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01766A - 산화아연을 포함하는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산화아연을 포함하는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01766A
KR20240101766A KR1020240082449A KR20240082449A KR20240101766A KR 20240101766 A KR20240101766 A KR 20240101766A KR 1020240082449 A KR1020240082449 A KR 1020240082449A KR 20240082449 A KR20240082449 A KR 20240082449A KR 20240101766 A KR20240101766 A KR 202401017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inc
cosmetic composition
zinc oxide
acid
antioxida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82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문
정현진
최명진
전진주
백현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Priority to KR1020240082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101766A/ko
Publication of KR20240101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01766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7Zinc;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61K8/375Esters of carboxylic acids the alcohol moiety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6Triazole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benzotri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8Tocopherol, i.e. vitamin 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5Anti-irrita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은 산화아연과 항산화제의 적정함량을 적용하여 제형 내 오일의 산패를 막아 제형의 안정성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고, 안정도를 개선한 제형을 피부에 적용시 항산화 효과를 부여한다.

Description

산화아연을 포함하는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ANTIOXIDATIVE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ZINC OXIDE}
본 발명은 산화아연을 포함하는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의 일반적인 항산화제와 더불어 산화아연을 함께 적용함으로써 제형의 안정성을 개선하고, 피부에 항산화 효과를 부여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이란 인체를 청결하게 하고 미화하여 용모를 밝게 변화시키거나 매력을 더하고. 피부와 모발의 건강을 유지 및 증진하기 위해 인체에 사용되는 물품을 말한다.
메이크업 화장품은 용모를 아름답게 변화시켜 피부를 아름답게 보이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피부에 도포시 색채감을 부여하여 피부색을 아름답게 표현하며, 기초화장품으로 커버할 수 없는 피부의 결점을 보완하고 건강하고 매력적인 상태로 보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화장행위에 의한 심리적인 만족감과 자신감을 생기게 하는 심리적 효과를 부여해주며, 피부를 아름답게 표현하는 미적 효과, 태양광선의 자외선으로 피부를 보호하는 보호적 효과를 부여한다.
과거의 메이크업 제품은 피부의 결점 보완 및 아름다운 피부색 표현과 같은 본연의 기능에만 충실했다면 최근에는 보습, 미백, 주름개선은 물론 항산화, 항염증과 같은 실제 피부에 대해 케어 기능을 가지는 고효능 메이크업 제품이 늘어나고 있다.
이는 스킨케어와 메이크업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단계가 간소화됨에 따른 현상으로 색조메이크업에서도 실제 인체에 좋은 영향을 줄 수 있는 제품 개발이 중요해지고 있다.
실제로 이런 유효한 기능을 가지는 제품에 가장 필수적인 요소는 제형의 안전성과 안정성이다.
화장품에서 기본적이면서 필수적인 요소를 화장품의 4대 요건이라 하는데 이는 안전성, 안정성, 유효성, 사용성이다.
안전성은 피부에 대한 자극, 알레르기, 독성이 없을 것, 안정성은 보관에 따른 산화, 변질, 변이, 미생물의 오염이 없을 것, 유효성은 피부 보습, 노화억제, 자외선차단, 미백, 세정, 색채효과 등 부여할 것, 사용성은 피부에 도포했을 때 사용감이 우수하고 매끄럽게 잘 스며들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인 유화형태의 화장료 조성물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제형이 분리되는 현상이 있다.
특히 고온과 같은 가혹한 조건에서는 제형의 표면으로 유상성분이 빠져나와 오일분리 현상이 흔하게 발견되며, 이러한 오일분리 현상을 가지는 제품을 장기 보관시 오일층이 산패 및 변질되어 제품 사용시 피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제형의 안정성이 곧 피부의 안전성과 연결되는 부분이며, 제품개발에 있어서 제형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산화아연과 기존의 일반적인 항산화제의 적정함량을 적용하여 제형 내 오일의 산패를 막아 제형의 안정성을 개선함과 동시에 피부에 항산화 효과를 부여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9246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68772호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적인 항산화제가 첨가된 화장료 조성물에 산화아연을 같이 적용함으로써 제형 내 오일의 산패를 방지함으로써 제형의 안정도를 개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제 피부에 항산화 효과를 부여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제와 산화아연을 포함하여 항산화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특징이다.
여기서, 항산화제는 화장품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wt% 내지 5wt% 함유될 수 있다.
