)의 수위 변화에 따라 둔치(A2)의 상부면 위로 상승하여 둔치(A2)로 유입되는 부유 쓰레기(G)를 차단할 수 있다.
제2 차단부(200)는 제2 차단 부재(210), 제2 부이(220), 제2 고정 부재(230), 차단 부재 매립부(240), 그리고 부이 매립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차단 부재(210)는 하천(A1)에 인접한 둔치(A2)에 설치되며, 둔치(A2)에 유입되는 부유 쓰레기(G)를 차단할 수 있다.
제2 차단 부재(210)는 제2 차단막(211), 그리고 제2 부유체(2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차단막(211)은 긴 띠 형상을 가지며 하천수(11)의 흐름 방향(X)과 교차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차단막(211)은 고무 재질 또는 그물망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부유체(212)는 제2 차단막(211)에 부착되며 제2 차단막(211)에 부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부유체(212)는 제2 차단막(211)의 양면 또는 일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제2 부유체(212)는 스틸(steel),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 (Fiber Reinforced Plastics, FRP) 등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부력을 제공할 수 있는 재질이면 한정되지 않는다.
제2 부이(220)는 제2 차단 부재(210)의 양단에 연결되며 둔치(A2)로 유입되는 하천수(11)의 수위 변화에 따라 부유하며 동시에 제2 차단 부재(210)를 부유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2 부이(220)는 수위 변화 대응형 부이일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제2 부이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부이(220)는 구조부(221)를 이용하여 제2 고정 부재(230)에 연결되는 동시에 제2 차단 부재(210)에 연결될 수 있다. 구조부(221)는 제2 차단 부재(210)에 발생하는 하천수(11)의 하중을 견디면서, 이러한 하천수(11)의 하중을 제2 고정 부재(23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제2 고정 부재(230)는 둔치(A2)의 바닥에 고정되며 제2 부이(22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고정 부재(230)는 둔치(A2)로 유입된 하천수(11)의 흐름에 의해 발생하는 하중을 견디며 제2 부이(22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즉, 제2 고정 부재(230)는 제2 부이(220)의 수평 이동을 제한하는 동시에 부력에 의한 제2 부이(220)의 수직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고정 부재(230)는 모노 파일, 석션 파일, 중력식 파일, 원형 강관, H빔, 및 중력식 앵커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고정 부재(230)의 상단부에는 야간 통행자의 시야를 확보해주는 가로등(미도시), 모니터링을 위한 카메라(미도시) 등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차단 부재 매립부(240)는 둔치(A2)의 지하에 제2 차단 부재(210)를 매립할 수 있다.
차단 부재 매립부(240)는 차단 부재 저장부(241), 그리고 개폐부(242)를 포함할 수 있다.
차단 부재 저장부(241)는 둔치(A2)의 지하에 형성되며 제2 차단 부재(210)를 저장할 수 있다. 차단 부재 저장부(241)는 제2 차단 부재(210)를 둔치(A2)의 지하에 설치하기 위한 지하 공간으로서, 둔치(A2)의 바닥을 일부 파내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내부 공간의 측면 및 바닥면에 지지 부재(미도시)를 설치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 부재(미도시)는 타설되는 콘크리트 재질, 목재 또는 철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차단 부재 저장부(241)는 하천수(11)의 흐름 방향(X)과 소정 각도(θ)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부유 쓰레기(G)를 제2 차단 부재(210)가 차단한 후, 부유 쓰레기 수거부(300)가 부유 쓰레기(G)를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다.
개폐부(242)는 차단 부재 저장부(241)에 설치되며 차단 부재 저장부(241)를 개폐할 수 있다.
개폐부(242)는 개폐 도어(10), 개폐 힌지(20), 그리고 개폐 구동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 도어(10)는 차단 부재 저장부(241)의 상부에 위치하며 제2 차단 부재(210)의 부력에 의해 열리며 차단 부재 저장부(241)를 개방할 수 있다. 이러한 개폐 도어(10)는 둔치(A2)의 상부면 상에 설치될 수 있다. 개폐 도어(10)는 복수의 개구부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개구부를 통해 하천수(11)가 유입될 수 있다. 복수의 개구부는 홀 또는 그물망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개폐 힌지(20)는 개폐 도어(10)를 차단 부재 저장부(241)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개폐 힌지(20)는 개폐 도어(10)가 둔치(A2)의 상부면에서 상부 방향으로만 열릴 수 있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평상 시 사람들이 통행하면서 밟는 경우에도 개폐 도어(10)가 둔치(A2)의 상부면에서 하부 방향으로 열리지 않게 하여 사람들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도 6은 수위 상승 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천 부유 쓰레기 처리 시스템의 처리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고, 도 7은 수위 상승 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천 부유 쓰레기 처리 시스템의 처리 상태를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천(A1)의 수위가 상승하여 둔치(A2)로 하천수(11)가 유입되는 경우에 하천수(11)는 개폐 도어(10)의 개구부를 통해 차단 부재 저장부(241)로 유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차단 부재(210)의 제2 부유체(212)는 부력을 받으므로, 제2 차단 부재(210)는 상승하게 된다. 이러한 제2 차단 부재(210)의 상승에 의해 개폐 도어(10)를 회전시켜 차단 부재 저장부(241)를 개방할 수 있다.
