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06293A - 발광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발광 표시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06293A
KR20240106293A KR1020220189032A KR20220189032A KR20240106293A KR 20240106293 A KR20240106293 A KR 20240106293A KR 1020220189032 A KR1020220189032 A KR 1020220189032A KR 20220189032 A KR20220189032 A KR 20220189032A KR 20240106293 A KR20240106293 A KR 202401062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light
display area
signal line
tran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9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부흥
심다혜
신기섭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DE102023129058.4A priority Critical patent/DE102023129058A1/de
Publication of KR20240106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0629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9/879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ractive means, e.g. lens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66Details of drivers for scan 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10K59/1213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the pixel elements being TF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26Layout of electrodes and conne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39Pixel structur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8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by changing the viewing angle properties, e.g. widening the viewing angle, adapting the viewing angle to the view direction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는, 제1 표시 영역 및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영역과 표시 영역에 인접한 비표시 영역이 정의된 표시 패널, 표시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부화소, 및 비표시 영역에 실장된 게이트 구동부를 포함하고, 복수의 부화소 각각은, 구동 전류에 의해 발광하는 제1 발광 소자, 및 제1 발광 소자로부터의 빛을 굴절시키는 제1 렌즈를 포함한다. 따라서, 렌즈를 이용해 복수의 표시 영역 각각에서 시야각을 제한하여 다양한 모드로 발광 표시 장치를 구동할 수 있다.

Description

발광 표시 장치{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야각을 제어할 수 있는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발광 소자인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는 애노드 전극 및 캐소드 전극과, 이들 사이에 형성된 유기 화합물층을 포함한다. 유기 화합물층은 정공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HTL), 발광층(Emission layer, EML), 및 전자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 ETL)으로 이루어진다.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에 구동전압이 인가되면 정공수송층(HTL)을 통과한 정공과 전자수송층(ETL)을 통과한 전자가 발광층(EML)으로 이동되어 여기자를 형성하고, 그 결과 발광층(EML)이 가시광을 발생하게 된다. 액티브 매트릭스 타입의 발광 표시 장치는 스스로 발광하는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를 포함하며, 응답속도가 빠르고 발광효율, 휘도 및 시야각이 큰 장점으로 인해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발광 표시 장치는 유기 발광 소자를 각각 포함한 화소들을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하고 비디오 데이터의 계조에 따라 화소들의 휘도를 조절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발광 표시 장치는 시야각의 제한이 없으나, 최근 사생활의 보호 및 정보의 보호 등을 이유로 시야각의 제한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차량용 주행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발광 표시 장치를 이용할 경우, 발광 표시 장치에 의해 표시되는 영상이 자동차의 유리창에 반사되어 운전자를 시야를 방해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차량에서의 영상의 반사는 야간 주행 시 특히 심하여 안전 운행을 방해하게 된다. 따라서, 차량에 적용되는 발광 표시 장치는 시야각의 제한이 필요하다.
그런데, 이러한 시야각의 제한은 운전 여부 및 운전석과 조수석의 탑승자의 시청 여부에 따라 달라지므로, 선택적인 시야각의 전환이 필요하다.
또한, 몇몇의 국가에서는 조수석에서 재생되는 미디어가 운전석에 노출되는 것을 금지시키므로, 선택적인 시야각의 전환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표시 패널의 복수의 표시 영역 각각에서 선택적으로 시야각을 제한할 수 있는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복수의 표시 영역 각각에서 협시야 모드 및 광시야 모드를 독립적으로 구동할 수 있는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베젤을 감소시킨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게이트 구동부에서 출력된 신호가 신호 라인으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발생한 딜레이를 저감한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는, 제1 표시 영역 및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영역과 표시 영역에 인접한 비표시 영역이 정의된 표시 패널, 표시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부화소, 및 비표시 영역에 실장된 게이트 구동부를 포함하고, 복수의 부화소 각각은, 구동 전류에 의해 발광하는 제1 발광 소자, 및 제1 발광 소자로부터의 빛을 굴절시키는 제1 렌즈를 포함한다. 따라서, 렌즈를 이용해 제1 및 제2 표시 영역 각각에서 시야각을 제한하여 다양한 모드로 발광 표시 장치를 구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는, 제1 표시 영역 및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영역과 표시 영역에 인접한 비표시 영역이 정의된 표시 패널, 표시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부화소, 및 표시 영역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복수의 부화소에 발광 신호를 인가하는 복수의 발광 신호 라인을 포함하고, 복수의 발광 신호 라인 중 적어도 일부는 제1 표시 영역과 제2 표시 영역의 경계에서 분리된다. 따라서, 제1 표시 영역의 발광 신호 라인과 제2 표시 영역의 발광 신호 라인을 분리하여 각 표시 영역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표시 영역 각각에서 협시야 모드 및 광시야 모드를 독립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표시 영역 각각에서 선택적으로 시야각을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게이트 구동부에서 출력된 신호가 신호 라인으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발생한 딜레이를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게이트 구동부를 베젤 한 면에 모두 배치하여 나머지 베젤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의 제1 렌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의 제2 렌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의 제1 렌즈의 시야각에 대한 광 프로파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의 제2 렌즈의 시야각에 대한 광 프로파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의 광시야 모드 및 협시야 모드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의 부화소의 회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의 광시야 모드 및 협시야 모드 각각에서 발광 신호 및 스캔 신호를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의 개략적인 확대 평면도이다.
도 10은 광시야 모드 및 협시야 모드로 동작되는 표시 패널의 개략적인 확대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의 1번 부화소의 회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의 발광 신호 및 스캔 신호를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의 2번 부화소의 회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의 광시야 모드 및 협시야 모드 각각에서 발광 신호 및 스캔 신호를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의 개략적인 확대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면적,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 "위 (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제 1, 제 2 등이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 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 구성 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 구성 요소일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면적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면적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발광 표시 장치(100)의 다양한 구성 요소 중 표시 패널(PN), 복수의 플렉서블 필름(COF) 및 복수의 인쇄 회로 기판(PCB)만을 도시하였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100)는 표시 패널(PN), 복수의 플렉서블 필름(COF) 및 복수의 인쇄 회로 기판(PCB)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PN)은 사용자에게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구성으로,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발광 소자, 발광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화소 회로, 발광 소자 및 화소 회로로 각종 신호를 전달하는 신호 라인 등이 배치될 수 있다.
표시 패널(PN)은 표시 영역(AA) 및 비표시 영역(NA)을 포함한다.
표시 영역(AA)은 표시 패널(PN)에서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이다. 표시 영역(AA)에는 복수의 화소를 구성하는 복수의 부화소(SP) 및 복수의 부화소(SP)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부화소(SP)는 표시 영역(AA)을 구성하는 최소 단위로, 복수의 스캔 신호 라인(SL) 및 복수의 데이터 라인이 서로 교차되고, 복수의 부화소(SP) 각각은 스캔 신호 라인(SL) 및 데이터 라인에 연결될 수 있다.
표시 영역(AA)은 제1 표시 영역(AA1) 및 제2 표시 영역(AA2)을 포함한다. 제1 표시 영역(AA1) 및 제2 표시 영역(AA2)은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영역으로, 제1 표시 영역(AA1)과 제2 표시 영역(AA2) 각각은 좌우 방향의 광시야 모드(Share mode)와 협시야 모드(Private mode) 중 어느 하나로 구동될 수 있다. 즉, 제1 표시 영역(AA1)과 제2 표시 영역(AA2)은 동일한 모드로 구동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모드로 구동될 수도 있다. 협시야 모드에서는 좌우 방향으로 협시야각을 가져 복수의 시청자 중 일부 시청자만이 영상을 시청할 수 있고, 광시야 모드에서는 좌우 방향으로 광시야각을 가져 보다 많은 시청자가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협시야 모드 및 광시야 모드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4a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도 1에서는 표시 영역(AA)이 2개의 제1 표시 영역(AA1) 및 제2 표시 영역(AA2)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표시 영역(AA)은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3개 이상의 표시 영역(AA)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비표시 영역(NA)은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이다. 비표시 영역(NA)에는 표시 영역(AA)의 발광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신호 라인 및 회로 등이 배치된다. 예를 들어, 비표시 영역(NA)에는 표시 영역(AA)의 복수의 부화소(SP) 및 회로로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링크 배선 등이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표시 패널(PN)에 게이트 구동부(GD)가 배치된다. 예를 들어, 게이트 구동부(GD, 도 9 이하 참조)는 표시 패널(PN)의 비표시 영역(NA) 중 복수의 플렉서블 필름(COF)이 본딩된 비표시 영역(NA)에 실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게이트 구동부(GD)가 실장된 비표시 영역(NA)을 베젤 영역(BA)으로 정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100)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100)에서는 게이트 구동부(GD)가 베젤 영역(BA)에만 배치됨에 따라, 베젤 영역(BA)을 제외한 나머지 비표시 영역(NA)의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게이트 구동부(GD)와 연결된 스캔 배선 및 발광 신호 라인(EML, 도 9 이하 참조)을 표시 영역(AA) 별로 분리하여 제1 표시 영역(AA1) 및 제2 표시 영역(AA2)의 광시야 모드 및 협시야 모드를 독립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게이트 구동부(GD)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표시 패널(PN)의 일단에 하나 이상의 플렉서블 필름(COF)이 배치된다. 복수의 플렉서블 필름(COF)은 표시 패널(PN)의 비표시 영역(NA)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플렉서블 필름(COF)은 연성을 가진 베이스 필름에 각종 부품이 배치되어 표시 영역(AA)의 복수의 부화소(SP) 및 구동 회로로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필름으로, 표시 패널(PN)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플렉서블 필름(COF)은 전원 전압, 데이터 전압(Vdata) 등을 표시 영역(AA)의 복수의 부화소(SP) 및 구동 회로로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플렉서블 필름(COF)에는 데이터 드라이버 IC와 같은 구동 IC가 배치될 수 있다. 구동 IC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와 이를 처리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처리하는 부품이다. 구동 IC는 실장되는 방식에 따라 칩 온 글래스(Chip On Glass; COG), 칩 온 필름(Chip On Film; COF),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ape Carrier Package; TCP) 등의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구동 IC가 복수의 플렉서블 필름(COF) 상에 실장된 칩 온 필름 방식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구동 IC는 타이밍 컨트롤러와 일체화되어 단일 칩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복수의 인쇄 회로 기판(PCB) 각각은 복수의 플렉서블 필름(COF)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복수의 인쇄 회로 기판(PCB)은 구동 IC에 신호를 공급하는 부품이다. 복수의 인쇄 회로 기판(PCB)은 구동 신호, 데이터 신호 등과 같은 다양한 신호를 구동 IC로 공급하기 위한 각종 부품이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100)의 표시패널에 대해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100)는 표시 패널(PN), 차광 패턴(210), 광학 갭층(220), 렌즈층(230), 평탄화막(240), 그리고 편광층(250)을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표시 패널(PN)은 기판(110)과 복수의 제1 발광 소자(De1), 복수의 제2 발광 소자(De2) 및 봉지층(190)을 포함한다.
기판(110) 상에는 제1 내지 제3 부화소(SP1, SP2, SP3)를 포함하는 복수의 부화소(SP)가 정의된다. 그리고, 제1 내지 제3 부화소(SP1, SP2, SP3)의 각각은 제1 발광부(EA1)와 제2 발광부(EA2)를 가진다.
제1 발광부(EA1)에는 제1 발광 소자(De1)가 구비되고, 제2 발광부(EA2)에는 제2 발광 소자(De2)가 구비된다.
제1 내지 제3 부화소(SP1, SP2, SP3)는 각각 적색 부화소, 녹색 부화소, 청색 부화소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부화소(SP1)의 제1 발광 소자(De1) 및 제2 발광 소자(De2)는 적색광을 방출하고, 제2 부화소(SP2)의 제1 발광 소자(De1) 및 제2 발광 소자(De2)는 녹색광을 방출하며, 제3 부화소(SP3)의 제1 발광 소자(De1) 및 제2 발광 소자(De2)는 청색광을 방출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100)의 표시 패널(PN)은 기판(110)과, 복수의 박막트랜지스터(Tr1, Tr2), 복수의 발광 소자(De1, De2) 및 봉지층(19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기판(110) 상에 각 부화소(SP)는 제1 발광부(EA1)와 제2 발광부(EA2)를 포함한다. 기판(110)은 유리 기판이나 플라스틱 기판일 수 있다.
일례로, 플라스틱 기판으로 폴리이미드(polyimide: PI)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기판(110) 상부에는 버퍼층(120)이 형성된다. 버퍼층(120)은 실질적으로 기판(110) 전면(entire surface)에 위치한다. 버퍼층(120)은 산화실리콘(SiO2)이나 질화 실리콘(SiNx)과 같은 무기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단일층 또는 다중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버퍼층(120) 상부의 제1 발광부(EA1) 및 제2 발광부(EA2)에는 패터닝된 제1 반도체층(122) 및 제2 반도체층(124)이 각각 형성된다.
