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04385A - 커튼 에어백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커튼 에어백 어셈블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104385A KR20240104385A KR1020220186594A KR20220186594A KR20240104385A KR 20240104385 A KR20240104385 A KR 20240104385A KR 1020220186594 A KR1020220186594 A KR 1020220186594A KR 20220186594 A KR20220186594 A KR 20220186594A KR 20240104385 A KR20240104385 A KR 2024010438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rea
- curtain airbag
- disposed
- inflator
- cush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7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7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8000012938 design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4 dela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5 sag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958 se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2—Curtain-type airbags deploying mainly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ir top edg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1—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with means other than bag structure to diffuse or guide inflation flui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 B60R2021/23324—Inner walls crating separate compartments, e.g. communicating with v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백 쿠션에서 승객과 접촉하는 영역의 전개가 설계 과정에서 의도한대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개선된 커튼 에어백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커튼 에어백 어셈블리는 차량의 필라 트림의 상측에 배치되는 커튼 에어백용 쿠션, 커튼 에어백용 쿠션과 결합되어, 커튼 에어백용 쿠션을 전개시키는 인플레이터를 포함하고, 커튼 에어백용 쿠션은, 인플레이터에서 배출되는 가스가 주입되는 제1 주입구를 가지는 제1 전개 영역, 인플레이터에서 배출되는 가스가 주입되는 제2 주입구를 가지는 제2 전개 영역 및 제1 전개 영역과 제2 전개 영역을 구획하는 구획부를 포함한다.
커튼 에어백 어셈블리는 차량의 필라 트림의 상측에 배치되는 커튼 에어백용 쿠션, 커튼 에어백용 쿠션과 결합되어, 커튼 에어백용 쿠션을 전개시키는 인플레이터를 포함하고, 커튼 에어백용 쿠션은, 인플레이터에서 배출되는 가스가 주입되는 제1 주입구를 가지는 제1 전개 영역, 인플레이터에서 배출되는 가스가 주입되는 제2 주입구를 가지는 제2 전개 영역 및 제1 전개 영역과 제2 전개 영역을 구획하는 구획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커튼 에어백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사고 발생시 승객을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에어백 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그 중에서 커튼 에어백 장치는 전방도어와 후방도어의 측부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 개의 필라의 상측에 장착되어서 차량의 전복 및 측면 충돌사고 발생시 에어백 쿠션이 아래로 펼쳐지면서 전개됨에 따라 승객을 보호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커튼 에어백 장치는 승객룸의 측부 전체를 커버하기 때문에 차량의 길이 방향(승객룸에서 엔진룸을 향하는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을 따라 연신하는 직사각형상을 가지며, 인플레이터에 의해 내부에 가스가 주입되어 에어백 쿠션의 내부가 전체적으로 팽창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에어백 쿠션은 내부가 구획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에어백 쿠션이 팽창될 때 승객과 접촉되는 영역이 만개되지 않은 상태로 승객의 머리 또는 신체와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에어백 쿠션에서 승객과 접촉되는 영역이 승객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온전히 흡수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에어백 쿠션에서 승객과 접촉하는 영역의 전개가 설계 과정에서 의도한대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개선된 커튼 에어백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차량의 필라 트림의 상측에 배치되며, 인플레이터에서 생성되는 가스를 통해 전개되는 커튼 에어백용 쿠션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에서 배출되는 가스가 주입되는 제1 주입구를 가지는 제1 전개 영역; 상기 인플레이터에서 배출되는 가스가 주입되는 제2 주입구를 가지는 제2 전개 영역; 및 상기 제1 전개 영역과 상기 제2 전개 영역을 구획하는 구획부; 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전개 영역은 상기 구획부에 의해 상기 제1 전개 영역을 감싸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개 영역은, 상기 제1 주입구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주입구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주입구와 상기 제2 주입구 사이에 배치되는 제1-1 영역; 및상기 제1 주입구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주입구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1-2 영역;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개 영역은, 상기 제2 주입구와 연결되며, 상기 제2 주입구로부터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는 제2-1 