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94879A - 모빌리티의 캐빈 내 파티션 - Google Patents

모빌리티의 캐빈 내 파티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94879A
KR20240094879A KR1020220177536A KR20220177536A KR20240094879A KR 20240094879 A KR20240094879 A KR 20240094879A KR 1020220177536 A KR1020220177536 A KR 1020220177536A KR 20220177536 A KR20220177536 A KR 20220177536A KR 20240094879 A KR20240094879 A KR 202400948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cabin
rail
slider
driv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7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훈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77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94879A/ko
Priority to US18/197,306 priority patent/US20240199209A1/en
Priority to EP23198212.5A priority patent/EP4385893A1/en
Publication of KR20240094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948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1/00Passenger or crew accommodation; Flight-deck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11/0023Movable or removable cabin dividers, e.g. for class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1/00Passenger or crew accommodation; Flight-deck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11/06Arrangements of seats, or adaptation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seats
    • B64D11/0606Arrangements of seats, or adaptation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seats with privacy shells, screens, separato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1/00Passenger or crew accommodation; Flight-deck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11/06Arrangements of seats, or adaptation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seats
    • B64D11/0696Means for fastening seats to floors, e.g. to floor r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객과 화물을 위한 공간의 크기를 상황 및 필요에 따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모빌리티의 캐빈 내 파티션에 관한 것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빈 내 파티션은, 캐빈 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레일;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 가능한 파티션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빌리티의 캐빈 내 파티션 {In-cabin partition of mobility}
본 발명은, 승객과 화물을 위한 공간의 크기를 상황 및 필요에 따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모빌리티의 캐빈 내 파티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항공기의 경우에는, 주어진 시간에 수행되는 운항 횟수를 최대화하기 위해 효율적인 승객 탑승 및 화물 로딩이 요구된다. 이와 더불어, 항공기 자체가 승객 수 및 화물 용량과 관련하여 내부 공간을 최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는 것도 요구된다.
이를 위해, 종래의 상업용 항공기는, 승객을 운반하는 데에만 거의 전용으로 활용되는 상부 데크와, 화물의 운반을 위한 전용의 하부 데크를 구비할 수 있다.
하지만, 이렇게 항공기를 이층 데크로 구성하더라도, 예를 들어 승객이 거의 없거나 아예 없는 운항에서 더 많은 화물을 운반하기 위해, 비어 있는 캐빈 또는 상부 데크를 활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특허문헌 1) US 9783280 B2
본 발명은, 승객과 화물을 위한 공간의 크기를 상황 및 필요에 따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모빌리티의 캐빈 내 파티션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빈 내 파티션은, 캐빈 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레일;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 가능한 파티션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빈 내 파티션은, 상기 레일과 상기 슬라이더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력을 제공하는 제1 구동부; 상기 슬라이더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2 구동부; 및 상기 제1 구동부와 상기 제2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일은, 상기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형성된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홈부는, 메인홈과, 상기 메인홈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한 이탈방지홈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는 평탄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직교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메인홈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삽입부에서 돌출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홈에 삽입 가능한 이탈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홈부의 적어도 일측 선단에는, 상기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락킹홈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는, 중공부, 상기 중공부의 안팍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된 위치고정부, 및 일측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고정부는, 적어도 하나의 스터드, 상기 스터드에 연결된 프레임, 및 상기 중공부 내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의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3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터드는 상기 복수의 락킹홈 중 하나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 구동부는 리니어 모터이고, 상기 레일 또는 상기 슬라이더 중 어느 하나는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영구자석을 포함하고, 다른 하나에는 코일이 권취되거나 적층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에 장착되어 상기 레일과 접촉하면서 미끄럼 이동함과 더불어, 전류가 흐르는 상기 레일과 통전하는 접속 터미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접속 터미널은 상기 제1 구동부와 상기 제2 구동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슬라이더에 설치된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모터축에 연결된 선 기어, 상기 회전축의 내주면에 형성된 링 기어, 상기 선 기어와 상기 링 기어 사이에서 맞물려 회전하면서 상기 링 기어를 회전시키는 복수의 유성 기어, 및 상기 복수의 유성 기어를 연결하고 축부재에 의해 상기 회전축 내에서 위치가 고정된 캐리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은, 상기 슬라이더 상에 직립하여 설치되거나, 복수의 상기 슬라이더 상에 걸쳐 놓이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은, 복수의 상기 슬라이더 상에 걸쳐 놓이도록 설치되고, 상기 파티션 본체는, 중공부를 갖도록 형성되며, 일측 단부가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게 결합되고, 상기 캐빈 내 파티션은, 상기 파티션 본체의 중공부 내에 설치된 제4 구동부; 및 상기 제4 구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파티션 본체의 타측 단부에서 출입 가능한 파티션 신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캐빈 내 파티션은, 캐빈 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레일;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더; 복수의 상기 슬라이더 상에 걸쳐 놓이도록 설치된 케이싱; 상기 케이싱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 가능한 파티션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빈 내 파티션은, 상기 레일과 상기 슬라이더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력을 제공하는 제1 구동부; 상기 케이싱 내에 수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2 구동부; 및 상기 제1 구동부와 상기 제2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구동부는, 작동본체, 및 상기 작동본체에 주입된 유체 또는 인가된 전원에 의해 작동하여 상기 작동본체를 출입 가능한 작동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본체의 단부에는 제1 힌지부가 형성되어 상기 작동본체는 상기 케이싱에 대해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작동로드의 단부에는 제2 힌지부가 형성되어 상기 작동로드가 상기 파티션 본체에 대해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모빌리티의 캐빈 내 레이아웃을 변경하는 데에 필요한 시간과 과정을 대폭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단일 모빌리티를 다양한 목적에 맞춰 활용 가능하게 되어, 비용을 절감하고 수익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빈 내 파티션이 적용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빈 내 파티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제1 구동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제1 구동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제2 구동부와 함께 회전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빈 내 파티션이 적용된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캐빈 내 파티션이 적용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캐빈 내 파티션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캐빈 내 파티션의 일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캐빈 내 파티션의 일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는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이 캐빈을 가진 항공용 모빌리티에 적용된 경우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항공용 모빌리티뿐 아니라, 캐빈 또는 실내를 갖춘 수상용 또는 수중용 모빌리티, 육상용 모빌리티 등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지만, 이들 구성요소는 제1 및 제2 등의 용어에 의해 순서나 크기, 위치, 중요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명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빈 내 파티션이 적용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빈 내 파티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제1 구동부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a)는 슬라이더의 사시도이고, (b)는 레일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제1 구동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빈 내 파티션은, 적어도 하나의 레일(10), 슬라이더(20), 회전축(40), 및 파티션 본체(50)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레일(10)이 캐빈(1)의 플로어(floor)에서 캐빈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레일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예컨대 금속 등과 같은 전도성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레일은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형성된 홈부(11)를 포함할 수 있다.