개폐 구동부(30)는 개폐 도어(10)에 연결되며 개폐 도어(10)를 회전시켜 차단 부재 저장부(241)를 닫는 힘을 제공할 수 있다. 개폐 구동부(30)는 개폐 도어(10)와 제2 차단 부재(210)를 서로 연결하는 구동 연결선을 포함할 수 있다.
하천(A1)의 수위가 상승하여 제2 차단 부재(210)가 부력에 의해 개폐 도어(10)를 열고 상승하여 부유 쓰레기(G)를 차단한 이후에 다시 하천(A1)의 수위가 하강하는 경우에, 제2 차단 부재(210)는 다시 차단 부재 저장부(241)로 위치하게 된다. 이 경우, 제2 차단 부재(210)의 하중이 구동 연결선에 전달되어 개폐 도어(10)를 다시 원래의 위치로 이동시키며 개폐 도어(10)가 닫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개폐 구동부(30)가 구동 연결선이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동력 전달 부재 등이 가능하다.
부이 매립부(250)는 둔치(A2)의 지하에 제2 부이(220)를 매립할 수 있다. 부이 매립부(250)는 제2 부이(220)와 유사한 형상을 가지는 내부 공간으로서, 차단 부재 매립부(240)의 양단에 인접하여 형성되므로, 제2 부이(220)가 위치할 수 있다.
부이 매립부(250)는 제2 부이(220)와 유사한 형상을 가지므로, 부이 매립부(250)와 제2 부이(220)사이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공간에 이물질이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통행하는 사람들의 발이 끼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부이 매립부(250)의 상부는 개방되어 있으므로, 부이 매립부(250)에 매립된 제2 부이(220)는 하천(A1)의 수위 변화에 따라 자유로이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또한, 부이 매립부(250)의 깊이는 제2 부이(220)의 높이와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평상 시에 둔치(A2)의 상부면과 제2 부이(220)의 상부면은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하게 되므로, 사람들의 통행에 불편함이 없다.
부유 쓰레기 수거부(300)는 제1 부이(120) 및 제2 부이(220)에 연결되며 부유 쓰레기(G)를 수거할 수 있다.
부유 쓰레기 수거부(300)는 수거 본체(310), 보조 수거부(320), 그리고 연결 부재(330)를 포함할 수 있다.
수거 본체(310)는 부유 쓰레기(G)를 수거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부유 쓰레기 수거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거 본체(310)는 한 쌍의 수거 부유체(311), 한 쌍의 수거 부유체 수용부(312), 프레임 구조체(313), 내부 빈(314), 그리고 유입부(315)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수거 부유체(311)는 내부 빈(314)에 부력을 제공하여 수면 위에 위치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그 형태는 설치 위치 및 수심 등에 따라 원기둥, 사각기둥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수거 부유체 수용부(312)는 수거 부유체들(311)을 각각 수용하여 지지할 수 있다. 수거 부유체 수용부(312)는 프레임 구조체(313)의 길이방향으로 하나 이상 마련된 수거 부유체 수용부 몸체(31), 수거 부유체(311)를 수거 부유체 수용부 몸체(31)에 고정시키는 결속 부재(32), 그리고 수거 부유체 수용부 몸체(31)의 상부면 상에 위치하는 데크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구조체(313)는 수거 부유체들(311)을 일정 간격으로 서로 이격된 상태로 유지하고 지지하기 위하여 수거 부유체 수용부들(312) 사이에 연장 배치될 수 있다.
내부 빈(314)은 수거 부유체들(311) 사이에서 프레임 구조체(313)에 의해서 구획되는 공간내에 착탈 가능하게 안착될 수 있다. 내부 빈(314)은 하천(A1)의 부유 쓰레기(G)를 집적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내부 빈(314)은 그물망(mesh) 형태로 구성되어 유입된 하천수(11)가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한다.
유입부(315)는 프레임 구조체(313)의 일측에 개폐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내부 빈(314)과 연통할 수 있다. 하천수(11)의 유속에 의해 부유 쓰레기(G)는 자연스럽게 유입부(315)를 통해 내부 빈(314)으로 집적될 수 있다.
