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8064A - 가스누설 경보기 내장 캠프용 램프 - Google Patents

가스누설 경보기 내장 캠프용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8064A
KR20220148064A KR1020210088310A KR20210088310A KR20220148064A KR 20220148064 A KR20220148064 A KR 20220148064A KR 1020210088310 A KR1020210088310 A KR 1020210088310A KR 20210088310 A KR20210088310 A KR 20210088310A KR 20220148064 A KR20220148064 A KR 202201480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gas
gas leak
alarm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8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승철
Original Assignee
모승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승철 filed Critical 모승철
Publication of KR20220148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80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8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 situ recharging of the batteries or ce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G08B21/14Toxic ga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야외 및 실내에서 이동 설치가 가능한 가스누설경보기가 내장된 캠핑용 램프는, 일단에 캠핑용 램프가 구비되고, 상기 캠핑용 램프(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충전 배터리(15) 및 전원연결단자(24)가 내장되어 길게 연장된 중공형의 내부 하우징, 상기 내부 하우징의 내부에는 가스누설 경보기의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구조로 형성되며, 가스누설 경보기에는 가스누설 발생 시 일산화탄소 가스를 감지하는 일산화탄소 가스 센서(11), 사용자에 의하여 경보 발생 신호를 입력하는 발신 스위치, 상기 동작확인센서(13), 타이머, 가스 센서(11) 및 스위치의 입력신호를 분석하여 가스누설 발생을 판단하고, 경보 발생 신호 및 비상 출동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경보 발생 신호를 공급받아 가스누설 경보를 무선으로 소방서 등에게 알리는 경보부(19), 상기 제어부의 비상 출동 신호를 공급받아 비상 출동 명령을 무선 송신하는 무선 송신부, 상기 무선 송신부로부터 비상 출동 신호를 수신하고, 비상 출동 시스템을 가동하는 원격 서버, 원격 무선 단말기, 비상 출동 시스템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스 센서(11)의 입력신호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일 경우에 가스누설 발생으로 판단하되, 캠핑카 내부 또는 텐트 내부의 사람들의 움직임이 설정된 시간(타이머로 설정) 안에 동작확인센서(13)에 의해 감지가 없으면, 위급한 가스누설 발생으로 판단하여 사람들에게 경보음을 울려 사람들에게 알림과 동시에 소방서 등에게 경보기(19)를 통해 통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램프와 가스누설 감지센서 중간에 구비하여 가스누설 발생처부터 조기에 가스누설을 감지하여 경보함으로써 인명을 조기에 구할 수 있고, 흡기 팬이 가동됨에 따라 통기구(41)를 통해 램프를 냉각하는 부수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어서 램프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흡기 팬(40)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설치가 가능한 가스누설경보기 내장 캠핑용 램프(100)에 의하면, 휴대 및 이동이 가능하고, 유지보수가 필요 없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스누설 발생 시 바로 소방서나 경찰서 등과 바로 연결되는 시스템이 구축되어 가스누설 발생 시 대응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특히, 야외 캠핑 생활을 할 때에 일산화탄소에 의한 질식 사고가 종종 발생함으로 휴대용으로 충전 배터리가 내장된 가스누설 경보기 내장 캠핑용 램프를 활용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스누설 경보기 내장 캠핑용 램프{camping lamp included gas leak alarm}