홈부(11)는 대략 십자형 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이로써 홈부는 메인홈(12)과, 메인홈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레일(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한 이탈방지홈(13)을 포함할 수 있다. 홈부의 개구부를 통해 메인홈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홈부(11)의 적어도 일측 선단에는, 레일(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락킹홈(1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레일(10)이 캐빈(1)의 플로어에 배치된 예가 도시되고 설명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레일은 캐빈의 천장 또는 측벽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2에는 복수의 레일이 캐빈의 플로어와 함께 천장에 설치된 예가 나타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빈 내 파티션에서, 레일(10)은 파티션 본체(50)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은 물론, 제1 구동부(30)의 일부를 구성하여 파티션 본체에 이동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더욱이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통전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슬라이더(20)를 통해 제1 구동부의 코일에 전류를 인가할 수 있게 한다.
슬라이더(20)는 레일(10)의 내부, 즉 홈부(11)의 메인홈(12)에 삽입되어, 레일의 홈부에서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로 미끄럼 이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슬라이더(20)는 레일(10)의 홈부(11)가 가진 단면 형상과 대응되는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라이더는 대략 T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슬라이더는 회전축(40)을 지지하는 평탄한 지지부(21)와, 지지부에 직교하도록 연결되어 홈부의 메인홈(12)에 삽입되는 삽입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지지부(21)는 중공부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중공부의 안팍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된 위치고정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지부의 일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24)이 형성될 수 있다.
위치고정부(23)는, 적어도 하나의 스터드(25), 스터드에 연결된 프레임(26), 및 지지부(21)의 중공부 내에 설치되어 프레임의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3 구동부(27)를 포함할 수 있다.
스터드(25)는 예컨대 대략 반원 형상의 단면을 가진 기둥부재로서, 레일(10)의 복수의 락킹홈(14) 중 하나에 형상맞춤되면서 해당 락킹홈에 삽입될 수 있다. 하지만, 스터드의 형상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임의의 다른 다각형이나 타원형의 단면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프레임(26)은 스터드(25)와 제3 구동부(27)를 연결함과 더불어, 스터드가 관통홀(24)을 통해 지지부(21)로부터 완전히 이탈하는 것을 저지하는 스토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스터드가 구비된 경우에, 이들 스터드가 일체로 움직일 수 있도록 프레임은 복수의 스터드를 연결할 수 있다.
제3 구동부(27)로는 랙과 피니언 기구가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구동부는, 프레임(26)에 설치된 모터(27a), 모터의 모터축에 연결된 피니언기어(27b), 및 지지부(21)의 중공부에 설치되어 피니언기어와 맞물리는 랙기어(27c)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27a)의 모터축에 연결된 피니언기어(27b)가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면, 랙기어(27c)와 맞물려 회전하면서 피니언기어가 랙기어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로써, 피니언기어의 이동과 함께 프레임(26) 및 적어도 하나의 스터드(25)가 이동하여 스터드가 관통홀(24)을 통해 지지부(21)로부터 돌출하게 된다.
이렇게 돌출된 스터드가 레일(10)의 복수의 락킹홈(14) 중 하나에 형상맞춤되면서 해당 락킹홈에 삽입되고, 결국 레일(10)에 대한 슬라이더(20)의 위치가 고정되게 결정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모터(27a)는 전원의 인가에 따라 정역회전할 수 있다. 모터의 작동에 따른 구동력에 의해, 스터드(25)는 왕복이동할 수 있으며, 스터드가 지지부(21)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거나 지지부의 중공부 내로 몰입될 수 있다.
제3 구동부(27)는 스터드(25)의 안정적인 작동을 구현하기 위해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구동부의 구성은 전술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작동로드를 갖춘, 예컨대 공압 실린더와 같은 유체압 실린더,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와 같은 전기식 액츄에이터 등이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삽입부(22)는, 슬라이더(20)의 이동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홈부(11)의 이탈방지홈(13)에 삽입 가능한 이탈방지부(28)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이탈방지부(28)와 이탈방지홈(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빈 내 파티션이 항공용 모빌리티의 캐빈(1)에서 플로어 또는 천장에 적용되는 경우에, 슬라이더(20)가 레일(10)로부터 캐빈의 높이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을 구성할 수 있다.
이로써, 캐빈 내 파티션이 모빌리티의 임의의 운동에 대해 캐빈(1)의 플로어 또는 천장에 지속적으로 그리고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빈 내 파티션에서, 레일(10)과 슬라이더(20)는 제1 구동부(30)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빈 내 파티션의 제1 구동부는 리니어 모터(linear motor)를 채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레일(10)의 내측벽에는 복수의 영구자석(31)이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슬라이더(20)의 삽입부(22)에는 코일(32)이 권취 또는 적층될 수 있다.