영역; 및 상기 제2-1 영역과 연결되며, 상기 제2-1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1 전개 영역의 상기 제1 주입구를 향해 돌출된 형상을 가지는 제2-2 영역;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2 영역은 상기 제1-1 영역과 상기 제1-2 영역을 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튼 에어백 어셈블리는 차량의 필라 트림의 상측에 배치되는 커튼 에어백용 쿠션; 상기 커튼 에어백용 쿠션과 결합되어, 상기 커튼 에어백용 쿠션을 전개시키는 인플레이터; 를 포함하고, 상기 커튼 에어백용 쿠션은, 상기 인플레이터에서 배출되는 가스가 주입되는 제1 주입구를 가지는 제1 전개 영역; 상기 인플레이터에서 배출되는 가스가 주입되는 제2 주입구를 가지는 제2 전개 영역; 및 상기 제1 전개 영역과 상기 제2 전개 영역을 구획하는 구획부; 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전개 영역은 상기 구획부에 의해 상기 제1 전개 영역을 감싸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개 영역은, 상기 제1 주입구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주입구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주입구와 상기 제2 주입구 사이에 배치되는 제1-1 영역; 및 상기 제1 주입구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주입구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1-2 영역;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개 영역은, 상기 제2 주입구와 연결되며, 상기 제2 주입구로부터 테두리 부근에 배치되는 제2-1 영역; 및 상기 제2-1 영역과 연결되며, 상기 제2-1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1 전개 영역의 상기 제1 주입구를 향해 돌출된 형상을 가지는 제2-2 영역;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튼 에어백용 쿠션과 결합되며, 상기 인플레이터에서 생성되는 가스를 가이드하는 복수 개의 디퓨져;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디퓨져는, 상기 제1 주입구에 배치되며, 상기 제1-1 영역과 상기 제1-2 영역에 각각 연결되는 제1 통로부를 포함하는 제1 디퓨져; 및 상기 제2 주입구에 배치되며, 상기 제2-1 영역에 연결되는 제2 통로부를 포함하는 제2 디퓨져;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플레이터는, 상기 제1 디퓨져에 삽입되는 제1 인플레이터; 및 상기 제2 디퓨져에 삽입되는 제2 인플레이터;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플레이터는, 상기 제1 디퓨져가 배치된 위치로부터 상기 제2 디퓨져가 배치된 위치까지의 길이를 가지는 메인 바디부; 및 상기 메인 바디의 양단부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배출부; 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배출부는, 상기 제1 디퓨져와 연결되는 제1 배출부; 및 상기 제2 디퓨져와 연결되는 제2 배출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에어백 쿠션에서 승객과 접촉하는 영역의 전개가 설계 과정에서 의도한대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에어백 쿠션의 불완전한 전개에 의해 승객이 부가적인 상해를 입는 현상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튼 에어백 어셈블리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커튼 에어백용 쿠션의 내부에 가스가 이동하는 방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인플레이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커튼 에어백용 쿠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커튼 에어백용 쿠션의 내부에 가스가 이동하는 방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인플레이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커튼 에어백용 쿠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어느 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 개의 구성요소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가 상기 두 구성요소 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커튼 에어백 어셈블리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튼 에어백 어셈블리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2는 커튼 에어백용 쿠션의 내부에 가스가 이동하는 방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튼 에어백 어셈블리(1)는 차량의 필라의 상측에 배치되는 커튼 에어백용 쿠션(100), 커튼 에어백용 쿠션(100)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디퓨져(200) 및 커튼 에어백용 쿠션(100)과 결합되어 커튼 에어백용 쿠션(100)을 전개시키는 인플레이터(300)를 포함한다.
커튼 에어백용 쿠션(100)은 천 또는 합성수지 등의 소재 2개를 테두리 봉합을 통해 형성된 내부가 비어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커튼 에어백용 쿠션(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제1 인플레이터(320)에서 제2 인플레이터(340)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신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커튼 에어백용 쿠션(100)은 제1 전개 영역(120), 제2 전개 영역(140) 및 구획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개 영역(120)은 제1 주입구(122), 제1-1 영역(124) 및 제1-2 영역(12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주입구(122)는 제1-1 영역(124)과 제1-2 영역(126)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주입구(122)는 커튼 에어백용 쿠션(100)의 테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주입구(122)는 후술할 제1 인플레이터(320)를 수용할 수 있다. 제1 주입구(122)는 제1-1 영역(124) 및 제1-2 영역(126)과 연결된다. 제1 주입구(122)는 인플레이터(300)에서 배출되는 가스가 주입되는 통로로 사용될 수 있다.
