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96079A - 차량 도어용 케이블 연결 커넥터 - Google Patents

차량 도어용 케이블 연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96079A
KR20240096079A KR1020220178375A KR20220178375A KR20240096079A KR 20240096079 A KR20240096079 A KR 20240096079A KR 1020220178375 A KR1020220178375 A KR 1020220178375A KR 20220178375 A KR20220178375 A KR 20220178375A KR 20240096079 A KR20240096079 A KR 202400960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lever
hook
coupling portion
sl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8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철훈
이창호
임근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78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96079A/ko
Priority to US18/470,688 priority patent/US20240204453A1/en
Priority to CN202311313684.6A priority patent/CN118232093A/zh
Publication of KR20240096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9607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결 구조를 개선하여 체결성을 강화하면서 손쉽게 체결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 도어용 케이블 연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 도어용 케이블 연결 커넥터는 하측으로 단자하우징이 구비되고, 상측으로 커넥터 후크가 형성되는 아우터결합부가 구비되는 아우터 커넥터와; 하측으로 차체 내부의 케이블에 연결되는 연결캡부가 구비되고, 상측으로 상기 연결캡부에서 연장되는 단자부와 상기 단자부를 측부를 둘러싸면서 상기 아우터결합부의 내부로 인입되어 결합되는 이너결합부가 구비되는 이너 커넥터와; 상기 아우터결합부를 커버하면서 도어의 내부에서 인출되는 케이블이 연결되어 상기 단자부에 접속되고, 누름부가 형성되는 플러그와; 상기 아우터결합부와 이너결합부 사이로 인입되면서 상기 커넥터 후크를 상기 누름부 방향으로 가압하는 레버후크가 형성되어 상기 레버후크가 상기 아우터 커넥터에 록킹되면서 상기 아우터 커넥터와 결합되는 슬라이드 레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도어용 케이블 연결 커넥터{Cable connector for door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도어용 케이블 연결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체결 구조를 개선하여 체결성을 강화하면서 체결 상태가 쉽게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 도어용 케이블 연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도어에는 파워윈도우, 전동식 사이드미러, 스피커 등의 전기장치가 설치되므로, 이들 전기장치의 구동을 위해 전원 및 작동신호를 공급해 주어야 한다.
이에, 차체 내부에서 인출되는 차체측 케이블과 도어의 내측에서 인출되는 도어측 케이블이 각각 구비되고, 이렇게 구비된 차체측 케이블과 도어측 케이블을 커넥터 구조를 사용하여 연결함으로써, 도어의 전기장치에 전원 및 작동신호를 인가하게 된다.
한편, 일반적인 차량 도어용 케이블 연결 커넥터 구조는 차체와 도어가 연결되는 부위에 배치된다. 그래서, 차체와 도어가 연결되는 부위로 차체측 케이블과 도어측 케이블이 외부로 인출되고, 이렇게 인출된 차체측 케이블과 도어측 케이블은 메일 커넥터(male connector)와 피메일 커넥터(female connector) 구조를 활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차량 도어용 케이블 연결 커넥터 구조는 차체와 도어가 연결되는 부위로 노출될 수밖에 없고, 단순히 메일 커넥터와 피메일 커넥터를 사용한 케이블 연결 커넥터 구조는 도어가 닫혀진 상태에서도 차체와 도어가 연결되는 부위의 좁은 틈새 사이로 간단한 도구를 삽입하여 메일 커넥터와 피메일 커넥터를 손쉽게 연결 해제시킬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이렇게 차체측 케이블과 도어측 케이블의 연결이 해제되면 전기 신호를 끊을 수 있고, 이로 인해 도난 경보 기능이 상실되어 차량 도난사고에 취약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차량의 진동이나 사고 등으로 도어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메일 커넥터와 피메일 커넥터의 결합상태가 해제될 수 있고, 이 경우 실내에서도 도어 버튼이 작동하지 않아 승객이 당황하거나 위험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는 문제도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내용은 본 발명에 대한 배경을 이해하기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12479호 (2009.10.28)
본 발명은 체결 구조를 개선하여 체결성을 강화하면서 손쉽게 체결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 도어용 케이블 연결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 도어용 케이블 연결 커넥터는 하측으로 단자하우징이 구비되고, 상측으로 커넥터 후크가 형성되는 아우터결합부가 구비되는 아우터 커넥터와; 하측으로 차체 내부의 케이블에 연결되는 연결캡부가 구비되고, 상측으로 상기 연결캡부에서 연장되는 단자부와 상기 단자부를 측부를 둘러싸면서 상기 아우터결합부의 내부로 인입되어 결합되는 이너결합부가 구비되는 이너 커넥터와; 상기 아우터결합부를 커버하면서 도어의 내부에서 인출되는 케이블이 연결되어 상기 단자부에 접속되고, 누름부가 형성되는 플러그와; 상기 아우터결합부와 이너결합부 사이로 인입되면서 상기 커넥터 후크를 상기 누름부 방향으로 가압하는 레버후크가 형성되어 상기 레버후크가 상기 아우터 커넥터에 록킹되면서 상기 아우터 커넥터와 결합되는 슬라이드 레버를 포함한다.