0.01wt% 미만일 경우 제형의 항산화 역할을 할 수 없으며, 5wt% 초과일 경우 제형이 분리되는 등의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항산화제는, 4-부틸레조시놀, 아세틸시스테인, 알파-알부틴, 아스코빌팔미테이트, 아시아티코사이드, 바쿠치올, 벤조트라이아졸릴도데실p-크레솔, 비에이치에이, 비에이치티, 커큐민, 다이메틸메톡시크로만올,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 에틸페룰레이트, 에틸비스이미노메틸구아이아콜망가니즈클로라이드, 페룰릭애씨드, 진세노사이드, 헤스페리딘메틸칼콘, 호노키올,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하이드록시데실유비퀴논, 캠페롤, 코직애씨드, 라이코펜, 메이스리그난, 마그네슘아스코빌포스페이트, 마그놀올, 망가니즈다이옥사이드, 멜라토닌, 마이코스포린글라이신, 노르다이하이드로구아이아레틱애씨드, 옥소디옥시구아노신,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다이-t-부틸하이드록시하이드로신나메이트, 페닐에틸레조시놀, 플로레틴, 프로필갈레이트, 프로토카테쿠익알데하이드, 쿼세틴, 레스베라트롤, 로즈마리닉애씨드, 루틴, 시노린, 소듐아스코베이트, 소듐아스코빌포스페이트, 소듐메타바이설파이트, 탄닉애씨드, 티비에이치큐, 티옥틱애씨드, 치오글라이콜릭애씨드, 토코페롤, 토코페릴아세테이트, 토코페릴아세테이트, 토타롤, 바닐린, 아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산화아연은 화장품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wt% 내지 10wt% 함유될 수 있다.
0.1wt% 미만일 경우 제형의 항산화 역할을 할 수 없으며 10wt% 초과일 경우 제형의 사용감이 두꺼워지고 백탁이 생기는 등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여기서, 산화아연은, 징크, 마그네슘/알루미늄/징크/하이드록사이드/카보네이트, 징크피리치온, 징크스테아레이트, 징크글루코네이트, 징크설페이트, 징크피씨에이, 징크클로라이드, 징크리시놀리에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화아연을 포함하여 오일의 산패를 막아 제형의 안정성을 개선하고 항산화 효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1) 항산화제, 유상 성분, 산화아연, 안료를 포함하는 색소 베이스를 실온에서 일정 시간 동안 혼합하는 단계;
2) 상기 1)단계의 혼합물을 고온에서 일정 시간동안 혼합하면서 수상 성분을 투입하여 에멀젼을 제조하는 단계; 및
3) 상기 2)단계의 에멀젼을 냉각하는 단계;
여기서, 1) 단계의 성분들은 실온에서 패들 믹서를 이용하여 1000rpm 내지 1500rpm으로 약 5분 정도, 약 25℃ 내지 30℃에서 혼합한다.
또한, 항산화제와 산화아연과 같은 무기분체는 각각 상술한 성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2)단계에서는 1)단계의 혼합물을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약 75℃ 내지 80℃ 고온에서 1500rpm 내지 1800rpm으로 일정 시간동안 혼합하면서 정제수 및 수용성 성분을 포함하는 수상 성분을 투입하여 약 10분 정도 에멀젼을 만든다.
3)단계에서는 2)단계의 에멀젼을 30℃까지 냉각한다,
이와 같이 방법으로 산화아연을 포함하는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이 제조된다.
이때, 유상 성분은 화장품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wt% 내지 45wt% 함유될 수 있다.
상기 유상 성분은, 지방, 왁스, 하이드로카본, 천연오일, 에스테르, 실리콘, 유화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유상 성분은,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프로필렌카보네이트, 스테아랄코늄헥토라이트,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다이아이소스테아로일폴리글리세릴-3다이머다이리놀리에이트, 폴리글리세릴-4다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세바케이트, 폴리글리세릴-3올리에이트, 합성비즈왁스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상 성분은 화장품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wt% 내지 45wt% 함유될 수 있다.
상기 수상 성분은 염, 금속이온봉쇄제, 폴리올 및 고분자 보습성분, 기능성성분, 방부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수상 성분은 다이소듐이디티에이, 마그네슘설페이트, 부틸렌글라이콜, 정제수, 보존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조된 산화아연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은 유중수형, 수중유형 및 그 제형에 있어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리퀴드파운데이션, 비비크림, 메이크업베이스, 컨실러, 쿠션파운데이션, 유화 립틴트, 립스틱, 마스카라, 아이라이너 등 폭넓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은 산화아연과 항산화제의 적정함량을 적용하여 제형 내 오일의 산패를 막아 제형의 안정성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안정도를 개선한 제형을 피부에 적용시 항산화 효과를 부여한다.
