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3778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3778B1
KR102193778B1 KR1020140140625A KR20140140625A KR102193778B1 KR 102193778 B1 KR102193778 B1 KR 102193778B1 KR 1020140140625 A KR1020140140625 A KR 1020140140625A KR 20140140625 A KR20140140625 A KR 20140140625A KR 102193778 B1 KR102193778 B1 KR 1021937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am
side member
pin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0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4822A (ko
Inventor
마나부 키쿠치
토시아키 스즈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4166133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5135228A/ja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5/030,295 priority Critical patent/US9863691B2/en
Priority to PCT/KR2014/009800 priority patent/WO2015057020A1/ko
Publication of KR20150044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48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3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3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8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 E05D7/081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the pivot axis of the wing being situated near one edge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bottom, e.g. trun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7/00Accessories for wing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E05F7/04Arrangement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ratt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4Door hinges

Abstract

냉장고등의 도어부를 위한 힌지장치에서 도어부 개폐 동작과 연동하여 도어부의 회전 중심을 이동시키면서도 덜컹거림 등의 장애 없이 개폐 동작을 안정시킨다.
냉장고 본체(102)에 장착되어 힌지 핀(153)을 구비하는 축 부재(105)와 도어부(103)에 장착되어 힌지 핀(153)에 대하여 상대 이동 가능하게 또한 상대 회동 가능하게 접촉하는 긴 홀(107b)을 구비하는 베어링 부재(107)와 힌지 핀(153)에 설치되어 베어링 부재(107)의 캠 팔로어(107d)와 접접하여 캠 유닛(C)를 구성하는 캠(109)을 구비한다. 힌지 핀(153)과 긴 홀(107b) 사이의 접촉 및 캠(109)과 캠 팔로어(107d) 사이의 접촉은 각각 도어부(103)의 개폐 각도 상황에 구애받지 않고 상시 유지되며 도어부(103)의 개폐 동작과 연동하여 힌지 핀(153)과 긴 홀(107b) 사이의 접촉과 캠 유닛(C)가 협동함으로써 도어부(103)의 개폐 동작을 안내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저장실을 구비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냉장고에 마련되는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용량 타입(예를 들면 400리터 이상)의 냉각 저장고(이하, 냉장고로 기재함)는 도어부를 좌우로 개폐하는 타입으로, 냉장고 본체에 형성된 냉장실 등의 저장실 전면에 설치된 개구부 중간 정도를 경계로 하여 좌우 양측으로 한 쌍의 도어부를 설치하고 이들 좌우 양 도어부를 상하부 힌지장치에 의해서 개폐 가능하게 지지하듯이 구성되어 시행되어 왔다.
이러한 힌지장치에서 도어부 개폐 동작과 연동하여 그 도어부를 슬라이드 이동시키거나 그 도어부의 회전축을 다른 상대 위치 관계에 있는 다른 회전축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도어부 회전 중심을 이동시키는 구성이 공지되었다.
일본특허공개공보 2004-301457호에는 이러한 힌지장치의 일례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문헌에 기재된 힌지장치는 힌지 핀을 구비하는 본체측 부재(냉장고 본체에 장착되는 힌지 플레이트)와 상기 힌지 핀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는 긴 홀을 구비하는 도어측 부재(문에 장착되는 스토퍼 플레이트)를 구비한다. 도어측 부재 플레이트 및 본체측 부재에는 각각 가이드 핀 및 캠 면(캠부)이 설치되어 있고 도어부가 폐쇄 위치에서 개방될 때 및 폐쇄 위치까지 닫힐 때 이 캠 면을 따라서 가이드 핀이 접함으로써 긴 홀이 연장하는 방향을 따라서 도어부(구체적으로는 도어부의 회전 중심)를 슬라이드 시킨다. 도어측 부재에 마련된 긴 홀은 도어부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는 전방 또는 바깥 쪽을 향해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그 방향에 따라서 힌지 핀, 나아가서는 도어부를 슬라이드 시킬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개방과 연동하여 힌지 핀을 도어부 마다 바깥 쪽으로 슬라이드 시킴으로써 도어부의 호선측의 측면에 설치한 개스킷을 다른 편 도어부에서의 서로 대향하는 측면에 설치된 개스킷으로부터 이격시키거나 혹은 개방과 연동하여 힌지 핀을 전방으로 슬라이드 시킴으로써 도어부 회전축 측의 단부를 냉장고 본체의 각부로부터 이격시킨다.
또, 일본특허공개공보 2004-301457호와 관련한 도어측 부재에는 냉장고 본체와 계합하여 도어부를 폐쇄 위치로 유지함과 동시에 도어부를 폐쇄 위치에서 개방할 때는 캠 유닛 일부로서 기능하는 별체의 립(lip)부도 구비된다. 즉, 상기 힌지장치는 도어부를 폐쇄 위치에서 개방할 때는 긴 홀과 가이드 핀과 립부가 각각 접함으로써 도어부의 슬라이드를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일본특허공개공보 2002-250171호는 힌지장치의 다른 예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힌지장치는 본체측 부재(주변 측 베이스)와 중간 부재(중간 플레이트)와 도어측 부재(도어측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있고 도어부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는 각부재의 측면이 도어면과 면일(面一) 하게 서로 중첩된 상태로 배치된다. 본체측 부재와 중간 부재는 제1 회전축으로 중간 부재와 도어측 부재는 제2 회전축으로 서로 회동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고 본체측 부재에 대한 중간 부재 및 도어측 부재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가이드 홈 및 접부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홈 및 접부는 도어부가 열릴 때 중간 부재와 도어측 부재가 중첩된 상태로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까지 일체로 회전한 뒤 도어측 부재만이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단독으로 회전하도록 각 부재의 동작을 안내한다. 본 구성에서는 제1 회전축과 제2 회전축의 상대 위치 관계에 따라 도어부의 회전축을 그 개폐 동작과 연동하여 전환할 수 있다.
그러나 일본특허공개공보 2004-301457호의 힌지장치에 있어서는 도어부가 개폐하는 도중에 가이드 핀과 캠 면의 접하는 부분이 떨어져서 도어부 개폐 동작이 불안정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즉, 가이드 핀과 캠 면과의 사이의 접접(摺接)이 떨어짐으로써 힌지 핀이 긴 홀을 따라서 슬라이드가 자유롭게 되어 사용자가 도어부에 가하는 힘의 가감 여부에 따라 냉장고 본체에 대하여 도어부가 덜컹거리게 된다. 이와 같은 덜컹거림은 간단하게 사용자의 개폐 조작 감각을 악화시킬 뿐만이 아니라 도어부가 개폐할 경우에 그 냉장고 본체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하는 타이밍이나 도어부에 설치된 개스킷이 이동하는 타이밍 등에 오차를 유발하고 이러한 오차에 의해 도어부와 냉장고 본체 간에 간섭을 일으키거나 도어부의 개스킷과 냉장고 본체 또는 다른 편의 도어부에 설치된 개스킷과의 사이에 간섭을 일으키거나 할 우려가 있다.
한편, 일본특허공개공보 2002-250171호의 힌지장치에 있어서는 가이드 홈이나 접부에 의한 개폐 동작의 안내는 도어부가 소정 각도 이상 열었을 때에 역시 떨어지게 된다. 그렇게 되면 도어부는 중간 부재에 대하여 제2 회전축 주위에서 회동이 자유롭게 되는 반면에 중간 부재마다 제1 회전축 주위에도 회동이 자유롭게 되므로 개폐 동작이 불안정하게 되어 유격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문헌의 구성에서는 도어부를 소정 각도 이상 열었을 때 본체측 부재로부터 도어측 부재가 유격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어부를 소정 각도 이상 열었을 때에 제1 또는 제2 회전축이 연장되는 방향에서 상기 힌지장치를 보았을 때 본체측 부재와 도어측 부재가 서로 중첩되는 영역을 갖지 못하여 도어측 부재는 중간 부재로만 지지를 받게 된다. 이런 상태에서는 도어측 부재에 걸리는 모든 하중이 판 형태로 형성된 중간 부재에 부가되므로 냉장고와 같이 도어부 후면 측에 수용 대상물을 수용하기 위한 포켓을 마련한 구성에서는 기계적 강도 측면에서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냉장고 등의 저장고에서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부를 위한 힌지장치에서 도어부 개폐 동작과 연동하여 도어부 회전 중심을 이동시키면서도 덜컹거림 등의 문제점을 발생시키지 않고 개폐 동작할 수 있는 힌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냉장고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저장실이 마련되는 냉장고 본체와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부와 상기 개구부와 상기 도어부 사이에 마련되는 힌지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장치는, 상기 냉장고 본체에 장착되고, 슬라이드 부를 구비하는 본체측 부재와 상기 도어부에 장착되고, 상기 슬라이드 부에 대하여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슬라이드 부에 접촉되는 피 슬라이드 부를 구비하는 도어측 부재 및 상기 본체측 부재 또는 도어측 부재의 일방에 설치되어 본체측 부재 또는 도어측 부재의 타방에 대하여 접촉하는 중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부의 개폐 동작 시, 상기 슬라이드 부와 상기 피 슬라이드 부 사이의 접촉과 상기 중간 부재를 통한 상기 본체측 부재와 상기 도어측 부재의 접촉이 연동되어 상기 도어부의 상기 냉장고 본체에 대한 회전 중심이 상기 냉장고 본체에 대하여 소정 궤도를 따라 이동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부와 상기 피 슬라이드 부 사이의 접촉 및 상기 도어측 부재와 상기 본체측 부재 사이의 상기 중간 부재를 통한 접촉은, 상기 도어부가 상기 개구부를 닫는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 개폐 도중 위치에 있는 경우 및 개구부를 개방한 개방 위치에 있는 경우 중 적어도 어느 경우에서도 상시 유지된다.
또한 상기 본체측 부재, 상기 중간 부재 및 상기 도어측 부재는, 상기 도어부가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 개폐 도중 위치에 있는 경우 및 개방 위치에 있는 경우 중 적어도 어느 경우에서도 상기 도어부의 회전축 방향으로 서로 중첩하는 영역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힌지장치는, 상기 도어측 부재 또는 상기 본체측 부재의 일방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부가 폐쇄 위치, 개폐 도중 위치 및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캠에 상시 접하는 캠 팔로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간부재는 캠으로 마련되고,
상기 슬라이드 부는 슬라이드 핀으로 마련되고, 상기 피 슬라이드 부는 상기 슬라이드 핀이 삽입되도록 긴 홀로 마련되며, 상기 캠과 상기 캠 팔로어는, 상기 도어부 개폐 동작과 연동하여 상기 슬라이드 핀을 상기 긴 홀의 일단부에서 타단부까지 이동시킨다.
또한 상기 캠은, 상기 슬라이드 핀의 외주 측에 설치된 제1 및 제2 캠부를 구비하고 상기 캠 팔로어는, 상기 제1 및 제2 캠부와 각각 접하는 제1 및 제2 팔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힌지장치는, 상기 도어부가 폐쇄 위치, 개방 위치 및 개폐 도중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팔로어부와 상기 제1 캠부가 접하는 부분, 상기 긴 홀의 내주면과 상기 슬라이드 핀의 외주면이 접하는 부분 및 상기 제2 팔로어부와 상기 제2 캠부가 접하는 부분이 상시 유지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제1 캠부는, 상기 제1 팔로어부와 접하여 상기 도어부를 상기 폐쇄 위치로 유지하는 제1 위치 결정면, 상기 제1 팔로어부와 접하여 상기 슬라이드 핀을 상기 긴 홀의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이동시키는 제1 캠 면, 상기 긴 홀의 타단부에 있는 상기 슬라이드 핀을 중심으로 한 원호상의 제1 안내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팔로어부는, 상기 도어부가 상기 폐쇄 위치에서 개방될 때 상기 제1 위치 결정면, 상기 제1 캠 면 및 상기 제1 안내면을 접한 상태로 차례로 이동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2 캠부는, 상기 제2 팔로어부와 접하여 상기 도어부를 상기 폐쇄 위치로 유지하는 제2 위치 결정면, 상기 제2 팔로어부와 접하여 상기 슬라이드 핀을 상기 긴 홀의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이동시키는 제2 캠 면, 상기 긴 홀의 타단부에 있는 상기 슬라이드 핀을 중심으로 한 원호상의 제2 안내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팔로어부는, 상기 도어부가 상기 폐쇄 위치에서 개방될 때 상기 제1 위치 결정면, 상기 제2 캠 면 및 상기 제2 안내면을 접한 상태로 차례로 이동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도어측 부재는, 상기 본체측 부재와 접하여 상기 도어부를 상기 개방 위치로 유지하는 스토퍼 부를 포함하고, 상기 캠은, 상기 도어부가 상기 폐쇄 위치에서 개방될 때, 상기 슬라이드 핀을 상기 긴 홀의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스토퍼 부와 상기 본체측 부재가 접한 부분과 상기 슬라이드 핀과의 거리가 폐쇄 위치에서의 거리보다 더 이격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중간 부재는, 상기 본체측 부재에 마련되는 고정 핀을 회전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상기 본체측 부재에 지지되고, 상기 도어측 부재에 마련되는 요동 핀을 회전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상기 도어측 부재에 지지되는 링크 부재로 마련되고, 상기 슬라이드 부 및 피 슬라이드 부는, 상기 본체측 부재에 대한 상기 도어측 부재의 궤도를 가이드 하는 슬라이드 유닛으로 마련된다.
또한 상기 요동 핀은, 상기 고정 핀과 상기 냉장고 본체의 측면부 사이에 마련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유닛은, 상기 도어부가 상기 개구부를 닫는 폐쇄 위치에서 개방될 때, 상기 폐쇄 위치와 상기 폐쇄 위치에서 소정 각도 회전한 중간 위치의 범위 내에서는 상기 도어측 부재와 상기 링크 부재가 모두 상기 고정핀을 주 회전축으로 상기 본체측 부재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안내하고, 상기 중간 위치와 상기 도어부가 상기 개구부를 개방한 개방 위치의 범위 내에서는 상기 도어측 부재가 상기 요동 핀을 주 회전축으로 상기 링크 부재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안내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유닛은,
상기 본체측 부재에 설치된 슬라이드 핀;과 상기 도어측 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 핀이 삽입되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슬라이드 홀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홀은, 상기 도어부가 상기 폐쇄 위치에서 상기 중간 위치로 이동하는 범위 내의 곡률이 상기 중간 위치에서 상기 개방 위치로 이동하는 범위 내의 곡률보다 작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본체측 부재에는, 상기 요동 핀이 삽입되어 상기 고정 핀을 중심으로 한 상기 링크 부재의 회동을 가이드하는 긴 홀로 마련되는 요동 핀 가이드 홀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유닛은, 상기 도어부가 상기 개구부를 닫는 폐쇄 위치에서 상기 폐쇄 위치에서 소정 각도 회전한 중간 위치로 이동하는 범위 내에서는, 상기 고정 핀을 회전축으로서 상기 본체측 부재에 대하여 도어부 회전 방향과 역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링크 부재와 연동하여 상기 요동 핀을 상기 요동 가이드 홀의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이동을 안내하고, 상기 중간 위치에서 상기 도어부가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로 이동하는 범위 내에서는, 상기 타단부까지 이동한 요동 핀 주위에 상기 도어측 부재가 회전하도록 안내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유닛은, 상기 본체측 부재에 설치된 슬라이드 핀과 상기 도어측 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 핀이 삽입 가능하게 구성된 슬라이드 홀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홀은, 상기 폐쇄 위치에 있을 시, 상기 냉장고 본체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내측을 향해 만곡하도록 마련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드 홀의 형상은 상기 폐쇄 위치에서 상기 중간 위치로 이동하는 범위 내에 있을 시, 상기 요동 핀보다 상기 냉장고 본체의 외측에 위치하는 회전 중심을 가지는 원호상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중간 위치에서 상기 개방 위치로 이동하는 범위 내에 있을 시, 상기 요동 핀이 회전 중심이 되는 원호상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냉장고는, 상기 본체측 부재 및 상기 도어측 부재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요동 핀을 중심으로 상기 슬라이드 유닛의 지름 방향 외측으로 마련되는 서브 슬라이드 유닛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개구부를 포함하는 저장실이 마련되는 냉장고 본체와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부 사이에 마련되는 힌지장치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힌지장치는, 상기 냉장고 본체에 장착되는 본체측 부재, 상기 도어부에 장착되는 도어측 부재, 상기 본체측 부재 또는 도어측 부재의 일방에 설치되어 본체측 부재 또는 도어측 부재의 타방에 대하여 접촉하는 중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측 부재 및 도어측 부재 중 일방에는 슬라이드 핀이 설치되고, 타방에는 상기 슬라이드 핀이 상대 회동 가능한 동시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긴 홀이 설치되고, 상기 도어부의 개폐 동작 시 상기 도어부의 회전 중심축에는 상기 본체측 부재, 상기 도어측 부재 및 상기 중간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중첩된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슬라이드 핀과 상기 긴 홀 사이의 접촉과 상기 중간 부재를 통한 상기 본체측 부재와 상기 도어측 부재의 접촉이 연동되어 상기 도어부의 상기 냉장고 본체에 대한 회전 중심이 상기 도어부의 개폐 정도에 따라 이동한다.
또한 상기 냉장고는,
상기 도어부가 상기 개구부를 폐쇄했을 때에 상기 개구부 주위의 상기 냉장고 본체 전면과 상기 도어부 후면 사이를 실(seal)하도록 상기 도어부 후면에 마련되는 개스킷과 캠 형상으로 마련되는 상기 중간 부재와 상기 도어부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 및 개폐 도중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캠에 상시 접하도록 상기 본체측 부재 또는 도어측 부재의 일방에 설치되는 캠 팔로어를 포함하는 캠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캠 유닛은, 상기 도어부가 상기 폐쇄 위치에서 개방될 때 상기 슬라이드 핀을 긴 홀의 일단부에 이동시켜 상기 개스킷을 상기 냉장고 본체 전면으로부터 이격시키고, 상기 도어부를 폐쇄할 때 상기 슬라이드 핀을 긴 홀의 타단부로 이동시켜 상기 개스킷을 상기 냉장고 본체 전면에 접하게 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중간 부재는, 상기 본체측 부재에 마련되는 고정 핀을 회전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상기 본체측 부재에 지지되고, 상기 도어측 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도어부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고정 핀보다 외측에 마련되는 요동 핀을 회전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상기 도어측 부재에 지지되는 링크 부재로 마련되고, 상기 슬라이드 핀 및 상기 긴 홈은, 상기 본체측 부재에 대한 상기 도어측 부재의 궤도를 가이드 하는 슬라이드 유닛으로 마련되고, 상기 슬라이드 유닛은, 상기 폐쇄 위치 및 상기 도어부가 상기 폐쇄 위치에서 소정 각도 회전한 중간 위치 범위 내에서는 상기 도어측 부재가 상기 중간 부재와 함께 상기 고정핀을 주 회전축으로 상기 본체측 부재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안내하고, 상기 중간 위치 및 상기 도어부가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 범위 내에서는 상기 도어측 부재가 상기 요동 핀을 주 회전축으로 상기 중간 부재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안내한다.