상기 아우터 커넥터의 커넥터 후크는 상기 아우터 결합부의 벽면에서 한변을 고정시킨 상태로 세 변을 절개하여 고정된 한 변을 기존으로 내측에서 외측으로 회동되는 사각형상의 외팔보 형태로 형성되고, 고정된 한 변의 반대 변측에 외측으로 돌출된 커넥터 록킹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러그의 누름부 내측에는 상기 커넥터 록킹돌기가 인입되어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더 레버는 레버 손잡이가 구비되고, 레버 손잡이에서 연장되어 상기 아우터결합부와 이너결합부 사이로 인입되는 슬라이드바가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드바에는 한변을 고정시킨 상태로 세 변을 절개하여 고정된 한 변을 기존으로 내측에서 외측으로 회동되는 사각형상의 외팔보 형태로 형성되는 레버후크가 형성되고, 상기 레버후크에는 고정된 한 변의 반대 변측의 외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레버 록킹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바의 내측면에는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너 커넥터에 구비된 이너결합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슬라이드 레버가 상기 아우터결합부와 이너결합부 사이로 인입되는 동안 상기 가이드 돌기의 진행 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의 주변에는 상기 레버후크의 진행경로 상에 상기 슬라이드 레버가 진행되는 방향을 따라 점점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경사면을 형성하는 돌출경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버후크의 내측면에는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레버 가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레버는 상기 아우터결합부와 이너결합부 사이로 인입되는 동안 상기 레버후크의 레버 가압돌기가 상기 돌출경사부와 접촉되면서 상기 레버후크가 외측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레버 록킹돌기가 상기 아우터 커넥터의 커넥터 록킹돌기를 가압하면서 상기 커넥터 후크를 외측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드 레버는 상기 아우터결합부와 이너결합부 사이로 인입되는 동안 레버후크가 외측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커넥터 후크를 외측방향으로 회동시키고, 상기 커넥터 후크가 위치되었던 공간으로 인입되어 상기 슬라이드 레버와 아우터 커넥터가 록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누름부가 외측에서 내측으로 가압되면, 상기 커넥터 후크가 내측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레버후크를 회동시켜서 상기 슬라이드 레버와 아우터 커넥터의 록킹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누름부가 외측에서 내측으로 가압되면, 상기 커넥터 후크가 내측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레버후크를 내측방향으로 회동시키고, 상기 레버후크가 내측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레버후크의 레버 가압돌기가 상기 돌출경사부를 따라 슬라이드되면서 슬라이드 레버가 상기 아우터결합부와 이너결합부 사이에서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우터 커넥터의 커넥터 후크, 상기 슬라이드 레버의 레버후크 및 상기 플러그의 누름부는 각각 한 쌍이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드 레버가 인입되는 방향에 형성되는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우터 커넥터의 벽면에는 상기 슬라이드 레버의 슬라이드바가 인입되는 제 1 레버삽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의 벽면에는 상기 슬라이드 레버의 슬라이드바가 인입되는 제 2 레버삽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레버삽입구와 제 2 레버삽입구는 서로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러그의 누름부는 상기 플러그 벽면의 탄성에 의해 누름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너 커넥터는 연결캡부와 이너결합부 사이에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가 차체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캡부가 차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이너 결합부가 차체의 외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드 레버가 상기 아우터결합부와 이너결합부 사이로 인입되면서 진행방향과 상기 플러그에 형성된 누름부의 누름방향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슬라이드 레버를 아우터결합부와 이너결합부 사이로 삽입시키는 