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86039A - 전기특장차의 전력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특장차의 전력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86039A
KR20240086039A KR1020220171169A KR20220171169A KR20240086039A KR 20240086039 A KR20240086039 A KR 20240086039A KR 1020220171169 A KR1020220171169 A KR 1020220171169A KR 20220171169 A KR20220171169 A KR 20220171169A KR 20240086039 A KR20240086039 A KR 202400860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cial equipment
electric
power
vehicle
spec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1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태봉
구득진
임인섭
차병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래이앤아이
주식회사 미래엠에스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래이앤아이, 주식회사 미래엠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래이앤아이
Publication of KR20240086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860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5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 B60L53/36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by positioning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61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electrical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92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with use of redundant elements for safety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5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 B60L53/37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rmination, e.g. using 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특장차의 전력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기특장차의 수평상태를 검출하는 센서부와, 상기 전기특장차의 주행상태를 검출하는 주행감지부와, 특장설비 제어기의 제어 입력이 있는 경우, 전기특장차의 수평상태와 주행상태를 검출하여, 수평상태이고 주행하지 않는 상태이면 특장설비에 전력을 공급하는 특장설비 전력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특장차의 전력 제어 장치{Power control device for electric special vehicles}
본 발명은 전기특장차의 전력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작업시전력 제어를 수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자동차의 개발 및 상용화와 함께 고소작업차, 사다리차 등의 특장차에도 전동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특히 특장차는 사람이 탑승하여 고소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고소작업차, 물건을 지상에서 고소 또는 고소에서 지상으로 운반하기 위한 사다리차 등 특정 작업을 위한 설비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처럼 장착된 설비의 구동을 위해서 전력이 소모될 수 있어 전력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종래 전기 특장차에 관한 기술로, 등록특허 10-2470084호(2022년 11월 18일 등록, 전기모터의 보호기능을 구비한 특장차량용 하이브리드 친환경 다목적 도로관리차)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다.
위의 등록특허는 전기모터를 포함하나 디젤 엔진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형의 특장차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으며, 순수 전기특장차에는 적용할 수 없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특장설비의 동작 여부를 확인하여 전력을 제어할 수 있는 전기특장차의 전력 제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특장차의 사고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특장차의 상태를 미리 확인하여, 안전이 확보된 상태에서만 특장설비가 가동될 수 있도록 하는 전기특장차의 전력 제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 전기특장차의 전력 제어 장치는, 전기특장차의 수평상태를 검출하는 센서부와, 상기 전기특장차의 주행상태를 검출하는 주행감지부와, 특장설비 제어기의 제어 입력이 있는 경우, 전기특장차의 수평상태와 주행상태를 검출하여, 수평상태이고 주행하지 않는 상태이면 특장설비에 전력을 공급하는 특장설비 전력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특장설비에 전력이 공급되는 동안, 전기특장차의 주행 요청이 있는 경우에도 모터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특장설비 전력공급부는, 상기 특장설비에 전력이 공급되는 동안, 상기 센서부의 검출결과를 주기적으로 입력받아, 수평상태가 아닌 경우 상기 특장설비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특장설비 전력공급부는, 상기 특장설비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기 이전에, 상기 특장설비를 원래의 위치로 원복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특장차의 전력 제어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전력 제어 장치의 동작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서 구성요소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크기를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며, 각 구성요소의 비율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는 위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위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표현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특장차의 전력 제어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 전기특장차의 전력 제어 장치는, 차량의 기울기를 검출하는 센서부(10)와, 전기특장차의 모터에 전력이 공급되는지 검출하는 주행감지부(20)와, 특장설비(50)를 동작 제어하는 특장설비 제어기(30)와, 상기 특장설비 제어기(30)로부터 제어 조작 명령이 있으면, 상기 센서부(10)의 검출결과 및 주행감지부(20)의 검출결과에 따라 특장설비(50)로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특장설비 전력공급부(40)와, 상기 특장설비 전력공급부(40)에서 특장설비(50)로 전력이 공급되는 동안 운전자의 운전 조작이 있는 경우에도 상기 모터에 전력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는 모터 전력공급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전기특장차의 전력 제어 장치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센서부(10)는 전기특장차에 설치되어 전기특장차의 수평상태를 확인한다.