복수의 영구자석(31)은 레일(10)의 각 내측벽에 극성이 서로 상이하게 번갈아 배치되는 한편, 맞은편 내측벽에 있는 영구자석과 서로 동극이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영구자석은 예컨대 접착제, 패스너(fastener) 등과 같은 임의의 기술을 이용하여 레일에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
코일(32)은 영구자석(31)들의 표면과 대향하도록 자기적 공극을 사이에 두고 슬라이더(20)의 삽입부(22)에 권취 및/또는 적층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영구자석의 위치에 대해 적절한 전류가 매 위상마다 코일에 인가됨으로써, 코일 주위에 자속이 발생하고, 이러한 자속이 영구자석의 자속과 상호 작용하여 전자기력, 즉 이동력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슬라이더(20)가 레일(10) 안에서 선형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코일(32)과 영구자석(31)들은 서로 물리적으로 접촉하지 않는다. 자속의 변화는 코일이 통전될 때 발생하고, 이에 따라 코일과 영구자석 사이에서 이동력이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류는 일정한 간격으로 양(+), 영(0) 및 음(-)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코일(32)에서 전류의 방향은 영구자석(31)에 의해 생성된 자속의 방향을 고려하여 모든 코일에서 양의 이동력을 생성하는 방식으로 인가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선형 이동은 단일 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역방향 이동이 필요한 경우에 모든 코일에 음의 이동력을 생성하는 전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빈 내 파티션에서는 영구자석(31)이 레일(10)에 설치되어 위치가 고정되고, 코일(32)이 슬라이더(20)에 배치되어 코일이 움직이는 예가 나타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코일과 영구자석은 서로 반대로 배치되어 영구자석이 움직이게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빈 내 파티션은, 선택적으로 레일(10)과 슬라이더(20) 사이에 위치하도록 슬라이더에 장착되어 레일과 접촉하면서 미끄럼 이동함과 더불어, 전류가 흐르는 레일과 통전하는 접속 터미널(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속 터미널(33)은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재질의 도체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예컨대 접착제, 패스너 등과 같은 임의의 기술을 이용하여 슬라이더(20)의 삽입부(22)의 단부에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 접속 터미널은 코일(3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로써, 전원(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으로부터 전류가 흐르는 레일(10) 내에서, 접속 터미널(33)은 슬라이더(20)와 함께 미끄럼 이동하면서 레일의 내면과 지속적으로 접촉하고, 이러한 접속을 통해 접속 터미널은 레일로부터 인가받은 전류를 코일(32)에 전달하여 제1 구동부(3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회전축(40)은 슬라이더(20)에 설치 가능한, 예컨대 대략 원형의 단면을 가진 관 형상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빈 내 파티션에서, 회전축은 슬라이더 상에 직립하여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회전축의 안정적인 지지 및 작동을 구현하기 위해, 단일한 회전축의 양단에 각각 슬라이더가 배치될 수 있다.
회전축(40)의 단부와 슬라이더(20) 사이에는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회전축의 내주면 일부에는 링 기어(6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링기어는 제2 구동부(60)와 관계가 있다.
파티션 본체(50)는 예컨대 소정의 두께를 가진 대략 판 형상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파티션 본체의 형태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임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티션 본체(50)는, 복수의 가로 프레임(51)과 복수의 세로 프레임(52)으로 구성되어 복수의 수납공간(53)을 가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수납공간에는 승객의 수화물이 수용될 수 있다.
또한, 파티션 본체(50)에는 조명기구, 냉장고 또는 온장고 등이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전기기구의 전원은, 전류가 흐르는 레일(10)에 접촉하고 있는 접속 터미널(33)을 통해 얻을 수 있다.
파티션 본체(50)의 일측 단부는, 예컨대 용접, 패스너 등과 같은 임의의 기술을 이용하여 회전축(40)에 고정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파티션 본체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요잉(yawing)에 해당하는 회전운동을 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빈 내 파티션은 캐빈(1) 내에서 측방 양측에 하나씩 설치되고, 회전축(4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배치됨으로써, 한 쌍의 파티션이 캐빈 내 복도를 개폐하는 도어로 작용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제2 구동부와 함께 회전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빈 내 파티션의 제2 구동부(60)로는 유성 기어 기구가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구동부는, 슬라이더(20)에 설치된 구동모터(61), 구동모터의 모터축에 연결된 선 기어(sun gear; 62), 회전축(40)의 내주면에 형성된 링 기어(63), 선 기어와 링 기어 사이에서 맞물려 회전하면서 링 기어를 회전시키는 복수의 유성 기어(64), 및 이들 유성 기어를 연결하고 축부재(66)에 의해 회전축 내에서 위치가 고정된 캐리어(65)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모터(61)는, 링 기어(63)가 형성된 회전축(40)의 일측 단부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캐리어(65)를 고정시키는 축부재(66)는 예컨대 용접, 패스너 등과 같은 임의의 기술을 이용하여 회전축의 타측 단부에 고정되게 결합될 수 있다.
구동모터(61)는 접속 터미널(33)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로써, 전원(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으로부터 전류가 흐르는 레일(10) 내에서, 접속 터미널(33)은 슬라이더(20)와 함께 미끄럼 이동하면서 레일의 내면과 지속적으로 접촉하고, 이러한 접속을 통해 접속 터미널은 레일로부터 인가받은 전류를 구동모터에 전달하여 제2 구동부(6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선 기어(62)의 외주면에 형성된 치형상부와 맞물려 회전하는 복수의 유성 기어(64) 각각은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도록 캐리어(65)에 장착되어, 링 기어(63)에도 맞물릴 수 있게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구동모터(61)의 모터축에 연결된 선 기어(62)를 입력축으로 하고 링 기어(63)를 출력축으로 할 때, 선 기어가 회전함에 따라 위치가 고정된 유성 기어(64)들이 선 기어와 링 기어 사이에서 회전하고 링 기어도 회전하게 되어, 링 기어와 일체로 된 회전축(40)이 회전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공지된 계산방식에 따라 링 기어(63)의 톱니수 / 선 기어(62)의 톱니수로 표시되는 감속비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회전축(40)이 회전하게 됨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축에 고정되게 결합된 파티션 본체(50)가 회전운동하게 되어 캐빈(1) 내 복도를 개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빈 내 파티션은, 제1 구동부(30)와 제2 구동부(60) 및 제3 구동부(27)의 작동을 제어하여 캐빈 내 파티션을 선택적으로 이동 및/또는 선회시키는 제어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예컨대, 유선, 무선, 유무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제1 구동부(30)와 제2 구동부(60) 및 제3 구동부(27)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는 각 구동부에 제어신호를 CAN(Controller Area Network)을 통해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메모리 및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는, 각 구동부의 구성요소들, 특히 해당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 또는 알고리즘을 재현한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구동부의 구성요소들, 특히 해당 모터의 예정된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70)는, 예컨대 모빌리티의 제어시스템에 병합되거나 겸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빈 내 파티션의 전반적인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빌리티의 운행 전, 미리 제어부(70)에 입력되는 승객의 수 또는 화물(C)의 용량 등에 따라 캐빈(1)의 레이아웃이 변경되고 내부 공간이 재분배 및 재구성될 수 있다. 