동작에 의해 이너 커넥터, 아우터 커넥터 및 플러그가 결합되는 구조를 구현하고, 특히 슬라이드 레버의 레버 록킹돌기 및 아우터 커넥터의 커넥터 록킹돌기가 누름부에 록킹된 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누름부에 대한 인위적인 누름동작 없이는 슬라이드 레버가 해제되는 것이 방지되는바, 차량 도어용 케이블 연결 커넥터의 체결성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레버가 인입 또는 인출되는 방향과 플러그의 누름부를 누르는 방향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함으로서, 슬라이드 레버의 인출을 위해서는 두지점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힘을 작용시켜야 하기 때문에 도어가 닫혀진 상태에서 차체와 도어가 연결되는 부위의 좁은 틈새 사이로 케이블 연결 커넥터의 록킹을 해제시키는 것이 불가능해졌고, 이에 따라 차량의 도난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케이블 연결 커넥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케이블 연결 커넥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케이블 연결 커넥터의 록킹동작시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작동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케이블 연결 커넥터의 록킹해제시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 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케이블 연결 커넥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케이블 연결 커넥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케이블 연결 커넥터의 록킹동작시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작동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케이블 연결 커넥터의 록킹해제시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작동상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케이블 연결 커넥터는 크게, 아우터 커넥터(100), 이너 커넥터(200), 플러그(300) 및 슬라이드 레버(400)로 이루어진다.
아우터 커넥터(100)는 이너 커넥터(200)와 플러그(300)를 매개하여 결합시키는 수단으로서, 하측으로 단자하우징(110)이 구비되고, 상측으로 아우터결합부(120)가 구비된다. 그리고, 아우터결합부(120)에는 커넥터 후크(121)가 형성된다.
단자하우징(110)은 상하로 관통되는 대략 사각프레임 형태로 구비된다. 이때 단자하우징(110)의 내부에 후술되는 이너 커넥터(200)에 구비되는 단자부(22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단자부(220)가 견고하게 인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구조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아우터결합부(120)는 단자하우징(110)의 상단에서 연장되되, 상하로 관통되는 대략 "ㄷ"자 형태의 프레임으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아우터결합부(120)는 대략 사각프레임 형태로 구비될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아우터결합부(120)의 벽면에는 후술되는 슬라이드 레버(400)의 슬라이드바(420)가 인입되는 제 1 레버삽입구(123)가 슬라이드바(420)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제 1 레버삽입구(123)를 형성하였다.
또한, 아우터결합부(120)의 벽면 중 상기 제 1 레버삽입구(123)가 형성된 벽면의 양단부에서 연장되는 한 쌍의 벽면에는 커넥터 후크(121)가 각각 형성된다.
커넥터 후크(121)는 아우터결합부(120)의 벽면에서 한변을 고정시킨 상태로 세 변을 절개하여 고정된 한 변을 기존으로 내측에서 외측으로 회동되는 사각형상의 외팔보 형태로 형성된다. 그래서 커넥터 후크(121)는 고정된 한 변을 기준으로 내측에서 외측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동된다.
그리고, 커넥터 후크(121)의 고정된 한 변의 반대 변측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커넥터 록킹돌기(122)가 형성된다. 그래서 커넥터 후크(121)의 회동에 의해 커넥터 록킹돌기(122)가 소정 각도만큼 회동되면서 후술되는 플러그(300)의 누름부(310)로 인입된다.
이너 커넥터(200)는 하측으로 차체(10) 내부의 케이블에 연결되는 연결캡부(210)가 구비되고, 상측으로 연결캡부(210)에서 연장되는 단자부(220)와 단자부(220)의 측부를 둘러싸면서 아우터결합부(120)의 내부로 인입되어 결합되는 이너결합부(230)가 구비된다.
특히, 이너 커넥터(200)는 연결캡부(210)와 이너결합부(230) 사이에 플랜지부(240)가 형성된다. 그래서, 플랜지부(240)가 차체에 설치됨으로서, 이너 커넥터(200)를 차체(10)에 고정시킨다. 이때 연결캡부(210)가 차체(10)의 내부에 배치되고, 이너결합부(230)가 차체(10)의 외부에 배치된다.