또한 상기 냉장고에는 상기 본체측 부재에 고정핀을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상기 중간 부재와 상기 중간 부재에 요동 핀을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기 도어측 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본체측 부재 및 상기 도어측 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측 부재에 대한 상기 도어측 부재의 궤도를 가이드 하는 슬라이드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측 부재는, 상기 요동 핀이 상기 본체측 부재에 대하여 상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요동 가이드 홀을 포함하고, 상기 요동 가이드 홀은, 상기 도어부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에서 상기 폐쇄위치에서 소정 각도 회전한 중간 위치로 이동하는 범위 내에서는, 상기 고정 핀을 회전축으로서 상기 본체측 부재에 대하여 도어부 회전 방향과 역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링크 부재와 연동하여 상기 요동 핀을 상기 요동 가이드 홀의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이동을 안내하고, 상기 중간 위치에서 상기 도어부가 상기 개부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로 이동하는 범위 내에서는, 상기 타단부까지 이동한 요동 핀 주위에 상기 도어측 부재가 회전하도록 안내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부를 냉장고 본체에 이동 가능하고 또한 회동 가능해지도록 지지하는 한편, 중간 부재를 통하여 냉장고 본체에 접촉함으로써 도어부의 궤도를 안내하도록 했기 때문에 도어부 개폐 동작을 덜컹거리지 않게 안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관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힌지장치를 전면 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2(b)는 후면 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힌지장치를 전면 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힌지장치의 축 부재에 대한 베어링 부재의 회동 동작을 나타낸 것이고 (a)는 베어링 부재(도어부)의 회동 각도=0도의 폐쇄 위치를 나타낸 평면도, (b)는 베어링 부재(도어부)의 회동 각도=15도의 개폐 도중 위치를 나타낸 평면도, (c)는 베어링 부재(도어부)의 회동 각도=45도의 개폐 도중 위치를 나타낸 평면도, (d)는 베어링 부재(도어부)의 회동 각도=135도의 개방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힌지장치의 캠 구조를 나타낸 확대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왼쪽 도어부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의 좌단측 주변부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힌지장치의 축 부재가 베어링 부재에 대하여 회동할 때의, 베어링 부재와 축 부재와 캠과의 사이의 상대 위치 관계를 축 부재의 회전축에서 본 도 4의 해당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냉각 저장고의 구성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폐쇄 위치에서의 힌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개방 위치에서의 힌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힌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힌지장치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하부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폐쇄 위치에서의 힌지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중간 위치에서의 힌지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중간 위치에서 개방 위치에 이르는 도중에서의 힌지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개방 위치에서의 힌지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구성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8(a)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폐쇄 위치에서의 힌지장치를 위쪽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18(b)은 동 위치에서의 힌지장치를 하부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9(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개방 위치에서의 힌지장치를 위쪽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19(b)는 동 위치에서의 힌지장치를 하부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힌지장치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폐쇄 위치에서의 힌지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중간 위치에서의 힌지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중간 위치에서 개방 위치에 이르는 도중에서의 힌지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개방 위치에서의 힌지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부가 열릴 때의 그 도어부의 측면에 마련된 개스킷의 개구부측 단부가 이동하는 궤적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되는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형태의 설명은 전부 본질적으로 예시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 그 적용물 혹은 그 용도의 제한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제1 실시예>
이하 설명하는 제1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7에 도시 되어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냉장고(101) 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1에 있어서의 지면(紙面)의 왼쪽 구석 측에서 오른쪽 앞 측을 향한 방향을 좌우 방향(폭 방향(구체적으로는 냉장고(101)의 폭 방향)), 지면의 왼쪽 앞측에서 오른쪽 구석 측을 향한 방향을 전후방향(냉장고(101)의 전후방향), 지면의 상하 방향을 상하 방향(높이 방향(구체적으로는 냉장고(101)의 높이 방향))으로 지칭한다. 도 2 내지 도7에서도 별도 기재가 없는 한 이들에 해당하는 방향을 각각 좌우 방향(폭 방향), 전후방향, 상하 방향(높이 방향)으로 지칭한다.
상기 실시 형태에 의한 냉장고(101)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 방향에 따라서 세로 길이로 대략 직육면체형 외형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피 저장물을 수납하기 위한 냉장고 본체(102)를 구비한다. 상기 냉장고 본체(102) 내부에는 각각 대략 직육면체 형의 형상을 하는 제1 저장실(121), 제2 저장실(122), 제3 저장실(123) 및 제4 저장실(124)이 내벽부에 의해 구획된다. 이들 저장실(121~124)은 각각 냉장고 본체(102) 전면에 설치되고 상부로부터 하부에 걸쳐 일렬로 나열하듯이 개구한 직사각형 형태의 제1 개구부(121a), 제2 개구부(미도시), 제3 개구부(미도시) 및 제4 개구부(미도시)로 연통된다. 예를 들면 제1 저장실(121)(이하 간단히 저장실(121)로 기재함)에는 상기 저장실(121)을 구획하기 위한 칸막이 플레이트(미도시)가 복수 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칸막이 플레이트 위에 피 저장물을 나열할 수 있게 된다.
이들 제1 내지 제4 개구부 중 최상부의 제1 개구부(121a)의 주변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양단부에서 상부, 하부 힌지장치(104)에 의해 각각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제1 개구부(121a)를 개폐하기 위한 양 개방식(좌우 개폐식)의 좌우 도어부(103)(이하, 좌우 양 도어 중 일방을 간단하게 도어부(103)로 기재하는 경우도 있다)가 설치된다.
또한 제2 내지 제4 저장실(122 내지 124)에는 상단 인출 도어부(103a), 중단 인출 도어부(103b) 및 하단 인출 도어부(103c)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전후로 슬라이드 함으로써 각 개구부를 개폐하게 된다.
또한 상단 인출 도어부(103a), 중단 인출 도어부(103b) 및 하단 인출 도어부(103c)는 전부 공지 구조를 이용하여 구성되어 있어서 그 상세에 대한 설명은 생략 한다. 또, 상기와 같은 개구부 및 그것들과 연통하는 저장실의 수, 배치 등은 상기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적어도 상하부 힌지장치(104)로 지지되는 도어부에 의해 개폐되는 개구부가 한 개 이상 있을 수 있고 통상의 냉장고등에 사용되는 구성으로 적당히 치환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어부 형상이 좌우 경상대칭(鏡像對稱)의 관계에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오른쪽 도어부(103)는 상시 닫혀 있는 것으로서 왼쪽 도어부(103) 및 그 주변의 구성에 대해 이하와 같이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 개구부(121a)(이하 간단히 개구부(121a) 모두를 기재함)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부(103)는, 예를 들면, 수지제 박판과 금속제 박판에 의해 구획되는 직사각형 판 형태의 외형을 가지며 그 내부에는 발포 우레탄 등으로 완성된 단열재가 충전된다.
상기 도어부(103) 후면에는 그 주변에 따라 중공 된 튜브 형상의 개스킷(G1)이 일체로 장착되어 있고 상기 도어부(103)가 개구부(121a)를 닫을 때에 상기 개구부(121a) 주위의 냉장고 본체(102) 전면과 도어부(103) 후면 사이를 밀봉하게 된다.
상기 개스킷(G1)은 예를 들면 고무, 연질 수지 등의 가효성을 구비한 연질재로 형성된다. 상기 개스킷(G1)에는 상기 개스킷(G1)를 도어부(103)에 부착하기 위한 감합 돌조부(嵌合突條部)(미도시)와 끈 형태의 마그넷(G2)을 삽입하여 유지시키기 위한 중공 형상의 마그넷 홀더(미도시)가 각각 개스킷(G1)의 긴 방향에 따라 일체로 설치된다.
또, 상기 도어부(103) 후면에는 그 주변을 형성하는 네 변에 따라서 상기 감합 돌조부가 감합 가능한 감합 홈(미도시)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마그넷 홀더에 마그넷(G2)이 삽입된 개스킷(G1)이 그 감합 돌조부를 도어부(103)의 감합 홈에 끼워져 도어부(103)에 고정된다.
도 6은 상기 도어부(103)가 냉장고 본체(102)의 개구부(121a)를 폐쇄한 닫힌 상태(이하는 폐쇄 위치라고 기재할 수 있다)로 있을 때의 좌단측 주변부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마그넷(G2)은 개스킷(G1)의 일측면 측에서 유지되고 도어부(103)가 닫힌 상태에 있을 때, 개구부(121a) 주위의 냉장고 본체(102) 전면과 근접하도록 배설된다.
상기 도어부(103)가 닫힌 상태에 있을 때 개구부(121a) 주위의 냉장고 본체(102) 전면에 배설된 금속판(미도시)이 마그넷(G2)을 흡착함으로써 상기 전면과 개스킷(G1)이 서로 밀착하고 개구부(121a) 주위의 냉장고 본체(102) 전면과 도어부(103) 후면 사이를 밀봉하게 된다.
후술하듯이 상기 도어부(103)에는 냉장고 본체(102)에 고정된 슬라이드 부의 한 형태로서의 힌지 핀(153)이 삽입된다. 도어부(103)가 닫힌 상태에 있을 때 상기 힌지 핀 중심(153a)은 도6 중 +로 표시한 위치에 위치하여 이 때 마그넷(G2)에 의해 개스킷(G1)과 도어부(103)의 후면이 밀착하는 위치가 힌지 핀 중심(153a)의 위치보다, 개구부(121a) 폭 방향 외측(이하 간단히 외측이라고 기재함)이 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개스킷(G1), 마그넷(G2) 및 마그넷 홀더의 형태 및 개스킷(G1)의 설치 구조 및 설치 위치는 상기 구성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 냉장고등에 사용되는 구성을 적절히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도어부(103) 후면에는 개스킷(G1)보다 개구부(121a) 폭 방향 안쪽(이하 간단히 안쪽으로 기재함)에 위치하고 도어부(103)가 닫힌 상태로 개구부(121a)에서 저장실(121) 안으로 감입(嵌入)하는 직사각형 틀 형태의 도어 포켓 형성부(T)가 일체로 설치된다. 상기 도어 포켓 형성부(T)는 도어부(103) 후면에 대해 수직으로 돌출하는 돌조(突條, linear protrusion)로서, 네 변의 스로트부(T1)로 구성된다. 상기 스로트부(T1) 중 도어부(103)의 회전축을 따라서 평행하게 연장하는 한편 상기 회전축 측에 위치하는 스로트부(T1)(이하 간단히 스로트부(T1)로 기재함)와 상기 스로트부(T1) 외측에 위치하는 개스킷(G1)(이하 간단히 개스킷(G1)으로 기재함) 사이에는 도어부(103) 후면을 따라 평행하게 연장하는 대향면(103d)이 설치된다.
상기 도어부(103)가 닫힌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대향면(103d)이 상기 개구부(121a) 주위의 냉장고 본체(102) 전면에 대향하는 상태로 접함과 동시에 상기 스로트부(T1)의 외벽부 중 도어부(103)의 폭 방향 외측에 면하는 스로트 측면부(T2)가 상기 저장실(121) 내 벽면에 대향하는 상태로 접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접에 의해 저장실(121) 내부와 개스킷(G1) 사이가 밀폐된다.
이처럼 구성된 왼쪽 도어부(103)는 냉장고 본체(102) 좌단부에서 상하부 힌지장치(104)에 의해 지지를 받는다. 이하에서는 상기 왼쪽 도어부(103)의 좌단측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힌지장치(104)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부 힌지장치(104)도 거의 동일한 구성이다. 상부 힌지장치(104)와 하부 힌지장치(104)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관련한 구성적 차이가 있을 경우에만 후술하며 이 외의 구성은 동일하다. 오른쪽 도어부(103)를 지지하는 상하부 힌지장치(104)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서의 하부 힌지장치(104)(이하 간단히 힌지장치(104)로 기재함)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의 (a), (b)는 각각 상기 힌지장치(104)를 분해하여 앞뒤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2의 (a) 및 도 3에서의 지면 왼쪽 전측으로부터 오른쪽 구석 측을 향한 방향을 좌우 방향(폭 방향), 지면 오른쪽 전측으로부터 왼쪽 구석 측을 향한 방향을 전후방향, 지면 상하 방향을 상하 방향(높이 방향)으로 지칭하고 도 2의 (b)에서도 이들과 상당하는 방향을 각각 좌우 방향(폭 방향), 전후방향, 상하 방향(높이 방향)으로 지칭한다. 즉, 도 2의 (b)에 대하여 지면 오른쪽 전측으로부터 왼쪽 구석 측을 향한 방향을 좌우 방향(폭 방향), 지면 오른쪽 구석 측으로부터 왼쪽 전측을 향한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의 힌지장치(104)는 냉장고 본체(102)에 고정된 본체측 부재로서의 축 부재(105)와 도어부(103)에 고정된 도어측 부재로서의 베어링 부재(107)를 구비한다.
축 부재(105)는 힌지 플레이트(151)와 슬라이드 부로서의 힌지 핀(153)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한편, 베어링 부재(107)에는 상기 힌지 핀(153)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또한 상대 가능하게 접촉하도록 삽입되는 피 슬라이드 부로서의 긴 홀(107b)이 설치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 부재(105)에는 후술 하는 구성을 한층 더 가지며 중간 부재로서의 캠(109)이 설치되어 있고 베어링 부재(107)에는 상기 캠(109)에 접하는 캠 팔로어(107d)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2(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힌지 플레이트(151)는 긴 방향이 좌우 방향을 따라 얇고 길게 연장되고 한편 짧은 방향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대체적으로 직사각형 형태의 부착판(151b)과 상기 부착판(151b)에 일체로 형성되고 긴 방향이 부착판(151b)의 좌단측에서 우측을 향해 연장되고 한편 짧은 방향이 부착판(151b)의 좌단측 전면에서 앞측을 향해 면 수직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되는 대체적으로 직사각형 형태의 힌지 플레이트 본체(151a)를 구비한다.
상기 부착판(151b)에는 양단부와 중앙부와의 3개소에 힌지 플레이트 부착구멍(151d, 151d, 151d)이 천공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힌지 플레이트 부착구멍(151d, 151d, 151d)를 통해 개구부(121a) 주위의 냉장고 본체(102) 전면의 좌단측 하부에 천공된 나사구멍(미도시)에 볼트 등을 체결함으로써 힌지 플레이트(151)가 냉장고 본체(102)에 대하여 일체로 장착된다. 힌지 플레이트(151)의 냉장고 본체(102)에의 위치 결정에 대해서는 힌지 플레이트(151)에 힌지 핀(153)을 고정할 때에 힌지 핀(153)이 수직 위쪽을 향해 돌출하도록 위치 결정된다(상부 힌지장치(104)를 부착할 때는 상부 힌지 핀(153)이 수직 하부를 향해 돌출되도록 위치 결정된다). 또한 힌지 플레이트 부착구멍(151d)의 배치 및 수 등 및 부착판(151b)의 냉장고 본체(102)에의 설치 방법 및 부착판(151b)의 형태 등에 대하여는 상기의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상기 힌지 플레이트 본체(151a)의 왼쪽 앞측 상면에는 예를 들면 결원(缺圓) 형상의 단면 형상을 구비하는 힌지 핀 고정부(151c)가 위쪽을 향해 수직으로 돌출하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도 2(a) 참조).
상기 힌지 플레이트 본체(151a)의 좌측 측부에는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오목 조(條)로 완성된 스토퍼 받침부(151e)가 형성되어 있는 한편, 우측 측부에는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오목 조로 완성된 립 받침부(151f)가 형성된다. 또한 스토퍼 받침부(151e) 및 립 받침부(151f)는 각각 반드시 형성될 필요는 없으며 그 형태도 상기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힌지 핀(153)은 대체적으로 원통형의 중공 부분재로 형성되어 있고 그 하단부에는 밖을 향한 플랜지 형상의 턱부로 되어 있는 부재로서의 캠(109)이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도 5는 상기 캠(109)의 외형을 나타낸 확대 평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캠(109)은 힌지 핀(153)의 주위를 둘러싸듯이 연장 설치 되어 있고 힌지 핀 중심(153a)이 연장하는 방향에서 볼 때 비대칭인 형상을 가진다. 상기 실시 형태에 의한 기재에서 "시계회전방향"이란 도 5 지면 위쪽에서 지면 우측(도 4에서의 X축이 나타낸 화살표 방향)을 경유하여 지면 하부(도 4에서의 Y축이 나타낸 화살표 방향)로 회전시키는 방향에 상응한다.