본 발명은 야외 및 실내에서 이동 설치가 가능한 가스누설경보기 내장 캠핑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캠핑, 산악 등반 등의 상황에서 텐트나 천막 등의 내부에서 음식 조리나 추위를 피하기 위한 과정에 가스누설이 발생시, 흡기 팬을 활용하여 램프하부의 바닥 위치에서 조기에 가스 등을 감지하여 경보음을 방출함으로써, 가스누설에 적극적이고, 효과적으로 대처하고, 추가로 모바일기기를 활용하여 무선시스템으로 119소방서에 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가스누설경보기 내장 캠핑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주5일 근무가 일반화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남는 시간을 활용하기 위하여 다양한 레저 활동이 활성화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야외에서 캠핑활동을 하거나 낚시, 등산 등을 즐기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전 세계적인 경기의 불황으로 인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레저를 즐기려는 사람들이 늘고 있는 추세이며, 이로 인하여 팬션이나 콘도보다 저렴하고 많은 경험을 할 수 있는 텐트를 치는 캠핑을 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야외에서 낚시나 캠핑 등 다양한 레저 활동하기 위하여 많은 레저용품 들을 준비하여야 하며, 이러한 레저용품 중 야간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야외용 랜턴이 있다. 야외용 랜턴은 종래에는 가솔린 또는 부탄가스 등의 연료를 연소시키는 방식의 랜턴이 주로 사용되었지만, 이러한 종래의 연소 방식 캠핑 랜턴은 초기 작동시에 연료통에 압력을 주는 가압 과정 등이 필요하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하고, 연료를 별도로 구비해야 하며, 경우에 따라서 가스누설의 위험도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의 연소 방식 랜턴을 대체하기 위해 배터리를 사용하는 전기식 랜턴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전기식 랜턴은 일반적으로, 배터리가 수납되는 본체와, 본체의 전방에 결합되는 반사경 및 반사경 내부에 설치되어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에 의하여 발광하는 램프와 램프를 고정하고 램프와 반사경을 보호하는 유리와 캡으로 이루어진다.
종래의 랜턴은 몸체부와, 램프와, 커버부와, 전원 연결선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몸체부는 몸체와, 전원 및 밝기 조절 스위치와, 커버 결합부와, 소켓으로 이루어진다.
몸체는 대체로 원통형상으로서 지면에 안정적으로 놓일 수 있도록 편평한 바닥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몸체의 내부에는 재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가 구비되며, 몸체의 측면에는 전원 연결선이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연결구가 마련된다.
전원 및 밝기 조절 스위치는 몸체의 측면에 위치하며, 조절 스위치를 이용하여 이용자는 랜턴의 온/오프 및 밝기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몸체의 내부에는 조절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램프의 상태를 제어하는 각종 회로 구성이 구비된다.
커버 결합부는 몸체의 상부에 기둥형태로 형성되며, 커버 결합부의 외주면에는 수나사가 형성되며, 소켓은 커버 결합부의 상단에 위치한다. 소켓(23)에 램프(21)가 분리가능 하게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커버부는 램프(21)를 보호하도록 몸체부에 분리가능 하게 결합된다.
보호투명창(25)과, 결합부와, 상부 마감부를 구비하며, 보호투명창(25)은 원통형상으로서 램프(21)로부터의 빛을 외부로 투과시킨다.