승객용 좌석의 일부가 제거되거나 쿠션을 접어올려 부피를 축소할 수 있다. 반대로, 승객용 좌석의 일부가 추가되거나 좌석열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여 더 많은 승객을 태우도록 조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승객을 위한 공간이 조정된 후에, 제어부(70)는 캐빈 내 파티션의 제1 구동부(30)를 제어하여 캐빈 내 파티션이 캐빈(1) 내에서 적절한 위치에 놓이도록 레일(10)을 따라 선형 이동시킬 수 있다. 위치가 결정된 후, 제어부는 제3 구동부(27)를 제어하여 스터드(25)를 작동시킴으로써, 캐빈 내 파티션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70)는 승객의 탑승을 위해 제2 구동부(60)를 제어하여 캐빈 내 파티션이 캐빈(1) 내 복도를 개방하도록 회전되게 할 수 있다. 승객의 탑승이 완료된 후, 제어부가 제2 구동부를 제어하여 캐빈 내 파티션이 복도를 폐쇄하고, 캐빈 내 나머지 공간에는 화물(C)이 로딩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빈 내 파티션에 의하면, 모빌리티의 캐빈 내 레이아웃을 변경하는 데에 필요한 시간과 과정을 대폭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빈 내 파티션이 적용된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6에 도시된 변형예는, 캐빈(1)이 폭방향으로 크기가 좁은 경우에 캐빈 내 파티션을 단문형으로 배치하여 복도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6의 (a)에서는, 회전축(40)이 파티션 본체(50)의 일측에 배치되어, 파티션 본체가 일측 단부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캐빈 내 파티션은 여닫이문처럼 작동하여 캐빈(1) 내 복도를 개폐할 수 있다. 캐빈 내 파티션은 최대 180도로 회전할 수 있다.
도 6의 (b)에서는, 회전축(40)이 파티션 본체(50)의 중앙에 배치되어, 파티션 본체가 가운데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캐빈 내 파티션은 회전문처럼 작동하여 캐빈(1) 내 복도를 개폐할 수 있다. 캐빈 내 파티션은 최대 360도로 회전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캐빈 내 파티션이 적용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캐빈 내 파티션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캐빈 내 파티션은, 적어도 하나의 레일(10), 슬라이더(20), 회전축(40), 및 파티션 본체(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제2 실시예는 회전축(40)의 배치관계와 파티션 본체(50)의 회전방향만 상이하고,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제1 실시예의 구성요소들과 동일하다. 이에, 제2 실시예의 캐빈 내 파티션을 설명함에 있어, 전술한 제1 실시예에 의한 캐빈 내 파티션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면서 그 구성 및 기능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적어도 하나의 레일(10)이 캐빈(1)의 플로어에서 캐빈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캐빈 내 파티션에서, 레일(10)은 파티션 본체(50)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은 물론, 제1 구동부(30)의 일부를 구성하여 파티션 본체에 이동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더욱이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통전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슬라이더(20)를 통해 제1 구동부의 코일에 전류를 인가할 수 있게 한다.
레일(10)은 캐빈(1)의 천장 또는 측벽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레일에는 복수의 홀더(15)가 캐빈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파티션 본체(50)가 회전하면서 홀더 중 하나에 접촉하면, 파티션 본체가 소정 각도 이상으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슬라이더(20)는 레일(10)의 내부, 즉 홈부(11)의 메인홈(12)에 삽입되어, 레일의 홈부에서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로 미끄럼 이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슬라이더(20)는 레일(10)의 홈부(11)가 가진 단면 형상과 대응되는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라이더는 대략 T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써 슬라이더는 회전축(40)을 지지하는 평탄한 지지부(21)와, 지지부에 직교하도록 연결되어 홈부의 메인홈(12)에 삽입되는 삽입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캐빈 내 파티션에서, 레일(10)과 슬라이더(20)는 제1 구동부(30)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캐빈 내 파티션의 제1 구동부는 리니어 모터를 채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레일의 내측벽에는 복수의 영구자석(31)이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슬라이더의 삽입부(22)에는 코일(32)이 권취 및/또는 적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캐빈 내 파티션은, 선택적으로 레일(10)과 슬라이더(20) 사이에 위치하도록 슬라이더에 장착되어 레일과 접촉하면서 미끄럼 이동함과 더불어, 전류가 흐르는 레일과 통전하는 접속 터미널(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속 터미널은 레일로부터 인가받은 전류를 슬라이더의 코일(32)에 전달하여 제1 구동부(3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회전축(40)은 슬라이더(20)에 설치 가능한, 예컨대 대략 원형의 단면을 가진 관 형상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캐빈 내 파티션에서, 회전축은 복수의 슬라이더 상에 걸쳐 놓이도록 플로어에 평행하게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회전축의 안정적인 지지 및 작동을 구현하기 위해, 단일한 회전축의 양단에 각각 슬라이더가 배치될 수 있다.
회전축(40)의 단부와 슬라이더(20) 사이에는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베어링에 의해, 회전축과 슬라이더는 다소 이격될 수 있으며, 이로써 회전축이 슬라이더와의 간섭 없이 원활히 회전할 수 있다. 회전축의 내주면 일부에는 링 기어(6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링기어는 제2 구동부(60)와 관계가 있다.
파티션 본체(50)는 예컨대 소정의 두께를 가진 대략 판 형상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파티션 본체의 형태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임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파티션 본체(50)의 일측 단부는, 예컨대 용접, 패스너 등과 같은 임의의 기술을 이용하여 회전축(40)에 고정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파티션 본체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피칭(pitching)에 해당하는 회전운동을 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캐빈 내 파티션은 캐빈(1) 내에서 플로어에 인접하게 배치된 회전축(4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됨으로써, 캐빈 내 복도를 개폐함은 물론, 캐빈 내 공간을 승객용 구역과 화물용 구역으로 구획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캐빈 내 파티션의 제2 구동부(60)로는 유성 기어 기구가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구동부는, 구동모터(61), 선 기어(62), 링 기어(63), 복수의 유성 기어(64), 캐리어(65) 및 축부재(66)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모터(61)는, 링 기어(63)가 형성된 회전축(40)의 일측 단부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캐리어(65)를 고정시키는 축부재(66)는 예컨대 용접, 패스너 등과 같은 임의의 기술을 이용하여 회전축의 타측 단부에 고정되게 결합될 수 있다.
