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84790A - 휴대용 유해가스 자동 배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캠핑 시스템 - Google Patents

휴대용 유해가스 자동 배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캠핑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84790A
KR20240084790A KR1020220169468A KR20220169468A KR20240084790A KR 20240084790 A KR20240084790 A KR 20240084790A KR 1020220169468 A KR1020220169468 A KR 1020220169468A KR 20220169468 A KR20220169468 A KR 20220169468A KR 20240084790 A KR20240084790 A KR 202400847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harmful gas
exhaust device
portable
autom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9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추주성
Original Assignee
추주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주성 filed Critical 추주성
Priority to KR1020220169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84790A/ko
Publication of KR20240084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84790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2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E04H15/10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 E04H15/14Ventil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66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유해가스 자동 배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캠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가 간편하면서도 실내의 유해가스를 감지함과 동시에 이를 자동으로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하여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수면 중 또는 장시간 동안의 실내생활 중 캠핑족들을 유해가스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유해가스 자동 배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캠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용 유해가스 자동 배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캠핑 시스템{Portable harmful gas automatic discharge device and camping system equipped with the same}
본 발명은 휴대용 유해가스 자동 배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캠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가 간편하면서도 실내의 유해가스를 감지함과 동시에 이를 자동으로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하여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수면 중 또는 장시간 동안의 실내생활 중 캠핑족들을 유해가스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유해가스 자동 배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캠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여가활동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근래에는 종전과 달리 코로나의 확산으로 인해 자유로운 해외여행이 제한되고 있으므로, 가족끼리 또는 동료나 친구들끼리 야외에서 즐기는 캠핑문화가 점차 활발해지고 있으며, 혼자서도 즐길 수 있는 낚시나 등산 등을 취미로 하는 사람들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그에 따라, 가장 대표적인 캠핑 방식 중 하나인 텐트는 물론, 차에서 잠을 자는 차박이나, 혼자서 야영을 즐기는 솔캠(solo camping) 관련 용품들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이, 캠핑, 차박 등의 야외활동을 즐기는 인구가 늘어나면서 안전사고의 발생 위험 또한 커지고 있는데, 이러한 안전사고의 30% 이상이 화상 또는 중독과 관련된 사고이다.
즉, 겨울철 등 실외 기온이 떨어지는 경우 실내 온도 유지를 위해 난방기구를 사용하게 되는데, 기름이나 가스로 난방할 경우 불완전연소로 인해 일산화탄소가 많이 발생한다. 무색무취의 특성을 갖는 일산화탄소는 실내에서 확인이 불가능하므로 텐트나 차 안에서 취침하는 도중 일산화탄소에 중독되는 사례들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최근 들어, 이와 같은 일산화탄소 중독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다양한 휴대용 일산화탄소 감지장치들이 출시되고 있는데, 일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2-0148064호에는 가스누설 경보기 내장 캠프용 램프가 게재되어 있다.
