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06575A - 선박의 환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선박의 환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06575A
KR20240106575A KR1020220189508A KR20220189508A KR20240106575A KR 20240106575 A KR20240106575 A KR 20240106575A KR 1020220189508 A KR1020220189508 A KR 1020220189508A KR 20220189508 A KR20220189508 A KR 20220189508A KR 20240106575 A KR20240106575 A KR 202401065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well
deck
ship
leg
engine 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9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예은
Original Assignee
한화오션 주식회사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오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오션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40106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065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02Ventilation; Air-conditioning
    • B63J2/06Ventilation; Air-conditioning of engine roo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48De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003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ransporting very large loads, e.g. offshore structure modules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흡입용 덕트를 효율적으로 배치하여 선내 공간을 여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선박의 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환기 시스템은, 메인데크; 선체를 해저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잭업레그가 메인데크에서 해저면까지 상하이동하도록 상기 메인데크로부터 선저면까지 관통하여 뚫린 공간인 레그 웰; 상기 레그 웰을 형성하기 위하여 종향방으로 구비되는 수밀격벽인 종방향 수밀격벽; 및 상기 종방향 수밀격벽에 형성되는 개구부로서 상기 레그 웰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선체 내 공기 수요처에 공급하는 흡입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의 환기 시스템 {Ventilation System for Vessels}
본 발명은 공기 흡입용 덕트를 효율적으로 배치하여 선내 공간을 여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선박의 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LNG를 연료로 사용하는 LNG 연료 선박은 국제 규약에 의해서 엔진룸이 안전구역(safety area)으로 구분된다. 안전구역에 가스가 누출되면 안되기 때문에 이송되는 LNG의 누출 위험을 막기 위해서 이중관(double wall pipe)을 사용하게 된다.
이중관의 내관(inner pipe)으로는 가스가 유동하는데, 외관과 내관 사이 공간에 흐르는 공기는 시간당 30회 교환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즉, 외관(outer pipe)과 내관 사이의 공간(annular space)에는 공간에는 공기를 유동시킴으로써 내관에서 가스가 누출되더라도 외관에 의해 공기에 희석된 상태로 안전구역 밖으로 배출시키는 것이다.
연료가스가 유동하는 배관은 LNG 저장탱크로부터 연료 공급 장치가 구비되는 연료 준비실을 거쳐 엔진룸으로 연결된다. 연료 준비실에는 엔진룸에 구비되는 엔진의 출력에 따라 엔진에서 요구하는 조건에 맞게 가스연료의 압력, 온도 및 유량을 조절하여 공급해주기 위한 장비들이 배치된다. 연료 준비실은 위험구역(hazardous area)으로 규정되어 있으며, 안전구역인 엔진룸과 연료가스 배관을 통해 연통되면서도, 연료 준비실로부터 엔진룸으로의 공기 흐름을 격리시키기 위해 연료 준비실에는 음압이 형성되어 있다.
연료 준비실과 엔진룸으로 연결되는 연료가스 배관은 이중관으로 구성되는데, 환기 규정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엔진룸에 환기용 깨끗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덕트를 구비한다. 음압이 형성된 연료 준비실 측으로 엔진룸으로부터 깨끗한 공기가 이중관의 외관과 내관 사이로 흘러들어가 연료 준비실을 거쳐 공기 배출 덕트를 통해 배출된다.
또한, 엔진룸으로 공급하는 외기는 이중관의 외관과 내관 사이 공간에 공급하기 위한 용도 뿐만 아니라, 연료를 연소시기키 위한 연소용 공기로서도 활용되고, 또한 엔진룸 내 내부 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한 용도로도 사용된다. 즉, 엔진룸에 공급하는 외기는, 개방된 공간에서 흡입되어야 하므로 종래의 공기 흡입용 덕트는 메인데크 상에 구비되었다.
한편, 메인데크 상에는 여러 입구와 출구, 선내 폐가스를 대기 중으로 방출하기 위해 구비되는 벤트 마스트, 그리고 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방출하기 위한 연돌 등이 구비된다. 선박의 안전 규정 상, 공기 흡입용 덕트는 메인데크상의 입출구, 벤트 마스트 및 연돌과 규정된 거리 이상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야 한다.
