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03626A - 환기용 셔터 및 이에 의한 환기장치 - Google Patents

환기용 셔터 및 이에 의한 환기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03626A
KR20240103626A KR1020220185971A KR20220185971A KR20240103626A KR 20240103626 A KR20240103626 A KR 20240103626A KR 1020220185971 A KR1020220185971 A KR 1020220185971A KR 20220185971 A KR20220185971 A KR 20220185971A KR 20240103626 A KR20240103626 A KR 202401036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ventilation
shutter
ring
shape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5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희태
Original Assignee
(주)동성코코팬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성코코팬 filed Critical (주)동성코코팬
Publication of KR20240103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0362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64Construction of air inlets or outlets in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52Arrangement of fans or blo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04D25/1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the unit being adapted for mounting in apertures
    • F04D25/14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the unit being adapted for mounting in apertures and having shutters, e.g. automatically closed when not in use

Abstract

본 발명은 셔터 및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링형태로 형성되어 중앙공을 갖는 링형 프레임; 상기 링형 프레임의 후면에 형성되고, 측방에 등간격으로 끼움공이 형성되는 벽체형 보스; 및 상기 벽체형 보스의 상기 끼움공에 끼워져서 걸리는 걸림핀이 양단에 구비되어 상기 링형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복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며, 링형 프레임의 중앙공을 블레이드로 개폐한다.

Description

환기용 셔터 및 이에 의한 환기장치 {Shutters for ventilation and ventilation devices thereby}
본 발명은 환기용 셔터 및 이에 의한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건물의 벽체에 설치되어 건물의 실내공기를 건물의 외부로 배기하는 환기용 셔터 및 이에 의한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환기장치는 건물의 벽체에 형성된 환기공에 설치되어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환기시킨다. 이러한 환기장치는 다수의 블레이드가 구비된 셔터로 구성되거나 셔터 및 환기팬으로 구성되어 건물의 환기공에 설치된다. 특히, 환기장치는 우사나 돈사 또는 양계장과 같은 축사용 건물의 환기공에도 설치되어 실내의 공기를 환기시킨다.
축사용 건물의 환기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사의 벽체(W)에 형성된 환기공(1)에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환기팬(F)이 중공형 후드(20)를 통해 설치됨에 따라 실내(IN)의 공기를 실외(OUT)로 배기한다.
그러나, 이러한 축사용 환기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기팬(F)이 실내에 위치하므로 축사의 암모니아나 이물질 등의 오염물질에 노출된다. 따라서, 배기팬(F)은 수명 및 내구성이 단축된다.
또한, 환기팬(F)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벽과 단열재 및 벽돌로 구성된 벽체(W)의 환기공(1)을 통해 실내의 공기를 실외로 배기하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벽 및 단열재의 틈새, 그리고 단열재 및 벽돌의 틈새로 이물질 등의 오염물질이 유입되며, 이에 따라 축사의 벽체(W)를 따라 오염물질이 스며든다. 따라서, 오염된 벽체(W)는 오염물질에 의해 노후화 기간이 단축되며, 병균의 온상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악취의 원인을 제공한다.
그리고, 셔터(10)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루미늄이나 플라스틱 압출로 제조되어 절단된 프로파일들을 꺽쇠형 커넥터(11a)로 연결하여 사각의 링형 프레임(11)을 제조한 후, 링형 프레임(11)에 블레이드(13)의 걸림핀(13a)이 끼워지는 끼움공(11h)을 일일이 드릴로 천공해야 하므로 작업이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천공시 불량률이 높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달리, 셔터(10)는 절단된 프로파일들이 단부가 경사절단된 후 경사진 단부가 용접으로 연결될 수도 있으나, 이러한 경우에도 단부들을 일치시켜서 용접을 해야 하므로 작업이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불량률이 높다.