구동모터(61)의 모터축에 연결된 선 기어(62)를 입력축으로 하고 링 기어(63)를 출력축으로 할 때, 선 기어가 회전함에 따라 위치가 고정된 유성 기어(64)들이 선 기어와 링 기어 사이에서 회전하고 링 기어도 회전하게 되어, 링 기어와 일체로 된 회전축(40)이 회전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회전축(40)이 회전하게 됨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축에 고정되게 결합된 파티션 본체(50)가 회전운동하게 되어 캐빈(1) 내 복도를 개폐하고 캐빈 내 공간을 구획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캐빈 내 파티션은, 제1 구동부(30)와 제2 구동부(60) 및 제3 구동부(27)의 작동을 제어하여 캐빈 내 파티션을 선택적으로 이동 및/또는 선회시키는 제어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빌리티의 운행 전, 미리 제어부(70)에 입력되는 승객의 수 또는 화물(C)의 용량 등에 따라 캐빈(1)의 레이아웃이 변경되고 내부 공간이 재분배 및 재구성될 수 있다.
승객을 위한 공간이 조정된 후에, 제어부(70)는 캐빈 내 파티션의 제1 구동부(30)를 제어하여 캐빈 내 파티션이 캐빈(1) 내에서 적절한 위치에 놓이도록 레일(10)을 따라 선형 이동시킬 수 있다. 위치가 결정된 후, 제어부는 제3 구동부(27)를 제어하여 스터드(25)를 작동시킴으로써, 캐빈 내 파티션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70)는 승객의 탑승을 위해 제2 구동부(60)를 제어하여 캐빈 내 파티션이 캐빈(1) 내 복도를 개방하도록 회전되게 할 수 있다. 이때, 파티션 본체(50)와 회전축(40)은 캐빈(1)의 플로어에 평행하게 눕혀져 놓일 수 있다.
승객의 탑승이 완료된 후, 제어부(70)가 제2 구동부(60)를 제어하여 파티션 본체(50)가 회전축(40)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대략 직립하게 세워지게 됨으로써, 캐빈 내 파티션이 복도를 폐쇄하고, 캐빈(1) 내 공간을 승객용 구역과 화물용 구역으로 구획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캐빈 내 나머지 공간에는 화물(C)이 로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캐빈 내 파티션에 의하면, 모빌리티의 캐빈 내 레이아웃을 변경하는 데에 필요한 시간과 과정을 대폭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캐빈 내 파티션의 일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캐빈 내 파티션은, 적어도 하나의 레일(10), 슬라이더(20), 회전축(40), 및 파티션 본체(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제3 실시예는 제2 구동부(60')의 구성과 케이싱(55)의 부가만 상이하고,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제1 실시예의 구성요소들과 동일하다. 이에, 제3 실시예의 캐빈 내 파티션을 설명함에 있어, 전술한 제1 실시예에 의한 캐빈 내 파티션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면서 그 구성 및 기능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캐빈 내 파티션은, 회전축(4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면서, 제2 구동부(60')를 수용하고, 파티션 본체(50)에 의해 덮어씌워지는 케이싱(5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55)은 대략 상면이 개방된 박스 형태의 부재로서, 복수의 슬라이더(20) 상에 걸쳐 놓이도록 플로어에 평행하게 설치될 수 있다.
회전축(40)은 케이싱(55)에 설치 가능한, 예컨대 대략 원형의 단면을 가진 봉 형상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캐빈 내 파티션에서, 회전축은 플로어에 평행하게 놓이도록 케이싱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회전축의 안정적인 지지와 회전을 위해, 회전축의 양단이 각각 케이싱의 측벽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파티션 본체(50)는 예컨대 소정의 두께를 가진 대략 판 형상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파티션 본체의 형태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임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파티션 본체(50)의 일측 단부는, 예컨대 용접, 패스너 등과 같은 임의의 기술을 이용하여 회전축(40)에 고정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파티션 본체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피칭에 해당하는 회전운동을 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캐빈 내 파티션은 캐빈(1) 내에서 플로어에 인접하게 배치된 회전축(4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됨으로써, 캐빈 내 복도를 개폐함은 물론, 캐빈 내 공간을 승객용 구역과 화물용 구역으로 구획할 수 있게 된다.
캐빈 내 복도를 개방할 때, 파티션 본체(50)는 플로어에 평행하게 놓이면서 케이싱(55)의 개방면을 폐쇄할 수 있다. 파티션 본체의 일측 표면이 케이싱의 개방면 선단을 따라 접하면서 케이싱을 덮어씌울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캐빈 내 파티션의 제2 구동부(60')로는 작동로드(67)를 갖춘 유체압 실린더나 전기식 액츄에이터 등이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구동부는 작동본체(68); 및 작동본체에 주입된 유체 또는 인가된 전원에 의해 작동하여 작동본체를 출입 가능한 작동로드(67)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구동부(60')는, 작동본체(68)의 단부에 형성된 제1 힌지부(69a)와, 작동로드(67)의 단부에 형성된 제2 힌지부(69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힌지부에 의해, 작동본체는 케이싱(55)에 대해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힌지부에 의해, 작동로드가 파티션 본체(50)에 대해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구동부(60')가 작동하여 파티션 본체(50)를 거의 직립되게 회전축(40)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작동로드(67)는 작동본체(68)로부터 최대 길이로 인출되어 작동본체에서 신장될 수 있다. 제2 구동부가 작동하여 파티션 본체가 케이싱(55)을 덮어씌우도록 회전축을 중심으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작동로드는 작동본체로부터 최소 길이로 인출되어 작동본체 내로 수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축(40) 및 파티션 본체(50)가 회전하게 됨에 따라, 캐빈 내 파티션이 캐빈(1) 내 복도를 개폐하고 캐빈 내 공간을 구획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캐빈 내 파티션은, 제1 구동부(30)와 제2 구동부(60') 및 제3 구동부(27)의 작동을 제어하여 캐빈 내 파티션을 선택적으로 이동 및/또는 선회시키는 제어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빌리티의 운행 전, 미리 제어부(70)에 입력되는 승객의 수 또는 화물(C)의 용량 등에 따라 캐빈(1)의 레이아웃이 변경되고 내부 공간이 재분배 및 재구성될 수 있다.
