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80262A - 자동차의 전동식 슬라이딩 콘솔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전동식 슬라이딩 콘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80262A
KR20240080262A KR1020220162433A KR20220162433A KR20240080262A KR 20240080262 A KR20240080262 A KR 20240080262A KR 1020220162433 A KR1020220162433 A KR 1020220162433A KR 20220162433 A KR20220162433 A KR 20220162433A KR 20240080262 A KR20240080262 A KR 202400802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ing
rolling means
rail member
console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2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해주
김태원
심규호
Original Assignee
에코플라스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코플라스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코플라스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62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80262A/ko
Publication of KR20240080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802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63Arm-rests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7Mid-cons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4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linear movement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92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motoriz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전동식 슬라이딩 콘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름수단이 레일부재 내에서 폭방향 양측, 상방 및 하방으로 지지되어 콘솔 본체의 유동을 방지하는 자동차의 전동식 슬라이딩 콘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자동차의 전동식 슬라이딩 콘솔은 차실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레일부재, 콘솔 본체가 설치되고 상기 레일부재 내측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브라켓. 상기 이동 브라켓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부재 내측에서 구름 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름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름수단은 상기 레일부재에 폭방향 양측, 상방 및 하방으로 지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전동식 슬라이딩 콘솔 {Electric-powered sliding console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전동식 슬라이딩 콘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름수단이 레일부재 내에서 폭방향 양측, 상방 및 하방으로 지지되어 콘솔 본체의 유동을 방지하는 자동차의 전동식 슬라이딩 콘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실내에 구비되는 콘솔은 1열 시트의 중앙, 즉 운전석 시트와 조수석 시트 사이에 설치되는 구조물로서, 비교적 부피가 작은 소품들을 보관할 수 있는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이를 위해 콘솔은 차실내의 바닥부위에 고정되고 상부가 개구되는 박스 형상의 콘솔 본체와 이 콘솔 본체의 상부에서 선회 방식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를 갖춘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박스 형상의 콘솔 본체는 내부에 소정의 물품 수납을 위한 공간을 형성하고, 커버는 콘솔 본체에 대해 1단 또는 2단 구조로 설치되어 더 많은 소품의 수납을 위한 구조를 가지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자동차용 콘솔은 설치위치가 1열 시트의 중앙에 고정되는 구조이고, 특히 커버는 콘솔 본체의 후방부위에 대해 개폐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어 있음에 따라 2열 시트에 탑승한 승객이 콘솔을 활용하는 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콘솔의 위치를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형태의 기술이 제안되었는데, 일례로 종래 등록특허 제10-0586179호에 개시된 자동차용 이동형 콘솔조립체는 콘솔본체의 하부 양측에 지지되는 휠, 압축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콘솔본체의 외부로 돌출되는 폴, 압축스프링을 압축시키면서 폴을 콘솔본체의 내부로 후진시키는 손잡이, 손잡이와 폴 사이를 연결시키고 와이어로프를 포함하는 잠금부재를 구비하고, 마운팅은 여러 열의 시트 사이의 통로쪽 바닥에 배열되고 콘솔본체의 휠이 슬라이딩되는 종단면 형태를 갖는 안내레일을 포함하며, 안내레일의 한쪽에는 휠을 넣거나 빼낼 수 있도록 해 주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안내레일에는 콘솔본체에 있는 잠금부재의 폴과 맞물려지는 노치가 여러 열의 시트와 대응하는 곳에 형성되어 콘솔본체가 마운팅 상에서 여러 열의 시트와 대응하는 곳에 이동되어 고정될 수 있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이동형 콘솔에서는 차실내에 위치를 옮기고자 할 때 탑승자가 매번 수동으로 조작해야 할 뿐만 아니라, 휠과 안내레일 사이의 가이드 구조로서 콘솔본체의 이동을 유도하는 것이므로, 주행 중 좌우방향 유동이 발생하는 문제를 야기하게 되고, 특히 콘솔에 큰 하중이 가해질 경우에는 원활한 이동을 구현하지 못하는 치명적인 문제를 안게 된다.
또한, 종래 이동형 콘솔은 휠과 안내레일 사이의 접촉부위에서 각종 이물질이 끼이게 되어 콘솔의 이동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접촉부위에 끼인 이물질의 외부 노출에 따라 외관미를 저하시키는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아울러, 자율주행 차량과 같이 차실내에서 시트의 배치가 자유롭게 조정될 수 있는 자동차에서는 종래 고정형 콘솔을 대신하여 콘솔의 위치를 자유롭게 옮길 수 있게 하여 탑승자의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는 요구가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구름수단이 레일부재 내에서 폭방향 양측, 상방 및 하방으로 지지되어 콘솔 본체의 유동을 방지하여, 콘솔 본체의 작동감과 품질이 향상되고, 작동시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자동차의 전동식 슬라이딩 콘솔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전동식 슬라이딩 콘솔은 차실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레일부재, 콘솔 본체가 설치되고 상기 레일부재 내측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브라켓. 상기 이동 브라켓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부재 내측에서 구름 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름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름수단은 상기 레일부재에 폭방향 양측, 상방 및 하방으로 지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브라켓은 길이방향으로 긴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부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름수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름수단 고정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구름수단은, 상기 구름수단 고정부의 양면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체결핀, 상기 체결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름부재, 상기 체결핀과 구름부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구름부재의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름수단은 복수 개로 구비되고 상기 구름부재가 상기 이동 브라켓의 일면과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안쪽 구름수단과, 상기 구름부재가 상기 이동 브라켓의 타면과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바깥쪽 구름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름수단은 상기 안쪽 구름수단과 바깥쪽 구름수단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레일부재에 상방으로 지지되고 나머지 하나는 하방으로 지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름수단은 상기 안쪽 구름수단과 바깥쪽 구름수단의 상기 이동 브라켓과 마주보는 면의 반대측 면이 상기 레일부재에 지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름부재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이동 브라켓과 마주보는 면에 함몰되게 형성되어 상기 회전지지부재가 삽입되는 회전지지부재 결합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구름부재는 상기 이동 브라켓과 마주보는 면의 반대측 면에 볼록하게 형성되어 상기 레일부재와 점접촉하는 볼록면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구름부재는 외주면의 일측이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된 지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구름부재는 상기 이동 브라켓과 마주보는 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이동 브라켓을 지지하도록 형성된 돌출테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자동차의 전동식 슬라이딩 콘솔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름수단이 레일부재 내에서 폭방향 양측, 상방 및 하방으로 지지되어 콘솔 본체의 유동을 방지하여, 콘솔 본체의 작동감과 품질이 향상되고, 작동시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전동식 슬라이딩 콘솔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전동식 슬라이딩 콘솔의 슬라이딩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서 커버와 캡을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베이스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전동식 슬라이딩 콘솔의 베이스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B-B'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전동식 슬라이딩 콘솔의 구동유닛, 와이어, 및 이동 브라켓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2의 C-C'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2의 D-D'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전동식 슬라이딩 콘솔의 와이어와 가이드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전동식 슬라이딩 콘솔의 이동 브라켓과 구름수단의 저면도이다.