제1 반도체층(122) 및 제2 반도체층(124) 각각은 산화물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 경우 제1 반도체층(122) 및 제2 반도체층(124) 하부에는 쉴드 패턴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쉴드 패턴은 제1 반도체층(122) 및 제2 반도체층(124)으로 입사되는 빛을 차단하여 제1 반도체층(122) 및 제2 반도체층(124)이 빛에 의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달리, 제1 반도체층(122) 및 제2 반도체층(124) 각각은 다결정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제1 반도체층(122) 및 제2 반도체층(124) 각각의 양 가장자리에 불순물이 도핑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반도체층(122) 및 제2 반도체층(124) 상부에는 절연물질로 이루어진 게이트 절연막(130)이 실질적으로 기판(110) 전면에 형성된다. 게이트 절연막(130)은 산화 실리콘(SiO2)이나 질화 실리콘(SiNx)과 같은 무기절연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반도체층(122) 및 제2 반도체층(124)이 산화물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질 경우, 게이트 절연막(130)은 산화 실리콘(SiO2)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 반도체층(122) 및 제2 반도체층(124)이 다결정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경우, 게이트 절연막(130)은 산화 실리콘(SiO2)이나 질화 실리콘(SiNx)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130) 상부에는 금속과 같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제1 게이트 전극(132) 및 제2 게이트 전극(134)이 제1 반도체층(122) 및 제2 반도체층(124)에 각각 대응하여 형성된다. 또한, 게이트 절연막(130) 상부에는 스캔 신호 라인(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스캔 신호 라인(SL)은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게이트 절연막(130)이 기판(110) 전면에 형성되어 있으나, 게이트 절연막(130)은 제1 게이트 전극(132) 및 제2 게이트 전극(134)과 동일한 모양으로 패터닝되어, 제1 게이트 전극(132) 및 제2 게이트 전극(134) 하부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게이트 전극(132) 및 제2 게이트 전극(134) 상부에는 절연물질로 이루어진 층간 절연막(140)이 실질적으로 기판(110) 전면에 형성된다. 층간 절연막(140)은 산화 실리콘(SiO2)이나 질화 실리콘(SiNx)과 같은 무기절연물질로 형성되거나, 포토아크릴(photo acryl)이나 벤조사이클로부텐(benzocyclobutene)과 같은 유기절연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층간 절연막(140)은 제1 반도체층(122) 및 제2 반도체층(124) 각각의 양측 상면을 노출하는 컨택홀을 가진다. 컨택홀은 게이트 절연막(130) 내에도 형성될 수 있다. 층간 절연막(140) 상부의 제1 발광부(EA1) 및 제2 발광부(EA2)에는 금속과 같은 도전성 물질로 제1 소스 전극(142) 및 제1 드레인 전극(144)과 제2 소스 전극(146) 및 제2 드레인 전극(148)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층간 절연막(140) 상부에는 일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데이터 라인(도시하지 않음)과 전원 라인(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소스 전극(142) 및 제1 드레인 전극(144)은 층간 절연막(140)의 컨택홀을 통해 제1 반도체층(122)의 양측과 접촉하고, 제2 소스 전극(146) 및 제2 드레인 전극(148)은 층간 절연막(140)의 컨택홀을 통해 제2 반도체층(124)의 양측과 접촉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데이터 라인은 일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스캔 신호 라인(SL)과 교차하여 각 부화소(SP)에 대응하는 화소 영역을 정의하며, 고전위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 라인은 데이터 라인과 이격되어 위치한다.
한편, 제1 반도체층(122), 제1 게이트 전극(132), 제1 소스 전극(142) 및 제1 드레인 전극(144)은 제1 박막트랜지스터(Tr1)를 이루고, 제2 반도체층(124), 제2 게이트 전극(134), 제2 소스 전극(146) 및 제2 드레인 전극(148)은 제2 박막트랜지스터(Tr2)를 이룬다.
이러한 제1 박막트랜지스터(Tr1) 및 제2 박막트랜지스터(Tr2)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박막트랜지스터가 각 부화소(SP)의 기판(110) 상에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 소스 전극(142) 및 제1 드레인 전극(144)과 제2 소스 전극(146) 및 제2 드레인 전극(148) 상부에는 절연물질로 보호막(150)이 실질적으로 기판(110) 전면에 형성된다. 보호막(150)은 포토 아크릴이나 벤조사이클로부텐과 같은 유기절연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호막(150)은 평탄한 상면을 가진다.
한편, 보호막(150) 하부, 즉, 제1 박막트랜지스터(Tr1) 및 제2 박막트랜지스터(Tr2)와 보호막(150) 사이에는 산화 실리콘(SiO2)이나 질화 실리콘(SiNx)과 같은 무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진 절연막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보호막(150)은 제1 드레인 전극(144) 및 제2 드레인 전극(148)을 각각 노출하는 제1 드레인 컨택홀(150a) 및 제2 드레인 컨택홀(150b)을 가진다.
보호막(150) 상부에는 비교적 일함수가 높은 도전성 물질로 제1 애노드 전극(162) 및 제2 애노드 전극(164)이 형성된다. 제1 애노드 전극(162)은 제1 발광부(EA1)에 위치하고, 제1 드레인 컨택홀(150a)을 통해 제1 드레인 전극(144)과 접촉한다. 그리고, 제2 애노드 전극(164)은 제2 발광부(EA2)에 위치하고, 제2 드레인 컨택홀(150b)을 통해 제2 드레인 전극(148)과 접촉한다.
일례로, 제1 애노드 전극(162) 및 제2 애노드 전극(164) 각각은 인듐-틴-옥사이드(indium tin oxide: ITO)나 인듐-징크-옥사이드(indium zinc oxide: IZO)와 같은 투명 도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100)의 표시 패널(PN)은 복수의 발광 소자의 빛이 기판(110)의 상부 방향으로 출력되는 상부 발광 방식(top emission type)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애노드 전극(162) 및 제2 애노드 전극(164) 각각은 투명 도전성 물질 하부에 반사율이 높은 금속 물질로 형성되는 반사전극 또는 반사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전극 또는 반사층은 알루미늄-팔라듐-구리(aluminum-palladium-copper:APC) 합금이나 은(Ag) 또는 알루미늄(Al)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 애노드 전극(162) 및 제2 애노드 전극(164) 각각은 ITO/APC/ITO나 ITO/Ag/ITO 또는 ITO/Al/ITO의 3중층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 애노드 전극(162) 및 제2 애노드 전극(164) 상부에는 절연물질로 뱅크(165)가 형성된다. 뱅크(165)는 제1 애노드 전극(162) 및 제2 애노드 전극(164)의 가장자리와 중첩하고, 제1 애노드 전극(162) 및 제2 애노드 전극(164)의 가장자리를 덮는다. 뱅크(165)는 제1 애노드 전극(162) 및 제2 애노드 전극(164)을 노출하는 제1 개구부(165a) 및 제2 개구부(165b)를 가진다.
뱅크(165)는 적어도 상면이 소수성이며, 뱅크(165)의 측면은 소수성 또는 친수성일 수 있다. 이러한 뱅크(165)는 소수성 특성을 갖는 유기절연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뱅크(165)는 친수성 특성을 갖는 유기절연물질로 형성되고 소수성 처리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뱅크(165)가 단일층 구조를 가지나, 뱅크(165)는 이중층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즉, 뱅크(165)는 하부의 친수성 뱅크(165)와 상부의 소수성 뱅크(165)를 포함하는 이중층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다음, 뱅크(165)의 제1 개구부(165a) 및 제2 개구부(165b)를 통해 노출된 제1 애노드 전극(162) 및 제2 애노드 전극(164) 상부에는 발광층(170)이 형성된다. 제1 애노드 전극(162) 상부의 발광층(170)과 제2 애노드 전극(164) 상부의 발광층(170)은 연결되어 일체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1 애노드 전극(162) 상부의 발광층(170)과 제2 애노드 전극(164) 상부의 발광층(170)은 서로 분리될 수도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발광층(170)은 제1 애노드 전극(162) 및 제2 애노드 전극(164) 상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위치하는 제1 전하보조층과, 발광물질층(light-emitting material layer), 그리고 제2 전하보조층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물질층은 적, 녹, 청색 발광물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발광물질은 인광화합물 또는 형광화합물과 같은 유기발광물질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양자 점(quantum dot)과 같은 무기발광물질이 사용될 수도 있다.
제1 전하보조층은 정공보조층(hole auxiliary layer)일 수 있으며, 정공보조층은 정공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HIL)과 정공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HT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전하보조층은 전자보조층(electron auxiliary layer)일 수 있으며, 전자보조층은 전자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 EIL)과 전자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 ETL)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발광층(170)은 증착 공정(evaporation process)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각 부화소(SP) 별로 발광층(170)을 패터닝하기 위해, 미세금속마스크(fine metal mask: FMM)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발광층(170)은 용액 공정(solution process)을 통해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발광층(170)은 제1 개구부(165a) 및 제2 개구부(165b) 내에만 구비될 수 있으며, 뱅크(165) 근처에서 발광층(170)은 뱅크(165)에 가까워질수록 그 높이가 높아질 수 있다.
발광층(170) 상부에는 비교적 일함수가 낮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캐소드 전극(180)이 실질적으로 기판(110) 전면에 형성된다. 여기서, 캐소드 전극(180)은 알루미늄(aluminum)이나 마그네슘(magnesium), 은(silver)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캐소드 전극(180)은 발광층(170)으로부터의 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진다.
이와 달리, 캐소드 전극(180)은 인듐-갈륨-옥사이드(indium-gallium-oxide: IGO)와 같은 투명 도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 발광부(EA1)의 제1 애노드 전극(162)과 발광층(170) 및 캐소드 전극(180)은 제1 발광 소자(De1)를 이루고, 제2 발광부(EA2)의 제2 애노드 전극(164)과 발광층(170) 및 캐소드 전극(180)은 제2 발광 소자(De2)를 이룬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PN)은 제1 발광 소자(De1) 및 제2 발광 소자(De2)의 발광층(170)으로부터의 빛이 기판(110)과 반대 방향, 즉, 캐소드 전극(180)을 통해 외부로 출력되는 상부 발광 방식일 수 있으며, 이러한 상부 발광 방식은 동일 면적의 하부 발광 방식 대비 보다 넓은 발광영역을 가질 수 있으므로, 휘도를 향상시키고 소비 전력을 낮출 수 있다.
캐소드 전극(180) 상부의 실질적으로 기판(110) 전면에는 평탄한 상면을 갖는 봉지층(190)이 형성된다. 봉지층(190)은 외부로부터 수분이나 산소가 제1 발광 소자(De1) 및 제2 발광 소자(De2)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봉지층(190)은 인캡슐레이션층(encapsulation layer)으로도 지칭될 수 있다.
이러한 봉지층(190)은 제1 무기막(192)과 유기막(194) 그리고 제2 무기막(196)의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유기막(194)은 제조 공정 중 발생되는 이물질을 커버하는 막일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PN) 상부, 구체적으로, 봉지층(190) 상부에는 차광 패턴(210)이 구비된다. 차광 패턴(210)은 인접한 제1 내지 제3 부화소(SP1, SP2, SP3) 사이에 대응하여 형성되거나 제1 발광부(EA1) 및 제2 발광부(EA2) 사이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차광 패턴(210)은 블랙매트릭스일 수 있으며, 블랙 수지나 산화 크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달리, 차광 패턴(210)은 터치전극일 수 있으며,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터치전극은 교차하는 다수의 송신전극과 다수의 수신전극을 포함하며, 다수의 송신전극과 다수의 수신전극 사이의 커패시턴스의 변동량으로부터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차광 패턴(210) 상부에는 광학 갭층(220)(optical gap layer)이 구비된다. 광학 갭층(220)은 제1 발광 소자(De1) 및 제2 발광 소자(De2)와 렌즈층(230)의 렌즈들(232, 234) 사이의 광학 갭을 확보하여 제1 발광 소자(De1) 및 제2 발광 소자(De2)로부터의 빛이 렌즈들(232, 234)에 의해 특정 방향으로 굴절되도록 함으로써 렌즈들(232, 234)의 효율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광학 갭층(220)은 수 내지 수 십 ㎛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유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광학 갭층(220)은 포토 아크릴(photo acryl)이나 벤조사이클로부텐(benzocyclobutene: BCB), 폴리이미드(polyimide: PI), 또는 폴리아미드(polyamide: PA)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광학 갭층(220) 상부에는 렌즈층(230)이 구비된다. 렌즈층(230)은 제1 렌즈(232)와 제2 렌즈(234)를 포함한다. 제1 렌즈(232)는 제1 발광부(EA1)에 배치되어, 제1 발광 소자(De1)로부터의 빛을 특정 방향으로 굴절시킨다. 그리고, 제2 렌즈(234)는 제2 발광부(EA2)에 배치되어, 제2 발광 소자(De2) 로부터의 빛을 특정 방향으로 굴절시킨다. 이러한 제1 렌즈(232) 및 제2 렌즈(234)의 각각의 일 부분은 차광 패턴(210)과 중첩할 수 있다.
제1 렌즈(232)는 반원통형 렌즈(Half-Cylindrical Lens)이고, 제2 렌즈(234)는 반구형 렌즈(Half-Spherical Lens) 이다. 이에 따라, 각 부화소(SP)의 제1 발광 소자(De1)로부터 방출된 제1 광(L1)은 제1 렌즈(232)에 의해 특정 각도로 굴절되어 출력된다. 그리고, 각 부화소(SP)의 제2 발광 소자(De2)로부터 방출된 제2 광(L2)은 제2 렌즈(234)에 의해 특정 각도로 굴절되어 출력된다. 이에 따라, 부화소(SP) 각각의 시야각을 제한할 수 있다.
렌즈층(230) 상부에는 평탄화막(240)이 구비되어 제1 렌즈(232) 및 제2 렌즈(234)를 보호한다. 평탄화막(240)은 유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지며, 평탄한 상면을 가진다. 그리고, 평탄화막(240)의 굴절률은 제1 렌즈(232) 및 제2 렌즈(234)의 굴절률보다 작다.