한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952373호(경상대학교)는, 외부공기가 흡입되는 후드(3a)와 내부공기가 배출되는 환기팬(4)을 구비하는 무창축사용 환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후드(3a)와 연결된 덕트(6); 상기 덕트(6)의 내부에 소정범위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어 공기의 유동량을 제어하는 경량판자(9a); 상기 경량판자(9a)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환기팬(4)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의 유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경량판자(9a)에 견인력을 작용시키는 탄성수단(8); 상기 탄성수단(8)의 타단이 고정되는 고정대(10a); 상기 경량판자(9a)의 견인범위를 제한하는 걸림쇠(7); 및 상기 경량판자(9a)의 일측에 부착되어 상기 탄성수단(8)을 연결하며, 경량판자(9a)의 회전위치에 따라 상기 탄성수단(8)의 일단이 유동가능하도록 하는 가이드(12);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12)는 내부에 상기 탄성수단(8)과 연결되어 유동되는 연결베어링(8g)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창축사용 환기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080261호(대한민국)는, 길이방향 전·후방벽과, 폭방향 두 측벽 및 지붕을 포함하는 무창돈사용 환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후방벽(10)(20) 사이의 완충벽(40)에 의해 구획된 돼지 사육공간(R2) 및 신선한 실외공기가 유입되는 완충공간(R1)과; 상기 측벽(30) 중 후방벽(20)과 완충벽(40) 사이의 부분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가 구비되며, 각각 환기팬(32)이 결합된 배기구(33)와; 상기 완충벽(40) 상부에 폭방향을 따라 관통 구비된 다수의 주흡기구(41)와; 상기 각 주흡기구(41)에 결합되어 후방벽(20)측으로 연장되며, 후방벽(20)측 후단이 폐쇄되고, 하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송풍구(61)가 관통형성된 송풍덕트(6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후방벽(20)과 완충벽(40) 사이에 위치한 측벽(30) 상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보조흡기구(31)가 구비되며, 상기 보조흡기구(31)에는, 개폐수단(31A)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창돈사용 환기 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들은 앞서 설명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을 개시하거나 제안하지 못한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952373호(경상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080261호(대한민국)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셔터를 사출이나 다이캐스팅 또는 주조나 주물 등의 몰드를 통해 성형할 수 있는 셔터 및 이에 의한 환기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특히, 성형시 블레이드의 걸림핀이 끼워지는 끼움공이 일체로 형성되는 셔터 및 이에 의한 환기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그리고, 이러한 셔터가 환기팬 및 건물의 벽체를 보호할 수 있는 상태로 조립되어 건물에 설치되는 환기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 다른 목적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셔터는, 환기공이 형성된 건물의 벽체에 일체로 고정되는 환기용 셔터에 있어서, 링형태로 형성되어 중앙에 상기 건물의 상기 환기공과 대향하는 중앙공이 구비되고, 상기 중앙공의 테두리를 따라 핀홀이 등간격으로 관통형성되는 링형 프레임; 상기 링형 프레임의 후면에 형성되되, 상기 중앙공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링형 프레임의 후면에 벽체형태의 테두리를 제공하고, 측방에 등간격으로 끼움공이 형성되는 벽체형 보스; 및 상기 벽체형 보스의 상기 끼움공에 끼워져서 걸리는 걸림핀이 양단에 구비되고, 상기 걸림핀이 상기 끼움공에 걸림에 따라 상기 링형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링형 프레임의 상기 중앙공을 개폐하는 복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상기 링형 프레임 및 상기 보스는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링형 프레임은 판상의 패널로 구성되어 매끄러운 표면을 갖는다.
상기 벽체형 보스는, 상기 링형 프레임에 형성된 상기 핀홀과 연통된 상태로 상기 끼움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벽체형 보스는, 상기 링형 프레임의 상기 중앙공과 이격된 상태로 상기 중앙공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중앙공의 내측에 상기 블레이드를 지지하는 지지턱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벽체형 보스의 측방을 지지하여 상기 벽체형 보스를 보강하는 보강유닛;을 더 포함한다.
