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91086A - 지속가능한 고밀도 폴리에틸렌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지속가능한 고밀도 폴리에틸렌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91086A KR20240091086A KR1020247017714A KR20247017714A KR20240091086A KR 20240091086 A KR20240091086 A KR 20240091086A KR 1020247017714 A KR1020247017714 A KR 1020247017714A KR 20247017714 A KR20247017714 A KR 20247017714A KR 20240091086 A KR20240091086 A KR 2024009108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lymer
- mol
- density polyethylene
- polymer composition
- ethylene
- Prior art date
Links
- 229920001903 high density polyethylene Polymer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1
- 239000004700 high-density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13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9
- 239000000178 monom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9000007943 impla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84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82
- VGGSQFUCUMXWEO-UHFFFAOYSA-N Ethene Chemical compound C=C VGGSQFUCUMXWEO-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73
- 239000005977 Ethyl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2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2
- -1 polyethylene copoly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9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4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9
- VNWKTOKETHGBQD-UHFFFAOYSA-N methane Chemical compound C VNWKTOKETHGBQD-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8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0000007935 neut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HSFWRNGVRCDJHI-UHFFFAOYSA-N alpha-acetylene Natural products C#C HSFWRNGVRCDJHI-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125000002534 ethynyl group Chemical group [H]C#C* 0.000 claims description 9
- LIKMAJRDDDTEIG-UHFFFAOYSA-N 1-hexene Chemical compound CCCCC=C LIKMAJRDDDTEIG-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5000015112 vegetable and seed oil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8158 vegetable 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VXNZUUAINFGPBY-UHFFFAOYSA-N 1-Butene Chemical compound CCC=C VXNZUUAINFGPBY-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19737 Animal fat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3784 tall 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QQONPFPTGQHPMA-UHFFFAOYSA-N propylene Natural products CC=C QQONPFPTGQHPMA-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125000004805 propylene group Chemical group [H]C([H])([H])C([H])([*:1])C([H])([H])[*:2] 0.000 claims description 4
- IAQRGUVFOMOMEM-UHFFFAOYSA-N butene Natural products CC=CC IAQRGUVFOMOMEM-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979 thermal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1
- 239000004699 Ultra-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0
- 229920000785 ultra 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Polymers 0.000 abstract description 20
- 239000004705 High-molecular-weight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HBBGRARXTFLTSG-UHFFFAOYSA-N Lithium ion Chemical compound [Li+] HBBGRARXTFLTSG-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29910001416 lithium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4014 plastic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2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1
- 239000003054 cataly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0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0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5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6116 polymer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2028 Biom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2002 slur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5276 aerator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3085 dilu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499 g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0936 titan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RTAQQCXQSZGOHL-UHFFFAOYSA-N Titanium Chemical compound [Ti] RTAQQCXQSZGOH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6227 by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150000002148 este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6
- 229910052719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2190 activ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855 fer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4151 fermen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30195733 hydrocarbo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5
- 150000002430 hydrocarb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611 light stabilis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155 me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9198 oi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ZGEGCLOFRBLKSE-UHFFFAOYSA-N 1-Heptene Chemical compound CCCCCC=C ZGEGCLOFRBLKS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273 a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125000004432 carbon atom Chemical group C* 0.000 description 4
- 229910002092 carb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1569 carb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795 chemical reaction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1577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NNBZCPXTIHJBJL-UHFFFAOYSA-N decalin Chemical compound C1CCCC2CCCCC21 NNBZCPXTIHJBJ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821 disti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125 extru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2467 final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063 flame retard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215 Carbon black (E152)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UGFAIRIUMAVXCW-UHFFFAOYSA-N Carbon monoxide Chemical compound [O+]#[C-] UGFAIRIUMAVX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YMWUJEATGCHHMB-UHFFFAOYSA-N Dichloromethane Chemical group ClCCl YMWUJEATGCHHM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YXFVVABEGXRONW-UHFFFAOYSA-N Toluene Chemical compound CC1=CC=CC=C1 YXFVVABEGXRON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963 anti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CJZGTCYPCWQAJB-UHFFFAOYSA-L calcium stearate Chemical class [Ca+2].CCCCCCCCCCCCCCCCCC([O-])=O.CCCCCCCCCCCCCCCCCC([O-])=O CJZGTCYPCWQAJB-UHFFFAOYSA-L 0.000 description 3
- 229910002091 carbon mon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779 crude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760 heat stab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4394 hip joint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314 lubric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7361 pathwa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5597 polymer membr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3049 sedi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356 singl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45 sint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CXWXQJXEFPUFDZ-UHFFFAOYSA-N tetralin Chemical compound C1=CC=C2CCCCC2=C1 CXWXQJXEFPUFD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VOITXYVAKOUIBA-UHFFFAOYSA-N triethylaluminium Chemical compound CC[Al](CC)CC VOITXYVAKOUIB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LOOCNDFTHKSTFY-UHFFFAOYSA-N 1,1,2-trichloropropyl dihydrogen phosphate Chemical compound CC(Cl)C(Cl)(Cl)OP(O)(O)=O LOOCNDFTHKSTF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AFFLGGQVNFXPEV-UHFFFAOYSA-N 1-decen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 AFFLGGQVNFXPE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CRSBERNSMYQZNG-UHFFFAOYSA-N 1-dodecen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 CRSBERNSMYQZN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GQEZCXVZFLOKMC-UHFFFAOYSA-N 1-hexadecen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 GQEZCXVZFLOKM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KWKAKUADMBZCLK-UHFFFAOYSA-N 1-octene Chemical compound CCCCCCC=C KWKAKUADMBZCL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VEORPZCZECFIRK-UHFFFAOYSA-N 3,3',5,5'-tetrabromobisphenol A Chemical compound C=1C(Br)=C(O)C(Br)=CC=1C(C)(C)C1=CC(Br)=C(O)C(Br)=C1 VEORPZCZECFIR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WSSSPWUEQFSQQG-UHFFFAOYSA-N 4-methyl-1-pentene Chemical compound CC(C)CC=C WSSSPWUEQFSQQ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CSCPPACGZOOCGX-UHFFFAOYSA-N Acetone Chemical compound CC(C)=O CSCPPACGZOOCG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114 Ammonium polyphosph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VTYYLEPIZMXCLO-UHFFFAOYSA-L Calcium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a+2].[O-]C([O-])=O VTYYLEPIZMXCLO-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HEDRZPFGACZZDS-UHFFFAOYSA-N Chloroform Chemical compound ClC(Cl)Cl HEDRZPFGACZZD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LYCAIKOWRPUZTN-UHFFFAOYSA-N Eth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OCCO LYCAIKOWRPUZT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UFHFLCQGNIYNRP-UHFFFAOYSA-N Hydrogen Chemical compound [H][H] UFHFLCQGNIYNR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TWRXJAOTZQYOKJ-UHFFFAOYSA-L Magnes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Mg+2].[Cl-].[Cl-] TWRXJAOTZQYOKJ-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UFWIBTONFRDIAS-UHFFFAOYSA-N Naphthalene Chemical compound C1=CC=CC2=CC=CC=C21 UFWIBTONFRDIA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PXHVJJICTQNCMI-UHFFFAOYSA-N Nickel Chemical compound [Ni] PXHVJJICTQNCM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ATUOYWHBWRKTHZ-UHFFFAOYSA-N Propane Chemical compound CCC ATUOYWHBWRK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NINIDFKCEFEMDL-UHFFFAOYSA-N Sulfur Chemical compound [S] NINIDFKCEFEMD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LCKIEQZJEYYRIY-UHFFFAOYSA-N Titanium ion Chemical class [Ti+4] LCKIEQZJEYYRI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963 UV stab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XLOMVQKBTHCTTD-UHFFFAOYSA-N Zinc monoxide Chemical compound [Zn]=O XLOMVQKBTHCTT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50000001335 aliphatic alkanes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150000001336 alke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1348 alkyl chlo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0217 alkyl group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AZDRQVAHHNSJOQ-UHFFFAOYSA-N alumane Chemical class [AlH3] AZDRQVAHHNSJO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50000001412 ami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826 ammonium polyphosph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276 ammonium polyphosph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ADCOVFLJGNWWNZ-UHFFFAOYSA-N antimony trioxide Chemical compound O=[Sb]O[Sb]=O ADCOVFLJGNWWN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298 atmosphe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50000001558 benzoic acid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902 bimod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620 biologic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CRPUJAZIXJMDBK-UHFFFAOYSA-N camphene Chemical compound C1CC2C(=C)C(C)(C)C1C2 CRPUJAZIXJMDB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4292 cyclic ethe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ZSWFCLXCOIISFI-UHFFFAOYSA-N cyclopentadiene Chemical compound C1C=CC=C1 ZSWFCLXCOIISF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MWKFXSUHUHTGQN-UHFFFAOYSA-N decan-1-ol Chemical compound CCCCCCCCCCO MWKFXSUHUHTGQ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DIOQZVSQGTUSAI-UHFFFAOYSA-N decan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 DIOQZVSQGTUSA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18044 dehyd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297 dehydr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DOIRQSBPFJWKBE-UHFFFAOYSA-N dibutyl phthalate Chemical compound CCCCOC(=O)C1=CC=CC=C1C(=O)OCCCC DOIRQSBPFJWKB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50000005690 dieste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USIUVYZYUHIAEV-UHFFFAOYSA-N diphenyl ether Chemical compound C=1C=CC=CC=1OC1=CC=CC=C1 USIUVYZYUHIAE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170 ethe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27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38 heterogeneous cataly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510 hollow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257 hydro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39 hyd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976 in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62 irrig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973 irri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NNPPMTNAJDCUHE-UHFFFAOYSA-N isobutane Chemical compound CC(C)C NNPPMTNAJDCUH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503 joint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629 knee joint Anatomy 0.000 description 2
- XMGQYMWWDOXHJM-UHFFFAOYSA-N limonene Chemical compound CC(=C)C1CCC(C)=CC1 XMGQYMWWDOXH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49 magne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77 magne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681 magnesium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739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UNSDWONDAUAWPV-UHFFFAOYSA-N methylaluminum;oxane Chemical compound [Al]C.C1CCOCC1 UNSDWONDAUAWP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TVMXDCGIABBOFY-UHFFFAOYSA-N n-Octanol Natural products CCCCCCCC TVMXDCGIABBOF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QJGQUHMNIGDVPM-UHFFFAOYSA-N nitrogen group Chemical group [N] QJGQUHMNIGDVP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ZWRUINPWMLAQRD-UHFFFAOYSA-N nonan-1-ol Chemical compound CCCCCCCCCO ZWRUINPWMLAQR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BKIMMITUMNQMOS-UHFFFAOYSA-N nonane Chemical compound CCCCCCCCC BKIMMITUMNQMO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GLDOVTGHNKAZLK-UHFFFAOYSA-N octadecan-1-ol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O GLDOVTGHNKAZL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60 organic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TWNQGVIAIRXVLR-UHFFFAOYSA-N oxo(oxoalumanyloxy)alumane Chemical compound O=[Al]O[Al]=O TWNQGVIAIRXVL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YWAKXRMUMFPDSH-UHFFFAOYSA-N pentene Chemical compound CCCC=C YWAKXRMUMFPDS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737 period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071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516 radical scaveng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41 reaction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377 silic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42 size-exclusion chromat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858 star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17 sulfu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93 sulfu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23 transition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3624 transition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MCULRUJILOGHCJ-UHFFFAOYSA-N triisobutylaluminium Chemical compound CC(C)C[Al](CC(C)C)CC(C)C MCULRUJILOGHC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JLTRXTDYQLMHGR-UHFFFAOYSA-N trimethylaluminium Chemical compound C[Al](C)C JLTRXTDYQLMHG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1001148471 unidentified anaerobic bacteri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BGGGMYCMZTXZBY-UHFFFAOYSA-N (3-hydroxyphenyl) phosphono hydrogen phosphate Chemical compound OC1=CC=CC(OP(O)(=O)OP(O)(O)=O)=C1 BGGGMYCMZTXZB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AHAREKHAZNPPMI-AATRIKPKSA-N (3e)-hexa-1,3-diene Chemical compound CC\C=C\C=C AHAREKHAZNPPMI-AATRIKPKSA-N 0.000 description 1
- PRBHEGAFLDMLAL-GQCTYLIASA-N (4e)-hexa-1,4-diene Chemical compound C\C=C\CC=C PRBHEGAFLDMLAL-GQCTYLIASA-N 0.000 description 1
- ALSTYHKOOCGGFT-KTKRTIGZSA-N (9Z)-octadecen-1-ol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O ALSTYHKOOCGGFT-KTKRTIGZSA-N 0.000 description 1
- GRPTWLLWXYXFLX-UHFFFAOYSA-N 1,1,2,2,3,3-hexabromocyclodecane Chemical compound BrC1(Br)CCCCCCCC(Br)(Br)C1(Br)Br GRPTWLLWXYXFL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GACALPFXAWHEBC-UHFFFAOYSA-N 1,2,4,5-tetramethylcyclohexa-1,4-diene Chemical compound CC1=C(C)CC(C)=C(C)C1 GACALPFXAWHEB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VYXHVRARDIDEHS-UHFFFAOYSA-N 1,5-cyclooctadiene Chemical compound C1CC=CCCC=C1 VYXHVRARDIDEH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12 1,5-cyclooctadi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HECLRDQVFMWTQS-RGOKHQFPSA-N 1755-01-7 Chemical compound C1[C@H]2[C@@H]3CC=C[C@@H]3[C@@H]1C=C2 HECLRDQVFMWTQS-RGOKHQFPSA-N 0.000 description 1