즉, 상기 종래기술은 캠핌용 램프에 일산화탄소 가스를 감지하여 경보 발생 신호 및 비상 출동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가스누설 경보기를 구비하여 조기에 가스누설을 감지하여 경보할 수 있도록 한 것에 기술적 특징이 있으나, 상기 종래기술을 포함한 종래의 일산화탄소 감지장치들은 단순히 일산화탄소의 누출을 감지하여 경보신호를 발생시키는 기능 만을 가지고 있으므로, 경보신호를 인지하지 못하거나, 늦게 인지하는 경우 중독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겨울철 캠핑이나 차박시 일정시간마다 주기적으로 환기를 시키거나 취침시에는 환기를 위해 문 또는 창문을 열어 두어야 하는데, 너무 조금 열게 되면 환기 효과가 미비하여 유해가스의 배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고, 너무 많이 열게 되면 실내온도가 너무 떨어지게 되는 등의 단점이 있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2-0148064호(2022. 11. 04.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유해가스의 감지 기능과 배출 기능을 동시에 구비하여 실내 유해가스 감지시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유해가스 자동 배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캠핑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가 간편하고 소형 경량화된 구조로 인해 일반적인 텐트는 물론 최근 트렌드인 차박이나 솔캠 등 좁은 공간에서도 제약없이 사용이 가능한 휴대용 유해가스 자동 배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캠핑 시스템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해가스 자동 배출 장치와 연결되는 유해가스 배출구를 별도로 마련하여 겨울철 차가운 외기의 유입을 최소화하면서도 실내에서 발생된 유해가스를 안정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휴대용 유해가스 자동 배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캠핑 시스템을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서로 대향되는 면에 형성되는 공기유입구와 공기배출구를 포함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공기 중에 포함된 유해가스를 감지하는 센서모듈과,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유입구로부터 공기배출구 방향으로의 공기흐름을 발생시키는 송풍모듈 및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송품 모듈의 작동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다리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리부재는 각도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스트랩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는, 상기 센서모듈에 의해 측정되는 유해가스의 농도에 따라 경보신호를 발생시키는 경보발생모듈과, 상기 자동 배출 장치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모듈 및 상기 센서모듈에 의해 측정되는 유해가스 농도 및 전원모듈의 잔량을 본체부의 외측에 표시하는 표시모듈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유해가스 자동 배출 장치를 구비한 캠핑 시스템은, 내측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를 고정하기 위한 폴대 및 상기 본체의 측면 하부에 설치되는 스커트를 포함하는 텐트와, 상기 텐트의 내부에 설치되는 휴대용 유해가스 자동 배출 장치와,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가스배출부 및 상기 유해가스 자동 배출 장치의 공기배출구에 일측 단부가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가스배출부를 통해 텐트의 외부로 돌출되는 유해가스 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가스배출부는 본체에 형성되는 관통공과, 상기 관통공을 커버하도록 하여 본체의 내측에 개폐 가능한 형태로 구비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통공은 유해가스 배출관의 외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에는 내측으로 삽입되는 유해가스 배출관의 외측면을 지지하기 위한 보강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스커트의 하단부는 본체 방향으로 절곡되어 본체 하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스커트의 하단부는 벨크로테이프, 똑딱단추 또는 지퍼 중의 어느 하나의 수단에 의해 본체 하단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해가스의 감지 기능과 배출 기능을 동시에 구비하여 실내 유해가스 감지시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스중독이나 화재 등 불필요한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가 간편하고 소형 경량화된 구조로 인해 범용성이 뛰어나면서도, 사용자들의 깊은 수면상태나 항거불능 상태에 빠진 경우는 물론 악천후 등의 상황에서도 유해가스의 발생 감지와 배출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들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실내에서 발생된 유해가스를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차가운 외부 공기의 실내 유입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겨울철 불필요한 난방의 사용을 줄일 수 있고, 그에 따라 안전사고의 발생 위험을 더욱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유해가스 자동 배출 장치의 전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유해가스 자동 배출 장치의 후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유해가스 자동 배출 장치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유해가스 자동 배출 장치가 구비된 캠핑 시스템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에 나타낸 본 발명 중 텐트에 구비되는 가스배출부의 구성을 세부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의 (a) ~ (c)는 도 4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스커트 하단과 본체의 다양한 결합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