상기 보강유닛은, 상기 벽체형 보스의 외측에 이격상태로 형성되는 추가 보스; 및 성가 벽체형 보스 및 상기 추가 보스를 연결하는 복수의 리브;을 포함한다.
상기 추가 보스는 경사형성된다.
상기 셔터는 체결공이나 밀착날개가 구비된다.
한편, 본 발명의 환기장치는, 환기공이 형성된 건물의 벽체에 일체로 고정되고, 중공을 갖는 중공관으로 구성되어 상기 환기공과 연통된 상태로 벽체에 고정되거나 상기 환기공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벽체에 고정되며, 중공의 선단측 유입구 및 종단측 배출구를 통해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안내하는 중공 후드; 상기 중공 후드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환기공을 개폐가능하게 차폐하는 전술한 셔터; 및 상기 셔터가 설치된 상기 중공 후드의 내부에 음압을 제공하여 실내의 공기를 상기 중공 후드의 중공으로 흡입하여 배기하는 환기팬;을 포함한다.
상기 중공 후드는, 상기 셔터가 설치된 일측이 건물의 실내에 위치하거나 상기 환기공의 내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셔터는, 상기 중공 후드의 일측에 의해 건물의 실내나 상기 환기공의 내측에 위치하고, 폐쇄 작동을 통해 실내의 공기가 상기 환기팬으로 송풍되는 것을 차단하며, 개방 작동을 통해 실내의 공기가 상기 환기팬으로 송풍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공 후드는, 상기 셔터를 수용하고, 단차형태의 단면을 갖는 확관부가 단부에 형성된다.
상기 중공 후드는, 상기 확관부가 상기 건물의 실내에서 상기 환기공의 외측에 걸린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환기팬의 작동에 의한 음압으로 셔터의 블레이드가 편축회전되면서 환기공을 개방하므로, 환기팬이 미작동하는 평상시에는 환기팬으로 실내의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환기팬을 오염된 실내 공기로부터 보호한다.
그리고, 링형 프레임의 지지턱에 블레이드의 하단이 지지되므로 블레이드가 펄럭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끼움공이 성형에 의해 벽체형 보스에 일체로 형성되므로 끼움공을 일일이 형성하는 종전의 드릴작업이나 용접작업을 생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종전과 같은 불량률을 개선할 수 있다.
또, 셔터의 핀홀과 끼움공이 연통되므로 성형시 끼움공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일측면이 매끄럽게 형성되므로 일측면에 이물질이 끼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셔터의 추가 보스 및 리브에 의해 강성이 보강됨에 따라 편축회전되는 블레이드의 양단을 벽체형 보스가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추가 보스 및 리브가 중공 후드에 수용되어 노출이 방지되므로 추가 보스 및 리브들 사이에 이물질이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중공 후드가 벽체의 환기공에 끼워지므로 실내의 공기가 환기공의 내부로 누기되어 벽체의 틈새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중공 후드의 확관부가 실내에서 벽체에 걸리므로 실내의 공기가 벽체의 틈새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게다가, 외측의 추가 보스가 경사형성될 경우 추가 보스를 통해 벽체의 환기공을 차폐할 수 있으므로 실내의 공기가 벽체로 유입되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셔터의 외측에 밀착날개가 구비될 경우 밀착날개를 통해 중공 후드나 벽체에 셔터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환기공이 형성된 일반적인 건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건물에 설치된 셔터 및 환기장치의 종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셔터 및 환기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셔터의 링형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셔터 및 블레이더의 일부분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셔터 및 환기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셔터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링형 프레임의 후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7에 도시된 후면의 벽체형 보스를 절개하여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6의 링형 프레임 및 블레이드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도 7에 도시된 링형 프레임의 후면을 도시한 배면도;
도 12는 도 6에 도시된 셔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셔터의 후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셔터의 종단면도;
도 15는 도 12에 도시된 셔터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16은 도 6에 도시된 셔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셔터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및
도 18은 도 16의 셔터가 단독으로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셔터 및 이에 의한 환기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셔터(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기공(1)이 형성된 건물의 벽체에 일체로 고정된다. 셔터(50)는 건물의 실내측 벽체에 고정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실외측 벽체에 고정될 수도 있다. 셔터(5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링형 프레임(51) 및 블레이드(53),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벽체형 보스(55)를 포함한다.