- RNFJDJUURJAICM-UHFFFAOYSA-N 2,2,4,4,6,6-hexaphenoxy-1,3,5-triaza-2$l^{5},4$l^{5},6$l^{5}-triphosphacyclohexa-1,3,5-triene Chemical class N=1P(OC=2C=CC=CC=2)(OC=2C=CC=CC=2)=NP(OC=2C=CC=CC=2)(OC=2C=CC=CC=2)=NP=1(OC=1C=CC=CC=1)OC1=CC=CC=C1 RNFJDJUURJAIC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FJGQBLRYBUAASW-UHFFFAOYSA-N 2-(benzotriazol-2-yl)phenol Chemical compound OC1=CC=CC=C1N1N=C2C=CC=CC2=N1 FJGQBLRYBUAAS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CMAOLVNGLTWICC-UHFFFAOYSA-N 2-fluoro-5-methylbenzonitrile Chemical compound CC1=CC=C(F)C(C#N)=C1 CMAOLVNGLTWIC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VSYZXASVWVQEMR-UHFFFAOYSA-N 2-methylbuta-1,3-dienylalumane Chemical compound CC(=C[AlH2])C=C VSYZXASVWVQEM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KPGXRSRHYNQIFN-UHFFFAOYSA-N 2-oxoglutar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C(=O)C(O)=O KPGXRSRHYNQIF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ACZGCWSMSTYWDQ-UHFFFAOYSA-N 3h-1-benzofuran-2-one Chemical class C1=CC=C2OC(=O)CC2=C1 ACZGCWSMSTYWD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BBDKZWKEPDTENS-UHFFFAOYSA-N 4-Vinylcyclohexene Chemical compound C=CC1CCC=CC1 BBDKZWKEPDTEN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SXFSQZDSUWACKX-UHFFFAOYSA-N 4-methylthio-2-oxobutanoic acid Chemical compound CSCCC(=O)C(O)=O SXFSQZDSUWACK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15 4-vinylcyclohex-1-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INYHZQLKOKTDAI-UHFFFAOYSA-N 5-ethenylbicyclo[2.2.1]hept-2-ene Chemical compound C1C2C(C=C)CC1C=C2 INYHZQLKOKTDA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83690 Bos taur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566113 Branta sandvic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2472 Canis lupus famili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93403 Clostridi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656809 Clostridium autoethanogen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86566 Clostridium ljungdahli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611023 Clostridium ragsdale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MQIUGAXCHLFZKX-UHFFFAOYSA-N Di-n-octyl phthalate Natural products CCCCCCCCOC(=O)C1=CC=CC=C1C(=O)OCCCCCCCC MQIUGAXCHLFZK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943 EPDM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3086 Equ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OTMSDBZUPAUEDD-UHFFFAOYSA-N Ethane Chemical compound CC OTMSDBZUPAUED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82326 Felis cat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2412 Homo Species 0.000 description 1
- FYYHWMGAXLPEAU-UHFFFAOYSA-N Magnesium Chemical compound [Mg] FYYHWMGAXLPEA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CTQNGGLPUBDAKN-UHFFFAOYSA-N O-Xylene Chemical compound CC1=CC=CC=C1C CTQNGGLPUBDA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MXRIRQGCELJRSN-UHFFFAOYSA-N O.O.O.[Al] Chemical compound O.O.O.[Al] MXRIRQGCELJRS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19142 PO4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662 Paraffin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1001494479 Peco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PXRCIOIWVGAZEP-UHFFFAOYSA-N Primaeres Camphenhydrat Natural products C1CC2C(O)(C)C(C)(C)C1C2 PXRCIOIWVGAZE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34809 Product contamin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MEFKEPWMEQBLKI-AIRLBKTGSA-N S-adenosyl-L-methioninate Chemical compound O[C@@H]1[C@H](O)[C@@H](C[S+](CC[C@H](N)C([O-])=O)C)O[C@H]1N1C2=NC=NC(N)=C2N=C1 MEFKEPWMEQBLKI-AIRLBKTGSA-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0111 Saccharum officinar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201 Saccharum officinar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QHWKHLYUUZGSCW-UHFFFAOYSA-N Tetrabromophthalic anhydride Chemical compound BrC1=C(Br)C(Br)=C2C(=O)OC(=O)C2=C1Br QHWKHLYUUZGS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GWEVSGVZZGPLCZ-UHFFFAOYSA-N Titan oxide Chemical compound O=[Ti]=O GWEVSGVZZGPLC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51539 Vertebrata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536 Zeol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YKTSYUJCYHOUJP-UHFFFAOYSA-N [O--].[Al+3].[Al+3].[O-][Si]([O-])([O-])[O-] Chemical compound [O--].[Al+3].[Al+3].[O-][Si]([O-])([O-])[O-] YKTSYUJCYHOUJ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99 abra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NIXOWILDQLNWCW-UHFFFAOYSA-N acrylic acid group Chemical group C(C=C)(=O)O NIXOWILDQLNW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6 add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1570 ademetion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19 ag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298 alcoh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3 alkali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4 alkaline earth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5234 alkyl aluminium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XCPQUQHBVVXMRQ-UHFFFAOYSA-N alpha-Fenchene Natural products C1CC2C(=C)CC1C2(C)C XCPQUQHBVVXMR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42 anti bacterial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44 anti-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16 antistatic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118 ar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80 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286 benefi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565 benzotriazol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BJQHLKABXJIVAM-UHFFFAOYSA-N bis(2-ethylhexyl) phthalate Chemical compound CCCCC(CC)COC(=O)C1=CC=CC=C1C(=O)OCC(CC)CCCC BJQHLKABXJIVA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019 calcium 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16 calcium stea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539 calcium stear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30006739 camphen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ZYPYEBYNXWUCEA-UHFFFAOYSA-N camphenilone Natural products C1CC2C(=O)C(C)(C)C1C2 ZYPYEBYNXWUCE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649 carbonic acid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23 catalytic cr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903 catalytic hydrogen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13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78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MVPPADPHJFYWMZ-UHFFFAOYSA-N chlorobenzene Chemical compound ClC1=CC=CC=C1 MVPPADPHJFYWM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4 chrom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51 chrom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504 cigaret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40 col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748 compress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924 continuous prod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26 coo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924 cycloalka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925 cycloalke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113 dietary fatty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YNLAOSYQHBDIKW-UHFFFAOYSA-M diethylalumin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CC[Al](Cl)CC YNLAOSYQHBDIKW-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087 diges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JGHYBJVUQGTEEB-UHFFFAOYSA-M dimethylalumanylium;chloride Chemical compound C[Al](C)Cl JGHYBJVUQGTEEB-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HNPSIPDUKPIQMN-UHFFFAOYSA-N dioxosilane;oxo(oxoalumanyloxy)alumane Chemical compound O=[Si]=O.O=[Al]O[Al]=O HNPSIPDUKPIQM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SNRUBQQJIBEYMU-UHFFFAOYSA-N dodecan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 SNRUBQQJIBEYM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69096 dodece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51 drink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188 drinking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06 elast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9 emul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51 engineering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HQQADJVZYDDRJT-UHFFFAOYSA-N ethene;prop-1-ene Chemical group C=C.CC=C HQQADJVZYDDRJ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UAIZDWNSWGTKFZ-UHFFFAOYSA-L ethylaluminum(2+);dichloride Chemical compound CC[Al](Cl)Cl UAIZDWNSWGTKFZ-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25 fa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97 fa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94 fatty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30195729 fatty acid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72 for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03 fossil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92 gaseous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91 gel spin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227 gr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8282 halocarb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519 hom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678 hyd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679 hydrox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WGCNASOHLSPBMP-UHFFFAOYSA-N hydroxyacetaldehyde Natural products OCC=O WGCNASOHLSPBM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54 immer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348 incor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500 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JEIPFZHSYJVQDO-UHFFFAOYSA-N iron(III) oxide Inorganic materials O=[Fe]O[Fe]=O JEIPFZHSYJVQD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282 iso-but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50 keros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61 laser diffra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4 lith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450 lithium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684 low density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02 low-density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629 magnesium chlor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VTHJTEIRLNZDEV-UHFFFAOYSA-L magnesium di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OH-].[Mg+2] VTHJTEIRLNZDEV-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47 magnesium hydr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862 magnesium hydr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95 magnesium 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CPLXHLVBOLITMK-UHFFFAOYSA-N magnes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Mg]=O CPLXHLVBOLITM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AXZKOIWUVFPNLO-UHFFFAOYSA-N magnesium;oxygen(2-) Chemical compound [O-2].[Mg+2] AXZKOIWUVFPNL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50 mark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53 metabolic pathwa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507 metal hal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5309 metal hal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NFWSQSCIDYBUOU-UHFFFAOYSA-N methylcyclopentadiene Chemical compound CC1=CC=CC1 NFWSQSCIDYBUO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480 mineral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46 mineral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CWQXQMHSOZUFJS-UHFFFAOYSA-N molybdenum disulfide Chemical compound S=[Mo]=S CWQXQMHSOZUFJ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982 molybdenum disulf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IJDNQMDRQITEOD-UHFFFAOYSA-N n-butane Chemical compound CCCC IJDNQMDRQITEO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94933 n-dodecane Drugs 0.000 description 1
- GOQYKNQRPGWPLP-UHFFFAOYSA-N n-heptadecyl alcohol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O GOQYKNQRPGWPL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45 natural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05 oil spil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JRZJOMJEPLMPRA-UHFFFAOYSA-N olefin Natural products CCCCCCCC=C JRZJOMJEPLMPR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55577 oleyl alcohol Drugs 0.000 description 1
- XMLQWXUVTXCDDL-UHFFFAOYSA-N oleyl alcohol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O XMLQWXUVTXCDD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416 organic mat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88 paraffin wax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36 particula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30 phenolic antioxid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989 phen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NBIIXXVUZAFLBC-UHFFFAOYSA-K phosphate Chemical compound [O-]P([O-])([O-])=O NBIIXXVUZAFLBC-UHFFFAOYSA-K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52 phosph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ACVYVLVWPXVTIT-UHFFFAOYSA-N phosphinic acid Chemical class O[PH2]=O ACVYVLVWPXVTI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AQSJGOWTSHOLKH-UHFFFAOYSA-N phosphite(3-) Chemical class [O-]P([O-])[O-] AQSJGOWTSHOLK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49 pi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291 polye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638 polyethylene mon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959 polymer blend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5 polymerization cataly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379 polymer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98 polyolef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45 pre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28 prematur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294 prop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197 pyro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7 qual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791 quen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71 quench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484 reaction tim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223 reverse osmo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336 secondary aromatic ami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873 siev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545 silicone oil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79 smok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10 solid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29 steam refo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KDYFGRWQOYBRFD-UHFFFAOYSA-N succinic acid Chemical class OC(=O)CCC(O)=O KDYFGRWQOYBR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69 thermo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16 thermosoftening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568 thioethe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OGIDPMRJRNCKJF-UHFFFAOYSA-N titan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Ti]=O OGIDPMRJRNCKJ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XJDNKRIXUMDJCW-UHFFFAOYSA-J titanium tetrachloride Chemical compound Cl[Ti](Cl)(Cl)Cl XJDNKRIXUMDJCW-UHFFFAOYSA-J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331 toxic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88 tox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623 transition metal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626 triacylglycer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ORYGRKHDLWYTKX-UHFFFAOYSA-N trihexylalumane Chemical compound CCCCCC[Al](CCCCCC)CCCCCC ORYGRKHDLWYTK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LFXVBWRMVZPLFK-UHFFFAOYSA-N trioctylalumane Chemical compound CCCCCCCC[Al](CCCCCCCC)CCCCCCCC LFXVBWRMVZPLF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0 vana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GPPXJZIENCGNKB-UHFFFAOYSA-N vanadium Chemical compound [V]#[V] GPPXJZIENCGNK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PXXNTAGJWPJAGM-UHFFFAOYSA-N vertaline Natural products C1C2C=3C=C(OC)C(OC)=CC=3OC(C=C3)=CC=C3CCC(=O)OC1CC1N2CCCC1 PXXNTAGJWPJAG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93 wax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096 x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57 zeol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87 zinc 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10/02—Ethen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7/16—Macromolecular material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6—Porous materials, e.g. foams or spong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26—Polyalkenes
- B01D71/261—Polyethylen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B01J20/26—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B01J20/265—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modified or post-treated polymers
- B01J20/267—Cross-linked polym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0/00—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210/02—Ethen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0/00—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210/16—Copolymers of ethene with alpha-alkenes, e.g. EP rubb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14—Synthetic resins, e.g. thermoplastics or thermosetting resins
- H01M50/417—Polyolefi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31—Inorganic materia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30/0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 A61L2430/24—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for joint reconstruc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00/00—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of obtained polyolefins; Use thereof
- C08F2500/07—High density, i.e. > 0.95 g/cm3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00/00—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of obtained polyolefins; Use thereof
- C08F2500/12—Melt flow index or melt flow ratio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00/00—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of obtained polyolefins; Use thereof
- C08F2500/18—Bulk density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810/00—Chemical modification of a polymer
- C08F2810/20—Chemical modification of a polymer leading to a crosslinking, either explicitly or inherently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바이오-기반 공급원료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조되는, 고분자량 및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중합체를 포함하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합체가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임플란트 및 리튬 이온 배터리용 다공성 멤브레인 생산과 같은 고순도 적용례에 사용하기 위한 고밀도 중합체를 생산할 수 있는 고순도 단량체를 생산할 수 있도록 바이오-기반 공급원료가 선택된다.