도 7은 도 4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스커트 하단과 본체 결합상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유해가스 자동 배출 장치의 구동에 따른 텐트 내부의 유해가스 농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유해가스 자동 배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캠핑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유해가스 자동 배출 장치의 전면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유해가스 자동 배출 장치의 후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유해가스 자동 배출 장치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유해가스 자동 배출 장치가 구비된 캠핑 시스템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도 4에 나타낸 본 발명 중 텐트에 구비되는 가스배출부의 구성을 세부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의 (a) ~ (c)는 도 4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스커트 하단과 본체의 다양한 결합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며, 도 7은 도 4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스커트 하단과 본체 결합상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유해가스 자동 배출 장치의 구동에 따른 텐트 내부의 유해가스 농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휴대가 간편하면서도 실내의 유해가스를 감지함과 동시에 이를 자동으로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하여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수면 중 또는 장시간 동안의 실내생활 중 캠핑족들을 유해가스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유해가스 자동 배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캠핑 시스템(10)에 관한 것으로,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유해가스 자동 배출 장치(100)(이하, '자동 배출 장치(100)'라 한다)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110)와, 센서모듈(130), 송풍모듈(140) 및 제어모듈(18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본체부(110)는 자동 배출 장치(100)의 외형을 이루는 구성으로, 중공의 일반적인 케이싱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본체부(110)는 육면체를 포함하는 일반적인 입체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인테리어 효과를 부여하기 위하여 구 형상이나 기타 다양한 입체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본체부(110)의 서로 대향되는 면에는 각각 공기유입구(112)와 공기배출구(114)가 형성될 수 있는데,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110)가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공기유입구(112)는 본체부(110)의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공기배출구(114)는 본체부(110)의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공기유입구(112)와 공기배출구(114)는 실내에 기설정된 농도 이상의 유해가스가 감지되는 경우, 유해가스가 포함된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본체부(110)의 내측에 구비되는 후술할 송풍모듈(140)의 구동에 의해 실내 공기가 공기유입구(112)를 통해 본체부(110) 내부로 유입되고, 공기배출구(114) 및 상기 공기배출구(114)에 연결 설치되는 유해가스 배출관(300)을 통해 실외로 배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공기유입구(112)와 공기배출구(114)의 사이에 위치되는 본체부(110)의 내측에는 공기유입구(112)를 통해 본체부(110) 내측으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 또는 유해물질을 걸러내거가 정화시키기 위한 필터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10)의 외측면에는 스트램(116)이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스트램(116)은 본체부(110)를 지면에 설치하기 어려운 경우 또는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상 떨어진 높이에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등에 본체부(110)를 고정 또는 지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일반적으로 캠핑장에서 발생되는 중독사고의 원인이 되는 일산화탄소는 공기 보다 약간 가볍기 때문에 지면 보다는 공중에서 보다 잘 검출되고, 실내 일산화탄소의 배출 또한 지면 등의 바닥 보다는 공중에서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스트램(116)을 이용하여 본체부(110)를 텐트(200) 내부의 폴대(220)나 차량 내부의 특정 위치에 고정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110)의 하부에는 다리부재(118)가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다리부재(118) 또한 본체부(110)가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상 설치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지면이 평평하지 못한 곳에서도 본체부(110)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다리부재(118)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으로 분리 구성될 수 있는데, 각각의 다리부재(118)는 각도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지면 또는 바닥면의 형상에 관계 없이 본체부(1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본체부(110)의 설치 높이를 임의로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리부재(118)는 스테인리스 등의 재질로 형성시킴으로써 본체부(110)의 보다 견고한 지지가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부(110)의 