도 15는 도 2의 E-E'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일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7은 도 2의 F-F'에 대한 확대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전동식 슬라이딩 콘솔의 밴드유닛, 풀리, 및 이동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2의 G-G'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전동식 슬라이딩 콘솔의 이동 브라켓과 밴드유닛의 체결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전동식 슬라이딩 콘솔의 밴드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전동식 슬라이딩 콘솔의 실링밴드와 연결밴드의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전동식 슬라이딩 콘솔의 실링밴드와 연결밴드의 탄성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전동식 슬라이딩 콘솔의 실링밴드와 연결밴드의 탄성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전동식 슬라이딩 콘솔의 탄성부재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자동차의 전동식 슬라이딩 콘솔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전동식 슬라이딩 콘솔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전동식 슬라이딩 콘솔의 슬라이딩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A-A'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에서 커버와 캡을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베이스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전동식 슬라이딩 콘솔의 베이스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B-B'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전동식 슬라이딩 콘솔의 구동유닛, 와이어, 및 이동 브라켓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2의 C-C'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2의 D-D'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전동식 슬라이딩 콘솔의 와이어와 가이드 유닛의 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전동식 슬라이딩 콘솔의 이동 브라켓과 구름수단의 저면도이고, 도 15는 도 2의 E-E'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일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17은 도 2의 F-F'에 대한 확대단면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전동식 슬라이딩 콘솔의 밴드유닛, 풀리, 및 이동 브라켓의 사시도이고, 도 19는 도 2의 G-G'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전동식 슬라이딩 콘솔의 이동 브라켓과 밴드유닛의 체결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전동식 슬라이딩 콘솔의 밴드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전동식 슬라이딩 콘솔의 실링밴드와 연결밴드의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전동식 슬라이딩 콘솔의 실링밴드와 연결밴드의 탄성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전동식 슬라이딩 콘솔의 실링밴드와 연결밴드의 탄성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전동식 슬라이딩 콘솔의 탄성부재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전동식 슬라이딩 콘솔은 차실내에서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의 공간에서 차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1열 시트 사이의 공간에서 후방에 2열 시트 사이의 공간에 이르기까지 그 위치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전동식 슬라이딩 콘솔은 콘솔 본체(20)와 슬라이딩 모듈(10)을 포함할 수 있다.
콘솔 본체(20)는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의 공간에서 컵홀더 공간과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 등을 제공할 수 있고,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전자장치가 탑재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슬라이딩 모듈(10)은 콘솔 본체(20)를 차실내에서 전동식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며 콘솔 본체(20)를 차실내에 장착시킨다.
이러한 슬라이딩 모듈(10)은 차실내에 설치되고 콘솔 본체(20)가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하우징(110), 커버(120) 및 베이스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사각 함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가 개구되게 형성된 설치공간(111)을 구비하여 베이스유닛이 설치된다. 설치공간(111)은 베이스유닛과 후술할 구동유닛(600)과 밴드유닛(800) 등이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110)은 차실내에 설치되고 일예로, 결합부재를 통해 차실내에 장착될 수 있으며 결합부재는 볼트 또는 스크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커버(120)는 일예로, 하우징(110)과 대응되는 사각판재 형태로 마련될 수 있고 하우징(1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설치공간(111)의 개구된 상부를 일부분 덮도록 마련된다. 이때, 커버(120)는 결합부재를 통해 하우징(110)에 결합될 수 있고 결합부재는 볼트 또는 스크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커버(120)는 개구홀(121)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베이스유닛과 밴드유닛(800)의 일부가 상부로 돌출되거나 노출되도록 한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베이스유닛은 설치공간(111)에 수납되어 설치되고 콘솔 본체(20)가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며, 레일부재(200)와 장착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단, 베이스유닛은 하우징(110)과 커버(120)가 마련되지 않은 경우 차실내에 직접 설치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레일부재(200)는 길이방향으로 긴 중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일예로, 중공의 사각 프레임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 개로 구비되어 폭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레일부재(2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로 구성되고 폭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아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를 기준으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레일부재(200)는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유닛(600), 와이어(710), 밴드유닛(800)의 꼬임방지와 용이한 설치를 위해 폭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되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2개의 레일부재(200)는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어 서로 마주보는 안쪽 공간에 구동유닛(600)과 와이어(710)가 수납될 수 있고 바깥쪽 공간에 밴드유닛(800)이 수납될 수 있다.
레일부재(200)는 하우징(110)의 설치공간(111)에 수납되며 상부의 일부분에 커버(120)가 안착될 수 있고, 바깥벽의 상단부가 수평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커버(120)가 안착되는 플랜지(28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레일부재(200)의 상부의 일부분은 커버(120)의 개구홀(121)을 통과하여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고, 후술할 캡(130)이 체결되며 밴드유닛(800)이 안착될 수 있다.
이러한 레일부재(200)는 콘솔 본체(20)와 결합된 이동 브라켓(400)이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이동 브라켓(400)이 삽입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상부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 개구부(21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개구부(210)는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밴드 안착부(260)를 제공할 수 있고 레일부재(200)의 개구부(210)에서 이격되는 상부의 일부분이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캡 안착부(270)를 제공할 수 있으며, 캡 안착부(270)의 돌출높이가 밴드 안착부(260)의 돌출 높이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브라켓(400)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판재 형태로 마련된 몸체(410)를 포함하여 몸체(410)의 하부가 레일부재(200)의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몸체(410)의 상부에 구비되는 콘솔 장착부(4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콘솔 장착부(420)는 개구부(210)를 통과하여 레일부재(200)의 내부공간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고, 몸체(410)의 상부에서 절곡된 형상으로 마련되어 콘솔 본체(2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 브라켓(400) 에는 레일부재(200)에 수납되는 구동유닛(600), 와이어(710), 밴드유닛(800), 구름수단(500)의 일부가 체결되어 함께 이동할 수 있고, 복수 개로 구비되어 레일부재(200)와 일대일 대응되어 레일부재(200)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로 구비되어 2개의 레일부재(200)에 각각 배치되되 서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이동 브라켓(400)은 몸체(410)의 하단에 복수의 구름수단(500)이 설치되는 구름수단 고정부(411)가 구비되고 몸체(410)의 길이방향의 전단과 후단에 각각 밴드 고정부(414)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이동 브라켓(400) 중 어느 하나의 길이방향의 단부에 와이어(710)가 고정되는 와이어 고정부(413)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레일부재(200)는 내부에 구동유닛(600), 와이어(710), 밴드유닛(800), 구름수단(500)이 수납되고 수평격벽(230), 보조 수평격벽(250), 수직격벽(240)을 구비하여 부품 간의 간섭을 방지하며 구획된 공간에 각각의 구성이 수납될 수 있도록 한다.
수평격벽(230)은 레일부재(200)의 내측의 일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어 내부공간의 일측을 제1 수용부(201)와 제2 수용부(202)로 구획할 수 있다. 이때, 내부공간의 일측은 서로 대칭되게 배치된 2개의 레일부재(200)의 내부공간 중 안쪽 공간일 수 있다.