Description
본 출원은 출원일이 2021년 10월 27일인 미국 가특허출원 제63/272,456호에 기초하고 이를 우선권 주장하며, 이는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본원은 지속가능한 고밀도 폴리에틸렌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합체, 특히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중합체와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중합체 또는 선형 폴리에틸렌 중합체는 내마모성, 표면 윤활성, 내화학성, 인장 강도 및 충격 강도가 독특하게 조합된 부가가치가 높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다.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합체는 중합체의 특성을 특정 용도에 맞게 조정할 수 있는 수많은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예를 들어, 고분자량을 갖는 특정 고밀도 폴리에틸렌 입자들은 함께 소결(sintering)되어 다양한 상이한 필터 장치로 형성될 수 있다. 필터 장치에는 필터 깔때기, 침지 필터, 필터 도가니, 다공성 시트, 펜 팁, 마커 펜촉, 통풍 장치, 디퓨저 및 경량 성형 부품이 포함될 수 있다.
고밀도 폴리에틸렌 입자는 하나 이상의 가소제 및 겔(gel)과 결합하여 필름 및 섬유로 압출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합체를 사용하여 다공성 멤브레인(membrane)을 생산할 수 있다.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중합체와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중합체로 만든 다공성 멤브레인은 전기 자동차의 등장으로 그 중요성과 가치가 크게 높아졌다. 예를 들어, 다공성 멤브레인은 리튬 이온 배터리에서 애노드와 캐소드 사이에 위치하는 배터리 분리막(separator)으로 사용될 수 있다.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합체로 만든 멤브레인은 최적의 다공성 특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멤브레인이 통합된 배터리에 안전을 제공하는 차단(shutdown) 온도도 제공한다. 또한, 통상적인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중합체는 불순물이 매우 적어서 중합체 멤브레인이 배터리에 포함된 화학 성분과 어떤 식으로든 반응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합체는 종종 생의학(biomedical) 장치와 함께 사용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합체, 특히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중합체는 생물학적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충분한 순도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중합체는 최소 농도의 잔류 촉매 및 기타 불순물을 갖게 생산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합체는 인공 무릎 관절, 인공 고관절의 하중 지지 구성 요소 및 인체의 기타 보철 대체 관절을 위한 지지 구성 요소로 사용될 수 있다.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합체는 일반적으로 촉매 존재 하에 에틸렌 단량체를 중합하여 생산된다. 과거에는 접촉 분해 공정을 통해 원유에서 에틸렌 단량체를 생산했다. 수년에 걸쳐, 에틸렌 단량체를 생산하는 데 사용되는 공정을 통해, 촉매에의 노출 및 반응 시간이 더 길어질 때 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을 생산하는 데 매우 적합한 고순도 단량체가 생성되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대기업 및 소기업들이 특정 기간 내에 탄소 중립(carbon neutral)을 약속했다. 탄소 중립이 되려면 기업은 순-제로(net-zero) 탄소 배출을 달성하기 위해 대기로 배출하는 것과 동일한 양의 이산화탄소를 제거해야 한다. 반면 탄소 음성(carbon negative) 기업은 방출량보다 더 많은 탄소를 대기에서 제거한다.
탄소 중립 또는 탄소 음성이 되기 위한 전 세계 기업의 상당한 노력을 고려할 때, 중합체 내의 불순물 양 또는 기타 중합체 특성을 크게 변경하지 않고 보다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합체를 생산하는 공정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지속가능한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합체로 제조된 중합체 조성물 및 중합체 제품에 대한 필요성도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본 개시는,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중합체 및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중합체를 포함하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합체를 탄소 상쇄(offset)를 생성하는 방식으로 제조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한 양태에서, 본 개시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합체를 포함하는 중합체 입자를 함유하는 중합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합체는 약 300,000 g/mol 초과의 분자량을 가질 수 있고 약 0.92 g/cm3 초과의 밀도를 가질 수 있다.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합체는 에틸렌 단량체로부터 형성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르면, 에틸렌 단량체의 적어도 일부는 하나 이상의 탄소 음성 또는 탄소 중립 성분으로부터 제조된 바이오-기반 에틸렌을 포함한다. 바이오-기반 함량은 한 실시형태에서는 물질 수지 접근법(mass balance approach)을 사용하여 결정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바이오-기반 함량은 ASTM 시험 D6866-21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탄소 음성 또는 탄소 중립 성분으로 만들어진 중합체의 부분(portion)은 약 1% 이상, 예를 들어 약 10% 이상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바이오-기반 함량은 총 유기 탄소 함량의 방사성탄소 연대측정법(radiocarbon dating of Total Organic Carbon Content)을 기준으로 약 1% 이상, 예를 들어 약 10%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합체는 화석-기반 에틸렌 단량체와 바이오-기반 에틸렌 단량체의 혼합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생성된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합체는 바이오-기반 함량을 가질 수 있거나, 탄소 음성 또는 탄소 중립 성분을 약 20% 이상, 예를 들어 약 30% 이상, 예를 들어 약 40% 이상, 예를 들어 약 50% 이상, 예를 들어 약 60% 이상, 및 일반적으로 약 90% 미만, 예를 들어 약 80% 미만, 예를 들어 약 70% 미만의 양으로 함유할 수 있다. 한 실시형태에서,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합체는 전적으로 바이오-기반 에틸렌 단량체로 형성될 수 있거나 전적으로 탄소 음성 또는 탄소 중립 성분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합체는 약 500,000 g/mol 초과, 예를 들어 약 700,000 g/mol 초과, 예를 들어 약 1,000,000 g/mol 초과, 예를 들어 약 1,300,000 g/mol 초과, 예를 들어 약 1,700,000 g/mol 초과, 예를 들어 약 2,000,000 g/mol 초과, 예를 들어 약 2,500,000 g/mol 초과, 예를 들어 약 3,000,000 g/mol 초과, 예를 들어 약 3,500,000 g/mol 초과, 예를 들어 약 4,000,000 g/mol 초과, 예를 들어 약 4,500,000 g/mol 초과, 예를 들어 약 5,000,000 g/mol 초과, 예를 들어 약 5,500,000 g/mol 초과, 예를 들어 약 6,000,000 g/mol 초과, 예를 들어 약 6,500,000 g/mol 초과, 예를 들어 약 7,000,000 g/mol 초과, 예를 들어 약 7,500,000 g/mol 초과, 예를 들어 약 8,000,000 g/mol 초과, 및 약 12,000,000 g/mol 미만의 평균 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목적을 위해, 본원에 언급된 분자량은 마골리 식(Margolies equation) 에 따라 결정된다("마골리 분자량").
폴리에틸렌 중합체를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에틸렌 단량체는, 단량체가 높은 순도를 유지하고 고분자량 및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중합체를 포함하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중합되는 단량체의 능력을 방해하지 않는 한, 다양한 공급원으로부터 유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이오-기반 에틸렌은 탄소 음성 또는 탄소 중립 성분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한 양태에서, 탄소 음성 또는 탄소 중립 성분은 바이오매스로부터 유래된 것과 같은 메탄을 포함한다. 상기 메탄은 아세틸렌을 형성하기 위해 열분해 또는 부분 산화 과정을 거칠 수 있다. 이어서 아세틸렌은 에틸렌으로 수소화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탄소 음성 또는 탄소 중립 성분은, 에틸렌으로 전환되는 에탄올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탄올은 발효 산물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탄소 음성 또는 탄소 중립 성분은 식물성 오일 또는 동물성 지방을 포함할 수 있다. 식물성 기름이나 동물성 지방은 수첨탈산소화(hydrodeoxygenation)에 의해 에틸렌으로 전환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탄소 음성 또는 탄소 중립 성분은, 에틸렌으로 전환될 수 있는 톨 오일(tall oil)을 포함할 수 있다.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합체는 지글러-나타 촉매작용된(Ziegler-Natta catalyzed) 중합체일 수 있다. 한 실시형태에서 중합체 입자는 약 10 마이크론 내지 약 1,000 마이크론의 평균 입자 크기 D50을 가질 수 있다. 중합체 입자는 약 0.2 g/cm3 내지 약 0.54 g/cm3의 벌크 밀도(bulk density)를 가질 수 있다.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합체는 약 0g/10분(측정 불가능) 내지 약 20g/10분의 용융 유속(melt flow rate)을 가질 수 있다.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합체는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또는 폴리에틸렌 공중합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중합체는 에틸렌과 부텐, 프로필렌, 헥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공단량체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부텐, 헥센 및/또는 프로필렌 또한 바이오-기반일 수 있다.
상기 중합체 조성물로부터 다양한 물품이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중합체 조성물은 의료용 임플란트를 생산하는 데 매우 적합하다. 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중합체는 다공성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배터리 분리막을 제조하는 데 사용된다. 다공성 멤브레인은 선택적으로 멤브레인의 한쪽 표면 상에 코팅을 포함할 수 있다. 코팅은 무기 코팅 또는 중합체 코팅을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분리막은 배터리 내부의 애노드와 캐소드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중합체 조성물은 필터 부재(filter element)와 같은 소결 물품(sintered article)을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특징 및 양태들은 아래에서 더 자세히 논의된다.
본 개시의 완전하고 가능한 개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는 것을 포함하여 명세서의 나머지 부분에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라 제조된 배터리용 멤브레인의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참조 번호의 반복 사용은 본 발명의 동일하거나 유사한 특징 또는 요소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라 제조된 배터리용 멤브레인의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참조 번호의 반복 사용은 본 발명의 동일하거나 유사한 특징 또는 요소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본 논의는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대한 설명일 뿐이며 본 개시의 더 넓은 양태를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라는 것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본 개시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합체를 보다 지속가능한(sustainable) 방식으로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합체로부터 제조된 중합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합체를 생산하는 데 사용되는 공급원료의 적어도 일부는, 원유와 같은 화석 연료에서 유래되지 않고 대신에 바이오매스 또는 기타 지속가능한 자원에서 유래될 수 있다.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합체는 에틸렌 단량체로부터 생산된다. 본 개시에 따르면, 에틸렌 단량체는, 바이오가스, 발효 생성물, 식물 부산물, 동물 부산물, 셀룰로오스성 부산물 등과 같은 바이오-기반 성분으로부터 유래될 수 있다. 바이오-유래 공급원료는 에틸렌으로 전환된 다음, 일반적으로 고분자량을 또한 갖는 고밀도 중합체를 생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라 생산된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합체는 훨씬 더 작은 탄소 배출량(footprint)을 갖고, 심지어 전체적으로 탄소 중립 또는 탄소 음성이 되도록 생산될 수 있다.