내측에는 센서모듈(130), 송풍모듈(140) 및 제어모듈(180) 등이 구비될 수 있는데, 먼저, 상기 센서모듈(130)은 본체부(110)의 내측에 구비되어 공기 중에 포함된 유해가스를 감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산화탄소 감지센서 등 다양한 공지의 유해가스 감지센서가 센서모듈(130)로 사용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송풍모듈(140)은 본체부(110)의 내측에 구비되어 실내 공기를 빨아들여 배출하는 방향으로의 공기 흐름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송풍팬(미도시)과, 상기 송풍팬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제어모듈(180)은 송풍모듈(140)을 포함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배출 장치(100)의 구동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먼저 상기 센서모듈(130)에 의해 측정되는 유해가스의 농도에 따라 송풍모듈(140)의 구동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일산화탄소의 경우 유럽연합과 미국은 일산화탄소 경보기의 최저 경보 농도 기준을 각각 50ppm과 70ppm으로 규정하고 있고, 대한민국의 경우 250ppm으로 규정하고 있는데, 이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어모듈(180)에 의한 송풍모듈(140)의 구동 조건을 약 50 ~ 250 ppm의 범위 내에서 설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센서모듈(130)에 의해 이산화탄소 등 다른 유해가스의 감지가 가능한 경우 각 유해가스별 송풍모듈(140)의 구동 기준을 제어모듈(180)에 설정하여 센서모듈(130)에 의해 측정되는 실내 공기 중의 유해가스가 설정된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제어모듈(180)의 제어에 의해 송풍모듈(140)이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풍모듈(140)의 구동에 의해 실내 공기 중의 유해가스 농도가 설정된 기준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모듈(180)에 의해 송풍모듈(140)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모듈(130)에는 온도센서나 연기센서가 더 포함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온도센서 또는 연기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실내 온도 또는 연기 발생 정도에 따라 제어모듈(180)에서 송풍모듈(140)의 구동 여부를 제어하도록 하거나 후술할 경보발생모듈(150)을 통해 경보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배출 장치(10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10)의 내측에 구비되는 경보발생모듈(150)과 전원모듈(160) 및 표시모듈(120)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먼저 상기 경보발생모듈(150)은 센서모듈(130)에 의해 측정되는 실내 유해가스의 농도에 따라 경보신호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제어모듈(180)은 기설정된 송풍모듈(140)의 구동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송풍모듈(140)을 구동시킴과 동시에 경보발생모듈(150)을 통해 경보음 등의 경보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어모듈(180)을 이용하여 송풍모듈(140)의 구동 조건과, 경보발생모듈(150)의 경보 발생 조건을 각각 다르게 설정할 수도 있으며, 상기 경보발생모듈(150)에 의한 경보신호의 발생은 사용자에 의해 정지 버튼이 눌리지 않는 한 지속적으로 경보신호가 발생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전원모듈(160)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배출 장치(100)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외부 전원의 공급이 쉽지 않은 캠핑장 등의 환경을 고려하여 배터리 또는 충전지 등에 의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10)의 후면부에는 배터리 투입구(117)가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 투입구(117)를 통해 배터리 또는 충전지를 삽입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모듈(160)로 충전지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충전지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모듈(170)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충전모듈(170)로는 통상의 USB 포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다음, 상기 표시모듈(120)은 사용자가 센서모듈(130)에 의해 측정된 유해가스의 농도, 실내 온도 등과, 전원모듈(160)을 구성하는 배터리 또는 충전지의 잔량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LED 등의 조명장치를 이용하여 본체부(110)의 전면 등에 상기 내용들을 현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부(110)의 전면 전체 또는 일부를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하고, 상기 표시모듈(120)에 제어모듈(180)에 의해 제어가 가능한 조명장치(미도시)를 추가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배출 장치(100)를 무드등과 같은 조명 역할로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110)의 상단에는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배출 장치(100)를 수동으로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버튼부(115)가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버튼부(115)에는 전원버튼, 송풍모듈 on/off 버튼, 표시모듈 설정버튼, 경보발생모듈 on/off 버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송풍모듈 on/off 버튼은 겨울철 실내공기의 환기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데, 회전식으로 구성하여 송풍모듈(140)의 구동 세기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모듈 설정버튼을 회전식으로 구성하여 실내 조명의 세기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경보발생모듈 