또한, 결합부는 보호투명창(25)의 하단에 고정되고, 결합부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서, 몸체부의 커버 결합부에 결합되며, 상부 마감부는 보호투명창(25)의 상단에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한편, 산악 등반, 캠핑 등과 같은 야외 활동 시 여름철에는 모기나 벼룩 등 각종 벌레에 물리는 경우가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캠핑을 위한 텐트의 내부와 주위에 별도로 모기향을 피우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모기향을 피워 벌레를 퇴치하는 방법은 인체에 유해한 모기향으로 인해 취침할 때 주의가 필요하며, 부주의로 인한 유해 가스 누설의 위험성이 높은 실정이다. 또한, 텐트나 천막 내부에서 취사를 위해 버너를 사용하거나, 야외에서 추위를 피하기 위해 불을 피우게 될 경우에도 가스누설의 위험성이 매우 높은 실정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전기식 랜턴의 장점을 유지하면서, 산악 등반, 캠핑 등의 야외 활동 시, 천막이나 텐트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가스누설에 대해서 안전사고 예방에 적극적이고,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가스누설경보기 내장 캠핑용 램프의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이 용이하고 휴대하기 편리하고 야외에서 램프 기능을 겸하면서 캠핑, 산악 등반 등의 상황에서 텐트나 천막 등의 내부에서 음식 조리나 추위를 피하기 위한 과정에 가스누설이 발생시, 흡기 팬을 활용하여 램프하부의 바닥 위치에서 조기에 가스 등을 감지하여 경보음을 방출함으로써, 가스누설에 적극적이고, 효과적으로 대처하고, 추가로 모바일기기를 활용하여 무선시스템으로 119소방서에 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가스누설경보기 내장 캠핑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야외에서 이동이 가능한 가스누설경보기 내장 캠핑용 램프는 일단에 캠핑용 램프가 구비되고, 상기 캠핑용 램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일회용전지(1차전지) 또는 충전 배터리(2차전지) 및 전원연결선이 내장되어 길게 연장된 중공형의 내부 하우징, 상기 내부 하우징의 내부에는 가스누설 경보기의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가스누설 경보기의 수용 공간에는 가스누설 발생 시 일산화탄소 가스를 감지하는 일산화탄소 감지 센서; 주변부 사람들의 동작을 확인하는 동작확인센서; 가스누설이 확인된 지속 시간을 확인하는 타이머; 사용자에 의하여 경보 발생 신호를 입력하는 발신 스위치; 상기 센서들 및 스위치의 입력신호를 분석하여 가스누설 발생을 판단하고, 경보 발생 신호 및 비상 출동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경보 발생 신호를 공급받아 가스누설 경보를 무선으로 소방서 등에게 알리는 경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의 비상 출동 신호를 공급받아 비상 출동 명령을 무선 송신하는 무선 송신부; 상기 무선 송신부로부터 비상 출동 신호를 수신하고, 알람 신호를 출력하는 원격 무선 단말기; 상기 무선 송신부로부터 비상 출동 신호를 수신하고, 비상 출동 시스템을 가동하는 원격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 하우징의 램프가 구비된 일단에 상기 램프를 둘러싸며, 램프를 보호하며 조명이 투과될 수 있는 보호투명창이 원통형상으로 구비되는 외부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상기 캠핑용 램프의 선단은 상기 내부 하우징과 외부 하우징을 모두 마감하며 결합되고, 후단에는 상기 가스누설경보기 내장 캠핑용 램프를 텐트나 천막에 장착할 수 있는 걸고리가 형성될 수 있다.
흡기 팬(40)을 램프와 가스누설 감지센서 중간에 구비하여 가스누설 발생처부터 조기에 가스누설을 감지하여 경보함으로써 인명을 조기에 구할 수 있고, 흡기 팬(40)이 가동됨에 따라 통기구(41)를 통해 램프를 냉각하는 부수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어서 램프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스 센서의 입력신호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일 경우에 가스누설 발생으로 판단하되, 캠핑카 내부 또는 텐트 내부의 사람들의 움직임이 설정된 시간(타이머로 설정) 안에 동작확인센서에 의해 감지가 없으면, 위급한 가스누설 발생으로 판단하여 소방서 등에게 경보기를 통해 통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캠핑용 램프의 내부에는 상기 가스누설경보기 내장 캠핑용 램프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수단은 상기 램프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대용량 배터리 및 상기 램프를 제외하고, 상기 가스누설경보기 내장 캠핑용 램프에 구비될 수 있는 센서 등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저용량 