고분자량 및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중합체를 포함한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합체는 중합체의 순도가 기계적 특성만큼 중요할 수 있는 매우 특정한 응용 분야에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생의학 응용 분야에 사용되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합체는 초순수 특성을 가져야 한다. 따라서, 과거에는 중합체를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단량체의 변경을 꺼려했다. 특히 단량체가 부산물과 같은 다른 공급원에서 유래된 경우 더욱 그렇다. 그러나 본 개시에 따르면, 특히 유리한 점이, 불순물 수준이나 기계적 특성을 희생하지 않고도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는 점이다.
본 개시에 따라 제조된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합체는 많은 제조업체 및 소비자의 지속가능성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합체는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한 유형의 제품과 물품을 생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합체는 의료 분야, 자동차 분야, 전기 분야, 식품 취급 산업, 정수 분야 등에 사용되는 성형 부품 및 물품을 생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제조업체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합체를 제품에 통합하여 재생 가능한 또는 바이오-기반 함량에 대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 전반적으로, 본 개시에 따라 제조된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합체는 제조업체가 품질이나 기계적 특성을 어떤 식으로든 희생하지 않고 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궁극적으로, 본 개시에 따라 제조된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합체는 임의의 적합한 표준에 따라 인증될 수 있다. 그러한 인증 중 하나가 국제 지속가능성 및 탄소 인증(ISCC)이다. ISCC는 전 세계적으로 적용 가능한 지속가능성 인증 시스템이며 농업 및 임업 바이오매스, 순환 및 바이오-기반 재료, 재생 가능 에너지를 포함한 모든 지속가능한 공급원료를 포괄한다. ISCC는 중합체의 재생 가능 함량을 확인할 수 있는 물질 수지 접근 방식을 따른다. 물질 수지에서, 재생 가능한 공급원료는, 모든 생산량과 손실을 고려한 개개의 제형에 따라, 선택된 제품에 귀속된다. 생산을 위한 공급원료(에너지 제외)로서 사용되는 원료만이 물질 수지에서 고려된다. 물질 수지 접근 방식을 적용하는 데 사용되는 주요 기준에는 공급원료 적격성 평가, 관리 연속성, 제품 클레임이 포함된다.
물질 수지 접근 방식을 사용하면, 가치 사슬에서 재활용 및/또는 바이오-기반 공급원료의 양과 지속가능성 특성을 추적하고 이를 검증가능한 방식으로 최종 제품에 귀속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한 실시형태에서, 본 개시의 고밀도 폴리에틸렌은 물질 수지 접근 방식 하에 전적으로 탄소 음성 또는 탄소 중립 성분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고밀도 폴리에틸렌은 적어도 약 20%의 탄소 음성 또는 탄소 중립 성분, 예를 들어 적어도 약 30%의 탄소 음성 또는 탄소 중립 성분, 예를 들어 적어도 약 40%의 탄소 음성 또는 탄소 중립 성분, 적어도 약 50%의 탄소 음성 또는 탄소 중립 성분, 예를 들어 적어도 약 60%의 탄소 음성 또는 탄소 중립 성분, 예를 들어 적어도 약 70%의 탄소 음성 또는 탄소 중립 성분, 예를 들어 적어도 약 80%의 탄소 음성 또는 탄소 중립 성분, 및 최대 100%의 탄소 음성 또는 탄소 중립 성분, 예를 들어 약 80% 미만의 탄소 음성 또는 탄소 중립 성분, 예를 들어 약 60% 미만의 탄소 음성 또는 탄소 중립 성분, 예를 들어 약 40%의 탄소 음성 또는 탄소 중립 성분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라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합체를 생산하기 위해, 바이오-기반 공급원료를 수집하고, 선택적으로 이를 전환 및 정제하여 위에서 설명한 물질 수지 접근 방식에 따라 탄소 음성 또는 적어도 탄소 중립인 단량체, 특히 바이오-기반 에틸렌 단량체를 형성한다. 바이오-기반 에틸렌은 다양한 상이한 공급원료로부터 다양한 상이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이오-기반 에틸렌을 생산하기 위한 다음 공정은 예시적인 것이며, 생성된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합체를 생의학 응용 분야에 사용하는 것을 비롯하여 많은 최종 용도 응용 분야에 필요한 순도 수준으로 에틸렌을 생산할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일 실시형태에서, 바이오매스 자원으로부터 바이오가스가 수집 및/또는 생산되어 에틸렌으로 전환된다. 한 양태에서, 바이오가스는 고형 폐기물 매립지 및 혐기성 소화 시설에서 생산된 메탄이다. 대안적으로, 메탄은 산업 공정에서 재활용 가스로 수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탄은 일반적으로 수집 및 재사용되는 대신 환경으로 방출되거나 소각된다. 산업 공정으로부터의 부산물 가스를 수집함으로써 생성된 단량체의 탄소 배출량이 크게 감소된다.
에틸렌 단량체를 생산하기 위한 출발 공급원료로서 바이오가스를 사용하면 특정 응용 분야에 따라 다양한 장점과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이오가스에 불순물이 거의 포함되어 있지 않아 최종 제품에 불순물이 나타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메탄 바이오가스를 에탄올로 전환하는 과정은 다양한 공정과 단계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실시형태에서, 메탄은 금속-함유 제올라이트 촉매의 존재 하에 메탄의 부분 산화를 통해 에탄올로 직접 전환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메탄 2몰이 산소 분자 0.5몰과 반응하여 에탄올을 생성한다.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는, 바이오가스 메탄이 합성가스(syngas)로 전환될 수 있고, 이는 상기 메탄을 스팀 개질하여 생산된다. 예를 들어 합성가스는 일산화탄소나 이산화탄소를 함유할 수 있다. 이어서, 일산화탄소나 이산화탄소로부터 에탄올이 생산될 수 있다.
이어서, 에탄올로부터 에틸렌 단량체가 생산될 수 있다. 에탄올을 에틸렌으로 전환하는 다양한 공정과 기술이 있다. 한 실시형태에서, 에탄올은 에틸렌을 형성하기 위해 탈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실시형태에서, 생성된 에탄올 생성물은 선택적으로 여과되어 하나 이상의 증류 컬럼을 포함할 수 있는 농축기에 공급될 수 있다. 증류 컬럼은 에탄올-풍부 흐름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는 이어서 에틸렌으로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탄올-풍부 흐름은 탈수기로 공급될 수 있다. 탈수는 높은 온도에서 수행되어 물과 에틸렌을 함께 생산할 수 있다. 생성물이 냉각됨에 따라 에틸렌과 혼합된 물이 응축되어 제거될 수 있다. 이어서, 원하는 경우 에틸렌을 액체 형태로 응축할 수 있다. 응축된 에틸렌은 추가 정제를 위해 증류 컬럼으로 공급될 수도 있다.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메탄과 같은 바이오가스는 먼저 에탄올로 전환되지 않고 에틸렌으로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실시형태에서, 바이오-기반 메탄은 먼저 아세틸렌으로 전환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아세틸렌은 비-접촉(non-catalytic) 수소화 반응을 통해 에틸렌으로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탄은 열분해나 부분 산화 과정을 통해 아세틸렌으로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탄은 예열되어 약 500℃ 내지 약 800℃의 온도에서 화학양론적 양 미만의 양으로 산소와 조합될 수 있다. 혼합물은 약 1400℃ 초과의 온도, 예를 들어 약 1500℃ 초과의 온도에서 열분해 구역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어서, 아세틸렌이 생성되고 부분 급랭에 의해 냉각된다. 이어서, 선택적으로 에탄(이 또한 바이오-기반일 수 있음)의 존재 하에, 약 750℃ 내지 약 950℃의 온도에서 아세틸렌은 수소화되어 에틸렌을 생성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에탄올은 바이오매스와 같은 탄소질 공급원료로부터 생산된다. 예를 들어, 한 양태에서, 바이오매스는 미생물로부터 에탄올을 생산하기 위한 발효 공정에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이오매스는 사탕수수와 같은 임의의 적합한 식물 물질일 수 있다. 바이오매스는 또한 임의의 적합한 셀룰로오스성 물질 또는 부산물일 수 있다.
한 실시형태에서, 탄소질 공급원료는 먼저 개질되어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및/또는 수소를 생성한다. 생성된 가스 스트림은 박테리아 발효를 거쳐 에탄올을 생산할 수 있다. 에탄올을 생산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미생물에는 혐기성 박테리아가 포함된다. 혐기성 박테리아는 클로스트리디움 종(clostridium species), 예를 들어 씨. 르중달리(C. ljungdahlii), 씨. 카복시디보란스(C. carboxydivorans), 씨. 라그스달레이(C. ragsdalei) 및/또는 씨. 오토에타노게눔(C. autoethanogenum)에서 유래된 것일 수 있다.
일단 에탄올이 생산되면, 에탄올은 탈수 단계를 사용하여 위에서 설명한 대로 에틸렌으로 전환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바이오매스는 직접 발효되어 에탄올을 생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셀룰로오스, 설탕, 및 전분이 발효 과정을 통해 에탄올로 직접 전환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바이오매스로부터 유래된 오일이 에틸렌으로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물성 기름이나 동물성 지방이 수첨탈산소화 과정을 거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식물성 기름 및/또는 동물성 지방은 트리글리세리드 및 기타 분자를 파라핀계 탄화수소(특히 에틸렌)으로 전환시키는 방식으로 수첨탈산소화될 수 있다. 에틸렌은 여과 및 증류 등을 통해 정제된 후 본 개시의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합체를 생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유전자 조작 미생물과 같은 미생물을 사용하여 바이오-기반 공급원료로부터 기체 에틸렌이 생산될 수 있다. 기체 에틸렌을 생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대사 경로에는 S-아데노실-메티오닌 경로, 4-(메틸술파닐)-2-옥소부타노에이트 경로 및/또는 2-옥소글루타레이트 경로가 포함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에틸렌 기체를 직접 생산하는 것은 이후의 중합체 생산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불순물의 감소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톨 오일이 바이오매스 공급원료로부터 수집되어 에틸렌으로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실시형태에서, 톨 오일은 셀룰로오스 공급원료로부터 유래될 수 있다.
바이오-기반 단량체가 합성되고 정제되면, 이 단량체로부터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합체가 생산된다.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합체는 전적으로 바이오-기반 단량체로부터 생산될 수 있다. 그러나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합체는 화석-기반 에틸렌 단량체와 조합된 바이오-기반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의 혼합물로부터 생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석-기반 에틸렌 단량체를 사용하는 경우, 바이오-기반 단량체와 화석-기반 단량체의 중량비는 약 1:95 내지 약 95:1일 수 있다.
고밀도 폴리에틸렌은 약 0.92 g/cm3 이상, 예를 들어 약 0.94 g/cm3 이상, 예를 들어 약 0.95 g/cm3 이상, 및 일반적으로 약 1 g/cm3 미만의 밀도를 가질 수 있다.
고밀도 폴리에틸렌은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극고분자량(very high molecular weight) 폴리에틸렌, 및/또는 초고분자량(ultrahigh molecular weight) 폴리에틸렌일 수 있다. "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은 평균 분자량이 약 2x105 g/mol 이상인 폴리에틸렌 조성물을 의미하며, 본원에 사용될 때 극고분자량 폴리에틸렌 및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본 명세서의 목적을 위해, 본원에 언급된 분자량은 마골리 식에 따라 결정된다("마골리 분자량").
"극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은 약 1x106 g/mol 내지 약 3x106 g/mol의 분자량을 갖는 폴리에틸렌 조성물을 의미한다.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은 평균 분자량이 약 3x106 g/mol 이상인 폴리에틸렌 조성물을 의미하며, ASTM D4020 또는 ISO 11542-1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조성물의 분자량은 약 3x106 g/mol 내지 약 30x106 g/mol, 또는 약 3x106 g/mol 내지 약 20x106 g/mol, 또는 약 3x106 g/mol 내지 약 10x106 g/mol, 또는 약 3x106 g/mol 내지 약 6x106 g/mol 범위이다.
한 양태에서, 고밀도 폴리에틸렌은 에틸렌의 단독중합체이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고밀도 폴리에틸렌은 공중합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밀도 폴리에틸렌은 에틸렌과 3 내지 16개의 탄소 원자, 예를 들어 3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 예를 들어 3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또 다른 올레핀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이들 다른 올레핀에는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1-헥센, 1-헵텐, 1-옥텐, 4-메틸펜트-1-엔, 1-데센, 1-도데센, 1-헥사데센 등이 포함되며, 이들에 국한되지 않는다. 또한 1,3-헥사디엔, 1,4-헥사디엔, 사이클로펜타디엔, 디사이클로펜타디엔, 4-비닐사이클로헥스-1-엔, 1,5-사이클로옥타디엔, 5-비닐리덴-2-노보넨 및 5-비닐-2-노보넨과 같은 폴리엔 공단량체도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하다. 그러나, 존재하는 경우, 공중합체 중 비-에틸렌 단량체(들)의 양이 약 10 몰% 미만, 예를 들어 약 5 몰% 미만, 예를 들어 약 2.5 몰% 미만, 예를 들어 약 1 몰% 미만일 수 있고, 여기서 몰%는 중합체 내 단량체의 총 몰수를 기준으로 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르면, 상기 공단량체는 바이오-기반 공단량체일 수 있다.