제1 수용부(201)는 내부공간의 일측에서 수평격벽(230)의 하부에 위치하여 이동 브라켓(400)의 이동을 위한 구동유닛(600)이 수용될 수 있고, 보다 정확하게는 구동유닛(600)의 리드스크류(620)가 수납될 수 있다.
제2 수용부(202)는 내부공간의 일측에서 수평격벽(230)의 상부에 위치하여 차실내의 전원 공급부와 콘솔 본체(20)의 제어장치를 연결하는 와이어(710)가 수용될 수 있고, 보다 정확하게는 와이어(710)와 함께 가이드유닛(720)이 함께 수납될 수 있다.
보조 수평격벽(250)은 레일부재(200)의 내측의 타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어 내부공간의 타측을 제3 수용부(203)와 제4 수용부(204)로 구획할 수 있다. 이때, 내부공간의 타측은 서로 대칭되게 배치된 2개의 레일부재(200)의 내부공간 중 바깥쪽 공간일 수 있다.
또한, 레일부재(200)는 내측의 하부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수직격벽(240)을 구비할 수 있고 수직격벽(240)의 돌출된 단부에서 절곡되며 보조 수평격벽(250)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안착부(241)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수평격벽(250), 수직격벽(240) 및 안착부(241)는 제3 수용부(203)를 구획할 수 있고, 제3 수용부(203)는 이동 브라켓(400)의 길이방향의 양단에 연결되어 개구부(210)를 감싸고 레일부재(200)를 통과하는 밴드유닛(800)이 수용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제3 수용부(203)에 밴드유닛(800)의 레일부재(200)를 통과하는 부분이 수납되어 밴드유닛(800)이 구름수단(500) 또는 구동유닛(600)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4 수용부(204)는 내부공간의 타측에서 보조 수평격벽(250)의 상부에 위치하고 이동 브라켓(40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동 브라켓(400)의 이동시 구름 운동하는 구름수단(500)이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구름수단(500)은 레일부재(200)의 내측의 타면, 보조 수평격벽(250), 안착부(241), 수평격벽(230)에 지지되며 제4 수용부(204) 내에 수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장착부재(300)는 복수의 레일부재(200)를 차실내에 고정시키기 위해 마련될 수 있고,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고 복수 개로 구비되어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러한 장착부재(3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로 구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아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를 기준으로 하여 설명한다.
장착부재(300)는 레일부재(20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한쌍의 레일 결합부(310)와, 한쌍의 레일 결합부(310) 사이를 연결하여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는 연결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레일 결합부(310)는 폭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단면이 레일부재(200)와 대응되는 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부가 개구되어 각각에 레일부재(200)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러한 레일 결합부(310)는 각각 하우징(110)의 설치공간(111) 내에 볼트 또는 스크류 등의 결합부재를 통해 고정될 수 있도록 장착부(311)를 구비할 수 있다.
장착부(311)는 레일 결합부(310)의 하부에서 돌출되고 돌출된 단부가 절곡되며 차실내에 안착되도록 형성되고 결합부재를 통해 하우징(11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레일 결합부(310)는 레일부재(200)의 하중과 레일부재(200)의 내부공간에 수납되는 부품 및 이동 브라켓(400)과 콘솔 본체(20)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보조지지대(312) 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보조지지대(312) 는 레일 결합부(310)의 하부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며 돌출된 단부가 하우징(110)의 설치공간(111)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레일 결합부(310)는 내측으로 레일부재(200)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레일부재(200)와의 사이에 체결구조가 마련될 수 있다.
즉, 서로 밀착되는 레일 결합부(310)의 내측면과 레일부재(200)의 외측면 중 어느 하나는 함몰되어 형성되는 끼움홈(313)을 구비하고, 나머지 하나는 돌출되어 형성되며 끼움홈(313)에 삽입되는 끼움돌기(290)를 구비할 수 있다.
일예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 결합부(310)는 내측면에서 함몰되어 형성되는 끼움홈(313)을 구비하고, 레일부재(200)는 외측면에서 돌출되어 끼움홈(313)에 삽입되는 끼움돌기(290)를 구비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끼움홈(313)은 레일 결합부(310)의 내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고 끼움돌기(290)는 레일부재(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레일부재(200)는 레일 결합부(310) 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나, 설치위치로 이동하여 결합부재를 통해 장착부재(300)에 고정될 수 있고, 결합부재는 볼트 또는 스크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한쌍의 레일 결합부(310)는 서로 마주보는 안쪽벽에 끼움홈(313)이 형성되고, 바깥벽의 높이가 안쪽벽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어 레일부재(200)의 끼움돌기(290)가 끼움홈(313)에 삽입되며 레일부재(200)가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연결부(320)는 한쌍의 레일 결합부(310)를 연결하도록 형성되며, 레일 결합부(310)의 마주보는 안쪽 상단부를 수평으로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장착부재(300)는 연결부(320)에서 하부로 이격되는 위치에서 한쌍의 레일 결합부(310)를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보조연결부(33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이처럼 베이스유닛이 각각 동일 형상인 2개의 레일부재(200)와, 3개의 장착부재(300)로 구성되고 구조가 간단함에 따라 제조를 위한 금형을 축소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비용이 절감되며, 반복적인 결합구조를 통해 조립됨에 따라 설치공정이 단축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도 10 및 도 11을 참고하여 콘솔 본체(20)를 전동식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유닛(600)에 대해 설명한다.
콘솔 본체(20)의 이동은 사용자의 조작과 연동되는 구동유닛(600)에 대한 작동 제어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고, 이러한 일련의 작동 제어는 별도로 구비되는 제어 유닛에 의해 구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구동유닛(600)에 대한 작동 제어는 동작 조건의 검출 등을 기반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구동유닛(600)은 구동부(610)에 따라 회전하는 리드스크류(620)와, 리드스크류(620)와 치결합되어 리드스크류(620)의 회전시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리드너트(630)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리드스크류(620)는 레일부재(200) 측에 고정될 수 있고 리드너트(630)는 이동 브라켓(400)에 고정됨에 따라 구동부(610)의 작동 제어시 이동 브라켓(400)의 길이방향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구동부(610)는 하우징(110)의 설치공간(111)에 설치되어 리드스크류(620)에 동력을 제공하며 2개의 회전축(미도시)을 갖는 모터로 구성되거나 1개의 회전축을 갖는 2개의 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리드스크류(620)는 구동부(610)와 감속기를 매개로 연결될 수 있고 구동부(610)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으며 회전한다.