보조 수거부(320)는 수거 본체(310)의 입구, 즉 유입부(315)에 설치되어 부유 쓰레기(G)의 유입을 가이드할 수 있다.
연결 부재(330)는 보조 수거부(320)와 제2 부이(220)를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 부재(330)를 통해 제2 부이(220)와 부유 쓰레기 수거부(300)는 함께 부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천 부유 쓰레기 처리 시스템은 하천(A1)에 설치되는 제1 차단부(100), 둔치(A2)에 설치되는 제2 차단부(200), 그리고 제1 차단부(100)와 제2 차단부(200)에서 차단된 부유 쓰레기(G)를 수거하는 부유 쓰레기 수거부(300)를 포함함으로써, 하천(A1)의 수위가 상승하는 경우에 둔치(A2)로 유입되는 부유 쓰레기(G)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과 균등한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예 또는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이어지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제1 차단부 110: 제1 차단 부재
120: 제1 부이 130: 제1 고정 부재
200: 제2 차단부 210: 제2 차단 부재
220: 제2 부이 230: 제2 고정 부재
240: 차단 부재 매립부 250: 부이 매립부
300: 부유 쓰레기 수거부

Claims (15)

  1. 하천(A1)에 설치되며 상기 하천(A1)의 부유 쓰레기(G)를 차단하는 제1 차단부(100);
    상기 하천(A1)에 인접한 둔치(A2)의 지하에 설치되며 상기 하천(A1)의 수위 변화에 따라 상기 둔치(A2)의 상부면 위로 상승하여 상기 둔치(A2)로 유입되는 상기 부유 쓰레기(G)를 차단하는 제2 차단부(200); 및
    상기 제1 차단부(100) 및 상기 제2 차단부(200)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차단부(100) 및 상기 제2 차단부(200)에서 차단된 상기 부유 쓰레기(G)를 수거하는 부유 쓰레기 수거부(300);를 포함하는,
    하천 부유 쓰레기 처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단부(100)는,
    상기 하천(A1)의 부유 쓰레기(G)를 차단하는 제1 차단 부재(110)와, 그리고
    상기 제1 차단 부재(110)의 일단 또는 양단에 연결되며 상기 하천(A1)의 수위 변화에 따라 상기 제1 차단 부재(110)를 부유시키는 제1 부이(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부유 쓰레기 처리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단 부재(110)는,
    제1 차단막(111)과, 그리고
    상기 제1 차단막(111)에 부착되며 상기 제1 차단막(111)에 부력을 제공하는 제1 부유체(1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부유 쓰레기 처리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단부(100)는,
    상기 하천(A1)의 바닥에 고정되며 상기 제1 부이(120)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부이(120)의 수평 이동을 제한하는 제1 고정 부재(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부유 쓰레기 처리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차단부(200)는,
    상기 둔치(A2)에 유입되는 상기 부유 쓰레기(G)를 차단하는 제2 차단 부재(210)와,
    상기 제2 차단 부재(210)의 양단에 연결되며 상기 둔치(A2)로 유입되는 하천수(11)의 수위 변화에 따라 상기 제2 차단 부재(210)를 부유시키는 제2 부이(220)와, 그리고
    상기 둔치(A2)의 지하에 상기 제2 차단 부재(210)를 매립하는 차단 부재 매립부(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부유 쓰레기 처리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차단 부재(210)는,
    제2 차단막(211)과, 그리고
    상기 제2 차단막(211)에 부착되며 상기 제2 차단막(211)에 부력을 제공하는 제2 부유체(2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부유 쓰레기 처리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부재 매립부(240)는,
    상기 둔치(A2)의 지하에 형성되며 상기 제2 차단 부재(210)를 저장하는 차단 부재 저장부(241)와, 그리고
    상기 차단 부재 저장부(241)에 설치되며 상기 차단 부재 저장부(241)를 개폐하는 개폐부(2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부유 쓰레기 처리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부재 저장부(241)는,
    상기 하천수(11)의 흐름 방향과 소정 각도(θ)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부유 쓰레기 처리 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242)는,
    상기 차단 부재 저장부(241)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2 차단 부재(210)의 부력에 의해 상기 차단 부재 저장부(241)를 개방하는 개폐 도어(10)와,
    상기 개폐 도어(10)를 상기 차단 부재 저장부(241)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개폐 힌지(20)와, 그리고
    상기 개폐 도어(10)에 연결되며 상기 개폐 도어(10)를 회전시켜 상기 차단 부재 저장부(241)를 폐쇄하는 힘을 제공하는 개폐 구동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부유 쓰레기 처리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도어(10)는,
    복수의 개구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부유 쓰레기 처리 시스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힌지(20)는,
    상기 개폐 도어(10)가 상기 둔치(A2)의 상부면에서 상부 방향으로만 열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부유 쓰레기 처리 시스템.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구동부(30)는,
    상기 개폐 도어(10)와 상기 제2 차단 부재(210)를 서로 연결하는 구동 연결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부유 쓰레기 처리 시스템.