전세계적으로 친환경 발전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면서 해상풍력발전기에 대한 수요가 확대됨에 따라 WTIV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해저 지하에 있는 석유, 가스 등의 시추를 목적으로 하는 시추선이나, 풍력발전 설비의 운반 및 설치를 목적으로 하는 WTIV(Wind Turbine Installation Vessel)의 잭업 선박은 작업에 필요한 장비들을 적재한 상태에서 해상의 작업 위치까지 운항한 후, 작업 위치에 도착해서는 해저면에 선체를 고정시키고 해수면으로부터 띄운 상태로 작업을 실시한다.
도 1은, 해상 작업 선박 중 하나인 WTIV의 메인데크 일부 평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WTIV와 같은 해상 작업 선박에는, 메인데크로부터 선저면까지 뚫려있는 레그 웰(leg well)(W)이 구비된다. 해저면에 선체를 고정시키기 위한 철제기둥인 잭업레그(L)는 레그 웰(W)을 통해 메인데크 위에서부터 해저면까지 수직이동할 수 있다.
또한, WTIV의 메인데크에는,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및 풍력발전기용 기둥을 적재하기 위한 구조물(미도시)과, 작업위치에서 기둥 및 블레이드를 설치하기 위한 크레인(C)과, 벙커링 선박이나 육상의 벙커링 스테이션으로부터 연료를 연료탱크에 채워주기 위한 벙커링 장치(B) 등이 설치된다.
즉, WTIV의 메인데크 상부 공간은, 풍력발전기용 부품들의 적재 공간과, 레그 웰 및 크레인(C)의 작업 반경을 위한 안전 공간을 확보해야 하므로, 다른 목적으로 활용할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
특히, 엔진이 구비되는 엔진룸(E)은, 주로 선박의 중앙을 기준으로 선수 측에 치우친 위치의 메인데크 하부 선체에 배치된다.
선수부 메인데크에는 엔진으로부터의 배기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한 연돌(funnel)이 배치되고 사무실 공간 등이 배치될 뿐 아니라, 엔진룸 상부의 메인데크는 크레인의 적재공간이자 작업반경에 속하기 때문에 엔진룸(E) 상부 메인데크에는 공기 흡입용 덕트를 배치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와 같이, 메인데크 상부 공간에 엔진룸용 공기 흡입용 덕트를 배치하기 위한 위치를 선정하기는 쉽지 않은 실정이다. 또한, 한정된 공간을 이용하여 어렵게 배치하더라도 엔진룸용 공기 흡입용 덕트 뿐 아니라 선내 다른 공간에 적용할 공기 흡입용 덕트를 한 곳에 집중하여 배치할 수밖에 없으므로 구조가 복잡하며 유지보수도 어렵고, 선체의 구조가 취약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WTIV와 같이 메인데크 공간을 활용하기 어려운 해상 작업용 선박에 있어서, 엔진룸에 외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 흡입용 덕트를 포함하는 해상 작업용 선박의 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메인데크; 선체를 해저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잭업레그가 메인데크에서 해저면까지 상하이동하도록 상기 메인데크로부터 선저면까지 관통하여 뚫린 공간인 레그 웰; 상기 레그 웰을 형성하기 위하여 종향방으로 구비되는 수밀격벽인 종방향 수밀격벽; 및 상기 종방향 수밀격벽에 형성되는 개구부로서 상기 레그 웰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선체 내 공기 수요처에 공급하는 흡입부;를 포함하는, 선박의 환기 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데크 하부에 상기 메인데크와 간격을 두고 횡방향으로 구비되는 코퍼댐 데크; 및 상기 코퍼댐 데크에 구비되고, 상기 흡입부로부터 선체 내 공기 수요처로 연장되며, 상기 흡입부로 흡입된 공기가 공기 수요처로 이송되는 경로인 유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체 내 공기 수요처로서, 상기 코퍼댐 데크 하부에 횡방향 및 종방향 격벽에 의해 구획된 갑판 구조로서 엔진이 구비되는 엔진룸;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레그 웰은, 선수부 우현에 구비되는 제1 레그 웰; 선미부 우현에 구비되는 제2 레그 웰; 선미부 좌현에 구비되는 제3 레그 웰; 및 선수부 좌현에 구비되는 제4 레그 웰;을 포함하고, 상기 엔진룸은, 상기 제4 레그 웰과 인접한 메인데크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흡입부는, 상기 제3 레그 웰을 형성하는 종방향 수밀격벽에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동부는, 상기 흡입부를 통해 흡입된 외기를, 상기 엔진룸의 상부 공간에 공급해주기 위한 상층 유동부; 및 상기 엔진룸의 하부 공간에 공급해주기 위한 하층 유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흡입부는, 