배터리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캠핑용 램프의 외부 측면에는 상기 전원공급수단을 충전하기 위한 외부충전단자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스누설경보기는 상기 가스누설 경보기의 오작동 시,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는 오작동 정지 버튼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스누설경보기는 정상작동을 확인할 수 있는 시험 버튼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캠핑용 램프에는 상기 램프의 온-오프(On-Off) 상태를 제어하는 버튼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스누설경보기는 상기 가스누설 경보기의 온-오프(On-Off) 상태를 제어하는 버튼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누설 경보기 내장 캠핑용 램프는 이동이 용이하고 휴대하기 편리하고 야외에서 램프 기능을 겸하면서 캠핑, 산악 등반 등의 상황에서 텐트나 천막 등의 내부에서 음식 조리나 추위를 피하기 위한 과정에 가스누설이 발생시, 램프 하부의 가스누설 경보기에서 가스 등을 감지하여 경보음을 방출함으로써, 가스누설에 적극적이고, 효과적으로 대처하고, 추가로 모바일기기를 활용하여 무선시스템으로 119소방서에 고지함으로서 야외에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추가적인 효과로 흡기 팬(40)을 램프와 가스누설 감지센서 중간에 구비하여 가스누설 발생처부터 조기에 가스누설을 감지하여 경보함으로써 인명을 조기에 구할 수 있고, 흡기 팬(40)이 가동됨에 따라 통기구(41)를 통해 램프를 냉각하는 부수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어서 램프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야외 및 실내에서 이동 설치가 가능한 가스누설 경보기가 내장된 캠핑용 램프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야외 및 실내에서 이동 설치가 가능한 가스누설 경보기가 내장된 캠핑용 램프의 전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야외 및 실내에서 이동 설치가 가능한 가스누설 경보기가 내장된 캠핑용 램프를 나타낸 제어 블록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 중에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이동,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이동,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야외 및 실내에서 이동 설치가 가능한 가스누설경보기가 내장된 캠핑용 램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야외 및 실내에서 이동 설치가 가능한 가스누설경보기가 내장된 캠핑용 램프의 전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야외 및 실내에서 이동 설치가 가능한 가스누설경보기가 내장된 캠핑용 램프는, 일단에 캠핑용 램프가 구비되고, 상기 캠핑용 램프(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충전 배터리(15) 및 전원연결단자(24)가 내장되어 길게 연장된 중공형의 내부 하우징, 상기 내부 하우징의 내부에는 가스누설 경보기의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구조로 형성되며, 가스누설 경보기에는 가스누설 발생 시 일산화탄소 가스를 감지하는 일산화탄소 가스 센서(11), 사용자에 의하여 경보 발생 신호를 입력하는 발신 스위치, 상기 동작확인센서(13), 타이머, 가스 센서(11) 및 스위치의 입력신호를 분석하여 가스누설 발생을 판단하고, 경보 발생 신호 및 비상 출동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경보 발생 신호를 공급받아 가스누설 경보를 무선으로 소방서 등에게 알리는 경보부(19), 상기 제어부의 비상 출동 신호를 공급받아 비상 출동 명령을 무선 송신하는 무선 송신부, 상기 무선 송신부로부터 비상 출동 신호를 수신하고, 비상 출동 시스템을 가동하는 원격 서버, 원격 무선 단말기, 비상 출동 시스템, 흡기 팬(40)을 램프와 가스누설 감지센서 중간에 구비하여 가스누설 발생처부터 조기에 가스누설을 감지하여 경보함으로써 인명을 조기에 구할 수 있고, 흡기 팬(40)이 가동됨에 따라 통기구(41)를 통해 램프를 냉각하는 부수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어서 램프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스 센서(11)의 입력신호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일 경우에 가스누설 발생으로 판단하되, 캠핑카 내부 또는 텐트 내부의 사람들의 움직임이 설정된 시간(타이머로 설정) 안에 동작확인센서(13)에 의해 감지가 없으면, 위급한 가스누설 발생으로 판단하여 사람들에게 경보음을 울려 사람들에게 알림과 동시에 소방서 등에게 경보기(19)를 통해 통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야외 및 실내에서 이동 설치가 가능한 가스누설 경보기가 내장된 캠핑용 램프를 나타낸 제어 블록도이다.