on/off 버튼 또한 회전식으로 구성하여 경보음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배출 장치(100)에 의하면, 유해가스의 감지 기능과 배출 기능을 동시에 구비하여 실내 유해가스 감지시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스중독이나 화재 등 불필요한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휴대가 간편하고 소형 경량화된 구조로 인해 범용성이 뛰어나면서도, 사용자들의 깊은 수면상태나 항거불능 상태에 빠진 경우는 물론 악천후 등의 상황에서도 유해가스의 발생 감지와 배출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들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등의 다양한 장점을 갖는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유해가스 자동 배출 장치(100)를 구비한 캠핑 시스템(10)(이하, '캠핑 시스템(10)'이라 한다)은,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자동 배출 장치(100)를 캠핑이나 차박시 사용되는 텐트(200), 천막, 차량 등의 내부에 설치하여 실내에서의 유해가스 감지시 이를 자동으로 실외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캠핑 시스템(10)에 관한 것으로, 캠핑시 가장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텐트(200)를 기준으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캠핑 시스템(10)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캠핑 시스템(10)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텐트(200), 자동 배출 장치(100) 및 유해가스 배출관(30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텐트(200)는 본체(210), 폴대(220) 및 스커트(230)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본체(210)는 내부에 사용자가 휴식할 수 있도록 하는 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바닥면을 포함하는 돔 형상 또는 기둥 형상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입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방수성을 갖는 시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 상기 폴대(220)는 본체(210)에 결합되어 본체(210)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골조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러한 폴대(220)에 의해 지지되는 본체(210)의 가장자리나 모서리 부분에 로프로 묶고 앵커 등을 이용하여 지면에 고정시키는 방법 등에 의해 텐트(200)를 지면에 고정 설치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본체(210)나 폴대(220)의 구성은 기존에 공지된 다양한 종류들이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권리로서 청구하고자 하는 바가 아니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 상기 스커트(230)는 본체(210)의 측면 하부에 설치되어 본체(210)의 하부에 빗물이 튀거나 본체(210)를 통해 흘러내리는 빗물이 본체(2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과 동시에 겨울철 찬 외부 공기가 텐트(200) 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스커트(230)의 상단부는 본체(210)의 측면 하부에 봉제 등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거나 벨크로테이프 등에 의해 착탈 가능한 형태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스커트(230)의 하단부는 본체(210)와 분리되어 지면 상에 위치되며, 스커트(230)의 길이는 스커트(230)와 본체(210) 사이의 상단 결합부로부터 지면까지의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된다.
다음, 상기 자동 배출 장치(100)는 텐트(200)의 본체(210) 내부에 설치되어 본체(210) 내부에서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본체(210)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세부적인 구성 및 작용효과는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 상기 유해가스 배출관(300)은 자동 배출 장치(100)로부터 배출되는 실내 공기, 즉 본체(210) 내부의 공기를 본체(21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비교적 가벼우면서도 변형 및 설치각도의 조정이 용이한 통상의 자바라 형태의 주름관이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유해가스 배출관(300)의 일측 단부는 자동 배출 장치(100)의 본체부(110)에 형성되는 공기배출구(114)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텐트(200)의 본체(210)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됨으로써 자동 배출 장치(100)에 의해 흡입되는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텐트(20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유해가스 배출관(300)의 타측 단부는 수직 또는 일정 각도 이상으로 절곡되도록 하여 유해가스 배출관(300)을 통해 텐트(200) 외부의 공기가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유해가스 배출관(300)의 타측 단부를 1개 이상의 절곡관을 포함하는 2개 이상의 관으로 분리 구성하여 타측 단부가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진 유해가스 배출관(300)의 설치 및 해체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유해가스 배출관(300)의 내부에 체크밸브 등 역류방지수단(미도시)을 설치하여 겨울철 차가운 외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텐트(200)의 본체(210)에는 유해가스 배출관(300)이 통과될 수 있도록 하는 가스배출부(250)가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가스배출부(250)는 개폐가 가능한 이중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유해가스 배출관(300)의 타측 단부가 텐트(200)의 외부에 위치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본체(210)의 