링형 프레임(51)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형태로 형성되어 중앙에 건물의 환기공(1)과 대향하는 중앙공이 구비된다. 링형 프레임(51)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기공(1)에 설치시 실내를 향하는 외측면, 즉 실내의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측의 외측면이 매끄러운 표면으로 구성된다. 링형 프레임(51)은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로 구성됨에 따라 외측면의 표면이 매끄럽게 형성될 수 있다. 링형 프레임(51)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공의 테두리를 따라 핀홀(51a)이 등간격으로 관통형성된다. 핀홀(51a)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P1) 및 단턱(P2)을 갖는 성형핀(P)이 금형에 구비됨에 따라, 성형시 링형 프레임(51)에 관통상태로 형성된다.
벽체형 보스(55)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형 프레임(51)의 후면에 벽체형태로 형성된다. 벽체형 보스(55)는 성형에 의해 링형 프레임(51)의 후면에 일체로 형성되되, 도시된 바와 같이 링형 프레임(51)의 중앙공을 따라 형성되어 링형 프레임(51)의 후면에 벽체형태의 테두리를 제공한다. 벽체형 보스(55)는 전술한 성형핀(P)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측방에 등간격의 끼움공(55a)이 형성된다. 끼움공(55a)은 전술한 성형핀(P)에 의해 성형됨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링형 프레임(51)의 핀홀(51a)과 연통된다.
블레이드(53)는 도 7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구성되며, 벽체형 보스(55)의 끼움공(55a)에 끼워져서 걸리는 걸림핀(53a)이 양단에 구비된다. 블레이드(53)는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휘어지면서 걸림핀(53a)이 끼움공(55a)에 걸림에 따라 링형 프레임(51)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즉, 블레이드(53)는 도 6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축회전된다. 블레이드(53)는 편축회전에 의해 링형 프레임(51)의 중앙공을 개폐한다.
여기서, 전술한 벽체형 보스(55)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형 프레임(51)의 중앙공과 이격된 상태로 중앙공을 따라 형성되어 중앙공의 내측에 블레이드(53)를 지지하는 지지턱(51b)을 제공한다. 즉, 블레이드(5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이 지지턱(51b)에 지지된다. 이에 따라, 블레이드(53)는 전후로 펄럭이지 않고, 일방향으로만 편축회전된다. 따라서, 셔터(50)는 블레이드(53)가 편축회전됨에 따라 공기를 양방향으로 소통시키지 못하고 일방향으로만 공기를 안내한다.
한편, 링형 프레임(51)은 벽체형 보스(55)의 측방을 지지하여 벽체형 보스(55)의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유닛이 구비된다. 보강유닛은 도 8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형 보스(55)의 외측에 이격상태로 형성되는 추가 보스(57) 및 이러한 추가 보스(57)를 벽체형 보스(55)에 연결하는 복수의 리브(R)를 포함한다. 따라서, 벽체형 보스(55)는 블레이드(53)의 회전시 유동되어도 추가 보스(57) 및 리브(R)에 의해 지지되므로 강성이 보강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 의한 셔터(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기공(1)이 형성된 건물의 벽체에 일체로 고정되고, 중공을 갖는 중공관으로 구성되어 환기공(1)과 연통된 상태로 벽체에 고정되거나 환기공(1)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로 벽체에 고정되며, 중공의 선단측 유입구 및 종단측 배출구를 통해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안내하는 중공 후드(60)에 장착된다. 셔터(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 후드(60)의 일측, 즉 유입구가 구비된 중공의 선단측에 장착되어 건물의 실내 내지 환기공(1)의 내측에서 벽체(W)의 환기공(1)을 개폐가능하게 차폐한다. 셔터(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 후드(60)의 내측에 설치되는 환기팬(F)의 음압에 의해 환기공(1)을 개폐한다.