이러한 리드스크류(620)는 레일부재(200) 내부에 설치되어 제1 수용부(201) 내부에 수납될 수 있고, 구동부(610)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일예로, 리드스크류(620)는 레일부재(200)의 내측의 일면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제1 스크류 지지부재(661)와 제2 스크류 지지부재(66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제1 스크류 지지부재(661)와 제2 스크류 지지부재(662)는 레일부재(200)의 내측의 일면에 길이방향으로 이격되는 위치에 각각 결합되어 고정되고, 리드스크류(620)가 통과하는 홀에 베어링 등의 회전지지부재가 삽입되어 리드스크류(620)의 회전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리드스크류(620)의 구동부(610)와 연결되는 단부는 고정부재(650)를 매개로 연결봉(640)과 연결되고, 연결봉(640)과 구동부(610)의 회전축 사이에 감속기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봉(640)의 단부와 회전축의 단부에는 각각 서로 치합되는 베벨기어가 구비되어 직교하는 축 사이에 동력 전달이 가능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고정부재(650)는 일예로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으로 연결봉(640)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타측으로 리드스크류(620)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리드너트(630)는 이동 브라켓(400)에 볼트 또는 스크류 등의 결합부재를 통해 결합될 수 있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홀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결합홀에 형성된 나사산은 리드스크류(62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치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리드스크류(620)가 레일부재(200)의 내측에서 구동부(610)에 따라 회전하게 되면 이와 치합된 리드너트(630)는 길이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와 결합된 이동 브라켓(400)이 길이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콘솔 본체(20)는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전력을 공급받거나 제어 신호를 전달받아야 하므로 차실내의 전원공급부와 와이어(71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도 10, 도 12 및 도 13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레일부재(200) 상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콘솔 본체(20)에 전력 또는 제어 신호를 공급하기 위해 와이어(710)가 설치될 수 있다.
와이어(710)는 레일부재(200)의 내부공간에 수납되어 차실내의 전원공급부와 콘솔 본체(20)의 제어장치를 연결하도록 구비되고, 일단이 이동 브라켓(400)에 고정되어 이동 브라켓(400)과 함께 이동하고 타단이 차실내의 전원공급부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차실내의 전원공급부는 하우징(110) 내부에 설치되어 구동부(610)를 작동 제어하는 제어 유닛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와이어(710)는 복수 개의 전선이 묶음 구성되거나 하나의 전선으로 구성될 수 있고 다양한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단면을 갖는 것으로 설명하며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와이어(710)는 별도의 가이드유닛(720)이 없는 경우 레일부재(200) 내부에서 방향성 없이 구부러지거나 배치되어 와이어(710) 끼리 충돌하거나 레일부재(200) 내부에 수용되는 다른 부품과 충돌될 수 있고 심한 경우 이동 브라켓(400)의 이동을 가로막을 수 있어서 와이어(710)를 지지해주기 위한 가이드유닛(720)이 필요하다.
와이어(710)는 레일부재(200)의 내부공간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되 일부분이 벤딩되며 폴딩되게 배치되어 단부가 이동 브라켓(400)에 고정될 수 있고, 보다 정확하게는 레일부재(200)의 제2 수용부(202)에 수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벤딩된 단부가 제4 수용부(204)에 수납되며 이동 브라켓(400)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벤딩된 단부는 이동 브라켓(400)에 고정된 후 상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콘솔 본체(20)의 제어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가이드유닛(720)은 와이어(710)를 따라 길게 형성되되 레일부재(200)의 제2 수용부(202)와 제3 수용부(203) 상에 수납되는 부분을 지지하도록 와이어(710)를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유닛(720)은 와이어(710)와 함께 제2 수용부(202)와 제4 수용부(204)에서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되 벤딩되며 폴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유닛(720)은 와이어(710)의 외주면 일측에 결합되어 와이어(710)를 직선방향으로 정렬시키는 탄성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고, 가이드몸체(722)와 코어부(72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몸체(722)는 와이어(710)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와이어(710)에 결합될 수 있고, 일예로, 와이어(710)와 가이드몸체(722)는 와이어(710)와 가이드몸체(722)를 감싸며 클램핑하는 케이블 타이 또는 클립 형태로 마련되는 복수 개의 결합부재를 통해 고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가이드몸체(722)는 와이어(710)가 결합되는 면인 결합면(723)과 그 반대측 면이 상하방향의 가운데로 갈수록 볼록하거나 오목하게 형성되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가이드몸체(722)는 단면이 중심각이 동일하고 반지름이 다른 2개의 원호와 2개의 원호의 마주보는 단부를 각각 직선으로 연결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가이드몸체(722)는 결합면(723)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가이드몸체(722)의 상하방향의 가운데가 와이어(710)와 접하며 고정될 수 있고, 결합면(723)의 반대측 면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이동 브라켓(400)에 안정적으로 안착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몸체(722)는 반경방향으로 동일한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코어부(721)는 가이드몸체(722)의 내부에 인서트되어 구비되고 곡판 형태로 형성되되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가이드몸체(722)는 러버, 우레탄, 실리콘 또는 플라스틱 레진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고 사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가이드몸체(722)의 사출 성형시 내부에 코어부(721)가 내장된 상태로 사출 성형될 수 있으며 가이드몸체(722)의 내부에 코어부(721)가 내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몸체(722)의 와이어(710)가 결합되는 면과 그 반대측 면의 곡률과 코어부(721)의 곡률이 동일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코어부(721)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스틸 재질로 형성되며 판 스프링일 수 있고, 상하방향의 가운데로 갈수록 볼록하거나 오목한 형태로 벤딩된 곡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코어부(721)는 곡판 형태로 형성되어 직선방향으로 곧게 펴진 형태를 유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임의로 꺾이게 될 경우 꺽이는 부분의 일부가 평판 형태로 탄성 변형되고 다시 원래 형태로 돌아가려는 복원력에 의해 직선방향으로 곧게 펴지려는 탄성지지력이 작용할 수 있다.
이처럼 가이드유닛(720)은 코어부(721)의 직선방향으로 곧게 펴지려는 탄성지지력을 이용하여 와이어(710)를 가이드할 수 있다.
와이어(710)는 외주면 중 폴딩되어 서러 마주보는 안쪽 외주면에 가이드유닛(720)이 결합될 수 있고, 그 반대측 면인 바깥쪽 외주면이 레일부재(200)의 내측면에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와이어(710)는 가이드유닛(720)이 안쪽에서 탄성지지력을 제공함에 따라, 레일부재(200)의 제4 수용부(204)에서 이동 브라켓(400)에 고정되는 부분은 길이방향으로 곧게 배치되고, 제4 수용부(204)에서 제2 수용부(202)로 폴딩되는 부분은 최대한 반경이 크게 폴딩되어 배치되며, 제2 수용부(202)에서 길이방향으로 곧게 배치되는 부분은 레일부재(200)의 내측의 일면을 지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수용부(202)에 배치되는 와이어(710)는 가이드유닛(720)이 레일부재(200)의 내측의 일면을 향해 탄성지지력을 제공함에 따라 레일부재(200)의 내측의 일면과 가이드유닛(720) 사이에 위치되어 이동 브라켓(400)의 이동에 따라 폴딩되는 부분이 변경될 수 있다.