또한, 상기 캠(109)은 턱부 외주부를 2분할하듯이 제1 캠부(191)와 제2 캠부(192)로 구획되어 있고 제1 캠부(191) 일단부와 제2 캠부(192) 일단부가 연속하도록 한편 제1 캠부(191)의 타단부와 제2 캠부(192)의 타단부가 연속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캠(109)에서의 제1 캠부(191)는 도 4 지면에 있어서 힌지 핀 중심(153a)에서 볼 때 시계회전 방향을 따라 대략 6시 방향에서 12시 방향까지의 영역에 걸쳐 구획되어 있고 한편, 제2 캠부(192)는 동일 방향을 따라 12시 방향에서 대략 6시 방향까지의 영역에 걸쳐 구획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캠부(191)와 제2 캠부(192)가 각각 제1 위치 결정면(191a), 제1 캠 면(191b), 제1 안내면(191c) 및 제1회전 정지면(191d)과 제2 위치 결정면(192a), 제2 캠 면(192b), 제2 안내면(192c) 및 제2회전 정지면(192d)으로 구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 캠부(191)는 대체적으로 평면상의 제1 위치 결정면(191a)과 상기 제1 위치 결정면(191a)의 일단부로부터 시계회전 방향을 향해 대체적으로 원호를 그리듯이 연장 설치되고 캠 선단으로서 기능하는 제1 캠 면(191b)과 힌지 핀 중심(153a)에서 볼 때 상기 제1 캠 면(191b) 일단부에서 시계회전 방향으로 각도 90도의 원호를 그리듯이 연장 설치되고 힌지 핀 중심(153a)을 중심으로 하는 캠 베이스로서 기능하도록 형성되는 제1 안내면(191c)와 상기 제1 안내면(191c) 일단부에서 시계회전 방향을 향해 연장 설치되고 상기 제1 안내면(191c)에 대한 접평면(接平面)이 되도록 연장 설치되는 제1회전 정지면(191d)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대하여 상기 제2 캠부(192)는 상기 제1회전 정지면(191d) 일단부에서 시계회전 방향을 향해 연장 설치되고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오목 조로서의 제2 위치 결정면(192a)과 상기 제2 위치 결정면(192a)의 일단부에서 시계회전 방향을 향해 힌지 핀 중심(153a)에서의 두꺼운 부분이 점차 얇아지도록 연장 설치되는 제2 캠 면(192b)과 힌지 핀 중심(153a)에서 볼 때 상기 제2 캠 면(192b) 일단부에서 시계회전 방향으로 각도 90도의 원호를 그리듯이 연장 설치되고 힌지 핀 중심(153a)을 중심으로 한 제1 안내면(191c)보다 작은 직경의 캠 베이스로서 기능하도록 형성되는 제2 안내면(192c)와 상기 제2 안내면(192c) 일단부에서 시계회전 방향을 향해 연장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제1 위치 결정면(191a) 단부에 연속하고 한편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오목 조로서 형성되는 제2회전 정지면(192d)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힌지 핀(153)은 힌지 핀 고정부(151c)에 외감(外嵌)되는 중심구멍을 구비하는 결원 형상의 중공 구조로 형성되고 있다(도 2(b) 참조). 힌지 핀 고정부(151c)의 단면 형상과 힌지 핀(153) 중심구멍의 단면 형상이 각각 결원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단면 형상은 힌지 핀(153)을 고정할 때의 배치를 안내하는 위치 결정으로서의 기능을 함과 동시에 힌지 핀 고정부(151c)에 대한 힌지 핀(153)의 활주를 막는 회전 정지로서도 기능하게 된다. 각 단면 결원부의 배설에 관해서는 힌지 핀 고정부(151c)를 통하여 힌지 핀(153)이 장착된 힌지 플레이트(151), 즉 축 부재(105)를 냉장고 본체(102)에 고정할 때 상기 캠(109)의 제1 위치 결정면(191a)이 냉장고 본체(102)의 전측에 면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힌지 핀 고정부(151c)의 단면 형상 및 힌지 핀(153) 중심구멍의 단면 형상은 상기 형태로 한정되는 않고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상기 힌지 핀 고정부(151c)에 힌지 핀(153)을 삽입하여 외감시키고 힌지 핀(153)의 저면부를 힌지 핀 고정부(151c) 주위의 힌지 플레이트 본체(151a) 상면에 접시킴으로써 힌지 플레이트(151)와 힌지 핀(153)이 일체의 축 부재(105)로 된다.
상기와 같이 축 부재(105)가 구성되어 있는 한편, 상기 축 부재(105)와 함께 힌지장치(104)를 구성하는 베어링 부재(107)에는 도 2(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면을 따라 연장되는 직사각형 박판 형상의 베어링 플레이트부(107a)와 상기 베어링 플레이트부(107a)의 긴 방향 우단측에 천공 되고 대체로 짧은 방향을 따라 2개소에 나열된 베어링 플레이트 장치구멍(107)과 베어링 플레이트부(107a)의 좌단측 중앙부에 설치되어 짧은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2개 평행선 양단을 반원으로 연결하는 긴 홀 형상으로 천공한 긴 홀(107b)이 구비된다.
상기 도어부(103)의 좌단측 하부면에는 나사구멍(미도시)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베어링 플레이트 장치구멍(107c)을 통하여 도어부(103) 나사구멍에 볼트 등을 체결함으로써 베어링 부재(107)가 도어부(103)에 대해 일체로 장착된다. 베어링 부재(107)와 도어부(103)의 위치 결정에 관해서는 베어링 플레이트 장치구멍(107c)을 구비하는 일 측을 도어부(103)의 폭 방향 중앙부로 향한 상태에서 베어링 부재(107)의 긴 방향과 도어부(103)의 폭 방향이 평행이 되도록 위치 결정된다. 따라서, 상기 베어링 부재(107)를 도어부(103)에 부착한 상태에서는 도어부(103)가 닫힌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베어링 플레이트부(107a)의 긴 홀(107b)이 상기 도어부(103)의 전후 방향에 따라 연장하도록 구성된다. (도어부(103)가 닫힌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베어링 플레이트부(107a)의 긴 홀(107b)이 상기 도어부(103)의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자세에 위치 결정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베어링 플레이트 장치구멍(107c)의 배치 및 수 및 베어링 플레이트부(107a)의 설치 방법 등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도어부(103)의 좌단측 하부면에는 베어링 부재(107)를 상기 도어부(103)에 부착할 때에 상기 긴 홀(107b)과 연통하는 긴 홀(미도시)이 마련된다.
또, 상기 긴 홀(107b)은 그 양단의 반 원부 내주면이 상기 힌지 핀(153)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긴 홀(107b)에 상기 힌지 핀(153)을 상대 회동 가능하게 삽입할 수 있게 되어 있고 또한, 긴 홀(107b)에 힌지 핀(153)을 삽입시킨 상태에서는 힌지 핀(153)이 긴 홀(107b)의 짧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다. 또한 상기 상태에서는 힌지 핀(153)은 긴 홀(107b)의 양단부 간을 상대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베어링 부재(107)의 긴 홀(107b)에 축 부재(105)의 힌지 핀(153)을 삽입시키고 베어링 플레이트부(107a)의 하부면을 힌지 핀(153)의 턱부 상부면(즉, 캠(109)의 상부면)으로 접하게 마련하여 도어부(103)를 냉장고 본체(102)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한편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장치(104)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긴 홀(107b)은 그 긴 방향 앞측(도어부(103)의 전면 측)에 위치하는 제1 단부(P1)(도 4(a) 참조)와 힌지 핀(153)이 접한 상태에서는 도어부(103)와 냉장고 본체(102)가 근접하여 도어부(103)을 닫았을 때에 개스킷(G1)과 개구부(121a) 주위의 냉장고 본체(102) 전면이 밀착하도록 구성된다. 또 긴 홀(107b)의 긴 방향 앞측(도어부(103) 후면 측)에 위치하는 제2 단부(P2)(도 4(a) 참조)와 힌지 핀(153)이 접한 상태에서는 도어부(103)와 냉장고 본체(102)가 이격하여 도어부(103)가 회동할 경우에 개스킷(G1)과 개구부(121a) 주위의 냉장고 본체(102) 전면이 간섭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또, 베어링 플레이트부(107a)의 긴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측 주변부 중 긴 홀(107b)의 제1 단부(P1)에 근접하는 일방에는 상기 측 주변부를 수직 하부를 향해 절곡함으로써 직사각형 박판 형상의 제1 팔로어부(107e)가 형성된다.
또한 베어링 플레이트부(107a) 긴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측 주변부 중 긴 홀(107b)의 제2 단부(P2)에 근접하는 타방과 제2 단부(P2) 사이에는 베어링 플레이트부(107a)의 하부면에서 하부를 향해 돌출되고 대체로 원주 형상의 형태를 구비하는 제2 팔로어부(107f)(도 2(b) 참조)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팔로어부(107e, 107f)는 상기 제1 및 제2 캠부(191, 192)로 각각 상시 접하는 한 쌍의 캠 팔로어(107d)로서 기능하도록 배설되어 있고 상기 캠 팔로어(107d)로 힌지 핀(153)에 설치된 캠(109)으로 이루어진 캠 유닛(C)이 상기 축 부재(105)에 대한 베어링 부재(107)의 동작, 즉 냉장고 본체(102)에 대한 도어부(103)의 이동 및 회동을 상시 안내하게 된다.
도 4의 (a) 내지 (d)는 축 부재(105)에 대하여 베어링 부재(107)가 회동할 때의 캠 유닛(C)의 동작을 나타낸 것이고 도 4(a)는 도어부(103)가 닫힌 상태에 있을 때(베어링 부재(107) 및 도어부(103)의 회동 각도=0도), 도 4(b), (c)는 도어부(103)가 개폐 도중 상태(이하 개폐 도중 위치로 기재할 수도 있다)에 있을 때(베어링 부재(107) 및 도어부(103)의 회동 각도=15도, 45도) 및 도 4(d)는 도어부(103)가 열린 상태(이하 개방 위치로 기재할 수도 있다)에 있을 때(베어링 부재 및 도어부(103)의 회동 각도=135도)에 각각 상당한다. 도어부(103)와 베어링 부재(107)은 일체로 회동하기 때문에 아래 설명에서 베어링 부재(107)와 도어부(103)를 적절히 바꾸어 읽을 수 있다. 또, 상기 회동 각도는 도면상에서 X축에서 Y축 방향을 향해 회전시켰을 때에 이루는 각도에 상당한다(도 5에서의 설명과 동일하게 상기 회전 방향을 "시계회전방향"이라 기재함). 또, 도 4에 있어서는 베어링 부재(107)를 구성하는 베어링 플레이트부(107a)가 생략되어 있다.
도어부(103)가 닫힌 상태에 있을 때는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힌지 핀(153)을 긴 홀(107b)의 제1 단부(P1)에 접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2 팔로어부(107e, 107f)를 제1 및 제2 위치 결정면(191a, 192a)에 각각 접시키도록 구성된다. 제1 및 제2 팔로어부(107e, 107f)를 제1 및 제2 위치 결정면(191a, 192a)에 각각 접시킴으로써 베어링 부재(107)(도어부(103))의 반시계 회전 방향에의 회동을 규제함과 동시에 베어링 부재(107)(도어부(103))를 소정 위치에 위치 결정시키게 된다.
또한, 제1 및 제2 팔로어부(107e, 107f)가 제1 및 제2 캠부(191, 192)에 각각 접함으로써 긴 홀(107b)의 긴 방향에 따른 양측에서 캠 팔로어(107d)가 캠(109)을 협지하도록 되어 긴 홀(107b)의 긴 방향에 따른 힌지 핀(153) 이동을 제한(규제)하게 된다.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긴 홀(107b)의 짧은 방향에 따른 힌지 핀(153) 이동도 제한(규제)하도록 형성되어 있어서 긴 홀(107b)의 직사각형 및 짧은 방향에 따른 힌지 핀(153)의 이동을 각각 제한(규제)한다. 이것에 의해 긴 홀(107b)을 통해 힌지 핀(153)이 삽입된 베어링 부재(107)(도어부(103))의 축 부재(105)(냉장고 본체(102))에 대한 덜컹거림을 방지하게 되어 있다(이하에 기술한 바와 같이 닫힌 상태 이외의 상태에서도 축 부재(105)에 대한 베어링 부재(107)의 위치, 특히, 베어링 부재(107)의 회전축(회전 중심) 위치가 덜컹거림 없이 안정된 상태로 안내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베어링 부재(107)(도어부(103))가 소정 위치에서 덜컹거림 없이 위치 결정된다. 이 상태에서는 베어링 부재(107)(도어부(103))를 시계회전 방향으로 회동시켜서 캠 유닛(C)을 기능시키지 않는 한 그 위치가 유지된다.
도어부(103)가 닫힌 상태에서 개방될 때는 도 4(b),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긴 홀(107b), 제1 팔로어부(107e) 및 제2 팔로어부(107f)가 일체가 되어 시계회전 방향으로 회동된다.
제1 위치 결정면(191a)에서 연속하는 제1 캠 면(191b)는 힌지 핀 중심(153a)에서 볼 때 제1 위치 결정면(191a) 이상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제1 팔로어부(107e)를 제1 위치 결정면(191a)에 접한 상태로부터 시계회전 방향으로 회동시키고 제1 캠 면(191b)에 따라 접시킴으로써 긴 홀(107b)의 긴 방향을 따라 힌지 핀(153)을 제1 팔로어부(107e)로부터 이격 시키게 된다. 이러한 이격에 의해 힌지 핀(153)을 긴 홀(107b)의 제1 단부(P1)에서 제2 단부(P2)측을 향해 이동시키게 된다.
한편, 제2 위치 결정면(192a)에서 연속하는 제2 캠 면(192b)는 힌지 핀 중심(153a)에서 볼 때 시계회전 방향을 향함에 따라 두께가 점차 얇아지도록 형성된다. 이 때문에, 제2 팔로어부(107f)를 제2 위치 결정면(192a)에 접한 상태에서 시계회전 방향으로 회동시키고 제2 캠 면(192b)을 따라 접시킴으로써 긴 홀(107b)의 긴 방향에 따라 힌지 핀(153)을 제2 팔로어부(107f)에 접근시키게 된다. 이러한 접근에 의해 힌지 핀(153)을 긴 홀(107b)의 제1 단부(P1)로부터 제2 단부(P2)측을 향해 이동시키게 된다.
이 때, 상기와 같이 긴 홀(107b)도 제1 및 제2 팔로어부(107e, 107f)와 일체로 회동하게 되어 있고 또한, 제1 및 제2 팔로어부(107e, 107f)가 제1 및 제2 캠 면(191b, 192b)고 각각 상시 접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도어부(103)가 닫힌 상태에 있을 때와 동일한 이유로 긴 홀(107b)의 긴 방향 및 짧은 방향에 따른 힌지 핀(153)의 이동을 각각 제한하게 된다. 따라서, 베어링 부재(107)(도어부(103))의 덜컹거림이 방지된다. 이 상태에서는 베어링 부재(107)(도어부(103))를 시계회전방향 또는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동시켜서 캠 유닛(C)을 기능시키지 않는 한 긴 홀(107b)에 대한 힌지 핀(153)의 위치가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베어링 부재(107)의 긴 홀(107b)은 도어부(103)가 닫힌 상태에 있을 때 전후 방향에 따라 연장하도록 배설되고 있고 이 때, 힌지 핀(153)은 도어부(103)와 냉장고 본체(102)가 근접하는 제1 단부(P1)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도어부(103)가 닫힌 상태에서 개방될 때 힌지 핀(153)이 긴 홀(107b)의 제1 단부(P1)에서 제2 단부(P2)로 향해 이동함으로써 베어링 부재(107)(도어부(103))가 축 부재(105)(냉장고 본체(102))에 대해 전방으로 크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베어링 부재(107)(도어부(103))의 회동 각도=45도에서 힌지 핀(153)이 제2 단부(P2)에 이르게 되어 있으나 본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캠(109) 및 캠 팔로어(107d)의 배치 및 형태 등을 변경함으로써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힌지 핀(153)이 제2 단부(P2)에 도달함과 동시에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팔로어부(107e, 107f)가 제1 및 제2 안내면(191c, 192c)에 각각 동일한 타이밍에 도달하도록 구성된다.
제1 캠 면(191b)에서 연속하는 제1 안내면(191c) 및 제2 캠 면(192b)에서 연속하는 제2 안내면(192c)은 양자 모두 힌지 핀 중심(153a)을 중심으로 하는 90도의 원호를 그리듯이 연장 설치되어 있어서 각각이 베어링 부재(107)(도어부(103))의 90도의 회동을 안내하게 된다. 이 때, 힌지 핀(153)은 제1 팔로어부(107e)로부터 이격하여 제2 팔로어부(107f)에 접근한 상태에 있기 때문에 제1 팔로어부(107e)가 접하는 제1 안내면(191c)보다 제2 팔로어부(107f)가 접하는 제2 안내면(192c)가 힌지 핀 중심(153a)에서 보아 작은 직경이 되도록 형성된다.
이 때에도 제1 및 제2 팔로어부(107e, 107f)가 제1 및 제2 안내면(191c, 192c)과 각각 상시 접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도어부(103)가 닫힌 상태에서 개방될 때와 동일한 이유에 의해 긴 홀(107b)에 대한 힌지 핀(153)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되어 있어 베어링 부재(107)(도어부(103))의 덜컹거림이 방지된다.
또한 제1 및 제2 안내면(191c, 192c)는 양자 모두 힌지 핀 중심(153a)에서 보아 일정한 두께를 가지므로 힌지 핀(153)을 긴 홀(107b)에 대해 이동시킬 수 있는 기능을 가지지 못하며 제1 및 제2 팔로어부(107e, 107f)가 제1 및 제2 안내면(191c, 192c)을 각각 접하고 있는 동안 힌지 핀(153) 위치가 제2 단부(P2)로 유지된다.
도어부(103)가 열린 상태에 이르게 되면 도 4(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팔로어부(107e, 107f)를 각각 제1 및 제2회전 정지면(191d, 192d)에 접시키게 된다. 이 접에 의해 베어링 부재(107)(도어부(103))의 시계회전방향에의 회동을 규제함과 동시에 베어링 부재(107)(도어부(103))을 소정 위치에 위치 결정하게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베어링 부재(107)(도어부(103))의 회동 각도=135도로 열린 상태에 이르게 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않고 캠(109) 및 캠 팔로어(107d)의 배치 및 형태 등을 변경함으로써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이 때, 제1 및 제2 팔로어부(107e, 107f)가 제1 및 제2회전 정지면(191d, 192d)에 각각 접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도어부(103)가 닫힌 상태에 있을 때와 동일한 이유로 베어링 부재(107)(도어부(103))이 소정 위치에 덜컹거림 없이 위치 결정된다. 이 상태에서는 베어링 부재(107)를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동시켜 캠 유닛(C)을 기능시키지 않는 한 그 위치가 유지된다.