한 실시형태에서, 고밀도 폴리에틸렌은 단봉형(monomodal) 분자량 분포를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고밀도 폴리에틸렌은 이봉형(bimodal) 분자량 분포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봉형 분포는 일반적으로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 곡선에서 뚜렷한 더 높은 분자량과 뚜렷한 더 낮은 분자량(예를 들어 2개의 뚜렷한 피크)을 갖는 중합체를 의미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고밀도 폴리에틸렌은 폴리에틸렌이 다봉형(multimodal)(예를 들어, 삼봉형, 사봉형 등) 분포를 나타내도록 2개 초과의 분자량 분포 피크를 나타낼 수 있다. 대안적으로, 고밀도 폴리에틸렌은 넓은 분자량 분포를 나타낼 수 있으며, 이때 폴리에틸렌은 더 높은 분자량 성분과 더 낮은 분자량 성분의 혼합물을 포함하여,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 곡선이 적어도 2개의 뚜렷한 피크를 나타내지 않고 대신에 개별 성분 피크들보다 더 넓은 하나의 뚜렷한 피크를 나타낸다.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방법을 활용하여 폴리에틸렌을 합성할 수 있다. 폴리에틸렌 분말은 전형적으로, 비균질 촉매 및 조촉매로서의 유기 알루미늄 또는 마그네슘 화합물을 사용하여 에틸렌 단량체의 또는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다른 1-올레핀 공단량체와의 접촉 중합에 의해 생성되며, 이때 최종 중합체 중 1-올레핀 함량은 에틸렌 함량의 10% 이하이다. 에틸렌은 일반적으로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와 압력에서 기상(gaseous phase) 또는 슬러리 상(slurry phase)으로 중합된다. 중합 반응은 50℃ 내지 100℃ 범위의 온도 및 0.02 내지 2 MPa 범위의 압력에서 수행될 수 있다.
폴리에틸렌의 분자량은 수소를 첨가하여 조절할 수 있다. 온도 및/또는 조촉매의 유형 및 농도를 변경하는 것도 분자량을 미세 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파울링(fouling) 및 제품 오염(contamination)을 방지하기 위해 정전기 방지제 존재 하에 반응이 수행될 수도 있다.
적합한 촉매 시스템에는 지글러-나타(Ziegler-Natta) 유형 촉매가 포함되지만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일반적으로 지글러-나타 유형 촉매는 주기율표 4 내지 8족의 전이 금속 화합물과 주기율표 1 내지 3족 금속의 알킬 또는 수소화물 유도체의 조합에 의해 유도된다. 사용되는 전이금속 유도체는 일반적으로 금속 할로겐화물 또는 에스테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지글러-나타 촉매에는 유기 알루미늄 또는 마그네슘 화합물(예를 들어 비제한적으로 알루미늄 또는 마그네슘 알킬)과 티타늄, 바나듐 또는 크롬 할로겐화물 또는 에스테르의 반응 생성물을 기반으로 하는 것들이 포함된다. 상기 비균질 촉매는 실리카 또는 염화마그네슘과 같은 다공성 미세 입자 물질에 지지되지 않거나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체는 촉매 합성 중에 첨가될 수 있거나, 촉매 합성 자체의 화학 반응 생성물로서 얻어질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적합한 촉매 시스템은 -4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 범위의 온도에서 불활성 유기 용매 중에서 티타늄(IV) 화합물과 트리알킬 알루미늄 화합물의 반응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출발 물질의 농도는 티타늄(IV) 화합물의 경우 0.1 내지 9 mol/L,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5 mol/L 범위이고, 트리알킬 알루미늄 화합물의 경우 0.01 내지 1 mol/L,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0.2 mol/L 범위이다. 티타늄 성분은 0.1분 내지 60분, 바람직하게는 1분 내지 30분의 기간에 걸쳐 알루미늄 성분에 첨가되며, 최종 혼합물 중 티타늄과 알루미늄의 몰비는 1:0.01 내지 1:4 범위이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적합한 촉매 시스템은 -40℃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50℃ 범위의 온도에서 불활성 유기 용매 중에서 티타늄(IV) 화합물과 트리알킬 알루미늄 화합물의 1단계 또는 2단계 반응에 의해 수득된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티타늄(IV) 화합물이 -4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 범위의 온도에서 1:0.1 내지 1:0.8 범위의 티타늄 대 알루미늄의 몰비를 사용하여 트리알킬 알루미늄 화합물과 반응된다. 출발 물질의 농도는 티타늄(IV) 화합물의 경우 0.1 내지 9.1 mol/L, 바람직하게는 5 내지 9.1 mol/L 범위이고, 트리알킬 알루미늄 화합물의 경우 0.05 내지 1 mol/L,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9 mol/L 범위이다. 티타늄 성분은 0.1분 내지 800분, 바람직하게는 30분 내지 600분의 기간에 걸쳐 알루미늄 화합물에 첨가된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적용되는 경우, 첫 번째 단계에서 얻은 반응 생성물이 -10℃ 내지 15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30℃ 범위의 온도에서 1:0.01 내지 1:5 범위의 티타늄 대 알루미늄의 몰비를 사용하여 트리알킬 알루미늄 화합물로 처리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적합한 촉매 시스템은 첫 번째 반응 단계에서 마그네슘 알코올레이트를 50 내지 100℃의 온도에서 불활성 탄화수소 중에서 염화티타늄과 반응시키는 절차에 의해 획득된다. 두 번째 반응 단계에서는, 형성된 반응 혼합물을, 110 내지 200℃의 온도에서 약 10 내지 100시간 동안, 염화 알킬의 발생이 수반되는 열처리로 더 이상의 염화 알킬이 발생되지 않을 때까지 처리한 다음, 고체를 탄화수소로 여러 번 세척하여 가용성 반응 생성물을 제거한다.
상기 언급된 촉매 각각은 내부 전자 공여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공여체는 선형 및 환형 에테르; 에스테르 및 디에스테르, 예컨대 방향족 에스테르; 질소 함유 화합물; 및 황 함유 화합물, 예컨대 티오에테르를 포함한다. 한 실시형태에서, 내부 전자 공여체는 숙신산의 유도체일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내부 전자 공여체는 치환된 페닐렌 디에스테르일 수 있다.
지글러-나타 촉매는 활성화제와 함께 사용된다. 적합한 활성화제는 금속 알킬 화합물, 특히 알루미늄 알킬 화합물이다. 이러한 화합물에는 에틸알루미늄 디클로라이드, 디에틸알루미늄 클로라이드, 에틸알루미늄 세스퀴클로라이드, 디메틸알루미늄 클로라이드 등과 같은 알킬 알루미늄 할라이드가 포함된다. 이는 또한, 트리메틸알루미늄, 트리에틸알루미늄, 트리-이소부틸알루미늄, 트리헥실알루미늄 및 트리-n-옥틸알루미늄과 같은 트리알킬알루미늄 화합물을 포함한다. 또한, 이는 메틸알루미늄옥산(MAO), 헥사이소부틸알루미늄옥산(HIBAO) 및 테트라이소부틸알루미늄옥산(TIBAO)과 같은 알킬알루미늄 옥시-화합물을 포함한다. 또한, 이소프레닐알루미늄과 같은 다른 알루미늄 알킬 화합물도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활성화제는 트리알킬알루미늄이고, 그 중 특히 트리에틸알루미늄, 트리메틸알루미늄 및 트리-이소부틸알루미늄이 사용된다.
활성화제가 사용되는 양은 특정 촉매 및 활성화제에 따라 다르다. 전형적으로 트리에틸알루미늄은 알루미늄 대 전이 금속 몰비(예컨대 Al/Ti)가 1 내지 1000,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0, 특히 약 5 내지 약 30 mol/mol이 되는 양으로 사용된다.
촉매와 함께 외부 공여체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공여체의 사용은 해당 분야에 알려져 있다. 이는 선형 및 환형 에테르, 에스테르, 실리콘 에테르, 질소 함유 화합물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촉매 시스템을 활용하면, 슬러리 중합 공정으로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촉매는 에틸렌과 희석제를 함유하는 슬러리에 도입될 수 있다.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을 제조하기 위한 슬러리 중합 단계는 30 내지 110℃의 온도에서 진행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온도는 35 내지 75℃,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70℃, 예를 들어 42 내지 70℃, 또는 45 내지 70℃ 범위이다. 상기 온도 범위의 하한값에서 실시할 때, 공정에서 생성된 중합체의 분자량이 더 높은 경향이 있다. 반면,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중합 속도는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위에 기술된 범위는 분자량 성능과 생산성 사이의 적절한 절충안을 제공한다.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을 제조하기 위한 슬러리 중합 단계의 압력은 실제로 중요하지 않으며, 약 1 내지 약 100 bar(절대압)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다. 작동 압력의 선택은 무엇보다도 중합에 사용되는 희석제의 선택에 따라 달라진다.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을 제조하기 위한 슬러리 중합 단계에서, 희석제는, 반응 조건에서 에틸렌을 용해시키지만 고밀도 폴리에틸렌은 용해시키지 않는 임의의 적합한 희석제일 수 있다. 또한 희석제는 중합 촉매와 반응하지 않아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희석제는 2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칸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희석제는 프로판, 이소부탄, n-부탄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을 제조하기 위한 슬러리 중합은 회분식(batch-wise) 또는 연속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슬러리의 유체 상(fluid phase)의 에틸렌 함량은 1 내지 약 50 몰%,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약 20 몰%, 특히 약 2 내지 약 10 몰%일 수 있다. 에틸렌 농도가 높을 때의 이점은 촉매의 생산성이 증가한다는 점이지만, 농도가 낮을 때보다 재활용해야 하는 에틸렌의 양이 더 많다는 단점이 있다.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을 제조하기 위한 슬러리 중합은 슬러리 중합에 사용되는 공지된 반응기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반응기는 연속 교반 탱크 반응기 및 루프 반응기를 포함한다. 루프 반응기에서 중합을 수행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반응기에서는, 순환 펌프 사용에 의해 폐쇄된 파이프를 따라 슬러리가 고속으로 순환된다.
슬러리 중합 단계의 평균 체류 시간은 일반적으로 20 내지 120분,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80분이다. 당업계에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연속 공정에 대한 평균 체류 시간 T는 다음 식으로부터 계산될 수 있다:
여기서, VR은 반응 공간의 부피(루프 반응기의 경우 반응기의 부피)이고, Qo 는 생성물 스트림(중합체 생성물 및 유체 반응 혼합물 포함)의 부피 유량이다.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합체는 일반적으로 약 200,000 g/mol 초과, 예를 들어 약 300,000 g/mol 초과의 분자량을 갖는다.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중합체는 약 500,000 g/mol 초과, 예를 들어 약 700,000 g/mol 초과, 예를 들어 약 1,000,000 g/mol 초과, 예를 들어 약 1,300,000 g/mol 초과, 예를 들어, 약 1,700,000 g/mol 초과, 예를 들어 약 2,000,000 g/mol 초과, 예를 들어 약 2,500,000 g/mol 초과, 예를 들어 약 3,000,000 g/mol 초과, 예를 들어 약 3,500,000 g/mol 초과, 예를 들어, 약 4,000,000 g/mol 초과, 예를 들어 약 4,500,000 g/mol 초과, 예를 들어 약 5,000,000 g/mol 초과, 예를 들어 약 5,500,000 g/mol 초과, 예를 들어 약 6,000,000 g/mol 초과, 예를 들어, 약 6,500,000 g/mol 초과, 예를 들어 약 7,000,000 g/mol 초과, 예를 들어 약 7,500,000 g/mol 초과, 예를 들어 약 8,000,000 g/mol 초과, 및 약 12,000,000 g/mol 미만의 평균 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폴리에틸렌 중합체는 약 0.1 g/10분 내지 약 50 g/10분의 용융 유속을 가질 수 있다. 중합체의 용융 유속은 ASTM 시험 D1238 @ 190℃ 및 21.5kg의 하중에서 결정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합체는 상대적으로 낮은 용융 유속, 예컨대 약 30 g/10분 미만, 약 20 g/10분 미만, 약 10 g/10분 미만, 예를 들어 약 5 g/10분 미만, 예를 들어 약 4 g/10분 미만, 예를 들어 약 3 g/10분 미만, 예를 들어 약 2 g/10분 미만, 예를 들어 약 1 g/10분 미만의 용융 유속을 갖는다. 한 실시형태에서, 용융 유속은 너무 낮아서 전술한 ASTM 시험에 따라 측정할 수 없을 수 있다.