제1-1 영역(124)은 제1 주입구(122)를 기준으로 제1 주입구(122)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1 영역(124)은 제1 주입구(122)와 후술할 제2 주입구(14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커튼 에어백용 쿠션(100)이 전개될 경우, 제1-1 영역(124)은 차량의 길이 방향(승객룸에서 엔진룸을 향하는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을 따라 배치된 프론트 필라, 센터 필라 및 리어 필라 중 프론트 필라와 센터 필라 사이의 영역의 일부분을 커버할 수 있다. 제1-1 영역(124)은 프론트 시트(운전석 또는 동승석)에 탑승한 승객을 차폭 방향(운전석에서 동승석을 향하는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승객의 머리 및 몸통의 측부와 팔 중 가장 두꺼운 몸통의 두께에 대응하는 영역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제1-2 영역(126)은 제1 주입구(122)를 기준으로 제1 주입구(122)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커튼 에어백용 쿠션(100)이 전개될 경우, 제1-2 영역(126)은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 프론트 필라, 센터 필라 및 리어 필라 중 센터 필라와 리어 필라 사이의 영역을 커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전개 영역(120)은 차량의 탑승한 승객들과 우선적으로 접촉되어, 승객들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제2 전개 영역(140)은 구획부(160)에 의해 제1 전개 영역(120)을 감싸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전개 영역(140)은 커튼 에어백용 쿠션(100)의 전개 시, 제1 전개 영역(120)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전개 영역(140)은 제2 주입구(142) 제2-1 영역(144) 및 제2-2 영역(146)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주입구(142)는 제2-1 영역(144)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주입구(142)는 커튼 에어백용 쿠션(100)의 테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주입구(142)는 제1 주입구(122)가 배치된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주입구(142)는 후술할 제2 인플레이터(340)를 수용할 수 있다. 제2 주입구(142)는 제2-1 영역(144)과 연결된다. 제2 주입구(142)는 인플레이터(300)에서 배출되는 가스가 주입되는 통로로 사용될 수 있다.
제2-1 영역(144)은 제2 주입구(142)와 연결될 수 있다. 제2-1 영역(144)은 제2 주입구(142)로부터 커튼 에어백용 쿠션(100)의 테두리 부근에 배치될 수 있다. 제2-1 영역(144)은 구획부(160)에 의해 제1-1 영역(124) 및 제1-2 영역(126)과 서로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제2-1 영역(144)은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 프론트 필라, 센터 필라 및 리어 필라 중 프론트 필라와 센터 필라 사이의 영역의 타부분을 커버할 수 있다. 즉, 제2-1 영역(144)은 프론트 필라와 센터 필라 사이의 영역 중 제1-1 영역(124)이 커버하지 않는 영역을 커버할 수 있다.
또한, 제2-1 영역(144)은 센터 필라와 리어 필라 사이의 영역 중 제1-2 영역(126)이 커버하지 않는 영역을 커버할 수 있다. 따라서, 제2-1 영역(144)은 리어 시트에 앉은 승객이 제1-2 영역(126)에 접촉할 경우, 제1-2 영역(126)이 차량의 높이 방향(차량의 천장면에서 바닥면을 향하는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을 따라 처지지 않도록 제1-2 영역(126)을 지지할 수 있다.
제2-2 영역(146)은 제2-1 영역(144)과 연결될 수 있다. 제2-2 영역(146)은 제2-1 영역(144)으로부터 제1 전개 영역(120)의 제1 주입구(122)를 향해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2 영역(146)은 제1-1 영역(124)과 제2-1 영역(14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2 영역(146)은 프론트 필라와 리어 필라 사이에 배치된 센터 필라가 배치된 영역과 길이 방향을 따라 센터 필라와 근접한 주변 영역을 커버할 수 있다. 제2-2 영역(146)은 제1-1 영역(124) 또는 제1-2 영역(126)에 승객이 접촉할 경우, 제1-1 영역(124) 또는 제1-2 영역(126)이 길이 방향을 따라 밀리지 않도록 제1-1 영역(124) 또는 제1-2 영역(126)을 지지할 수 있다.