승객을 위한 공간이 조정된 후에, 제어부(70)는 캐빈 내 파티션의 제1 구동부(30)를 제어하여 파티션 본체(50) 및 케이싱(55)이 캐빈(1) 내에서 적절한 위치에 놓이도록 레일(10)을 따라 선형 이동시킬 수 있다. 위치가 결정된 후, 제어부는 제3 구동부(27)를 제어하여 스터드(25)를 작동시킴으로써, 캐빈 내 파티션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70)는 승객의 탑승을 위해 제2 구동부(60')를 제어하여 캐빈 내 파티션이 캐빈(1) 내 복도를 개방하도록 회전되게 할 수 있다. 이때, 파티션 본체(50)와 회전축(40)은 캐빈의 플로어에 평행하게 눕혀져 놓일 수 있으며, 파티션 본체가 케이싱(55)을 덮어씌울 수 있다.
승객의 탑승이 완료된 후, 제어부(70)가 제2 구동부(60')를 제어하여 파티션 본체(50)가 회전축(40)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대략 직립하게 세워지게 됨으로써, 캐빈 내 파티션이 복도를 폐쇄하고, 캐빈(1) 내 공간을 승객용 구역과 화물용 구역으로 구획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캐빈 내 나머지 공간에는 화물(C)이 로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캐빈 내 파티션에 의하면, 모빌리티의 캐빈 내 레이아웃을 변경하는 데에 필요한 시간과 과정을 대폭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캐빈 내 파티션의 일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캐빈 내 파티션은, 적어도 하나의 레일(10), 슬라이더(20), 회전축(40), 및 파티션 본체(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제4 실시예는 파티션 신축부(56)의 부가만 상이하고,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제2 실시예의 구성요소들과 동일하다. 이에, 제4 실시예의 캐빈 내 파티션을 설명함에 있어, 전술한 제2 실시예에 의한 캐빈 내 파티션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면서 그 구성 및 기능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적어도 하나의 레일(10)이 캐빈(1)의 플로어에서 캐빈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캐빈 내 파티션에서, 레일(10)은 파티션 본체(50)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은 물론, 제1 구동부(30)의 일부를 구성하여 파티션 본체에 이동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더욱이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통전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슬라이더(20)를 통해 제1 구동부의 코일에 전류를 인가할 수 있게 한다.
레일(10)은 캐빈(1)의 천장 또는 측벽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레일에는 복수의 홀더(15)가 캐빈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파티션 본체(50)가 회전하고 파티션 신축부(56)가 신장되면서 홀더 중 하나에 접촉하면, 파티션 본체가 소정 각도 이상으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고 파티션 신축부의 단부가 홀더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슬라이더(20)는 레일(10)의 내부, 즉 홈부(11)의 메인홈(12)에 삽입되어, 레일의 홈부에서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로 미끄럼 이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슬라이더(20)는 레일(10)의 홈부(11)가 가진 단면 형상과 대응되는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라이더는 대략 T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써 슬라이더는 회전축(40)을 지지하는 평탄한 지지부(21)와, 지지부에 직교하도록 연결되어 홈부의 메인홈(12)에 삽입되는 삽입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캐빈 내 파티션에서, 레일(10)과 슬라이더(20)는 제1 구동부(30)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캐빈 내 파티션의 제1 구동부는 리니어 모터를 채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레일의 내측벽에는 복수의 영구자석(31)이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슬라이더의 삽입부(22)에는 코일(32)이 권취 및/또는 적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캐빈 내 파티션은, 선택적으로 레일(10)과 슬라이더(20) 사이에 위치하도록 슬라이더에 장착되어 레일과 접촉하면서 미끄럼 이동함과 더불어, 전류가 흐르는 레일과 통전하는 접속 터미널(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속 터미널은 레일로부터 인가받은 전류를 슬라이더의 코일(32)에 전달하여 제1 구동부(3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회전축(40)은 슬라이더(20)에 설치 가능한, 예컨대 대략 원형의 단면을 가진 관 형상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캐빈 내 파티션에서, 회전축은 복수의 슬라이더 상에 걸쳐 놓이도록 플로어에 평행하게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회전축의 안정적인 지지 및 작동을 구현하기 위해, 단일한 회전축의 양단에 각각 슬라이더가 배치될 수 있다.
회전축(40)의 단부와 슬라이더(20) 사이에는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베어링에 의해, 회전축과 슬라이더는 다소 이격될 수 있으며, 이로써 회전축이 슬라이더와의 간섭 없이 원활히 회전할 수 있다. 회전축의 내주면 일부에는 링 기어(6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링기어는 제2 구동부(60)와 관계가 있다.
파티션 본체(50)는 예컨대 중공부를 갖춘 대략 사각통 형상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파티션 본체의 형태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임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파티션 본체(50)의 일측 폐쇄단부는, 예컨대 용접, 패스너 등과 같은 임의의 기술을 이용하여 회전축(40)에 고정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파티션 본체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피칭에 해당하는 회전운동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캐빈 내 파티션은, 파티션 본체(50)의 중공부 내에 설치된 제4 구동부(57); 및 제4 구동부에 연결되어, 파티션 본체의 타측 개방단부에서 출입 가능한 파티션 신축부(5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구동부(57)로는 작동로드(57a)를 갖춘 유체압 실린더나 전기식 액츄에이터 등이 채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제4 구동부는 작동본체(57b)에 주입된 유체 또는 인가된 전원에 의해 작동로드가 신축될 수 있다. 작동로드의 신축운동에 따라, 작동로드의 단부에 연결된 파티션 신축부(56)가 파티션 본체(50)로부터 신장되거나 파티션 본체 내로 수축될 수 있다.