또, 상하 방향에 따른 상기 제1 및 제2 팔로어부(107e, 107f) 높이는 예를 들면 상기 힌지 핀(153)의 턱부의 높이 이하가 되도록 형성된다. 그러므로, 축 부재(105)에 베어링 플레이트부(107a)를 삽입시킨 상태에서는 제1 및 제2 팔로어부(107e, 107f)는 양자 모두 힌지 플레이트 본체(151a)와 간섭하지 않고 회동하게 된다.
상기 제1 팔로어부(107e)에는 하방을 향해 직사각형 형태의 연설부(延設部)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설부의 좌우 양단 주변 중 도어부(103)가 닫힌 상태에 있을 때 좌측(도어부(103)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일방은 스토퍼 부(107g)로서 구성된다. 상기 스토퍼 부(107g)는 도어부(103)가 최대로 열린 개방 상태(본 실시 형태에서는 베어링 부재(107)의 회동 각도=135도에 상당함)에 있을 때 힌지 플레이트 본체(151a)의 스토퍼 받침부(151e)와 접하여 회전하여 정지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이 스토퍼 부(107g)는 상기의 구성에 한정되는 않으며 베어링 부재(107)와 축 부재(105)가 간섭함으로써 도어부(103)가 회전 정지되는 것이라면 그 배치 및 형태 등을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또, 상기 도어부(103) 좌단측 하부면에는 훅 형상의 립부(미도시)가 설치되어 있고 도어부(103)가 닫힌 상태에 있을 때 힌지 플레이트 본체(151a)의 립 받침부(151f)와 계합하여 도어부(103)를 닫힌 상태로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 립부 및 립 받침부(151f)는 반드시 설치할 필요가 없고 그 배치 및 형태 등도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도어부(103)를 상부로부터 지지하는 상부 힌지장치(104) 긴 홀(107b)의 긴 방향 길이는 지금까지 설명한 하부 힌지장치(104) 긴 홀(107b)의 긴 방향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미도시). 긴 홀(107b) 치수의 변경에 의해 상부 힌지장치(104)의 캠 유닛(C)을 구성하는 각부 치수 등도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으나 하부 힌지장치(104)의 캠 유닛(C)과 동일한 기능을 하도록 구성된다.
이상을 근거로 본 실시 형태에 의한 냉장고(101)의 도어부(103)가 개폐할 때의 전체적인 동작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아래와 같은 설명에서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왼쪽 도어부(103)(간단하게 도어부(103)로 기재함) 및 상기 도어부(103)의 하부 힌지장치(104)(간단하게 힌지장치(104)로 기재함) 동작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어부(103)가 닫힌 상태 즉, 도어부(103)의 회동 각도가 0도(도 4(a))일 때 제1 및 제2 팔로어부(107e, 107f)가 각각 제1 및 제2 위치 결정면(191a, 192a)에 접함으로써 베어링 부재(107)의 반시계 회전 방향에의 회동을 규제하고 도어부(103)를 닫힌 상태로 위치 결정하고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는 힌지 핀(153)은 긴 홀(107b)의 제1 단부(P1)에 접하고 있어서 축 부재(105)로 베어링 부재(107)가 근접하고 나아가서는 도어부(103) 후면과 개구부(121a) 주위의 냉장고 본체(102) 전면이 근접하게 된다. 이 근접에 의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부(103) 후면에 설치된 개스킷(G1)의 마그넷(G2)와 개구부(121a) 주위의 냉장고 본체(102) 전면의 금속판이 서로 흡착하여 개스킷(G1)과 상기 전면이 밀착하고 냉장고 본체(102) 내부의 저장실(121)을 외부로부터 밀봉한다. 이 때 동일하게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스킷(G1) 안쪽에 설치된 상기 대향면(103d)이 개구부(121a) 주위의 냉장고 본체(102) 전면에 대향한 상태로 접함과 동시에 상기 스로트부(T1)의 스로트 측면부(T2)가 저장실(121) 내 벽면에 대향한 상태로 접함으로써 저장실(121)의 내부와 개스킷(G1) 사이를 밀폐한다.
또, 이 상태에서는 도어부(103) 좌단측 하부 면에 설치된 립부와 힌지 플레이트 본체(151a)에 설치된 립 받침부(151f)가 계합함으로써 베어링 부재(107)의 시계회전 방향에의 회동을 방지하고 도어부(103)를 닫힌 상태로 유지한다.
상기 도어부(103)가 닫힌 상태에서 개방될 때(도 4(b)), 상기 립부와 립 받침부(151f)와의 계합을 해제하여 도어부(103)가 시계회전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제1 및 제2 팔로어부(107e, 107f)가 제1 및 제2 캠 면(191b, 192b)를 각각 시계회전 방향으로 접한다. 이 접에 따라 힌지 핀(153)이 긴 홀(107b) 제1 단부(P1)에서 제2 단부(P2)로 향하도록 이동하기 때문에 축 부재(105)에 대해 베어링 부재(107)가 전방으로 밀어내도록 슬라이드하고 나아가서는 도어부(103) 후면이 개구부(121a) 주위의 냉장고 본체(102) 전면에서 전방으로 이격하듯이 이동하면서 시계회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도어부(103) 이격에 따라 개스킷(G1)이 개구부(121a) 주위의 냉장고 본체(102) 전면으로부터 이격하여 냉장고 본체(102) 내부의 저장실(121)의 밀봉을 해제함과 동시에 도어부(103) 대향면(103d) 및 스로트 측면부(T2)도 각각 냉장고 본체(102)로부터 이격하여 저장실(121) 내부와 개스킷(G1) 사이의 밀폐를 해제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상부 힌지장치(104) 긴 홀(107b)의 긴 방향 길이가 하부 힌지장치(104) 긴 홀(107b)의 긴 방향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어서 도어부(103)가 닫힌 상태에서 개방될 때 상부 힌지장치(104)의 베어링 부재(107)보다, 하부 힌지장치(104)의 베어링 부재(107)가 전방으로 많이 내밀리게 된다. 이것에 의해 도어부(103) 회전축은 상단 측보다 하단 측이 전방으로 돌출하여 상하 방향에 대하여 경사하게 된다.
본 실시 형태의 구성에서는 상기와 같은 이격동작은 도어부(103) 회동 각도가 0도에서 45도에 이를 때 생긴다. 그리고 회동 각도가 45도에 이르렀을 때(도 4(c)), 힌지 핀(153)이 긴 홀(107b)의 제2 단부(P2)에 접한다. 그 다음은 제1 및 제2 팔로어부(107e, 107f)가 제1 및 제2 안내면(191c, 192c)을 각각 시계회전 방향으로 접함으로써 도어부(103)는 원호를 그리듯이 회동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도어부(103)가 닫힌 상태에서 개방될 때 그 회전축은 상단 측보다 하단 측이 전방으로 돌출하여 상하 방향에 대해 경사진다. 그러므로, 도어부(103)가 그 상태에서 한층 더 개방될 때 상기 도어부(103)는 회전축의 경사 크기에 따라 수평면으로부터 비스듬하게 상방을 향해 열리게 된다.
상기 도어부(103)가 한층 더 회동하여 회동 각도가 135도에 이르렀을 때(도 4(d)에 상당) 제1 팔로어부(107e), 제2 팔로어부(107f) 및 스토퍼 부(107g)가 제1회전 정지면(191d), 제2회전 정지면(192d) 및 스토퍼 받침부(151e)에 각각 접함으로써 베어링 부재(107)의 시계회전 방향에의 회동을 규제하여 도어부(103)를 열린 상태로 위치 결정하여 유지한다.
상기 도어부(103)가 열린 상태로부터 닫힐 때의 동작도 동일하며 도어부(103)가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제1 팔로어부(107e)가 제1 안내면(191c) 및 제1 캠 면(191b)를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차례로 접하여 제1 위치 결정면(191a)에 접하는 한편 제2 팔로어부(107f)가 제2 안내면(192c) 및 제2 캠 면(192b)를 반 시계회전으로 차례로 접하여 제2 위치 결정면(192a)에 접하고 립부와 립 받침부(151f)가 계합한다.
특히, 도어부(103) 회동 각도가 45도에서 0도에 이를 때 제1 및 제2 팔로어부(107e, 107f)가 각각 제1 및 제2 캠 면(191b, 192b)를 따라 접하고 이 접에 따라 힌지 핀(153)이 긴 홀(107b)의 제2 단부(P2)에서 제1 단부(P1)로 이동하여 접한다. 이 이동에 의해 베어링 부재(107)가 후퇴하여 축 부재(105)에 접근하도록 슬라이드하고 나아가서는 도어부(103) 후면이 개구부(121a) 주위의 냉장고 본체(102) 전면에 접근하도록 이동하면서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또한, 이 접근에 의해 도어부(103) 후면에 설치된 개스킷(G1)의 마그넷(G2)와 개구부(121a) 주위의 냉장고 본체(102) 전면의 금속판이 서로 흡착하고 개스킷(G1)이 냉장고 본체(102) 개구부(121a) 주위의 전면에 밀착하여 냉장고 본체(102) 내부의 저장실(121)을 외부로부터 다시 밀봉한다. 이 때 상기 대향면(103d)과 개구부(121a) 주위의 냉장고 본체(102) 전면이 접함과 동시에 상기 스로트 측면부(T2)와 상기 저장실(121) 내벽 면이 접함으로써 저장실(121) 내부와 개스킷(G1) 사이를 다시 밀폐한다. 또한 도어부(103)가 열린 상태에서 닫아 닫힌 상태에 이를 때 힌지 핀(153)과 제1 및 제2 팔로어부(107e, 107f)가 긴 홀(107b)의 제1 단부(P1)와 제1 및 제2 위치 결정면(191a, 192a)에 각각 다시 접함으로써 도어부(103)가 열리기 전과 동일한 위치에서 위치 결정된다.
또, 캠(109)은 힌지 플레이트 본체(151a) 위에 재치 된 상태로 고정되는 한편, 베어링 부재(107)은 베어링 플레이트부(107a)를 캠(109) 상면 위에 재치 된 상태로 또는 캠 팔로어(107d)를 캠(109)에 접접시킨 상태로 고정된다. 그리고 도 7(a) 내지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부(103) 회동 각도에 구애받지 않고 축 부재(105)의 힌지 플레이트 본체(151a)와 캠(109)와 베어링 부재(107)의 베어링 플레이트부(107a)는 힌지 핀 중심(153a)(도 7(a) 내지 (d)에서의 지면 상하 방향)이 연장되는 방향에서 볼 때 서로 중첩하는 영역을 가진다.
이상에서 본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캠 유닛(C)을 이루는 캠(109)과 캠 팔로어(107d) 사이의 접점이 도어부(103)가 닫힌 상태, 개방 상태 및 개폐 도중 상태에 있을 때 상시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동일하게 상시 유지되도록 구성된 긴 홀(107b)과 힌지 핀(153) 사이의 접촉과 협동함으로써 개스킷(G1)과 냉장고 본체(102)를 원하는 데로 또한 일정한 타이밍으로 접리(接離)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개스킷(G1)이 감기는 것을 방지하기 유리하다. 그러므로 개스킷(G1)를 도어부(103) 지지점(힌지 핀 중심(153a))보다 외측에 마련할 수 있기 때문에 개스킷(G1) 안쪽에 설치되는 대향면(103d)를 도어부(103) 폭 방향에 따라 크게 확보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얻을 수 있어 이 증대된 대향면(103d)에 의해 저장실(121) 내부와 개스킷(G1) 사이를 충분히 밀폐하고 단열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개스킷(G1) 뿐만 아니라 대향면(103d)의 움직임도 안내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그것으로 대향면(103d)를 냉장고 본체(102) 개구부(121a) 주위의 전면에 접시키고 나아가서는 냉장고(101) 단열성능을 높이는데 있어서 무엇보다 유리하다.
즉, 캠(109)과 캠 팔로어(107d)가 상시 접함으로써 축 부재(105)에 대한 베어링 부재(107)의 동작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것에 의해 개스킷(G1)과 냉장고 본체(102)가 접리하는 타이밍뿐만이 아니라 도어부(103) 회전 중심(회전축)의 궤도, 또한 도어부(103) 개폐 시 궤도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개폐 동작이 원활하여 사용자에게 쾌적한 개폐 감각을 줌과 동시에 도어부(103)의 위치 결정 정밀도를 안정화하는데 유리하다. 이것에 의해 대향면(103d)를 개구부(121a) 주위의 냉장고 본체(102) 전면에 충분한 위치 결정 정밀도로 접시켜 밀폐시킬 수 있기 때문에 소정의 단열성능을 얻기에 유리하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의한 힌지장치(104)는 부세 부재(附勢部材)를 이용하지 않고 캠(109)과 캠 팔로어(107d)의 접점에 의해 도어부(103)를 닫힌 상태로 위치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부세 부재의 열화에 의한 단열성능의 저하(도어부(103)의 위치 결정 성능의 저하)없이 개구부(121a) 주위 냉장고 본체(102) 전면에 대한 대향면(103d)의 위치 결정 정밀도 유지 및 상기 위치 결정 정밀도의 안정화에 유리하다.
또, 제1 팔로어부(107e)와 제1 캠부(191)가 접하는 부분, 제2 팔로어부(107f)와 제2 캠부(192)가 접하는 부분 및 힌지 핀(153) 외주 면과 긴 홀(107b) 내주 면이 접하는 부분이 각각 상시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3개소에서의 접촉을 유지함으로써 도어부(103)의 덜컹거림을 방지하고 그 개폐 동작을 안정시키는 데 있어서 유리하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및 제2 팔로어부(107e, 107f)가 제1 및 제2 캠부(191, 192)에 각각 접함으로써 캠 팔로어(107d)가 캠(109)을 사이에 끼우듯이 접하기 때문에 힌지 핀(153)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해 특히 유리하다. 또한, 힌지 핀(153)의 외주 면과 긴 홀(107b)의 내주 면의 접하는 부분이 힌지 핀(153)의 이동을 한층 더 규제하기 위해 캠(109)과 캠 팔로어(107d)의 접하는 부분을 유지함으로써 축 부재(105)에 대한 베어링 부재(107)의 동작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나아가서는 도어부(103)의 덜컹거림을 방지함에 한층 더 유리하다.
또한, 제1 및 제2 팔로어부(107e, 107f)가 긴 홀(107b)의 긴 방향에 따른 양단 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어서 제1 및 제2 팔로어부(107e, 107f)가 힌지 핀(153)을 사이에 끼운 방향과 긴 홀(107b)의 짧은 방향 내주 면에 힌지 핀(153) 외주 면이 접할 방향이 대체로 수직이 되기 때문에 캠(109)과 캠 팔로어(107d)의 접하는 부분을 상시 유지함으로써 축 부재(105)에 대한 베어링 부재(107)의 동작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나아가서는 도어부(103)의 덜컹거림을 방지하기 위해 한층 유리한 구성이 된다.
제1 캠부(191)와 제1 팔로어부(107e)의 접접 및 제2 캠부(192)와 제2 팔로어부(107f)의 접하는 부분이 도어부(103)의 위치 결정과 힌지 핀(153)의 이동에 각각 기여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각 기능을 담당하는 캠(109)의 제1 위치 결정면(191a) 및 제1 캠 면(191b) 및 제2 위치 결정면(192a) 및 제2 캠 면(192b)을 제1 및 제2 팔로어부(107e, 107f)가 각각 차례로 연속하여 접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도어부(103)가 닫힌 상태에서 개방될 때 도어부(103)가 열리면 거의 동시에 힌지 핀(153)을 이동시키고 개스킷(G1)를 신속하게 이격시킬 수 있다. 도어부(103)가 닫힐 때도 마찬가지로 도어부(103)가 닫힌 상태로 위치 결정 되기 직전에 힌지 핀(153)을 이동시켜 개스킷(G1)를 냉장고 본체(102)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이처럼 구성함으로써 도어부(103) 개폐에 따른 개스킷(G1) 감김을 방지하기 한층 더 유리하다.
또, 제1 및 제2 팔로어부(107e, 107f)가 제1 및 제2 캠 면(191b, 192b)를 각각 동시에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힌지 핀(153) 이동을 부드럽게 안내한다.
또한 캠(109)과 캠 팔로어(107d)가 제1 및 제2 캠부(191, 192)와 제1 및 제2 팔로어부(107e, 107f)로서 각각 2분할되어 있어서 도어부(103) 개폐에 따라 캠(109)과 캠 팔로어(107d)가 받는 부하를 분산시킴으로써 마모를 억제하여 덜컹거림의 발생을 방지 함과 동시에 캠(109) 및 캠 팔로어(107d)의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도어부(103)를 닫힌 상태로 위치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면이 2개소에 설치된 것 즉, 제1 위치 결정면(191a)와 제2 위치 결정면(192a)에 의해 도어부(103)를 닫힌 상태로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도어부(103)의 위치 결정 정밀도를 안정시키기에 유리하다.
또, 도어부(103)를 개방한 상태로 위치 결정하기 위한 회전 정지면에 대해서도 제1 및 제2 캠부(191, 192)에 제1 및 제2 회전 정지면(191d, 192d)이 각각 설치되어 있어서 도어부(103)가 열린 상태에 이를 때 캠(109) 및 캠 팔로어(107d)가 받는 부하를 분산시킴으로써 도어부(103) 회전 정지로서의 캠(109) 및 캠 팔로어(107d)의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회전 정지면(191d, 192d)과 스토퍼 부(107g) 및 스토퍼 받침부(151e)를 병용함으로써 부하가 한층 더 분산되고 내구성을 한층 향상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본 발명을 대용량 냉장고의 적용함에 있어서 무엇보다 유리하다.
캠 유닛(C)은 도어부(103)가 닫힌 상태에서 개방될 때 스토퍼 부(107g)와 힌지 핀(153)을 서로 이격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도어부(103)가 열린 상태에 이를 때 스토퍼 부(107g)와 스토퍼 받침부(151e)의 접에 의해 스토퍼 부(107g)가 받는 부하를 감소시키고 힌지장치(104)의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하부 힌지장치(104) 긴 홀(107b)의 긴 방향 길이가 상부 힌지장치(104) 긴 홀(107b)의 긴 방향 길이보다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도어부(103)가 열릴 때 하측의 베어링 부재(107)가 상측의 베어링 부재(107)보다 전방으로 밀어내도록 이동한다. 이 때문에 도어부(103)가 수평면에서 비스듬하게 상방을 향해 열리게 된다. 따라서, 도어부(103) 하측에 배치되는 상단 인출 도어부(103a)와의 간섭이 방지되고 도어부(103)와 상단 인출 도어부(103a)의 도어간 틈새를 작게 할 수 있다.
