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97427A - 구강 세정기 및 그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구강 세정기 및 그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97427A
KR20240097427A KR1020220179469A KR20220179469A KR20240097427A KR 20240097427 A KR20240097427 A KR 20240097427A KR 1020220179469 A KR1020220179469 A KR 1020220179469A KR 20220179469 A KR20220179469 A KR 20220179469A KR 20240097427 A KR20240097427 A KR 202400974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ure
storage container
unit
opening
oral irrig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9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민
이완규
강기윤
양동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노스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노스
Publication of KR20240097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974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007Control devices or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061Air and water supply systems;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061Air and water supply systems;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C1/0084Supply units, e.g. reservoi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pu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061Air and water supply systems;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C1/0084Supply units, e.g. reservoi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pumps
    • A61C1/0092Pump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61C17/028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with intermittent liquid flow

Abstract

본 발명은, 세정수를 저장하도록 형성되는 저장 용기; 상기 세정수를 펌핑하여 토출시키도록 구성되는 펌핑 유닛; 상기 저장 용기의 하부까지 연장되는 제1 수로와, 상기 저장 용기의 상부까지 연장되는 제2 수로를 구비하고, 상기 펌핑 유닛과 연통되는 세정수 공급 라인; 상기 제2 수로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개폐 유닛; 및 상기 저장 용기가 세워진 제1 자세에서 상기 제2 수로가 폐쇄되게 하고 상기 저장 용기가 상기 제1 자세 대비하여 기울여진 제2 자세에서 상기 제2 수로가 개방되게 하도록 상기 개폐 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구강 세정기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구강 세정기 및 그의 제어 방법{ORAL IRRIG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수압을 이용해 구강 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구강 세정기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치질은 치아에 칫솔모를 문질러서 음식물 찌꺼기나 치태를 제거하는 일이다. 무리한 힘이나 잘못된 방법으로 칫솔질이 이루어지면, 치경부 마모증이나 잇몸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치아를 시리게 할 수 있다.
좁은 부위인 치면열구, 치은열구, 치간의 깊숙한 부위, 특히 치주낭 속에 있는 미세한 음식물 찌꺼기나 치태에는 칫솔모가 도달하기 힘들다. 이러한 이유로, 정성스런 칫솔질에도 불구하고, 음식물 찌꺼기 등이 제거되지 않아 입냄새가 발생할 수 있다. 음식물 찌꺼기 등은 점차 치석이 되고, 치은염, 치주염 등으로 진전된다.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구강 세정기가 사용되고 있다. 구강 세정기의 대표적인 예로 워터픽(Water Pick)이 있다. 이 기구는 강제로 펌핑한 물을 팁을 통해 분사함으로써 구강 내부, 특히 치아와 잇몸 사이를 세정한다.
사용자는 구강 세정기가 바로 선 자세로 그를 사용한다. 구강안의 깊은 곳에 대해 물을 분사하려는 경우에는, 구강 세정기를 기울여서 사용할 수 있다. 구강 세정기의 기울어진 각도가 커짐에 따라서는, 급수관의 구조에 의해 세정수가 펌프로 공급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거꾸로 뒤집어진 자세에서도 정상적으로 세정수를 토출할 수 있는, 구강 세정기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구강 세정기는, 세정수를 저장하도록 형성되는 저장 용기; 상기 세정수를 펌핑하여 토출시키도록 구성되는 펌핑 유닛; 상기 저장 용기의 하부까지 연장되는 제1 수로와, 상기 저장 용기의 상부까지 연장되는 제2 수로를 구비하고, 상기 펌핑 유닛과 연통되는 세정수 공급 라인; 상기 제2 수로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개폐 유닛; 및 상기 저장 용기가 세워진 제1 자세에서 상기 제2 수로가 폐쇄되게 하고 상기 저장 용기가 상기 제1 자세 대비하여 기울여진 제2 자세에서 상기 제2 수로가 개방되게 하도록 상기 개폐 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저장 용기의 각도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감지 