연결캡부(210)는 차체(10) 내부의 케이블에 연결되는 구성으로서, 차체(10)측 케이블이 연결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단자부(220)는 형식적으로 메일 커넥터(male connector)를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대략 사각 블럭 형태로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이너결합부(230)는 플랜지부(240)에서 연장되어 상하로 관통되는 대략 사각프레임 형태로 구비된다. 이때 이너결합부(230)는 아우터결합부(12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아우터결합부(120)보다 크기가 작게 형성되어 이너결합부(230)의 외측면과 아우터결합부(120)의 내측면 사이에 간격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이너결합부(230)의 외측면과 아우터결합부(120)의 내측면 사이의 간격은 후술되는 슬라이드 레버(400)의 슬라이드바(420) 두께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너결합부(230)의 외측면에는 슬라이드 레버(400)의 인입 또는 인출을 가이드 하면서, 록킹구조를 구현시키는 가이드레일(231) 및 돌출경사부(232)가 형성된다. 가이드레일(231)과 돌출경사부(232)의 구조는 후술되는 슬라이드 레버(400) 및 플러그(300)의 구조와 연계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플러그(300)는 아우터결합부(120)를 커버하면서 도어의 내부에서 인출되는 케이블이 연결되어 단자부(220)에 접속되는 수단으로서, 형식적으로 피메일 커넥터(female connector)를 형성하고, 록킹 유지 및 록킹 해제를 위한 누름부(310)가 형성된다.
이때 누름부(310)는 별도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수단이 구비될 필요없이 플러그(300)를 형성하는 소재의 특성에 따라 부여되는 탄성에 의해 누름동작되고 복원된다. 따라서 플러그(300)는 소정의 탄성을 갖고 절연특성을 갖는 고무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플러그(300)의 누름부(310) 내측에는 커넥터 록킹돌기(122)가 인입되어 수용되는 수용홈(311)이 형성된다.
또한, 플러그(300)의 벽면에는 슬라이드 레버(400)의 슬라이드바(420)가 인입되는 제 2 레버삽입구(320)가 슬라이드바(420)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제 2 레버삽입구(320)가 형성된다.
특히, 아우터 커넥터(100)에 형성된 제 1 레버삽입구(123)와 플러그(300)에 형성된 제 2 레버삽입구(320)는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슬라이드 레버(400)의 슬라이드바(420)가 제 2 레버삽입구(320)와 제 1 레버삽입구(123)를 한번에 통과하면서 플러그(300)와 아우터 커넥터(100)에서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슬라이드 레버(400)는 아우터결합부(120)와 이너결합부(230) 사이로 인입되면서 이너 커넥터(200), 아우터 커넥터(100) 및 플러그(300)를 결합시켜서 상호 결합시키는 동시에 록킹 유지 또는 록킹 해제시키는 수단이다.
슬라이드 레버(400)는 레버 손잡이(410)가 구비되고, 레버 손잡이(410)의 양단부에서 연장되어 아우터결합부(120)와 이너결합부(230) 사이로 인입되는 한 쌍의 슬라이드바(420)가 구비된다. 그래서 슬라이드 레버(400)는 대략 "ㄷ"자 형태로 형성된다.
부연하자면, 레버 손잡이(410)는 작업자가 취부하여 슬라이드 레버(400)를 슬라이드시켜서 아우터결합부(120)와 이너결합부(230) 사이로 인입시키거나 인출시키는 수단이다. 그래서 레버 손잡이(41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대략 평평한 판상의 벽면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슬라이드바(420)는 레버 손잡이(410)의 양단부에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때 한 쌍의 슬라이드바(420)에는 각각 레버후크(421)가 형성된다.
레버후크(421)는 아우터결합부(120)에 형성되는 커넥터 후크(121)와 유사하게 한변을 고정시킨 상태로 세 변을 절개하여 고정된 한 변을 기존으로 내측에서 외측으로 회동되는 사각형상의 외팔보 형태로 형성된다.
특히, 레버후크(421)의 내측면에는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레버 가압돌기(423)가 형성되며, 고정된 한 변의 반대 변측의 외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레버 록킹돌기(424)가 형성된다.
또한, 슬라이드바(420)의 내측면에는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가이드 돌기(422)가 형성된다. 이때 가이드 돌기(422)는 한 쌍이 슬라이드바(420)의 연장 방향으로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형성된다.
한편, 이너 커넥터(200)에 구비된 이너결합부(230)의 외측면에는 슬라이드 레버(400)가 아우터결합부(120)와 이너결합부(230) 사이로 인입되는 동안 가이드 돌기(422)의 진행 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레일(231)이 형성된다.