한편, 가이드몸체(722)는 상단 또는 하단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리브(724)를 구비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리브(724)가 상단과 하단에 모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돌출리브(724)는 돌출된 단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가이드몸체(722)의 하단에 구비되는 돌출리브(724)가 레일부재(200)의 수평격벽(230)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이동 브라켓(400)은 와이어(710)가 고정되는 와이어 고정부(413)를 구비할 수 있고, 보다 정확하게는 와이어 고정부(413)에 가이드유닛(720)이 고정될 수 있다.
와이어 고정부(413)는 이동 브라켓(400)의 일면에서 가이드몸체(722)와 대응되는 곡면 형상으로 함몰되어 형성되고, 가이드몸체(722)의 단부가 안착되어 결합부재를 매개로 체결될 수 있다. 이때, 결합부재는 볼트 또는 스크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이동 브라켓(400)은 적어도 하나의 구름수단(500)이 설치되어 레일부재(200)에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고, 도 14 내지 도 17을 참고하여 구름수단(500)에 대해 설명한다.
이동 브라켓(400)은 몸체(410)의 하단에 적어도 하나의 구름수단(500)이 각각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름수단 고정부(411)를 구비할 수 있다.
구름수단(500)은 이동 브라켓(400)의 구름수단 고정부(411)에 설치되어 레일부재(200) 내측에서 이동 브라켓(400)이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때 구름 운동하여 이동 브라켓(400)이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구름수단(500)은 체결핀(530), 구름부재(510), 회전지지부재(5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체결핀(530)은 외주면에 회전지지부재(520)의 내륜이 설치되어 구름부재(51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구름수단 고정부(411)에 형성된 관통홀(412)을 관통한 후 단부에 체결너트(540)가 결합됨에 따라 구름부재(510)를 구름수단 고정부(411)에 설치시킬 수 있다.
회전지지부재(520)는 일예로 베어링일 수 있으며, 내륜이 체결핀(530)의 외주면에 설치되고 외륜이 후술할 구름부재(510)의 회전지지부재 결합홈(511)에 설치됨에 따라 구름부재(510)의 회전을 지지한다.
구름부재(51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주면이 후술할 돌출턱(211) 또는 안착부(241)를 구르는 구름면이 될 수 있다.
돌출턱(211)은 레일부재(200)의 내측의 타면에서 단차지며 돌출되어 형성되고 보조 수평격벽(250)과 마주보는 면에 구름부재(510)가 안착되며 구름부재(510)의 상방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안착부(241)는 수직격벽(240)의 단부에서 절곡되며 레일부재(200)의 내측의 타면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고 그 상면에 구름부재(510)가 안착되며 구름부재(510)의 하방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즉, 돌출턱(211)과 안착부(241)는 각각 구름부재(510)를 하방과 상방으로 지지하여 구름부재(510)의 상하방향 이동을 규제할 수 있고 이동 브라켓(400)의 상하방향으로 움직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구름부재(510)는 이동 브라켓(400)과 마주보는 면에서 함몰되어 형성되는 회전지지부재 결합홈(511)을 구비하고, 회전지지부재 결합홈(511)에 회전지지부재(520)가 결합되어 체결핀(53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구름부재(510)는 회전지지부재 결합홈(511)의 저면에서 함몰되어 형성되는 요홈(512)을 구비하여 구름부재(510)의 회전시 회전지지부재 결합홈(511)이 회전지지부재(520) 또는 회전핀과 마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핀은 단부에 회전지지부재(520)를 지지하기 위해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머리부를 구비할 수 있고, 반대편 단부가 체결너트(540)와 결합될 수 있으며, 요홈(512)은 구름부재(510)가 회전핀의 머리부와 축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구름수단 고정부(411)도 회전지지부재(520)와 마주보는 면이 구름부재(510)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회전지지부재(520)의 외륜이 구름수단 고정부(411)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회전지지부재(520)와의 사이에 오링(550)이 구비될 수 있다.
오링(550)은 구름수단 고정부(411)와 회전지지부재(520)의 내륜을 지지함에 따라 회전지지부재(520)가 이동 브라켓(400)에서 이격되게 설치되도록 하고, 차량에서 발생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구름부재(510)는 이동 브라켓(400)과 마주보는 면의 반대측 면이 볼록하게 형성되어 레일부재(200)와 점접촉하는 볼록면(513)을 구비할 수 있다.
볼록면(513)은 구름부재(510)의 이동 브라켓(400)과 마주보는 면이 반경방향 내측으로 갈수록 점차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마련되고, 레일부재(200)의 내측의 타면 또는 수평격벽(230)의 단부에 점접촉하며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구름부재(510)는 외주면의 일측이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된 지지부(514)를 구비할 수 있고, 지지부(514)는 구름부재(510)의 이동 브라켓(400)과 마주보는 단부에 구비되어 이동 브라켓(400)과 마주보는 면적을 넓힐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514)는 돌출턱(211)의 이동 브라켓(400)과 마주보는 면에 지지될 수 있고 보조 수평격벽(250)의 단부 또는 안착부(241)의 단부에 지지될 수 있으나, 구름부재(510)의 접지력을 항상시키기 위해 돌출턱(211)의 이동 브라켓(400)과 마주보는 면에서 이격되고 보조 수평격벽(250)의 단부 또는 안착부(241)의 단부에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구름부재(510)는 이동 브라켓(400)과 마주보는 면에서 돌출되어 이동 브라켓(400)을 지지하도록 형성된 돌출테(515)를 구비할 수 있다.
돌출테(515)는 구름부재(510)에 원주방향으로 등간격 이격되는 복수 개의 돌기 형태로 돌출되어 형성되거나 링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고 이동 브라켓(400)과의 마찰면적을 최소화하여 구름부재(510)의 접지력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구름수단(500)은 복수 개로 구비되어 하나의 이동 브라켓(400)에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고 구름부재(510)가 이동 브라켓(400)의 일면과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안쪽 구름수단(500b)과, 구름부재(510)가 이동 브라켓(400)의 타면과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바깥쪽 구름수단(500a)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14를 기준으로 구름수단(500)은 이동 브라켓(400)의 사이에 구름부재(510)가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안쪽 구름수단(500b)과 그 반대편에 설치되는 바깥쪽 구름수단(500a)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안쪽 구름수단(500b)이 상측과 폭방향 타측으로 지지되고 바깥쪽 구름수단(500a)이 하측과 폭방향 일측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름수단(500)은 이동 브라켓(400)이 상하 방향 또는 폭방향으로 움직임이 발생하지 않도록 레일부재(200)에 폭방향 양측, 상방 및 하방으로 지지되는 안쪽 구름수단(500b)과 바깥쪽 구름수단(500a)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6은 바깥쪽 구름수단(500a)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17은 안쪽 구름수단(500b)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깥쪽 구름수단(500a)의 구름부재(510)는 돌출턱(211)에 지지되고 볼록면(513)이 레일부재(200)의 내측의 타면에 지지되며 돌출테(515)가 이동 브라켓(400)을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바깥쪽 구름수단(500a)의 구름부재(510)는 돌출턱(211)의 보조 수평격벽(250)과 마주보는 면에 지지되어 구름운동할 수 있다.