도 1은 실시예와 비교예의 항산화능 테스트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2는 실시예와 비교예의 가혹조건에서의 갈변화 결과사진.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 및 비교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이들 실시예 및 비교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장료 제조>
본 발명에 따른 오일의 산패를 막아 제형의 안정성을 개선하고 항산화 효능을 가지는 항산화제와 산화아연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1) 항산화제, 유화제, 에스테르오일, 실리콘 오일 등 유상 성분, 산화아연과 같은 무기분체, 안료를 포함하는 색소 베이스를 실온에서 패들 믹서를 이용하여 1000rpm 내지 1500rpm으로 일정 시간 동안 혼합한다. 여기서 혼합하는 시간은 약 5분 정도이며, 실온은 약 25℃ 내지 30℃이다.
2) 상기 1)의 혼합물을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고온에서 1500rpm 내지 1800rpm으로 일정 시간동안 혼합하면서 정제수 및 수용성 성분을 포함하는 수상 성분을 투입하여 에멀젼을 만든다. 여기서 혼합하여 에멀젼을 만드는 시간은 10분 정도이며, 고온은 약 75℃ 내지 80℃이다.
3) 상기 2)의 에멀젼을 30℃까지 냉각한다,
하기 표 2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일반적인 항산화제가 첨가된 화장료 조성물이 산화아연의 유무에 따라 제형의 안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온도에 따른 경시변화를 관찰하였으며, 테스트 조건은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다
조건 테스트조건 비고
온도 25℃ / 50℃ / 60℃ 각 온도별 갈변현상 확인
구분 성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유상성분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Caprylic/Capric Triglyceride 4.6 4.6 4.6 4.6 4.6 4.6
프로필렌카보네이트 Propylene Carbonate
스테아랄코늄헥토라이트 Stearalkonium Hectorite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Caprylic/Capric Triglyceride 5 5 5 5 5 5
다이아이소스테아로일폴리글리세릴-3다이머다이리놀리에이트 Diisostearoyl Polyglyceryl-3 Dimer Dilinoleate
폴리글리세릴-4다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세바케이트 Polyglyceryl-4 Diisostearate/Polyhydroxystearate/Sebacate
폴리글리세릴-3올리에이트 Polyglyceryl-3 Oleate
합성비즈왁스 Synthetic Beeswax 1 1 1 1 1 1
항산화제 토코페릴아세테이트 Tocopheryl Acetate 0.25 0 0 0.25 0 0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다이-t-부틸하이드록시하이드로신나메이트 Pentaerythrityl Tetra-di-t-butyl Hydroxyhydrocinnamate 0 0.25 0 0 0.25 0
벤조트라이아졸릴도데실p-크레솔 Benzotriazolyl Dodecyl p-Cresol 0 0 0.25 0 0 0.25
산화아연 산화아연 Zinc Oxide 1 1 1 0 0 0
컬러런트 알루미늄하이드록사이드 Aluminum Hydroxide 6 6 6 6 6 6
티타늄디옥사이드 Titanium Dioxide (CI 77891)
트라이에톡시카프릴릴실레인 Triethoxycaprylylsilane
수상성분 다이소듐이디티에이 Disodium EDTA 0.03 0.03 0.03 0.03 0.03 0.03
마그네슘설페이트 Magnesium Sulfate 1.2 1.2 1.2 1.2 1.2 1.2
부틸렌글라이콜 Butylene Glycol 8 8 8 8 8 8
정제수 Water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보존제 -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상기 표 2에 따라 일반적인 항산화제가 첨가된 화장료 조성물이 산화아연의 유무에 따라 제형의 안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또한 다른 성분들이 동일한 함량으로 대응되도록 적용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보관온도
25℃ 50℃ 60℃
당일 7일후 14일후 1개월후 2개월후 3개월후 당일 7일후 14일후 1개월후 2개월후 3개월후 당일 7일후 14일후 1개월후 2개월후 3개월후
실시예1 X X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X X X X X
비교예2 X X
비교예3 X X
◎: 아주양호, ○ : 양호, △ : 미세갈변, X : 황갈변
상기 표3의 결과를 통하여 일반적인 항산화제가 첨가된 화장료 조성물에 산화아연이 추가되었을때 산화아연이 첨가되지 않은 제형보다 온도에 따른 경시적인 안정도(갈변현상)에서 더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하기 표 5와 표 6에서 산화아연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의 항산화 효능을 가지는 성분의 최적의 함량을 확인하기 위해 함량에 따른 제형의 안정도에 미치는 영향과 온도에 따른 경시변화를 관찰하였고, 테스트 조건은 표 4에 기재된 바와 같다.