유닛이 더 포함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감지 유닛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저장 용기가 상기 제1 자세 및 상기 제2 자세 중 어느 자세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감지 유닛은, 가속도 센서, 각속도 센서, 및 기울기 센서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폐 유닛은, 상기 제어 유닛의 제어하에 작동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수로는, 상기 저장 용기의 자세와 무관하게 개방 상태를 유지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펌핑 유닛 및 상기 개폐 유닛을 내장하는 본체가 더 포함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저장 용기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미들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수로는, 상기 세정수를 마주하도록 상기 미들 프레임에 설치되는 흡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펌핑 유닛 및 상기 개폐 유닛을 내장하는 본체가 더 포함되고, 상기 본체에 자력 결합되어, 상기 펌핑 유닛에 의해 펌핑되는 상기 세정수를 외부로 안내하는 분사 노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구강 세정기는, 세정수를 저장하도록 형성되고, 제1 자세와 상기 제1 자세에 비해 기울어진 제2 자세 중 하나로 배치되는 저장 용기; 상기 제1 자세 및 상기 제2 자세 모두에서, 상기 세정수를 펌핑하여 토출시키도록 구성되는 펌핑 유닛; 상기 저장 용기의 하부까지 연장되며 상기 제1 자세 및 상기 제2 자세 모두에서 개방 상태를 유지하는 제1 수로와, 상기 저장 용기의 상부까지 연장되는 제2 수로를 구비하고, 상기 펌핑 유닛과 연통되는 세정수 공급 라인; 및 상기 제2 수로를 상기 제1 자세에서 폐쇄하고 상기 제2 자세에서 개방하도록 구성되는 개폐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수로에 대한 상기 개폐 유닛의 개폐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 및 상기 제어 유닛에 연결되고, 상기 저장 용기의 각도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감지 유닛이 더 포함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감지 유닛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저장 용기가 상기 제1 자세 및 상기 제2 자세 중 어느 자세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폐 유닛은, 상기 제어 유닛의 제어하에 상기 제2 수로를 개폐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른 구강 세정기의 제어 방법은, 제1 자세와 상기 제1 자세에 비해 기울어진 제2 자세 중 하나로 배치되는 저장 용기 내의 세정수에 대해 펌핑 유닛을 작동시켜, 펌핑된 세정수가 분사 노즐을 통해 토출되게 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 용기의 하부까지 연장되는 제1 수로와 상기 저장 용기의 상부까지 연장되는 제2 수로 중 상기 제2 수로에 작용하는 개폐 유닛을 작동시켜, 상기 제1 자세에서는 상기 제2 수로를 폐쇄하고 상기 제2 자세에서는 상기 제2 수로를 개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수로는, 상기 제1 자세 및 상기 제2 자세 모두에서 개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세정기 및 그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펌핑 유닛에 연통되며 저장 용기의 하부까지 연장되는 제1 수로와 저장 용기의 상부까지 연장되는 제2 수로 중에서 제2 수로는 개폐 유닛에 의해 저장 용기가 세워진 제1 자세에서 폐쇄되고 저장 용기가 제1 자세보다 기울여진 제2 자세에서 개방되기에, 저장 용기가 제2 자세에 있더라도 펌핑 유닛의 작동에 의해 세정수가 정상적으로 토출될 수 있다.
그로 인하여, 사용자는 구강 세정기를 뒤집은 채로 구강 내측의 깊숙한 곳까지 세정수를 분사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세정기(100)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구강 세정기(100)의 일 부분을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구강 세정기(100)의 다른 일 부분을 분해해 보인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구강 세정기(100)의 제어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강 세정기(100)의 제어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일 단계(S7)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7은 도 5의 다른 일 단계(S11)을 보인 개념도이다.
도 8은 도 5의 또 다른 단계들(S13 및 S15)에서의 구체적 작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강 세정기 및 그의 제어 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세정기(100)에 대한 개념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구강 세정기(100)는, 본체(110), 저장 용기(120), 펌핑 유닛(130), 세정수 공급 라인(150), 개폐 유닛(160), 그리고 분사 노즐(170)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10)는 구강 세정기(100)의 기본 뼈대를 이루는 구조물이다. 본체(110)에는 저장 용기(12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체(110)에는 펌핑 유닛(130)부터 개폐 유닛(160), 나아가 분사 노즐(170)도 내장 또는 설치될 수 있다.