제2-2 영역(146)은 제1-1 영역(124)과 제1-2 영역(126)을 구획할 수 있다. 따라서, 제2-2 영역(146)은 제1-1 영역(124)으로 이동하는 가스가 제1-2 영역(126)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방지벽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1-2 영역(126)으로 이동하는 가스가 제1-1 영역(124)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방지벽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제2-2 영역(146)은 제1-1 영역(124)의 전개 속도와 제1-2 영역(126)의 전개 속도를 설계 과정에서 의도한 대로 구현되도록 도울 수 있다.
구획부(160)는 커튼 에어백용 쿠션(1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획부(160)는 제1 전개 영역(120)과 제2 전개 영역(140)을 구획할 수 있다. 구획부(160)는 커튼 에어백용 쿠션(100)을 이루는 2개의 소재의 내면을 연결하도록 커튼 에어백용 쿠션(1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획부(160)는 인플레이터(300)에서 배출되는 가스를 가이드 할 수 있다.
구획부(160)는 제1 전개영역에서 이동하는 가스가 제2 전개 영역(140)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가스의 누출을 차단하며, 제2 전개 영역(140)에서 이동하는 가스가 제1 전개 영역(120)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가스의 누출을 차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인플레이터(300)에서 배출되는 가스가 커튼 에어백용 쿠션(100)의 내부에 전체적으로 퍼져 승객의 머리 또는 신체가 만개 시점의 전에 접촉하는 종래의 커튼 에어백용 쿠션에 비해, 본 발명의 커튼 에어백용 쿠션(100)의 구획부(160)는 승객의 머리 또는 신체가 제1 전개 영역(120)의 만개 시점에 접촉될 수 있도록 제1 전개 영역(120)의 전개 속도를 설계 과정에서 의도한 대로 구현시킬 수 있다.
복수 개의 디퓨져(200)는 커튼 에어백용 쿠션(100)과 결합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디퓨져(200)는 인플레이터(300)에서 생성되는 가스를 가이드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디퓨져(200)는 인플레이터(300)와 결합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디퓨져(200)는 제1 디퓨져(220) 및 제2 디퓨져(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디퓨져(220)는 제1 전개 영역(120)의 제1 주입구(122)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디퓨져(220)는 제1-1 영역(124)과 제1-2 영역(126)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제1 디퓨져(220)는 후술할 제1 인플레이터(320)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 및 제1 지지부와 연결되며, 제1 인플레이터(320)에서 배출되는 가스가 제1-1 영역(124)과 제1-2 영역(126)으로 나누어 이동할 수 있도록 가스의 이동 방향을 가이드 하는 제1 통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디퓨져(240)는 제2 전개 영역(140)의 제2 주입구(142)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디퓨져(240)는 제2-1 영역(144)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디퓨져(240)는 후술할 제2 인플레이터(340)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 및 제2 지지부와 연결되며, 제2 인플레이터(340)에서 배출되는 가스가 제2-2 영역(146)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스의 이동 방향을 가이드 하는 제2 통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디퓨져(240)는 구획부(160)와 접촉되어 구획부(160)에 지지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인플레이터(300)는 제1 디퓨져(220)에 삽입되는 제1 인플레이터(320) 및 제2 디퓨져(240)에 삽입되는 제2 인플레이터(3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인플레이터(320)는 제1 지지부에 지지되며, 제2 인플레이터(340)는 제2 지지부에 지지될 수 있다. 