조건 테스트조건 비고
온도 25℃ / 50℃ / 60℃ 각 온도별 갈변현상 확인
구분 성분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유상성분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Caprylic/Capric Triglyceride 4.6 4.6 4.6 4.6 4.6
프로필렌카보네이트 Propylene Carbonate
스테아랄코늄헥토라이트 Stearalkonium Hectorite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Caprylic/Capric Triglyceride 5 5 5 5 5
다이아이소스테아로일폴리글리세릴-3다이머다이리놀리에이트 Diisostearoyl Polyglyceryl-3 Dimer Dilinoleate
폴리글리세릴-4다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세바케이트 Polyglyceryl-4 Diisostearate/Polyhydroxystearate/Sebacate
폴리글리세릴-3올리에이트 Polyglyceryl-3 Oleate
합성비즈왁스 Synthetic Beeswax 1 1 1 1 1
항산화제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다이-t-부틸하이드록시하이드로신나메이트 Pentaerythrityl Tetra-di-t-butyl Hydroxyhydrocinnamate 0.05 0.10 0.25 0.5 1.0
컬러런트 알루미늄하이드록사이드 Aluminum Hydroxide 6 6 6 6 6
티타늄디옥사이드 Titanium Dioxide (CI 77891)
트라이에톡시카프릴릴실레인 Triethoxycaprylylsilane
수상성분 다이소듐이디티에이 Disodium EDTA 0.03 0.03 0.03 0.03 0.03
마그네슘설페이트 Magnesium Sulfate 1.2 1.2 1.2 1.2 1.2
부틸렌글라이콜 Butylene Glycol 8 8 8 8 8
정제수 Water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보존제 -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구분 성분 실시예9 실시예10 실시예11 실시예12 실시예13
유상성분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Caprylic/Capric Triglyceride 4.6 4.6 4.6 4.6 4.6
프로필렌카보네이트 Propylene Carbonate
스테아랄코늄헥토라이트 Stearalkonium Hectorite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Caprylic/Capric Triglyceride 5 5 5 5 5
다이아이소스테아로일폴리글리세릴-3다이머다이리놀리에이트 Diisostearoyl Polyglyceryl-3 Dimer Dilinoleate
폴리글리세릴-4다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세바케이트 Polyglyceryl-4 Diisostearate/Polyhydroxystearate/Sebacate
폴리글리세릴-3올리에이트 Polyglyceryl-3 Oleate
합성비즈왁스 Synthetic Beeswax 1 1 1 1 1
항산화제 산화아연 Zinc Oxide 0.05 0.10 0.25 0.5 1.0
컬러런트 알루미늄하이드록사이드 Aluminum Hydroxide 6 6 6 6 6
티타늄디옥사이드 Titanium Dioxide (CI 77891)
트라이에톡시카프릴릴실레인 Triethoxycaprylylsilane
수상성분 다이소듐이디티에이 Disodium EDTA 0.03 0.03 0.03 0.03 0.03
마그네슘설페이트 Magnesium Sulfate 1.2 1.2 1.2 1.2 1.2
부틸렌글라이콜 Butylene Glycol 8 8 8 8 8
정제수 Water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보존제 -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상기 표 5 및 표 6에 따라 산화아연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의 항산화 효능을 가지는 성분의 최적의 함량을 확인하기 위해 함량에 따른 제형의 안정도에 미치는 영향과 온도에 따른 경시변화를 확인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또한 다른 성분들이 동일한 함량으로 대응되도록 적용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구분 보관온도
25℃ 50℃ 60℃
당일 7일후 14일후 1개월후 2개월후 3개월후 당일 7일후 14일후 1개월후 2개월후 3개월후 당일 7일후 14일후 1개월후 2개월후 3개월후
실시예4 X X X X X
실시예5 X X X X X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실시예9 X X X X X X X
실시예10 X X X X
실시예11 X X X X
실시예12
실시예13
◎: 아주양호, ○ : 양호, △ : 미세갈변, X : 황갈변
상기 표 7의 결과를 통하여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다이-t-부틸하이드록시하이드로신나메이트는 0.1% 미만에서는 제형안정도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하였으며, 0.1% 초과시부터 제형안정도가 개선되었다.