일례로, 평탄화막(240)은 포토 아크릴(photo acryl)이나 벤조사이클로부텐(benzocyclobutene: BCB), 폴리이미드(polyimide: PI), 또는 폴리아미드(polyamide: PA)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평탄화막(240) 상부에는 편광층(250)이 구비된다. 편광층(250)은 선형편광층(250)과 위상차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표시 패널(PN)에 입사되는 외부 광의 편광상태를 변환함으로써, 외부 광이 표시 패널(PN)에서 반사된 후 다시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100)는 각 부화소(SP)가 제1 발광부(EA1) 및 제2 발광부(EA2)를 가지며, 제1 발광부(EA1) 상부에 반원통형의 제1 렌즈(232)를 구비하고 제2 발광부(EA2) 상부에 반구형의 제2 렌즈(234)를 구비하여 시야각을 제한함으로써, 광시야 모드 및 협시야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의 제1 렌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의 제2 렌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제1 렌즈(232)는 반원통형 렌즈(Half-Cylindrical Lens)렌즈로, X 방향으로 직사각형 형상의 단면을 갖고 Y 방향으로 반원 형상의 단면을 가진다. 따라서, 제1 렌즈(232)는 Y 방향의 시야각을 제한하고, 제2 렌즈(234)의 길이 방향, 즉, X 방향의 시야각은 제한되지 않는다.
도 4b를 참조하면, 제2 렌즈(234)는 반구형 렌즈(Half-Spherical Lens)로, X 방향 및 Y 방향으로 반원 형상의 단면을 가진다. 따라서, 제2 렌즈(234)는 X 방향 및 Y 방향의 시야각을 제한한다.
이러한 제1 렌즈(232)와 제2 렌즈(234)에 의한 시야각 특성을 도 5a와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의 제1 렌즈의 시야각에 대한 광 프로파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의 제2 렌즈의 시야각에 대한 광 프로파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와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구형의 제2 렌즈(234)가 구비된 제2 발광부(EA2)는 상하좌우 모두 30도 이하의 협시야각을 가지는 반면, 반원통형의 제1 렌즈(232)가 구비된 제1 발광부(EA1)는 상하 방향으로 30도 이하의 협시야각을 가지며 좌우 방향으로 60도 이상의 광시야각을 가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제1 발광부(EA1)의 구동에 의해 상하 협시야 모드 및 좌우 광시야 모드를 구현하고, 제2 발광부(EA2)의 구동에 의해 상하 협시야 모드 및 좌우 협시야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100)에서는, 제1 렌즈(232) 및 제2 렌즈(234)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는 항상 협시야각을 가지도록 하며, 좌우 방향으로 광시야 모드와 협시야 모드를 선택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좌우 방향의 광시야 모드와 협시야 모드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의 광시야 모드 및 협시야 모드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전환 발광 표시 장치(100)의 한 화소는 복수의 부화소(SP),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3 부화소(SP1, SP2, SP3)를 포함하고, 제1 내지 제3 부화소(SP1, SP2, SP3) 각각은 제1 발광부(EA1) 및 제2 발광부(EA2)를 가진다.
제1 발광부(EA1)에 대응하여 반원통형의 제1 렌즈(232)가 구비되고, 제2 발광부(EA2)에 대응하여 반구형의 제2 렌즈(234)가 구비된다.
광시야 모드로 동작 시, 제1 발광부(EA1)의 제1 발광 소자(De1)는 턴-온 상태가 되고, 제2 발광부(EA2)의 제2 발광 소자(De2)는 턴-오프 상태가 되며, 제1 발광 소자(De1)로부터 방출된 빛은 제1 렌즈(232)에 의해 Y 방향, 즉, 상하 방향으로 시야각이 제한되고, X 방향, 즉, 좌우 방향으로 시야각의 제한없이 출력된다.
반면, 협시야 모드로 동작 시, 제1 발광부(EA1)의 제1 발광 소자(De1)는 턴-오프 상태가 되고, 제2 발광부(EA2)의 제2 발광 소자(De2)는 턴-온 상태가 되며, 제2 발광 소자(De2)로부터 방출된 빛은 제2 렌즈(234)에 의해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시야각이 제한되어 출력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100)는, 상하 방향으로는 항상 협시야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하 방향으로 협시아각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100)를 차량에 적용한다면, 영상이 차량 앞 유리에 반사되어 운전 시야가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광시야 모드에서 좌우 방향으로 광시야각을 갖는 영상을 표시하고, 협시야 모드에서 좌우 방향으로 협시야각을 갖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데, 광시야 모드에서는 운전석과 조수석의 사용자가 모두 영상을 시청할 수 있고, 협시야 모드에서는 운전석과 조수석의 사용자 중 하나가 영상을 시청할 수 있으므로, 좌우 방향으로 광시야 모드와 협시야 모드를 선택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복수의 부화소(SP)의 구성 및 구동 방식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의 부화소의 회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부화소(SP)는 제1 트랜지스터(T1), 제2 트랜지스터(T2), 제3 트랜지스터(T3), 제4 트랜지스터(T4), 제5 트랜지스터(T5), 제6 트랜지스터(T6), 제7 트랜지스터(T7), 구동 트랜지스터(DT), 스토리지 커패시터(Cst), 제1 발광 소자(De1) 및 제2 발광 소자(De2)를 포함한다.
먼저, 복수의 부화소(SP) 각각을 구성하는 스위치 소자들은 n 타입 또는 p 타입 MOSFET 구조의 트랜지스터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p 타입 트랜지스터를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부가적으로, 트랜지스터는 게이트(gate) 전극, 소스(source) 전극 및 드레인(drain) 전극을 포함한 3 전극 소자이다. 소스 전극은 캐리어(carrier)를 트랜지스터에 공급하는 전극이다. 트랜지스터 내에서 캐리어는 소스 전극 으로부터 흐르기 시작한다. 드레인 전극은 트랜지스터에서 캐리어가 외부로 나가는 전극이다. 즉, MOSFET에서의 캐리어의 흐름은 소스 전극으로부터 드레인 전극으로 흐른다. n타입 MOSFET(NMOS)의 경우, 캐리어가 전자(electron)이기 때문에 소스 전극에서 드레인 전극으로 전자가 흐를 수 있도록 소스 전극의 전압이 드레인 전극의 전압보다 낮다. n타입 MOSFET에서 전자가 소스 전극으로부터 드레인 전극 쪽으로 흐르기 때문에 전류의 방향은 드레인 전극으로부터 소스 전극 쪽으로 흐른다. p타입 MOSFET(PMOS)의 경우, 캐리어가 정공(hole)이기 때문에 소스 전극으로부터 드레인 전극으로 정공이 흐를 수 있도록 소스 전극의 전압이 드레인 전극의 전압보다 높다. p타입 MOSFET에서 정공이 소스 전극으로부터 드레인 전극 쪽으로 흐르기 때문에 전류가 소스 전극 으로부터 드레인 전극쪽으로 흐른다. MOSFET의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은 고정된 것이 아니라는 것에 주의하여야 한다. 예컨대, MOSFET의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은 인가 전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에서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으로 인하여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7을 참조하면, 구동 트랜지스터(DT)는 소스-게이트 전압(Vsg)에 따라 복수의 발광 소자에 인가되는 구동 전류를 제어한다. 구동 트랜지스터(DT)는 고전위 구동전압(VDD)이 공급된 고전위 구동전압 라인에 연결된 소스 전극, 제2 노드(N2)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제3 노드(N3)에 연결된 드레인 전극을 포함한다.
제1 트랜지스터(T1)는 데이터 라인으로부터 데이터 전압(Vdata)을 제1 노드(N1)에 인가한다. 제1 트랜지스터(T1)는 데이터 라인에 연결된 소스 전극, 제1 노드(N1)에 연결된 드레인 전극 및 제1 스캔 신호 라인(SL1)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을 포함한다. 제1 트랜지스터(T1)는 턴-온 레벨인 로우 레벨의 제1 스캔 신호(SCAN1)에 응답하여 데이터 라인으로부터 데이터 전압(Vdata)을 제1 노드(N1)로 전달할 수 있다.
제2 트랜지스터(T2)는 구동 트랜지스터(DT)의 게이트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다이오드 커넥팅시킨다. 제2 트랜지스터(T2)는 제2 노드(N2)에 접속되는 드레인 전극, 제3 노드(N3)에 접속되는 소스 전극 및 제2 스캔 신호 라인(SL2)에 접속하는 게이트 전극을 포함한다. 이에, 제2 트랜지스터(T2)는 턴-온 레벨인 로우 레벨의 제2 스캔 신호(SCAN2)에 응답하여, 구동 트랜지스터(DT)의 게이트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다이오드 커넥팅시킨다.
제3 트랜지스터(T3)는 기준 전압(Vref)을 제1 노드(N1)에 인가한다. 제3 트랜지스터(T3)는 기준 전압(Vref)을 전송하는 기준 라인에 접속하는 소스 전극, 제1 노드(N1)에 접속하는 드레인 전극 및 제3 발광 신호 라인(EML3)에 접속하는 게이트 전극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3 트랜지스터(T3)는 턴-온 레벨인 로우 레벨의 제3 발광 신호(EM3)에 응답하여 기준 전압(Vref)을 제1 노드(N1)로 전달할 수 있다.
제4 트랜지스터(T4)는 광시야 모드로 구동 시, 구동 트랜지스터(DT)와 제1 발광 소자(De1) 간의 전류 패스를 형성한다. 제4 트랜지스터(T4)는 제3 노드(N3)에 접속하는 소스 전극, 제1 발광 소자(De1)의 애노드 전극에 접속하는 드레인 전극 및 제1 발광 라인에 접속하는 게이트 전극을 포함한다. 제4 트랜지스터(T4)는 제1 발광 신호(EM1)에 응답하여 제4 트랜지스터(T4)의 소스 전극인 제3 노드(N3)와 제1 발광 소자(De1) 간의 전류 패스를 형성한다. 이에, 제4 트랜지스터(T4)는 턴-온 레벨인 로우 레벨의 제1 발광 신호(EM1)에 응답하여 구동 트랜지스터(DT)와 제1 발광 소자(De1) 간의 전류 패스를 형성한다. 이에, 제4 트랜지스터(T4)는 제1 발광 소자(De1)의 발광을 제어하는 제1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로도 지칭될 수 있다.
제5 트랜지스터(T5)는 기준 전압(Vref)을 제1 발광 소자(De1)의 애노드 전극에 인가한다. 제5 트랜지스터(T5)는 기준 전압(Vref)을 전송하는 기준 라인에 접속하는 소스 전극, 제1 발광 소자(De1)의 애노드 전극에 접속하는 드레인 전극 및 제2 스캔 신호 라인(SL2)에 접속하는 게이트 전극을 포함한다. 이에, 제5 트랜지스터(T5)는 턴-온 레벨인 로우 레벨의 제2 스캔 신호(SCAN2)에 응답하여 기준 전압(Vref)을 제1 발광 소자(De1)의 애노드 전극에 인가한다.
제6 트랜지스터(T6)는 기준 전압(Vref)을 제2 발광 소자(De2)의 애노드 전극에 인가한다. 제6 트랜지스터(T6)는 기준 전압(Vref)을 전송하는 기준 라인에 접속하는 소스 전극, 제2 발광 소자(De2)의 애노드 전극에 접속하는 드레인 전극 및 제2 스캔 신호 라인(SL2)에 접속하는 게이트 전극을 포함한다. 이에, 제6 트랜지스터(T6)는 턴-온 레벨인 로우 레벨의 제2 스캔 신호(SCAN2)에 응답하여 기준 전압(Vref)을 제2 발광 소자(De2)의 애노드 전극에 인가한다.
제7 트랜지스터(T7)는 협시야 모드로 구동 시, 구동 트랜지스터(DT)와 제2 발광 소자(De2) 간의 전류 패스를 형성한다. 제7 트랜지스터(T7)는 제3 노드(N3)에 접속하는 소스 전극, 제2 발광 소자(De2)의 애노드 전극에 접속하는 드레인 전극 및 제2 발광 신호 라인(EML2)에 접속하는 게이트 전극을 포함한다. 제7 트랜지스터(T7)는 제2 발광 신호(EM2)에 응답하여 제7 트랜지스터(T7)의 소스 전극인 제3 노드(N3)와 제2 발광 소자(De2) 간의 전류 패스를 형성한다. 이에, 제7 트랜지스터(T7)는 턴-온 레벨인 로우 레벨의 제2 발광 신호(EM2)에 응답하여 구동 트랜지스터(DT)와 제2 발광 소자(De2) 간의 전류 패스를 형성한다. 이에, 제7 트랜지스터(T7)는 제2 발광 소자(De2)의 발광을 제어하는 제2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로도 지칭될 수 있다.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제1 노드(N1)에 연결되는 제1 전극 및 제2 노드(N2)에 연결되는 제2 전극을 포함한다. 즉,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의 일 전극은 구동 트랜지스터(DT)의 게이트 전극에 연결되고,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의 다른 전극은 제1 트랜지스터(T1)에 연결된다.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일정 전압을 저장하여 발광 소자가 발광하는 동안 구동 트랜지스터(DT)의 게이트 전극의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제1 발광 소자(De1)는 제1 발광부(EA1)에 배치되어, 광시야 모드에서 광을 발광한다. 제1 발광 소자(De1) 상에는 반원통형의 제1 렌즈(232)가 배치되어, 광시야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제1 발광 소자(De1)는 제4 트랜지스터(T4)에 연결된 애노드 전극 및 저전위 구동전압(VSS)이 인가된 저전위 구동전압 라인에 연결된 캐소드 전극(180)을 포함한다. 제1 발광 소자(De1)는 광시야 모드일 때 턴-온된 제4 트랜지스터(T4)를 통해 구동 트랜지스터(DT)의 구동 전류를 공급받는다. 이에, 광시야 모드로 구동 시, 제1 발광 소자(De1)는 구동 전류를 공급받아 발광할 수 있다.