저장 용기(120)는 세정수를 저장하기 위한 구조물이다. 저장 용기(120)는 상부가 개방된 용기일 수 있다. 저장 용기(120)의 대부분은 본체(11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그에 달리, 저장 용기(120)의 일 부분(주로, 하부)은 본체(11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펌핑 유닛(130)은 세정수를 펌핑하여 토출시키는 구성이다. 펌핑 유닛(130)은 작동 스위치(미도시)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 작동할 수 있다. 펌핑 유닛(130)은 일정 시간 경과에 따라 정지되거나,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에 의해 정지할 수도 있다.
세정수 공급 라인(150)은 저장 용기(120) 내에 저장된 세정수를 펌핑 유닛(130)과 연통시키는 구성이다. 세정수 공급 라인(150)은 제1 수로(151)와 제2 수로(155)를 가질 수 있다. 제1 수로(151)는 저장 용기(120)의 하부까지 연장하는 반면에, 제2 수로(155)는 저장 용기(120)의 상부까지 연장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수로(151)는 제2 수로(155) 보다 긴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개폐 유닛(160)은 제2 수로(155)를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개폐 유닛(160)은 제2 수로(155)와 관련되게 설치되어, 경우에 따라 제2 수로(155)가 개방되거나 폐쇄되게 한다.
분사 노즐(170)은 세정수를 외부,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구강 내로 안내하는 구성이다. 분사 노즐(170)은 펌핑 유닛(130)에 의해 펌핑된 세정수를 안내하게 된다. 분사 노즐(170)은 본체(11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구강 세정기(100)의 일 부분을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추가로 참조하면, 본체(110)는 미들 프레임(115)을 가질 수 있다. 미들 프레임(115)은 본체(110)의 내부 공간에서 대체로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미들 프레임(115)은 저장 용기(120)의 상측에 위치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미들 프레임(115)의 저면(116)은 저장 용기(120)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그에 의해, 저장 용기(120){및 구강 세정기(100)}가 뒤집어진 경우에도, 세정수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는다. 이를 위해, 미들 프레임(115)과 저장 용기(120) 사이에는 실링 부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수로(151)는 미들 프레임(115)을 관통하여 연장한다. 그에 의해, 제1 수로(151)의 제1 흡입구(153)는 저장 용기(120)의 하부에 이를 수 있다. 제1 흡입구(153)는 저장 용기(120)의 바닥에 근접할 수 있다. 제1 흡입구(153)는 저장 용기(120)의 자세와 무관하게 언제나 개방 상태를 유지한다. 제1 흡입구(153)에는 무게추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수로(155)는, 제1 수로(151)와 달리, 미들 프레임(115)까지만 연장한다. 구체적으로, 제2 수로(155)의 제2 흡입구(157)는 미들 프레임(115)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흡입구(157)는 미들 프레임(115)의 저면을 통해 노출되어, 저장 용기(120)에 수용된 세정수를 마주하도록 위치한다.
개폐 유닛(160)은 제2 수로(155)에 대해 작용하는 밸브, 구체적으로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다. 상기 밸브는 미들 프레임(115)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구강 세정기(100)의 다른 일 부분을 분해해 보인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추가로 참조하면, 분사 노즐(170)은 본체(110)에 대해 자력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사 노즐(170)의 저면에는 제1 자력 요소(171)가 설치될 수 있다. 그에 대응하여, 본체(110) 중 삽입구(118)를 한정하는 부분에는 제2 자력 요소(119)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자력 요소(171) 및 제2 자력 요소(119)는 서로 자기적 인력이 작용하는 것들이다. 이들은, 모두 자석이거나, 하나는 자석이고 다른 하나는 금속일 수 있다.
제1 자력 요소(171) 및 제2 자력 요소(119)에 의하여, 분사 노즐(170)은 본체(110)에 대해 간단한 방식으로 결합되거나 그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크게 증진시킨다.
도 4는 도 1의 구강 세정기(100)의 제어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도면을 추가로 참조하면, 구강 세정기(100)는, 앞서 설명한 펌핑 유닛(130) 및 개폐 유닛(160)에 더하여, 제어 유닛(180) 및 감지 유닛(1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유닛(180)은 펌핑 유닛(130) 및 개폐 유닛(160)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제어 유닛(180)은 그들을 제어함에 있어서, 감지 유닛(190)의 감지 결과에 기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유닛(180)은 저장 용기(120)의 자세에 따라 개폐 유닛(160)이 제2 수로(155)를 개방하게 하거나 폐쇄하게 할 수 있다.