개구부 주변의 강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수밀 기능을 가지는 경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종방향 수밀격벽에 형성되는 개구부로서 상기 선체 내 공기 수요처로부터 공기를 레그 웰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흡입부는 선미부 레그 웰에 배치되고 상기 배출부는 선수부 레그 웰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체 내 공기 수요처는 엔진룸이고, 상기 배출부가 구비되는 선수부 레그 웰과 인접한 메인데크에 마련되며, 상기 엔진룸에 배치되는 엔진으로부터 배기가스를 대기로 배출시키는 연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환기 시스템은, 엔진룸에 공급할 환기용 공기를 레그 웰을 통해 흡입함으로써, 레그 웰을 통해 엔진룸에서 요구하는 조건과 규정을 만족하는 외기를 엔진룸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공기 흡입용 덕트를 상대적으로 공간의 여유가 많은 선미부의 코퍼댐 데크 하부에 배치함으로써 선내 한정된 공간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선미부의 수밀격벽(water tight bulkhead)에 공기 흡입용 덕트의 입구를 시공하되, 공기 흡입용 덕트의 입구에 수밀 구조의 경계부를 함께 시공함으로써, 덕트를 선체에 구비하더라도 수밀격벽의 본 기능을 유지하고 덕트의 강도 및 선체의 안전성을 만족할 수 있다.
또한, 공기 흡입용 덕트를 선체의 구조물로 형성함으로써, 의장품의 배치를 최소화하고, 선체의 강도를 만족할 수 있으며, 필요 용량에 따라 공기 흡입용 덕트의 크기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공기 흡입용 덕트를 선체의 구조물로써 선조립되므로 후행 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WTIV의 메인데크의 선수 측 일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메인데크의 선수 측 일부를 간략하게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코퍼댐 데크의 선수 측 일부를 간략하게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선미에서 바라본 단면을 간략하게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우현에서 바라본 단면을 간략하게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동작상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도면 및 첨부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후술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있어서 해상 작업용 선박이라 함은, 가장 상부의 데크 즉, 제1 데크인 탑데크에 각종 장비를 적재하는 공간이 마련되고, 선박이 작업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추진엔진 또는 선내 필요한 전력을 생성할 수 있는 발전엔진이 구비되며, 작업 위치에 도착한 후에는 선체가 레그에 의해 해수면 위로 부양할 수 있는 잭업 플랫폼이 구비된 선박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WTIV와 같이 자항 능력을 가진 선박은 물론이고, 잭업 바지선 등 자항 능력은 없으나 작업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잭업 해상 구조물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선박은 해상풍력발전 설치선(WTIV)인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환기 시스템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는, 여러 층으로 구비되는 데크 중에서 가장 상층에 위치하는 제1 데크로서, 개방된 공간인 탑데크(도면부호 미부여)와, 탑데크 아래에 배치되는 메인데크(MD)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메인데크(MD) 하부의 갑판 구조는 횡방향 수밀격벽(bulkhead)(TB) 및 종방향 수밀격벽(LB)에 의해 여러 구역으로 구획된다.
갑판 구조 상의 여러 구역은, 엔진이 구비되는 엔진룸(E)과, 엔진에 공급할 연료로서 액화가스를 저장하는 연료탱크가 구비되는 화물창(도면부호 미부여)과, 연료탱크에 저장된 액화가스를 엔진에서 요구하는 조건에 맞게 조절하여 공급하기 위한 연료 공급 장치가 구비되는 연료 준비실을 포함한다.
화물창, 연료 준비실 및 엔진룸(E)은 갑판 구조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으다. 화물창, 연료 준비실 및 엔진룸(E)은 종방향 격벽에 의해 서로 격리되면서도, 배관을 통해 유체가 유동하도록 연통된다.