상기 센서부(10)는 복수의 3축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기특장차의 여러 위치에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센서부(10)는 전기특장차의 수평상태의 정도를 검출하며, 검출 결과는 특장설비 전력공급부(40)로 제공되는 것으로 한다.
만약 센서부(10)에서 검출된 결과가 전기특장차가 수평이 맞지 않는 상태라고 하면, 상기 특장설비 전력공급부(40)는 특장설비(50)에 전력의 공급을 차단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는 수평이 맞지 않는 상태에서 사다리, 고소작업대 등이 고소로 전개되는 경우, 균형을 잃고 전복되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본 발명의 특장설비 전력공급부(40)는 전기특장차 자체의 수평상태를 확인하고, 수평의 수준이 일정 수준 내에 있는 경우에만 특장설비 전력공급부(40)를 통해 특장설비(50)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주행감지부(20)는 전기특장차가 주행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에 공급되는 전류를 검출할 수 있다. 주행감지부(20)는 전기특장차의 주행 상태를 감지하는 것으로 위의 모터에 공급되는 전류의 검출 외에 다른 검출수단을 사용하여 전기특장차의 주행 여부를 검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주행감지부(20)는 속도센서이거나, 차륜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주행감지부(20)는 다양한 수단을 사용하여 전기특장차가 주행 상태인지 확인할 수 있다.
전기특장차가 주행상태에서 특장설비(50)로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특장설비(50)의 동작에 의해 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특장설비 전력공급부(40)는 주행감지부(20)의 검출결과가 주행상태가 아닌 경우에만 특장설비(50)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기특장차가 주행상태에서 특장설비(50)로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행중 특장설비(50)가 전개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기특장차가 주행상태이거나, 수평이 설정된 수준을 벗어나는 경우 특장설비(50)로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여, 안전 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다른 경우로 특장설비(50)에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운전자가 주행 조작을 하는 경우, 모터 전력공급부(60)는 모터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여 전기특장차가 주행할 수 없도록 제어한다.
또한, 특장설비(50)에 전력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상기 센서부(10)에서 검출된 전기특장차의 수평 상태가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특장설비 전력공급부(40)는 전개된 특장설비(50)를 자동으로 접어 초기상태로 만드는 제어를 수행한 후, 제어가 완료되면 특장설비(50)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전력 제어 장치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력 제어 장치는, 특장설비 제어기(30)의 리모트 콘트롤 제어 명령이 입력되면 특장설비 전력공급부(40)에서 주행감지부(20)의 검출 결과를 확인하여 주행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S10)와, 주행상태이면 특장설비(50)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차단상태를 유지하는 단계(S20)와, 주행상태가 아니면 상기 센서부(10)의 검출결과가 적합한 수평상태인지 확인하여 수평상태가 아니면 S20단계를 유지하는 단계(S30)와, S30단계의 판단결과 수평상태이면 특장설비(50)에 전력을 공급하여 특장설비(50)를 가동하는 단계(S40)와, 상기 특장설비(50)의 가동 중 주기적으로 상기 센서부(10)의 검출 결과를 확인하여 적합한 수평상태인지 확인하는 단계(S50)와, 수평상태가 아니면 특장설비(50)를 원위치로 복원하고 전력의 공급을 차단하는 단계(S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작용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S10단계에서는 작업자가 특장설비 제어기(30)를 조작하여 특장설비(50)를 제어하려고 할 때, 상기 특장설비 전력공급부(40)는 현재 전기특장차가 주행상태인지 확인한다.
즉, 리모트 콘트롤러인 특장설비 제어기(30)의 조작에 의해 즉시 전원을 공급하지 않고, 주행감지부(20)의 검출 결과를 확인하여 주행상태인지 판단한다.
주행감지부(20)의 검출 결과가 주행상태인 경우, 특장설비 제어기(30)의 오조작으로 판단하여 특장설비 전력공급부(40)는 특장설비(50)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S20단계의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S10단계의 판단결과 주행상태가 아니면, S30단계와 같이 상기 특장설비 전력공급부(40)는 상기 센서부(10)의 검출결과가 적합한 수평상태인지 확인한다.