감지 유닛(190)은 저장 용기(120)의 각도(기울기)를 감지하는 구성이다. 감지 유닛(190)으로는, 예를 들어 저장 용기(120)의 각도/기울기를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 각속도 센서, 또는 기울기 센서가 채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강 세정기(100)의 제어 방식에 대해서는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강 세정기(100)의 제어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도면을 추가로 참조하면, 사용자가 스위치를 누름에 따라, 제어 유닛(180)은 펌핑 유닛(130)을 작동시킬 수 있다(S1). 펌핑 유닛(130)의 작동에 따라, 저장 용기(120) 내의 세정수는 세정수 공급 라인(150)을 따라 펌핑된다. 펌핑된 세정수는 분사 노즐(170)을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제어 유닛(180)의 제어하에, 감지 유닛(190)은 저장 용기(120)의 각도를 감지한다(S3). 상기 각도에 근거로 하여, 제어 유닛(180)은 저장 용기(120){및 구강 세정기(100)}의 자세를 판단한다. 저장 용기(120)가 세워지거나 약간 기울어진 경우는 제1 자세, 또는 저장 용기(120)가 상기 제1 자세의 각도 범위를 넘어서 기울어지거나 뒤집어진 상태는 제2 자세로 판단될 수 있다.
저장 용기(120)가 상기 제1 자세에 놓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S5), 제어 유닛(180)은 제2 수로(155)가 폐쇄되게 한다(S7). 구체적으로, 제어 유닛(180)이 개폐 유닛(160)을 제어하여 제2 수로(155)를 막게 한다.
저장 용기(120)가 상기 제2 자세에 놓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S9), 제어 유닛(180)은 제2 수로(155)가 개방되게 한다(S11). 구체적으로, 제어 유닛(180)은 개폐 유닛(160)을 제어하여 제2 수로(155)가 개방되게 한다. 이상과 달리, 제어 유닛(180)은 펌핑 유닛(130)의 작동 후에 일정 작동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제2 자세에 따른 제어를 할 수도 있다. 제어 유닛(180)은 그 전에 시각적, 청각적 알람, 또는 세정수의 토출량 조절에 의한 진동을 통한 촉각적 알람을 발생시켜서, 사용자가 구강 세정기(100)의 자세를 상기 제2 자세로 변경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제어 유닛(180)은 세정수의 양이 기준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3). 기준 이하인 경우, 제어 유닛(180)은 펌핑 유닛(130)의 작동을 정지시킨다(S15).
세정수의 양이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라면, 제어 유닛(180)은 각도 감지 단계(S3)로 회귀하게 된다.
도 6은 도 5의 일 단계(S7)를 보인 개념도이다.
본 도면을 추가로 참조하면, 상기 제1 자세에서, 세정수(W)는 제1 수로(151)를 통해 펌핑됨을 알 수 있다. 제2 수로(155)는 폐쇄된 상태에 있다.,
이 경우, 제2 수로(155)의 제2 흡입구(157)는 세정수(W)와 이격된 상태에 있다. 그에 따라 제2 수로(155)가 개방된 경우라면, 제1 수로(151)를 통해 세정수(W)를 펌핑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제2 수로(155)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어, 제1 수로(151)를 통한 세정수(W)의 펌핑을 방해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제어 유닛(180)의 제어하에 개폐 유닛(160)이 제2 수로(155)를 폐쇄하기에, 그러한 방해는 구조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도 7은 도 5의 다른 일 단계(S11)을 보인 개념도이다.
본 도면을 추가로 참조하면, 상기 제2 자세에서, 세정수(W)는 제2 수로(155)를 통해 펌핑된다. 이 경우, 제2 수로(155) 뿐 아니라, 제1 수로(151)도 개방된 상태에 있다.