산화아연은 0.25% 미만에서는 제형안정도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하였으며, 0.25% 초과시부터 제형안정도가 개선되었다.
하기 표 9와 표 10에서 오일의 산패를 막아 제형의 안정성을 개선하고 항산화 효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의 적합한 항산화 효능을 가지는 성분을 단일로 적용했을 때와 항산화제와 산화아연을 같이 복합적으로 적용했을 때의 제형의 안정도에 미치는 영향과 온도에 따른 경시변화를 확인하였으며, 테스트 조건은 표 8에 기재된 바와 같다.
조건 테스트조건 비고
온도 25℃ / 50℃ / 60℃ 각 온도별 갈변현상 확인
구분 성분 실시예
6
실시예
12
실시예
14
유상성분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Caprylic/Capric Triglyceride 4.6 4.6 4.6
프로필렌카보네이트 Propylene Carbonate
스테아랄코늄헥토라이트 Stearalkonium Hectorite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Caprylic/Capric Triglyceride 5 5 5
다이아이소스테아로일폴리글리세릴-3다이머다이리놀리에이트 Diisostearoyl Polyglyceryl-3 Dimer Dilinoleate
폴리글리세릴-4다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세바케이트 Polyglyceryl-4 Diisostearate/Polyhydroxystearate/Sebacate
폴리글리세릴-3올리에이트 Polyglyceryl-3 Oleate
합성비즈왁스 Synthetic Beeswax 1 1 1
항산화제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다이-t-부틸하이드록시하이드로신나메이트 Pentaerythrityl Tetra-di-t-butyl Hydroxyhydrocinnamate 0.25 0 0.125
산화아연 산화아연 Zinc Oxide 0 0.5 0.25
컬러런트 알루미늄하이드록사이드 Aluminum Hydroxide 6 6 6
티타늄디옥사이드 Titanium Dioxide (CI 77891)
트라이에톡시카프릴릴실레인 Triethoxycaprylylsilane
수상성분 다이소듐이디티에이 Disodium EDTA 0.03 0.03 0.03
마그네슘설페이트 Magnesium Sulfate 1.2 1.2 1.2
부틸렌글라이콜 Butylene Glycol 8 8 8
정제수 Water 잔량 잔량 잔량
보존제 - 적량 적량 적량
상기 표 8, 표 9에 따라 오일의 산패를 막아 제형의 안정성을 개선하고 항산화 효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적합한 항산화 효능을 가지는 항산화제만을 단일로 적용하거나 산화아연만 적용했을 때와 항산화제와 산화아연을 같이 복합적으로 적용했을 때의 제형의 안정도에 미치는 영향과 온도에 따른 경시변화를 확인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또한 다른 성분들이 동일한 함량으로 대응되도록 적용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0에 나타내었다.
구분 보관온도
25℃ 50℃ 60℃
당일 7일후 14일후 1개월후 2개월후 3개월후 당일 7일후 14일후 1개월후 2개월후 3개월후 당일 7일후 14일후 1개월후 2개월후 3개월후
실시예6
실시예12
실시예14
◎: 아주양호, ○ : 양호, △ : 미세갈변, X : 황갈변
상기 표 10의 결과를 통하여 오일의 산패를 막아 제형의 안정성을 개선하고 항산화 효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의 적합한 항산화 효능을 가지는 성분을 단일로 적용하는 것보다 산화아연과 항산화제를 더 적은 함량이라도 같이 적용하는 것이 내용물의 산패를 막고 제형의 안정도가 더 우수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하기 표 12와 표 13, 표 14, 표 15에서 오일의 산패를 막아 제형의 안정성을 개선하고 항산화 효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제형의 안정도에 미치는 영향, 온도에 따른 경시변화를 확인하였고 또한 피부에 미치는 자극 및 실제 피부의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테스트 조건은 표 11에 기재된 바와 같다.