예를 들어, 엔진룸(E)은 선수측에 구비되고, 엔진룸(E)으로부터 인접한 선미측에는 연료 준비실이 배치되며, 연료 준비실로부터 인접한 선미측에는 화물창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엔진룸(E)과 화물창 사이에 연료 준비실이 배치된다.
또는, 엔진룸(E)은 선수측에 구비되고, 엔진룸(E)으로부터 인접한 선미측에는 화물창이 배치되며, 화물창으로부터 인접한 선미측에 연료 준비실이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엔진룸(E)과 화물창 사이에 연료 준비실이 배치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며, 엔진룸(E)은 선수측 좌현 레그 웰(W4)과 인접한 위치에, 화물창은 선미측 좌현 레그 웰(W3)과 인접한 위치에 직렬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화물창과 메인데크(MD)가 접하지 않도록, 화물창과 메인데크(MD) 사이에 빈 공간을 형성하면서 구비되는 횡방향 수밀격벽인 코퍼댐 데크(CD)를 더 포함한다.
또한, 탑데크에는 해저면에 선체를 고정시키기 위한 철제기둥인 잭업레그(L)와, 잭업레그(L)가 탑데크에서부터 해저면까지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메인데크(MD)로부터 선저면까지 관통하여 뚫려있는 공간인 레그 웰(leg well)(W1, W2, W3, W4)이 구비된다.
본 실시예의 선박에는 4개의 레그 웰(W1, W2, W3, W4)과, 4개의 레그 웰(W1, W2, W3, W4)에 각각 설치되는 4개의 잭업레그(L)를 포함한다.
레그 웰(W1, W2, W3, W4)은, 선수측 우현에 구비되는 레그 웰(W1)과, 선미측 우현에 구비되는 레그 웰(W2)과, 선미측 좌현에 구비되는 레그 웰(W3)과, 선수측 좌현에 구비되는 레그 웰(W4)을 포함할 수 있다.
레그 웰(W1, W2, W3, W4)을 형성하면서 메인데크(MD)와 코퍼댐 데크(CD) 등 여러 층의 데크들이 구비되지 않는 부분은, 종방향 수밀격벽(LB) 및 횡방향 수밀격벽(TB)이 구비됨으로써 선체의 강도를 만족시키고 선체 내부 공간을 밀폐시킨다.
또한, 탑데크에는, 풍력발전기용 부품을 적재하기 위한 랙(rack)(미도시)과, 풍력발전기용 부품을 해상에 설치하기 위해 사용되는 크레인(C)이 배치된다.
또한, 메인데크(MD)에는, 화물창, 엔진룸(E) 및 연료 준비실로부터 배출되는 폐가스를 대기 중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벤트 마스트(미도시)가 배치되며, 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대기 중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연돌(funnel)(F)과, 선실(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선실은 선수 측 메인데크(MD) 아래에 배치되고, 선실 위치 상부의 탑 데크에는 휠 하우스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벤트 마스트는 메인데크(MD) 상에 선실 및 갑판 구조와 연결되는 모든 입출구들과 수평거리로 일정거리 이상 떨어져 배치되어야 하고, 벤트 마스트의 벤트 가스 출구는 메인데크(MD)로부터 수직거리로 일정높이 이상 떨어져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벤트 마스트는 선실 및 갑판 구조와 연결되는 모든 입출구들로부터 10m 이상 떨어져 있어야 하며, 벤트 가스 출구는 메인데크(MD)로부터 25m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벤트 마스트는 우현측 선체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연돌(F)은 선수측 좌현에 구비되는 레그 웰(W4)과 인접하여 선수측 좌현 레그 웰(W4)의 선미방향에 배치되어 연돌(F)을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는 선수측 좌현 레그 웰(W4) 공간을 통해 대기 중으로 배출될 수 있다.