상기 배터리는 시스템제어 회로 전원용으로 적용된다. 가스누설이 발생된 경우에는 누설신호를 소방 수신기로 전달하고, 조작스위치는 작동시험이나 가스누설 경보기를 정지시킬 경우 사용하고, 무선 통신은 wifi, 블루투스 또는 IOT 무선망을 이용하여 스마트 폰으로 신호를 송출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스 센서(11)의 입력신호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일 경우에 가스누설 발생으로 판단하되, 일반적으로 캠핑카나 텐트 내부에서 주로 요리를 하거나 실내 난방을 하여 생활하기에 사람들의 움직임이 발생하기에 가스누설이 발생하여도 위급한 상황이로 인식하기가 어려운 상황이다. 그래서 캠핑카 내부 또는 텐트 내부의 사람들의 움직임이 설정된 시간(타이머로 설정) 안에 동작확인센서(13)에 의해 감지가 없으면, 위급한 가스누설 발생으로 판단하여 사람들에게 경보음을 울려 사람들에게 알림과 소방서 등에게 경보기(19)를 통해 통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가스 센서(11)와 동작확인센서(13)와 가스누설이 지속되는 시간을 확인하는 타이머(미도시)에 의한 결과를 종합하여 위급한 상황을 판단하여 경고를 함과 동시에 119 소방서에 통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발명의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 시예에 관한 것으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포괄하는 것은 아니므로,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권리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가스누설경보기 내장 캠핑용 램프
10 : 가스누설경보기 11 : 가스 센서
13 : 동작확인 센서 15 : 충전식 배터리
19 : 경보부
20 : 캠핑용 램프 21 : 램프
22 : 램프 버튼 23 ; 소켓
24 : 전원 충전 단자 25 : 보호 투명 창
26 : 램프 뚜껑 27 : 걸고리
40 : 흡기 팬 41 : 통기구

Claims (3)

  1. 캠핑용 램프(20);와 가스누설 경보기(10)로 구성되며.
    캠핑용 램프(20)에는 램프(21); 램프를 작동시키는 램프 버튼(22); 소켓(23); 전원을 전담하는 전원 충전 단자(24)와 충전 배터리(15); 보호투명창(25); 뚜껑(26) 및 걸고리(27)를 주요 구성으로 하고,
    가스누설 경보기(10)는 가스누설 발생 시 가스를 감지하는 가스 센서(11);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작확인 센서(13);
    가스가 누설되는 지속 시간을 설정하는 타이머;
    상기 가스 센서(11), 동작확인센서(13) 및 타이머의 입력신호를 분석하여 가스누설 발생을 판단하고, 경보 발생 신호 및 비상 출동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경보 발생 신호를 공급받아 가스누설 경보를 무선으로 소방서 등에게 알리는 경보부(19)를 포함하여 주요 구성으로 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스 센서(11)의 입력신호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일 경우에 가스누설 발생으로 판단하되, 캠핑카 내부 또는 텐트 내부의 사람들의 움직임이 설정된 시간(타이머로 설정) 안에 동작확인센서(13)에 의해 감지가 없으면, 위급한 가스누설 발생으로 판단하여 사람들에게 경보음을 울려 사람들에게 알림과 동시에 소방서 등에게 경보기(19)를 통해 통보하는 비상 출동 신호를 출력하되,
    상기 제어부의 비상 출동 신호를 공급받아 비상 출동 명령을 무선으로 송신하는 무선 송신부;
    상기 무선 송신부로부터 비상 출동 신호를 수신하고, 알람 신호를 출력하는 원격 무선 단말기;
    상기 무선 송신부로부터 비상 출동 신호를 수신하고, 비상 출동 시스템을 가동하는 원격 서버;
    램프와 가스누설 감지센서 중간에 구비하여 가스누설 발생처부터 조기에 가스누설을 감지하여 경보함으로써 인명을 조기에 구할 수 있고, 흡기 팬이 가동됨에 따라 통기구(41)를 통해 램프를 냉각하는 부수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어서 램프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흡기 팬(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누설 경보기 내장 캠핑용 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센서(11)의 외부전원 없이 배터리와 무선 발신부를 형성하여 감지된 입력신호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일 경우에 가스누설 발생으로 판단하여 감지신호를 무선 발신부를 통하여, 제어부에 무선 수신부를 더 형성하여 무선으로 감지된 신호를 보내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누설 경보기 내장 캠핑용 램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센서(11)의 입력신호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일 경우에 가스누설 발생으로 판단하되, 일반적으로 캠핑카나 텐트 내부에서 주로 요리를 하거나 실내 난방을 하여 생활하기에 사람들의 움직임이 발생하기에 가스누설이 발생하여도 위급한 상황이로 인식하기가 어려운 상황이다. 