또, 축 부재(105)의 힌지 플레이트 본체(151a), 캠(109) 및 베어링 부재(107)의 베어링 플레이트부(107a)는 도어부(103)가 닫힌 상태에 있을 때, 개폐 도중 상태에 있을 때 및 열려 상태에 있을 때, 어느 경우에서도 도어부(103) 회전 중심에서 평행한 힌지 핀 중심(153a)이 연장되는 방향에서 보아 서로 중첩하는 영역을 가지고 있어서 힌지장치(104) 전체의 구조적 강도를 향상할 수 있다. 따라서 힌지장치(104)의 기계적 강도를 확보하면서도 힌지 플레이트 본체(151a), 캠(109) 및 베어링 플레이트부(107a)를 각각 얇게 형성할 수 있다.
또, 도 7의 (a) 내지 (d)에서도 알 수 있듯이 도어부(103)를 긴 홀(107b)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크게 슬라이드 시킴으로써 도어부(103)를 폐쇄 위치에서 90도 이상 회전시켰을 경우에도 도어부(103)(베어링 부재(107))의 지지측 단부와 냉장고 본체(102) 각부(축 부재(105)의 부착판(151b))를 간섭 없이 개방 위치(135도)까지 열 수 있다. 이러한 간섭을 방지함으로써 본 제1 실시 형태는 냉장고(101) 개구부(121a)를 충분히 개방하는데 있어서 유리한 구성이 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제 1 실시 형태를 일부 변형한 변혀예에 대하여 서술한다
도어부(103)에 설치되는 대향면(103d) 및 스로트 측면부(T2)의 배치 및 형태 등은 단열성능 향상에 기여하는 것이라면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과 관련된 냉장고(101)의 각 구성요소의 조립 정밀도 및 치수 공차 및 도어부(103) 개폐 궤도 등을 고려하여 도어부(103)가 닫힌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대향면(103d) 및 스로트 측면부(T2)가 개구부(121a) 주위의 냉장고 본체(102) 전면 및 저장실(121) 내 벽면에 각각 최대한 근접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저장실(121) 내부에서 개스킷(G1)으로 계속되는 틈새 부가 구성되고 이 틈새 부의 폭 및 길이에 따라서 개스킷(G1)를 통한 외부에서 저장실(121) 내부로의 열 침입 및 저장실(121) 내부에서 외부에의 냉기 유출을 막을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 설치되는 상기 도어 포켓 형성부(T)는 도어부(103) 후면에 수용 스페이스를 마련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기도 하다. 본 구성에 대신하여 도어 포켓 형성부(T), 즉 스로트부(T1)를 마련하지 않고 대향면(103d)만을 배설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 도어 포켓 형성부(T)를 마련할 경우에 있어서도 도어부(103)가 닫힌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도어 포켓 형성부(T)를 구성하는 스로트부(T1)의 스로트 측면부(T2)를 저장실(121) 내 벽면에 접 또는 근접시키지 않고 대향면(103d)만이 개구부(121a) 주위의 냉장고 본체(102) 전면에 접 또는 근접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제1 개구부(121a)를 개폐하는 도어부(103)가 양 개방식으로 되어 있으나 본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개구부(121a)의 좌우 단부 일방이 축 지지된 한 쪽 개방식 도어부일 수도 있다.
또, 상기 제2 내지 제4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부가 모두 인출식일 수도 있으나 본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개구부(121a)를 개폐하는 도어부를 공지의 구성으로서 제2 내지 제4 개구부의 어느 것이라도 본 발명과 관련된 힌지 구조를 가지는 양 개방식 또는 한 쪽 개방식 도어부로 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축 부재(105)가 냉장고 본체(102)에 고정되고 베어링 부재(107)가 도어부(103)에 고정되어 있으나 반드시 본 구성에 한정하지 않고 축 부재(105)가 도어부(103)에 고정되고 베어링 부재(107)가 냉장고 본체(102)에 고정되는 구성일 수도 있다.
또, 베어링 부재(107)에 캠(109)을 구비하고 축 부재(105)에 캠 팔로어(107d)를 구비하는 구성일 수도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캠(109)이 제1 및 제2 캠부(191, 192)에 구획되고 캠 팔로어(107d)나 제1 및 제2 캠부(191, 192)로 각각 접하는 제1 및 제2 팔로어부(107e, 107f)로 2분할되어 있으나 반드시 본 구성에 한정하지 않고 캠(109) 및 캠 팔로어(107d)의 배치 및 형태 등을 포함하여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또, 힌지 핀(153) 및 힌지 핀(153)이 삽입되는 긴 홀(107b)의 배치 및 형태 등도 본 실시 형태의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긴 홀(107b)의 긴 방향 길이 및 방향을 변경함으로써 도어부(103) 개폐시의 궤도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제1 및 제2 캠부(191, 192)는 제1 팔로어부(107e)가 차례로 연속하여 접하는 제1 위치 결정면(191a), 제1 캠 면(191b) 및 제1 안내면(191c)과 제2 팔로어부(107f)가 차례로 연속하여 접하는 제2 위치 결정면(192a), 제2 캠 면(192b) 및 제2 안내면(192c)로 각각 구획되어 있으나 반드시 본 구성에 한정하지 않고 각면의 배치 및 형태 등을 포함하여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캠 면(191b)의 곡률 및 크기 등을 변경함으로써 냉장고 본체(102)로부터 개스킷(G1)이 이격하는 타이밍 또는 이격 속도 등을 변경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캠부(191, 192)에 제1 및 제2회전 정지면(191d, 192d)이 각각 설치되어 있으나 반드시 본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제1 및 제2 캠부(191, 192)의 일방에 회전 정지면을 형성하는 구성일 수 있고 회전 정지면을 형성하지 않고 스토퍼 부(107g) 및 스토퍼 받침부(151e)만을 이용하는 구성일 수도 있다.
또, 소용량 냉장고에 이용할 경우, 본 실시 형태의 구성을 대신해 스토퍼 부(107g) 및 스토퍼 받침부(151e)를 마련하지 않고 제1 및 제2회전 정지면(191d, 192d)의 적어도 일방에 형성된 회전 정지면만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힌지장치(104) 나아가서는 냉장고(101) 소형 경량화에 유리하다. 이들 제1 및 제2회전 정지면(191d, 192d)의 배치 및 형태 등은 본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또, 스토퍼 부(107g)와 스토퍼 받침부(151e)를 설치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반드시 캠 유닛(C)이 스토퍼 부(107g)와 힌지 핀(153)을 서로 이격시키도록 구성할 필요는 없다.
상기 상부 힌지장치(104)로서 공지의 힌지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부 힌지장치(104)에는 힌지 핀(153)을 가지는 상측 축 부재(105)와 상기 힌지 핀(153)을 상대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원형 홀을 가지는 상측 베어링 부재(107)가 최저한 필요하게 되고 상측 축 부재(105) 및 상측 베어링 부재(107) 중 일방이 냉장고 본체(102)에 고정되고 타방이 도어부(103)에 고정된다. 이러한 구성이라도 도어부(103)가 비스듬하게 상방을 향해 열리게 되므로 도어부(103) 하측에 배치된 상단 인출 도어부(103a)와의 간섭이 방지되고 도어부(103)와 상단 인출 도어부(103a)의 도어간 틈새를 작게 할 수 있다.
또, 상하부 힌지장치(104, 104)를 양자 모두 본 발명과 관련된 것으로 했을 경우에도 상기 하부 힌지장치(104) 긴 홀(107b)의 긴 방향 길이가 상부 힌지장치(104) 긴 홀(107b)의 긴 방향 길이보다 길어지는 구성은 필수가 아니다. 상부 힌지장치(104)만을 본 발명과 관련된 힌지장치(104)로 할 수도 있다.
또, 긴 홀(107b)이 연장되는 방향 및 캠 유닛(C) 구성을 변경함으로써 도어부(103)가 닫힌 상태에서 개방될 때 그 도어부(103)를 냉장고 본체(102)의 폭 방향 바깥 쪽을 향해 크게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좌우 양 도어부(103, 103)의 서로 대향하는 측면(호선(戶先)측의 측면)에 한 쌍의 개스킷을 마련하는 구성을 병용함으로써 도어부(103)가 열릴 때 이 한 쌍의 개스킷(G4)이 서로 간섭 없이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냉장고에만 적용 가능한 것이 아니고 상하부 힌지장치를 통하여 좌우 단부의 적어도 일방이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저장고 등에 이용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이하에서 설명하는 제2 실시 형태는 도 8 내지 도 16에 도시되어 있다. 이하는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냉장고(201)의 주요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주지의 내용을 채택한 부분 및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 경우도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냉장고(201)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어도 상부에 냉장실(221)을 가지는 냉장고 본체(202)와 냉장실(221)의 전면에 설치된 전면 개구부(이하 간단히 개구부로 기재함)(221a)를 폐쇄하는 도어부(203)와 냉장고 본체(202) 및 도어부(203)의 사이에 개재하여 설치되는 힌지장치(204)를 구비한다.
상기 도어부(203)는 개구부(221a)를 좌우 양측에서 폐쇄하는 왼쪽 도어부(231) 및 오른쪽 도어부(232)로 이루어진 좌우 개폐식의 것이다. 그리고 좌우 양도어부(231, 232)의 냉장고 본체(202)측 면인 후면에는 도어부(203)가 개구부(221a)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Q1)에서 냉장고 본체(202)의 전면 개구 테두리와 밀착하는 개스킷(G3)이 설치된다. 또, 좌우 양도어부(231, 232)의 서로 대향하는 측면(각 도어에 있어서의 호선측의 측면)에는 서로 밀착하는 한 쌍의 개스킷(G4)이 설치된다.
또, 힌지장치(204)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왼쪽 도어부(231)의 상하 좌단부와 냉장고 본체(202) 사이 및 오른쪽 도어부(232)의 상하 우단부와 냉장고 본체(202) 사이에 개재하여 설치되고 도어부(203)를 폐쇄 위치(Q1) 및 상기 개구부(221a)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Q3) 사이에 회전을 자유롭게 지지한다(여기서의 "회전"이란 일 방향에의 원운동뿐만이 아니라 정방향 및 역방향을 포함하는 양방향에의 원운동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이러한 양 방향에의 원운동을 이하에서는 "회동"이라 기재함). 또한 개방 위치(Q3)란 각 도어부(231, 232)가 상기 폐쇄 위치(Q1)로부터 예를 들면 135도 회전한 위치이다. 구체적으로 힌지장치(204)는 좌우 양도어부(231, 232) 하부 면과 해당 하부 면에 대향하는 냉장고 본체(202)의 상면과의 사이 및 좌우 양도어부(231, 232)의 상면과 해당 상면에 대향하는 냉장고 본체(202) 하부 면과의 사이에 개재하여 설치된다.
각 도어부(231, 232) 상하 단부에 설치된 힌지장치(204)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동일 구성의 것이다. 구체적으로 힌지장치(204)는 도 9 내지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냉장고 본체(202)에 장착되는 본체측 부재(205)와 본체측 부재(205)에 고정핀(206)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중간 부재로서의 링크 부재(209)와 링크 부재(209)에 요동 핀(208)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도어부(203)에 장착되는 도어측 부재(207)와 본체측 부재(205) 및 도어측 부재(207) 사이에 개재하여 설치되고 본체측 부재(205)에 대한 도어측 부재(207)의 궤도(동작)를 가이드 하는 슬라이드 유닛(R)을 구비한다.
이하, 각부(205~209) 및 슬라이드 유닛(R)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체측 부재(205)는 냉장고 본체(202)에 예를 들면 나사 등에 의해 고정되는 예를 들면 아연 합금(ZDC2) 제의 부착 플레이트(251)와 해당 부착 플레이트(251)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 예를 들면 본체측 플레이트(252)를 가지고 있다. 본체측 플레이트(252)는 특히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링크 부재(209)를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수용 공간(252s)을 가지고 있고 해당 수용 공간(252s)을 형성하는 평판 형태를 이루는 예를 들면 냉간압연 강판(SPCC) 제의 제1 플레이트 요소(252e) 및 평판 형태를 이루는 예를 들면 폴리아세탈(POM) 등의 수지제의 제2 플레이트 요소(252f)를 가지고 있다. 이들 플레이트(252e, 252f) 사이에 고정핀(206)에 의해 링크 부재(209)가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된다. 또한 제1 플레이트 요소(252e) 및 제2 플레이트 요소(252f)를 연결하는 부분은 예를 들면 아연 합금(ZDC2)을 사용하여 형성된다.
고정핀(206)은 도 10, 도 15및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측 플레이트(252)의 냉장고 본체측 부분에 설치된다. 본 실시 형태의 본체측 플레이트(252)는 평면으로 볼 때 개략 부채꼴 형태(중심각도 약 90도)를 이루며 고정핀(206)은 본체측 플레이트(252)의 중심각부 근방에 설치된다.
링크 부재(209)는 도 9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판 형태를 이루며 상기 본체측 플레이트(252)에 설치된 고정핀(206)에 의해 본체측 플레이트(252)에 대하여 슬라이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링크 부재(209)는 폐쇄 위치(Q1)에서 본체측 플레이트(252)의 수용 공간(252s)내에 수용된 상태가 되고 개방 위치(Q3)에서 본체측 플레이트(252)의 수용 공간(252s)에서 일부는 나오고 나머지 부분이 수용 공간(252s)내에 수용된 상태가 된다.
또, 링크 부재(209)에는 도어측 부재(207)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요동 핀(208)이 설치된다. 상기 요동 핀(208)은 링크 부재(209)에서의 냉장고 본체측과는 반대측 부분에 설치된다(즉, 링크 부재에서의 냉장고 본체(202)에서 보아 앞측 부분). 본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기재에 있어서는 냉장고 본체(202)측의 반대 측 방향 및 해당 반대측을, 각각 바깥 방향 및 외측이라고 기재하기로 한다.
상기 고정핀(206)과의 위치 관계로 말하면 적어도 폐쇄 위치(Q1)에서 요동 핀(208)은 냉장고 본체(202)측(개구부(221a))에 대해 고정핀(206)보다 외측이 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폐쇄 위치(Q1)로부터 개방 위치(Q3)에 이르기까지 전면 개구부(221a)에 대하여 고정핀(206)보다 외측(냉장고 본체(202)에서 보아 전측)이 되도록 구성된다(도 13 내지 도 16 참조).
본 실시 형태의 링크 부재(209)는 폐쇄 위치(Q1)에 있어서 본체측 플레이트(252)의 수용 공간(252s)에 수용되어 있어서 상기 요동 핀(208)은 본체측 플레이트(252)의 상면(도어부측의 면)보다 더욱 상부에 연장되어 있다(도 11 참조). 또한 본체측 플레이트(252)의 제2 플레이트 요소(252f)에는 요동 핀(208)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노치 부분(미도시)이 형성된다.
도어측 부재(207)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판 형태를 이루는 예를 들면 스텐레스강철(SUS) 또는 침탄 열처리가 된 예를 들면 냉간압연강판(SPCC) 제의 것이며 상기 링크 부재(209)에 설치된 요동 핀(208)에 의해 링크 부재(209)에 대하여 슬라이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측 부재(205)의 부착 플레이트(251)와 본체측 부재(205)의 본체측 플레이트(252), 링크 부재(209) 및 도어측 부재(207)가 분리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본체측 부재(205)의 부착 플레이트(251)와 본체측 플레이트(252)가 분리 가능하게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부착 플레이트(251)에서의 냉장고 본체측과는 반대측의 면으로 설정된 탑재 면에 본체측 플레이트(252)가 분리 가능하게 탑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부착 플레이트(251) 또는 본체측 플레이트(252)의 일방에 설치된 볼록부(X1)와 부착 플레이트(251) 또는 본체측 플레이트(252)의 타방에 설치된 오목부(X2)로 구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본체측 플레이트(252)의 제1 플레이트 요소(252e)에 볼록부(X1)가 설치되어 있고 부착 플레이트(251)에 상기 볼록부(X1)가 감합된 오목부(관통공)(X2)가 설치된다. 이처럼 본체측 부재(205)의 부착 플레이트(251)와 본체측 부재(205)의 본체측 플레이트(252), 링크 부재(209) 및 도어측 부재(207)가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서 냉장고 본체(202)에 대한 도어부(203)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슬라이드 유닛(R)은 도 13 내지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폐쇄 위치(Q1) 및 도어부(203)가 폐쇄 위치(Q1)로부터 소정 각도 회전한 중간 위치(Q2) 범위 내에서는 도어측 부재(207)가 링크 부재(209)와 함께 고정핀(206)을 주 회전축으로서 본체측 부재(205)에 대해 회전하고 중간 위치(Q2) 및 도어부(203)가 전면 개구부(221a)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Q3) 범위 내에서는 고정핀(206)을 회전축으로 하는 링크 부재(209)의 회전을 허용하면서 도어측 부재(207)가 요동 핀(208)을 주 회전축으로서 링크 부재(209)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중간 위치(Q2)는 좌우 양도어부(231, 232)의 서로 대향하는 측면에 설치된 한 쌍의 개스킷(G4)이 서로 이간하는 위치이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어부(203)가 폐쇄 위치(Q1)(회전각도 0도)로부터 예를 들면 4도 회전한 위치(회전각도 4도)이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드 유닛(R)은 도 13 내지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측 부재(205)에 설치된 가이드 핀(슬라이드 핀)(253)과 도어측 부재(207)에 설치되고 가이드 핀(253)이 접 가능하게 구성된 가이드 홀(슬라이드 홀)(207b)로 구성된다.
본체측 부재(205)에 설치된 슬라이드 부로서의 가이드 핀(253)과 도어측 부재(207)에 장착된 피 슬라이드 부로서의 가이드 홀(207b)이 서로 접촉함으로써 도어측 부재(207)는 본체측 부재(205)에 있어서 가이드 홀(207b)이 연장되는 방향에 따라 상대 이동 가능하고 또한 가이드 홀(207b)주위에서 상대 회동 가능하게 지지를 받게 된다.