항목 조건 테스트조건 비고
안정도 온도 25℃ / 50℃ / 60℃ 각 온도별 갈변현상 확인
항산화 - DPPH 소거능 평가 피부 항산화 확인
피부첩보
테스트
- 24시간 동안 제품을 시험부위에 도포(패치 이용)하고, 도포한 제품을 세척하고난 후에 24시간, 48시간 동안 관찰하는 실험 피부자극도 확인
구분 성분 실시예14 비교예4
유상성분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Caprylic/Capric Triglyceride 4.6 4.6
프로필렌카보네이트 Propylene Carbonate
스테아랄코늄헥토라이트 Stearalkonium Hectorite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Caprylic/Capric Triglyceride 5 5
다이아이소스테아로일폴리글리세릴-3다이머다이리놀리에이트 Diisostearoyl Polyglyceryl-3 Dimer Dilinoleate
폴리글리세릴-4다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세바케이트 Polyglyceryl-4 Diisostearate/Polyhydroxystearate/Sebacate
폴리글리세릴-3올리에이트 Polyglyceryl-3 Oleate
합성비즈왁스 Synthetic Beeswax 1 1
항산화제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다이-t-부틸하이드록시하이드로신나메이트 Pentaerythrityl Tetra-di-t-butyl Hydroxyhydrocinnamate 0.125 0
산화아연 산화아연 Zinc Oxide 0.25 0
컬러런트 알루미늄하이드록사이드 Aluminum Hydroxide 6 6
티타늄디옥사이드 Titanium Dioxide (CI 77891)
트라이에톡시카프릴릴실레인 Triethoxycaprylylsilane
수상성분 다이소듐이디티에이 Disodium EDTA 0.03 0.03
마그네슘설페이트 Magnesium Sulfate 1.2 1.2
부틸렌글라이콜 Butylene Glycol 8 8
정제수 Water 잔량 잔량
보존제 - 적량 적량
상기 표 12에 따라 오일의 산패를 막아 제형의 안정성을 개선하고 항산화 효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제형의 안정도에 미치는 영향, 온도에 따른 경시변화를 확인하였고 또한 피부에 미치는 자극 및 실제 피부의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3, 표 14, 표 15에 나타내었다.
구분 보관온도
25℃ 50℃ 60℃
당일 7일후 14일후 1개월후 2개월후 3개월후 당일 7일후 14일후 1개월후 2개월후 3개월후 당일 7일후 14일후 1개월후 2개월후 3개월후
실시예14
비교예4 X X X X X
◎: 아주양호, ○ : 양호, △ : 미세갈변, X : 황갈변
구분 피부반응도 피부첩보결과
실시예14 0.00 무자극
비교예4 7.41 강자극
시험물질 농도 DPPH 소거능(%)
Vitamin C(ug/ml) 50 80.4±0.9


실시예14
10 -9.1±2.6
5 -5.8±2.6
2.5 -4.1±1.4
1.25 -4.6±2.2
0.625 -2.4±1.1
비교예4

10 32.1±3.3
5 39.1±0.7
2.5 34.5±0.5
1.25 22.6±0.8
0.625 12.5±2.0
상기 표 13의 결과를 통하여 오일의 산패를 막아 제형의 안정성을 개선하고 항산화 효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의 적합한 항산화 효능을 가지는 성분을 적용했을 때 적용하지 않은 조성물보다 온도에 따른 경시변화에서 제형안정도가 우수함을 확인하였고, 특히 고온에서 오일산패를 막아 갈변현상을 개선함을 확인하였다.
상기 표 14는 피부첩포테스트에 대한 결과이며, 피부첩포테스트는 신체 건강한 성인 9명을 선정하고, 연구 대상자의 하박부 안쪽에 시료를 적용하여 24시간 후 제거한 다음 1시간, 24시간, 48시간 경과 후 관찰하여 ICDRG의 기준에 준하여 자극유무를 판정한다. 피부첩보테스트에는 실시예14와 비교예4의 실온에서 3개월간 보관한 벌크의 일부를 취하여 적용하였다.