연돌(F)과 엔진룸(E)은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므로, 엔진룸(E)은 선실보다는 선미측이면서 연돌(F)보다는 우현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는, 엔진룸(E)에 환기용 외기를 공급하는 것과 더불어 엔진룸(E)으로부터 엔진룸(E) 내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환기 시스템으로서, 공기 흡입용 덕트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공기 흡입용 덕트는, 엔진룸(E)에 공급할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100)와, 흡입부(100)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엔진룸(E)으로 공급되도록 공기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유동부(110)와, 엔진룸(E)으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부(2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흡입부(100) 및 배출부(200)는, 레그 웰(W1, W2, W3, W4)을 형성하는 수밀격벽(LB, TB)에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흡입용 덕트는 레그 웰(W1, W2, W3, W4)을 통해 외기를 흡입하고, 엔진룸(E)으로부터의 공기를 레그 웰(W1, W2, W3, W4)을 통해 배출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흡입부(100) 및 배출부(200)는, 종방향 수밀격벽에 형성되는 일종의 개구부(opening)이므로, 흡입부(100)가 형성되는 주변부에는 수밀 구조의 경계부를 함께 시공하여 선체의 강성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흡입부(100)는, 선미측 좌현에 위치한 레그 웰(W3)을 형성하는 수밀격벽(LB, TB)에 구비된다. 선수측에는 연돌(F)과 선실, 휠 하우스 등이 배치되므로 선수 측보다는 선미 측의 메인데크(MD) 공간이 상대적으로 여유롭다는 이점을 고려한 것이다.
한편, 배출부(200)는, 선수측 좌현에 위치한 레그 웰(W4)을 형성하는 수밀격벽(LB, TB)에 구비될 수 있다. 선수측 좌현의 메인데크(MD) 하부에는 엔진룸(E)이 배치되며, 선수측 좌현에 위치한 레그 웰(W4) 근처의 메인데크(MD)에는 연돌(F)의 출구가 배치되므로, 배기 구조 상의 이점을 고려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유동부(110)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부(100)로부터 메인데크(MD) 아래로 연장되어 코퍼댐 데크(CD)에 구비된다.
유동부(110)는 화물창 상단의 코퍼댐 데크(CD) 및 연료 준비실 상단의 코퍼댐 데크(CD)를 지나 엔진룸(E) 내부로 연장된다.
도 3 및 도 5에는 흡입부(100)를 통해 흡입된 외기가 유동부(110)를 통해 엔진룸(E)까지 유동하는 흐름 방향을 화살표를 이용하여 도시하였다.
한편, 엔진룸(E)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퍼댐 데크(CD) 아래에 2층 이상의 데크에 걸쳐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유동부(1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부(100)를 통해 흡입된 외기를 엔진룸(E)의 상부 공간에 공급해주기 위한 상층 유동부(110a)와 엔진룸(E)의 하부 공간에 공급해주기 위한 하층 유동부(110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는 상층 유동부(110a)와 하층 유동부(110b)가 형성되어 있는 엔진룸(E)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흡입부(100)와 배출부(200)가 레그 웰(W3, W4)을 형성하는 수밀격벽(LB, TB)에 구비되고, 유동부(110)가 코퍼댐 데크(CD), 즉 선체 내 갑판 구조에 배치됨으로써 선박의 안정성(stability)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흡입부(100), 배출부(200) 및 유동부(110)는 완전히 밀폐된 수밀구조로 마련되며, 일체형으로서 하나의 프레임으로 구조화된 상태로서 제공된다.
흡입부(100), 배출부(200) 및 유동부(110)의 단면은 사각형이며, 따라서 종래와 같이 이들이 오픈데크 상에 마련된다면, 바람이나 파도 등 외력에 의한 저항을 크게 받게 된다. 따라서 흡입용 덕트 자체가 손상될 우려가 크고, 또한 흡입용 덕트가 받는 외력에 의해 선박 자체가 흔들려 안정성을 유지하기에도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흡입부(100), 배출부(200) 및 유동부(110)를 포함하는 공기 흡입용 덕트가 이미 강성을 유지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선체 내부에 마련됨으로써, 공기 흡입용 덕트 자체의 강성을 유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외력을 적게 받을 수 있고, 또한 선체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 흡입부
200 : 배출부
110 : 유동부
MD : 메인데크
CD : 코퍼댐 데크
LB : 종방향 수밀격벽
TB : 횡방향 수밀격벽
E : 엔진룸
F : 연돌
L : 레그
W1, W2, W3, W4 : 레그 웰

Claims (8)

  1. 메인데크;
    선체를 해저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잭업레그가 메인데크에서 해저면까지 상하이동하도록 상기 메인데크로부터 선저면까지 관통하여 뚫린 공간인 레그 웰;