가이드 핀(253)은 본체측 플레이트(252)에서의 제1 플레이트 요소(252e)에 고정됨과 동시에 제2 플레이트 요소(252f)를 관통하여 제2 플레이트 요소(252f)의 상면(도어부측의 면)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설치된다. 이처럼 가이드 핀(253)이 제1 플레이트 요소(252e)에 고정되어 있어서 링크 부재(209)에는 가이드 핀(253)이 접 가능하게 구성된 요동 슬라이드 홀(209h)이 형성된다(도 10 참조). 상기 요동 슬라이드 홀(209h)에 의해 링크 부재(209)도 가이드 핀(253)에 의해 궤도가 가이드 된다.
즉, 슬라이드 유닛(R)은 도어부(203)가 고정핀(206) 및 요동 핀(208) 주위에서 회동 자유롭게 구성되어 있었다 해도(2축 구성이라 해도) 도어부 개폐 이동에 의해 고정핀(206) 주위의 링크 부재(209) 회동 각도와 요동 핀(208) 주위의 도어측 부재(207) 회동 각도가 각각, 슬라이드 유닛(R)의 구성에 의해 소정 규칙에 따라서 변화하도록 안내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도어측 부재(207) 내지 도어부(203) 개폐 동작이 안정된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홀(207b)은 그 형상에서 도어부가 폐쇄 위치(Q1)로부터 중간 위치(Q2)로 이동하는 범위 내의 곡률이 중간 위치(Q2)로부터 개방 위치(Q3)로 이동하는 범위 내의 곡률보다 작아지도록 구성된다(도 12등 참조). 즉, 폐쇄 위치(Q1)로부터 중간 위치(Q2)로 이동하는 범위 내에서는 도어측 부재(207)가 링크 부재(209)와 함께 고정핀(206)을 주 회전축으로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한편으로 중간 위치(Q2)로부터 개방 위치(Q3)로 이동하는 범위 내에서는 링크 부재(209)가 고정핀(206)을 회전축으로서 회전하면서 도어측 부재(207)가 요동 핀(208)을 주 회전축으로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개방 위치(Q3)까지 이동하면 가이드 홀(207b)의 종단부가 가이드 핀(253)에 접하고 도어부의 그 이상의 개방 이동을 규제하도록 구성된다.
도어부가 개방 위치(Q3) 또는 중간 위치(Q2)로부터 폐쇄 위치(Q1)까지 이동할 경우에도 슬라이드 유닛(R)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달성한다. 즉, 개방 위치(Q3)로부터 중간 위치(Q2)까지의 범위 내에서는 링크 부재(209)가 고정핀(206)을 회전축으로서 회전하면서 도어측 부재(207)가 요동 핀(208)을 주 회전축으로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한층 더 도어부가 닫혀져 중간 위치(Q2)로부터 폐쇄 위치(Q1)까지 이동할 경우에는 도어측 부재(207)가 링크 부재(209)와 함께 고정핀(206)을 주 회전축으로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폐쇄 위치(Q1)까지 이동하면 가이드 홀(207b)의 시단부(始端部)가 가이드 핀(253)에 접하여 도어부의 그 이상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구성된다.
또, 가이드 핀(253)은 그 기단부(基端部)가 제1 플레이트 요소(252e)에 고정되어 있는 한편, 그 선단부에는 가이드 홀(207b)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발지부(253a)가 설치된다. 상기 발지부(253a)는 가이드 홀(207b)의 폭보다 큰 직경의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방 위치(Q3)에서 본체측 부재(205)의 일부, 링크 부재(209)의 일부 및 도어측 부재(207)의 일부가 요동 핀(208)(고정핀(206))의 축 방향에 대해 서로 중첩되어 있다. 이처럼 개방 위치(Q3)에서 본체측 부재(205), 링크 부재(209) 및 도어측 부재(207)가 서로 중첩된 부분을 가지므로 힌지장치(204)의 개방 위치(Q3)에서의 기계적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힌지장치(204)의 기계적 강도를 확보하면서도 본체측 부재(205), 링크 부재(209) 및 도어측 부재(207)을 얇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13 내지 15로부터 알 수 있듯이 폐쇄 위치(Q1), 중간 위치(Q2)에서도 또한 본체측 부재(205)의 일부, 링크 부재(209)의 일부 및 도어측 부재(207)의 일부가 요동 핀(208)(고정핀(206))의 축 방향에 대해 서로 중첩되어 있다. 그러므로, 개방 위치(Q3)뿐만이 아니라 폐쇄 위치(Q1), 중간 위치(Q2)에서도 상술과 같이 힌지장치(204)의 기계적 강도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구성에 대해 이동 도중에 슬라이드 유닛(R)에서 생길 수 있는 도어측 부재(207)의 록킹을 방지하기 위한 서브 슬라이드 유닛(S)이 한층 더 설치된다.
상기 서브 슬라이드 유닛(S)은 본체측 부재(205) 및 도어측 부재(207) 사이에 개재하여 설치되고 요동 핀(208)에 대하여 슬라이드 유닛(R)보다 지름 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서브 슬라이드 유닛(S)은 도어측 부재(207) 하부 면에 설치된 서브 가이드 핀(S1)과 해당 서브 가이드 핀(S1)이 접 가능하게 구성된 서브 가이드 홈(S2)으로 된다. 서브 가이드 홈(S2)은 본체측 부재(205)의 본체측 플레이트(252)에서의 제2 플레이트 요소(252f)의 상면에 형성된다. 본 실시 형태의 서브 슬라이드 유닛(S)은 도어부(203)가 폐쇄 위치(Q1)에서 중간 위치(Q2)를 통과하여 소정 각도 회전한 상태까지 가이드 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이처럼 구성된 도어부(203)의 개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좌우 양도어부(231, 232)가 닫힌 상태로 좌우 양도어부(231, 232) 후면에 설치된 개스킷(G3) 및 좌우 양도어부(231, 232)의 서로 대향하는 측면으로 설치된 한 쌍의 개스킷(G4)에 의해 냉장고(201)의 냉장실(221)은 밀폐 상태이다. 이 상태로 좌우 양도어부(231, 232)의 적어도 일방을 열었을 경우에는 슬라이드 유닛(R)에 의해 도어측 부재(207) 및 링크 부재(209)가 고정핀(206)을 주 회전축으로서 중간 위치(Q2)까지 회전한다(도 13, 도 14). 즉, 중간 위치(Q2)까지는 냉장고 본체(202)에 가까운 고정핀(206)을 회전축으로서 회전하여 도어부(203) 측면에 설치된 개스킷(G4)의 개구부(221a)측 단부가 타방의 도어부 측에 부풀어 올라 회전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좌우 양도어부(231, 232) 측면에 설치된 개스킷(G4)이 서로 간섭 없이 완전하게 이격된 상태가 된다.
그 후 도어부(203)를 한층 더 열면 즉, 중간 위치(Q2)를 초과해 도어부(203)를 회전시키면 슬라이드 유닛(R)에 의해 링크 부재(209)가 고정핀(206)을 회전축으로서 회전하면서 도어측 부재(207)가 요동 핀(208)을 주 회전축으로서 회전한다(도 15 내지 도 16). 이것에 의해 도어측 부재(207)의 주 회전축이 개구부(221a)에 가까운 고정핀(206)으로부터 개구부(221a)에서 먼 요동 핀(208)으로 이행하기 위해서 도어부(203)를 닫힌 상태에서 90도 이상 회전시켰을 경우에서도 도어부(203)의 지지측 단부와 냉장고 본체(202)의 각부가 간섭 없이 소정의 각도(예를 들면 135도)까지 열 수 있다.
이상에서 상기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본체측 부재(205)에 대해 링크 부재(209)를 고정핀(206)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 함과 동시에 상기 링크 부재(209)에 대해 도어측 부재(207)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따라서 도어측 부재(207)의 회전 중심은 본체측 부재(205)에 대한 링크 부재(209)의 상대 회동 각도와 링크 부재(209)에 대한 도어측 부재(207)의 상대 회동 각도로 정해지는 궤도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되고 이것으로 고정핀(206)의 중심과 요동 핀(208)의 중심 사이에서 회전 중심이 바뀌는 타이밍이나 각 중심이 도어부(203)의 개폐 동작에 따라 이동하는 궤도가 안내된다. 또한 해당 타이밍이나 궤도를 안내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 유닛(R)에 의해 본체측 부재(205)에 대해 도어측 부재(207)를 상대 회동 가능하고 또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기로 한다. 본 구성에 의하면 슬라이드 유닛(R)은 도어부(203)의 개폐 동작에 따르는 본체측 부재(205)에 대한 링크 부재(209)의 상대 회동과 링크 부재(209)에 대한 도어측 부재(207)의 상대 회동을 각각 안내하기 때문에 냉장고 본체(202)에 대한 도어부(203)의 개폐 동작을 즉, 도어부(203)의 회전 중심이 이동하는 궤도를 도어부(203)의 상대 회동 각도에 구애받지 않고 덜컹거림 없이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가이드 핀(253)과 가이드 홀(207b)은 상시 접접하고 있어서 슬라이드 유닛(R)은 도어부(203)가 폐쇄 위치(Q1)에 있을 때, 중간 위치(Q2)에 있을 때, 개방 위치(Q3)에 있을 때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상시 작용하게 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도어부(203)의 덜컹거림을 방지하는데 있어서 유리하다.
또, 도어측 부재(207), 더 나아가서 도어부(203)는 요동 핀(208)과 가이드 핀(253)과 고정핀(206)에 의해 지지를 받게 되기 때문에 도어부(203)의 위치 결정 및 개폐 동작을, 덜컹거림 없이 안정시킬 수 있다.
또, 도어부(203)를 개폐 동작 시킬 때 가해지는 부하를 고정핀(206)과 요동 핀(208)으로 분산시킬 수 있어서 한 축의 회전축을 가지는 힌지장치와 비교하여 기계적 강도를 향상할 수 있다.
이처럼 구성함으로써 도어부(203)가 개폐할 때의 움직임을 비교적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후술과 같이 좌우 도어부(231, 232)의 서로 대향하는 측면에 설치된 개스킷(G4)끼리의 간섭을 방지하거나 도어부(203) 지지측 단부와 냉장고 본체(202) 각부 사이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궤도로 조정하는데 있어서 무엇보다 유리하다.
이처럼 구성한 힌지장치(204)를 적용한 냉장고(201)에서는 좌우 양도어부(231, 232) 각각이 폐쇄 위치(Q1) 및 소정의 중간 위치(Q2) 사이에 있어서 냉장고 본체(202) 측에 배치된 고정핀(206)을 회전축으로서 회전함으로써 폐쇄 위치(Q1) 및 소정의 중간 위치(Q2) 사이에 개스킷(G4)의 일부가 타측 도어부 측에 가까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좌우 양도어부(231, 232)의 서로 대향하는 측면 간에 설치된 한 쌍의 개스킷(G4)끼리의 접촉 등에 의해 생기는 개폐의 지장을 막을 수 있다.
또, 도어부(203)가 중간 위치(Q2) 및 개방 위치(Q3) 간에 있어서 냉장고 본체(202)에 대해 고정핀(206)보다 바깥 측에 배치된 요동 핀(208)을 회전축으로서 회전함으로써 도어부(203)를 냉장고 본체(202)로부터 이격시켜 회전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도어부(203)의 지지측 단부와 냉장고 본체(202)의 각부가 간섭하는 것을 막을 수 있어 냉장고(201)의 개구부를 충분히 열 수 있다.
이처럼, 슬라이드 유닛(R)에 의한 안내와 링크 부재(209)의 회동이 협동함으로써 도어부(203) 개폐 동작에 의해 냉장고 본체(202) 측에 배치된 고정핀(206) 주위의 회전축과 냉장고 본체(202)에 대해 고정핀(206)보다 바깥 측에 배치된 요동 핀(208) 주위의 회전축과의 사이에서 전환되면서 회동하게 되기 때문에 좌우 양도어부(231, 232)의 서로 대향하는 측면 간에 설치된 한 쌍의 개스킷(G4)끼리의 간섭을 막으면서도 도어부(203) 지지측 단부와 냉장고 본체(202) 각부와의 간섭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가이드 핀(253)은 도어부(203)가 개방 위치(Q3)에 이르렀을 때 및 폐쇄 위치(Q1)에 이르렀을 때 각각, 가이드 홀(207b)에서의 긴 방향 양단부에 접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상기 양단부를 도어부(203)의 회전 정지로서 이용함으로써 도어부(203) 개방 위치(Q3) 및 폐쇄 위치(Q1)에의 위치 결정 성능이 향상됨과 동시에 힌지장치(204)를 콤팩트 하게 구성하면서도 그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키는데 있어서 유리하다.
또, 가이드 핀(253)의 선단에 발지부(253a)를 마련했기 때문에 가이드 홀(207b)로부터의 가이드 핀(253) 이탈이 방지된다. 예를 들면, 도어부(203)를 강한 힘으로 회동시켰을 때에 가이드 핀(253)과 가이드 홀(207b)의 일단부가 접한 충격으로 도어부(203)가 상 방향으로 부상함으로써 가이드 핀(253)이 가이드 홀(207b)로부터 이탈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제 2실시예의 변형예에 대해 서술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슬라이드 유닛(R)이 가이드 핀(253)과 가이드 홀(207b)로 구성된 것이지만 가이드 홀(207b)이 도어측 부재(207) 하부 면에 형성된 가이드 홈(슬라이드 홈)일 수도 있다. 또, 가이드 핀(253)을 도어측 부재(207)에 설치하고 가이드 홀(207b) 또는 가이드 홈(슬라이드 홈)을 본체측 부재(205)에 설치한 구성일 수도 있다.
또, 상기 실시 형태의 본체측 부재(205) 본체측 플레이트(252)는 수용 공간(252s)을 가지는 것이나 수용 공간(252s)이 없이 본체측 플레이트(252)의 상면을 링크 부재(209)가 슬라이드 회전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의 냉각 저장고는 냉장실 및 냉동실을 가지지만 냉장실만을 가질 수 있고 냉동실만을 가지는 냉동고일 수도 있다.
<제3의 실시예>
이하에서 설명하는 제3의 실시예는 도 17~도 25에 도시 되어있다. 이하는 제3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301)의 주요 구성에 대해 설명하지만 주지의 내용을 채택한 부분 및 제1 및 제2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냉장고(301)는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어도 상부에 냉장실(321)을 가지는 냉장고 본체(302)와 냉장실(321) 전면에 설치된 전면 개구부(이하 간단히 개구부로 기재함)(321a)를 폐쇄하는 도어부(303)와 냉장고 본체(302) 및 도어부(303) 사이에 개재하여 설치되는 힌지장치(304)를 구비한다.
상기 도어부(303)는 개구부(321a)를 좌우 양측에서 폐쇄하는 왼쪽 도어부(331) 및 오른쪽 도어부(332)로 이루어진 좌우 개폐식의 것이다. 그리고 좌우 양도어부(331, 332)의 냉장고 본체(302)측 면인 후면에는 도어부(303)가 개구부(321a)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M1)에서 냉장고 본체(302) 전면 개구 테두리와 밀착하는 개스킷(G5)이 설치된다. 또, 좌우 양도어부(331, 332)의 서로 대향하는 측면에는 서로 밀착하는 한 쌍의 개스킷(G6)이 설치된다.
또, 힌지장치(304)는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왼쪽 도어부(331)의 상하 좌단부와 냉장고 본체(302) 사이 및 오른쪽 도어부(332)의 상하 우단부와 냉장고 본체(302) 사이에 개재하여 설치되고 도어부(303)를 폐쇄 위치(M1) 및 상기 개구부(321a)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M3) 사이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한다(여기서 "회전"이란 한 방향에의 원운동뿐만이 아니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 양방향에의 원운동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이러한 양방향에의 원운동을 이하 "회동"으로 기재함). 또한 개방 위치(M3)란 각 도어부(331, 332)가 상기 폐쇄 위치(M1)로부터 예를 들면 135도 회전한 위치이다. 구체적으로 힌지장치(304)는 좌우 양도어부(331, 332) 하부 면과 해당 하부 면에 대향하는 냉장고 본체(302) 상면과의 사이 및 좌우 양도어부(331, 332)의 상면과 해당 상면에 대향하는 냉장고 본체(302)의 하부 면과의 사이에 개재하여 설치된다.
각 도어부(331, 332) 상하 단부에 설치된 힌지장치(304)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동일 구성의 것이다. 구체적으로 힌지장치(304)는 도 18 내지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냉장고 본체(302)에 장착되는 본체측 부재(305)와 본체측 부재(305)에 고정핀(306)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중간 부재로서의 링크 부재(309)와 링크 부재(309)에 요동 핀(308)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도어부(303)에 장착되는 도어측 부재(307)와 본체측 부재(305) 및 도어측 부재(307) 사이에 개재하여 설치되고 본체측 부재(305)에 대한 도어측 부재(307)의 궤도(동작)를 가이드 하는 슬라이드 유닛(N)을 구비한다.
이하, 각부(305 내지 309) 및 슬라이드 유닛(N)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체측 부재(305)는 냉장고 본체(302)에 예를 들면 나사 등에 의해 고정되고 예를 들면 아연 합금(ZDC2)으로 형성되는 본체측 플레이트(352)를 가지고 있다. 상기 본체측 플레이트(352)에는 링크 부재(309)를 회동 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352s)이 설치된다. 상기 수용 공간(352s)은 도 1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측 플레이트(352) 하부 면에 개구하는 바닥 있는 얇은 박스 형상의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 공간(352s)에서의 냉장고 본체(302)에서 볼 때 전후방향 전방(이하의 설명에서의 전후 방향이란 냉장고(301) 및 냉장고 본체(302)의 전후 방향에 상당하는 방향이며 전방이란 예를 들면 도 18에서의 냉장고 본체측 방향의 역방을 의미하는 것으로 함) 또한 폭 방향 안쪽(이하 설명에서의 폭 방향이란 냉장고(301) 및 냉장고 본체(302)의 폭 방향, 즉 도 17에서의 지면 좌우 방향 및 도 21에서의 지면 상하 방향에 상당하는 방향이며 안쪽 및 바깥 쪽이란 각각 도 21의 지면 하부 및 지면 상 측에 상당하는 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함)의 각부 주변에는 고정핀(306)을 부착하기 위한 관통공(미도시)이 설치된다. 상기 관통 공은 본체측 플레이트(352)를 상하에 관통하고 상기 관통 공에 삽입되는 고정핀(306)에 의해 링크 부재(309)가 본체측 부재(305)에 대해 고정핀(306) 주위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를 받는다.