즉, 전기특장차가 수평상태를 유지하고 있는지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따라 전력의 공급을 제어한다. 이때 전력의 공급원은 배터리인 것으로 한다.
상기 S30단계의 판단결과 적정한 수평상태가 아니면 상기 S20단계를 유지한다.
S30단계의 판단결과 수평상태이면, S40단계와 같이 특장설비 전력공급부(40)는 특장설비(50)에 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특장설비 제어기(30)의 조작에 따라 특장설비(50)가 운전되는 상태가 되도록 한다. 즉, 특장설비(50)를 가동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전기특장차의 주행 조작이 있더라도, 모터 전력공급부(60)에서 모터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한 상태를 유지한다.
그 다음, S50단게에서 상기 특장설비 전력공급부(40)는 특장설비(50)에 전력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주기적으로 상기 센서부(10)의 검출 결과를 확인하여 적합한 수평상태인지 확인한다.
S50단계의 판단결과 수평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면, 특장설비(50)에 계속 전력을 공급하고, 수평상태를 유지하지 못하면 S60단계와 같이 특장설비(50)를 원위치로 복원하고 전력의 공급을 차단한다.
이는 특장설비(50)의 운전 중 강한 바람이나 외부 충격에 의해 전기특장차가 정해진 정도의 수평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 더 이상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 안전을 위해 전개된 특장설비(50)를 접어 원래의 위치로 원복시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센서부 20:주행감지부
30:특장설비 제어기 40:특장설비 전력공급부
50:특장설비 60:모터 전력공급부

Claims (4)

  1. 전기특장차의 수평상태를 검출하는 센서부;
    상기 전기특장차의 주행상태를 검출하는 주행감지부; 및
    특장설비 제어기의 제어 입력이 있는 경우, 전기특장차의 수평상태와 주행상태를 검출하여, 수평상태이고 주행하지 않는 상태이면 특장설비에 전력을 공급하는 특장설비 전력공급부를 포함하는 전기특장차의 전력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장설비에 전력이 공급되는 동안, 전기특장차의 주행 요청이 있는 경우에도 모터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모터 전력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전기특장차의 전력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장설비 전력공급부는,
    상기 특장설비에 전력이 공급되는 동안,
    상기 센서부의 검출결과를 주기적으로 입력받아, 수평상태가 아닌 경우 상기 특장설비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특장차의 전력 제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특장설비 전력공급부는,
    상기 특장설비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기 이전에,
    상기 특장설비를 원래의 위치로 원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특장차의 전력 제어 장치.

KR1020220171169A 2022-12-09 전기특장차의 전력 제어 장치 KR20240086039A (k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86039A true KR20240086039A (ko) 2024-06-18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2252B1 (ko) 전동 차량의 무인가 배터리 교환시 대책 장치
US11427212B2 (en) Autonomous driving control system for vehicle
US10800278B2 (en) Vehicle low-voltage energy system control
JP4407430B2 (ja) 自動車
US10835428B2 (en) Integrated systems for passenger bus
JP2003517340A (ja) 個人用乗物のための故障許容設計
US8983698B2 (en) In-vehicle apparatus for detecting collision of vehicle
JP5010288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WO2006059751A1 (ja) 非常電源装置
JP4875368B2 (ja) 車両電力分配システム
US10155448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n isolated HV circuit
CN104662284B (zh) 动力系控制系统
CN105579323B (zh) 轨道车辆的运行
KR20240086039A (ko) 전기특장차의 전력 제어 장치
CN102596615B (zh) 电力驱动式车辆
JP4674569B2 (ja) 電気自動車の電力供給制御装置
CN112193196B (zh) 车辆
US20040256168A1 (en) Control system of self propellered industrial machine
JP3788411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補機駆動制御装置
KR20190081099A (ko) 산업차량의 엔진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JPH10194007A (ja) 車両衝突時の電力供給遮断装置
KR100257838B1 (ko)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고장시 비상 제어방법
CN110920800A (zh) 一种超控系统
JPH06245323A (ja) 電気自動車用エンジン駆動発電機の制御装置
US20060200288A1 (en) Rollover determining apparat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