    상기 레그 웰을 형성하기 위하여 종향방으로 구비되는 수밀격벽인 종방향 수밀격벽; 및
    상기 종방향 수밀격벽에 형성되는 개구부로서 상기 레그 웰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선체 내 공기 수요처에 공급하는 흡입부;를 포함하는, 선박의 환기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데크 하부에 상기 메인데크와 간격을 두고 횡방향으로 구비되는 코퍼댐 데크; 및
    상기 코퍼댐 데크에 구비되고, 상기 흡입부로부터 선체 내 공기 수요처로 연장되며, 상기 흡입부로 흡입된 공기가 공기 수요처로 이송되는 경로인 유동부;를 포함하는, 선박의 환기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선체 내 공기 수요처로서, 상기 코퍼댐 데크 하부에 횡방향 및 종방향 격벽에 의해 구획된 갑판 구조로서 엔진이 구비되는 엔진룸;을 포함하는, 선박의 환기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레그 웰은,
    선수부 우현에 구비되는 제1 레그 웰;
    선미부 우현에 구비되는 제2 레그 웰;
    선미부 좌현에 구비되는 제3 레그 웰; 및
    선수부 좌현에 구비되는 제4 레그 웰;을 포함하고,
    상기 엔진룸은, 상기 제4 레그 웰과 인접한 메인데크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흡입부는, 상기 제3 레그 웰을 형성하는 종방향 수밀격벽에 구비되는, 선박의 환기 시스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유동부는,
    상기 흡입부를 통해 흡입된 외기를,
    상기 엔진룸의 상부 공간에 공급해주기 위한 상층 유동부; 및
    상기 엔진룸의 하부 공간에 공급해주기 위한 하층 유동부;를 포함하는, 선박의 환기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는, 개구부 주변의 강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수밀 기능을 가지는 경계부;를 포함하는, 선박의 환기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수밀격벽에 형성되는 개구부로서 상기 선체 내 공기 수요처로부터 공기를 레그 웰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흡입부는 선미부 레그 웰에 배치되고 상기 배출부는 선수부 레그 웰에 배치되는, 선박의 환기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선체 내 공기 수요처는 엔진룸이고,
    상기 배출부가 구비되는 선수부 레그 웰과 인접한 메인데크에 마련되며, 상기 엔진룸에 배치되는 엔진으로부터 배기가스를 대기로 배출시키는 연돌;을 더 포함하는, 선박의 환기 시스템.
KR1020220189508A 2022-12-29 선박의 환기 시스템 KR20240106575A (k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06575A true KR20240106575A (ko) 2024-07-08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01861B2 (en) Semi-submersible floating production facility
KR102163594B1 (ko) 선박
US7140317B2 (en) Central pontoon semisubmersible floating platform
CN108820148B (zh) 半潜平台及其下浮体
US20100139547A1 (en) Piping structure for oil tanker
US20200298938A1 (en) Buoy For The Processing Of Production Fluids
KR102235158B1 (ko) 석유 시추용 해상 구조물
Sharma et al. Issues in offshore platform research-Part 1: Semi-submersibles
JP2010269690A (ja) コンテナ船における排ガス設備及びコンテナ船
KR20240106575A (ko) 선박의 환기 시스템
US9297206B2 (en) Method for drilling with a buoyant structure for petroleum drill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US9227702B2 (en) Ballast system for floating offshore platforms
US3310892A (en) Submarine dredge
CN107640293B (zh) 一种海上油气开发钻采物资存储供应装置
KR20240107903A (ko) 화물적재용 개방 갑판을 갖는 선박
US6609473B1 (en) High speed modular sea base
WO2023112598A1 (ja) 液化ガス運搬船
RU2509677C1 (ru) Морское судно для укладки стальных труб, гибких элементов и подводных конструкций в ледовых условиях
KR20230113175A (ko) 선박
KR20170001264U (ko) 헬리데크 구조물
Park et al. Development of a Deep Sea FPSO Suitable for the Gulf of Mexico Area
Odland The Norne Production Ship-Design Considerations
CN115636048A (zh) 一种双燃料耙吸挖泥船
Ando et al. The Third-Generation Deep-Sea RO/RO
Strong et al. The Q4000: A Dynamically Positioned, Semi Submersible, Multi Service Vessel for Working in 10,000 Feet of Wa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