그리고, 가이드레일(231)의 주변, 바람직하게는 가이드레일(231)의 상부에는 레버후크(421)의 진행경로 상에 슬라이드 레버(400)가 진행되는 방향을 따라 점점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경사면을 형성하는 돌출경사부(232)가 형성된다.
그래서, 슬라이드 레버(400)는 아우터결합부(120)와 이너결합부(230) 사이로 인입되는 동안 레버후크(421)의 레버 가압돌기(423)가 돌출경사부(232)와 접촉되면서 레버후크(421)가 외측방향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동된다.
그러면, 레버 록킹돌기(424)가 아우터 커넥터(100)의 커넥터 록킹돌기(122)를 가압하면서 커넥터 후크(121)를 외측방향으로 연동하여 회동시킨다.
이렇게 커넥터 후크(121)가 외측방향으로 회동되면 커넥터 후크(121)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커넥터 록킹돌기(122)가 누름부(310)에 형성된 수용홈(311)으로 인입된다.
한편, 슬라이드 레버(400)가 아우터결합부(120)와 이너결합부(230) 사이로 인입되면서 진행방향과 플러그(300)에 형성된 누름부(310)의 누름방향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슬라이드 레버(400)의 인출을 위해서는 두지점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힘이 작용되도록 한다.
또한, 아우터 커넥터(100)의 커넥터 후크(121), 슬라이드 레버(400)의 레버후크(421) 및 플러그(300)의 누름부(310)는 각각 한 쌍이 구비되되, 슬라이드 레버(400)가 인입되는 방향에 형성되는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되어 배치되도록 한다. 그래서, 작업자가 플러그(300)에 형성된 한 쌍의 누름부(310)를 가압하는 경우에 한 쌍의 누름부(310)를 가압하는 방향을 서로 반대 방향이 되도록 함으로써, 도어가 닫혀진 상태에서도 차체(10)와 도어가 연결되는 부위의 좁은 틈새 사이로 한 번에 한 쌍의 누름부(310)를 동시에 가압할 수 없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케이블 연결 커넥터의 작동상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아우터 커넥터(100), 이너 커넥터(200) 및 플러그(300)를 결합하여 슬라이드 레버(400)를 이용하여 록킹을 유지시키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우터 커넥터(100), 이너 커넥터(200) 및 플러그(300)를 순차적으로 결합시킨다. 이 상태에서 아우터결합부(120)와 이너결합부(230) 사이로 슬라이드 레버(400)의 슬라이드바(420)를 인입시킨다. 이때 슬라이드바(420)는 제 2 레버삽입구(320)와 제 1 레버삽입구(123)를 한번에 통과하면서 플러그(300)와 아우터 커넥터(100)에서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된다.
그리고, 슬라이드바(420)가 인입되면서 슬라이드바(420)의 내측면에 돌출된 가이드 돌기(422)가 이너결합부(230)에 형성된 가이드레일(231)을 따라 안내되기 시작된다.
이 상태에서 슬라이드 레버(400)를 더 인입시키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바(420)의 레버 가압돌기(423)가 돌출경사부(232)와 접촉되면서 레버후크(421)가 돌출경사부(232)의 경사면을 따라 외측방향으로 회동하기 시작된다.
그리고, 계속하여 슬라이드 레버(400)를 더 인입시키면,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후크(421)가 소정 각도만큼 회동되고, 이에 따라 레버후크(421)의 외측면에서 돌출된 레버 록킹돌기(424)가 외측방향으로 회동되어 아우터 커넥터(100)의 커넥터 록킹돌기(122)를 가압하면서 커넥터 후크(121)를 외측방향으로 연동하여 회동시킨다.
이렇게 커넥터 후크(121)가 외측방향으로 회동되면 커넥터 후크(121)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커넥터 록킹돌기(122)가 누름부(310)에 형성된 수용홈(311)으로 인입된다.
이에 따라 슬라이드 레버(400)의 레버후크(421)에 형성된 레버 록킹돌기(424)가 아우터 커넥터(100)의 커넥터 록킹돌기(122)가 위치되었던 공간으로 인입되어 유지됨에 따라 슬라이드 레버(400)와 아우터 커넥터(100)의 록킹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록킹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누름부(310)를 동시에 내측방향으로 가압하는 동시에 슬라이드 레버(400)를 인출되는 방향으로 빼낸다.