  13.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차단부(200)는,
    상기 둔치(A2)의 바닥에 고정되며 상기 제2 부이(220)에 연결되어 상기 제2 부이(220)의 수평 이동을 제한하는 제2 고정 부재(2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부유 쓰레기 처리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차단부(200)는,
    상기 둔치(A2)의 지하에 상기 제2 부이(220)를 매립하는 부이 매립부(2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부유 쓰레기 처리 시스템.
  15.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 쓰레기 수거부(300)는,
    상기 부유 쓰레기(G)를 수거하는 수거 본체(310)와,
    상기 수거 본체(310)의 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부유 쓰레기(G)의 유입을 가이드하는 보조 수거부(320)와, 그리고
    상기 보조 수거부(320)와 상기 제2 부이(220)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부유 쓰레기 처리 시스템.
KR1020230011805A 2023-01-30 2023-01-30 하천 부유 쓰레기 처리 시스템 KR2024011957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1805A KR20240119575A (ko) 2023-01-30 2023-01-30 하천 부유 쓰레기 처리 시스템
PCT/KR2023/013868 WO2024162552A1 (ko) 2023-01-30 2023-09-15 하천 부유 쓰레기 처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1805A KR20240119575A (ko) 2023-01-30 2023-01-30 하천 부유 쓰레기 처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19575A true KR20240119575A (ko) 2024-08-06

Family

ID=92147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1805A KR20240119575A (ko) 2023-01-30 2023-01-30 하천 부유 쓰레기 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119575A (ko)
WO (1) WO2024162552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7256A (ko) 2002-10-16 2003-01-23 변화원 하천쓰레기 자동 수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4354B1 (ko) * 2003-12-30 2004-08-16 주식회사 효성 하천·수로 또는 호소 정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화방법
KR101068742B1 (ko) * 2010-12-02 2011-09-28 최동주 하천의 부유물 수거장치
KR101841694B1 (ko) * 2016-05-03 2018-03-23 주식회사 대양금속 승하강 휀스
KR102257051B1 (ko) * 2020-12-17 2021-05-27 김용채 부유식 연락교
KR20220115377A (ko) * 2021-02-10 2022-08-17 주식회사 비케이에너지 수상 부유쓰레기 수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7256A (ko) 2002-10-16 2003-01-23 변화원 하천쓰레기 자동 수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162552A1 (ko) 2024-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55766B1 (en) System for filtering stormwater-carried debris flowing through a gutter inlet into a catch basin
KR101809686B1 (ko) 승강식 수차단 벽체형 호안 구조물
CN202170501U (zh) 一种多功能闸门系统
KR20080112531A (ko) 빗물 저장 탱크
KR101089756B1 (ko) 초기우수 비점오염처리 시스템
KR101730150B1 (ko) 이물질 이탈방지형 맨홀
KR101051452B1 (ko) 친환경적인 하천 쓰레기 수거 장치
KR20240119575A (ko) 하천 부유 쓰레기 처리 시스템
KR20030007256A (ko) 하천쓰레기 자동 수거장치
KR20100012273A (ko) 폐타이어 칩을 이용한 폐기물 매립장의 침출수 배수구조
KR20160060012A (ko) 하천수에 함유된 미립자성 오염물질들, 각종 쓰레기들 및 유체성 오염물질분자들을 완벽하게 제거함과 동시에 깨끗한 물로 정수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수질 정화기 겸용 친환경 발전 시스템
KR20180025799A (ko) 부유구조물을 이용한 이동식 오탁방지막
CN211571912U (zh) 一种城市雨水收集水位控制系统
Gu Beneficial reuses of scrap tires in hydraulic engineering
KR101095763B1 (ko) 부유물쓰레기 차단장치
KR20240055194A (ko) 하천 부유쓰레기 수거용 장치 및 그 운용방법
CN213233741U (zh) 一种防洪安全下水井盖
KR102539506B1 (ko) 하천 부유물 수거 시스템
JP3759118B2 (ja) 沿岸、河川、平地に設置出来る自然可動浮き沈み式、防波、防水,防砂、逆流防止扉付き、堤防装置。
JP7283353B2 (ja)
CN109853712B (zh) 一种道路排水结构
KR200327405Y1 (ko) 항만의 부유 쓰레기 수거겸용 어소블럭
KR101187263B1 (ko) 오수통 준설기의 효율적인 진공력 활용을 위한 슬러지 적재량 표시장치
CN217733945U (zh) 河道拦挡清污装置
CN211228816U (zh) 一种城市新区初期雨水控制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