펌핑 유닛(130)의 작동에 따라, 세정수(W)는 제2 수로(155)를 통해 분사 노즐(170)로 펌핑된다. 그 경우, 제1 수로(151)의 역할은 없으나, 그가 개방되어 있어도 문제되지 않는다. 세정수(W)는 중력에 의해 분사 노즐(170)을 향해 유동하므로, 제1 수로(151)가 개방된 것이 펌핑 작업에 의미있는 방해가 되지는 못하기 때문이다.
도 8은 도 5의 또 다른 단계들(S13 및 S15)에서의 구체적 작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도면을 추가로 참조하면, 제어 유닛(180)은, 펌핑 유닛(13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펌핑 유닛(130)의 작동 특성을 파악한다(S21). 상기 작동 특성은, 예를 들어 펌핑 유닛(130)의 소비전력 또는 소비전류일 수 있다. 상기 작동 특성은 세정수(W)가 충분한 상태에서 작동하는 경우와 부족한 상태에서 작동하는 경우 간에 차이가 있다.
상기 작동 특성이 변화된 경우에, 제어 유닛(180)은 상기 작동 특성의 변화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S23).
상기 작동 특성의 변화가 발생한 경우라면, 제어 유닛(180)은 상기 작동 특성의 변화 전에 제2 수로(155)의 개폐 전환이 있었는지를 판단한다(S25). 여기서, 제2 수로(155)의 개폐 전환은 상기 작동 특성의 변화 발생 전에 설정된 소정의 시간 내에 발생한 것을 대상으로 한다. 제2 수로(155)의 개폐 전환을 고려함에 따라, 제어 유닛(180)은 제2 수로(155)의 개폐에 따른 상기 작동 특성의 변동을 세정수(W)의 양의 부족으로 오판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작동 특성의 변동은 세정수(W)가 부족한 경우뿐 아니라, 구강 세정기(100)의 자세 전환과 그에 따른 제2 수로(155)의 개폐에 의해서도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후자는 제2 수로(155)가 개방 상태로 전환되면서 그에 세정수(W)가 들어가거나, 반대로 제2 수로(155)가 폐쇄되고 다시 제1 수로(151)로 세정수(W)가 들어갈 때 일어난다.
상기 작동 특성의 변화 전에 제2 수로(155)의 개폐가 없었다면, 제어 유닛(180)은 펌핑 유닛(130)의 작동을 정지시킨다(S27). 제어 유닛(180)은 세정수(W)의 양이 부족해서 펌핑 유닛(130)의 작동이 변화된 것으로 최종 판단한 것이다.
상기 작동 특성의 변화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거나(S23) 상기 작동 특성의 변화가 발생하여도 그 전에 제2 수로(155)의 개폐 전환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S25), 제어 유닛(180)은 펌핑 유닛(130)의 작동 특성을 파악하는 단계(S21)로 회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강 세정기 및 그의 제어 방법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 구강 세정기 110: 본체
120: 저장 용기 130: 펌핑 유닛
150: 세정수 공급 라인 151: 제1 수로
155: 제2 수로 160: 개폐 유닛
170: 분사 노즐 180: 제어 유닛
190: 감지 유닛

Claims (12)

  1. 세정수를 저장하도록 형성되는 저장 용기;
    상기 세정수를 펌핑하여 토출시키도록 구성되는 펌핑 유닛;
    상기 저장 용기의 하부까지 연장되는 제1 수로와, 상기 저장 용기의 상부까지 연장되는 제2 수로를 구비하고, 상기 펌핑 유닛과 연통되는 세정수 공급 라인;
    상기 제2 수로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개폐 유닛; 및
    상기 저장 용기가 세워진 제1 자세에서 상기 제2 수로가 폐쇄되게 하고 상기 저장 용기가 상기 제1 자세 대비하여 기울여진 제2 자세에서 상기 제2 수로가 개방되게 하도록 상기 개폐 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구강 세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용기의 각도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감지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감지 유닛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저장 용기가 상기 제1 자세 및 상기 제2 자세 중 어느 자세인지를 판단하는, 구강 세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유닛은,
    가속도 센서, 각속도 센서, 및 기울기 센서 중 하나를 포함하는, 구강 세정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유닛은,
    상기 제어 유닛의 제어하에 작동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는, 구강 세정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로는,
    상기 저장 용기의 자세와 무관하게 개방 상태를 유지하는 것인, 구강 세정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 유닛 및 상기 개폐 유닛을 내장하는 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저장 용기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미들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수로는,
    상기 세정수를 마주하도록 상기 미들 프레임에 설치되는 흡입구를 포함하는, 구강 세정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 유닛 및 상기 개폐 유닛을 내장하는 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에 자력 결합되어, 상기 펌핑 유닛에 의해 펌핑되는 상기 세정수를 외부로 안내하는 분사 노즐을 더 포함하는, 구강 세정기.