제2 발광 소자(De2)는 제2 발광부(EA2)에 배치되어, 협시야 모드에서 광을 발광한다. 제2 발광 소자(De2) 상에는 반구형의 제2 렌즈(234)가 배치되어, 협시야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제2 발광 소자(De2)는 제7 트랜지스터(T7) 연결된 애노드 전극 및 저전위 구동전압 라인에 연결된 캐소드 전극(180)을 포함한다. 제2 발광 소자(De2)는 협시야 모드일 때 턴-온된 제7 트랜지스터(T7)를 통해 구동 트랜지스터(DT)의 구동 전류를 공급받는다. 이에, 협시야 모드로 구동 시, 제2 발광 소자(De2)는 구동 전류를 공급받아 발광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의 광시야 모드 및 협시야 모드 각각에서 발광 신호 및 스캔 신호를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7 및 도 8을 함께 참조하면, 광시야 모드(Share mode)에서는 제1 발광 소자(De1)만 발광하고, 협시야 모드(Private mode)에서는 제2 발광 소자(De2)만 발광할 수 있다. 광시야 모드에서는 제1 발광 소자(De1)만 발광하도록, 제2 발광 소자(De2)의 발광을 제어하는 제2 발광 신호(EM2)가 턴-오프 레벨인 하이 레벨로만 출력되고, 협시야 모드에서는 제2 발광 소자(De2)만 발광하도록, 제1 발광 소자(De1)의 발광을 제어하는 제1 발광 신호(EM1)가 턴-오프 레벨인 하이 레벨로만 출력될 수 있다.
먼저, 광시야 모드(Share mode)에 대해 살펴보면, 제1 시점(t1)에서부터 제2 시점(t2) 사이의 기간 동안 로우 레벨의 제2 스캔 신호(SCAN2), 로우 레벨의 제1 발광 신호(EM1) 및 로우 레벨의 제3 발광 신호(EM3)가 출력된다. 로우 레벨의 제2 스캔 신호(SCAN2)에 의해 제2 트랜지스터(T2), 제5 트랜지스터(T5) 및 제6 트랜지스터(T6)가 턴-온될 수 있고, 로우 레벨의 제1 발광 신호(EM1)에 의해 제4 트랜지스터(T4)가 턴-온되며, 로우 레벨의 제3 발광 신호(EM3)에 의해 제3 트랜지스터(T3)가 턴-온될 수 있다.
턴-온된 제3 트랜지스터(T3)를 통해 제1 노드(N1)는 기준 전압(Vref)으로 초기화될 수 있다. 턴-온된 제5 트랜지스터(T5)를 통해 제1 발광 소자(De1)의 애노드 전극의 전압은 기준 전압(Vref)으로 초기화되고, 턴-온된 제6 트랜지스터(T6)를 통해 제2 발광 소자(De2)의 애노드 전극의 전압은 기준 전압(Vref)으로 초기화될 수 있다. 그리고 턴-온된 제2 트랜지스터(T2)를 통해 구동 트랜지스터(DT)는 다이오드 커넥션(diode connection)되어, 구동 트랜지스터(DT) 게이트 전극과 드레인 전극이 쇼트됨으로써, 구동 트랜지스터(DT)가 다이오드처럼 동작된다. 그리고 턴-온된 제5 트랜지스터(T5)를 통해 제1 발광 소자(De1)의 애노드 전극 측으로 전달된 기준 전압(Vref)은 턴-온된 제4 트랜지스터(T4)를 통해 제3 노드(N3) 및 제2 노드(N2)로 전달되어, 제3 노드(N3) 및 제2 노드(N2) 역시 기준 전압(Vref)으로 초기화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시점(t2)부터 로우 레벨의 제1 스캔 신호(SCAN1) 및 로우 레벨의 제2 스캔 신호(SCAN2)가 출력되고, 제1 발광 신호(EM1)는 로우 레벨에서 하이 레벨로 출력될 수 있다. 하이 레벨의 제3 발광 신호(EM3)가 출력되어 제3 트랜지스터(T3)는 턴-오프되는 동시에 로우 레벨의 제1 스캔 신호(SCAN1)에 의해 제1 트랜지스터(T1)가 턴-온되어, 데이터 전압(Vdata)이 제1 노드(N1)로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턴-온된 제2 트랜지스터(T2)에 의해 구동 트랜지스터(DT)가 다이오드 커넥션되며, 고전위 전원 전압과 문턱 전압의 차전압이 샘플링되어 제2 노드(N2)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시점(t2)과 제3 시점(t3) 사이의 시점에서 제1 스캔 신호(SCAN1) 및 제2 스캔 신호(SCAN2)는 하이 레벨로 변경되며, 제1 트랜지스터(T1), 제2 트랜지스터(T2), 제5 트랜지스터(T5) 및 제6 트랜지스터(T6)가 모두 턴-오프될 수 있다. 다만, 제1 트랜지스터(T1)가 턴-오프되더라도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에 의해 이전의 제2 시점(t2)에서 입력된 데이터 전압(Vdata)이 유지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3 시점(t3)일 때, 로우 레벨의 제1 발광 신호(EM1) 및 제3 발광 신호(EM3)가 출력되고, 하이 레벨의 제2 발광 신호(EM2)가 출력된다. 로우 레벨의 제3 발광 신호(EM3)에 의해 턴-온된 제3 트랜지스터(T3)를 통해 제1 노드(N1)로 기준 전압(Vref)이 인가되며, 제1 노드(N1)의 전압이 기준 전압(Vref)과 데이터 전압(Vdata)의 차전압이 될 수 있고, 이러한 전압 변동이 제2 노드(N2)에도 반영될 수 있다. 구동 트랜지스터(DT)의 게이트-소스간 전압(Vgs)이 데이터 전압(Vdata)에 기준 전압(Vref)을 빼고, 데이터 전압(Vdata)을 더한 값(Vdata-Vref+Vth)으로 설정되어 구동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턴-온된 제4 트랜지스터(T4)를 통해 구동 트랜지스터(DT)로부터 구동 전류를 제1 발광 소자(De1)로 공급하여 제1 발광 소자(De1)가 발광할 수 있다. 다만, 제2 발광 신호(EM2)는 하이 레벨로 출력되어 제7 트랜지스터(T7)가 턴-오프됨으로써 구동 트랜지스터(DT)로부터 구동 전류는 제2 발광 소자(De2)로 전달되지 못한다. 따라서, 광시야 모드에서는 제1 발광 소자(De1)로만 구동 전류가 인가되어, 제1 발광 소자(De1)만 광을 발광할 수 있다.
협시야 모드(Private mode)에 대해 살펴보면, 제1 발광 신호(EM1)와 제2 발광 신호(EM2)가 반대로 출력되는 점을 제외하면 광시야 모드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부화소(SP)가 구동될 수 있다. 즉, 제1 발광 신호(EM1)는 턴-오프 레벨인 하이 레벨로만 출력되고, 제2 발광 신호(EM2)는 제2 발광 소자(De2)가 발광하는 제6 시점(t6)부터는 턴-온 레벨의 로우 레벨로 출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4 시점(t4)에서부터 제5 시점(t5) 사이의 기간 동안 제1 스캔 신호(SCAN1)는 하이 레벨로 출력되고, 제2 스캔 신호(SCAN2)는 로우 레벨로 출력된다. 그리고 제1 발광 신호(EM1)는 하이 레벨로 출력되고, 제2 발광 신호(EM2)와 제3 발광 신호(EM3)는 로우 레벨로 출력된다. 이에, 제2 스캔 신호(SCAN2)에 의해 제2 트랜지스터(T2), 제5 트랜지스터(T5) 및 제6 트랜지스터(T6)가 턴-온되고, 제2 발광 신호(EM2)에 의해 제7 트랜지스터(T7)가 턴-온되며, 제3 발광 신호(EM3)에 의해 제3 트랜지스터(T3)가 턴-온될 수 있다.
제3 발광 신호(EM3)에 의해 턴-온된 제3 트랜지스터(T3)를 통해 제1 노드(N1)는 기준 전압(Vref)으로 초기화되고, 제2 스캔 신호(SCAN2)에 의해 턴-온된 제5 트랜지스터(T5) 및 제6 트랜지스터(T6) 각각에 의해 제1 발광 소자(De1) 및 제2 발광 소자(De2)의 애노드 전극이 기준 전압(Vref)으로 초기화될 수 있다. 그리고 턴-온된 제2 트랜지스터(T2)를 통해 구동 트랜지스터(DT)는 다이오드 커넥션되어, 다이오드처럼 동작된다. 마지막으로, 턴-온된 제6 트랜지스터(T6)를 통해 제2 발광 소자(De2)의 애노드 전극 측으로 전달된 기준 전압(Vref)은 턴-온된 제7 트랜지스터(T7)를 통해 제3 노드(N3) 및 제2 노드(N2)로 전달되어, 제3 노드(N3) 및 제2 노드(N2)도 기준 전압(Vref)으로 초기화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5 시점(t5)부터 로우 레벨의 제1 스캔 신호(SCAN1) 및 로우 레벨의 제2 스캔 신호(SCAN2)가 출력되고, 제2 발광 신호(EM2) 및 제3 발광 신호(EM3)는 로우 레벨에서 하이 레벨로 출력될 수 있다. 하이 레벨의 제3 발광 신호(EM3)가 출력되어 제3 트랜지스터(T3)는 턴-오프되고, 로우 레벨의 제1 스캔 신호(SCAN1)에 의해 제1 트랜지스터(T1)가 턴-온되어 데이터 전압(Vdata)이 제1 노드(N1)로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턴-온된 제2 트랜지스터(T2)에 의해 구동 트랜지스터(DT)가 다이오드 커넥션되며, 고전위 전원 전압과 문턱 전압의 차전압이 샘플링되어 제2 노드(N2)로 공급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6 시점(t6)일 때, 로우 레벨의 제2 발광 신호(EM2) 및 제3 발광 신호(EM3)가 출력되고, 하이 레벨의 제1 발광 신호(EM1)가 출력된다. 로우 레벨의 제3 발광 신호(EM3)에 의해 턴-온된 제3 트랜지스터(T3)를 통해 제1 노드(N1)로 기준 전압(Vref)이 인가되며, 제1 노드(N1)의 전압이 기준 전압(Vref)과 데이터 전압(Vdata)의 차전압이 될 수 있고, 이러한 전압 변동이 제2 노드(N2)에도 반영될 수 있다. 구동 트랜지스터(DT)의 게이트-소스간 전압(Vgs)이 데이터 전압(Vdata)에 기준 전압(Vref)을 빼고, 데이터 전압(Vdata)을 더한 값(Vdata-Vref+Vth)으로 설정되어 구동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턴-온된 제7 트랜지스터(T7)를 통해 구동 트랜지스터(DT)로부터 구동 전류를 제2 발광 소자(De2)로 공급하여 제2 발광 소자(De2)가 발광할 수 있다. 다만, 제1 발광 신호(EM1)는 하이 레벨로 출력되어 제4 트랜지스터(T4)가 턴-오프됨으로써 구동 트랜지스터(DT)로부터 구동 전류는 제1 발광 소자(De1)로 전달되지 못한다. 따라서, 협시야 모드에서는 제2 발광 소자(De2)로만 구동 전류가 인가되어, 제2 발광 소자(De2)만 광을 발광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제1 표시 영역(AA1) 및 제2 표시 영역(AA2)의 구동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의 개략적인 확대 평면도이다. 도 10은 광시야 모드 및 협시야 모드로 동작되는 표시 패널의 개략적인 확대 평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표시 패널(PN)의 일부분만을 확대하여 도시하였다.
도 9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PN)의 비표시 영역(NA) 중 일부의 비표시 영역(NA), 즉, 베젤 영역(BA)에 게이트 구동부(GD)가 실장된다. 게이트 구동부(GD)는 제1 표시 영역(AA1) 및 제2 표시 영역(AA2) 아래의 베젤 영역(BA)에 배치된 복수의 스캔 신호 발생부(GDS) 및 복수의 발광 신호 발생부(GDE)를 포함한다. 그리고 복수의 스캔 신호 발생부(GDS)는 복수의 제1 스캔 신호 발생부(GDS1) 및 복수의 제2 스캔 신호 발생부(GDS2)를 포함하고, 복수의 발광 신호 발생부(GDE)는 복수의 제1 발광 신호 발생부(GDE1), 복수의 제2 발광 신호 발생부(GDE2) 및 복수의 제3 발광 신호 발생부(GDE3)를 포함한다.