물질 수지 접근법 이외에, 본 개시에 따라 생성된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합체는 ASTM 시험 D6866(2021)을 사용하여 바이오-기반 함량에 대해 측정될 수 있다. 상기 분석 시험은 방사성탄소 연대측정법을 사용하여 고체, 액체 또는 기체 샘플의 바이오-기반 함량을 결정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ASTM 시험 D6866은 현재의 바이오매스-기반 투입물에서 발생하는 탄소와 화석-기반 투입물에서 유래된 탄소를 구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 방법은 중합체내 방사성탄소 연대측정 동위원소 14C (반감기 5,730년)의 양을 결정하는 것에 의존한다. 이 방법은, 중합체에 포함된 탄소가 현대 식물이나 동물과 같은 바이오 공급원, 화석 공급원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서 유래하는지 여부를 식별한다. 화석 공급원에서 나오는 탄소는 일반적으로 0에 매우 가까운 14C 양을 갖는다.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합체의 14C 동위원소 양을 측정하면 그 재료 또는 물품이 전부 또는 일부가 바이오-공급원에서 유래되는 지를 확인할 수 있다. ASTM 시험 D6866에는 A 내지 C 방법이 포함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방법 B가 사용될 수도 있다.
본 개시에 따라 생산된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합체는 ASTM 시험 D6866에 따라 시험할 때 총 유기 탄소 함량(Total Organic Carbon Content)의 방사성탄소 연대측정법을 기준으로 10% 이상의 바이오-기반 함량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합체는 약 20% 초과, 예를 들어 약 30% 초과, 예를 들어 약 40% 초과, 예를 들어 약 50% 초과, 예를 들어 약 60% 초과, 예를 들어 약 70% 초과, 예를 들어 약 80% 초과의 바이오-기반 함량을 가질 수 있다. 한 실시형태에서,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합체는 전적으로 바이오-기반 공급원료로만 제조될 수 있고 100% 바이오-기반 함량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합체는 바이오-기반 함량이 약 90% 미만, 예를 들어 약 80% 미만, 예를 들어 약 70% 미만, 예를 들어 약 60% 미만, 예를 들어 약 50% 미만, 예를 들어 약 40% 미만, 예를 들어 약 30% 미만이 되도록 부분적으로 화석-기반 에틸렌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라 생산된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합체는 일반적으로 다양한 다양한 제품 및 물품을 제조하는데 사용하기 위해 입자 형태로 수집된다.
한 실시형태에서, 폴리에틸렌 입자는, DIN53466에 따라 측정된 부피 밀도가 비교적 낮은 폴리에틸렌 중합체로부터 제조된다. 예를 들어, 일 실시형태에서, 벌크 밀도는 일반적으로 0.4 g/cm3 미만, 예를 들어 약 0.35 g/cm3 미만, 예를 들어 약 0.33 g/cm3 미만, 예를 들어 약 0.3 g/cm3 미만, 예를 들어 약 0.28 g/cm3 미만, 예를 들어 약 0.26 g/cm3 미만이다. 벌크 밀도는 일반적으로 약 0.1g/cm3 초과, 예를 들어 약 0.15g/cm3 초과이다. 한 실시형태에서, 중합체는 약 0.2 g/cm3 내지 약 0.27 g/cm3 의 벌크 밀도를 갖는다.
한 실시형태에서, 폴리에틸렌 입자는 자유-유동성(free-flowing) 분말일 수 있다. 입자는 250 마이크론 미만의 부피 기준 중앙 입자 크기(d50)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입자의 중앙 입자 크기(d50)는 약 150 마이크론 미만, 예를 들어 약 125 마이크론 미만일 수 있다. 중앙 입자 크기(d50)는 일반적으로 약 10 마이크론보다 크다. 분말 입자 크기는 ISO 13320에 따른 레이저 회절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한 실시형태에서, 폴리에틸렌 입자의 90%는 약 250 마이크론 미만의 입자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폴리에틸렌 입자의 90%는 약 200 마이크론 미만, 예를 들어 약 170 마이크론 미만의 입자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폴리에틸렌은 0.0002 g/mL의 데카하이드로나프탈렌 농도를 사용하여 ISO 1628 파트 3에 따라 결정될 때 적어도 100 mL/g, 예를 들어 적어도 500 mL/g, 적어도 1,500 mL/g, 적어도 2,000 mL/g, 적어도 4,000 mL/g 내지 약 6,000 mL/g 미만, 예를 들어 약 5,000 mL/g 미만, 예를 들어 약 4,000 mL/g 미만, 예를 들어 약 3,000 mL/g 미만, 예를 들어 약 1,000 mL/g 미만의 점도를 가질 수 있다.
고밀도 폴리에틸렌은 적어도 약 40% 내지 85%, 예를 들어 45% 내지 80%의 결정화도(crystallinity)를 가질 수 있다.
제품 및 물품 생산 시,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합체는 열 안정화제, 광 안정화제, 자외선 흡수제, 산 제거제, 난연제, 윤활제, 착색제 등과 같은 다양한 첨가제와 조합될 수 있다.
한 실시형태에서, 열 안정화제가 조성물에 존재할 수 있다. 열 안정화제는 아인산염, 아민계 산화방지제, 페놀계 산화방지제,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한 실시형태에서, 산화방지제가 조성물에 존재할 수 있다. 산화방지제는 2차 방향족 아민, 벤조푸라논, 입체 장애 페놀,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한 실시형태에서, 광 안정화제가 조성물에 존재할 수 있다. 광 안정화제는 2-(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히드록시-4-알콕시벤조페논, 니켈 함유 광 안정화제, 3,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입체 장애 아민(HALS),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일 실시형태에서, 광 안정화제 대신에 또는 그에 더하여 UV 흡수제가 조성물에 존재할 수 있다. UV 흡수제는 벤조트리아졸, 벤조에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한 실시형태에서, 할로겐화된 난연제가 조성물에 존재할 수 있다. 할로겐화된 난연제는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TBBA), 테트라브로모프탈산 무수물, 도데카클로로펜타사이클로옥타데카디엔(데클로란), 헥사브로모사이클로데칸, 염소화된 파라핀,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한 실시형태에서, 비-할로겐화된 난연제가 조성물에 존재할 수 있다. 비-할로겐화된 난연제는 레조르시놀 디인산 테트라페닐 에스테르(RDP),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APP), 포스핀산 유도체, 트리아릴 포스페이트, 트리클로로프로필포스페이트(TCPP), 수산화마그네슘, 삼수산화알루미늄, 삼산화안티몬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한 실시형태에서, 윤활제가 조성물에 존재할 수 있다. 윤활제는 실리콘 오일, 왁스, 이황화 몰리브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한 실시형태에서, 착색제가 조성물에 존재할 수 있다. 착색제는 무기계 및 유기계 착색 안료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한 양태에서, 산 제거제가 중합체 조성물에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 제거제는 알칼리 금속 염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염은 스테아르산염과 같은 지방산 염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산 제거제에는 탄산염, 산화물 또는 수산화물이 포함된다. 중합체 조성물에 혼입될 수 있는 특정 산 제거제는 스테아르산칼슘과 같은 금속 스테아르산염을 포함한다. 또 다른 산 제거제에는 산화아연, 탄산칼슘, 산화마그네슘 및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이들 첨가제는 단독으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각각의 첨가제는 중합체 조성물 또는 생산된 중합체 물품에 적어도 약 0.05 중량%, 예를 들어 적어도 약 0.1 중량%,, 예를 들어 적어도 약 0.25 중량%, 예를 들어 적어도 약 0.5 중량%, 예를 들어 적어도 약 1 중량%, 및 일반적으로 약 20 중량% 미만, 예를 들어 약 10 중량% 미만, 예를 들어 약 5 중량% 미만, 예를 들어 약 4 중량% 미만, 예를 들어 약 2 중량% 미만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존재하는 경우 임의의 첨가제를 포함하여 중합체 조성물 및 물품에 이용되는 모든 성분의 중량%의 합계는 100 중량%가 될 것이다.
본 개시에 따라 제조된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합체는 모든 다양한 유형의 제품 및 물품을 생산하기 위한 수많은 다양한 응용 분야에 사용될 수 있다.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합체가 다양한 물품으로 형성되는 방식도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실시형태에서, 고밀도 폴리에틸렌 입자는 가소제와 조합되어 섬유 및 필름과 같은 물품을 제조하기 위한 겔 압출 공정을 통해 공급될 수 있다. 겔 압출 동안, 다이를 통해 압출될 수 있는 겔을 형성하기 위해 상당량의 가소제가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합체와 조합된다. 중합체 제품이 형성되면 가소제는 최종 제품에서 제거된다.
겔 압출 물품을 형성할 때,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합체는 가소제와 조합되어 중합체 조성물을 형성한다.
일반적으로, 고밀도 폴리에틸렌 입자는 중합체 조성물에 최대 약 5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예를 들어, 고밀도 폴리에틸렌 입자는 중합체 조성물에 약 45 중량% 미만, 예를 들어 약 40 중량% 미만, 예를 들어 약 35 중량% 미만, 예를 들어 약 30 중량% 미만의 양, 예를 들어 약 25 중량% 미만의 양, 예를 들어 약 20 중량% 미만의 양, 예를 들어 약 15 중량% 미만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폴리에틸렌 입자는 조성물에 약 5 중량% 초과, 예를 들어 약 10 중량% 초과, 예를 들어 약 15 중량% 초과, 약 20 중량% 초과, 예를 들어 약 25 중량% 초과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겔 가공 동안, 가소제가 고밀도 폴리에틸렌 입자와 조합되며, 이는 중합체 물품 형성 시 실질적으로 또는 완전히 제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형태에서, 생성된 중합체 물품은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합체를 약 70 중량% 초과, 예를 들어 약 80 중량% 초과, 예를 들어 약 85 중량% 초과, 예를 들어 약 90 중량% 초과, 예를 들어 약 95 중량% 초과의 양으로 함유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겔 압출 공정 중에는 임의의 적합한 가소제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소제는 탄화수소 오일, 알코올, 에테르, 디에스테르와 같은 에스테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합한 가소제에는 미네랄 오일, 파라핀 오일, 데칼린 등이 포함된다. 다른 가소제에는 자일렌, 디옥틸 프탈레이트, 디부틸 프탈레이트, 스테아릴 알코올, 올레일 알코올, 데실 알코올, 노닐 알코올, 디페닐 에테르, n-데칸, n-도데칸, 옥탄, 노난, 케로센, 톨루엔, 나프탈렌, 테트랄린 등이 포함된다. 한 실시형태에서, 가소제는 모노클로로벤젠과 같은 할로겐화 탄화수소를 포함할 수 있다. 캄펜, 메탄, 디펜텐, 메틸시클로펜탄디엔, 트리시클로데칸, 1,2,4,5-테트라메틸-1,4-시클로헥사디엔 등과 같은 시클로알칸 및 시클로알켄도 사용될 수 있다. 가소제는 또한 상기 중 임의의 것의 혼합물 및 조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가소제는 일반적으로 중합체 물품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조성물 중에 약 50 중량% 초과, 예를 들어 약 55 중량% 초과, 예를 들어 약 60 중량% 초과, 예를 들어 약 65 중량% 초과, 예를 들어 약 70 중량% 초과, 예를 들어 약 75 중량% 초과, 예를 들어 약 80% 중량% 초과, 예를 들어 약 85 중량% 초과, 예를 들어 약 90 중량% 초과, 예를 들어 약 95 중량% 초과, 예를 들어 약 98 중량% 초과의 양으로 존재한다. 실제로, 가소제는 최대 약 99.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고밀도 폴리에틸렌 입자와 가소제를 사용하여 균질한 겔-유사 물질을 형성한다. 본 개시에 따른 중합체 물품을 형성하기 위해, 고밀도 폴리에틸렌 입자는 가소제와 조합되고 원하는 형상의 다이를 통해 압출된다. 한 실시형태에서, 조성물은 압출기 내에서 가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소제는 입자 혼합물과 조합되어 압출기에 공급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가소제 및 입자 혼합물은 불순물이 거의 또는 전혀 없는 중합체 물품을 형성하기 위해 압출기를 떠나기 전에 균질한 겔-유사 물질을 형성한다.