  8. 세정수를 저장하도록 형성되고, 제1 자세와 상기 제1 자세에 비해 기울어진 제2 자세 중 하나로 배치되는 저장 용기;
    상기 제1 자세 및 상기 제2 자세 모두에서, 상기 세정수를 펌핑하여 토출시키도록 구성되는 펌핑 유닛;
    상기 저장 용기의 하부까지 연장되며 상기 제1 자세 및 상기 제2 자세 모두에서 개방 상태를 유지하는 제1 수로와, 상기 저장 용기의 상부까지 연장되는 제2 수로를 구비하고, 상기 펌핑 유닛과 연통되는 세정수 공급 라인; 및
    상기 제2 수로를 상기 제1 자세에서 폐쇄하고 상기 제2 자세에서 개방하도록 구성되는 개폐 유닛을 포함하는, 구강 세정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로에 대한 상기 개폐 유닛의 개폐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 및
    상기 제어 유닛에 연결되고, 상기 저장 용기의 각도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감지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감지 유닛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저장 용기가 상기 제1 자세 및 상기 제2 자세 중 어느 자세인지를 판단하는, 구강 세정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유닛은,
    상기 제어 유닛의 제어하에 상기 제2 수로를 개폐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는, 구강 세정기.
  11. 제1 자세와 상기 제1 자세에 비해 기울어진 제2 자세 중 하나로 배치되는 저장 용기 내의 세정수에 대해 펌핑 유닛을 작동시켜, 펌핑된 세정수가 분사 노즐을 통해 토출되게 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 용기의 하부까지 연장되는 제1 수로와 상기 저장 용기의 상부까지 연장되는 제2 수로 중 상기 제2 수로에 작용하는 개폐 유닛을 작동시켜, 상기 제1 자세에서는 상기 제2 수로를 폐쇄하고 상기 제2 자세에서는 상기 제2 수로를 개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강 세정기의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로는,
    상기 제1 자세 및 상기 제2 자세 모두에서 개방 상태를 유지하는, 구강 세정기의 제어 방법.
KR1020220179469A 2022-12-20 구강 세정기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240097427A (k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97427A true KR20240097427A (ko) 2024-06-27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89590A (en) Irrigation appliance
US6884069B2 (en) Oral care device
US6739782B1 (en) Oral cleaning device with internal water bladder
US6957925B1 (en) Toothpaste dispensing automatic toothbrush
US5098291A (en) Pressurized medicant applicator
US20220151753A1 (en) Personal Care Device
US6257791B1 (en) Toothbrush with integrated toothpaste dispenser
AU2002346091A1 (en) Oral care device
KR100646157B1 (ko) 휴대용 분사식 구강 세정기
US20220142349A1 (en) Smart electric toothbrush
JP2004073558A (ja) 口腔洗浄具
JP4120621B2 (ja) 口腔洗浄器
KR20240097427A (ko) 구강 세정기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0959953B1 (ko) 치아세정기
KR102393516B1 (ko) 구강 세정기 및 그의 제어방법
JPH0636614U (ja) 口腔洗浄器
JP3875745B2 (ja) 電動歯ブラシ
KR100839171B1 (ko) 구강세정제의 정량 공급장치
KR20110117839A (ko) 급수밸브의 가글액 자동공급장치
KR200435544Y1 (ko) 치약공급장치가 구비된 휴대용칫솔
JP2020120927A (ja) 口腔洗浄器
US20080287846A1 (en) Oral Cleaning Device with Internal Toothpaste
JPH08117254A (ja) 口腔洗浄器
KR200283020Y1 (ko) 치아 세정기
KR200427754Y1 (ko) 구강세정제의 정량 공급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