복수의 제1 스캔 신호 발생부(GDS1)는 제1 표시 영역(AA1) 및 제2 표시 영역(AA2)의 제1 스캔 신호 라인(SL1)으로 제1 스캔 신호(SCAN1)를 출력할 수 있다. 하나의 제1 스캔 신호 라인(SL1)에 복수 개의 제1 스캔 신호 발생부(GDS1)가 연결되어, 제1 스캔 신호 라인(SL1)으로 제1 스캔 신호(SCAN1)가 멀티 출력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스캔 신호 라인(SL1)의 여러 지점에서 제1 스캔 신호 라인(SL1)으로 동시에 제1 스캔 신호(SCAN1)가 입력되기 때문에, 제1 스캔 신호 라인(SL1)을 통해 전달되는 제1 스캔 신호(SCAN1)의 딜레이를 저감하고, 하나의 제1 스캔 신호 라인(SL1)에 연결된 복수의 부화소(SP)에 전달되는 제1 스캔 신호(SCAN1)의 편차를 저감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스캔 신호 발생부(GDS2)는 제1 표시 영역(AA1) 및 제2 표시 영역(AA2)의 제2 스캔 신호 라인(SL2)으로 제2 스캔 신호(SCAN2)를 출력할 수 있다. 하나의 제2 스캔 신호 라인(SL2)에 복수 개의 제2 스캔 신호 발생부(GDS2)가 연결되어, 제2 스캔 신호 라인(SL2)으로 제2 스캔 신호(SCAN2)가 멀티 출력될 수 있다. 제2 스캔 신호 라인(SL2)의 여러 지점에서 제2 스캔 신호 라인(SL2)으로 동시에 제2 스캔 신호(SCAN2)가 입력되기 때문에, 제2 스캔 신호 라인(SL2)을 통해 전달되는 제2 스캔 신호(SCAN2)의 딜레이를 저감하고, 하나의 제2 스캔 신호 라인(SL2)에 연결된 복수의 부화소(SP)에 전달되는 제2 스캔 신호(SCAN2)의 편차를 저감할 수 있다.
만약, 스캔 신호 라인(SL)의 한 지점으로만 스캔 신호를 인가하는 경우, 스캔 신호가 스캔 신호 라인(SL)의 타단으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딜레이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복수의 스캔 신호 라인(SL) 간의 스캔 신호의 딜레이 편차가 발생할 수 있고, 표시 품질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100)와 같이 복수의 스캔 신호 발생부(GDS)를 형성하여, 복수의 지점에서 스캔 신호 라인(SL)으로 스캔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스캔 신호의 딜레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복수의 제1 발광 신호 발생부(GDE1) 각각은 복수의 제1 발광 신호 라인(EML1) 각각으로 제1 발광 신호(EM1)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표시 영역(AA1)에 배치된 복수의 제1 발광 신호 라인(EML1)은 제1 표시 영역(AA1) 아래의 베젤 영역(BA)에 배치된 복수의 제1 발광 신호 발생부(GDE1)와 연결되어 제1 발광 신호(EM1)를 인가받을 수 있다.
복수의 제2 발광 신호 발생부(GDE2) 각각은 복수의 제2 발광 신호 라인(EML2) 각각으로 제2 발광 신호(EM2)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표시 영역(AA1)에 배치된 복수의 제2 발광 신호 라인(EML2)은 제1 표시 영역(AA1) 아래의 베젤 영역(BA)에 배치된 복수의 제2 발광 신호 발생부(GDE2)와 연결되어 제2 발광 신호(EM2)를 인가받을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제3 발광 신호 발생부(GDE3)는 복수의 제3 발광 신호 라인(EML3)으로 제3 발광 신호(EM3)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제3 발광 신호 라인(EML3) 각각에는 복수의 제3 발광 신호 발생부(GDE3)로부터 제3 발광 신호(EM3)가 멀티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제3 발광 신호 라인(EML3)은 제1 표시 영역(AA1) 아래의 베젤 영역(BA)에 배치된 제3 발광 신호 발생부(GDE3) 및 제2 표시 영역(AA2) 아래의 베젤 영역(BA)에 배치된 제3 발광 신호 발생부(GDE3)로부터 제3 발광 신호(EM3)를 동시에 인가받을 수 있다. 따라서, 제3 발광 신호 라인(EML3)의 여러 지점에서 제3 발광 신호 라인(EML3)으로 동시에 제3 발광 신호(EM3)가 입력되기 때문에, 제3 발광 신호 라인(EML3)을 통해 전달되는 제3 발광 신호(EM3)의 딜레이를 저감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스캔 신호 라인(SL) 및 복수의 제3 발광 신호 라인(EML3)은 제1 표시 영역(AA1) 및 제2 표시 영역(AA2) 전체에 걸쳐 연속적으로 연장되나, 복수의 제1 발광 신호 라인(EML1) 및 복수의 제2 발광 신호 라인(EML2)은 제1 표시 영역(AA1)과 제2 표시 영역(AA2)의 경계에서 분리된다. 이에, 제1 표시 영역(AA1)에 배치된 제1 발광 신호 라인(EML1)은 제2 표시 영역(AA2)에 배치된 제1 발광 신호 라인(EML1)과 분리되어 서로 이격되고, 제1 표시 영역(AA1)에 배치된 제2 발광 신호 라인(EML2) 역시 제2 표시 영역(AA2)에 배치된 제2 발광 신호 라인(EML2)과 분리되어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1 발광 신호 라인(EML1)은 제1 표시 영역(AA1)에 배치되어, 제1 표시 영역(AA1)의 부화소(SP)로 제1 발광 신호(EM1)를 전달하는 복수의 제1-1 발광 신호 라인(EML1-1) 및 제2 표시 영역(AA2)에 배치되어 제2 표시 영역(AA2)의 부화소(SP)로 제1 발광 신호(EM1)를 전달하는 복수의 제1-2 발광 신호 라인(EML1-2)을 포함한다. 복수의 제2 발광 신호 라인(EML2)은 제1 표시 영역(AA1)에 배치되어 제1 표시 영역(AA1)의 부화소(SP)로 제2 발광 신호(EM2)를 전달하는 복수의 제2-1 발광 신호 라인(EML2-1) 및 제2 표시 영역(AA2)에 배치되어 제2 표시 영역(AA2)의 부화소(SP)로 제2 발광 신호(EM2)를 전달하는 복수의 제2-2 발광 신호 라인(EML2-2)을 포함한다.
이 경우, 제1 표시 영역(AA1) 아래의 베젤 영역(BA)에 배치된 복수의 제1 발광 신호 발생부(GDE1)로부터 제1 발광 신호(EM1)는 복수의 제1-1 발광 신호 라인(EML1-1)으로 전송되고, 제2 표시 영역(AA2) 아래의 베젤 영역(BA)에 배치된 복수의 제1 발광 신호 발생부(GDE1)로부터 제1 발광 신호(EM1)는 복수의 제1-2 발광 신호 라인(EML1-2)으로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표시 영역(AA1) 아래의 베젤 영역(BA)에 배치된 복수의 제2 발광 신호 발생부(GDE2)로부터 제2 발광 신호(EM2)는 복수의 제2-1 발광 신호 라인(EML2-1)으로 전송되고, 제2 표시 영역(AA2) 아래의 베젤 영역(BA)에 배치된 복수의 제2 발광 신호 발생부(GDE2)로부터 제2 발광 신호(EM2)는 복수의 제2-2 발광 신호 라인(EML2-2)으로 전송될 수 있다.
한편, 게이트 구동부(GD)는 표시 영역(AA) 아래의 베젤 영역(BA)에 배치되고, 게이트 구동부(GD)로부터 스캔 신호 및 발광 신호를 공급받는 복수의 스캔 신호 라인(SL) 및 복수의 발광 신호 라인(EML)은 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행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스캔 신호 라인(SL) 및 복수의 발광 신호 라인(EML)과 표시 영역(AA) 아래에 배치된 게이트 구동부(GD)를 연결하는 복수의 보조 라인(CL)이 배치된다. 복수의 보조 라인(CL)은 베젤 영역(BA)에서부터 표시 영역(AA)을 향해 열 방향으로 연장되며, 복수의 스캔 신호 라인(SL) 및 복수의 발광 신호 라인(EML)과 게이트 구동부(GD)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복수의 보조 라인(CL)은 표시 영역(AA)에서 복수의 부화소(SP) 사이의 영역에 배치되어, 복수의 스캔 신호 라인(SL) 및 복수의 발광 신호 라인(EML)에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보조 라인(CL)은 제1 스캔 신호 발생부(GDS1)와 제1 스캔 신호 라인(SL1)을 연결하는 제1 스캔 신호 보조 라인(CLS1), 제2 스캔 신호 발생부(GDS2)와 제2 스캔 신호 라인(SL2)을 연결하는 제2 스캔 신호 보조 라인(CLS2), 제1 발광 신호 라인(EML1)과 제1 발광 신호 발생부(GDE1)를 연결하는 제1 발광 신호 보조 라인(CLE1), 제2 발광 신호 라인(EML2)과 제2 발광 신호 발생부(GDE2)를 연결하는 제2 발광 신호 보조 라인(CLE2) 및 제3 발광 신호 라인(EML3)과 제3 발광 신호 발생부(GDE3)를 연결하는 제3 발광 신호 보조 라인(CLE3)을 포함한다.
이때, 복수의 부화소(SP)는 복수의 행과 복수의 열을 이루며 배치되고, 복수의 부화소(SP)는 복수의 행 각각에 배치된 부화소 그룹(PU)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스캔 신호 라인(SL) 및 복수의 발광 신호 라인(EML)은 복수의 행 각각에 배치되어, 복수의 행 각각의 부화소 그룹(PU)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복수의 보조 라인(CL)은 복수의 행 각각에 배치된 복수의 스캔 신호 라인(SL) 및 복수의 발광 신호 라인(EML)과 게이트 구동부(GD)를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행의 부화소 그룹(PU(1))과 연결된 복수의 스캔 신호 라인(SL) 및 복수의 발광 신호 라인(EML)은 복수의 보조 라인(CL)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스캔 신호 발생부(GDS) 및 적어도 하나의 발광 신호 발생부(GDE)와 연결될 수 있다. 마지막의 N번째 행의 부화소 그룹(PU(N))에 연결된 복수의 스캔 신호 라인(SL) 및 복수의 발광 신호 라인(EML) 역시 복수의 보조 라인(CL)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스캔 신호 발생부(GDS) 및 적어도 하나의 발광 신호 발생부(GDE)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100)에서는 제1 표시 영역(AA1)과 제2 표시 영역(AA2) 각각에 배치된 제1 발광 신호 라인(EML1)과 제2 발광 신호 라인(EML2)을 분리함으로써, 제1 표시 영역(AA1)과 제2 표시 영역(AA2)을 광시야 모드 또는 협시야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독립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표시 영역(AA1)을 광시야 모드로 구동하는 동안, 제2 표시 영역(AA2)을 협시야 모드 또는 광시야 모드 중 어느 하나로 구동할 수 있고, 제2 표시 영역(AA2)을 협시야 모드로 구동하는 동안, 제2 표시 영역(AA2)을 협시야 모드 또는 광시야 모드 중 어느 하나로 구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표시 영역(AA1)을 광시야 모드로 구동하고, 제2 표시 영역(AA2)을 협시야 모드로 구동할 때, 제1 표시 영역(AA1)의 제1 발광 신호 발생부(GDE1) 및 제2 발광 신호 발생부(GDE2) 중 제1 발광 신호 발생부(GDE1)만이 턴-온 레벨인 로우 레벨의 제1 발광 신호(EM1)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발광 소자(De1)와 구동 트랜지스터(DT) 사이의 전류 패스를 형성하는 제4 트랜지스터(T4)는 턴-온되어 제1 발광 소자(De1)로 구동 전류를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발광 소자(De2)와 구동 트랜지스터(DT) 사이의 전류 패스를 형성하는 제7 트랜지스터(T7)는 턴-오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제1 표시 영역(AA1)에 배치된 복수의 부화소(SP)는 제1 발광 소자(De1) 상의 제1 발광부(EA1)로 광을 출력하여 광시야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표시 영역(AA1)을 광시야 모드로 구동하는 동안 제2 표시 영역(AA2)을 협시야 모드로 구동하는 경우, 제2 표시 영역(AA2)의 제1 발광 신호 발생부(GDE1) 및 제2 발광 신호 발생부(GDE2) 중 제2 발광 신호 발생부(GDE2)만이 턴-온 레벨인 로우 레벨의 제2 발광 신호(EM2)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발광 소자(De2)와 구동 트랜지스터(DT) 사이의 전류 패스를 형성하는 제7 트랜지스터(T7)는 턴-온되어 제1 발광 소자(De1)로 구동 전류를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발광 소자(De1)와 구동 트랜지스터(DT) 사이의 전류 패스를 형성하는 제4 트랜지스터(T4)는 턴-오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제2 표시 영역(AA2)에 배치된 복수의 부화소(SP)는 제2 발광 소자(De2) 상의 제2 발광부(EA2)로 광을 출력하여 협시야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때, 제1 표시 영역(AA1)의 제1 발광 신호 발생부(GDE1)에서 로우 레벨의 제1 발광 신호(EM1)를 출력하더라도, 제1 표시 영역(AA1)의 제1-1 발광 신호 라인(EML1-1)과 제2 표시 영역(AA2)의 제1-2 발광 신호 라인(EML1-2)은 서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제2 표시 영역(AA2)으로는 로우 레벨의 제1 발광 신호(EM1)가 전달되지 않는다. 