또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쪽 구름수단(500b)의 구름부재(510)는 안착부(241)에 지지되고 볼록면(513)이 수평격벽(230)의 단부에 지지되며 돌출테(515)가 이동 브라켓(400)을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레일부재(200)의 내측의 타면과 수평격벽(230)의 단부 사이에 바깥쪽 구름수단(500a)의 구름부재(510), 이동 브라켓(400), 안쪽 구름수단(500b)의 구름부재(510)가 개재되어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안쪽 구름수단(500b)의 구름부재(510)는 안착부(241)의 상면에 지지되어 구름운동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구름수단(500)은 돌출턱(211)과 안착부(241)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지지되어 움직임이 규제되고, 레일부재(200)의 내측의 타면과 수평격벽(230)의 단부 사이에서 폭방향 양측으로 지지되어 움직임이 규제될 수 있다.
즉, 구름부재(510)는 볼록면(513)을 구비하여 레일부재(200)에서 내측의 타면과 수평격벽(230)의 단부에 점접촉되어 구름수단(500)의 폭방향으로 유동이 방지되고 콘솔 본체(20)의 작동감과 품질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작동시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안쪽 구름수단(500b)의 구름부재(510)가 안착부(241)의 단부에 폭방향으로 지지되거나 바깥쪽 구름수단(500a)의 구름부재(510)가 돌출턱(211)과 보조 수평격벽(250)의 단부에 폭방향으로 지지되어 구름수단(500)에 추가 지지면을 제공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처럼 구름수단(500)이 레일부재(200)에 폭방향 양측, 상방 및 하방으로 지지됨에 따라 이동 브라켓(400)과 콘솔 본체(20)가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고 움직임으로 인해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자동차의 전동식 슬라이딩 콘솔은 도 18 내지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부재(200)의 개구부(210)를 통해 레일부재(200)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캡(130)과 밴드유닛(800)을 구비할 수 있다.
캡(130)은 레일부재(200)의 상부에 체결되어 캡 안착부(270)에 안착될 수 있고 레일부재(200)의 상부를 덮도록 구비되며 개구부(210)와 대응되는 이동홀(131)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캡(130)은 커버(120)의 개구홀(121)을 덮도록 마련되고 이동 브라켓(400)의 이동을 위해 이동홀(131)이 형성되되 후술할 밴드유닛(800)에 의해 이동홀(131)을 상하방향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캡(130)은 도 4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부재(200)에 체결되도록 하부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걸림돌기(132)를 구비하고, 걸림돌기(132)는 레일부재(200)에 형성된 후크 체결홀(220)에 스냅핏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캡(130)은 이동 브라켓(400)과 함께 유동하는 밴드유닛(800)과 접촉되는 부분을 최소화 하기 위해 도 12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유닛(800)과 접촉되는 하부면이 함몰되어 형성되는 마찰저감홈(133)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밴드유닛(800)은 밴드 안착부(260)에 안착된 상태에서 캡(130)의 이동홀(131)을 형성하는 하단부에 지지될 수 있고, 밴드유닛(800)의 실링부(811)가 이동홀(131)에 삽입되어 가이드될 수 있다.
밴드유닛(800)은 레일부재(200)와 캡(130) 사이로 삽입되어 이동홀(131)을 상하방향으로 차단하고 레일부재(200)의 개구부(210)를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밴드유닛(800)은 레일부재(200)에 길이방향으로 둘러싼 상태를 유지하면서 이동 브라켓(400)의 이동에 따라 순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밴드유닛(800)은 레일부재(200)의 어느 한쪽에서 감김 상태로 마련되는 것이 아니라 레일부재(200)를 둘러싼 상태를 유지하여 감기거나 풀리면서 고장이 발생하거나 내구 진행시 텐션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밴드유닛(800)은 보다 정확하게는 개구부(210)의 이동 브라켓(400)이 위치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를 감싸고 레일부재(200)의 내부공간을 통과하도록 일부가 절개된 고리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밴드유닛(800)의 절개된 단부는 각각 이동 브라켓(400)의 길이방향의 양단에 체결되어 텐션을 유지하도록 마련됨에 따라 이동 브라켓(400)의 길이방향 이동시 밴드유닛(800)도 함께 순환될 수 있다.
특히, 밴드유닛(800)은 레일부재(200)의 길이방향 양단에서 이격되는 위치에서 하우징(110)의 설치공간(11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한쌍의 풀리(801)에 지지되어 보다 원활하게 순환할 수 있게 된다.
풀리(801)는 레일부재(200)의 길이방향 양단에서 이격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되고, 밴드유닛(800)의 일부가 지지되어 밴드유닛(800)의 순환시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밴드유닛(800)이 보다 원활하게 순환할 수 있도록 한다.
밴드유닛(800)은 일부가 절개된 고리 형태로 마련되되 적어도 한 곳이 분할되어 적어도 두개의 분할밴드가 연결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일예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실링밴드(810)와 1개의 연결밴드(850)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유닛(800)이 2개의 실링밴드(810)와 1개의 연결밴드(850)로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또한, 밴드유닛(800)은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분할밴드의 분할된 단부 사이는 탄성부재(876)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밴드(850)의 일단은 실링밴드(810)와 고정되고 타단은 실링밴드(810)와 탄성부재(876)를 매개로 연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2개의 실링밴드(810)는 각각의 일단부가 이동 브라켓(400)에 체결되고, 한쌍의 실링밴드(81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밴드(850)는 2개의 실링밴드(810)의 타단부의 외면에 겹쳐지도록 배치되어 2개의 실링밴드(810)의 타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밴드(850)는 이동 브라켓(400)의 길이방향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고 2개의 실링밴드(810)는 동일한 길이로 형성됨에 따라 연결밴드(850)는 이동 브라켓(400)의 이동에 따라 밴드유닛(800)이 순환하여도 레일부재(200)의 내부공간에서만 순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레일부재(200)의 밴드 안착부(260)에는 실링밴드(810)가 안착될 수 있고, 실링밴드(810)는 가운데가 이동홀(131)에 삽입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되 실링밴드(8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실링부(811)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2의 단면도를 참고하면, 실링밴드(810)는 내면이 레일부재(200)의 밴드 안착부(260)에 안착되고 외면이 캡(130)의 이동홀(131)의 하단에 지지되어 상하 방향으로 떨림 없이 지지된 상태로 순환할 수 있다. 또한, 실링밴드(810)는 실링부(811)가 이동홀(131)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폭방향의 이동이 제한되어 안정적으로 순환할 수 있다.
그리고, 캡(130)은 실링밴드(810)와 마주보는 하부면에 마찰저감홈(133)이 형성되어 실링밴드(810)와 최소한의 접촉점을 구비하여 실링밴드(810)를 레일부재(200)에 안착시키면서 실링밴드(810)가 용이하게 순환할 수 있도록 한다.