그 결과 산화아연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에서 피부자극이 없으며, 산화아연과 항산화제가 포함되지 않은 조성물에서는 강한 자극이 있음을 확인했으며, 측정값으로도 상대적으로 차이가 남을 확인 할 수 있다. (실시예14 반응도 0.00, 비교예4 반응도 7.41)
상기 표 15는 DPPH 소거능 평가결과이며, DPPH 소거능 평가는 96well Immunoplate에 일정 농도의 시험물질을 160 ul씩 분주한 후 1 mM DPPH solution을 40 ul씩 넣어 상온에서 30분간 반응하였다. 4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DPPH 소거능을 계산한다. 양성대조군으로 Vitamin C를 사용하였으며, 시험물질의 농도는 최소 0.625% 부터 최고 10% 까지의 농도로 하여 시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산화아연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이 최고 39.1% DPPH 소거능을 보이며 항산화능을 가짐을 확인했으며, 비교예4는 DPPH 소거능을 확인할 수 없었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산화아연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에 따르면, 산화아연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의 제형의 우수한 항산화 효과와 실제 피부의 항산화 효과를 주기 위해서는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다이-t-부틸하이드록시하이드로신나메이트 0.125% 이상의 함량과 산화아연 0.25%의 함량이 적용이 될 때 단일성분으로써 적용되는 조성물보다 제형의 안정도 및 피부자극 그리고 피부 항산화 효과가 더 우수함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그 결과에 따라서 제형의 안정도를 개선하면서 실제 피부에 케어기능을 가지는 고효능 화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Claims (8)

  1. 항산화제와 산화아연을 포함하여 항산화효과 및 제형 안정도 개선과 피부자극을 완화하는 케어기능을 가지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항산화제 성분은 0.01 wt% 내지 5 wt% 함유되고, 상기 산화아연은 0.1 wt% 내지 10 wt%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상기 산화아연 성분은 징크, 산화아연, 마그네슘/알루미늄/징크/하이드록사이드/카보네이트, 징크피리치온, 징크스테아레이트, 징크글루코네이트, 징크설페이트, 징크피씨에이, 징크클로라이드, 징크리시놀리에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항산화제는, 4-부틸레조시놀, 아세틸시스테인, 알파-알부틴, 아스코빌팔미테이트, 아시아티코사이드, 바쿠치올, 벤조트라이아졸릴도데실p-크레솔, 비에이치에이, 비에이치티, 커큐민, 다이메틸메톡시크로만올,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 에틸페룰레이트, 에틸비스이미노메틸구아이아콜망가니즈클로라이드, 페룰릭애씨드, 진세노사이드, 헤스페리딘메틸칼콘, 호노키올,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하이드록시데실유비퀴논, 캠페롤, 코직애씨드, 라이코펜, 메이스리그난, 마그네슘아스코빌포스페이트, 마그놀올, 망가니즈다이옥사이드, 멜라토닌, 마이코스포린글라이신, 노르다이하이드로구아이아레틱애씨드, 옥소디옥시구아노신,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다이-t-부틸하이드록시하이드로신나메이트, 페닐에틸레조시놀, 플로레틴, 프로필갈레이트, 프로토카테쿠익알데하이드, 쿼세틴, 레스베라트롤, 로즈마리닉애씨드, 루틴, 시노린, 소듐아스코베이트, 소듐아스코빌포스페이트, 소듐메타바이설파이트, 탄닉애씨드, 티비에이치큐, 티옥틱애씨드, 치오글라이콜릭애씨드, 토코페롤, 토코페릴아세테이트, 토코페릴아세테이트, 토타롤, 바닐린, 아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1) 항산화제, 유상 성분, 산화아연, 안료를 포함하는 색소 베이스를 실온에서 일정 시간 동안 혼합하는 단계;
    2) 상기 1)단계의 혼합물을 고온에서 일정 시간동안 혼합하면서 수상 성분을 투입하여 에멀젼을 제조하는 단계; 및
    3) 상기 2)단계의 에멀젼을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항산화제 성분은 0.01 wt% 내지 5 wt%, 상기 산화아연은 0.1 wt% 내지 10 wt%, 상기 유상 성분은 10 wt% 내지 45 wt%, 상기 수상 성분은 10 wt% 내지 45 wt% 함유되어 항산화효과 및 제형 안정도 개선과 피부자극을 완화하는 케어기능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유상 성분은 지방, 왁스, 하이드로카본, 천연오일, 에스테르, 실리콘, 유화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 성분은 염, 금속이온봉쇄제, 폴리올 및 고분자 보습성분, 기능성성분, 방부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아연은 징크, 마그네슘/알루미늄/징크/하이드록사이드/카보네이트, 징크피리치온, 징크스테아레이트, 징크글루코네이트, 징크설페이트, 징크피씨에이, 징크클로라이드, 징크리시놀리에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항산화제는, 4-부틸레조시놀, 아세틸시스테인, 알파-알부틴, 아스코빌팔미테이트, 아시아티코사이드, 바쿠치올, 벤조트라이아졸릴도데실p-크레솔, 비에이치에이, 비에이치티, 커큐민, 다이메틸메톡시크로만올,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 에틸페룰레이트, 에틸비스이미노메틸구아이아콜망가니즈클로라이드, 페룰릭애씨드, 진세노사이드, 헤스페리딘메틸칼콘, 호노키올,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하이드록시데실유비퀴논, 캠페롤, 코직애씨드, 라이코펜, 메이스리그난, 마그네슘아스코빌포스페이트, 마그놀올, 망가니즈다이옥사이드, 멜라토닌, 마이코스포린글라이신, 노르다이하이드로구아이아레틱애씨드, 옥소디옥시구아노신,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다이-t-부틸하이드록시하이드로신나메이트, 페닐에틸레조시놀, 플로레틴, 프로필갈레이트, 프로토카테쿠익알데하이드, 쿼세틴, 레스베라트롤, 로즈마리닉애씨드, 루틴, 시노린, 소듐아스코베이트, 소듐아스코빌포스페이트, 소듐메타바이설파이트, 탄닉애씨드, 티비에이치큐, 티옥틱애씨드, 치오글라이콜릭애씨드, 토코페롤, 토코페릴아세테이트, 토코페릴아세테이트, 토타롤, 바닐린, 아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KR1020240082449A 