그리고 제2 표시 영역(AA2)의 제2 발광 신호 발생부(GDE2)에서 로우 레벨의 제2 발광 신호(EM2)가 출력되나, 제1 표시 영역(AA1)의 제2-1 발광 신호 라인(EML2-1)과 제2 표시 영역(AA2)의 제2-2 발광 신호 라인(EML2-2)은 서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제1 표시 영역(AA1)으로는 로우 레벨의 제2 발광 신호(EM2)가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표시 영역(AA1) 및 제2 표시 영역(AA2) 각각과 대응되도록 베젤 영역(BA)에 복수의 제1 발광 신호 발생부(GDE1) 및 복수의 제2 발광 신호 발생부(GDE2)를 배치하고, 제1 표시 영역(AA1)과 제2 표시 영역(AA2)에 배치된 복수의 제1 발광 신호 라인(EML1)과 복수의 제2 발광 신호 라인(EML2)을 분리함으로써 제1 표시 영역(AA1)과 제2 표시 영역(AA2)을 독립적으로 광시야 모드 및 협시야 모드로 구동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표시 영역(AA1)을 협시야 모드로 구동하고, 제2 표시 영역(AA2)을 광시야 모드로 구동하는 경우, 게이트 구동부(GD)는 제1 표시 영역(AA1)의 제2-1 발광 신호 라인(EML2-1) 및 제2 표시 영역(AA2)의 제1-2 발광 신호 라인(EML1-2)으로만 턴-온 레벨인 로우 레벨의 발광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제1 표시 영역(AA1) 및 제2 표시 영역(AA2)을 둘 다 광시야 모드로 구동하는 경우, 게이트 구동부(GD)는 제1 표시 영역(AA1)의 제1-1 발광 신호 라인(EML1-1) 및 제2 표시 영역(AA2)의 제1-2 발광 신호 라인(EML1-2)으로만 턴-온 레벨인 로우 레벨의 발광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제1 표시 영역(AA1) 및 제2 표시 영역(AA2)을 둘 다 협시야 모드로 구동하는 경우, 게이트 구동부(GD)는 제1 표시 영역(AA1)의 제2-1 발광 신호 라인(EML2-1) 및 제2 표시 영역(AA2)의 제2-2 발광 신호 라인(EML2-2)으로만 턴-온 레벨인 로우 레벨의 발광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100)에서는 제1 표시 영역(AA1) 및 제2 표시 영역(AA2)에 배치된 제1 발광 신호 라인(EML1) 및 제2 발광 신호 라인(EML2)을 분리하고, 분리된 제1 발광 신호 라인(EML1) 및 제2 발광 신호 라인(EML2) 각각에 별도의 제1 발광 신호 발생부(GDE1) 및 제2 발광 신호 발생부(GDE2)를 연결하여 제1 표시 영역(AA1)과 제2 표시 영역(AA2)의 광시야 모드 및 협시야 모드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1 발광 신호 라인(EML1)은 제1 표시 영역(AA1)의 제1-1 발광 신호 라인(EML1-1)과 제2 표시 영역(AA2)의 제1-2 발광 신호 라인(EML1-2)으로 분리되어 있으므로, 제1 표시 영역(AA1)의 모드에 관계없이 제2 표시 영역(AA2)을 광시야 모드로 구동할 수 있고, 제1 표시 영역(AA1) 역시 제2 표시 영역(AA2)의 모드에 제한되지 않고 광시야 모드로 구동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발광 신호 라인(EML2)은 제1 표시 영역(AA1)의 제2-1 발광 신호 라인(EML2-1)과 제2 표시 영역(AA2)의 제2-2 발광 신호 라인(EML2-2)으로 서로 분리되어 있으므로, 제1 표시 영역(AA1)의 모드에 관계없이 제2 표시 영역(AA2)을 협시야 모드로 구동할 수 있고, 제1 표시 영역(AA1) 역시 제2 표시 영역(AA2)의 모드에 제한되지 않고 협시야 모드로 구동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100)에서는 화면의 특정 영역만 선택적으로 광시야 모드 및 협시야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자유롭게 전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100)에서는 복수의 스캔 신호 발생부(GDS) 및 복수의 발광 신호 발생부(GDE)를 표시 영역(AA) 일측의 비표시 영역(NA)에만 부분적으로 배치하여 나머지 비표시 영역(NA)의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 구동부(GD)를 표시 영역(AA)의 네 변 측의 비표시 영역(NA) 중 한 변에 인접한 비표시 영역(NA), 즉, 베젤 영역(BA)에만 배치하여, 표시 영역(AA)의 나머지 세 변에 인접한 비표시 영역(NA)의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표시 영역(AA)의 양측의 비표시 영역(NA)의 면적을 줄일 수 있어, 다양한 디자인으로 발광 표시 장치(100)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게이트 구동부(GD)가 표시 영역(AA)의 일측 상에 배치되므로, 게이트 구동부(GD)와 복수의 스캔 신호 라인(SL) 및 복수의 발광 신호 라인(EML)을 연결하는 복수의 보조 라인(CL)을 형성하여 게이트 구동부(GD)의 신호를 복수의 부화소(SP)로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100)에서는 복수의 스캔 신호 라인(SL) 및 복수의 발광 신호 라인(EML) 각각으로 전달되는 신호의 딜레이를 저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스캔 신호 라인(SL)에 복수의 스캔 신호 발생부(GDS)로부터 스캔 신호가 동시에 인가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스캔 신호 라인(SL)으로 스캔 신호가 멀티 출력될 수 있다. 이에, 여러 지점에서 하나의 스캔 신호 라인(SL)으로 스캔 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스캔 신호 라인(SL) 전체로 전달되는 스캔 신호의 딜레이가 저감될 수 있다. 아울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 신호 발생부(GDE)가 복수의 발광 신호 라인(EML) 각각과 연결되어 발광 신호를 멀티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100)에서는 복수의 스캔 신호 라인(SL) 각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캔 신호 발생부(GDS)를 연결하고, 복수의 발광 신호 라인(EML) 각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 신호 발생부(GDE)를 연결하여 복수의 부화소(SP)로 전달되는 스캔 신호 및 발광 신호의 딜레이 및 이에 따른 편차를 저감할 수 있다. 아울러, 게이트 구동부(GD)에서 출력된 신호가 열 방향으로 연장된 보조 라인(CL)을 통해 행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스캔 신호 라인(SL) 및 복수의 발광 신호 라인(EML)으로 전달되면서, 행 방향에서 신호 딜레이가 저감되므로, 행 방향에서 해상도를 용이하게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의 1번 부화소의 회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의 발광 신호 및 스캔 신호를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의 2번 부화소의 회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의 광시야 모드 및 협시야 모드 각각에서 발광 신호 및 스캔 신호를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의 개략적인 확대 평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5의 발광 표시 장치(1100)는 도 1 내지 도 10의 발광 표시 장치(100)와 비교하여 부화소(SP), 복수의 발광 신호 라인(EML) 및 게이트 구동부(GD)만이 상이할 뿐, 다른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1 표시 영역(AA1)은 광시야 모드로만 동작하고, 제2 표시 영역(AA2)은 광시야 모드 및 협시야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할 수 있다. 이에, 제1 표시 영역(AA1)의 복수의 부화소(SP)에는 제1 렌즈(232)와 제1 발광 소자(De1)만이 배치되고, 제2 표시 영역(AA2)의 복수의 부화소(SP)에는 제1 렌즈(232) 및 제1 발광 소자(De1), 제2 렌즈(234) 및 제2 발광 소자(De2)가 모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부화소(SP)는 제1 표시 영역(AA1)에 배치된 복수의 1번 부화소(SPA) 및 제2 표시 영역(AA2)에 배치된 복수의 2번 부화소(SPB)를 포함한다. 복수의 1번 부화소(SPA)는 광시야 모드로만 동작하므로 하나의 제1 발광 소자(De1)만을 포함하고, 복수의 2번 부화소(SPB)는 광시야 모드에서 구동되는 제1 발광 소자(De1)와 협시야 모드에서 구동되는 제2 발광 소자(De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1을 참조하면, 복수의 1번 부화소(SPA) 각각은 제1 트랜지스터(T1), 제2 트랜지스터(T2), 제3 트랜지스터(T3), 제4 트랜지스터(T4), 제5 트랜지스터(T5), 구동 트랜지스터(DT), 스토리지 커패시터(Cst) 및 제1 발광 소자(De1)를 포함한다.
구동 트랜지스터(DT)는 소스-게이트 전압(Vsg)에 따라 복수의 발광 소자에 인가되는 구동 전류를 제어한다. 구동 트랜지스터(DT)는 고전위 구동전압 라인에 연결된 소스 전극, 제2 노드(N2)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제3 노드(N3)에 연결된 드레인 전극을 포함한다.
제1 트랜지스터(T1)는 데이터 라인으로부터 데이터 전압(Vdata)을 제1 노드(N1)에 인가한다. 제1 트랜지스터(T1)는 데이터 라인에 연결된 소스 전극, 제1 노드(N1)에 연결된 드레인 전극 및 제1 스캔 신호 라인(SL1)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을 포함한다. 제1 트랜지스터(T1)는 턴-온 레벨인 로우 레벨의 제1 스캔 신호(SCAN1)에 응답하여 데이터 라인으로부터 데이터 전압(Vdata)을 제1 노드(N1)로 전달할 수 있다.
제2 트랜지스터(T2)는 구동 트랜지스터(DT)의 게이트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다이오드 커넥팅시킨다. 제2 트랜지스터(T2)는 제2 노드(N2)에 접속되는 드레인 전극, 제3 노드(N3)에 접속되는 소스 전극 및 제2 스캔 신호 라인(SL2)에 접속하는 게이트 전극을 포함한다. 이에, 제2 트랜지스터(T2)는 턴-온 레벨인 로우 레벨의 제2 스캔 신호(SCAN2)에 응답하여, 구동 트랜지스터(DT)의 게이트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다이오드 커넥팅시킨다.
제3 트랜지스터(T3)는 기준 전압(Vref)을 제1 노드(N1)에 인가한다. 제3 트랜지스터(T3)는 기준 전압(Vref)을 전송하는 기준 라인에 접속하는 소스 전극, 제1 노드(N1)에 접속하는 드레인 전극 및 제3 발광 신호 라인(EML3)에 접속하는 게이트 전극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3 트랜지스터(T3)는 턴-온 레벨인 로우 레벨의 제3 발광 신호(EM3)에 응답하여 기준 전압(Vref)을 제1 노드(N1)로 전달할 수 있다.
제4 트랜지스터(T4)는 구동 트랜지스터(DT)와 제1 발광 소자(De1) 간의 전류 패스를 형성한다. 제4 트랜지스터(T4)는 제3 노드(N3)에 접속하는 소스 전극, 제1 발광 소자(De1)의 애노드 전극에 접속하는 드레인 전극 및 제1 발광 라인에 접속하는 게이트 전극을 포함한다. 제4 트랜지스터(T4)는 제1 발광 신호(EM1)에 응답하여 제4 트랜지스터(T4)의 소스 전극인 제3 노드(N3)와 제1 발광 소자(De1) 간의 전류 패스를 형성한다. 이에, 제4 트랜지스터(T4)는 턴-온 레벨인 로우 레벨의 제1 발광 신호(EM1)에 응답하여 구동 트랜지스터(DT)와 제1 발광 소자(De1) 간의 전류 패스를 형성한다.
제5 트랜지스터(T5)는 기준 전압(Vref)을 제1 발광 소자(De1)의 애노드 전극에 인가한다. 제5 트랜지스터(T5)는 기준 전압(Vref)을 전송하는 기준 라인에 접속하는 소스 전극, 제1 발광 소자(De1)의 애노드 전극에 접속하는 드레인 전극 및 제2 스캔 신호 라인(SL2)에 접속하는 게이트 전극을 포함한다. 이에, 제5 트랜지스터(T5)는 턴-온 레벨인 로우 레벨의 제2 스캔 신호(SCAN2)에 응답하여 기준 전압(Vref)을 제1 발광 소자(De1)의 애노드 전극에 인가한다.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제1 노드(N1)에 연결되는 제1 전극 및 제2 노드(N2)에 연결되는 제2 전극을 포함한다. 즉,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의 일 전극은 구동 트랜지스터(DT)의 게이트 전극에 연결되고,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의 다른 전극은 제1 트랜지스터(T1)에 연결된다.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일정 전압을 저장하여 발광 소자가 발광하는 동안 구동 트랜지스터(DT)의 게이트 전극의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제1 발광 소자(De1)는 구동 전류에 의해 광을 발광하는 자발광 소자로, 제1 발광 소자(De1)에서 발광된 광은 제1 렌즈(232)로 전달될 수 있다. 제1 발광 소자(De1) 상에는 반원통형의 제1 렌즈(232)가 배치되어, 광시야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제1 발광 소자(De1)는 제4 트랜지스터(T4)에 연결된 애노드 전극 및 저전위 구동전압 라인에 연결된 캐소드 전극(180)을 포함한다. 제1 발광 소자(De1)는 제4 트랜지스터(T4)를 통해 구동 트랜지스터(DT)의 구동 전류를 공급받아 광을 발광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1번 부화소(SPA)는 제1 발광 소자(De1)만을 포함하고, 1번 부화소(SPA) 상에는 제1 렌즈(232)만이 배치되어, 복수의 1번 부화소(SPA)가 배치된 제1 표시 영역(AA1)은 광시야 모드(Share mode)로만 구동될 수 있다.
먼저, 제1 시점(t1)에서부터 제2 시점(t2) 사이의 기간 동안 로우 레벨의 제2 스캔 신호(SCAN2), 로우 레벨의 제1 발광 신호(EM1) 및 로우 레벨의 제3 발광 신호(EM3)가 출력된다. 로우 레벨의 제2 스캔 신호(SCAN2)에 의해 제2 트랜지스터(T2), 제5 트랜지스터(T5) 및 제6 트랜지스터(T6)가 턴-온될 수 있고, 로우 레벨의 제1 발광 신호(EM1)에 의해 제4 트랜지스터(T4)가 턴-온되며, 로우 레벨의 제3 발광 신호(EM3)에 의해 제3 트랜지스터(T3)가 턴-온될 수 있다.