여기서, 전술한 중공 후드(6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50)를 수용하고, 단차형태의 단면을 갖는 확관부(61)가 단부에 형성된다. 중공 후드(60)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확관부(61)에 셔터(50)가 삽입되어 확관부(61)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식 클립(60a)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볼팅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이러한 중공 후드(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확관부(61)가 건물의 실내에 위치함에 따라 건물에 형성된 환기공(1)의 외측에 걸린상태로 벽체(1)에 고정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는, 환기팬(F)의 작동에 의한 음압으로 셔터(50)의 블레이드(53)가 편축회전되면서 환기공(1)을 개방한다. 따라서, 셔터(50)는 실내의 공기를 중공 후드(60)를 통해 건물의 외부로 배기하여 공기를 환기시킨다.
이러한 셔터(50)는 환기팬(F)의 작동이 종료되면, 원위치로 복귀되어 환기공(1)을 차폐한다. 이때, 블레이드(53)는 링형 프레임(51)의 지지턱(51b)에 하단이 지지되므로 펄럭이지 않는다. 따라서, 셔터(50)는 실내의 공기가 환기팬(F)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그리고, 셔터(50)는 끼움공(55a)이 성형에 의해 벽체형 보스(55)에 일체로 형성되므로 끼움공(55a)을 형성하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종전과 같은 불량률을 개선할 수 있다.
또, 셔터(50)는 핀홀(51a)과 끼움공(55a)이 연통되므로 성형시 끼움공(55a)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일측면이 매끄럽게 형성되므로 일측면에 이물질이 끼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셔터(50)는 추가 보스(57) 및 리브(R)에 의해 강성이 보강됨에 따라 편축회전되는 블레이드(53)의 양단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추가 보스(57) 및 리브(R)가 중공 후드(60)에 수용되어 노출이 방지되므로 추가 보스(57) 및 리브(R)의 사이에 이물질이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중공 후드(60)의 확관부(61)가 실내에서 벽체(W)에 걸리므로 실내의 공기가 벽체(W)의 틈새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추가 보스(57)는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형 보스(55)에 대하여 경사형성되고, 리브(R)에 의해 벽체형 보스(55)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 보스(57)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체결용 체결공(BH)이 형성되어 체결공(BH)을 통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 후드(60)의 확관부에 볼팅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셔터(5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 보스(57)로 벽체(W)의 환기공(1)을 차폐할 수 있다. 따라서, 실내의 공기가 벽체(W)로 유입되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셔터(50)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에 밀착날개(59)가 구비될 수 있다. 밀착날개(59)는 셔터(50)의 성형시 셔터(50)에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밀착날개(59)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 후드(60)의 확관부에 볼팅으로 고정되거나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W)에 볼팅으로 직결될 수도 있다. 따라서, 셔터(50)는 밀착날개(59)에 의해 중공 후드(60)나 벽체(W)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질적 특징이 충족될 수 있을 경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한 변형(구조나 구성의 변경이나 부분적 생략 또는 보완)이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들은 특징의 일부 또는 다수가 상호 간에 조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구조 및 구성은 변형이나 조합에 의해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구조 및 구성의 변형이나 조합이 첨부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50: 셔터 51: 링형 프레임
51a: 핀홀 51b: 지지턱
53: 블레이드 53a: 걸림핀
55: 벽체형 보스 55a: 끼움공
57: 추가 보스 59: 밀착날개
60: 중공 후드 61: 확관부

Claims (5)

  1. 환기공이 형성된 건물의 벽체에 일체로 고정되는 환기용 셔터에 있어서,
    링형태로 형성되어 중앙에 상기 건물의 상기 환기공과 대향하는 중앙공이 구비되고, 상기 중앙공의 테두리를 따라 핀홀이 등간격으로 관통형성되는 링형 프레임;
    상기 링형 프레임의 후면에 형성되되, 상기 중앙공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링형 프레임의 후면에 벽체형태의 테두리를 제공하고, 측방에 등간격으로 끼움공이 형성되는 벽체형 보스; 및
    상기 벽체형 보스의 상기 끼움공에 끼워져서 걸리는 걸림핀이 양단에 구비되고, 상기 걸림핀이 상기 끼움공에 걸림에 따라 상기 링형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링형 프레임의 상기 중앙공을 개폐하는 복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링형 프레임 및 상기 보스는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용 셔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형 보스는,
    상기 링형 프레임에 형성된 상기 핀홀과 연통된 상태로 상기 끼움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용 셔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형 보스는,
    상기 링형 프레임의 상기 중앙공과 이격된 상태로 상기 중앙공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중앙공의 내측에 상기 블레이드를 지지하는 지지턱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용 셔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형 보스의 측방을 지지하여 상기 벽체형 보스를 보강하는 보강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유닛은,
    상기 벽체형 보스의 외측에 이격상태로 형성되는 추가 보스; 및
    성가 벽체형 보스 및 상기 추가 보스를 연결하는 복수의 리브;을 포함하는 환기용 셔터.