고정핀(306)은 도 18 내지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냉장고 본체(302)에서 볼 때 본체측 플레이트(352)에서의 전측이고 또한 폭 방향 대략 중앙부 주변의 영역에 설치된다.
링크 부재(309)는 도 18 내지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볼 때 대략 부채꼴 형태를 가지는 평판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그 중심 각부 근방에서 고정핀(306)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를 받는다. 상기 링크 부재(309)는 수용 공간(352s) 내벽부에 의해 제한되는 범위 내를 회동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링크 부재(309)는 도어부(303)의 폐쇄 위치(M1)에서는 수용 공간(352s)의 전후 방향에 따라 넓어지는 내벽부 중 폭 방향의 안쪽에 위치하는 일방의 벽부(미도시)와 접한 상태로 되며 타방으로 폐쇄 위치(M1)보다 도어부(303)가 소정 각도 회전한 중간 위치(M2)에서는 후술과 같이 고정핀(306)을 중심으로 도 21의 지면의 시계회전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수용 공간(352s)의 폭 방향에 따라 넓어지는 내벽부 중 전후의 전 측에 위치하는 일방의 벽부(미도시)와 접한 상태에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의 링크 부재(309)는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링크 부재(209)와는 달리 도어부(303) 개폐에 구애받지 않고 수용 공간(352s)내에 수용된 상태가 상시 유지된다.
또,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측 부재(305)에는 냉장고 본체(302)의 폭 방향에서 보아 고정핀(306)보다 바깥 쪽의 영역에 요동 가이드 홀(352v)이 형성된다. 상기 요동 가이드 홀(352v)은 고정핀(306)을 중심으로 한 링크 부재(309)의 회동을 허용하는 긴 홀로서 대체로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원호상의 외형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요동 가이드 홀(352v)은 본체측 부재(305)의 상면으로부터 수용 공간(352s)까지 관통하고 있고 상기 요동 가이드 홀(352v)에는 도어측 부재(307)에 고정되어 상기 도어측 부재(307) 하단부보다 하부로 향해 돌출하도록 구성된 요동 핀(308)이 삽입된다. 상기 요동 핀(308)은 본체측 부재(305)로부터 수용 공간(352s)의 내부까지 연장되어 있고 링크 부재(309)의 요동 단부에서 상기 링크 부재(309)에 대하여 상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즉, 요동 핀(308)을 개입시켜 도어측 부재(307)와 링크 부재(309)가 요동 가이드 홀(352v)에 따라 상대 이동 가능하고 또한 요동 핀(308) 주위에서 상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요동 가이드 홀(352v)이 형성되는 영역으로도 알 수 있듯이 요동 핀(308)은 도어측 부재(307)의 동작에 따라 요동 핀(308) 이동을 고려하더라도 냉장고 본체(302)의 폭 방향에서 보아 고정핀(306)보다 바깥 쪽에 배설된다.
또, 요동 가이드 홀(352v) 길이는 링크 부재(309)의 회동 범위와 대응하고 있으며 폐쇄 위치(M1)에서는 요동 핀(308)과 요동 가이드 홀(352v)의 도 20에서의 지면 구석 측의 단부(냉장고 본체(302)에서 보아 후측 일단부)(P4)가 접한 상태가 되고 타방으로 링크 부재(309) 및 요동 핀(308)이 도 21의 지면 시계회전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동한 중간 위치(M2)에서는 요동 핀(308)과 요동 가이드 홀(352v)의 도 20에서의 지면 앞측의 단부(냉장고 본체(302)에서 보아 앞측 일단부)(P3)가 접한 상태가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요동 핀(208)과는 달리 요동 핀(308)의 이동 범위는 요동 가이드 홀(352v) 길이에 따라 규제되게 되고 중간 위치(M2)에서 개방 위치(M3)에 이르기까지 요동 가이드 홀(352v)의 앞측 일단부(P3)에 접한 상태가 유지된다.
도어측 부재(307)는 도 20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판 형태를 이루는 예를 들면 스텐레스강철(SUS) 또는 침탄열처리된 예를 들면 냉간압연 강판(SPCC) 제의 것이며 도어부(303) 하단부에 장착되는 지지 플레이트(371)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371) 하부 면에 장착되어 본체측 부재(305) 상면 위에 재치 되는 안내 플레이트(372)를 구비한다. 안내 플레이트(372)에는 요동 핀(308)을 부착하기 위한 장치구멍이 설치되고 상술과 같이 상기 요동 핀(308)을 통하여 링크 부재(309)와 도어측 부재(307)을 연결시킴으로써 도어측 부재(307)는 본체측 부재(305) 하부면 측에 장착된 링크 부재(309)에 대해 상대 회동 가능하게 또한 본체측 부재(305)에 설치된 요동 가이드 홀(352v)에 따라서 링크 부재(309)와 일체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측 부재(307)의 안내 플레이트(372)에는 또한 전후에 따라서 대략 "<"형상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홀(슬라이드 홀)(307b)이 설치되고 본체측 부재(305)의 상면에 장착된 가이드 핀(슬라이드 핀)(353)을 접 가능하게 삽입시킴으로써 가이드 홀(307b)과 가이드 핀(353)으로 이루어진 슬라이드 유닛(N)을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본체측 부재(305)에 설치된 슬라이드 부로서의 가이드 핀(353)과 도어측 부재(307)에 장착된 피 슬라이드 부로서의 가이드 홀(307b)이 서로 접함으로써 도어측 부재(307)는 링크 부재(309)뿐만이 아니라 본체측 부재(305)에 대해서도 연결된다. 도어측 부재(307)는 본체측 부재(305)에 대해 가이드 홀(307b)이 연장되는 방향에 따라 상대 이동 가능하게 또한 가이드 홀(307b) 주위에서 상대 회동 가능하게 지지를 받게 된다.
상기 슬라이드 유닛(N)은 도 21 내지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폐쇄 위치(M1) 및 도어부(303)가 폐쇄 위치(M1)로부터 소정 각도 회전한 중간 위치(M2)의 범위 내에서는 도어부(303)의 개방 동작과 연동하여 고정핀(306)을 회전축으로서 링크 부재(309)가 본체측 부재(305)에 대해 도어부(303) 회전 방향과는 역회전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안내한다. 상기 회동에 의해 링크 부재(309)에 부착된 요동 핀(308)을 요동 가이드 홀(352v) 뒤측의 단부(P4)로부터 앞측의 단부(P3)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이동하는 요동 핀(308) 주위에 도어측 부재(307)가 회동하도록 안내한다. 또한 중간 위치(M2)에서 개방 위치(M3)까지의 범위 내에서는 앞측의 단부(P3)까지 이동한 요동 핀(308)을 회전축으로서 도어측 부재(307)가 회동하도록 안내한다.
여기서, 중간 위치(M2)는 좌우 양도어부(331, 332)의 서로 대향하는 측면으로 설치된 한 쌍의 개스킷(G6)이 서로 이간하는 위치이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어부(303)가 폐쇄 위치(M1)(회전 각도 0도)에서 예를 들면 15도 회전한 위치(회전 각도 15도)이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핀(353)은 본체측 플레이트(352) 상면에서의 전측에 장착되어 있고 도 20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핀(306) 설치 위치보다 약간 우측 그리고 요동 가이드 홀(352v) 전단부(P3)보다 약간 좌측으로 고정된다. 가이드 핀(353)은 본체측 플레이트(352)에서 상방으로 돌출하듯이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본체측 플레이트(352) 위에 재치 된 상태로 장착되는 도어측 부재(307)에는 가이드 핀(353)이 접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가이드 홀(307b)이 형성된다(도 20 참조).
그리고 슬라이드 유닛(N)은 도어부(303)가 고정핀(306) 및 요동 핀(308) 주위에서 회동 자유롭게 구성되어 있다고 하더라도(2축 구성이라 해도), 도어의 개폐 이동에 의해 고정핀(306) 주위의 링크 부재(309) 회동 각도와 요동 핀(308) 주위의 도어측 부재(307) 회동 각도가 각각 슬라이드 유닛(N) 구성에 의해 소정 규칙에 따라서 변화하도록 안내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도어측 부재(307) 내지 도어부(303)의 개폐 동작이 안정된다.
가이드 홀(307b)은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부(303)가 폐쇄 위치(M1)에 있을 때는 냉장고 본체(302) 폭 방향 안쪽을 향해 만곡하는 대략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가이드 홀(307b) 형상은 도어부(303)가 폐쇄 위치(M1)에서 중간 위치(M2)로 이동하는 범위에서는 상기 중간 위치(M2)에서 개방 위치(M3)로 이동하는 범위내보다 완만한 커브를 그리듯이 구성된다(도 21~도 22 참조).
또, 가이드 홀(307b) 전후의 양단(N1, N2)은 각각 도 21 및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부(303)가 폐쇄 위치(M1)에 이르렀을 때 및 개방 위치(M3)에 이르렀을 때에 가이드 핀(353)에 접하도록 구성되어 도어부(303) 과도한 개폐 동작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홀(307b)의 형상은 도어부(303)가 폐쇄 위치(M1)에서 중간 위치(M2)로 이동하는 범위 즉, 가이드 홀(307b)에서의 앞측 일단부(N1)에서 대략 중앙부에 걸친 구간에서는 냉장고 본체(302) 폭 방향에서 보아 요동 핀(308)보다 바깥 쪽으로 또는 냉장고 본체(302) 전후 방향에서 보아 요동 핀(308)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회전축(O1)를 중심으로 연장되는 원호상에 형성된다. 한편, 중간 위치(M2)에서 개방 위치(M2)로 이동하는 범위 즉, 가이드 홀(307b)의 대략 중앙부에서 후측의 타단부(N2)에 걸친 구간에서는 폐쇄 위치(M1)에서 중간 위치(M2)로 이동하는 범위내보다 곡률이 큰 요동 핀(308) 중심(O2)주위에 연장되는 원호상에 형성된다(도 22 내지 도 24 참조). 이처럼 구성함으로써 슬라이드 유닛(N)은 개스킷(G5, G6)를 설치한 저장고에 적용했을 때에 후술하는 것과 같은 무엇보다 유효한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또, 가이드 핀(353)은 그 기단부가 본체측 플레이트(352)의 상면에서 고정되는 한편, 그 선단부에는 가이드 홀(307b)로부터의 가이드 핀(353)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발지부(353a)가 설치된다. 상기 발지부(353a)는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 홀(307b)의 폭보다 큰 직경의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방 위치(M3)에서 본체측 부재(305)의 일부, 링크 부재(309)의 일부 및 도어측 부재(307)의 일부가 요동 핀(308)의 축 방향에서 보아 서로 중첩되어 있다. 이처럼 개방 위치(M3)에서 본체측 부재(305), 링크 부재(309) 및 도어측 부재(307)가 서로 중첩된 부분을 가지므로 힌지장치(304)의 개방 위치(M3)에서의 기계적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그 결과로 힌지장치(304)의 기계적 강도를 확보하면서도 본체측 부재(305), 링크 부재(309) 및 도어측 부재(307)을 얇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21 내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 위치(M1), 중간 위치(M2)에서도 역시 본체측 부재(305)의 일부, 링크 부재(309)의 일부 및 도어측 부재(307)의 일부가 요동 핀(308)(고정핀(306))의 축 방향에서 보아 서로 중첩되어 있다. 그러므로 개방 위치(M3)뿐만이 아니라 폐쇄 위치(M1), 중간 위치(M2)에서도 또한 상술과 같은 힌지장치(304)의 기계적 강도를 확보하는 효과가 발휘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구성에 대해 이동 도중에 슬라이드 유닛(N)에 생길 수 있는 도어측 부재(307)의 록킹을 방지하기 위한 서브 슬라이드 유닛(V)이 한층 더 설치된다.
상기 서브 슬라이드 유닛(V)은 본체측 부재(305) 및 도어측 부재(307) 사이에 개재하여 설치되고 요동 핀(308)에서 볼 때 슬라이드 유닛(N)보다 지름 방향 바깥 측(폭 방향 안쪽)에 배설된다. 구체적으로 서브 슬라이드 유닛(V)은 본체측 부재(305)의 본체측 플레이트(352) 상면에 돌설된 서브 가이드 핀(V1)과 해당 서브 가이드 핀(V1)이 접 가능하게 구성된 서브 가이드 홈(V2)으로 구성된다. 이것에 대응하는 서브 가이드 홈(V2)은 도어측 부재(307)의 안내 플레이트(372) 하부 면에 형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의 서브 슬라이드 유닛(V)은 제2 실시 형태에서의 서브 슬라이드 유닛(S)과는 달리 도어부(303) 폐쇄 위치(M1)로부터 중간 위치(M2)까지의 구간에서의 개폐 동작을 가이드 하도록 구성된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한 힌지장치(304)를 적용했을 때의 도어부(303) 개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좌우 양도어부(331, 332)가 닫힌 상태로 좌우 양도어부(331, 332) 후면에 설치된 개스킷(G5) 및 좌우 양도어부(331, 332)의 서로 대향하는 측면으로 설치된 한 쌍의 개스킷(G6)에 의해 냉장고(301)의 냉장실(321)은 밀폐 상태이다. 이 상태로 좌우 양도어부(331, 332)의 적어도 일방을 열었을 경우에는 도어측 부재(307)는 슬라이드 유닛(N)이 작동함으로써 중간 위치(M2)까지는 요동 핀(308)보다는 냉장고 본체(302)의 폭 방향에서 보아 바깥 쪽 또한 냉장고 본체(302)의 전후 방향에서 보아 후방에 위치하는 회전축(O1)을 중심으로 한 원호를 그리듯이 요동 가이드 홀(352v)의 일단부(P3)를 향해 이동하면서 요동 핀(308) 주위로 회전한다(도 21 내지 도 22). 이 때, 링크 부재(309)는 고정핀(306)을 회전축으로서 도어측 부재(307)의 회전 방향과 역회전으로 회전함으로써 요동 핀(308), 나아가서는 도어측 부재(307) 요동 가이드 홀(352v)의 긴 방향에 따라 덜컹거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요동 핀(308) 이동 및 나아가서는 도어측 부재(307)의 개방 동작이 부드럽게 되도록 안내한다. 즉, 중간 위치(M2)까지는 도어부(303)는 고정핀(306) 및 요동 핀(308)보다도 냉장고 본체(302) 측에 근접한 회전축(O1)를 중심으로 한 원호를 그리듯이 이동함으로써 요동 핀(308) 중심(O2)주위의 원호에 따라 회전할 때와 비교하여 도어부(303) 측면에 설치한 개스킷(G6) 개구부(321a)측의 단부가 타방의 도어 측으로 부풀어 올라 회전할 수 없게 된다(도 25의 화살표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부(303)를 폐쇄 위치(M1)에서 열었을 때 폭 방향 바깥 쪽을 향해 만곡하는 궤도를 그린다). 따라서, 좌우 양 도어(331, 332)의 서로 대향하는 측면(호선)으로 설치한 개스킷(G6)이 서로 간섭 없이 이동한다.
또한, 도어측 부재(307) 전체가 회전축(O1)를 중심으로 한 원호를 따라서 이동하도록 안내됨으로써 도어부(303) 후면은 냉장고 본체(302) 전면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하게 된다. 도 21 및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O1)은 요동 핀(308)보다도 냉장고 본체(302) 폭 방향에서 보아 바깥 쪽에 위치하고 있어서 요동 핀(308) 중심(O2)주위의 원호를 따라서 회전할 때와 비교하면 도어부(303) 전체가 회전축(O1) 주위의 원호를 그리듯이 이동함으로써 도어부(303) 후면은 냉장고 본체(302)의 전면 개구 테두리로부터 대략 전방을 향해 비교적 크게 밀어 내듯이 슬라이드 하게 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도어부(303) 후면에 설치한 개스킷(G5)은 냉장고 본체(302) 전면 개구 테두리로부터 이동하게 된다.
그런 다음 한층 더 도어부(303)를 열면 즉 중간 위치(M2)까지 도달하면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요동 핀(308)이 요동 가이드 홀(352v) 앞측의 단부(P3)에 접함과 동시에 링크 부재(309)도 수용 공간(352s) 내벽부(미도시)에 접한다. 중간 위치(M2)로부터 폐쇄 위치(M3)까지의 영역에서는 가이드 홀(307b)은 요동 핀(308) 중심(O2) 주위에서 원호상의 커브를 그리듯이 연장되고 있어서 이 영역에서 도어측 부재(307)는 상기 중심(O2)을 회전축으로서 회전한다(도 22 및 도 23 참조). 이 때, 요동 핀(308)은 요동 가이드 홀(352v) 앞측의 단부(P3)에 접한 상태로 유지되고 이것으로 도어부(303)도 또 냉장고 본체(302) 전면으로부터 대략 전방을 향해 슬라이드 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도어부(303)를 폐쇄 위치에서 90도 이상 회전시켰을 경우에 있어서도 도어부(303)의 지지측 단부와 냉장고 본체(302)의 각부가 간섭 없이 소정 각도(예를 들면 135도)까지 열 수 있다.
그리고 도어부(303)가 개방 위치(M3)까지 열리면 가이드 홀(307b) 단부(N2)와 가이드 핀(353)이 접함으로써 그 이상의 개방 동작은 규제된다(도 24).