승객의 머리 또는 신체와 접촉되는 제1 전개 영역(120)이 제2 전개 영역(140)보다 먼저 전개될 수 있도록 제1 인플레이터(320)의 가스 생성 시간을 제2 인플레이터(340)의 가스 생성 시간보다 빠르게 설정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인플레이터(320)는 제2 인플레이터(340)와 가스 생성 시간을 동일하게 설정할 수 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튼 에어백용 어셈블리는 구획부(160)에 의해 복수의 전개 영역을 가지며, 각각의 전개 영역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인플레이터(300)를 통해 각각의 전개 영역의 전개 속도의 지연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만개 시점 또는 만개 시점 이후에 승객의 머리 또는 신체가 접촉될 수 있으므로, 커튼 에어백용 쿠션(100)이 승객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흡수 성능이 설계 과정에서 의도한 대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전개 영역(120), 제2 전개 영역(140) 및 인플레이터(300)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전개 영역(120), 제2 전개 영역(140) 및 인플레이터(300)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할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튼 에어백 어셈블리(1)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인플레이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커튼 에어백용 쿠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인플레이터(300)는 메인 바디부(360), 복수 개의 배출부(380) 및 커넥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바디부(360)는 제1 디퓨져(220)가 배치된 위치로부터 제2 디퓨져(240)가 배치된 위치까지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메인 바디부(360)의 일단은 제1 디퓨져(220)의 제1 지지부에 지지되며, 타단은 제2 디퓨져(240)의 제2 지지부에 지지될 수 있다. 메인 바디부(360)는 내부에 가스 생성을 위한 가스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가스 생성부는 후술할 제1 배출부(382)와 제2 배출부(384)에 각각 가스가 배출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방향(제1 배출부(382)와 제2 배출부(384)를 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생성부 및 제2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바디부(360)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제1 생성부는 제1 배출부(382)를 향해 배치되며, 제2 생성부는 제2 배출부(384)를 향해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배출부(380)는 메인 바디부(360)의 내부에서 생성되는 가스를 메인 바디부(360)의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복수 개의 배출부(380)는 제1 디퓨져(220)와 연결되는 제1 배출부(382) 및 제2 디퓨져(240)와 연결되는 제2 배출부(384)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팅부는 메인 바디부(360)의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다. 커넥팅부는 외부 장치와 연결되어 외부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가스 생성부에 전달할 수 있다.
커넥팅부를 통해 전달된 신호를 받은 가스 생성부는 제1 배출부(382)와 제2 배출부(384)를 통해 배출되는 가스의 생성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배출부(384)보다 제1 배출부(382)를 통해 가스가 더 빠르게 배출되게 조절하고 싶은 경우, 가스 생성부의 제1 생성부의 가스 생성 시간을 제2 생성부의 가스 생성 시간보다 빠르게 설정하여 제1 생성부가 제2 생성부보다 가스를 더 빠르게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생성부와 제2 생성부의 가스 생성 시간을 동일하게 설정하여 제1 생성부와 제2 생성부는 동일한 시간에 가스를 생성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커튼 에어백용 쿠션(100)의 제1 전개 영역(120)은 제1-3 영역(128)을 더 포함하고, 제2 전개 영역(140)은 제2-3 영역(14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3 영역(128)은 길이 방향을 따라 제1-2 영역(126)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3 영역(128)은 제1-2 영역(126)과 연결될 수 있다. 제1-3 영역(128)은 제2-3 영역(148)을 사이에 두고 제1-2 영역(126)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1-3 영역(128)은 승객룸에서 엔진룸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리어 필라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제1-3 영역(128)은 6인승 또는 6인승 이상의 차량에 배치된 리어 필라의 후방 영역을 커버할 수 있다. 따라서, 제1-3 영역(128)은 6인승 또는 6인승 이상의 차량의 리어 시트에 탑승한 승객의 머리 또는 신체와 접촉되어 승객의 머리 또는 신체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제2-3 영역(148)은 제2-1 영역(144)과 연결될 수 있다. 