하지만, 제4 구동부(57)는 반드시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임의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4 구동부로는 모터와 함께, 랙과 피니언 기구 등이 채택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파티션 신축부(56)의 텔레스코픽(telescopic) 작동을 구현할 수 있다면, 다른 임의의 장치가 채택되어도 무방하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캐빈 내 파티션은 캐빈(1) 내에서 플로어에 인접하게 배치된 회전축(4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됨으로써, 캐빈 내 복도를 개폐함은 물론, 캐빈 내 공간을 승객용 구역과 화물용 구역으로 구획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캐빈 내 파티션의 제2 구동부(60)로는 유성 기어 기구가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구동부는, 구동모터(61), 선 기어(62), 링 기어(63), 복수의 유성 기어(64), 캐리어(65) 및 축부재(66)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모터(61)는, 링기어(63)가 형성된 회전축(40)의 일측 단부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캐리어(65)를 고정시키는 축부재(66)는 예컨대 용접, 패스너 등과 같은 임의의 기술을 이용하여 회전축의 타측 단부에 고정되게 결합될 수 있다.
구동모터(61)의 모터축에 연결된 선 기어(62)를 입력축으로 하고 링 기어(63)를 출력축으로 할 때, 선 기어가 회전함에 따라 위치가 고정된 유성 기어(64)들이 선 기어와 링 기어 사이에서 회전하고 링 기어도 회전하게 되어, 링 기어와 일체로 된 회전축(40)이 회전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회전축(40)이 회전하게 됨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축에 고정되게 결합된 파티션 본체(50)가 회전운동하게 되어 캐빈(1) 내 복도를 개폐하고 캐빈 내 공간을 구획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캐빈 내 파티션은, 제1 구동부(30)와 제2 구동부(60), 제3 구동부(27) 및 제4 구동부(57)의 작동을 제어하여 캐빈 내 파티션을 선택적으로 이동 및/또는 선회, 신축시키는 제어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빌리티의 운행 전, 미리 제어부(70)에 입력되는 승객의 수 또는 화물(C)의 용량 등에 따라 캐빈(1)의 레이아웃이 변경되고 내부 공간이 재분배 및 재구성될 수 있다.
승객을 위한 공간이 조정된 후에, 제어부(70)는 캐빈 내 파티션의 제1 구동부(30)를 제어하여 캐빈 내 파티션이 캐빈(1) 내에서 적절한 위치에 놓이도록 레일(10)을 따라 선형 이동시킬 수 있다. 위치가 결정된 후, 제어부는 제3 구동부(27)를 제어하여 스터드(25)를 작동시킴으로써, 캐빈 내 파티션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70)는 승객의 탑승을 위해 제2 구동부(60)를 제어하여 캐빈 내 파티션이 캐빈(1) 내 복도를 개방하도록 회전되게 할 수 있다. 이때, 파티션 본체(50)와 회전축(40)은 캐빈91)의 플로어에 평행하게 눕혀져 놓일 수 있다.
승객의 탑승이 완료된 후, 제어부(70)가 제2 구동부(60)를 제어하여 파티션 본체(50)가 회전축(40)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대략 직립하게 세워지게 된다. 또한, 제어부가 제4 구동부(57)를 제어하여 파티션 본체로부터 파티션 신축부(56)가 신장됨으로써, 캐빈 내 파티션이 복도를 폐쇄하고, 캐빈(1) 내 공간을 승객용 구역과 화물용 구역으로 구획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캐빈 내 나머지 공간에는 화물(C)이 로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캐빈 내 파티션에 의하면, 모빌리티의 캐빈 내 레이아웃을 변경하는 데에 필요한 시간과 과정을 대폭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단일 모빌리티를 다양한 목적에 맞춰 활용 가능하게 되어, 비용을 절감하고 수익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전술되고 도해된 실시예들은 서로 조합될 수 있으며, 각 실시예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의 일부 구성요소를 더 채용하거나 대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캐빈 10: 레일
11: 홈부 12: 메인홈
13: 이탈방지홈 14: 락킹홈
20: 슬라이더 21: 지지부
22: 삽입부 23: 위치고정부
24: 관통홀 25: 스터드
26: 프레임 27: 제3 구동부
27a: 모터 27b: 피니언기어
27c: 랙기어 28: 이탈방지부
30: 제1 구동부 31: 영구자석
32: 코일 33: 접속 터미널
40: 회전축 50: 파티션 본체
51: 가로 프레임 52: 세로 프레임
53: 수납공간 55: 케이싱
56: 파티션 신축부 57: 제4 구동부
57a, 67: 작동로드 57b, 68: 작동본체
60, 60': 제2 구동부 61: 구동모터
62: 선 기어 63: 링 기어
64: 유성 기어 65: 캐리어
66: 축부재 69a: 제1 힌지부
69b: 제2 힌지부 70: 제어부

Claims (12)

  1. 캐빈 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레일;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 가능한 파티션 본체
    를 포함하는 캐빈 내 파티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과 상기 슬라이더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력을 제공하는 제1 구동부;
    상기 슬라이더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2 구동부; 및
    상기 제1 구동부와 상기 제2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캐빈 내 파티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상기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형성된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홈부는, 메인홈과, 상기 메인홈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한 이탈방지홈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는 평탄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직교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메인홈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삽입부에서 돌출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홈에 삽입 가능한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는 캐빈 내 파티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의 적어도 일측 선단에는, 상기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락킹홈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는, 중공부, 상기 중공부의 안팍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된 위치고정부, 및 일측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고정부는, 적어도 하나의 스터드, 상기 스터드에 연결된 프레임, 및 상기 중공부 내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의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3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터드는 상기 관통홀을 거쳐 상기 복수의 락킹홈 중 하나에 삽입되는 캐빈 내 파티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부는 리니어 모터이고,
    상기 레일 또는 상기 슬라이더 중 어느 하나는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영구자석을 포함하고, 다른 하나에는 코일이 권취되거나 적층된 캐빈 내 파티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에 장착되어 상기 레일과 접촉하면서 미끄럼 이동함과 더불어, 전류가 흐르는 상기 레일과 통전하는 접속 터미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접속 터미널은 상기 제1 구동부와 상기 제2 구동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캐빈 내 파티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슬라이더에 설치된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모터축에 연결된 선 기어,
    상기 회전축의 내주면에 형성된 링 기어,
    상기 선 기어와 상기 링 기어 사이에서 맞물려 회전하면서 상기 링 기어를 회전시키는 복수의 유성 기어, 및
    상기 복수의 유성 기어를 연결하고 축부재에 의해 상기 회전축 내에서 위치가 고정된 캐리어
    를 포함하는 캐빈 내 파티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슬라이더 상에 직립하여 설치되거나, 복수의 상기 슬라이더 상에 걸쳐 놓이도록 설치된 캐빈 내 파티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복수의 상기 슬라이더 상에 걸쳐 놓이도록 설치되고,
    상기 파티션 본체는, 중공부를 갖도록 형성되며, 일측 단부가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게 결합되고,
    상기 캐빈 내 파티션은, 상기 파티션 본체의 중공부 내에 설치된 제4 구동부; 및 상기 제4 구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파티션 본체의 타측 단부에서 출입 가능한 파티션 신축부를 더 포함하는 캐빈 내 파티션.