한 실시형태에서, 세장형(elongated) 물품이 겔 방사 또는 압출 공정 중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중합체 물품은 섬유, 또는 멤브레인과 같은 필름의 형태일 수 있다.
공정 중에 가소제의 적어도 일부가 최종 제품에서 제거된다. 가소제 제거 공정은 상대적으로 휘발성이 강한 가소제를 사용할 경우 증발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추출액(extraction liquid)을 사용하여 가소제를 제거할 수 있다. 추출액은 예를 들어 탄화수소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출액의 한 예는 디클로로메탄이다. 다른 추출액에는 아세톤, 클로로포름, 알칸, 헥센, 헵텐,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원한다면, 생성된 중합체 물품은 중합체 혼합물의 융점보다 낮은 승온에서 연신되어 강도와 모듈러스를 증가시킬 수 있다. 연신에 적합한 온도는 대략 주위 온도 내지 대략 155℃ 범위이다. 연신 비율은 일반적으로 약 4 초과, 예를 들어 약 6 초과, 예를 들어 약 8 초과, 예를 들어 약 10 초과, 예를 들어 약 15 초과, 예를 들어 약 20 초과, 예를 들어 약 20 초과, 예를 들어 약 25 초과, 예를 들어 약 30 초과일 수 있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연신 비율은 약 50 초과, 예를 들어 약 100 초과, 예를 들어 약 110 초과, 예를 들어 약 120 초과, 예를 들어 약 130 초과, 약 140 초과, 예를 들어 약 150 초과일 수 있다. 연신 비율은 일반적으로 약 1,000 미만, 예를 들어 약 800 미만, 예를 들어 약 600 미만, 예를 들어 약 400 미만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더 낮은 연신 비율, 예컨대 약 4 내지 약 10의 연신 비율이 사용된다. 중합체 물품은 일축 연신되거나 이축 연신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라 제조된 중합체 물품은 수많은 용도 및 적용례를 갖는다. 예를 들어, 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공정은 멤브레인을 생산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멤브레인은 배터리 분리막으로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멤브레인은 마이크로필터로 사용될 수도 있다. 섬유를 생산할 때, 섬유는 부직포, 로프, 그물 등을 생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섬유는 탄도 의류(ballistic apparel)의 충전재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에 따라 제조된 리튬 이온 배터리(10)의 한 실시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배터리(10)는 애노드(12)와 캐소드(14)를 포함한다. 애노드(12)는 예를 들어 리튬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다. 반면에, 캐소드(14)는 황 또는 인터칼레이티드(intercalated) 리튬 금속 산화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배터리(10)는 애노드(12)과 캐소드(14) 사이에 위치하는 다공성 멤브레인(16) 또는 분리막을 더 포함한다. 다공성 멤브레인(16)은 두 전극 사이의 전기적 단락(electrical shorts)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리튬 이온과 같은 이온의 통과를 허용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형태에서, 다공성 멤브레인(16)은 단층 중합체 멤브레인이고 다층 구조를 포함하지 않는다. 한 양태에서, 단일층 중합체 멤브레인은 코팅을 포함할 수도 있다. 코팅은, 예를 들어 산화알루미늄 또는 산화티탄으로 된 무기 코팅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단일층 중합체 멤브레인은 중합체 코팅을 포함할 수도 있다. 코팅은 향상된 내열성을 제공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합체는 임플란트와 같은 다양한 다양한 생체재료를 생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합체는 생체적합성일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중합체는 인간이나 동물의 신체를 위한 인공 무릎 관절, 인공 고관절 및 기타 인공 대체 관절을 생산하는 데 매우 적합하다. 예를 들어, 일 실시형태에서, 고밀도 폴리에틸렌은 인공 고관절의 비구 컵(acetabular cup)의 라이닝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합체는 생체재료로 사용될 때 불순물이 거의 없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합체는 약 500ppm 미만, 예를 들어 약 250ppm 미만, 예를 들어 약 100ppm 미만, 예를 들어 약 50ppm 미만, 예를 들어 약 10ppm 미만의 회분(ash) 함량을 가질 수 있다. 실제로, 특정 실시형태에서, 회분 함량은 약 8ppm 미만, 예를 들어 약 5ppm 미만, 예를 들어 약 2ppm 미만일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회분 함량은 ASTM 시험 D5630-13에 따라 결정된다.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합체는 다양한 유형의 임플란트를 포함하여 다양한 유형의 생의학 제품을 생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임플란트는 인체용으로 설계되거나 모든 척추동물을 포함한 동물의 신체용으로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합체는 개, 고양이, 양, 말, 소 등을 위한 임플란트를 생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한 실시형태에서, 소결된 제품은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합체, 특히 다공성 물품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다공성 물품은, 상기 기술된 폴리에틸렌 중합체 분말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제한된 공간, 예를 들어 금형(mold)에 도입하고, 폴리에틸렌 입자를 연화시키고 팽창시키고 서로 접촉시키기에 충분한 열을 성형 분말에 가하는 것을 포함하는 자유 소결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적합한 공정에는 압축 성형 및 주조(casting)가 포함된다. 금형은 강철, 알루미늄 또는 기타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다. 성형 공정에 사용되는 폴리에틸렌 중합체 분말은 일반적으로 반응기 외부(ex-reactor) 등급이며, 이는 분말이 금형에 도입되기 전에 체질 또는 분쇄 과정을 거치지 않음을 의미한다. 위에서 논의된 첨가제가 당연히 상기 분말과 혼합될 수 있다.
상기 금형은 중합체 입자를 소결시키기 위해 대류 오븐, 유압 프레스 또는 적외선 히터에서 약 140℃ 내지 약 300℃, 예를 들어 약 160℃ 내지 약 300℃, 예를 들어 약 170℃ 내지 약 240℃의 소결 온도로 가열된다. 가열 시간과 온도는 금형의 질량과 성형품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고 이에 따라 달라진다. 그러나, 가열 시간은 일반적으로 약 25분 내지 약 100분 범위 내에 든다. 소결 중에 개별 중합체 입자의 표면은 접촉점에서 융합되어 다공성 구조를 형성한다. 그 후, 금형은 냉각되고 다공성 물품이 제거된다. 일반적으로 성형 압력은 필요하지 않다. 그러나 다공도 조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분말에 비례적으로 낮은 압력이 인가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라 제조된 다공성 기재는 탁월한 특성들의 조합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예를 들어, 본 개시에 따라 제조된 다공성 기재는 상대적으로 낮은 압력 강하를 가질 수 있으며(이는 우수한 필터 특성을 나타냄), 더불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의 굴곡 강도를 가질 수 있다(이는 덜 취성(brittle)이고 더 많은 유연성을 나타내는 제품을 의미함). 예를 들어, 본 개시에 따라 제조된 다공성 기재는 10mbar 미만, 예를 들어 약 8mbar 미만, 예를 들어 약 6mbar 미만, 심지어 약 4mbar 미만의 압력 강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형태에서, 압력 강하는 약 0.1mbar 내지 약 3.5mbar일 수 있다.
또한, 다공성 기재는 상대적으로 높은 굴곡 강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굴곡 강도는 DIN ISO 178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라 제조된 다공성 기재의 굴곡 강도는 일반적으로 약 1.5 MPa 초과, 예를 들어 약 2 MPa 초과, 약 2.2 MPa 초과, 예를 들어 약 2.4 MPa 초과, 예를 들어 약 2.6 MPa 초과, 예를 들어 약 2.8 MPa 초과, 예를 들어 약 3 MPa 초과일 수 있다. 굴곡 강도는 일반적으로 약 8 MPa 미만이다.
상기 특성 외에도, 본 개시에 따라 제조된 다공성 기재는 다양한 다른 유익한 물리적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다공성 기재는 약 30% 초과, 예를 들어 약 35% 초과, 예를 들어 약 40% 초과의 공극률(porosity)을 가질 수 있다. 공극률은 일반적으로 약 80% 미만, 예를 들어 약 60% 미만, 예를 들어 약 55% 미만이다. 공극률은 DIN 시험 66133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시험 DIN 66133에 따라 결정될 수도 있는 평균 기공 크기는 일반적으로 약 80 마이크론 초과, 예를 들어 약 85 마이크론 초과, 예를 들어 약 90 마이크론 초과, 예를 들어 약 90 마이크론 초과, 예를 들어 약 95 마이크론 초과, 예를 들어 약 100 마이크론 초과, 약 105 마이크론 초과, 약 110 마이크론 초과, 약 115 마이크론 초과, 약 120 마이크론 초과, 심지어는 약 125 마이크론 초과일 수 있다. 평균 기공 크기는 일반적으로 약 180 마이크론 미만이다.
본 개시에 따라 제조된 다공성 기재는 수많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는 폐수 폭기(aeration), 모세관 적용례 및 여과가 있다.
폭기는 미생물과 격렬한 교반을 이용하여 폐수를 분해하는 과정이다. 미생물은 용해되거나 현탁된 유기물과 긴밀하게 접촉함으로써 작용한다. 실제로 폭기는 "폭기 장치(aerator)" 또는 "다공성 확산기(porous diffuser)"를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폭기 장치는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지며, 널리 사용되는 몇 가지 모양과 기하학적 구조로 제공된다. 현재 폭기 장치 제조에 사용되는 세 가지 주요 유형의 재료는 세라믹(산화알루미늄, 규산알루미늄 및 실리카 포함), 멤브레인(주로 에틸렌/프로필렌 이량체-EPDM과 같은 탄성중합체) 및 플라스틱(대부분 HDPE))이다.
본 다공성 물품은, 입자 크기 분포 및 부피 밀도를 더 엄격하게 제어하면 기공이 엄격하게 제어되고 유속이 일정하며 버블 크기가 더 크고 압력 강하가 더 낮은 폭기 장치를 생산할 수 있다는 사실로 인해, 세라믹, 멤브레인 및 HDPE 폭기 장치에 대한 매력적인 대체품을 제공한다. 또한, UV 안정화제 및/또는 항균성 첨가제를 첨가함으로써, 본 소결된 다공성 폴리에틸렌 폭기 장치의 성능을 기존 폭기 장치보다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UV 안정화제를 혼입하면 실외 환경에서 본 폭기 장치의 기대 수명을 연장할 수 있으며, 항균제를 추가하면 폭기 장치 표면의 오염을 방지하여 폭기 장치가 더 오랫동안 최고의 효율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다공성 소결 물품의 모세관 적용례에는 형광펜, 컬러 스케치 펜, 영구 마커 및 지울 수 있는 화이트보드 마커와 같은 필기구가 포함된다. 이는 다공성 펜촉(nib)의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저장소에서 필기 표면으로 잉크를 운반한다. 현재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으로 만든 다공성 펜촉은 형광펜과 컬러 스케치 펜에 많이 사용되는 반면, 영구 마커와 화이트보드 마커는 일반적으로 폴리에스테르(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올레핀 중공 섬유 및 아크릴 다공성 재료로 생산된다. 본 소결 물품의 큰 기공 크기는 영구 마커 및 화이트 보드 마커에 사용되는 알코올계 고점도 잉크의 모세관 수송에 사용하기에 매력적이다.
여과 용도와 관련하여, 본 소결 다공성 물품은 예를 들어 생성수(굴착 주입수) 여과에 유용하다. 원유 생산 시, 압력을 유지하고 수력학적으로 오일을 생산 유정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물이 육상 저장소에 주입되는 경우가 많다. 주입되는 물은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저장소나 장비를 조기에 막지 않도록 여과되어야 한다. 또한, 유전이 시간경과됨에 따라 생산되는 물의 생산량도 증가한다. 본 폴리에틸렌 분말로 만든 다공성 튜브는 친유성이기 때문에 생성된 물 여과에 이상적인 여과 매체이며, 역세척 가능하고 내마모성, 화학적 저항성이 있고 긴 사용 수명을 갖는 강력하고 안정적인 필터 부재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다공성 소결 제품은 또한, 물에서 기름을 분리해야 하는 다른 여과 응용 분야, 예컨대 발전소용 터빈 및 보일러 용수 여과, 냉각수 에멀젼 여과, 세차장 세척수 탈유, 공정수 여과, 해수 유출 오일 세정, 천연 가스 및 항공 연료 필터로부터의 글리콜 분리에서도 유용성이 있다.