  5. 환기공이 형성된 건물의 벽체에 일체로 고정되고, 중공을 갖는 중공관으로 구성되어 상기 환기공과 연통된 상태로 벽체에 고정되거나 상기 환기공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벽체에 고정되며, 중공의 선단측 유입구 및 종단측 배출구를 통해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안내하는 중공 후드;
    상기 중공 후드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환기공을 개폐가능하게 차폐하는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셔터; 및
    상기 셔터가 설치된 상기 중공 후드의 내부에 음압을 제공하여 실내의 공기를 상기 중공 후드의 중공으로 흡입하여 배기하는 환기팬;을 포함하고,
    상기 중공 후드는,
    상기 셔터가 설치된 일측이 건물의 실내에 위치하거나 상기 환기공의 내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셔터는,
    상기 중공 후드의 일측에 의해 건물의 실내나 상기 환기공의 내측에 위치하고, 폐쇄 작동을 통해 실내의 공기가 상기 환기팬으로 송풍되는 것을 차단하며, 개방 작동을 통해 실내의 공기가 상기 환기팬으로 송풍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KR1020220185971A 2022-12-27 환기용 셔터 및 이에 의한 환기장치 KR20240103626A (k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03626A true KR20240103626A (ko) 2024-07-04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T1902258E (pt) Caixa de condução de ar
KR20170046117A (ko) 여닫이 방식의 환기 장치
KR20240103626A (ko) 환기용 셔터 및 이에 의한 환기장치
ES2956669T3 (es) Un sistema de ventana de tejado que comprende un conjunto de ventilación con un dispositivo de escape y un método para operar un conjunto de ventilación de dicho sistema de ventana de tejado
KR101195061B1 (ko) 캠 구동 개폐식 전동댐퍼
KR100818667B1 (ko) 비닐하우스의 교반 및 환기 시스템
KR100532023B1 (ko) 공동주택용 환기장치
KR20050111145A (ko) 환기용 창틀
KR102186760B1 (ko) 환기 기능을 가지는 공기조화기
JP5315005B2 (ja) 換気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建物
JP2009097789A (ja) 浴室換気装置
KR102280520B1 (ko) 유리창 대체 환기장치 급배기구 연결 모듈
JP2011027335A (ja) 送風機能付き内装パネル装置
KR200424327Y1 (ko) 환기장치
KR20100092234A (ko) 벽체 매립형 자연 환기장치
KR20150134651A (ko) 덕트 환기장치
WO2017149669A1 (ja) 換気扇
KR200375702Y1 (ko) 온실용 지붕 환풍기
JP2006002964A (ja) 住宅換気構造
KR950001072Y1 (ko) 실내환기장치
WO2022091295A1 (ja) 送風装置
WO2022219812A1 (ja) 換気扇
KR200367865Y1 (ko) 환풍기 개폐문
KR100763418B1 (ko) 환기장치
JPH0726848A (ja) 強制吸気式換気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