아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실링밴드(810)와 이동 브라켓(400)의 연결구조, 실링밴드(810)와 연결밴드(850)의 연결구조 및 실링밴드(810)와 연결밴드(850)가 탄성부재(876)를 매개로 연결되는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도 20 및 도 21을 참고하면, 실링밴드(810)의 일단부에 고정단부(820)가 구비되고 이동 브라켓(400)의 길이방향의 양단에는 밴드 고정부(414)가 구비될 수 있다.
고정단부(820)는 실링밴드(810)의 일단부에 구비되며 단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이격되는 부분에 고정홀(821)이 형성될 수 있고, 고정홀(821)이 형성된 부분에서 고정 끝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차 얇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끝단(822)은 폭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두곳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기부(823)을 구비할 수 있고, 2개의 돌기부(823) 사이로 이동 브라켓(400)이 삽입되어 돌기부(823)가 이동 브라켓(400)의 양면을 지지할 수 있다.
밴드 고정부(414)는 이동 브라켓(400)의 단부에서 일부분이 함몰되며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고 그 내부로 고정단부(820)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밴드 고정부(414)는 안쪽면에서 일부분이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415)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밴드 고정부(414)의 안쪽면에는 돌출부(415)와 단차지며 고정단부(820)가 삽입되는 단부 삽입부(417)가 구비되고, 밴드 고정부(414)의 안쪽면이 고정단부(820)의 고정끝단(822)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끝단 삽입부(418)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밴드 고정부(414)는 돌출부(415)가 형성되어 개구슬릿(416)이 마련되고 개구슬릿(416)을 통해 고정단부(820)가 삽입될 수 있다.
도 20의 (a)와 도 21의 (a)는 실링밴드(810)가 이동 브라켓(400)에 고정되기 전의 상태를 보여주며, 도 20의 (b)와 도 21의 (b)는 실링밴드(810)가 이동 브라켓(400)에 고정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면에 따르면, 고정단부(820)가 개구슬릿(416)을 벌리면서 밴드 고정부(414)로 삽입될 수 있고, 삽입된 후에는 고정홀(821)이 돌출부(415)에 체결되고 고정단부(820)가 단부 삽입부(417)에 안착되며 고정끝단(822)이 끝단 삽입부(418)로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2개의 돌기부(823) 사이로 이동 브라켓(400)이 삽입되고 돌기부(823)가 이동 브라켓(400)의 양면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도 22 및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밴드(810)는 단부에 고정 연결단부(830)를 구비하고 연결밴드(850)는 단부에 고정부(860)를 구비하여 실링밴드(810)와 연결밴드(850)가 서로 고정된 상태로 연결될 수 있다.
고정 연결단부(830)는 실링밴드(810)의 외면에서 고리형태로 돌출되어 후술할 허리부(861)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체결고리(831)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 연결단부(830)는 체결고리(831)에서 길이방향으로 이격되는 위치에서 돌출되어 후술할 체결후크(862)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후크 삽입부(832)를 구비할 수 있다.
고정부(860)는 일정구간이 연결밴드(850)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는 허리부(861)를 구비하고, 끝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체결후크(862)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860)는 연결밴드(850)가 폭방향으로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폭방향 가운데 부분에 길이방향으로 긴 탄성변형홀(863)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3의 (a)는 연결밴드(850)가 실링밴드(810)에 고정되기 전의 상태를 보여주며, 도 23의 (b)는 연결밴드(850)가 실링밴드(810)에 고정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면에 따르면, 고정부(860)는 탄성변형홀(863)이 변형되며 체결고리(831)를 통과할 수 있고, 체결고리(831)에 허리부(861)가 삽입되며 후크 삽입부(832)에 체결후크(862)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체결후크(862)의 허리부(861)와 인접한 단부가 체결고리(831)에 걸림 체결되어 연결밴드(850)가 실링밴드(810)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도 22, 도 24 및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밴드(810)는 단부에 탄성 연결단부(840)를 구비하고 연결밴드(850)는 단부에 탄성부(870)를 구비하여 실링밴드(810)와 연결밴드(850)가 탄성부재(876)를 매개로 연결될 수 있다.
탄성부재(876)는 길이방향으로 인장된 상태로 한쌍의 실링밴드(810) 중 어느 하나와 연결밴드(850)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밴드유닛(800)이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탄성부재(876)는 일단이 연결밴드(850)에 고정되어 연결밴드(850)에 형성된 삽입슬릿(874)에 삽입되어 배치되고, 타단이 실링밴드(810)에 고정되며 연결밴드(850)와 실링밴드(810) 사이를 연결하며 잡아당기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단, 연결밴드(850)는 양단이 실링밴드(810)의 외면에 일부 겹치도록 연결될 수 있으며, 연결밴드(850)는 실링밴드(810)와 겹치도록 배치되는 부분을 제외한 내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지지리브(851)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리브(851)는 탄성부재(876)의 연결밴드(850)의 내면에서 돌출되도록 설치된 부분이 레일부재(200)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밴드유닛(800)의 순환시 탄성부재(876)와 레일부재(200)가 접촉된 상태로 이동함에 따라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탄성 연결단부(840)는 실링밴드(810)의 외면에서 고리형태로 돌출되어 후술할 조절부(871)가 삽입되는 가이드고리(841)를 구비하고, 이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폭방향의 가운데에 제1 관통홀(84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관통홀(842)은 내측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며 탄성부재(876)의 단부가 고정되는 탄성부재 고정부(843)를 구비할 수 있으며, 탄성부재 고정부(843)는 제1 관통홀(842)에서 T 형상으로 돌출되어 탄성부재(876)의 단부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탄성 연결단부(840)는 제1 관통홀(842)에서 길이방향으로 이격되는 위치에 후술할 보조돌기(873)가 삽입되는 제2 관통홀(844)을 구비할 수 있다.
탄성부(870)는 일정구간이 연결밴드(850)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는 조절부(871)를 구비하며, 조절부(871)는 후술할 가이드고리(841)에 삽입된 상태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탄성부(870)는 끝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걸림후크(872)를 구비할 수 있다.
걸림후크(872)는 실링밴드(810)와 겹쳐지는 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보조돌기(873)를 구비할 수 있고, 보조돌기(873)는 제2 관통홀(844)에 삽입되어 탄성부(870)를 탄성 연결단부(840)에 밀착시키며 탄성부(870)의 단부가 실링밴드(810)에서 이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탄성부(870)는 폭방향 가운데에서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삽입슬릿(874)을 구비할 수 있고, 삽입슬릿(874)에서 길이방향으로 이격되며 형성되어 탄성부재(876)의 단부가 고정되는 탄성부재 고정홀(875)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탄성부재(876)는 인장된 상태에서 양단이 각각 탄성부재 고정부(843)와 탄성부재 고정홀(875)에 고정되며 삽입슬릿(874) 내에 배치되고, 수축하려는 복원력으로 실링밴드(810)와 연결밴드(850)를 잡아당기며 팽팽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탄성부재(876)가 인장되거나 수축할 때, 조절부(871)는 가이드고리(841)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보조 돌기는 제2 관통홀(844)의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며 밴드유닛(800)이 팽팽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도 26을 참고하여 탄성부재(876)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26의 (a)는 밴드유닛(800)의 초기상태를 보여주며 도 26의 (b)는 밴드유닛(800)의 내구 진행에 따라 실링밴드(810)의 길이가 늘어난 상태를 보여준다.