그래서 캠핑카 내부 또는 텐트 내부의 사람들의 움직임이 설정된 시간(타이머로 설정) 안에 동작확인센서(13)에 의해 감지가 없으면, 위급한 가스누설 발생으로 판단하여 사람들에게 경보음을 울려 사람들에게 알림과 동시에 소방서 등에게 경보기(19)를 통해 통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가스 센서(11)와 동작확인센서(13)와 가스누설이 지속되는 시간을 확인하는 타이머에 의한 결과를 종합하여 위급한 상황을 판단하여 119 소방서에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누설 경보기 내장 캠핑용 램프.
KR1020210088310A 2021-04-28 2021-07-06 가스누설 경보기 내장 캠프용 램프 KR2022014806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54767 2021-04-28
KR1020210054767 2021-04-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8064A true KR20220148064A (ko) 2022-11-04

Family

ID=84101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8310A KR20220148064A (ko) 2021-04-28 2021-07-06 가스누설 경보기 내장 캠프용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4806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5875B1 (ko) 2023-06-23 2023-11-24 주식회사 아웃비스트 휴대용 일산화탄소 가스 자동 배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5875B1 (ko) 2023-06-23 2023-11-24 주식회사 아웃비스트 휴대용 일산화탄소 가스 자동 배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46209A (en) Self-contained apparatus for emergency lighting incorporating alarm systems for fire, gas and the like
CN105513258A (zh) 智能安全照明装置
JP5296890B2 (ja) 多機能ポータブル消火器システム
JP2019500717A (ja) 生体状態検出に用いるモジュール化された多機能照明装置
TW201638524A (zh) 感測燈管及感測燈座
US11898739B2 (en) Safety detection device and system
US20090180280A1 (en) Multi-action, battery-powered, trigger-activated lighting system
KR20220148064A (ko) 가스누설 경보기 내장 캠프용 램프
TW201724039A (zh) 結合照明裝置多功能的居家監控系統
JP4854179B2 (ja) 警報器および警報器用入出力装置
CN105931416A (zh) 一种基于独立式光电感烟火灾探测报警器
KR20190109635A (ko) 가스 레인지의 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IoT 시스템
KR20170140649A (ko) 경광등이 구비된 소화기
US8981931B2 (en) Earthquake alarming device with rescue assisting capability
JP2005234763A (ja) 警報器、当該警報器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6868290B2 (ja) 多機能ledランプ、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照明範囲監視・警報システム
TWM484769U (zh) 具地面式方向指示避難系統
KR101881285B1 (ko) 소화기 겸용 램프
KR101743059B1 (ko) 랜턴 겸용 다목적 비상상황 검출램프
KR101770092B1 (ko) 스마트 랜턴장치
WO2017101747A1 (zh) 结合照明装置多功能的居家监控系统
JP6532036B2 (ja) 照明システム
KR20090119278A (ko) 원거리 비상사태 알림 송신장치가 구비된 랜턴
CN205354260U (zh) 智能安全照明装置
CN215781177U (zh) 一种消防设备检测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