일부를 잘라내는 것이 필수적으로 필요한데, 이러한 경우 잘라낸 부분을 통해 겨울철 차가운 외부 공기가 실내로 유입될 수 밖에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스배출부(25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210)에 형성되는 관통공(254)과, 상기 관통공(254)을 커버하기 위한 커버부재(252)를 포함하는 이중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관통공(254)은 본체(210)에 형성되어 그 내측으로 유해가스 배출관(300)이 통과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관통공(254)의 직경은 유해가스 배출관(300)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통공(254)에는 링 형상의 보강부재(256)가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보강부재(256)는 내경이 유해가스 배출관(300)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내측으로 삽입 관통되는 유해가스 배출관(300)의 결합상태를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음은 물론, 본체(210)의 관통공(254)이 형성된 부분이 찢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256)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유해가스 배출관(300)의 외측면과의 밀착력이 향상되도록 함으로써 보강부재(256)와 유해가스 배출관(300) 사이의 공간을 통해 차가운 외부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본체(210)를 이용하여 보강부재(256)를 감싸도록 한 상태에서 봉제함으로써 보강부재(256)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함과 동시에 보강부재(256)와 유해가스 배출관(300) 사이의 마찰력을 줄여 유해가스 배출관(300)의 설치 및 해체 작업이 보다 용이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다음, 상기 커버부재(252)는 관통공(254)이 형성되는 본체(210)의 내측에 개폐 또는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관통공(254)을 커버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유해가스 배출관(300)을 설치하는 않는 경우 관통공(254)을 통해 외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상기 커버부재(252)는 관통공(254)에 비해 넓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어 본체(210)의 내측에 개폐 또는 착탈 가능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는데, 상기 커버부재(252)의 결합수단(258)으로는 지퍼(258a)나 벨크로테이프(258b)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유해가스 배출관(300)이 설치되지 않는 경우에는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재(252)가 본체(210)의 내측에 결합되어 외부 공기의 유입을 차단시키고, 유해가스 배출관(300)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도 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퍼(258a) 또는 벨크로테이프(258b)에 의해 결합된 커버부재(252)를 본체(210)로부터 분리하여 관통공(254)을 통해 유해가스 배출관(300)을 본체(210) 외부로 통과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캠핑 시스템(10)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스커트(230)의 하단부를 본체(210) 방향으로 절곡시켜 본체(210) 하단부에 결합시킬 수 있는데, 이러한 구성에 의해 바람에 의한 스커트(230)의 들뜸이나 펄럭거림을 방지함으로써 본체(210) 하단부, 즉 그라운드를 통한 찬 외부 공기 또는 빗물 등의 유입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다.
즉, 종래의 텐트에 구비된 스커트는 그 하단부가 본체(210)와 분리되어 있어 바람에 의해 펄럭거리므로 겨울철 외부의 찬 공기가 본체(2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키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본체(210) 하단을 통해 스며드는 빗물을 완벽히 차단하기 어려우므로, 스커트 설치 후 모래 주머니 등의 별도의 도구 등을 이용하여 스커트 하단을 별도로 고정시켜야 했던 것임에 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스커트(230)의 하단부를 본체(210)의 하단부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부의 찬 공기나 빗물이 본체(210) 하단부를 통해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스커트(230)의 하단부를 접착수단을 이용하거나 봉제 등의 방법에 의해 본체(210) 하단부, 즉 본체(210)의 바닥면 가장자리부에 일체로 접합시킬 수 있는데, 이 경우 스커트(230)의 상단부는 본체(210)의 측면 하부에 착탈 가능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본체(210)의 측면 하단부에는 본체(210)로부터 분리된 스커트(230)의 상단부를 말아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주머니 형상의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커트(230)의 하단부는 착탈수단(240)에 의해 본체(210) 하단부에 착탈 가능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는데, 상기 착탈수단(240)으로는 벨크로테이프(242), 똑딱단추(244) 또는 지퍼(246)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6의 (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스커트(230)의 하단부 내측에 소정의 간격으로 암 또는 수 벨크로테이프(242) 또는 똑딱단추(244)를 설치하고, 본체(210)의 하단부, 즉 본체(210)의 외측 바닥면 가장자리부에 스커트(230)의 벨크로테이프(242) 또는 똑딱단추(244)와 결합될 수 있는 수 또는 암 벨크로테이프(242) 또는 똑딱단추(244)를 설치함으로써 스커트(230)의 하단부가 본체(210)의 하단에 착탈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6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스커트(230)의 하단부와 본체(210)의 외측 바닥면 가장자리부에는 지퍼(246)가 설치되어 스커트(230)의 하단부를 지퍼(246) 구조에 의해 