제2-3 영역(148)은 제1-1 영역(124)과 제1-3 영역(128)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3 영역(148)은 제1-1 영역(124)과 제1-3 영역(128)을 구획할 수 있다. 제2-3 영역(148)은 6인승 또는 6인승 이상의 차량에 배치된 리어 필라 및 리어 필라의 주변 영역을 커버할 수 있다. 제2-3 영역(148)은 제1-1 영역(124) 또는 제1-3 영역(128)에 승객이 접촉할 경우, 제1-1 영역(124) 또는 제1-3 영역(128)이 길이 방향을 따라 밀리지 않도록 제1-1 영역(124) 또는 제1-3 영역(128)을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3 영역(128)과 제2-3 영역(148)은 커튼 에어백용 쿠션(100)이 4인승 이상의 차량에 적용될 수 있도록 커튼 에어백용 쿠션(100)의 전체 길이를 늘리게 하여, 4인승 이상의 차량의 리어 시트에 탑승한 승객의 머리 또는 신체의 측부를 보호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수정과 변경에 관계된 차이점들을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커튼 에어백 어셈블리 100: 커튼 에어백용 쿠션
120: 제1 전개 영역 122: 제1 주입구
124: 제1-1 영역 126: 제1-2 영역
128: 제1-3 영역 140: 제2 전개 영역
142: 제2 주입구 144: 제2-1 영역
146: 제2-2 영역 148: 제2-3 영역
160: 구획부 200: 복수 개의 디퓨져
220: 제1 디퓨져 240: 제2 디퓨져
300: 인플레이터 320: 제1 인플레이터
340: 제2 인플레이터 360: 메인 바디부
380: 복수 개의 배출부 382: 제1 배출부
384: 제2 배출부
120: 제1 전개 영역 122: 제1 주입구
124: 제1-1 영역 126: 제1-2 영역
128: 제1-3 영역 140: 제2 전개 영역
142: 제2 주입구 144: 제2-1 영역
146: 제2-2 영역 148: 제2-3 영역
160: 구획부 200: 복수 개의 디퓨져
220: 제1 디퓨져 240: 제2 디퓨져
300: 인플레이터 320: 제1 인플레이터
340: 제2 인플레이터 360: 메인 바디부
380: 복수 개의 배출부 382: 제1 배출부
384: 제2 배출부
Claims (13)
- 차량의 필라 트림의 상측에 배치되며, 인플레이터에서 생성되는 가스를 통해 전개되는 커튼 에어백용 쿠션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에서 배출되는 가스가 주입되는 제1 주입구를 가지는 제1 전개 영역;
상기 인플레이터에서 배출되는 가스가 주입되는 제2 주입구를 가지는 제2 전개 영역; 및
상기 제1 전개 영역과 상기 제2 전개 영역을 구획하는 구획부; 를 포함하는 커튼 에어백용 쿠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개 영역은 상기 구획부에 의해 상기 제1 전개 영역을 감싸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에어백용 쿠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개 영역은,
상기 제1 주입구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주입구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주입구와 상기 제2 주입구 사이에 배치되는 제1-1 영역; 및
상기 제1 주입구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주입구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1-2 영역; 을 포함하는 커튼 에어백용 쿠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개 영역은,
상기 제2 주입구와 연결되며, 상기 제2 주입구로부터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는 제2-1 영역; 및
상기 제2-1 영역과 연결되며, 상기 제2-1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1 전개 영역의 상기 제1 주입구를 향해 돌출된 형상을 가지는 제2-2 영역; 을 포함하는 커튼 에어백용 쿠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2 영역은 상기 제1-1 영역과 상기 제1-2 영역을 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에어백용 쿠션. - 차량의 필라 트림의 상측에 배치되는 커튼 에어백용 쿠션; 및
상기 커튼 에어백용 쿠션과 결합되어, 상기 커튼 에어백용 쿠션을 전개시키는 인플레이터; 를 포함하고,
상기 커튼 에어백용 쿠션은,
상기 인플레이터에서 배출되는 가스가 주입되는 제1 주입구를 가지는 제1 전개 영역;
상기 인플레이터에서 배출되는 가스가 주입되는 제2 주입구를 가지는 제2 전개 영역; 및
상기 제1 전개 영역과 상기 제2 전개 영역을 구획하는 구획부; 를 포함하는 커튼 에어백 어셈블리.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개 영역은 상기 구획부에 의해 상기 제1 전개 영역을 감싸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에어백 어셈블리.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개 영역은,