부연하자면, 누름부(310)를 가압되는 힘에 의해 누름부(310)가 외측에서 내측으로 가압되면서, 커넥터 후크(121)가 내측방향으로 회동된다. 그러면 커넥터 후크(121)와 연동하여 레버후크(421)도 내측방향으로 회동되면서 레버후크(421)의 레버 가압돌기(423)가 돌출경사부(232)를 따라 슬라이드되고, 이에 따라 커넥터 후크(121) 및 레버후크(421)가 원위치로 복귀된다.
그러면 앞서 설명된 도 3a 내지 도 3c의 록킹 유지 동작의 역순으로 록킹이 해제되면서 슬라이드 레버(400)를 아우터결합부(120)와 이너결합부(230) 사이에서 인출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아우터 커넥터(100), 이너 커넥터(200) 및 플러그(300)를 순차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 차체 100: 아우터 커넥터
110: 단자하우징 120: 아우터결합부
121: 커넥터 후크 122: 커넥터 록킹돌기
123: 제 1 레버삽입구 200: 이너 커넥터
210: 연결캡부 220: 단자부
230: 이너결합부 231: 가이드레일
232: 돌출경사부 240: 플랜지부
300: 플러그 310: 누름부
311: 수용홈 320: 제 2 레버삽입구
400: 슬라이드 레버 410: 레버 손잡이
420: 슬라이드바 421: 레버후크
422: 가이드돌기 423: 레버 가압돌기
424: 레버 록킹돌기

Claims (14)

  1. 하측으로 단자하우징이 구비되고, 상측으로 커넥터 후크가 형성되는 아우터결합부가 구비되는 아우터 커넥터와;
    하측으로 차체 내부의 케이블에 연결되는 연결캡부가 구비되고, 상측으로 상기 연결캡부에서 연장되는 단자부와 상기 단자부를 측부를 둘러싸면서 상기 아우터결합부의 내부로 인입되어 결합되는 이너결합부가 구비되는 이너 커넥터와;
    상기 아우터결합부를 커버하면서 도어의 내부에서 인출되는 케이블이 연결되어 상기 단자부에 접속되고, 누름부가 형성되는 플러그와;
    상기 아우터결합부와 이너결합부 사이로 인입되면서 상기 커넥터 후크를 상기 누름부 방향으로 가압하는 레버후크가 형성되어 상기 레버후크가 상기 아우터 커넥터에 록킹되면서 상기 아우터 커넥터와 결합되는 슬라이드 레버를 포함하는 차량 도어용 케이블 연결 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커넥터의 커넥터 후크는 상기 아우터 결합부의 벽면에서 한변을 고정시킨 상태로 세 변을 절개하여 고정된 한 변을 기존으로 내측에서 외측으로 회동되는 사각형상의 외팔보 형태로 형성되고,
    고정된 한 변의 반대 변측에 외측으로 돌출된 커넥터 록킹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케이블 연결 커넥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의 누름부 내측에는 상기 커넥터 록킹돌기가 인입되어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케이블 연결 커넥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레버는 레버 손잡이가 구비되고, 레버 손잡이에서 연장되어 상기 아우터결합부와 이너결합부 사이로 인입되는 슬라이드바가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드바에는 한변을 고정시킨 상태로 세 변을 절개하여 고정된 한 변을 기존으로 내측에서 외측으로 회동되는 사각형상의 외팔보 형태로 형성되는 레버후크가 형성되고,
    상기 레버후크에는 고정된 한 변의 반대 변측의 외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레버 록킹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바의 내측면에는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케이블 연결 커넥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이너 커넥터에 구비된 이너결합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슬라이드 레버가 상기 아우터결합부와 이너결합부 사이로 인입되는 동안 상기 가이드 돌기의 진행 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의 주변에는 상기 레버후크의 진행경로 상에 상기 슬라이드 레버가 진행되는 방향을 따라 점점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경사면을 형성하는 돌출경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케이블 연결 커넥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레버후크의 내측면에는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레버 가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레버는 상기 아우터결합부와 이너결합부 사이로 인입되는 동안 상기 레버후크의 레버 가압돌기가 상기 돌출경사부와 접촉되면서 상기 레버후크가 외측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레버 록킹돌기가 상기 아우터 커넥터의 커넥터 록킹돌기를 가압하면서 상기 커넥터 후크를 외측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케이블 연결 커넥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레버는 상기 아우터결합부와 이너결합부 사이로 인입되는 동안 레버후크가 외측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커넥터 후크를 외측방향으로 회동시키고, 상기 커넥터 후크가 위치되었던 공간으로 인입되어 상기 슬라이드 레버와 아우터 커넥터가 록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케이블 연결 커넥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가 외측에서 내측으로 가압되면, 상기 커넥터 후크가 내측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레버후크를 회동시켜서 상기 슬라이드 레버와 아우터 커넥터의 록킹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케이블 연결 커넥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가 외측에서 내측으로 가압되면, 상기 커넥터 후크가 내측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레버후크를 내측방향으로 회동시키고,
    상기 레버후크가 내측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레버후크의 레버 가압돌기가 상기 돌출경사부를 따라 슬라이드되면서 슬라이드 레버가 상기 아우터결합부와 이너결합부 사이에서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케이블 연결 커넥터.