  10. 캐빈 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레일;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더;
    복수의 상기 슬라이더 상에 걸쳐 놓이도록 설치된 케이싱;
    상기 케이싱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 가능한 파티션 본체
    를 포함하는 캐빈 내 파티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과 상기 슬라이더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력을 제공하는 제1 구동부;
    상기 케이싱 내에 수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2 구동부; 및
    상기 제1 구동부와 상기 제2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캐빈 내 파티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부는, 작동본체, 및 상기 작동본체에 주입된 유체 또는 인가된 전원에 의해 작동하여 상기 작동본체를 출입 가능한 작동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본체의 단부에는 제1 힌지부가 형성되어 상기 작동본체는 상기 케이싱에 대해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작동로드의 단부에는 제2 힌지부가 형성되어 상기 작동로드가 상기 파티션 본체에 대해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캐빈 내 파티션.
KR1020220177536A 2022-12-16 2022-12-16 모빌리티의 캐빈 내 파티션 KR2024009487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7536A KR20240094879A (ko) 2022-12-16 2022-12-16 모빌리티의 캐빈 내 파티션
US18/197,306 US20240199209A1 (en) 2022-12-16 2023-05-15 In-Cabin Partition of Mobility Vehicle
EP23198212.5A EP4385893A1 (en) 2022-12-16 2023-09-19 In-cabin partition of mobility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7536A KR20240094879A (ko) 2022-12-16 2022-12-16 모빌리티의 캐빈 내 파티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94879A true KR20240094879A (ko) 2024-06-25

Family

ID=88097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7536A KR20240094879A (ko) 2022-12-16 2022-12-16 모빌리티의 캐빈 내 파티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40199209A1 (ko)
EP (1) EP4385893A1 (ko)
KR (1) KR20240094879A (ko)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82230A (en) * 1993-06-25 1996-01-09 B E Aerospace, Inc. Vehicle bulkhead safety system
DE19526525C1 (de) * 1995-07-20 1997-02-13 Daimler Benz Aerospace Airbus Vorrichtung zum Unterteilen einer Flugzeugkabine
DE10211437A1 (de) * 2002-03-05 2003-10-02 Bishop Gmbh Aeronautical Engin Verfahren zur bedarfsgerechten Anpassung der Sitzreihenanordnung in Passagierflugzeugen
US20090072580A1 (en) * 2007-09-14 2009-03-19 Wojtach Jr Robert S Integrated valve/cylinder device
FR2978121B1 (fr) * 2011-07-22 2016-05-27 Dassault Aviat Element de separation pour cabine de plateforme comprenant un mecanisme a bielles de deplacement d'un ouvrant
US11066171B2 (en) * 2016-04-04 2021-07-20 B/E Aerospace, Inc. Contoured class divider
US10479227B2 (en) * 2017-07-10 2019-11-1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utomotive seat adjustments using electromagnetic rail technology
US11919643B2 (en) * 2018-04-10 2024-03-05 Rockwell Collins, Inc. Self-deploying counter for multimode transformable monuments
US11639625B2 (en) * 2018-06-06 2023-05-02 Richard Chi-Hsueh Hinge system of electric door
EP3741676B1 (en) * 2019-05-23 2021-12-08 Rockwell Collins, Inc. Multimode transformable monument
US11584259B2 (en) * 2020-01-17 2023-02-21 The Boeing Company Seat fittings for attaching seats to seat tracks in a vehicle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199209A1 (en) 2024-06-20
EP4385893A1 (en) 2024-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290635B (zh) 飞机乘客套间隐私屏风控制设备及方法
US11465545B2 (en) Reconfigurable pods for use with one or more vehicles
EP3044038B1 (en) Vehicle console having a track for moving a tambour door between multiple positions
CN100447052C (zh) 用于飞机机舱的模块化壁构造系统
WO2011058940A1 (ja) 可動ホーム柵
JP4141790B2 (ja) 可動ホーム柵装置
JP4249700B2 (ja) 車両の後部棚
US11167680B2 (en) Pod-centric transportation model system
JP2022551017A (ja) 案内装置を有するドア
CA2866748A1 (en) Deployable in-flight entertainment monitor
KR20240094879A (ko) 모빌리티의 캐빈 내 파티션
CA2842510C (en) Moving body drive apparatus
US11466494B2 (en) Structure for preventing sliding door from swaying
JP2015004246A (ja) 車両用プラグドア装置
JP2017034896A (ja) ワイヤハーネス巻取装置
US20240199210A1 (en) In-Cabin Partition and Mobility Vehicle Including the Same
BRPI1106220A2 (pt) leito dobrÁvel para veÍculos
US11370347B2 (en) Mobile cabin set, mobile cabin, and attachment for cabin
KR102193778B1 (ko) 냉장고
CN210556344U (zh) 一种录井分析仪运输箱
CN210442985U (zh) 一种计算机多媒体教学设备
US10625860B2 (en) Partition for a passenger cabin of a passenger aircraft, partition arrangement and tongue module for the partition
CN106005053A (zh) 车厢及车辆
JP2020012244A (ja) 建具
KR102527263B1 (ko) 접이식 테이블을 포함하는 차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