턴-온된 제3 트랜지스터(T3) 및 제5 트랜지스터(T5)를 통해 제1 노드(N1) 및 제1 발광 소자(De1)의 애노드 전극의 전압은 기준 전압(Vref)으로 초기화될 수 있다. 그리고 턴-온된 제2 트랜지스터(T2)를 통해 구동 트랜지스터(DT)는 다이오드 커넥션될 수 있다. 그리고 턴-온된 제5 트랜지스터(T5)를 통해 제1 발광 소자(De1)의 애노드 전극 측으로 전달된 기준 전압(Vref)은 턴-온된 제4 트랜지스터(T4)를 통해 제3 노드(N3) 및 제2 노드(N2)로 전달되어, 제3 노드(N3) 및 제2 노드(N2)도 기준 전압(Vref)으로 초기화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시점(t2)부터 로우 레벨의 제1 스캔 신호(SCAN1) 및 로우 레벨의 제2 스캔 신호(SCAN2)가 출력되고, 제3 발광 신호(EM3)는 로우 레벨에서 하이 레벨로 출력될 수 있다. 하이 레벨의 제3 발광 신호(EM3)가 출력되어 제3 트랜지스터(T3)는 턴-오프되는 동시에 로우 레벨의 제1 스캔 신호(SCAN1)에 의해 제1 트랜지스터(T1)가 턴-온되어, 데이터 전압(Vdata)이 제1 노드(N1)로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턴-온된 제2 트랜지스터(T2)에 의해 구동 트랜지스터(DT)가 다이오드 커넥션되며, 고전위 전원 전압과 문턱 전압의 차전압이 샘플링되어 제2 노드(N2)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시점(t2)과 제3 시점(t3) 사이의 시점에서 제1 스캔 신호(SCAN1) 및 제2 스캔 신호(SCAN2)는 하이 레벨로 변경되며, 제1 트랜지스터(T1), 제2 트랜지스터(T2) 및 제5 트랜지스터(T5)는 모두 턴-오프될 수 있다. 다만, 제1 트랜지스터(T1)가 턴-오프되더라도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에 의해 이전의 제2 시점(t2)에서 입력된 데이터 전압(Vdata)이 유지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3 시점(t3)일 때, 로우 레벨의 제3 발광 신호(EM3)가 출력된다. 로우 레벨의 제3 발광 신호(EM3)에 의해 턴-온된 제3 트랜지스터(T3)를 통해 제1 노드(N1)로 기준 전압(Vref)이 인가되며, 제1 노드(N1)의 전압이 기준 전압(Vref)과 데이터 전압(Vdata)의 차전압이 될 수 있고, 이러한 전압 변동이 제2 노드(N2)에도 반영될 수 있다. 구동 트랜지스터(DT)의 게이트-소스간 전압(Vgs)이 데이터 전압(Vdata)에 기준 전압(Vref)을 빼고, 데이터 전압(Vdata)을 더한 값(Vdata-Vref+Vth)으로 설정되어 구동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턴-온된 제4 트랜지스터(T4)를 통해 구동 트랜지스터(DT)로부터 구동 전류를 제1 발광 소자(De1)로 공급하여 제1 발광 소자(De1)가 발광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복수의 2번 부화소(SPB) 각각은 제1 트랜지스터(T1), 제2 트랜지스터(T2), 제3 트랜지스터(T3), 제4 트랜지스터(T4), 제5 트랜지스터(T5), 제6 트랜지스터(T6), 제7 트랜지스터(T7), 구동 트랜지스터(DT), 스토리지 커패시터(Cst), 제1 발광 소자(De1) 및 제2 발광 소자(De2)를 포함한다. 복수의 1번 부화소(SPA)와 비교하면, 복수의 2번 부화소(SPB)는 제6 트랜지스터(T6) 및 제7 트랜지스터(T7)를 더 포함하고, 제1 발광 신호 라인(EML1) 및 제2 발광 신호 라인(EML2)과 더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2번 부화소(SPB)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100)의 부화소(SP)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회로이고, 동일하게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시야 모드로 구동 시, 2번 부화소(SPB)로 로우 레벨의 제1 발광 신호(EM1) 및 제3 발광 신호(EM3)가 인가되어, 제1 발광 소자(De1)만이 발광할 수 있다. 반면, 협시야 모드로 구동 시, 2번 부화소(SPB)로 로우 레벨의 제2 발광 신호(EM2) 및 제3 발광 신호(EM3)가 인가되어, 제2 발광 소자(De2)만이 발광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2번 부화소(SPB)에서는 제1 발광 소자(De1) 및 제2 발광 소자(De2) 중 어느 하나만 선택적으로 발광되어 광시야 모드 및 협시야 모드 중 어느 하나로 구동될 수 있다.
그리고 1번 부화소(SPA) 및 2번 부화소(SPB)에 연결된 복수의 발광 신호 라인(EML)의 구성이 상이하여 제1 표시 영역(AA1) 및 제2 표시 영역(AA2)에 배치된 복수의 발광 신호 라인(EML)의 배치 구조 및 이에 따른 게이트 구동부(GD)의 배치 구조가 달라질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1 표시 영역(AA1)에는 복수의 발광 신호 라인(EML) 중 제3 발광 신호 라인(EML3)만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제1 표시 영역(AA1) 아래의 베젤 영역(BA)에는 복수의 스캔 신호 발생부(GDS)와 함께 복수의 발광 신호 발생부(GDE) 중 복수의 제3 발광 신호 발생부(GDE3)만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표시 영역(AA2)에는 복수의 발광 신호 라인(EML)이 모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행 각각에 제1 발광 신호 라인(EML1), 제2 발광 신호 라인(EML2) 및 제3 발광 신호 라인(EML3)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표시 영역(AA2) 아래의 베젤 영역(BA)에는 복수의 스캔 신호 발생부(GDS)와 복수의 제3 발광 신호 발생부(GDE3)가 배치되어, 복수의 스캔 신호 라인(SL) 및 제3 발광 신호 라인(EML3)으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표시 영역(AA2)에는 제1 발광 신호 라인(EML1) 및 제2 발광 신호 라인(EML2)이 더 배치되므로, 제1 발광 신호 발생부(GDE1) 및 제2 발광 신호 발생부(GDE2)가 더 필요할 수 있다. 다만, 제2 표시 영역(AA2) 아래의 베젤 영역(BA)에 제1 발광 신호 발생부(GDE1) 및 제2 발광 신호 발생부(GDE2)를 배치하고자 하는 경우, 베젤 영역(BA)의 전체적인 면적이 증가하여 제1 발광 신호 발생부(GDE1) 및 제2 발광 신호 발생부(GDE2)가 배치되지 않는 제1 표시 영역(AA1) 아래의 베젤 영역(BA)의 면적 또한 증가될 수 있다.
이에,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1100)에서는 제1 발광 신호 라인(EML1) 및 제2 발광 신호 라인(EML2)의 단부에 인접한 측면 비표시 영역(NA)에 별도로 제1 발광 신호 발생부(GDE1) 및 제2 발광 신호 발생부(GDE2)를 배치하여 베젤 영역(BA)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발광 신호 발생부(GDE1) 및 제2 발광 신호 발생부(GDE2) 각각이 제1 발광 신호 라인(EML1) 및 제2 발광 신호 라인(EML2)의 단부에 직접 연결되어 발광 신호를 출력할 수 있어, 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발광 신호 보조 라인(CLE1) 및 제2 발광 신호 보조 라인(CLE2)을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복수의 보조 라인(CL)과 복수의 발광 신호 라인(EML)의 컨택 영역, 즉, 복수의 2번 부화소(SPB) 사이의 영역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1100)에서는 각 표시 영역(AA)의 모드에 따라 게이트 구동부(GD)의 설계를 유연하게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표시 영역(AA1) 및 제2 표시 영역(AA2) 중 제2 표시 영역(AA2)만이 광시야 모드 및 협시야 모드 중 어느 하나로 구동되는 경우, 제2 표시 영역(AA2)을 구동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필요한 제1 발광 신호 발생부(GDE1) 및 제2 발광 신호 발생부(GDE2)만을 베젤 영역(BA) 대신 제2 표시 영역(AA2)에 인접한 측면 비표시 영역(NA)에 별도로 배치할 수 있다. 이에, 베젤 영역(BA)의 게이트 구동부(GD)와 표시 영역(AA)의 설계 규칙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는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는, 제1 표시 영역 및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영역과 표시 영역에 인접한 비표시 영역이 정의된 표시 패널, 표시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부화소, 및 비표시 영역에 실장된 게이트 구동부를 포함하고, 복수의 부화소 각각은, 구동 전류에 의해 발광하는 제1 발광 소자, 및 제1 발광 소자로부터의 빛을 굴절시키는 제1 렌즈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복수의 부화소 중 적어도 일부의 부화소는, 구동 전류에 의해 발광하는 제2 발광 소자, 및 제2 발광 소자로부터의 빛을 굴절시키고, 제1 렌즈와 다른 형상을 갖는 제2 렌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렌즈는 반원통형 렌즈(Half-Cylindrical Lens)이고, 제2 렌즈는 반구형 렌즈(Half-Spherical Lens)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2 발광 소자는 복수의 부화소 전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표시 영역의 일 영역은 협시야 모드 및 광시야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독립적으로 구동되고, 광시야 모드에서, 제1 발광 소자가 발광하여, 제1 발광 소자로부터의 빛은 제1 렌즈에 의해 제1 방향에 대해서만 시야각이 제한되어 출력되고, 협시야 모드에서, 제2 발광 소자가 발광하여, 제2 발광 소자로부터의 빛은 제2 렌즈에 의해 제1 방향 및 제2 방향에 대해서 시야각이 제한되어 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복수의 부화소 각각은, 구동 전류를 제어하는 구동 트랜지스터, 구동 트랜지스터와 제1 발광 소자 사이에 연결되어, 구동 전류를 제1 발광 소자로 전달하는 제1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 및 구동 트랜지스터와 제2 발광 소자 사이에 연결되어, 구동 전류를 제2 발광 소자로 전달하는 제2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고, 광시야 모드에서, 제1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는 턴-온되고, 제2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는 턴-오프되며, 협시야 모드에서, 제1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는 턴-오프되고, 제2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는 턴-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표시 영역에서 행 방향으로 연장되어 복수의 부화소에 스캔 신호를 전송하는 복수의 스캔 신호 라인, 및 표시 영역에서 행 방향으로 연장되어 복수의 부화소에 발광 신호를 전송하는 복수의 발광 신호 라인을 더 포함하고, 복수의 발광 신호 라인은, 제1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으로 제1 발광 신호를 전송하는 제1 발광 신호 라인, 및 제2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으로 제2 발광 신호를 전송하는 제2 발광 신호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발광 신호 라인은, 제1 표시 영역의 복수의 부화소와 연결된 제1-1 발광 신호 라인, 및 제2 표시 영역의 복수의 부화소와 연결된 제1-2 발광 신호 라인을 포함하고, 제1-1 발광 신호 라인과 제1-2 발광 신호 라인은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2 발광 신호 라인은, 제1 표시 영역의 복수의 부화소와 연결된 제2-1 발광 신호 라인, 및 제2 표시 영역의 복수의 부화소와 연결된 제2-2 발광 신호 라인을 포함하고, 제2-1 발광 신호 라인과 제2-2 발광 신호 라인은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게이트 구동부는, 스캔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스캔 신호 발생부, 및 발광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발광 신호 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복수의 스캔 신호 발생부 및 복수의 발광 신호 발생부는 제1 표시 영역 및 제2 표시 영역의 한 변에 인접한 일부의 비표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표시 영역에서 열 방향으로 연장되어, 복수의 스캔 신호 라인을 복수의 스캔 신호 발생부에 연결하는 복수의 스캔 신호 보조 라인, 및 표시 영역에서 열 방향으로 연장되어, 복수의 발광 신호 라인을 복수의 발광 신호 발생부에 연결하는 복수의 발광 신호 보조 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복수의 부화소 중 제1 표시 영역의 부화소는 제1 발광 소자만 포함하고, 복수의 부화소 중 제2 표시 영역의 부화소는 제1 발광 소자 및 제2 발광 소자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표시 영역은 광시야 모드로 구동되고, 제2 표시 영역은 협시야 모드 및 광시야 모드 중 어느 하나로 구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표시 영역에서 행 방향으로 연장되어 복수의 부화소에 스캔 신호를 전송하는 복수의 스캔 신호 라인, 및 표시 영역에서 행 방향으로 연장되어 복수의 부화소에 발광 신호를 전송하는 복수의 발광 신호 라인을 더 포함하고, 복수의 발광 신호 라인은, 제2 표시 영역의 부화소로 제1 발광 신호를 전송하는 제1 발광 신호 라인, 제2 표시 영역의 부화소로 제2 발광 신호를 전송하는 제2 발광 신호 라인, 및 제1 표시 영역의 부화소 및 제2 표시 영역의 부화소에 제3 발광 신호를 전송하는 제3 발광 신호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게이트 구동부는, 복수의 스캔 신호 라인에 스캔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스캔 신호 발생부, 제1 발광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제1 발광 신호 발생부, 제2 발광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제2 발광 신호 발생부, 및 제3 발광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제3 발광 신호 발생부를 포함하고, 복수의 스캔 신호 발생부 및 복수의 제3 발광 신호 발생부는 비표시 영역 중 제1 표시 영역 및 제2 표시 영역의 한 변에 인접한 일부의 비표시 영역에 배치되고, 복수의 제1 발광 신호 발생부 및 복수의 제2 발광 신호 발생부는 비표시 영역 중 제2 표시 영역의 다른 변에 인접한 다른 일부의 비표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는, 제1 표시 영역 및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영역과 표시 영역에 인접한 비표시 영역이 정의된 표시 패널, 표시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부화소, 및 표시 영역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복수의 부화소에 발광 신호를 인가하는 복수의 발광 신호 라인을 포함하고, 복수의 발광 신호 라인 중 적어도 일부는 제1 표시 영역과 제2 표시 영역의 경계에서 분리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복수의 부화소 각각은, 광시야 모드에서 발광하는 제1 발광 소자, 발광 신호에 의해 턴-온되어 제1 발광 소자로 구동 전류를 전달하도록 구성된 제1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 협시야 모드에서 발광하는 제2 발광 소자, 및 발광 신호에 의해 턴-온되어 제2 발광 소자로 구동 전류를 전달하도록 구성된 제2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복수의 발광 신호 라인은, 제1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로 발광 신호를 인가하는 제1 발광 신호 라인, 및 제2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로 발광 신호를 인가하는 제2 발광 신호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발광 신호 라인은, 제1 표시 영역에 배치된 제1-1 발광 신호 라인, 및 제2 표시 영역에 배치되고, 제1-1 발광 신호 라인과 분리된 제1-2 발광 신호 라인을 포함하고, 제2 발광 신호 라인은, 제1 표시 영역에 배치된 제2-1 발광 신호 라인, 및 제2 표시 영역에 배치되고, 제2-1 발광 신호 라인과 분리된 제2-2 발광 신호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비표시 영역에 배치된 게이트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게이트 구동부는, 제1 발광 신호 라인으로 발광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제1 발광 신호 발생부, 및 제2 발광 신호 라인으로 발광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제2 발광 신호 발생부를 포함하고, 제1-1 발광 신호 라인과 제1-2 발광 신호 라인은 복수의 제1 발광 신호 발생부 중 서로 다른 제1 발광 신호 발생부에 연결되고, 제2-1 발광 신호 라인과 제2-2 발광 신호 라인은 복수의 제2 발광 신호 발생부 중 서로 다른 제2 발광 신호 발생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1100: 발광 표시 장치