착탈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210)의 측면 하단부에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삽입홈(218)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삽입홈(218)은 그 내측으로 스커트(230)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본체(210)의 외측 바닥면에 벨크로테이프(242), 똑딱단추(244) 또는 지퍼(246) 등의 착탈수단(240)이 구비되는 경우 본체(210)가 설치되는 지면과의 접촉 또는 마찰 등에 의해 착탈수단(240)에 이물질이 묻거나 훼손될 위험이 높으므로, 본체(210)의 측면 하단부를 내측으로 절첩시켜 스커트(230)의 하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삽입홈(218)을 형성시킴으로써 지면과의 접촉에 의한 착탈수단(240)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스커트(230)의 하단에 구비된 벨크로테이프(242), 똑딱단추(244) 또는 지퍼(246) 등의 착탈수단(240)에 대응되는 착탈수단(240)을 본체(210)의 삽입홈(218) 내측에 설치하고, 본체(210)를 지면 상에 설치한 상태에서 스커트(230)의 하단부를 삽입홈(218)의 내측으로 삽입시켜 착탈수단(240)을 서로 결합시키면 스커트(230)의 하단부가 본체(210)에 고정되면서도 착탈수단(240)이 지면과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으므로 착탈수단(240)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본체(210)의 삽입홈(218) 내측에서 스커트(230)의 하단부를 결합시키는 경우, 본체(210)의 바닥면 테두리 부분이 최소 3겹 이상의 보강 구조를 형성하게 되므로, 외부의 찬 공기나 빗물이 본체(210) 하단부를 통해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유해가스 배출관(300)의 타측 단부가 스커트(230)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야 하는 경우, 전술한 본체(210)에 형성된 가스배출부(250)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가스배출부가 스커트(230)에도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캠핑 시스템(10)에 의한 유해가스 제거 효과를 테스트한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자동 배출 장치(100)의 구동에 따른 텐트(200) 내부의 유해가스 농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즉, 등유난로, 숯불 및 가스버너를 이용하여 텐트(200) 내부에서 난방 및 취사환경을 조성한 다음, 일정 시간 후 최초 일산화탄소(CO) 농도를 측정하였고, 텐트(200) 내부에 설치된 자동 배출 장치(100)의 구동에 따른 일산화탄소의 농도 변화를 관측하였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초 일산화탄소 농도는 48ppm으로 측정되었고, 자동 배출 장치(100)를 구동시킨 후 일산화탄소 농도가 점점 감소하여 약 10분 후에는 일산화탄소가 완전히 제거되어 이후 일산화탄소 농도가 0ppm을 유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캠핑 시스템(10)에 의하면, 실내에서 발생된 유해가스를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차가운 외부 공기의 실내 유입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겨울철 불필요한 난방의 사용을 줄일 수 있고, 그에 따라 안전사고의 발생 위험을 더욱 저감시킬 수 있는 등의 다양한 장점을 갖는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본 발명은 휴대용 유해가스 자동 배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캠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가 간편하면서도 실내의 유해가스를 감지함과 동시에 이를 자동으로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하여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수면 중 또는 장시간 동안의 실내생활 중 캠핑족들을 유해가스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유해가스 자동 배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캠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10 : 캠핑 시스템 100 : 자동 배출 장치
110 : 본체부 112 : 공기유입구
114 : 공기배출구 115 : 버튼부
116 : 스트랩 117 : 배터리 투입구
118 : 다리부재 120 : 표시모듈
130 : 센서모듈 140 : 송풍모듈
150 : 경보발생모듈 160 : 전원모듈
170 : 충전모듈 180 : 제어모듈
200 : 텐트 210 : 본체
218 : 삽입홈 220 : 폴대
230 : 스커트 240 : 착탈수단
242, 258b : 벨크로테이프 244 : 똑딱단추
246, 258a : 지퍼 250 : 가스배출부
252 : 커버부재 254 : 관통공
256 : 보강부재 258 : 결합수단
300 : 유해가스 배출관

Claims (9)

  1. 서로 대향되는 면에 형성되는 공기유입구와 공기배출구를 포함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공기 중에 포함된 유해가스를 감지하는 센서모듈과,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유입구로부터 공기배출구 방향으로의 공기흐름을 발생시키는 송풍모듈 및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송품 모듈의 작동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유해가스 자동 배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다리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유해가스 자동 배출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재는 각도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유해가스 자동 배출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스트랩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유해가스 자동 배출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는,
    상기 센서모듈에 의해 측정되는 유해가스의 농도에 따라 경보신호를 발생시키는 경보발생모듈과,
    상기 자동 배출 장치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모듈 및
    상기 센서모듈에 의해 측정되는 유해가스 농도 및 전원모듈의 잔량을 본체부의 외측에 표시하는 표시모듈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유해가스 자동 배출 장치.