상기 제1 주입구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주입구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주입구와 상기 제2 주입구 사이에 배치되는 제1-1 영역; 및
상기 제1 주입구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주입구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1-2 영역; 을 포함하는 커튼 에어백 어셈블리.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개 영역은,
상기 제2 주입구와 연결되며, 상기 제2 주입구로부터 테두리 부근에 배치되는 제2-1 영역; 및
상기 제2-1 영역과 연결되며, 상기 제2-1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1 전개 영역의 상기 제1 주입구를 향해 돌출된 형상을 가지는 제2-2 영역; 을 포함하는 커튼 에어백 어셈블리.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튼 에어백용 쿠션과 결합되며, 상기 인플레이터에서 생성되는 가스를 가이드하는 복수 개의 디퓨져; 를 포함하는 커튼 에어백 어셈블리.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디퓨져는,
상기 제1 주입구에 배치되며, 상기 제1-1 영역과 상기 제1-2 영역에 각각 연결되는 제1 통로부를 포함하는 제1 디퓨져; 및
상기 제2 주입구에 배치되며, 상기 제2-1 영역에 연결되는 제2 통로부를 포함하는 제2 디퓨져; 를 포함하는 커튼 에어백 어셈블리.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는,
상기 제1 디퓨져에 삽입되는 제1 인플레이터; 및
상기 제2 디퓨져에 삽입되는 제2 인플레이터; 를 포함하는 커튼 에어백 어셈블리.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는,
상기 제1 디퓨져가 배치된 위치로부터 상기 제2 디퓨져가 배치된 위치까지의 길이를 가지는 메인 바디부; 및
상기 메인 바디의 양단부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배출부; 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배출부는,
상기 제1 디퓨져와 연결되는 제1 배출부; 및
상기 제2 디퓨져와 연결되는 제2 배출부; 를 포함하는 커튼 에어백 어셈블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86594A KR20240104385A (ko) | 2022-12-28 | 2022-12-28 | 커튼 에어백 어셈블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86594A KR20240104385A (ko) | 2022-12-28 | 2022-12-28 | 커튼 에어백 어셈블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104385A true KR20240104385A (ko) | 2024-07-05 |
Family
ID=91949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86594A KR20240104385A (ko) | 2022-12-28 | 2022-12-28 | 커튼 에어백 어셈블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104385A (ko) |
-
2022
- 2022-12-28 KR KR1020220186594A patent/KR20240104385A/ko unknow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45853B1 (ko) | 루프탑 에어백 장치 | |
CN101184654B (zh) | 带有t形安全气囊的安全气囊装置 | |
JP3107383B2 (ja) | 車体側部のエネルギ吸収構造 | |
KR102656154B1 (ko) | 에어백 장치 | |
US8876155B2 (en) | Curtain airbag device for vehicle | |
US10486636B2 (en) | Side pillar air curtain guide with air curtain insert of honeycomb construction | |
KR101491277B1 (ko) | 차량용 센터 에어백 | |
KR102363546B1 (ko) | 에어백 장치 | |
US7686327B2 (en) | Airbag Arrangement | |
JP2005335694A (ja) | 自動車用オーバーヘッド・エアバッグ | |
KR20090120026A (ko) | 차량의 에어백 | |
CN216546080U (zh) | 用于减少乘员的突然侧向和向前运动的气囊模块 | |
KR102391012B1 (ko) | 차량용 에어백 장치 | |
JP5435913B2 (ja) | エアバッグ装置 | |
KR20240104385A (ko) | 커튼 에어백 어셈블리 | |
JP6872373B2 (ja) | エアバッグ | |
JP7380499B2 (ja) | 車両の乗員保護装置 | |
KR20230166250A (ko) | 승객용 에어백 | |
JP6425339B2 (ja) | エアバッグ | |
KR20240106230A (ko) | 커튼 에어백용 쿠션 | |
KR102684770B1 (ko) | 차량용 무릎 에어백 | |
JP7189496B2 (ja) | 車両の上部内装構造 | |
JP2013203127A (ja) |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の収納方法 | |
KR102710109B1 (ko) | 커튼 에어백 쿠션 | |
KR20240001498A (ko) | 에어백 쿠션 및 사이드 에어백 장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