이상에서 본 제3의 실시 형태에서는 본체측 부재(305)에 대하여 링크 부재(309)를 고정핀(306)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링크 부재(309)에 대해 도어측 부재(307)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기로 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도어측 부재(307)의 회전 중심은 본체측 부재(305)에 대한 링크 부재(309)의 상대 회동과 링크 부재(309)에 대한 도어측 부재(307)의 상대 회동으로 정해지는 궤도를 따라 이동하게 되고 이것으로 요동 핀(308)보다도 냉장고 본체(302)의 폭 방향에서 보아 바깥 쪽으로 또한 냉장고 본체(302)의 전후 방향에서 보아 후방에 위치하는 회전축(O1)와 요동 핀(308)의 중심(O2) 사이에 회전 중심이 전환되는 타이밍이나, 요동 핀(308) 중심(O2)이 도어부(303)의 개폐 동작에 따라 이동하는 궤도가 안내 되거나 한다. 또한 해당 타이밍이나 궤도를 안내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 유닛(N)에 의해 본체측 부재(305)에 대하여 도어측 부재(307)을 상대 회동 가능하게 또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 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구성에 의하면 슬라이드 유닛(N)은 도어부(303)의 개폐 동작에 따른 본체측 부재(305)에 대한 링크 부재(309)의 상대 회동 각도와 링크 부재(309)에 대한 도어측 부재(307)의 상대 회동 각도가 각각 소정의 추이를 더듬듯이 안내하기 때문에 냉장고 본체(302)에 대한 도어부(303) 개폐 동작을 즉, 도어부(303)의 회전 중심이 이동하는 궤도를 도어부(303)의 상대 회동 각도에 구애받지 않고 덜컹거림 없이 안정시킬 수 있다.
또, 도어측 부재(307), 나아가서 도어부(303)는 요동 핀(308)과 가이드 핀(353)과 고정핀(306)에 의해 지지를 받기 때문에 도어부(303)의 위치 결정 및 개폐 동작을, 덜컹거림 없이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가이드 핀(353)와 가이드 홀(307b)는 상시 접하고 있어서 슬라이드 유닛(N)은 도어부(303)가 폐쇄 위치(M1)에 있을 때, 중간 위치(M2)에 있을 때, 개방 위치(M3)에 있을 때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상시 작용하게 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도어부(303)의 덜컹거림을 방지하고 개폐 동작을 안정시키는 데 있어서 유리하다.
또, 도어부(303)를 개폐 동작 시킬 때 가해지는 부하를 고정핀(306)과 요동 핀(308)으로 분산시킬 수 있어서 한 축의 회전축을 구비하는 힌지장치와 비교하여 기계적 강도를 향상할 수 있다.
이처럼 구성함으로써 도어부(303)가 개폐할 때의 움직임을 비교적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후술과 같이 좌우 도어부(331, 332)의 서로 대향하는 측면에 설치한 개스킷(G5)끼리의 간섭을 방지하거나 도어부(303) 지지측 단부와 냉장고 본체(302) 각부 사이의 간섭을 방지하는 것과 같은 궤도로 조정하는데 있어서 무엇보다 유리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한 힌지장치(304)를 적용한 냉장고(301)에 있어서 좌우 양도어부(331, 332) 각각이 폐쇄 위치(M1) 및 소정의 중간 위치(M2)의 사이에 있어서 도어측 부재(307)는 냉장고 본체(302) 전후 방향에서 보아 요동 핀(308)보다도 냉장고 본체(302)에 대해 근접한 회전축(O1)를 중심으로 한 호선을 그리듯이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회전한다. 이처럼 동작함으로써 폐쇄 위치(M1)로부터 소정의 중간 위치(M2)까지 사이에 개스킷(G6) 일부가 타방의 도어 측에 가까워지는 움직임을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좌우 양도어부(331, 332)의 서로 대향하는 측면 사이에 설치된 한 쌍의 개스킷(G6)끼리가 접촉하는 등에 의해 생기는 개폐 지장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도어측 부재(307) 전체는 냉장고 본체(302)의 폭 방향에서 보아 요동 핀(308)보다도 바깥 쪽에 위치하는 회전축(O1)를 중심으로 한 원호에 따라서 대략 전방을 향하도록 슬라이드 하게 되기 때문에 도어부(303) 후면에 설치한 개스킷(G5)은 냉장고 본체(302)의 전면 개구 테두리로부터 이간하듯이 이동하게 된다. 이처럼 이동함으로써 도어부(303)가 폐쇄 위치(M1)로부터 개방될 때 상기 개스킷(G5)이 도어부(303)의 회전에 의해 냉장고 본체(302)의 전면 개구 테두리에 간섭하여 감기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또, 도어부(303)가 중간 위치(M2) 및 개방 위치(M3) 사이에 있고 앞측의 단부(P3)까지 이동시킨 요동 핀(308)의 중심(O2)를 회전축으로서 회전함으로써 도어부(303)를 냉장고 본체(302)로부터 이격시켜 회전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도어부(303) 지지측 단부와 냉장고 본체(302) 각부가 간섭하는 것을 막을 수 있어 냉장고(301)의 개구부를 충분히 열 수 있다.
이처럼 슬라이드 유닛(N)에 의한 안내와 링크 부재(309)의 회동이 협동함으로써 도어부(303) 개폐 동작에 의해 요동 핀(308)보다도 냉장고 본체(302)의 폭 방향에서 보아 바깥 쪽으로 또한 냉장고 본체(302) 전후 방향에서 보아 후방에 위치하는 회전축(O1)과 요동 핀(308)의 중심(O2)와의 사이에서 전환하면서 회동하게 되므로 좌우 양도어부(331, 332)의 서로 대향하는 측면 사이에 설치된 한 쌍의 개스킷(G6)끼리의 간섭을 막으면서도 도어부(303)의 지지측 단부와 냉장고 본체(302)의 각부와의 간섭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또한 도어부(303)의 후면을 냉장고 본체(302)의 전면으로부터 이격 시킴으로써 상기 후면에 설치한 개스킷(G5)이 냉장고 본체(302)의 전면에 간섭하여 감기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가이드 핀(353)은 도어부(303)가 폐쇄 위치(M1)에 이르렀을 때 및 개방 위치(M3)에 이르렀을 때에는 각각, 가이드 홀(307b)의 양단부(N1, N2)에 접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각 단부(N1, N2)를 도어부(303)의 회전 정지로서 이용함으로써 도어부(303)의 폐쇄 위치(M1) 및 개방 위치(M3)에의 위치 결정 성능이 향상됨과 동시에, 힌지장치(304)를 콤팩트 하게 구성하면서도 그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키는데 있어서 유리하다.
또, 가이드 핀(353)의 선단에 발지부(353a)를 설치했기 때문에 가이드 홀(307b)로부터의 가이드 핀(353)의 이탈이 방지된다. 예를 들면, 도어부(303)를 강한 힘으로 회동시켰을 때에 가이드 핀(353)에 가이드 홀(307b)의 단부(N2)가 접한 충격으로 도어부(303)가 상 방향으로 부상함으로써 가이드 핀(353)이 가이드 홀(307b)로부터 이탈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링크 부재(309)는 도어부(303)의 개폐 동작하는 방향에 대하여 역회전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요동 핀(308)을 전방으로 비교적 크게 이동시키면서 또, 링크 부재(309)의 도어부(303) 회전 방향에 따른 이동량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본체측 부재(305)에서의 링크 부재(309) 노출을 방지할 수도 있게 되고 힌지장치(304)의 디자인 성을 향상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제3 실시예의 변형예에 대해 서술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도어부(303)가 폐쇄 위치(M1)에서 개방될 때 그 도어부(303)를 전방을 향해 비교적 크게 슬라이드 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어부(303) 후면의 개스킷(G5)을 고정핀(306)이나 요동 핀(308)보다도 냉장고 본체(302)의 폭 방향에서 보아 바깥 쪽에 배설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도어부(303) 후면에 제1 실시 형태에서 말한 것 같은 폐쇄 위치에서 냉장고 본체(302)의 전면 개구 테두리에 접 또는 근접하는 대향면을 설치할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냉장고 단열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슬라이드 유닛(N)이 가이드 핀(353)과 가이드 홀(307b)로 구성되지만 가이드 홀(307b)이 도어측 부재(307)의 안내 플레이트(372) 하부 면에 형성된 가이드 홈(슬라이드 홈)일 수도 있다. 또, 가이드 핀(353)을 도어측 부재(307)에 설치하고 가이드 홀(307b) 또는 가이드 홈(슬라이드 홈)을 본체측 부재(305)에 설치한 구성일 수도 있다.
또, 상기 실시 형태의 본체측 부재(305)의 본체측 플레이트(352)는 수용 공간(352s)를 가지도록 형성된 것이지만, 수용 공간(352s)를 설치하지 않고 본체측 플레이트(352)의 하부면을 따라서 링크 부재(309)가 회동하도록 구성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의 냉각 저장고는 냉장실 및 냉동실을 구비하는 것이지만 냉장실만을 구비할 수도 있고 냉동실만을 구비하는 냉동고일 수도 있다.
1 : 본체
1a : 흡입구
1b : 토출구
1c : 벨 마우스부
1d : 전장부
2 : 압축기
101, 201, 301: 냉장고(냉각 저장고)
102, 202, 303: 냉장고 본체
121, 221, 321: 제1 저장실(저장실)
121a, 221a, 321a: 제1 개구부(개구부)
103, 203, 303: 도어부
103d: 대향면
104, 204, 304: 힌지장치
105: 축 부재(본체측 부재)
205, 305: 본체측 부재
352v: 요동 가이드 홀
153: 힌지 핀(슬라이드 핀, 슬라이드 부)
253,353: 가이드 핀(슬라이드 핀, 슬라이드 부)
253a, 353a: 발지부
206,306: 고정핀
107: 베어링 부재(도어측 부재)
107b: 긴 홀(피 슬라이드 부)
107d: 캠 팔로어
107e: 제1 팔로어부
107f: 제2 팔로어부
107g: 스토퍼 부
207, 307: 도어측 부재
207b, 307b: 가이드 홈 또는 가이드 홀(슬라이드 홈 또는 슬라이드 홀, 피 슬라이드 부)
208, 308: 요동 핀
109: 캠(중간 부재)
191: 제1 캠부
191a: 제1 위치 결정면
191b: 제1 캠 면
191c: 제1 안내면
191d: 제1회전 정지면
192: 제2 캠부
192a: 제2 위치 결정면
192b: 제2 캠 면
192c: 제2 안내면
192d: 제2 회전 정지면
209, 309: 링크 부재(중간 부재)
C: 캠 유닛
G1, G3, G5: 개스킷(도어부 후면에 마련된 개스킷)
G4, G6: 개스킷(좌우 양도어의 서로 대향하는 측면에 마련된 개스킷)
R, N: 슬라이드 유닛
S, V: 서브 슬라이드 유닛
Q1, M1: 폐쇄 위치
Q2, M2: 중간 위치
Q3, M3: 폐쇄 위치

Claims (18)

  1. 개구부를 포함하는 저장실이 마련되는 냉장고 본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부;
    상기 개구부와 상기 도어부 사이에 마련되는 힌지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장치는,
    상기 냉장고 본체에 장착되는 본체측 부재;
    상기 도어부에 장착되고, 긴홀과 캠 팔로어를 구비하는 도어측 부재; 및,
    상기 본체측 부재 또는 도어측 부재에 설치되고, 슬라이드 핀과 캠이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드 핀은 상기 도어측 부재의 상기 긴홀에 삽입되고, 상기 본체측 부재의 슬라이드 핀 고정부에 삽입 가능하고, 상기 캠이 상기 도어측 부재의 상기 캠 팔로어에 접촉하는 중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부의 개폐 동작 시, 상기 중간 부재의 상기 캠과 상기 도어측 부재의 상기 캠 팔로어 사이의 접촉과 연동하여 상기 중간 부재의 상기 슬라이드 핀과 상기 도어측 부재의 상기 긴홀의 슬라이딩 접촉을 야기하고,
    상기 냉장고 본체에 대한 회전 중심이 상기 냉장고 본체에 대하여 소정 궤도를 따라 이동하고,
    상기 캠은 제1캠부 및 제2캠부를 구비하고, 상기 캠 팔로어는 상기 제1및 제2캠부와 각각 접하는 제1팔로어부와 제2팔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팔로어부는 직사각형 박판 형상으로 제공되고,
    상기 제1캠부는 상기 도어부가 폐쇄 위치로 유지되기 위해 상기 제1팔로어부와 접하는 제1위치 결정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팔로어부의 직사각형 박판 형상은 폐쇄 위치에서 상기 제1캠의 상기 제1위치 결정면의 평면에 대해 평행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측 부재와 상기 본체측 부재 사이의 상기 중간 부재를 통한 접촉은,
    상기 도어부가 상기 개구부를 닫는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 개폐 도중 위치에 있는 경우 및 개구부를 개방한 개방 위치에 있는 경우 중 적어도 어느 경우에서도 상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측 부재, 상기 중간 부재 및 상기 도어측 부재는,
    상기 도어부가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 개폐 도중 위치에 있는 경우 및 개방 위치에 있는 경우 중 적어도 어느 경우에서도 상기 도어부의 회전축 방향으로 서로 중첩하는 영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캠 팔로어는,
    상기 도어측 부재 또는 상기 본체측 부재의 일방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부가 폐쇄 위치, 개폐 도중 위치 및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캠에 상시 접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캠과 상기 캠 팔로어는,
    상기 도어부 개폐 동작과 연동하여 상기 슬라이드 핀을 상기 긴 홀의 일단부에서 타단부까지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장치는,
    상기 도어부가 폐쇄 위치, 개방 위치 및 개폐 도중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팔로어부와 상기 제1 캠부가 접하는 부분, 상기 긴 홀의 내주면과 상기 슬라이드 핀의 외주면이 접하는 부분 및 상기 제2 팔로어부와 상기 제2 캠부가 접하는 부분이 상시 유지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캠부는,
    상기 제1 팔로어부와 접하여 상기 슬라이드 핀을 상기 긴 홀의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이동시키는 제1 캠 면;
    상기 긴 홀의 타단부에 있는 상기 슬라이드 핀을 중심으로 한 원호상의 제1 안내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팔로어부는,
    상기 도어부가 상기 폐쇄 위치에서 개방될 때 상기 제1 위치 결정면, 상기 제1 캠 면 및 상기 제1 안내면을 접한 상태로 차례로 이동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2 캠부는,
    상기 제2 팔로어부와 접하여 상기 도어부를 상기 폐쇄 위치로 유지하는 제2 위치 결정면;
    상기 제2 팔로어부와 접하여 상기 슬라이드 핀을 상기 긴 홀의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이동시키는 제2 캠 면;
    상기 긴 홀의 타단부에 있는 상기 슬라이드 핀을 중심으로 한 원호상의 제2 안내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팔로어부는,
    상기 도어부가 상기 폐쇄 위치에서 개방될 때 상기 제1 위치 결정면, 상기 제2 캠 면 및 상기 제2 안내면을 접한 상태로 차례로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측 부재는,
    상기 본체측 부재와 접하여 상기 도어부를 상기 개방 위치로 유지하는 스토퍼 부를 포함하고,
    상기 캠은,
    상기 도어부가 상기 폐쇄 위치에서 개방될 때, 상기 슬라이드 핀을 상기 긴 홀의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스토퍼 부와 상기 본체측 부재가 접한 부분과 상기 슬라이드 핀과의 거리가 폐쇄 위치에서의 거리보다 더 이격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140140625A 2013-10-17 2014-10-17 냉장고 KR1021937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030,295 US9863691B2 (en) 2013-10-17 2014-10-17 Refrigerator
PCT/KR2014/009800 WO2015057020A1 (ko) 2013-10-17 2014-10-17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216501 2013-10-17
JP2013216501 2013-10-17
JP2013258967 2013-12-16
JPJP-P-2013-258967 2013-12-16
JPJP-P-2014-166133 2014-08-18
JP2014166133A JP2015135228A (ja) 2013-10-17 2014-08-18 ヒンジ装置、及び該ヒンジ装置を備えた冷却貯蔵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4822A KR20150044822A (ko) 2015-04-27
KR102193778B1 true KR102193778B1 (ko) 2020-12-23

Family

ID=53037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0625A KR102193778B1 (ko) 2013-10-17 2014-10-17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37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38739B (zh) * 2021-07-12 2023-10-13 江苏玖星精密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自由嵌入式冰箱铰链
CN115839583A (zh) * 2021-09-18 2023-03-24 海信(山东)冰箱有限公司 冰箱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01457A (ja) 2003-03-31 2004-10-28 Toshiba Corp 冷蔵庫、及びこのためのヒンジ機構
JP2009097812A (ja) 2007-10-18 2009-05-07 Mitsubishi Electric Corp ヒンジ装置及びそのヒンジ装置を用いた冷蔵庫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7460B1 (ko) * 2005-05-27 2007-04-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도어 개폐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01457A (ja) 2003-03-31 2004-10-28 Toshiba Corp 冷蔵庫、及びこのためのヒンジ機構
JP2009097812A (ja) 2007-10-18 2009-05-07 Mitsubishi Electric Corp ヒンジ装置及びそのヒンジ装置を用いた冷蔵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4822A (ko) 2015-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26375B1 (en) Refrigerator
US5694789A (en) Cam operated door seal for refrigerator
CN101896785B (zh) 冰箱
KR102193778B1 (ko) 냉장고
US11384580B2 (en) Dual lower rail structure for opposite sliding doors
US20090102223A1 (en) Leg covering structure for folding seat
JP2009030875A (ja) 冷蔵庫
US20170260787A1 (en) Slide door apparatus for vehicle
JP2016084078A (ja) 車両用ドア構造
US9233785B2 (en) Lid opening/closing mechanism and storage device
JP2016011036A (ja) 車両用デフレクタ装置
KR102059573B1 (ko) 냉장고
KR102440678B1 (ko) 차량용 센터콘솔 암레스트
JP5442422B2 (ja) 引き戸の隙間閉塞部材の調整機構
US9796314B2 (en) Track cover for moving axis compartment door
JP4277932B2 (ja) ドア構造
KR20210037913A (ko) 높이 조절 냉장고 선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101475940B1 (ko) 미닫이 도어의 슬라이딩장치
JP2804682B2 (ja) 冷蔵庫の扉装置
JP2007064600A (ja) 冷蔵庫の扉装置
CN112654826B (zh) 门开闭机构以及冰箱
US9409522B2 (en) Moving axis compartment door
TW201910704A (zh) 門開閉機構
JP2003336427A (ja) 扉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冷蔵庫
JP2023119844A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