  6. 내측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를 고정하기 위한 폴대 및 상기 본체의 측면 하부에 설치되는 스커트를 포함하는 텐트와,
    상기 텐트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 1항 내지 제 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휴대용 유해가스 자동 배출 장치와,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가스배출부 및
    상기 유해가스 자동 배출 장치의 공기배출구에 일측 단부가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가스배출부를 통해 텐트의 외부로 돌출되는 유해가스 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유해가스 자동 배출 장치를 구비한 캠핑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배출부는 본체에 형성되는 관통공과, 상기 관통공을 커버하도록 하여 본체의 내측에 개폐 가능한 형태로 구비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유해가스 자동 배출 장치를 구비한 캠핑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은 유해가스 배출관의 외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에는 내측으로 삽입되는 유해가스 배출관의 외측면을 지지하기 위한 보강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유해가스 자동 배출 장치를 구비한 캠핑 시스템.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의 하단부는 본체 방향으로 절곡되어 본체 하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스커트의 하단부는 벨크로테이프, 똑딱단추 또는 지퍼 중의 어느 하나의 수단에 의해 본체 하단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유해가스 자동 배출 장치를 구비한 캠핑 시스템.
KR1020220169468A 2022-12-07 2022-12-07 휴대용 유해가스 자동 배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캠핑 시스템 KR202400847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9468A KR20240084790A (ko) 2022-12-07 2022-12-07 휴대용 유해가스 자동 배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캠핑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9468A KR20240084790A (ko) 2022-12-07 2022-12-07 휴대용 유해가스 자동 배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캠핑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84790A true KR20240084790A (ko) 2024-06-14

Family

ID=91481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9468A KR20240084790A (ko) 2022-12-07 2022-12-07 휴대용 유해가스 자동 배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캠핑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8479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8064A (ko) 2021-04-28 2022-11-04 모승철 가스누설 경보기 내장 캠프용 램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8064A (ko) 2021-04-28 2022-11-04 모승철 가스누설 경보기 내장 캠프용 램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03141B2 (en) Carbon monoxide venting system
CN111629792A (zh) 火灾躲避室
CN103933685A (zh) 一种建筑的供气系统
CN104344318A (zh) 具有烟感报警功能的自救型应急灯及其工作方法
US20050130576A1 (en) Method and device to prevent indoor release of carbon monoxide and smoke from combustors
KR102207167B1 (ko) 거실 제연설비 시스템
US5511535A (en) Barbecue grill with fire retarding means
ES2710367T3 (es) Equipo contra incendios
KR20240084790A (ko) 휴대용 유해가스 자동 배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캠핑 시스템
KR101546349B1 (ko) 휴대형 보일러 텐트
CN205541307U (zh) 厨房用智能空气排风扇系统
CN111735162B (zh) 一种住宅卫生间多用途调风、火灾避难装置
CN207538559U (zh) 楼房住宅火灾自救安全屋
JP4742694B2 (ja) 換気装置
KR200439810Y1 (ko) 이산화탄소 센서를 이용한 연료연소형 난방기의 경보장치및 환기장치.
US5746492A (en) Emergency light having smoke proof mask
JPH114901A (ja) 火災予防方法
KR102605875B1 (ko) 휴대용 일산화탄소 가스 자동 배출 장치
CN214117702U (zh) 一种便于通风换气的帐篷
CN216319630U (zh) 电梯防火装置
TWI683981B (zh) 整合濾氣面罩的空氣清淨機
KR101605803B1 (ko) 질식사 방지장치
CN219061128U (zh) 一种篝火帐篷
JP3160031U (ja) 墓前用香炉
KR102216519B1 (ko) 다기능 실링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