PN: 표시 패널
COF: 플렉서블 필름
PCB: 인쇄 회로 기판
AA: 표시 영역
AA1: 제1 표시 영역
AA2: 제2 표시 영역
NA: 비표시 영역
BA: 베젤 영역
SP: 부화소
SP1: 제1 부화소
SP2: 제2 부화소
SP3: 제3 부화소
SPA: 1번 부화소
SPB: 2번 부화소
PU(N): 부화소 그룹
EA1: 제1 발광부
EA2: 제2 발광부
110: 기판
120: 버퍼층
130: 게이트 절연막
140: 층간 절연막
150: 보호막
150a: 제1 드레인 컨택홀
150b: 제2 드레인 컨택홀
165: 뱅크
165a: 제1 개구부
165b: 제2 개구부
190: 봉지층
192: 제1 무기막
194: 유기막
196: 제2 무기막
Tr1: 제1 박막트랜지스터
122: 제1 반도체층
132: 제1 게이트 전극
142: 제1 소스 전극
144: 제1 드레인 전극
Tr2: 제2 박막트랜지스터
124: 제2 반도체층
134: 제2 게이트 전극
146: 제2 소스 전극
148: 제2 드레인 전극
De1: 제1 발광 소자
162: 제1 애노드 전극
170: 발광층
180: 캐소드 전극
De2: 제2 발광 소자
164: 제2 애노드 전극
210: 차광 패턴
220: 광학 갭층
230: 렌즈층
232: 제1 렌즈
234: 제2 렌즈
240: 평탄화막
250: 편광층
VDD: 고전위 구동전압
VSS: 저전위 구동전압
Vdata: 데이터 전압
Vref: 기준 전압
SCAN1: 제1 스캔 신호
SCAN2: 제2 스캔 신호
EM1: 제1 발광 신호
EM2: 제2 발광 신호
EM3: 제3 발광 신호
T1: 제1 트랜지스터
T2: 제2 트랜지스터
T3: 제3 트랜지스터
T4: 제4 트랜지스터
T5: 제5 트랜지스터
T6: 제6 트랜지스터
T7: 제7 트랜지스터
DT: 구동 트랜지스터
Cst: 스토리지 커패시터
N1: 제1 노드
N2: 제2 노드
N3: 제3 노드
GD: 게이트 구동부
GDS: 스캔 신호 발생부
GDS1: 제1 스캔 신호 발생부
GDS2: 제2 스캔 신호 발생부
GDE: 발광 신호 발생부
GDE1: 제1 발광 신호 발생부
GDE2: 제2 발광 신호 발생부
GDE3: 제3 발광 신호 발생부
SL: 스캔 신호 라인
SL1: 제1 스캔 신호 라인
SL2: 제2 스캔 신호 라인
EML: 발광 신호 라인
EML1: 제1 발광 신호 라인
EML1-1: 제1-1 발광 신호 라인
EML1-2: 제1-2 발광 신호 라인
EML2: 제2 발광 신호 라인
EML2-1: 제2-1 발광 신호 라인
EML2-2: 제2-2 발광 신호 라인
EML3: 제3 발광 신호 라인
CL: 보조 라인
CLS1: 제1 스캔 신호 보조 라인
CLS2: 제2 스캔 신호 보조 라인
CLE1: 제1 발광 신호 보조 라인
CLE2: 제2 발광 신호 보조 라인
CLE3: 제3 발광 신호 보조 라인

Claims (20)

  1. 제1 표시 영역 및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에 인접한 비표시 영역이 정의된 표시 패널;
    상기 표시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부화소; 및
    상기 비표시 영역에 실장된 게이트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부화소 각각은,
    구동 전류에 의해 발광하는 제1 발광 소자; 및
    상기 제1 발광 소자로부터의 빛을 굴절시키는 제1 렌즈를 포함하는, 발광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부화소 중 적어도 일부의 부화소는,
    상기 구동 전류에 의해 발광하는 제2 발광 소자; 및
    상기 제2 발광 소자로부터의 빛을 굴절시키고, 상기 제1 렌즈와 다른 형상을 갖는 제2 렌즈를 더 포함하는, 발광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는 반원통형 렌즈(Half-Cylindrical Lens)이고,
    상기 제2 렌즈는 반구형 렌즈(Half-Spherical Lens)인, 발광 표시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발광 소자는 상기 복수의 부화소 전체에 배치되는, 발광 표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의 일 영역은 협시야 모드 및 광시야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독립적으로 구동되고,
    상기 광시야 모드에서, 제1 발광 소자가 발광하여, 상기 제1 발광 소자로부터의 빛은 상기 제1 렌즈에 의해 제1 방향에 대해서만 시야각이 제한되어 출력되고,
    상기 협시야 모드에서, 제2 발광 소자가 발광하여, 상기 제2 발광 소자로부터의 빛은 상기 제2 렌즈에 의해 상기 제1 방향 및 제2 방향에 대해서 시야각이 제한되어 출력되는, 발광 표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부화소 각각은,
    상기 구동 전류를 제어하는 구동 트랜지스터;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1 발광 소자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 전류를 상기 제1 발광 소자로 전달하는 제1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 및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2 발광 소자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 전류를 상기 제2 발광 소자로 전달하는 제2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시야 모드에서, 상기 제1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는 턴-온되고, 상기 제2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는 턴-오프되며,
    상기 협시야 모드에서, 상기 제1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는 턴-오프되고, 상기 제2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는 턴-온되는, 발광 표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에서 행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복수의 부화소에 스캔 신호를 전송하는 복수의 스캔 신호 라인; 및
    상기 표시 영역에서 행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복수의 부화소에 발광 신호를 전송하는 복수의 발광 신호 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발광 신호 라인은,
    상기 제1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으로 제1 발광 신호를 전송하는 제1 발광 신호 라인; 및
    상기 제2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으로 제2 발광 신호를 전송하는 제2 발광 신호 라인을 포함하는, 발광 표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 신호 라인은,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상기 복수의 부화소와 연결된 제1-1 발광 신호 라인;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상기 복수의 부화소와 연결된 제1-2 발광 신호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1-1 발광 신호 라인과 상기 제1-2 발광 신호 라인은 분리된, 발광 표시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발광 신호 라인은,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상기 복수의 부화소와 연결된 제2-1 발광 신호 라인;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상기 복수의 부화소와 연결된 제2-2 발광 신호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2-1 발광 신호 라인과 상기 제2-2 발광 신호 라인은 분리된, 발광 표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구동부는,
    스캔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스캔 신호 발생부; 및
    상기 발광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발광 신호 발생부를 포함하는, 발광 표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캔 신호 발생부 및 상기 복수의 발광 신호 발생부는 상기 제1 표시 영역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한 변에 인접한 일부의 비표시 영역에 배치되는, 발광 표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에서 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복수의 스캔 신호 라인을 상기 복수의 스캔 신호 발생부에 연결하는 복수의 스캔 신호 보조 라인; 및
    상기 표시 영역에서 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복수의 발광 신호 라인을 상기 복수의 발광 신호 발생부에 연결하는 복수의 발광 신호 보조 라인을 더 포함하는, 발광 표시 장치.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부화소 중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부화소는 상기 제1 발광 소자만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부화소 중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부화소는 상기 제1 발광 소자 및 상기 제2 발광 소자를 모두 포함하는, 발광 표시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영역은 광시야 모드로 구동되고,
    상기 제2 표시 영역은 협시야 모드 및 광시야 모드 중 어느 하나로 구동되는, 발광 표시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에서 행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복수의 부화소에 스캔 신호를 전송하는 복수의 스캔 신호 라인; 및
    상기 표시 영역에서 행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복수의 부화소에 발광 신호를 전송하는 복수의 발광 신호 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발광 신호 라인은,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부화소로 제1 발광 신호를 전송하는 제1 발광 신호 라인;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부화소로 제2 발광 신호를 전송하는 제2 발광 신호 라인; 및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부화소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부화소에 제3 발광 신호를 전송하는 제3 발광 신호 라인을 포함하는, 발광 표시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구동부는,
    복수의 스캔 신호 라인에 스캔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스캔 신호 발생부;
    상기 제1 발광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제1 발광 신호 발생부;
    상기 제2 발광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제2 발광 신호 발생부; 및
    상기 제3 발광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제3 발광 신호 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스캔 신호 발생부 및 상기 복수의 제3 발광 신호 발생부는 상기 비표시 영역 중 상기 제1 표시 영역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한 변에 인접한 일부의 비표시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1 발광 신호 발생부 및 상기 복수의 제2 발광 신호 발생부는 상기 비표시 영역 중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다른 변에 인접한 다른 일부의 비표시 영역에 배치되는, 발광 표시 장치.
  17. 제1 표시 영역 및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에 인접한 비표시 영역이 정의된 표시 패널;
    상기 표시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부화소; 및
    상기 표시 영역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복수의 부화소에 발광 신호를 인가하는 복수의 발광 신호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발광 신호 라인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표시 영역과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경계에서 분리된, 발광 표시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부화소 각각은,
    광시야 모드에서 발광하는 제1 발광 소자;
    상기 발광 신호에 의해 턴-온되어 상기 제1 발광 소자로 구동 전류를 전달하도록 구성된 제1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
    협시야 모드에서 발광하는 제2 발광 소자; 및
    상기 발광 신호에 의해 턴-온되어 상기 제2 발광 소자로 구동 전류를 전달하도록 구성된 제2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발광 신호 라인은,
    상기 제1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로 상기 발광 신호를 인가하는 제1 발광 신호 라인; 및
    상기 제2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로 상기 발광 신호를 인가하는 제2 발광 신호 라인을 포함하는, 발광 표시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 신호 라인은,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배치된 제1-1 발광 신호 라인;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1-1 발광 신호 라인과 분리된 제1-2 발광 신호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발광 신호 라인은,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배치된 제2-1 발광 신호 라인;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2-1 발광 신호 라인과 분리된 제2-2 발광 신호 라인을 포함하는, 발광 표시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비표시 영역에 배치된 게이트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 구동부는,
    상기 제1 발광 신호 라인으로 상기 발광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제1 발광 신호 발생부; 및
    상기 제2 발광 신호 라인으로 상기 발광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제2 발광 신호 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1 발광 신호 라인과 상기 제1-2 발광 신호 라인은 상기 복수의 제1 발광 신호 발생부 중 서로 다른 제1 발광 신호 발생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1 발광 신호 라인과 상기 제2-2 발광 신호 라인은 상기 복수의 제2 발광 신호 발생부 중 서로 다른 제2 발광 신호 발생부에 연결되는, 발광 표시 장치.
KR1020220189032A 2022-12-29 2022-12-29 발광 표시 장치 KR202401062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23129058.4A DE102023129058A1 (de) 2022-12-29 2023-10-23 Lichtemittierende anzeigevorricht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06293A true KR20240106293A (ko) 2024-07-08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7812B1 (ko) 유기발광 표시 장치
CN109216417B (zh) 显示装置
CN111354304B (zh) 显示装置
CN107785392B (zh) 显示装置
CN110010658B (zh) 显示装置
CN112753064B (zh) 显示装置
US11688350B2 (en) Display apparatus
KR20220165958A (ko) 표시 패널,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2024007399A (ja) 複数の発光素子を含む画素回路及びその表示装置および表示パネル
CN115731831A (zh) 显示装置
KR20210107961A (ko) 표시 패널
KR20230015483A (ko) 표시장치
KR20240106293A (ko) 발광 표시 장치
CN114551514A (zh) 透明显示装置
US20240224647A1 (en)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N118284220A (zh) 发光显示装置
KR20240054657A (ko) 발광 표시 장치
US20240237498A9 (en)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CN113809122A (zh) 显示装置
KR20240038333A (ko) 발광 표시 장치
TW202417947A (zh) 發光顯示裝置
JP2024082251A (ja) ディスプレイパネルおよびディスプレイ装置
KR20240027177A (ko) 발광 표시 장치
KR20240055950A (ko) 발광 표시 장치
CN118284185A (zh) 显示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