도 26은 예를 들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밴드유닛(800) 중 어느 하나의 분할밴드가 오랜 사용으로 인해 늘어지면서 길이가 늘어나는 경우, 늘어난 길이만큼 탄성부재(876)가 수축할 수 있고, 탄성부재(876)가 실링밴드(810)와 연결밴드(850)를 잡아당기며 팽팽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슬라이딩 모듈 20: 콘솔 본체
110: 하우징 120: 커버
121: 개구부 130: 캡
131: 이동홀 200: 레일부재
201: 제1 수용부 202: 제2 수용부
203: 제3 수용부 204: 제4 수용부
210: 개구홀 211: 돌출턱
220: 후크 체결홀 230: 수평격벽
240: 수직격벽 241: 안착부
250: 보조 수평격벽 260: 밴드 안착부
270: 캡 안착부 280: 플랜지
290: 끼움돌기 300: 장착부재
310: 레일 결합부 311: 장착부
312: 보조지지대 313: 끼움홈
320: 연결부 330: 보조연결부
400: 이동 브라켓 410: 몸체
411: 구름수단 고정부 412: 관통홀
413: 와이어 고정부 414: 밴드 고정부
415: 돌출부 416: 개구슬릿
417: 단부 삽입부 418: 끝단 삽입부
420: 콘솔 조립부 500: 구름수단
510: 구름부재 511: 회전지지부재 결합홈
512: 요홈 513: 볼록면
514: 지지부 515: 돌출테
520: 회전지지부재 530: 제1 체결부
540: 제2 체결부 550: 오링
600: 구동유닛 610: 구동부
620: 리드스크류 630: 리드너트
710: 와이어 720: 가이드유닛
721: 가이드몸체 722: 연결부재
723: 결합면 800: 밴드유닛
801: 풀리 810: 실링밴드
811: 돌출부 820: 고정단부
821: 고정홀 822: 고정끝단
823: 돌출턱 830: 고정 연결단부
831: 체결고리 832: 후크 삽입부
840: 탄성 연결단부 841: 가이드고리
842: 제1 관통홀 843: 탄성부재 고정부
844: 제2 관통홀 850: 연결밴드
851: 지지리브 860: 고정부
861: 허리부 862: 체결후크
863: 탄성변형홀 870: 탄성부
871: 조절부 872: 걸림후크
873: 보조돌기 874: 삽입슬릿
875: 탄성부재 고정홀 876: 탄성부재

Claims (10)

  1. 차실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레일부재;
    콘솔 본체가 설치되고 상기 레일부재 내측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브라켓; 및
    상기 이동 브라켓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부재 내측에서 구름 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름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름수단은 상기 레일부재에 폭방향 양측, 상방 및 하방으로 지지되도록 구비되는 자동차의 전동식 슬라이딩 콘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브라켓은 길이방향으로 긴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부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름수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름수단 고정부를 구비하는 자동차의 전동식 슬라이딩 콘솔.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름수단은,
    상기 구름수단 고정부의 양면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체결핀;
    상기 체결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름부재; 및
    상기 체결핀과 구름부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구름부재의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지지부재;
    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전동식 슬라이딩 콘솔.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름수단은 복수 개로 구비되고 상기 구름부재가 상기 이동 브라켓의 일면과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안쪽 구름수단과, 상기 구름부재가 상기 이동 브라켓의 타면과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바깥쪽 구름수단을 포함하는 자동차의 전동식 슬라이딩 콘솔.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름수단은 상기 안쪽 구름수단과 바깥쪽 구름수단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레일부재에 상방으로 지지되고 나머지 하나는 하방으로 지지되도록 구비되는 자동차의 전동식 슬라이딩 콘솔.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름수단은 상기 안쪽 구름수단과 바깥쪽 구름수단의 상기 이동 브라켓과 마주보는 면의 반대측 면이 상기 레일부재에 지지되도록 구비되는 자동차의 전동식 슬라이딩 콘솔.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름부재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이동 브라켓과 마주보는 면에 함몰되게 형성되어 상기 회전지지부재가 삽입되는 회전지지부재 결합홈을 구비하는 자동차의 전동식 슬라이딩 콘솔.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구름부재는 상기 이동 브라켓과 마주보는 면의 반대측 면에 볼록하게 형성되어 상기 레일부재와 점접촉하는 볼록면을 구비하는 자동차의 전동식 슬라이딩 콘솔.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구름부재는 외주면의 일측이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된 지지부를 구비하는 자동차의 전동식 슬라이딩 콘솔.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구름부재는 상기 이동 브라켓과 마주보는 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이동 브라켓을 지지하도록 형성된 돌출테를 구비하는 자동차의 전동식 슬라이딩 콘솔.
KR1020220162433A 2022-11-29 2022-11-29 자동차의 전동식 슬라이딩 콘솔 KR202400802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2433A KR20240080262A (ko) 2022-11-29 2022-11-29 자동차의 전동식 슬라이딩 콘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2433A KR20240080262A (ko) 2022-11-29 2022-11-29 자동차의 전동식 슬라이딩 콘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80262A true KR20240080262A (ko) 2024-06-07

Family

ID=91479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2433A KR20240080262A (ko) 2022-11-29 2022-11-29 자동차의 전동식 슬라이딩 콘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8026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81457B2 (en) Window regulator
JP4746965B2 (ja) スライド構造体用の給電装置
KR102150593B1 (ko) 자동차용 시트레일 구조
US20040154227A1 (en) Curved glass support structure and wind regulator
US20220041039A1 (en) Vehicle sun visor assembly
KR101987030B1 (ko) 자동차의 전동식 슬라이딩 콘솔
US20200189422A1 (en) Seat track mechanism for vehicle
US20130111816A1 (en) Window regulator for vehicle
US4608778A (en) Door window regulator
US10577849B2 (en) Window regulator cable guide
JP4893144B2 (ja) 車両用パワースライドドア装置
KR20240080262A (ko) 자동차의 전동식 슬라이딩 콘솔
KR20240080263A (ko) 자동차의 전동식 슬라이딩 콘솔
KR20240080260A (ko) 자동차의 전동식 슬라이딩 콘솔
KR20240080261A (ko) 자동차의 전동식 슬라이딩 콘솔
US11286705B1 (en) Cable guide assembly for a window regulator
JP2017040091A (ja)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US20190186188A1 (en) Window regulator cable guide
US20220213729A1 (en) Dual window regulator with optimized motor configuration
CN115151436A (zh) 用于调节空气流的装置
JP2006042566A (ja) 給電装置
JP6393065B2 (ja) ウィンドレギュレータ装置
US20220136298A1 (en) Window regulator with optimized motor configuration
CN218780190U (zh) 用于升高和降低车辆窗口的窗口调节器
KR20190011116A (ko)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