2022-01-18 2024-06-25 산화아연을 포함하는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Ceased KR202401017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82449A KR20240101766A (ko) 2022-01-18 2024-06-25 산화아연을 포함하는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7497A KR20230111535A (ko) 2022-01-18 2022-01-18 산화아연을 포함하는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KR1020240082449A KR20240101766A (ko) 2022-01-18 2024-06-25 산화아연을 포함하는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7497A Division KR20230111535A (ko) 2022-01-18 2022-01-18 산화아연을 포함하는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01766A true KR20240101766A (ko) 2024-07-02

Family

ID=8737929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7497A Ceased KR20230111535A (ko) 2022-01-18 2022-01-18 산화아연을 포함하는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KR1020240082449A Ceased KR20240101766A (ko) 2022-01-18 2024-06-25 산화아연을 포함하는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7497A Ceased KR20230111535A (ko) 2022-01-18 2022-01-18 산화아연을 포함하는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23104923A (ko)
KR (2) KR20230111535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2461A (ko) 2008-02-27 2009-09-0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68772B1 (ko) 2015-09-07 2017-08-17 선진뷰티사이언스(주) 막대형 산화아연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2461A (ko) 2008-02-27 2009-09-0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68772B1 (ko) 2015-09-07 2017-08-17 선진뷰티사이언스(주) 막대형 산화아연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104923A (ja) 2023-07-28
KR20230111535A (ko) 2023-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95452A (en) Cosmetic stick
AU712748B2 (en) Cosmetic self-tanning agent with a sunscreen effect
KR101979217B1 (ko) 유중수형 고형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59729B1 (ko) 유화 제형의 끈적임 저감 및 투명도 향상용 화장료 조성물
TW201711673A (zh) 包含水溶性聚合物的油包水型唇部化妝品組合物
KR102273235B1 (ko) 다양한 착색이 가능한 무수제형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63524B1 (ko) 칸나비디올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EP3159044A1 (en) Long-lasting powder essence composition with improved coloring and skin feeling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2051058B1 (ko) 아스코빅 애씨드 분산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30077180A (ko) 계면활성제 프리 액상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94341A (ko) 무기자외선차단제 고함유 자외선차단 화장료 조성물
KR20170001687A (ko) 항산화 효과를 갖는 폴리다틴을 함유한 베이스 조성물을 포함하는 유성 색조 화장료 조성물
KR102172199B1 (ko) 소듐 디엔에이와 아스타잔틴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EA023736B1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личной гигиены
CN112494363B (zh) 一种可变色透明唇油及其制备方法
JPH07101844A (ja) 多層エマルジョン
JP5894784B2 (ja) 油性メイクアップ化粧料
KR102624282B1 (ko) 흑색도 또는 청색도 향상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KR20160061476A (ko) 유중수 유화형 저점도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240101766A (ko) 산화아연을 포함하는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KR101572985B1 (ko) 아스타잔틴-포함 액상 성분을 함유하는 분말형 화장료 조성물
KR20090056390A (ko) 자외선차단제를 포함하는 다층상 화장료 조성물
KR102418845B1 (ko) 비타민 c를 포함하는 파우더형 화장료 조성물
KR20130057634A (ko) Egcg의 안정화 방법 및 egcg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80102035A (ko)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를 함유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40625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220118

Application number text: 102022000749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4I

Patent event date: 20240625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12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506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