  10.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커넥터의 커넥터 후크, 상기 슬라이드 레버의 레버후크 및 상기 플러그의 누름부는 각각 한 쌍이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드 레버가 인입되는 방향에 형성되는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케이블 연결 커넥터.
  11.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커넥터의 벽면에는 상기 슬라이드 레버의 슬라이드바가 인입되는 제 1 레버삽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의 벽면에는 상기 슬라이드 레버의 슬라이드바가 인입되는 제 2 레버삽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레버삽입구와 제 2 레버삽입구는 서로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케이블 연결 커넥터.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의 누름부는 상기 플러그 벽면의 탄성에 의해 누름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케이블 연결 커넥터.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너 커넥터는 연결캡부와 이너결합부 사이에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가 차체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캡부가 차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이너 결합부가 차체의 외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케이블 연결 커넥터.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레버가 상기 아우터결합부와 이너결합부 사이로 인입되면서 진행방향과 상기 플러그에 형성된 누름부의 누름방향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케이블 연결 커넥터.
KR1020220178375A 2022-12-19 2022-12-19 차량 도어용 케이블 연결 커넥터 KR2024009607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8375A KR20240096079A (ko) 2022-12-19 2022-12-19 차량 도어용 케이블 연결 커넥터
US18/470,688 US20240204453A1 (en) 2022-12-19 2023-09-20 Cable Coupling Connector for Vehicle Door
CN202311313684.6A CN118232093A (zh) 2022-12-19 2023-10-11 用于车门的电缆联接连接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8375A KR20240096079A (ko) 2022-12-19 2022-12-19 차량 도어용 케이블 연결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96079A true KR20240096079A (ko) 2024-06-26

Family

ID=91472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8375A KR20240096079A (ko) 2022-12-19 2022-12-19 차량 도어용 케이블 연결 커넥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40204453A1 (ko)
KR (1) KR20240096079A (ko)
CN (1) CN11823209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2479A (ko) 2008-04-24 2009-10-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 커넥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2479A (ko) 2008-04-24 2009-10-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204453A1 (en) 2024-06-20
CN118232093A (zh) 2024-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54407B1 (en) Mechanical assist cam slide device
US7232324B2 (en) Electrical connector bridge arrangement with release means
US9368897B2 (en) Electrical connector
JP3180016B2 (ja) 半嵌合防止コネクタ
CN107305992A (zh) 包括锁定机构的din导轨装置安装组件、系统和方法
KR101120767B1 (ko) 래치 장치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
US3775726A (en) Safety receptacle
US10177480B2 (en) High-voltage connector and high-voltage power supply connecting device having the same
TWI272748B (en) Connector
CN101286603B (zh) 用于印制电路板的插塞连接器
KR102651924B1 (ko) 단자대
KR20240096079A (ko) 차량 도어용 케이블 연결 커넥터
KR101939072B1 (ko) 레버타입 커넥터
US8231393B2 (en) Connection receptacle lock and security structure
US9287650B2 (en) Connector and mating connector
US7438568B2 (en) Divided connector
US20180301846A1 (en) Plug connector
JPH07263039A (ja) 速結端子台
GB2463688A (en) Locking plugs and the like into a three pin electrical socket
WO2004010542A1 (en) Damage resistant latching electrical connector
US9742114B2 (en) Connector with a claw of locking member
KR102338389B1 (ko) 방수커넥터
CN220797206U (zh) 12股电缆线连接头
CN117060161A (zh) 连接器及其使用方法
US20200294696A1 (en) Self-locking lug protec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