본 다공성 소결 제품의 또 다른 응용 분야는, 스프링클러 시스템을 막히게 하고 펌프를 포함한 다른 관개 장치를 손상시킬 수 있는 작은 모래 입자를 제거하기 위해 유입수의 여과가 필요한 관개(irrigation) 분야이다. 이 문제에 대한 전통적인 접근 방식은 스테인레스스틸 스크린, 복잡한 디스크 필터, 샌드 미디어 필터 및 카트리지 필터를 사용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필터의 주요 요건 중 하나는 기공 크기이며, 이는 일반적으로 100μ 내지 150μ 범위가 필요하다. 다른 고려 사항으로는 높은 유속, 낮은 압력 강하, 우수한 내화학성, 높은 필터 강도 및 긴 사용 수명 등이 있다. 본 다공성 소결 제품의 특성은 제품을 이러한 용도에 특히 적합하게 한다.
추가 여과 응용 분야는, 소결 폴리에틸렌 필터가 더 비싼 탄소 블록, 역삼투 멤브레인 및 중공 섬유 카트리지에 비해 수명이 연장된 다단 음용수 응용 분야에서 녹 및 큰 침전물을 제거하기 위해 예비-필터로 사용되는 침전물 필터를 대체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이러한 필터에 필요한 소결 부품 강도는 LDPE 또는 HDPE를 UHMWPE 분말과 혼합해야만 달성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혼합물은, 소결 필터의 기공 크기가 감소하고 기존 UHMWPE 분말이 20μ 초과의 기공 크기 및 적절한 부품 강도를 가진 필터를 생산할 수 없다는 점에서 여러 가지 단점이 있다. 대조적으로, 본 폴리에틸렌 분말은, 30μ 초과의 기공 크기에서 적절한 부품 강도를 나타내고 높은 유속에서 사용하는 동안 우수한 기공 크기 유지를 나타내는 침전물 필터의 설계를 용이하게 한다.
본 다공성 소결 물품의 다른 여과 응용 분야는 의료용 유체 여과, 예를 들어 인체 외부에서의 혈액 여과, 화학 및 의약품 제조 공정에서 고형물을 제거하기 위한 여과, 및 고형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한 유압 유체의 여과를 포함한다.
추가의 여과 실시형태에서, 본 폴리에틸렌 분말은 탄소 블록 필터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탄소 블록 필터는 약 5 중량% 내지 약 80 중량%, 일반적으로 약 15 중량% 내지 약 25 중량%의 열가소성 결합제와 혼합된 과립상 활성탄 입자로부터 생성된다. 혼합물을 일반적으로 중공(hollow) 원통 모양의 금형에 붓고 혼합된 재료를 최대한 조밀화하기 위해 압축한다. 그런 다음 결합제가 연화되거나 용융되어 탄소 입자가 서로 접착되는 지점까지 재료를 가열한다. 탄소 블록 필터는, 냉장고 등의 물 여과, 담배 연기에서 독성 유기 오염 물질 제거와 같은 공기 및 가스 여과, 유기 증기 마스크, 및 중력 흐름 여과 장치를 비롯한 다양한 응용 분야에 사용된다.
본 발명에 대한 상기 및 기타 수정 및 변형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되어 있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형태의 양태들은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상호교환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당업자는 전술한 설명이 단지 예일 뿐이고 첨부된 청구범위에 추가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라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23)
-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합체를 포함하는 중합체 입자를 함유하는 중합체 조성물로서,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합체는 약 200,000 g/mol 초과의 평균 분자량을 갖고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합체는 약 0.92 g/cm3 초과의 밀도(ISO 1183)를 가지며,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합체는 에틸렌 단량체로부터 형성되며, 이때 상기 에틸렌 단량체의 적어도 일부는 탄소 음성(carbon negative) 또는 탄소 중립(carbon neutral) 성분을 포함하거나 이로부터 유도되는, 중합체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은 약 500,000 g/mol 초과, 예를 들어 약 700,000 g/mol 초과, 예를 들어 약 1,000,000 g/mol 초과, 예를 들어, 약 1,300,000 g/mol 초과, 예를 들어 약 1,700,000 g/mol 초과, 예를 들어 약 2,000,000 g/mol 초과, 예를 들어 약 2,500,000 g/mol 초과, 예를 들어 약 3,000,000 g/mol 초과, 예를 들어 약 3,500,000 g/mol 초과, 예를 들어 약 4,000,000 g/mol 초과, 예를 들어 약 4,500,000 g/mol 초과, 예를 들어 약 5,000,000 g/mol 초과, 예를 들어 약 5,500,000 g/mol 초과, 예를 들어 약 6,000,000 g/mol 초과, 예를 들어 약 6,500,000 g/mol 초과, 예를 들어 약 7,000,000 g/mol 초과, 예를 들어 약 7,500,000 g/mol 초과, 예를 들어 약 8,000,000 g/mol 초과, 및 약 12,000,000g/mol 미만의 평균 분자량을 갖는, 중합체 조성물.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 단량체가 탄소 음성 또는 탄소 중립 성분으로부터 형성되는, 중합체 조성물.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음성 또는 탄소 중립 성분은 메탄을 포함하고,
상기 메탄은 아세틸렌을 형성하기 위한 열분해 또는 부분 산화 공정을 거치고, 상기 아세틸렌은 에틸렌으로 수소화되는, 중합체 조성물.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음성 또는 탄소 중립 성분이, 에틸렌으로 전환되는 에탄올을 포함하는, 중합체 조성물.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음성 또는 탄소 중립 성분이 식물성 오일 또는 동물성 지방을 포함하고, 상기 식물성 오일 또는 동물성 지방이 수첨탈산소화(hydrodeoxygenation)에 의해 에틸렌으로 전환되는, 중합체 조성물.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음성 또는 탄소 중립 성분이 톨 오일(tall oil)을 포함하고, 상기 톨 오일이 에틸렌으로 전환되는, 중합체 조성물.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입자가 약 10 마이크론 내지 약 1,000 마이크론의 평균 입자 크기 D50을 갖는, 중합체 조성물. -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합체가 지글러-나타 촉매작용된(Ziegler-Natta catalyzed) 것인, 중합체 조성물. -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합체가 약 0.2 g/cm3 내지 약 0.54 g/cm3의 벌크 밀도를 갖는, 중합체 조성물. -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합체이 약 0 g/10분 내지 약 10g/10분의 MFR을 갖는, 중합체 조성물. -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합체가, 에틸렌 및 헥센, 부텐, 프로필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공단량체의 폴리에틸렌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중합체 조성물. -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합체가 가교결합된 것인, 중합체 조성물. -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합체가 화석(fossil)-기반 에틸렌 단량체와 바이오(bio)-기반 에틸렌 단량체의 혼합물로부터 형성되는, 중합체 조성물. -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중합체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의료용 임플란트(medical implant).
-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중합체 조성물로 형성된 배터리 분리막(battery separator)으로서, 다공성 멤브레인(porous membrane)을 포함하는 배터리 분리막.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멤브레인은 코팅을 포함하고, 상기 코팅은 무기 코팅 또는 중합체 코팅을 포함하는, 배터리 분리막. - 애노드, 캐소드, 및 상기 애노드와 상기 캐소드 사이에 위치하는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정의된 배터리 분리막을 포함하는 배터리.
-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중합체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필터 부재(filter element)로서, 소결 제품(sintered product)을 포함하는 필터 부재.
-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합체를 포함하는 중합체 입자를 함유하는 중합체 조성물로서,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합체는 약 300,000 g/mol 초과의 평균 분자량을 갖고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합체는 약 0.92 g/cm3 초과의 밀도를 가지며,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합체는 에틸렌 단량체로부터 형성되며, 이때 상기 에틸렌 단량체의 적어도 일부는 바이오-기반 에틸렌을 포함하여,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합체가 ASTM 시험 D6866-21에 따라 시험될 때 총 유기 탄소 함량의 방사성탄소 연대 측정법을 기반으로 적어도 10%의 바이오-기반 함량을 갖는, 중합체 조성물.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합체가 100%의 바이오-기반 함량을 갖는, 중합체 조성물.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합체가 화석-기반 에틸렌 단량체와 바이오-기반 에틸렌 단량체의 혼합물로부터 형성되는, 중합체 조성물. - 제20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합체가 적어도 20%, 예를 들어 적어도 30%, 예를 들어 적어도 40%, 예를 들어 적어도 50%, 예를 들어 적어도 60%의 바이오-기반 함량을 갖고, 약 90% 미만, 예를 들어 약 80% 미만, 예를 들어 약 70% 미만의 바이오-기반 함량을 갖는, 중합체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202163272456P | 2021-10-27 | 2021-10-27 | |
US63/272,456 | 2021-10-27 | ||
PCT/US2022/047688 WO2023076238A1 (en) | 2021-10-27 | 2022-10-25 | Sustainable high density polyethylene and process for making sam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91086A true KR20240091086A (ko) | 2024-06-21 |
Family
ID=86056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47017714A KR20240091086A (ko) | 2021-10-27 | 2022-10-25 | 지속가능한 고밀도 폴리에틸렌 및 이의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20230126625A1 (ko) |
EP (1) | EP4423189A1 (ko) |
JP (1) | JP2024540075A (ko) |
KR (1) | KR20240091086A (ko) |
CN (1) | CN118510839A (ko) |
TW (1) | TW202328326A (ko) |
WO (1) | WO2023076238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097342A1 (en) * | 2022-11-03 | 2024-05-10 | Celanese International Corporation | Functionalized porous composites |
WO2024097343A1 (en) * | 2022-11-03 | 2024-05-10 | Celanese International Corporation | Functionalized porous composites containing chemical scavengers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2934599B1 (fr) * | 2008-07-29 | 2012-12-21 | Arkema France | Fabrication de polyethylene a partir de matieres renouvelables, polyethylene obtenu et utilisations |
FI121626B (fi) * | 2009-01-29 | 2011-02-15 | Stora Enso Oyj | Menetelmä olefiinisten monomeerien tuottamiseksi |
US9505680B2 (en) * | 2011-01-19 | 2016-11-29 |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the conversion of hydrocarbons into olefins |
CN113632293A (zh) * | 2019-03-25 | 2021-11-09 | 国际人造丝公司 | 由高分子量聚乙烯制备的注射成型的医疗器械 |
-
2022
- 2022-10-25 WO PCT/US2022/047688 patent/WO2023076238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2-10-25 EP EP22888041.5A patent/EP4423189A1/en active Pending
- 2022-10-25 JP JP2024525318A patent/JP2024540075A/ja active Pending
- 2022-10-25 CN CN202280086329.7A patent/CN118510839A/zh active Pending
- 2022-10-25 US US17/972,998 patent/US20230126625A1/en active Pending
- 2022-10-25 KR KR1020247017714A patent/KR20240091086A/ko unknown
- 2022-10-27 TW TW111140784A patent/TW202328326A/zh unkno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8510839A (zh) | 2024-08-16 |
TW202328326A (zh) | 2023-07-16 |
US20230126625A1 (en) | 2023-04-27 |
JP2024540075A (ja) | 2024-10-31 |
EP4423189A1 (en) | 2024-09-04 |
WO2023076238A1 (en) | 2023-05-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30126625A1 (en) | Sustainable High Density Polyethylene and Process For Making Same | |
KR20130059355A (ko) | 폴리에틸렌 분말 및 그로부터 제조된 다공성 제품 | |
US5019627A (en) | Injection-molding polyolefin composition | |
JP7417517B2 (ja) | ゲル押出物品を製造するためのポリマー組成物及びそれから製造されるポリマー物品 | |
KR20140074887A (ko) | 폴리에틸렌 첨가제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물품 | |
US10933593B2 (en) | Sintered and porous articles having improved flexural strength | |
US12100859B2 (en) | Reduced shutdown temperature membrane including HDPE particles and shutdown reducing additive and polymer composition for making the same | |
WO2022087889A1 (en) | Microporous membrane with enhanced electrolyte wettability | |
JP6331624B2 (ja) | 流動床用担体 | |
US20210340292A1 (en) | Copolymer Having A Reduced Shutdown Temperature and Articles Made With Same | |
US11814508B2 (en) | Gel extruded articles made from high density polyethylene with narrow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 |
US20240166830A1 (en) | Electrolysis Film | |
JP2024132403A (ja) | ポリオレフィン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体 | |
JP2023133171A (ja) | 架橋エチレン系重合体粒子、成形体、および成形体の製造方法 | |
CN118922993A (zh) | 聚合物组合物共混物及由其制成的膜 | |
CA1294733C (en) | Injection-molding polyolefin composition | |
CN116096804A (zh) | 聚合物组合物及由其制成的具有改善的机械强度的膜 | |
KR20110040830A (ko) | 바이오디젤 및 산소를 포함하는 액체 연료의 존재 하의 열산화성 분해에 대한 저항성이 개선된 에틸렌 중합체 및 그로 이루어진 플라스틱 연료 탱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